KR101409857B1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857B1 KR101409857B1 KR1020120158005A KR20120158005A KR101409857B1 KR 101409857 B1 KR101409857 B1 KR 101409857B1 KR 1020120158005 A KR1020120158005 A KR 1020120158005A KR 20120158005 A KR20120158005 A KR 20120158005A KR 101409857 B1 KR101409857 B1 KR 1014098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aligning
- paper medium
- conveying
- conveying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3—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by friction or suction on the article for pushing or pulling it into registered position, e.g. against a stop
- B65H9/106—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by friction or suction on the article for pushing or pulling it into registered position, e.g. against a stop using rotary driven elements as part acting on the articl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2—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changing orientation of sheet by only controlling movement of the forwarding means, i.e. without the use of stop or register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2—D-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매체 인식 장치는,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에는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를 포함하며, 얼라인부는,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종이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및 이송 롤러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이송시키는 얼라인 롤러;를 포함하며, 이송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얼라인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이송 롤러에 종이매체가 인입되는 초기 위치 시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는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라인 롤러 및 이송 롤러가 초기 위치에서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됨으로써 이송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얼라인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얼라인 시간 단축은 물론 얼라인에 필요한 이송 경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장치본체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장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매체의 얼라인 소요 시간 및 얼라인에 필요한 이송 경로의 거리를 줄일 수 있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금융 자동화기기 중 수표의 여러 정보를 인식하는 수표 인식 장치가 있는데, 이러한 수표 인식 장치는 사용자가 은행의 출구를 통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표를 입금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수표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수표 인식 장치는 일반적으로 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수표의 정보를 읽은 후 기록하고 아울러 수표에 프린팅함로써 수표에 소정 정보를 기입하기도 한다. 보통 수표의 앞면 하단에는 수표번호, 일련번호, 계정번호 등의 수표 고유 정보가 자기잉크문자(Magnetic Ink Character)로 기록되어 있는데 수표 인식 장치 내에는 MICR과 같은 구성이 장착되어 수표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또한 프린터가 내장되어 계좌 정보 또는 날짜 등을 수표에 기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표 인식 장치를 통해, 수표를 인식할 때 인식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표가 얼라인된 상태로 이송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수표 인식 장치 내에는 수표의 인식 전에 수표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하는 얼라인부가 있는데, 종래의 얼라인부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여 공간 사용을 많이 하였고 이로 인해 장치 사이즈를 증대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표를 얼라인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도 만만치 않게 걸려 수표 인식에 소요되는 시간이 전체적으로 길어지는 문제점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러서, 컴팩트하면서도 수표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얼라인부를 구비한 종이매체 인식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얼라인 롤러 및 이송 롤러가 초기 위치에서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됨으로써 이송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얼라인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얼라인 시간 단축은 물론 얼라인에 필요한 이송 경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장치본체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장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얼라인부의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종이매체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채 얼라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매체 인식 장치는,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에는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종이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이송시키는 얼라인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한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상기 얼라인 롤러에 의한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 롤러에 상기 종이매체가 인입되는 초기 위치 시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위상차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얼라인 롤러 및 이송 롤러가 초기 위치에서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됨으로써 이송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얼라인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얼라인 시간 단축은 물론 얼라인에 필요한 이송 경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장치본체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장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양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협지 가능한 비원형을 가지며, 상기 이송 롤러의 양측부 중 일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접촉되는 상기 초기 위치 시 상기 얼라인 롤러는 상기 이송 롤러에 대해 예각 범위의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위상차는 30 내지 6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가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이송 롤러가 위상차에 해당하는 만큼 회전한 다음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가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 시 상기 위상차에 해당하는 만큼 회전하기 전에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회전 시 대칭되는 양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협지 가능한 비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일회전 시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 구간이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 구간에 비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 롤러는 상호 나란한 2개의 축에 각각 2개씩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축 사이에 상기 이송 롤러와 직교 방향을 갖는 상기 얼라인 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 롤러의 축과 상기 얼라인 롤러의 축은 베벨 기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이송 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 롤러의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얼라인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베벨 기어는 상기 이송 롤러의 축에 형성된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얼라인 롤러의 축에 형성된 제2 기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부재의 기어수와 상기 제2 기어부재의 기어수는 일대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매체 인식 장치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은, 내측 공간에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align)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종이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와 상기 이송 롤러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상기 얼라인 기준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한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이송 거리를 갖도록 상기 이송 롤러에 상기 종이매체가 인입되는 초기 위치 시 상기 이송 롤러에 대해 위상차를 갖는 얼라인 롤러를 갖는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으로서, 상기 얼라인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 경로 상의 접근 감지 센서가 상기 종이매체의 진입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얼라인부의 작동을 실행시키는, 얼라인부 작동 실행 단계;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함으로써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에 얼라인시키는, 얼라인 단계; 복수 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얼라인 기준면에 대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하는, 얼라인 라인 여부 감지 단계; 및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완료가 감지된 경우 상기 얼라인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얼라인 중지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얼라인 단계 시,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가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이송 롤러가 위상차에 해당하는 만큼 회전한 다음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얼라인 단계에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위해,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양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협지 가능한 비원형을 가지며, 상기 이송 롤러의 양측부 중 일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접촉되는 상기 초기 위치 시 상기 얼라인 롤러는 상기 이송 롤러에 대해 예각 범위의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라인 롤러 및 이송 롤러가 초기 위치에서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됨으로써 이송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얼라인 롤러에 의한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얼라인 시간 단축은 물론 얼라인에 필요한 이송 경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장치본체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장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라인부의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종이매체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인식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얼라인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얼라인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얼라인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얼라인부에 의해 종이매체를 얼라인할 때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초기 위치를 겹쳐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위상차에 따른 종이매체 얼라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회전 각도에 따른 협지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얼라인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얼라인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얼라인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얼라인부에 의해 종이매체를 얼라인할 때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초기 위치를 겹쳐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위상차에 따른 종이매체 얼라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회전 각도에 따른 협지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종이매체로 수표가 입금되고 이를 인식하는 수표 인식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되, 종이매체의 종류가 수표에 한정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인식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얼라인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얼라인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 도면이며,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얼라인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얼라인부에 의해 종이매체를 얼라인할 때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초기 위치를 겹쳐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위상차에 따른 종이매체 얼라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회전 각도에 따른 협지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매체 인식 장치(100), 즉 수표 인식 장치(100)는, 수표(P)의 이송 경로(105)가 형성되는 장치본체(101)와, 장치본체(101)의 입구(103)에 장착되는 셔터(110)와, 셔터(110)를 통해 인입된 수표(P)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부(120)와, 픽업된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 도 2 참조)에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130)와, 얼라인된 수표(P)의 이매 여부를 검지하는 이매 검지부(160)와, 수표(P)의 진위를 인식하는 진위 인식부(170)와, 수표(P)에 배서하는 배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셔터(1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입금 등의 부분을 누른 후 입구에 수표(P)를 입금시키면 개방되며, 이를 통해 셔터(110)로부터 시작되는 장치의 이송 경로(105)로 수표(P)가 들어갈 수 있다.
셔터(110)의 개방과 함께 픽업 롤러부(120)는 작동하여 셔터(110) 내로 인입된 수표(P)를 픽업시키고 픽업된 수표(P)는 이송 경로(10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픽업 롤러부(120)와 셔터(110)는 상호 작동한다. 즉, 셔터(110)의 개방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픽업 롤러부(120)는 수표(P)를 픽업할 수 있는 상태로 작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130)는 픽업 롤러부(120)에 의해 이송 경로(105)로 픽업된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으로 얼라인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130)의 경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신속하게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어 수표(P) 인식 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부(130)에 대해서는 다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얼라인부(130)에 의해 얼라인된 수표(P)는 얼라인부(130) 후미에 장착된 이매 검지부(160)에 의해 이매 여부를 검사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매 검지부(160)는 초음파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표(P)가 낱장으로 이송되는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있다.
수표(P)의 이매 검지 이후, 진위 인식부(170)에 의해서 수표(P)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진위 인식부(170)는, 수표(P)의 양면의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CIS(Contact Image Sensor) 센서(173)와, 수표(P)의 자성을 인식하여 수표(P)의 진위를 파악하는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센서(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진위 인식부(170)에 의해 인식한 결과, 수표(P)가 정상인 경우 수표(P)는 후술할 배서부(180)에서 배서된 후 다시 배출되거나 또는 수표(P)를 보관하는 별도의 스택부(미도시)에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서부(180)는, 수표(P)에 배서를 하는 부분으로서, 수표(P)에 배서하기 위한 잉크를 배출하는 잉크 노즐(미도시), 잉크 노즐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클리너 역할을 하는 잉크 클리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클리너는 잉크를 흡수하여 잉크 노즐의 마름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잉크 노즐로부터 잉크를 닦아줌으로써 잉크 노즐을 클리닝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130)는, 픽업 롤러부(120)와 이매 검지부(160)의 사이의 이송 경로(105) 상에 배치되어 픽업 롤러부(120)에 의해 픽업된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으로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얼라인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경로(105)의 형성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수표(P)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131)와, 이송 롤러(131)의 가로 방향, 더 정확하게는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얼라인 롤러(135)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얼라인 구동 모터(1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롤러(131)의 축(131a)과 얼라인 롤러(135)의 축(135a)은 베벨 기어(132)로 연결되며, 따라서 얼라인 구동 모터(137)에 의해 이송 롤러(131)의 축(131a)을 회전시키는 경우 얼라인 롤러(135)까지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표(P)를 이송 경로(105)의 형성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동시에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 롤러(1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31a)에 한 쌍 장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이송 롤러(131)가 장착된 축(131a)이 2개 구비되어 이송 경로(105)의 형성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축(131a)은, 연결 벨트(138)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후술할 얼라인 구동 모터(137)에 의해 하나의 축(131a)이 회전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축(131a) 역시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롤러(131)가 회전하는 경우, 이송 롤러(131)의 회전 방향 즉 이송 경로(105)의 형성 방향으로 수표(P)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한 쌍의 이송 롤러(131)가 장착된 2개의 축(131a) 사이에 얼라인 롤러(135)가 장착된다. 얼라인 롤러(135)는 이송 롤러(131)의 회전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이송 롤러(131)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 방향으로 밀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송 롤러(131)에 의해 수표(P)가 이송되는 동작 및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수표(P)가 이송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대로 이루어짐으로써 수표(P)의 이송 및 얼라인이 효율적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롤러(131)가 장착된 하나의 축(131a)과 얼라인 롤러(135)가 장착된 축(135a)이 베벨 기어(132)로 연결됨으로써 얼라인 구동 모터(137)의 구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송 롤러(131)의 축(131a)에 베벨 기어(132)의 제1 기어부재(133)가 장착되고, 얼라인 롤러(135)의 축(135a)에 베벨 기어(132)의 제2 기어부재(134)가 장착됨으로써 얼라인 구동 모터(137)의 구동력 제공에 의해 이송 롤러(131)의 축(131a)이 회전하는 경우, 제1 기어부재(133)에 맞물린 제2 기어부재(134)가 회전함으로써 얼라인 롤러(135)가 장착된 축(135a)이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이송 롤러(131)의 1회전 시 얼라인 롤러(135) 역시 1회전할 수 있도록 제1 기어부재(133)의 기어수와 제2 기어부재(134)의 기어수는 일대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어부재(133, 134)들의 기어수 비율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이송 롤러(131)에 의해 수표(P)가 이송 경로(105)의 형성 방향(A)으로 이송되는 동작 및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수표(P)가 얼라인 기준면(130S)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때 이송 롤러(131)에 의한 수표(P)의 이송 거리에 비해 얼라인 롤러(135)에 의한 수표(P)의 이송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수표(P)의 얼라인에 소요되는 이송 경로(105)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표 인식 장치(10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는 양측부(131a, 135a)만이 수표(P)에 접촉될 수 있도록 비원형을 갖는다. 이러한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는 협지 구간이 차이 나도록 상호 다른 비원형을 가질 수 있다. 즉, 수표(P)에 대한 얼라인 롤러(135)의 협지 구간이 이송 롤러(131)의 협지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도록 얼라인 롤러(135)가 상대적으로 더 큰 비원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표(P)가 이송 롤러(131)에 의해 이송되는 거리보다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이송되는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얼라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 위상차를 갖는다. 여기서, 초기 위치라 함은, 수표(P)가 이송 롤러(131)에 협지될 때 이송 롤러(131)의 위치(회전 상태) 및 얼라인 롤러(135)의 위치(회전 상태)를 가리킨다.
도 5를 참조하면(도 5는 이송 경로(105) 상에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얼라인 롤러(135) 및 이송 롤러(131)의 초기 위치 비교를 위해 임의로 겹쳐 놓은 도면임), 초기 위치에서 이송 롤러(131)가 높이 방향으로 길게 위치되는 경우 동일 시간에 얼라인 롤러(135)는 이송 롤러에 대해 위상차(θ)를 갖도록 기울어져 위치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에서 얼라인 롤러(135)와 이송 롤러(131)의 위상차(θ)는 예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60도의 각도, 예를 들면 36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얼라인 롤러(135) 및 이송 롤러(131)가 초기 위치에서 위상차(θ)를 가짐으로써 이송 롤러(131)에 의해 수표(P)가 이송될 때 이송 롤러(131)가 위상차(θ)만큼 회전하게 되면 바로 얼라인 롤러(135)에 의한 수표(P)의 이송(얼라인을 위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송 롤러(131)가 실선에서 점선으로 위상차만큼 회전되는 경우, 동시에 얼라인 롤러(135) 또한 실선에서 점선으로 회전됨으로써 이송 롤러(131)로부터 이송된 수표(P)에 바로 협지될 수 있다.
이 때, 이송 롤러(131)에 의한 수표(P)의 이송 및 얼라인 롤러(135)에 의한 수표(P)의 이송 사이에는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 모두 수표(P)에 협지되지 않는 시간이 있어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 모두에 의한 수표(P)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송 롤러(131)에 의한 수표(P)의 이송이 이루어진 다음, 소정 시간이 지난 다음 얼라인 롤러(135)에 의한 수표(P)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초기 위치에서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의 위상차(θ)가 가령 36도라면, 180도를 기준으로 36도만큼은 이송 롤러(131)에 의한 수표(P)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나머지 144도만큼은 얼라인 롤러(135)에 의한 수표(P)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비율적으로, 이송 롤러(131)에 의해 수표(P)가 전방(화살표 A 방향)으로 1만큼 가면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수표(P)가 얼라인 기준면(130S)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4만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이송 경로(105)에서 수표(P)의 얼라인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장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이송 롤러(131)와 수표(P) 간의 협지가 일정 시간동안 이루어진 다음에 얼라인 롤러(135)와 수표(P) 간의 협지가 전술한 일정 시간의 몇 배수의 시간동안 이루어질 있다.
따라서 이송 롤러(131)에 의해 수표(P)가 이송 방향으로 일구간(D1) 이동된 후, 이어서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수표(P)가 얼라인 기준면(130S) 방향으로 일구간의 몇 배의 구간(D3)만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130)는,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의 상호 구동에 따라서 수표(P)가 얼라인될 때 얼라인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복수 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얼라인 감지 센서(140)가 2개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의 얼라인 감지 센서(140)들은, 얼라인 기준면(130S)을 따라 2개 배치되며, 이러한 2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140) 모두에 수표(P)가 감지될 때 수표(P)의 얼라인이 완료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 감지 센서(140)들은 각각 광센서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광신호의 송수신 여부에 따라 수표(P)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광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면 수표(P)가 얼라인 기준면(130S)에 접촉되었다는 것이고, 광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표(P)의 얼라인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얼라인 감지 센서(140)들에 의해서 수표(P)의 얼라인 완료를 감지하면, 제어부(190)는 얼라인부(130)의 작동을 멈춤으로써 수표(P)가 이송 경로(105)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수표 인식 장치(100)의 수표 얼라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인식 장치의 수표 얼라인 방법은, 얼라인부 작동 실행 단계와, 얼라인 단계와, 얼라인 여부 감지 단계와, 얼라인부 중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 작동 실행 단계 시, 얼라인부(130)의 선단에 위치하는 이송 경로(105) 상에서 접근 감지 센서(미도시)가 수표(P)의 진입을 감지하는 경우 얼라인부(130)의 작동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얼라인 단계 시, 얼라인부(130)의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가 상호 연동함으로써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에 얼라인시킬 수 있다. 이 때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는 초기 위치에서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되며, 이를 통해 이송 롤러(131)의 이송 거리보다 얼라인 롤러(135)의 이송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어 얼라인 소요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얼라인을 위한 이송 경로(105)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얼라인 감지 단계 시, 얼라인 기준면(130S)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140)를 통해 얼라인 기준면(130S)에 대한 수표(P)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얼라인 감지 센서(140) 모두에 수표(P)가 감지되어야 얼라인 완료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 작동 중지 단계 시, 얼라인 감지 센서(140)들에 의해 얼라인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얼라인부(130)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이에 따라 수표(P)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얼라인부(130)의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수표(P)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수표(P)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이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가 상호 가로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본체(101)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얼라인 롤러(135) 및 이송 롤러(131)가 초기 위치에서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됨으로써 이송 롤러(131)에 의한 수표(P)의 이송 거리보다 얼라인 롤러(135)에 의한 수표(P)의 이송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얼라인 시간 단축은 물론 얼라인에 필요한 이송 경로(105)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장치본체(101)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장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수표 인식 장치
110 : 셔터
120 : 픽업 롤러부
130 : 얼라인부
131 : 이송 롤러
135 : 반송 롤러
160 : 이매 검지부
170 : 진위 인식부
180 : 배서부
190 : 제어부
110 : 셔터
120 : 픽업 롤러부
130 : 얼라인부
131 : 이송 롤러
135 : 반송 롤러
160 : 이매 검지부
170 : 진위 인식부
180 : 배서부
190 : 제어부
Claims (10)
- 종이매체를 인식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에 있어서,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에는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종이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이송시키는 얼라인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한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상기 얼라인 롤러에 의한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 롤러에 상기 종이매체가 인입되는 초기 위치 시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위상차를 갖고,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양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협지 가능한 비원형을 가지며, 회전 시 대칭되는 양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협지 가능한 비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일회전 시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 구간이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 구간에 비해 크도록 형성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의 양측부 중 일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접촉되는 상기 초기 위치 시 상기 얼라인 롤러는 상기 이송 롤러에 대해 예각 범위의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위상차는 30 내지 60도의 각도를 갖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가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이송 롤러가 위상차에 해당하는 만큼 회전한 다음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가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 시 상기 위상차에 해당하는 만큼 회전하기 전에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력이 해제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는 상호 나란한 2개의 축에 각각 2개씩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축 사이에 상기 이송 롤러와 직교 방향을 갖는 상기 얼라인 롤러가 장착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의 축과 상기 얼라인 롤러의 축은 베벨 기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이송 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 롤러의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얼라인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 기어는 상기 이송 롤러의 축에 형성된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얼라인 롤러의 축에 형성된 제2 기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부재의 기어수와 상기 제2 기어부재의 기어수는 일대일로 형성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 내측 공간에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align)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종이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와 상기 이송 롤러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상기 얼라인 기준면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한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이송 거리를 갖도록 상기 이송 롤러에 상기 종이매체가 인입되는 초기 위치 시 상기 이송 롤러에 대해 위상차를 갖는 얼라인 롤러를 갖는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 경로 상의 접근 감지 센서가 상기 종이매체의 진입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얼라인부의 작동을 실행시키는, 얼라인부 작동 실행 단계;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함으로써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에 얼라인시키는, 얼라인 단계; 복수 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얼라인 기준면에 대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하는, 얼라인 라인 여부 감지 단계; 및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완료가 감지된 경우 상기 얼라인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얼라인 중지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얼라인 단계 시,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가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이송 롤러가 위상차에 해당하는 만큼 회전한 다음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가 이루어지고,
상기 얼라인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회전 시 대칭되는 양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협지 가능한 비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일회전 시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 구간이 상기 이송 롤러의 협지 구간에 비해 크도록 형성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단계에서 상기 이송 롤러의 양측부 중 일측부가 상기 종이매체에 접촉되는 상기 초기 위치 시 상기 얼라인 롤러는 상기 이송 롤러에 대해 예각 범위의 위상차를 갖도록 위치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8005A KR101409857B1 (ko) | 2012-12-31 | 2012-12-31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US14/758,766 US9617099B2 (en) | 2012-12-31 | 2013-12-23 | Paper medium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said paper medium |
PCT/KR2013/012022 WO2014104682A1 (ko) | 2012-12-31 | 2013-12-23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8005A KR101409857B1 (ko) | 2012-12-31 | 2012-12-31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9857B1 true KR101409857B1 (ko) | 2014-06-20 |
Family
ID=5102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8005A KR101409857B1 (ko) | 2012-12-31 | 2012-12-31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617099B2 (ko) |
KR (1) | KR101409857B1 (ko) |
WO (1) | WO201410468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04069A (zh) * | 2016-03-16 | 2017-09-26 | 深圳市创自技术有限公司 | 纸币识别器、纸币识别器识别纸币宽度的方法和自助设备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15501B2 (ja) * | 2014-11-20 | 2019-05-22 | 富士電機株式会社 | 紙葉類識別装置 |
US11390477B2 (en) * | 2019-09-27 | 2022-07-19 | Ncr Corporation | Media deskew apparatus and deskew method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79669A (ko) * | 2006-02-03 | 2007-08-0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지폐정렬장치 |
KR20100001395U (ko) * | 2008-07-30 | 2010-02-0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수표입금기의 수표 정렬장치 |
KR20100018930A (ko) * | 2008-08-08 | 2010-02-1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수표입금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78384A (en) * | 1990-11-05 | 1992-01-07 | Xerox Corporation | Combined differential deskewing and non-differential registration of sheet material using plural motors |
DE19653424A1 (de) * | 1996-12-20 | 1998-06-25 | Giesecke & Devrient Gmbh |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Blattgut aus einem Stapel |
DE10023693A1 (de) * | 2000-05-16 | 2001-11-22 | Nexpress Solutions Llc | Ein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Ausrichtegenauigkeit bogenförmigen Materials |
DE10023940B4 (de) * | 2000-05-17 | 2008-07-17 | Eastman Kodak Co. | Vorrichtung zum Ausrichten bogenförmigen Materials während des Transports |
DE10236028A1 (de) | 2002-08-06 | 2004-02-19 | Giesecke & Devrient Gmbh |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as Ausrichten von Banknoten |
US6817609B2 (en) * | 2002-10-08 | 2004-11-16 | Xerox Corporation | Printer sheet lateral registration system with automatic upstream nip disengagements for different sheet size |
JP4694321B2 (ja) | 2005-09-08 | 2011-06-08 | 協南精機株式会社 | 紙幣の整列搬送機構 |
JP4739127B2 (ja) * | 2006-06-22 | 2011-08-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DK2055660T3 (da) * | 2007-11-01 | 2010-10-04 | Ferag Ag | Indretning til taktet omstyring af plane genstande |
JP4655146B2 (ja) * | 2008-12-22 | 2011-03-23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
2012
- 2012-12-31 KR KR1020120158005A patent/KR1014098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12-23 WO PCT/KR2013/012022 patent/WO201410468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23 US US14/758,766 patent/US961709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79669A (ko) * | 2006-02-03 | 2007-08-0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지폐정렬장치 |
KR20100001395U (ko) * | 2008-07-30 | 2010-02-0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수표입금기의 수표 정렬장치 |
KR20100018930A (ko) * | 2008-08-08 | 2010-02-1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수표입금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04069A (zh) * | 2016-03-16 | 2017-09-26 | 深圳市创自技术有限公司 | 纸币识别器、纸币识别器识别纸币宽度的方法和自助设备机 |
CN107204069B (zh) * | 2016-03-16 | 2020-09-08 | 深圳市创自技术有限公司 | 纸币识别器、纸币识别器识别纸币宽度的方法和自助设备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617099B2 (en) | 2017-04-11 |
WO2014104682A1 (ko) | 2014-07-03 |
US20150353310A1 (en) | 2015-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8773B1 (ko) | 매체 정렬 장치 | |
JP6369114B2 (ja) | 鑑別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US10710827B2 (en) | Contact stripper/feed wheel implementation | |
KR101409857B1 (ko)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
US10773912B2 (en) |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 |
JP5932447B2 (ja) | 紙幣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KR101258809B1 (ko) |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 |
KR100980075B1 (ko) |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 |
US20190333343A1 (en) | Single continuous belt in an escrow subassembly | |
KR100961576B1 (ko) |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200407181A1 (en) |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 |
KR20140037415A (ko)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
KR20140087565A (ko)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
KR101314388B1 (ko) |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 | |
JP2022103544A (ja) | カードリーダおよび取引装置 | |
JP5770076B2 (ja) | 冊子状媒体処理装置 | |
KR101508338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 |
JP2013023308A (ja) |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扱装置 | |
KR101399097B1 (ko)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인식 방법 | |
KR100935756B1 (ko) |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1807492B2 (en) | Align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 |
JP2018188277A (ja) | 媒体処理装置 | |
KR20100079812A (ko) |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53024B1 (ko) | 금융 자동화기기 | |
JP2023031462A (ja) | 紙幣整列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紙幣識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