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491B1 - 부착제 - Google Patents

부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491B1
KR101015491B1 KR1020057005801A KR20057005801A KR101015491B1 KR 101015491 B1 KR101015491 B1 KR 101015491B1 KR 1020057005801 A KR1020057005801 A KR 1020057005801A KR 20057005801 A KR20057005801 A KR 20057005801A KR 101015491 B1 KR101015491 B1 KR 101015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dhesive
support
adhesive lay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525A (ko
Inventor
카즈노리 무타
야스히사 코세
마사토시 키타
Original Assignee
히사미쯔 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쯔 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사미쯔 제약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5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와 해당 지지체 이면에 형성된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부착제인 해당 지지체에, 레이온 및 펄프의 혼합 섬유로 된 직포 또는 부직포를 이용하고, 또한 이들의 배합 비율이 3 : 7 ∼ 7 : 3인 부착제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 손목, 발목, 머리, 팔꿈치, 무릎 등에 테이핑한 경우에도 겹쳐진 부위가 쉽게 걷어 올려져 벗겨져 버리는 일이 없고, 또한, 부착 후 박리한 경우에도 점착면에 지지체의 섬유 찌꺼기가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재부착시에도 점착력이 유지되어진다.
점착제, 팩, 패치

Description

부착제{PATCH}
본 발명은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體), 허리, 발, 얼굴 등에 사용하는 수분이 함유된 부착제에 관한 것으로, 적당한 사이즈로 잘라서 손가락, 손목, 발목, 머리, 팔꿈치, 무릎 등에 붕대처럼 감을 수 있고, 겹쳐 감아서 사용해도 쉽게 말려 올라가거나 벗겨지지 않고, 재부착이 가능한 화장품용, 의약품용 또는 의약품외 용품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겹쳐서 부칠 수 있는 접착제 및/또는 붕대형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부착제로서, 요통, 어깨 결림, 타박상, 염좌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테이프제 또는 파프제(pap agent)와, 발이나 목 등 신체 일부의 피로를 치료하기 위해 이용되는 냉각용 습포제와, 얼굴이나 몸의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시트 형태의 팩제 등이 알려져 있다. 폴리 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 아크릴산염(polyacrylate), 셀룰로오스 유도체(cellulose derivative), 다가 알코올(polyalcohol acid) 및 다가 금속 화합물(polyvalent metal compound)로 된 수성 점착제 조성물(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과, 히알론산 나트륨(hyalulonate), 콘드로이친 황산 나트륨(sodium chondroitin sulfate), 유산염(lactate), 피롤리돈칼본산(pyrrolidone carboxylic acid), 요소(urea), 알로에 추출물(aloe extract) 및 차조기 추출물(perilla leaf extract) 등에서 선택된 보습 성분을 배합하여 만든 약효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파프제(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와, 수분이 함유된 점착제층 성분에 의한 청량감 등의 부여 효과가 향상되고, 또한 사용성이 우수하여 발의 피곤이나 붓기 등의 해소를 목적으로 하는 다리 건강 회복 시트제 등(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타박상, 염좌 등의 환부에 1회 감아서 붙이고 보호·고정하면서 냉각 효과나 소염 진통 효과를 발휘시키는 약물 함유 테이핑 테이프(예를 들어, 특허 문헌 4 참조)와, 신축성을 가진 시트의 기본 재료상에 수분 함유 겔(gel) 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피부로의 접착력을 개선한 미용 또는 시트 타입 수분 함유 팩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5 참조).
종래의 부착제는 피부에 점착성은 좋더라도 피부 이외의 표면, 예를 들면 직포(織布) 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면에 대해서는 점착성이 나쁘고, 또는 점착성이 좋아도 1회 박리 후에는 점착면의 지지체 표면 섬유가 뻗어서 붙는 등, 재부착 시의 점착력은 현저하게 저하되어 실질적으로 재부착이 불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약물 등을 포함하는 부착제는 피부 표면에 붙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피부에 대한 접착성은 충분하여도, 부착제를 겹쳐서 접착한 경우 및/또는 붕대처럼 사용한 경우는 지지체(支持體; backing layer) 표면에 대한 접착성이 부족하고, 지지체가 직포 또는 부직포인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부착제를 적당한 사이즈로 자른 것을 손가락, 손목, 발목, 머리, 팔꿈치, 무릎 등에 테이핑하는 경우, 피부에 대한 점착성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지지체면에 대한 점착성이 좋아서 접착 고정하기 쉽고, 거듭 겹쳐서 감아도 쉽게 걷어 올라가거나 벗겨지지 않는 부착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테이핑할 때에는 반드시 한번에 능숙하게 접착할 수 있다고 단정할 수도 없고, 다시 고쳐서 붙여야 할 경우가 생기는 일도 있기 때문에, 부착 후 박리한 경우라도 처음의 점착력이 약해지지 않고 재부착이 가능한 부착제가 상당히 요구된다.
특허 문헌 1 : 특허공보 제3-16989호
특허 문헌 2 : 특허공개 제8-291057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허공개 제10-279473호 공보
특허 문헌 4 : 특허공개 2001-031563호 공보
특허 문헌 5 : 특허공개 2000-72619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있으며 손가락, 손목, 발목, 머리, 팔꿈치, 무릎 등에 붕대처럼 감은 경우에도 중요한 부위가 쉽게 걷어 올라가 벗겨져 버리는 일이 없고, 또한 부착 후 박리한 경우에도 점착면에 섬유 찌꺼기가 붙지 않기 때문에, 재부착시에도 점착력이 유지되는 부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심으로 연구하는 중에, 지지체에 레이온과 펄프의 혼합 섬유로 된 직포 및 부직포 등의 시트(sheet) 형태물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특정 배합비로 레이온(rayon) 및 펄프를 섞어 넣음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와 해당 지지체 이면에 형성된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부착제에 관한 것으로, 해당 지지체가 레이온과 펄프로 된 혼합 섬유(fiber mixture)이고, 그 배합비가 3 : 7 ∼ 7 : 3인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점착제 층의 적어도 일부분이 겹쳐서 접착되는 부분을 가지는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겹쳐진 접착부에 있어서 점착제 층이 지지체 표면에 대해 0.01 ∼ 0.5 N/25mm의 점착력을 가진 상기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착제를 겹쳐 접착한 뒤, 지지체 표면상에 접착되어져 있는 점착제 층을 박리하고, 해당 점착제 층을 해당 지지체 상에 재접착했을 때의 점착력이 박리 전의 접착력의 1/2 이상이 되는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착제를 겹쳐서 접착한 뒤, 지지체 표면상에 접착되어져 있는 점착제 층을 박리하고, 해당 점착제 층을 해당 지지체 상에 재접착했을 때의 점착력이 박리전의 점착력의 2/3 이상이 되는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착제를 겹쳐서 접착한 뒤, 지지체 표면상에 접착되어져 있는 점착제 층을 박리하고, 해당 점착제 층을 해당 지지체 상에 재접착했을 때의 점착력이 박리 전 점착력의 4/5 이상이 되는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0% 모듈로 계수(modulus)가 30 ∼ 500 N/25mm인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 층이 수분을 함유하는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착제를 포함하는 붕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착제 층을 겹쳐 접작하는 부착제 및/또는 붕대형 부착제로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체에 레이온 및 펄프의 혼합 섬유로 된 직포 또는 부직포 등의 시트 형태물을 이용하고, 또한 이러한 배합 비율을 특정 비율로 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의 지지체 표면과 점착제 층을 겹쳐서 접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체 표면에서 점착제 층의 박리 후, 지지체 표면의 섬유에 보풀이 일어나는 일이 적고, 상기 점착제 층에 섬유 찌꺼기가 거의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의 점착력이 크게 감소하지 않아, 재부착이 가능한 부착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체의 표면상, 즉 점착제 층이 적층되어진 표면과 반대의 면에, 다른 부착제를 겹쳐서 붙이고, 또는 동일한 부착제를 팔, 발 등에 붕대처럼 감아서 접착했다고 해도, 피착체로서의 지지체 표면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접착할 수 있고, 더욱이 점착면에 섬유 찌꺼기가 붙지 않아서 재부착이 가능한 우수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체는 레이온 및 펄프의 혼합 섬유로 구성되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된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부직포가 선택되어진다. 레이온과 펄프의 혼합 섬유를 지지체로서 이용한 것에 의해, 부착제를 구성하는 점착제가 이러한 지지체에 접착된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 효과를 나타내고, 더욱이 점착제 층을 부착한 후 박리한 경우라도 지지체 표면의 섬유에 보풀이 일어나는 일이 적고, 점착면에 섬유 찌꺼기가 거의 부착되지 않는다. 즉, 테이핑하거나 붕대와 같이 인체의 일부분, 예를 들면 팔, 다리 등에 본 발명의 부착제를 감아서 붙힌 경우에는 걷어 올라가져서 벗겨지거나, 접착 부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박리한 경우에 다시 부착을 시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혼합 섬유의 레이온 및 펄프의 혼합비는 특정한 비율로 배합되어진다. 즉, 레이온의 함유량과 펄프의 함유량과의 질량 배합비는 3 : 7 ∼ 7 : 3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6 ∼ 6 : 4이다. 이러한 범위일 때에 전술한 효과는 더욱 발휘되고, 충분한 겹침 접착 및/또는 붕대형 부착제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펄프의 비율이 너무 커지면, 점착제 층과의 부착성은 좋아지지만, 지지체가 단단해져 끊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고, 레이온의 비율이 너무 커지면 점착제 층과의 부착성이 나빠지고, 부착한 지지체가 부드러워지는 경향이 있다.
지지체를 형성하는 혼합 섬유 레이온과 펄프의 질량 배합량을 상기의 비율으로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붕대형 부착제의 지지체 표면상에 점착제 층이 접착되도록 겹쳐 부착한 경우에 나중에 벗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의사로 박리할 때에도 지지체 표면상에 섬유 찌꺼기가 잘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의 점착력이 약해지지 않고 재부착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체의 파손 강도 저하에 의한 파손 등의 형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붕대형 부착제의 점착제 층의 지지체 표면상에 대한 점착력은, JIS Z0237에 준하여 180번 붙였다 떼어내는 접착 시험에 있어서 0.01 ∼ 1.5 N/25mm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0.3 N/25mm 이다. 이러한 범위로 되어진 것을 본 발명의 부착제를 붕대식으로 사용하여 인체에 부착한 경우에 말아 감겨 올라가서 벗겨지거나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박리 후 재부착 시에도 충분히 재부착이 가능해진다.
점착력이 0.01 N/25mm 이하인 경우 피부에 부착했을 때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부착제의 일부가 벗겨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0.5 N/25mm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떼어낼 때에 피부로부터 박리시키기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제는 지지체 표면상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제 층을 겹쳐 부착하고 박리한 뒤, 재차 상기 점착제 층을 지지체 표면상에 부착한 경우에, 재부착 후 180회 만큼 붙였다 떼어내는 접착 시험 값이 박리 전 값의 1/2 이상의 점착력을 가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바람직하게는 2/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의 부착제에 이용하는 지지체는 보풀이 일어나는 일이 적고, 점착제 층에 지지체에서 나오는 섬유 찌꺼기가 거의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재부착할 때에 점착력의 저하를 이러한 범위 내로 할 수 있고, 점착제 층을 본 발명의 지지체 표면에 부착한 후, 사용자의 의사로 박리한 경우라도 해당 점착제 층을 지지체의 동일 부분 및 다른 부분에 관계하지 않고 지지체 표면상에 재부착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와 같은 성능을 가지는 한 그 점착제 조성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제에 있어서 부착제의 50% 모듈로 계수(modulus)는 30 ∼ 500 N/25mm가 바람직하고, 50 ∼ 400 N/25mm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50% 모듈로 계수(modulus)는 JIS Z0237에 준하는 방법에 의하여 50% 늘어뜨렸을 때에 인장 강도이다.
이와 같은 범위 이내로 한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부착제를 예를 들어, 허리, 발 등에 붕대처럼 감는 것이 쉽게 감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제에 절단선을 만들어서 적당한 길이로 자를 때에 절단하기 쉬운 효과를 가진다. 상기 값이 30 N/25mm 이하이면 붕대와 같이 감아서 부착하기 쉽지만, 부착제가 가지는 부착 전의 형태로의 복원력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쉽게 박리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500 N/25mm 이상이면 피부로의 추수성(追隨性)이 부족하게 되어, 사용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쉽게 박리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붕대형 부착제는, 부착제의 지지체 및/또는 점착제 층에 절단선 또는 미싱 눈금 형태 등을 만들어서 부착제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러한 절단선을 가지는 것에 의해, 체형이나 첨부하는 부분에 맞추어 적당한 길이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부착제는 가요성(可撓性: 휘어지는 성질)의 지지체로 된 기본 천 위에 점착제 층을 도포하고, 이 점착제 층의 표면에 박리성의 필름 혹은 종이로 커버하는 것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성의 필름 혹은 종이에 대해서는 부착하기 쉽도록 절단선(눈금선), 미싱선 등을 만들어서 쉽게 벗겨져서 부착하기 쉬운 형태로 할 수 있다.
지지체의 색에 관하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색은 제제(製劑)의 이미지에 크게 영향을 주고 사용감이나 피부의 활력화감의 향상에 연결되는 것이고, 백색(white), 살색(skin color), 황색(yellow), 적색(red), 오렌지색(orange), 녹색(green), 청색(blue), 핑크색(pink), 밝은 청색(light blue), 갈색(brown)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색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제는 앞에서 전술한 지지체 및 박리성 필름 혹은 박리지를 포함한 아래에 기재되는 기초제(점착제)로 구성된다. 즉, 보습제, 수분, 수용성 폴리머, 가교제(cross-linking agent)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약효 성분, 피부 미용 성분, 보습 성분,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용해제, 색소, 항료,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 충전제 및 산도(pH) 조정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콜류 및/또는 다가 알코올류의 어느 것이라도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보습제가 기초제(base) 전체량에 차지하는 배합량은 1 ∼ 50 wt%, 바람직한 것은 5 ∼ 30 wt%, 더욱 바람직한 것은 5 ∼ 25 wt%이다. 제제의 점착성이나 응집성, 사용 전에 있어서 보수성 및 보형성이 저하되거나, 겔(gel)의 불균일화, 작업성의 저하 및 사용 시 사용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습제의 배합량을 1 wt%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제의 점착성이나 응집성, 사용 전의 보수성 및 보형성을 유지하고, 작업성의 저하 또는 사용 시 사용감의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배합량을 50 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습제에 있어서 글리콜류는 수용성 폴리머, 보습 성분, 가교제, 피부 미용 성분, 방부제 등의 분산·용해제 또는 가소제(可塑劑)로 사용되어지는 것과 동시에 수분 방출성이나 휘산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글리콜류는 폴리에테르(polyether)의 구조를 가지고,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저분자량의 다가 알코올과 비교하여 수산기(水酸基)가 적어서 친수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이 성질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한 기초제 성분의 임계 상대 습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사용시에 있어서 보다 많은 수분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에 수분을 주고 또한 외부로 물이 휘산하는 것에 따라 기화열을 빼앗아, 얼굴이 달아오르는 것을 억제하고 염증을 억제함과 동시에, 기분 좋은 청량감을 주는 것이다. 또한, 점도(접착도)의 온도 의존성이 작고, 제제 중에서 배합할 때도 환경 변화에 좌우되지 않고 안정적인 보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폴리 에테르의 구조를 가진 글리콜류로서는 평균 분자량이 200 ∼ 6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평균 분자량이 500 ∼ 3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 바람직하고,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습제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류는 수용성 고분자, 보습 성분, 가교제, 피부 미용 성분, 방부제 등의 분산·용해제 또는 가소제로서 사용되어지는 것과 동시에 수분의 방출성이나 휘산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다가 알코올류는 하나의 분자 안에 2 ∼ 3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저분자량의 다가 알코올로, 친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분을 제외한 기초제 성분의 임계 상대 습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시에 수분이 방출되거나 휘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류로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과,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 및 글리세린(glycerin)이 바람직하고,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보습제에 있어서 글리콜류 및/또는 다가 알코올류와 수분과의 배합 균형에 의하여 피부에 적당한 보습성과 점착성을 주면서도 부착시에 기분 좋은 청량감을 얻을 수 있으며, 박리 후 사용감이 현저하게 향상 되어진다.
수분으로서는 정제수(purified water)나 멸균수(sterile water), 천연수(natural water)가 사용되어진다. 수분은 수용성 고분자, 보습 성분, 가교제, 방부제 등의 분산·용해제로서 작용하고, 특히 보습제인 글리콜(glycol)류 및 다가 알코올을 제제에 균일하게 분산·용해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더욱이, 수분 자체로도 사용시 및 사용 후의 사용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또한 보습 성분과 동시에 피부에 작용하여 보습이나 탄력을 주는 등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분의 배합량은 30 ∼ 95 wt%, 바람직하게는 65 ∼ 9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85 wt%로 다량 첨가할 필요가 있다. 다량의 수분을 제제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제제 자체의 상대 습도를 높일 수도 있고, 사용시에 많은 수분을 효율적으로 외부에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결과 피부에 수분을 주고 외부로 수분이 휘산(drain off)함에 따라 기화열(heat of vaporization)을 빼앗고 기분 좋은 청량감을 줄 수 있다. 제제의 점착성이나 사용 전에 있어서 보수성의 저하, 작업성의 저하 및 사용 시에 있어서 사용감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수분의 배합량을 30 wt%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성이나 응집성의 열화 현상 및 사용 전에 있어서 보형성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배합량을 95 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aqueous polymer)로서는, 젤라틴(gelatin), 폴리 아크릴산(polyarylic acids) 또는 그 염(salt) 또는 부분 중화물(partial neutralization products) 등을 들 수 있고,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배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폴리 아크릴산염(polyacrylate)의 염류(salt)로서는, 나트륨(Na), 리튬(Li), 칼륨(K) 등의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그 평균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는 1000 ∼ 100000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3 ∼ 25 wt%, 바람직하게는 5 ∼ 2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wt%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제제의 점착성이나 응집성, 보형성, 흡수력 등을 유지하고, 부착력(adhesiveness)의 불균일화를 방지하고, 작업성(workability)의 저하 및 사용감의 저하 방지를 위해, 배합량을 3 wt%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제의 점착성이나 응집성, 보형성을 유지하고, 제조 중 점성(점착성)이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부착력의 불균일화, 작업성 및 사용감의 저하 방지를 위해 배합량을 25 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架橋劑: cross-linking agent)로서는, 수난용성(水難溶性) 알루미늄 화합물(slightly water-soluble aluminum compound)이나 다기능성 에폭시 화합물(polyfunctional epoxy compound)을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난용성 알루미늄 화합물으로서는,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수산화 알루미늄겔(aluminum hydroxide gel), 함수 규산 알루미늄(aluminum silicate acetate), 합성 규산 알루미늄(synthetic aluminum silicate), 카올린(kaolin), 초산 알루미늄(aluminum acetate), 유산 알루미늄(aluminum lactate), 스테아린산 알루미늄(aluminum stearate), 메타 규산 알민산 마그네슘(magnesium metasilicate aluminate), 규산 알민산 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aluminate) 등을 들 수 있고,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수난용성 알루미늄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제산(制酸) 작용에 의한 피부 자극성의 억제 효과 또는 미량의 알루미늄 이온에 의한 피부 수렴 작용(astringent effect)을 더하고, 초기 물성에 충전제로서 겔에 적당한 강도를 부여함과 동시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알루미늄 이온이 제제 내부로 용출하여, 고분자의 시간 의존성 분해 및 고분자간의 공유 결합 가교부의 시간 의존성 절단에 의한 겔 강도의 저하를 보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pH 조정에 의하여 상기 알루미늄 용출(溶出) 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기능 에폭시 화합물(polyfunctional epoxy compound)로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에틸렌 글리콜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glycerin diglycidyl ether),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 에테르(glycerin triglycid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sorbitol polyglycidyl ether), 소르비탄 폴리글리시딜 에테르(sorbitan polyglycidyl ether), 트리메트롤프로판 폴리글리시딜 에테르(trimethlolpropane polyglycidyl ether), 펜타에리트리틸 폴리글리시딜 에테르(pentaerythrityl polyglycidyl ether),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 에테르(resorcinol diglycidyl ether),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기능성 에폭시 화합물을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기능성 에폭시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흡수력과 보형성을 얻을 수 있고,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아미노기(amino group) 또는 수산기(hydroxyl group) 등을 지니는 수용성 고분자(water soluble polymers)로서 효율적으로 공유 결합을 발생시켜 겔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들 가교제의 배합량으로서는 0.05 ∼ 20 wt%, 바람직한 것은 0.5∼15 wt%, 보다 바람직한 것은 1 ∼ 10 wt%로 사용되어진다. 제제(preparation)의 응집성이나 보형성, 흡수 능력 저하, 제제 물성의 시간 의존 안정성(time dependent stability)의 저하, 작업성의 저하, 피부의 안전성 저하 및 사용감 저하 방지의 관점에서 배합량을 0.05 wt%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성, 응집성, 보형성, 제조 중에 있어서 점도(粘度; viscosity)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 겔(gel)화에 의한 고체(adhesive ness)의 불균일화, 작업성의 저하, 피부 안전성의 저하 및 사용감 저하 방지를 위해, 배합량을 20 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antiseptics)로서는,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이나 에틸 파라벤(ethyl paraben),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 등의 파라옥실 안식향산 에스테르(p-hydroxybenzoic acid esters), 1,2-펜탄디올(1,2-pentanediol), 안식향산(benzoic acid), 안식향산염(benzoate), 살리실산염(salicylate), 소르빈산(sorbic acid), 소르빈산염(sorbate), 데히드로 초산염(dehydro acetate), 4-이소프로필-3-메틸 페놀(4-isopropyl-3-methyl phenol), 2-이소프로필-5-메틸 페놀(2-isopropyl-5-methyl phenol), 페놀(phenol), 히노키티올(hinokitiol), 크레졸(cresol), 2,4,4'-트리클로로-2'-히도록시디페닐 에테르(2,4,4'-tricholro-2-hydroxydiphenyl ether), 3,4,4'-트리클로로 카바니드(3,4,4’-trichloro-carbanide), 클로로부탄올(chlorobutanol),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염화 벤제트늄(benzethonium chloride) 등을 들 수 있고, 각각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파라옥실 안식향산 에스테르(p-hydroxybenzoic acid esters)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으로서는, 0.005 ∼ 10 wt%, 바람직한 것은 0.01 ∼ 5 wt%, 보다 바람직한 것은 0.01 ∼ 1 wt%로 사용되어진다. 보존 중에 곰팡이나 균의 발생에 의한 제제의 부패를 방지하고, 사용시 및 사용후 사용감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배합량은 0.005 wt%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제에 있어서 점착성, 응집성의 미묘한 변화, 사용감에 있어서 자극이나 방부제 향에 의한 불쾌감 등의 방지를 위해 배합량이 1 wt%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착제는 상기의 기초제 성분에 부가해서, 부착제의 용도에 따라 종래 공지된 약효 성분, 피부 미용 성분, 보습 성분,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용해제, 색소, 항료,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물 충전제 및 산도(pH) 조정제 등을 적절하게 적당량 배합할 수 있다.
약효 성분으로서는 경피 흡수(percutaneously absorbable) 가능한 약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fluocinolone acetonide), 길초산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valeratte), 다이프로피온산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dipropionate), 클로베타손 부티레이트(clobetasone butyrate), 호박산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succinate) 등의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抗炎症劑: 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메틸 살리실산(methyl salicylate), 글리콜 살리실산(glycol salicylat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켑토프로펜(ketoprofen), 다이클로페낙(diclofenac), 이부프로펜(ibuprofen), 플루르바이프로펜(flurbiprofen), 펠비나크(felbinac), 케트로락(ketlorlac), 록스프로펜(loxoprofen), 수프로펜(suprofen), 프라노프로펜(pranoprofen), 티아플로펜(tiaprofen), 풀루페남산(flufenamic acid), 테니답(temidap), 아스피린(aspirin), 악티리트(actirit), 미조리빈(mizoribine), 옥사프로진(oxaprozin), 모페조락(mofezolac), 에토돌락(etodolac), 오라노핀(auranofin), 인도메타신 파르네실(indomethacin farnesil)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agents)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 트란이라스트(tranilast), 아젤라스틴(azelastine), 케토티펜(ketotifen), 이부디라스트(ibudilast), 옥사토마이드(oxatomide), 에메다스틴(emedastine), 에피나스틴(epinastine) 등의 항알레르기제, 디이펜하이드라민(diphenhydramine), 클로로페닐아민(chlorpheniramine), 프로메타진(promethazine), 트리펠렌나민(tripelennamine) 등의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 agents), 클로로프로마진(chlorpromazine), 나이트라제팜(nitrazepam), 디아제팜(diazepam),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레세르핀(reserpine) 등의 중추 신경 작용약, 인슐린(insulin), 테스토스테론(男性호르몬; testosterone), 노르에티스테론(norethisterone), 메틸테스토스테론(methyltesto sterone), 프로제스테론(progesterone), 에스트라다이올(estradiol) 등의 호르몬제(hormones), 클로니딘(clonidine), 레세르핀(reserpine), 황산 구아네티딘(guanethidine sulfate), 에포니디핀(efonidipine), 알프레노올(alprenolol), 니페디핀(nifedipine) 등의 항고혈압증제(抗高血壓症劑: antihypertensive agents), 디지톡신(digitoxin), 디그옥신(digoxin) 등의 강심제(强心劑), 염산 프로프라놀오르(propranolol hydrochloride), 염산 프로카인아미드(procainamide hydrochloride), 아지말린(ajimaline), 핀도롤(pindolol), 염산 툴로부테롤(tulobuterol hydrochloride) 등의 항부정맥용제(抗不整脈用劑: antiarrhythmic agents),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이소소르비드 디나이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염산 파파베린(papaverine hydrochloride), 니페디핀(nifedipine), 딜티아젬(diltiazem), 니코란딜(nicorandil) 등의 관혈관 확장제(冠血管擴張劑: coronary vasodilators), 리도카인(lidocaine), 푸로카인(procaine), 염산 푸로카인(procaine hydrochloride), 벤조카인(benzocaine), 테트라카인(tetracaine) 등의 국소 마취제(局所麻醉劑: local anesthetics), 몰핀(morphine), 아스피린(aspirin), 코데인(codeine), 아세트 아닐리드(acetoanilide), 아미노피린(aminopyrine) 등의 진통제(鎭通劑), 타잔이딘(tizanidine), 에페리손(eperisone), 톨페리손(tolperisone), 이나페리손(inaperisone), 단트로렌(dantrolene) 등의 근이완제(筋弛緩劑: muscle relaxants), 아세토페닐아민(acetophenylamine), 나이트로프라존(nitroflazone), 펜타마이신(pentamycine), 나프티오메이트(naphthio mate), 미코나졸(miconazole), 오모코나졸(omoconalzole), 크로트리마졸(clotrimazole), 염산 부테나핀(butenafine hydrochloride) 등의 항진균제(抗眞菌劑: antifungal agents),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부설판(busulfan), 악티노마이신(actinomycine), 블레오마이신(bleomycine), 미토마이신(mitomycine) 등의 항악성종양제(抗惡性腫瘍劑: antineoplastic agents), 염산 테롤리딘(terodiline hydrochloride), 염산 옥시부티닌(oxybutynin hydrochloride) 등의 요실금증제(尿失禁症劑: urinary incontinence agents), 니트라제팜(nitrazepam), 메프로바메트(meprobamate) 등의 항간질제(抗癎疾劑: antiepleptic agents), 클로로족사존(chlorzoxazone), 레보도파(levodopa), 아만타딘(amantadine), 염산 셀레질린(selegiline hydrochloride), 염산 라노라진(ranolazine hydrochloride), 염산 로피니롤(ropinirole hydrochloride) 등의 항파킨슨제(antiparkinson agents), 그라니세트론(granisetron), 아자세트론(azasetron), 온단세트론(ondansetron), 라모세트론(ramosetron) 등의 제토제(制吐劑: antiemetic agents), 옥시부티닌(oxybutynin) 등의 빈뇨 치료제(頻尿治療劑), 니페디핀(nifedipine) 등의 칼슘 길항제(Ca antagonists), 펜타닐(fentanyl), 몰핀(morphine), 이미프라민(imipramine) 등의 향정신약(psychotropic agents), 디페니돌(difenidol), 베타히스틴(betahistine) 등의 항현기증제(antivertigo agents), 벤조티아제핀(benzothiazepin) 등의 심장·혈관계(cardiovascular) 약제, 케토타이펜(ketotifen), 투로부테롤(tulobuterol), 트란이라스트(tranilast) 등의 진해거담제(鎭咳去痰劑: antitussive-expectorant agents), 빈포세틴(vinpocetine), 니셀고린(nicergorine), 니코란딜(nicorandil), 마레인산 크렌티아젬(clentiazem maleate), 염산 파스딜(fasudil hydrochloride), 염산 베니디핀(benidipine hydrochloride), 염산 에포노디핀(efonodipine hydrochloride) 등의 뇌순환개선제,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염산 빈코나트(vinconate hydrochloride), 푸말산 네브라세탐(nebracetam fumarate) 등의 뇌혈관성 치매제(腦血管性痴昧劑), 염산 도네페질(donepezil hydrochloride), 염산 아미리딘(amiridine hydrochloride), 염산 메만틴(memantine hydrochloride) 등의 알츠하이머 치료제(Alzheimer's drug), 루테이나징호르몬-릴리징 호르몬(luteo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타이로트로핀 릴리징 호르몬(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등의 폴리펩티드계 호르몬제(polypeptide type hormones), 폴리사카라이즈(polysaccharides), 오라노핀(auranofin), 로벤자리트(lobenzarit) 등의 면역 조절제, 우루소드옥시콜릭산(ursodeoxycholic acid) 등의 이담제(利膽劑: immunomodulating agents), 하이드로플루메티아자이드(hydrofulmethiazide) 등의 이뇨제(cholagogue agents), 톨부타마이드(tolbutamide) 등의 당뇨병 용제(agent for diabetes), 콜치신(colchicine) 등의 통풍 치료제(痛風治療劑), 니코틴(nicotine) 등의 금연 보조제, 나아가서는 비타민류, 프로스탁란딕류(prostaglandins), 흥분 각성제(excitation-analeptic agents), 최면 진정제(hypnotic-sedative agents), 자율 신경용제(autonomic agents), 말초 혈관 확장제(peripheral vasodilators) 등의 약물을 들 수 있다.
피부 미용 성분으로서는 알란토인(allantoin), 글리실리진산(glycyrrhizic acid),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해수 건조물(dried seawater), 염(salt), 무수 카페인(anhydrous caffeine), l-멘톨(1-menthol), dl-멘톨(d1-menthol), 글리실리진산 디칼륨(dipotassium glycyrrhizinate), 파파인 효소(papain enzyme), L-아르기닌(L-arginine), 알부틴(arbutin), 후라보노이드(flavonoid), 콜라겐(collagen), 요구르트 추출물(yogurt extract), 레시틴(lecithin), 엘라직산(ellagic acid), 아미노산류(amino acids), 코직산(kojic acid), 단백질 성질(proteins), 당류, 호르몬류, 수용성 프라센타 엑기스(water-soluble placenta extract) 등의 태반 추출물(胎盤抽出物: placenta extract), 실크 또는 실크 추출물, 또는 알로에(aloe), 수세미(loofah) 및 감초(glycyrrhia) 등의 각종 생약으로부터의 추출 성분 또는 신선초 추출물(angelica keiskei extract), 아스파라사스 리네아리스 엑기스(aspalathus linearis extract), 아선약 추출물(gambir extract), 아보가도 추출물(avogado extract), 감차 추출물(甘茶; sweet hydrrangea extract), 돌외(덩굴차) 추출물(gynosstemma pentaphyllum extract), 마시멜로 추출물(marshmallow extract), 아르니카 추출물(arnica extract), 아몬드 추출물(almond extract), 알로에 추출물(aloe extract), 벤조인 추출물(benzoin extract), 체스트넛 로즈 추출물(chestnut rose extract), 호장근 추출물(Japanese knotweed extract), 은행나무 추출물(ginkgo extract), 쐐기풀 추출물(nettle extract), 붓꽃 뿌리 추출물(iris root extract), 우롱차 추출물(oolong tea extract), 회향 추출물(茴香: fennel extract), 심황 추출물(鬱金; turmeric extract), 장미 과실 추출물(rose fruit extract), 가시오가피 추출물(siberian ginseng extract), 에키나시아 잎 추출물(echinacea leaf extract), 완두콩 추출물(green pea extract), 황금 추출물(scutellaria root extract), 황백 추출물(黃栢; phenodendron bark extract), 황련 추출물(黃蓮; goldthread extract), 밀크티슬 추출물(milk thisle extract), 백일홍 추출물(大花百日紅; lagestroemia extract), 보리 추출물(barley extract), 발효된 보리 추출물(fermented barley extract), 오크라 추출물(okura extract) , 고추나물 추출물(hypericam (erectum) extract), 광대나물(white dead-nettle extract), 오노니스 추출물(prickly restharrow extract), 물냉이 추출물(watercress extract), 오렌지 추출물(orange extract), 오렌지 꽃 추출물(orange flower extract), 해초 추출물(seaweed extract), 감나무 추출 탄닌(persimmon tannin), 갈근 추출물(pueraria extract), 쥐오줌풀 추출물(valerian extract), 부들 추출물(cattail extract), 일년생 카모마일 추출물(annual chamomile extract), 일년생 카모마일 워터(annual chamomile water), 메귀리 추출물(wild oat extract), 모과 추출물(chinese quince extract), 당근 추출물(carrot extract), 인진쑥 추출물(artemisia capllaris extract), 감초 추출액(glycyrrhiza extraction liquid), 라즈베리 추출물(raspberry extract), 은행나무 열매 추출물(ginkho nut extract), 바나바차 추출물(banaba tea extract), 회화나무 추출물(pagoda extract), 메밀 추출물(buckwheat extract), 네롤리 추출물(neroli extract), 목련 추출물(magnolia extract), 붉은 딱총나무 추출물(red-berried elder extract), 히비스커스 추출물(hibiscus extract), 월귤 추출물(cowberry extract), 두릅나무 추출물(Japanese angelica-tree extract), 과바 페논(guavaphenone), 고삼(sophora root), 개맨드라미(feather cockscomb), 벨벳콩 추출물(mocuna extract), 백련(흰연꽃) 추출물(白蓮; melosuria extract), 백합 구근 추출물(lilybulb extract), 라즈베리 추출물(rasberry extract), 룸푸얀(lumpuyan), 녹차 추출물(green tea extract), 애플 페논(apple phenone), 안젤리카 뿌리 추출물(Japanese angelica root extract), 살구나무 추출물(apricot extract), 티 트리 추출물(tea tree extract), 복숭아 추출물(peach extract), 마카데미아 오일(macademia oil), 아몬드 오일(almond oil), 키위 추출물(kiwi extract), 키나나무 추출물(kinchona extract), 오이 추출물(cucumber extract), 살구나무 추출물(apricot extract), 모과씨 추출물(quince seed extract), 치자나무 추출물(gardenia extract), 얼룩 조릿대 나무(veith's bamboo extract), 마근 추출물(麻根; cumin extract), 고삼 추출물(sophora flavescens extract), 호두 껍질 추출물(walnut pod extract), 자몽 추출물(grape fruit extract), 클레마티스 추출물(clematis extract), 클로렐라 추출물(chlorella extract), 뽕나무 추출물(mulberry extract), 뽕나무 잎 추출물(mulberry leaf extract), 계혈등 추출물(鷄血藤; mucuna bird woodiana tutcher extract), 계피 추출물(cinnamon extract), 용담 추출물(龍膽; yellow gentian extract), 제라늄 추출물(crane's-bill extract), 헛개나무 추출물(Japanese raisin tree extract), 커피 추출물(coffee extract), 홍차 추출물(black tea extract), 개연꽃 추출물(nuphar extract), 우엉 추출물(burdock extract), 맥아 추출물(wheat germ extract), 쌀겨 추출물(rice bran extract), 발효된 쌀겨 추출물(fermented rice bran extract), 컴프리 추출물(comfery extract), 족도리풀 추출물(asiasarum extract), 샤르론 추출물(saffron extract), 소프워트 추출물(soapwort extract), 산수유 추출물(crataegus fruit extract), 산초나무 추출물(Japanese pepper extract), 표고버섯 추출물(shiitake extract), 지황 추출물(chinese foxglove extract), 자초근 추출물(紫草根; lithospermum extract), 차조기 추출물(perilla extract), 연밥피나무 추출물(Japanese linden extract), 단풍터리풀(매도스위트) 추출물(meadowsweet exttract), 작약 추출물(peony extract), 율무 추출물(job-s-rears extract), 생강추출물(ginger extract), 창포 뿌리 추출물(sweet flag root extract), 흰자작나무 추출물(white birch extract), 흰자작나무 수액(white birch sap), 인동덩굴 추출물(Japanese honeysuckle extract), 쇠뜨기 추출물(horsetail extract), 스테비아 추출물(stevia extract), 세이지 추출물(sage extract), 세이지 워터(sage water), 덩굴광대수염 추출물(common ivy extract), 서양산사나무 추출물(crataegue extract), 딱총나무 추출물(red-berried elder extract), 노간주나무 추출물(common juniper extract), 서양톱풀 추출물(yarrow extract), 페퍼민트 추출물(peppermint extract), 당아욱 추출물(mallow extract), 샐러리 추출물(celery extract), 천궁 추출물(cnidum rhizome extract), 천궁수(cnidum rhizome water), 당약 추출물(sialid extract), 대두 추출물(soybean extract), 대추 추출물(jujube extract), 타임 추출물(thyme extract), 차 추출물(tae extract), 차 열매 추출물(tea nut extract), 정향나무 추출물(clove tree extract), 저령 추출물(猪笭; polyporus sclerotium extract), 진피 추출물(citrus unshiu peel extra), 동백나무 추출물(camellia extract), 병풀 추출물(centella extract), 듀크 추출물(duke extract), 가자나무 추출물(terminalla extract), 첨차(텐차) 추출물(tian cha extract), 동과자 추출물(bunincasae semen extract), 당귀 추출물(Japanese angelica root extract), 만수국 추출물(marigold extract), 당귀 엑기스(Japanese amgeleca root water), 동충하초 추출물(vegitative wasp extract), 도인(복숭아 씨) 추출물(peach kernel extract), 오렌지 껍질 추출물(orange peel extract), 옥수수 추출물(corn extract), 어성초 추출물(dokudami extract), 토마토 추출물(tomato extract), 솜양지꽃 추출물(P.tormentilla schoran k. extract), 청국장 추출물(fermented soybean extract), 인삼 추출물(ginseng extract), 마늘 추출물(garlic extract), 야생 장미 추출물(wild rose extract),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맥아근 추출물(malt root extract) 맥문동 추출물(ophiopogon tuber extract), 파슬리 추출물(parsley extract), 증류 박하수(distilledmint water), 해당화 추출물(rugosa rose extract), 조롱나무 추출물(witch-hazel extract), 조롱나무 추출액(witch-hazel extraction liquid), 장미 추출물(rose extract), 하얀 국화 추출물(parietaria extract), 방아풀 추출물(plectranthus japonicus extract), 편백나무 수액(cypress water), 백단향 추출물(white sandalwood extract), 비파나무 잎 추출물(loquat leaf extract), 관동화 추출물(coltsfoot extract), 복령 추출물(茯笭; tuckahoe extract),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 추출물(butcherbroom extract), 포도 추출물(grape extract), 포도액(grape water), 포도 잎 추출물(grape leaf extract), 너도밤나무 추출물(siebold's beech extract), 말린 자두 추출물(prune extract), 헤이플라워 추출물(hayflower extract), 수세미 추출물(loofah extract), 수세미 액(loofah water), 홍화 추출물(safflower extract), 모란 추출물(peony extract) , 홉 추출물(hop extract), 소나무 추출물(pine extract), 쟈스민 추출물(jasmunum sambac extract), 엉겅퀴 추출물(milk thistle extract), 마로니에 추출물(horse chestnut extract), 무환자나무 추출물(chinese soapberry extract), 자주쓴풀 추출물(swertia paseudochinesis extract), 카레 잎 나무 추출물(murayaco enzyextract), 레몬밤(멜리사) 추출물(lemon balm extract), 메리롯트 추출물(melilot extract), 복숭아 잎 추출물(peach leaf extract), 콩나물 추출물(bean sprouts extract), 수레국화 추출물(cornflower water), 수레국화 엑기스(cornflower water), 유칼리나무 추출물(euclyptus extract), 유칼리나무 수액(euclyptus water), 바위취 추출물(strawberry saxiflage extract), 유자나무 추출물(citrus junose extract), 백합 추출물(lily extract), 율무 추출물(coix extract), 쑥 추출물(mugwort extract), 쑥 엑기스(mugwort water), 라벤더 추출물(lavender extract), 라벤더 엑기스(lavender water), 남조류 추출물(blue-green algae extract), 녹차 추출물(green tea extract), 사과 추출물(apple extract), 사과 엑기스(apple water), 여지 추출물(litchi extract), 양상추 추출물(lettuce extract), 레몬 추출물(lemon extract), 연화초 추출물(蓮華草; lotus flower extract), 로즈마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로즈마리 엑기스(rosemary water), 장미 엑기스(rose water), 카모마일 추출물(camomile extract), 로그우드 추출물(logwood extract), 오이풀 추출물(great burnet extract) 등의 식물성 추출물, 또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및 그 밖의 비타민 류나 아스콜빈산 인산 마그네슘(magnesium ascorbic acid phophate), 아스콜빈산 인산 나트륨(sodium ascorbic acid phosphate), 아스콜빈산-2-글리코시드(ascorbic accid-2-glycoside) 등의 비타민 C 유도체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염산 디펜하이드라민(diphenhydramine hydrochloride), 살리실산 디펜하이드라민(diphenhydramine salycilate), 탄닌산 디펜하이드라민(diphenhydramine tannate), 염산 트리프롤리딘(triprolidine hydrochloride), 메퀴타진(mequitazine), 마레인산 클로로페닐아민(chlorpheniramine maleate), d-마레인산 클로로페닐아민(d-chlorpheniramine maleate), 푸말산 크레마스틴(clemastine fumarate), 염산 프로메타진(promethazine hydrochloride), 트라니라스트(tranilast), 크로모글리구산 나트륨(sodium cromoglycate), 케토티펜(ketotifen), 아릴설파테제 B(arylsulfatase B), 부펙사마크(bufexamac), 벤다자크(bendazac), 프루페남산 부틸(butyl flufenamate), 이부푸로펜(ibuprofen piconol),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아스피린(aspirin), 플루바이프로펜(flurbi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피록시캄(piroxicam) 및 2-피리딘메틸 메페나믹산(2-pyridinemethyl mefenamic acid), 5,6-디하이드로아라키돈산(5,6-dehydroarachidonic acid), 5,6-메타노-LTA4(5,6-methano-LTA4), 에스쿠레틴(esculetin), 유파티린(eupatilin), 4-디메틸유파티린(4-demethyleupatilin), 카페인산(caffeic acid), 벤옥사프로펜(benoxaprofen) 등의 미백 작용을 가지는 약물을 들 수 있고, 단독 또는 2종 이상 배합할 수 있다.
보습 성분으로서는 숙시닐케피란 수용액(aqueous succinyl kefiran solution), 아세틸케피란 수용액(aqueous acetyl kefiran solution), 말레일케피란 수용액(aqueous maleyl kefiran solution), 맥아근 추출물(麥芽根: malt root extract), 장미 과실 추출물(rose fruit extract), 오렌지 추출물(orange extract), 오렌지 과즙(orange juice), 나무딸기 추출물(raspberry extract), 키위 추출물(kiwi extract), 오이 추출물(cucumber extract), 치자 추출물(gardenia extract), 자몽 추출물(grapefruit extract), 산수유 추출물(crataegus fruit extract), 산초나무 추출물(Japanese pepper extract),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crataegus extract), 노간주나무 추출물(common juniper extract), 대추 과실 추출물(zizyphi fructus extract), 대추 추출물(jujube extract), 듀크 추출물(duke extract), 토마토 추출물(tomato extract), 포도 추출물(grape extract), 수세미 추출물(loofah extract), 라임 과즙(lime juice), 사과 과즙(apple juice), 레몬 추출물(lemon extract), 레몬 과즙(lemon juice), 차조기 추출물(perilla extract), 뽕나무 껍질 추출물(mulberry bark extract), 마시멜로 추출물(marshmallow extract), 마로니에 추출물(horse-chestnut extract), 모란피 추출물(moutan bark extract), 율무 추출물(coix lachryma-jabi extract), 올리브 오일(olive oil), 올리고머(oligomer), 키틴(chitin), 키토산(chitosan), 맥아 추출물(wheat germ extract), 쌀겨 추출물(rice bran extract), 대추(jujub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A, 호호바 오일(jojoba oil), 화이트 루핀(white lupin), 리놀산(linoleic acid), 마르멜로 종자 추출물(quice seed extract), 로얄 젤리(royal jelly), 장미 추출물(rose extract), 일년생 카모마일 추출물(annual chamomile extract), 알로에베라(aloe), 인삼 추출물(ginseng extract), β-카로틴(β-carotene), 붉은 포도 추출물(red grape extract), 레몬밤추출물(lemon balm extract), 스쿠알렌(squalene), 실크 프로테인(silk protein), 콜라겐(collagen), 하알루론산 소다(sodium hyaluronate), 바이오 하알루론산 소다(sodium bio-hyaluronate), 트로할로스(trehalose), 여지 추출물(litchi extract), 홍차 추출물(black tea extract), 클로렐라 엑기스(chlorrella extract),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대두 추출물(soybean extract), 마늘 추출물(garlic extract), 쑥 추출물(mugwort extract), 알로에 엑기스(aloe extract), 해조류 추출액(seaweed extraction liquid), 트리메틸글리신(trimethylglycine), 소르비톨(sorbitol) 등의 당류(saccharides), L-프롤린(L-proline),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소다(sodium pyrrolidonecarboxylate) 등의 천연 보습 인자 등을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과일 추출물(과즙)류는 항료로서의 작용 효과도 가지고 있다.
산화 방지제(antioxidants)로서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몰식자산 프로필(propyl gallate), 부틸 히드록시아니솔(butyl hydroxyanisol), 디부틸 히드록시톨루엔(dibutyl hydroxytoluene), 노르디히드로 구아레틴산(nordihydro guaretic acid), 토코페롤(tocopherol), 초산 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천연 비타민 E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tackifiers)로서는 카세인(casein), 푸루란(pullulan), 한천(agar), 덱스트란(dextran), 아루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가용성 전분(soluble starch), 카르복시 전분(carboxy starch), 덱스트린(dextrin),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ecellulose),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 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카르복시비닐 폴리머(carboxyvinyl polymer), 폴리비닐 에테르(polyvinyl ether), 폴리 말레인산 공중합체(polymaleic acid copolymer), 메톡시에틸린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ethoxyethylene maleic anhydride copolymer),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isobutyl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폴리에틸렌 이민(polyethlene imine), 폴리비닐 알코올 부분 가수분해물(polyvinyl alcohol partial hydrolysate),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oxypropyl methyl cellulose), 산탄검(xanthan gum), 폴리 N-비닐아세트아미드(poly-N-vinylacetamide)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용해제로서는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피로티오데칸(pyrrothio decane), 박하 기름(peppermint oil),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isopropyl mirystate), 크로타미톤(crotamiton)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색소(colorant)로서는 적색 2호(amaranth), 적색 3호(erythrosine), 적색 102호(new coccine), 적색 104-1호(phloxine B), 적색 105-1호(rose bengale), 적색 106호(acid red), 황색 4호(tartrazine), 황색 5호(sunset yellow FCF), 녹색 3호(fast green FCF), 청색 1호(brilliant blue FCF), 청색 2호(indigo carmine) 등의 법정 색소를 배합할 수 있다. 특별히 색소에 관하여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제제의 이미지에 크게 영향을 주어, 사용감이나 피부의 활성화감의 향상에 연결되는 것이다.
계면 활성제(surfactants)로서는 디옥틸 설포호박산염 나트륨(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알킬 황산염(alkylsulfate salt), 2-에틸헥시 알킬황산염 에스테르 나트륨 염(2-ethylhexyl alkylsulfate sodium salt), 노르말 도데실 벤젠 설폰산 나트륨(sodium n-dodecylbenzene sulfonate)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 헥사 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염화제(hexadec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옥타데실 디메틸 벤질 암모늄 염화제(octadecyl dimethyl benzyl ammonium chloride),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 모노메틸 암모늄 염화제(polyoxyethlene dodecyl mono methyl ammonium chloride) 등의 양이온 계면 활성제(cationic surfactant),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lene stea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 tridec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monostearat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 세스키오레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오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 monostearate),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polyglycerol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옥타데실 아민(polyoxyethylene octadecyl amine),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파마자유 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nonionic surfactant)를 배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로서는 파라아미노 안식향산(p-aminobenzoic acid),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p-aminobenzoate ester), 파라디메틸 아미노 안식향산 아밀(amyl p-dimethyl aminobenzoate), 살리실산 에스테르(salicylate acid ester), 메틸 안트라닐산(methyl anthranilate),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에스큘린(esculin), 벤질 신남산(benzyl cinnamate), 시녹세이트(cinoxate), 구아이아쥴렌(guaiazulene), 우로가닌산(urocainic acid),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zxy-5-methylphenyl)benzotriazole), 4-메톡시벤조페논(4-methoxybenzophenone),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hydroxy-4-methoxy benzo phenone), 디옥시벤존(dioxybenzone), 옥타벤존(octabenzone), 디히드록시 메톡시벤조페논(dihydroxy dimethoxybenzophenone), 스리소벤존(slisobenzone), 벤졸소르시놀(benzoresorcinol), 옥틸디메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octyl p-dimetylamino benzoate), 에틸헥실 파라메톡시 신남산(ethylhexyl p-methoxy cinnamate)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무기 충전제(inorganic fillers)로서는 산화 티타늄(titanium oxide), 텔크(talc), 산화 아연(zinc oxide), 함수 규산염(silicate hydrate), 탄산 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인산 수소 칼슘(dibasic calcium phosphata), 규산 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규조토(diatomaceous earth), 무수 규산(anhydrous silicic acid),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산도(pH) 조정제로서는 초산(acetic acid), 포르말산(formic acid), 유산(lact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말릭산(mal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질산(nitric acid), 황산(sulfuric acid), 수산화 나트륨(sodium hydroxide),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메틸아민(methylamine), 에틸아민(ethylamine), 프로필아민(propylamine), 디메틸아민(dimethylamine), 디에틸아민(diethylamine), 디프로필아민(dipropylamine), 트리메틸아민(trimethyl amine),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트리프로필아민(tripropylamine), 모노메탄올아민(monomethanolamine),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모노프로판올아민(monopropanolamine), 디메탄올아민(dimethanol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 amine), 디프로판올아민(dipropanolamine), 트리메탄올아민(trim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트리프로판올아민(tripropanolamine), 구연산염 버퍼(citrate buffer), 인산염 버퍼(phosphate buffer), 글리신 버퍼(glycine buffer), 초산 버퍼(acetate buffer) 그 밖에 완충액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각각의 성분을 적절하게 적정량 배합한 기초제의 pH 값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초제의 pH가 4∼8, 보다 바람직한 것은 5∼7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착제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교반기 중에서 전술한 성분을 균일하게 배합 및/또는 용해하여, 이것을 비염색 또는 염색한 상기 지지체 상에 펼쳐서 늘이고, 그 위에서 박리지를 접착하고 적절한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것이다. 즉 몸이나 얼굴의 부분적인 곳에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가슴용, 등용, 허리용, 발용, 어깨용, 팔꿈치, 무릎용, 머리용, 손가락용, 손목용, 발목용, 얼굴용, 코용, 눈 밑부분용 등과 같이 목적 부위에 쉽게 적용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제는 보존 중의 오염, 휘발성 물질의 증산 등에 의한 효과의 감소 등을 방지하는 의미로 사용시까지 밀봉성 봉투 또는 용기에 보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부착제에 관하여 실시예 및 시험예에 따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정제수 79.02 wt%, 젤라틴 0.5 wt%, 메틸 파라벤 0.2 wt%, 프로필 파라벤 0.05 wt%, 프로필렌 글리콜 5 wt%, 글리세린 5 wt%,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0.02 wt%, 폴리 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5 wt%, 글리틸산 디칼륨 0.1 wt%, 초산 토코페롤 0.1 wt%, 초산 알루미늄 0.01 wt%, 합성 규산 알루미늄 5 wt%을 균일하게 분산·용해할 때까지 뒤섞었다. 다음에, 이것을 714 gr/㎡의 비율로 형성된 지지체 상에 펼쳐서 늘이고 필름을 접착했다. 그 후, 5 cm × 20 cm로 재단하여 부착제를 얻었다. 이 실시예에서 이용한 지지체는 레이온 : 펄프 = 4 : 6 이다.
(제1 시험예) 지지체 면과 접착제 면을 겹쳐 붙일 경우의 180회 붙였다
떼어내는 접착력 시험(180회 점착력)
시험은 원칙적으로 JISZ0237에 준하는 형태로 행해졌다. 이하에서, 시험 조건에 관하여 나타낸다.
(시험 환경) 실온 23 ± 2℃ (실측 25℃)
상대 습도 50 ± 5 % (실측 55%)
(시료조각)
제품 사이즈 50 mm × 100 mm의 실시예 시료를 50 mm × 125 mm 스테인리스 시험판에 부착하고, 폭 25 mm × 길이 100 mm로 재단한 시료를 겹쳐 첨부한다. 이 때, 폭 25 mm × 길이 100 mm 시료의 한 끝은 폭 25 mm × 길이 100 mm 종이 테이프를 폭 25 mm × 길이 25 mm 면적이 겹쳐지는 모양으로 겹쳐 발랐다. 또한, 압착 장치를 이용하여 압착 속도 300 mm/min(=5 mm/sec) × 1회 왕복의 조건으로 압착하고, 그 뒤 5분 부착했던 것을 측정하였다. 또한, 2회째, 3회째, 4회째의 박리 시험도 같은 시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하여 측정했다. 각 시험을 각각 3회씩 행하고 평균치를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사용 기기) ORIENTEC에서 만든 TENSILON RTA-100
(시험 속도) 300 mm/min

박리회수

180°접착력
(지지체/접착제 간의 접착 강도)

1회째

0.1190 (N)/25mm

2회째

0.1256 (N)/25mm

3회째

0.1218 (N)/25mm

4회째

0.1442 (N)/25mm
(제2 시험예) 제제의 50% 모듈로 계수 시험
시험은 원칙으로 JISZ0237에 준하는 형태로 행해졌다.
실시예의 시료를 이하의 시험 조건으로, 각 시료에 대해 3회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산출했다.
50% 모듈로 계수 장축 방향 126.77 N/25mm
단축 방향 328.17 N/25mm
(시험 환경) 실온 23 ± 2℃(실측 25℃)
상대습도 50 ± 5%(실측 55%)
(시료조각)
제품 사이즈 50 mm × 100 mm을 긴쪽 길이(폭 25 mm × 길이 100 mm), 짧은쪽 길이(폭 25 mm × 50 mm)으로 재단하여 이용했다.
(사용 기기) ORIENTEC가 제조한 TENSILON RTA-100
(초기 시료길이 : 츠카미 간격) 30mm
(시험 속도) 300mm/min
본 발명은 지지체로서 레이온과 펄프의 혼합 섬유로 된 직포 또는 부직포를 이용하고, 이들의 배합 비율을 특정한 비율로 하는 것에 의하여 자기의 지지체 표면과 점착제 층을 겹쳐서 접착할 수 있고, 박리 후 지지체 표면 섬유의 보풀이 작게 일어나고, 점착면에 지지체의 섬유 찌꺼기가 거의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의 점착력이 크게 감소하지 않고, 재부착이 가능한 부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체의 표면상, 즉 점착제 층이 적층된 표면과 반대의 면상에 다른 부착제를 겹쳐서 접착하거나, 동일 부착제를 테이핑하거나 붕대와 같이 감아서 부착해도 피착체로서 지지체 표면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접착할 수 있고, 재부착도 가능하다는 우수한 작용 효과를 이루어 산업상 극히 유용한 것이다.

Claims (12)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이면에 형성된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부착제로서, 상기 지지체는 레이온과 펄프로 된 혼합 섬유이고, 그 배합비는 3 : 7 ∼ 7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비는 4 : 6 ~ 6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점착제 층의 적어도 일부분이 겹쳐서 접착된 부분을 가지는 부착제.
  4. 제3항에 있어서, 겹쳐서 접착된 부분에 있어서 점착제 층이 지지체 표면에 대해 0.01 ∼ 0.5 N/25mm의 점착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
  5. 제1항 있어서, 상기 부착제를 겹쳐서 접착한 후 지지체 표면상에 접착되어 있는 점착제 층을 박리하고, 해당 점착제 층을 해당 지지체 상에 재접착했을 때의 점착력이 박리 전 점착력의 1/2 이상인 부착제.
  6. 제5항에 있어서, 부착제를 겹쳐 접착한 후, 지지체 표면상에 접착되어 있는 점착제 층을 박리하고, 해당 점착제 층을 해당 지지체 상에 재접착했을 때의 점착력이 박리 전 점착력의 2/3 이상인 부착제.
  7. 제6항에 있어서, 부착제를 겹쳐서 접착한 후 지지체 표면상에 접착되어 있는 점착제 층을 박리하고, 해당 점착제 층을 해당 지지체 상에 재접착했을 때의 점착력이 박리 전 점착력의 4/5 이상인 부착제.
  8. 제1항에 있어서, 50% 모듈로 계수가 30 ∼ 500 N/25mm인 부착제.
  9.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 층이 수분을 포함하는 부착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착제를 포함하는 붕대.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착제를 겹쳐 제작한 부착제.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착제를 붕대형으로 제작한 부착제.
KR1020057005801A 2002-10-03 2003-10-03 부착제 KR101015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1717 2002-10-03
JPJP-P-2002-00291717 2002-10-03
JP2003023118A JP4398158B2 (ja) 2002-10-03 2003-01-31 貼付剤
JPJP-P-2003-00023118 2003-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525A KR20050052525A (ko) 2005-06-02
KR101015491B1 true KR101015491B1 (ko) 2011-02-22

Family

ID=3207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801A KR101015491B1 (ko) 2002-10-03 2003-10-03 부착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64242B2 (ko)
JP (1) JP4398158B2 (ko)
KR (1) KR101015491B1 (ko)
CN (1) CN1332654C (ko)
AU (1) AU2003299189A1 (ko)
BR (1) BRPI0314527B8 (ko)
TW (1) TWI317273B (ko)
WO (1) WO2004030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4465B2 (ja) * 2001-06-12 2009-09-02 久光製薬株式会社 シート状貼付剤
JP4274951B2 (ja) * 2004-01-07 2009-06-10 久光製薬株式会社 異型断面繊維を使用した支持体を有するテーピング型貼付剤
US20050180956A1 (en) * 2004-02-18 2005-08-18 Conklin Daniel J. SSAO enzyme substrates for vasorelax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00069813A1 (en) * 2004-07-15 2010-03-18 Crisp William E Wound dressings
TWI279226B (en) * 2004-07-20 2007-04-21 Schoeller Textil Ag Dressings which can be applied several times to textile fibres and textile fabrics
JP5051739B2 (ja) * 2004-09-24 2012-10-17 久光製薬株式会社 トレハロース含有貼付剤
JP4919807B2 (ja) * 2004-11-10 2012-04-18 久光製薬株式会社 外用製剤及び貼付剤
WO2006093066A1 (ja) * 2005-02-28 2006-09-0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粘着基材及び該粘着基材を含む医療用貼付製剤
JP2009518319A (ja) * 2005-12-08 2009-05-07 フェルティン ファルマ 低曲げ強度経皮タバコアルカロイドパッチ
DE102008008537A1 (de) * 2008-02-06 2009-08-13 Beiersdorf Ag Wundversorgungsartikel
US20090208545A1 (en) * 2008-02-20 2009-08-20 Carter-Lyde Nicole B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inal treatment
KR101006455B1 (ko) * 2008-10-22 2011-01-06 양정우 구아바 성분으로 포함하는 경피흡수용 패치제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46264A1 (en) * 2008-11-10 2013-02-21 Nurman Salim Skin patch for absorbing toxins from the body
CN102361639A (zh) * 2009-04-24 2012-02-22 久光制药株式会社 内包贴附剂的包装袋、及贴附剂的保存方法
US8221994B2 (en) * 2009-09-30 2012-07-17 Cilag Gmbh International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in an immunosensor
WO2011136183A1 (ja) * 2010-04-30 2011-11-03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貼付用補助器具
JP5732355B2 (ja) * 2011-09-05 2015-06-10 ピアック株式会社 複合踵用粘着テープ
CN105456523A (zh) * 2014-11-08 2016-04-06 马南行 一种快速修复组织创伤及舒缓敏感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BR112017013255B1 (pt) * 2014-12-22 2022-08-09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Cataplasma
CN105477677A (zh) * 2015-08-12 2016-04-13 孙一然 辣木抗菌创可贴
CN106174850A (zh) * 2016-07-06 2016-12-07 赵小雷 一种具有治疗脚气的休闲保健鞋
CN108969423A (zh) * 2018-08-29 2018-12-11 武汉市拓世检测有限责任公司 一种紧致瘦脸精油
KR102075436B1 (ko) * 2018-11-06 2020-02-12 주식회사 티에스 스포츠 근육 테이프
US20220117792A1 (en) * 2020-10-21 2022-04-21 4B Ventures LLC Gauze for topical application on a target area and a packaging thereof
CN112626909A (zh) * 2020-12-15 2021-04-09 黑龙江边外香农业有限责任公司 一种抗菌防霉环保纸及其制备方法
US20220313565A1 (en) * 2021-04-02 2022-10-06 Jenni Mueller Broad spectrum sunblock transfer film and device
CN114748670B (zh) * 2022-04-11 2023-04-21 武汉诺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非织造止血纱布及其制备方法和应用
FI130411B (en) * 2022-04-12 2023-08-18 Dermeco Oy Adhesive body dressing and method of making an adhesive body dressing
FI20225321A1 (en) * 2022-04-12 2023-10-13 Dermeco Oy Adhesive body bandage and method of making an adhesive body band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764A (ja) 1999-04-26 2000-11-07 Sekisui Chem Co Ltd 通気性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180A (ja) 1983-11-04 1985-06-03 Lion Corp 水性粘着剤組成物
CN1111992A (zh) * 1993-01-03 1995-11-22 贵州三力技术发展有限公司 祛斑美容贴
JPH0812954A (ja) * 1994-06-29 1996-01-16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
JPH08291057A (ja) 1995-02-22 1996-11-05 Yuutoku Yakuhin Kogyo Kk パップ剤
JPH10279473A (ja) 1997-03-31 1998-10-20 Lion Corp フットケア用シート剤
JP2000072619A (ja) 1998-08-26 2000-03-07 Nitto Denko Corp シート状含水パック剤
EP0993936A3 (en) * 1998-10-13 2001-08-08 Nitto Denko Corporation Gel sheet for cosme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362389B1 (en) * 1998-11-20 2002-03-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absorbent structures
JP2001031563A (ja) 1999-07-14 2001-02-06 Cats System:Kk 薬物含有テーピングテープ
JP4324465B2 (ja) * 2001-06-12 2009-09-02 久光製薬株式会社 シート状貼付剤
JP4073231B2 (ja) * 2002-03-28 2008-04-09 久光製薬株式会社 シ−ト状貼付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764A (ja) 1999-04-26 2000-11-07 Sekisui Chem Co Ltd 通気性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7273B (en) 2009-11-21
US20060030801A1 (en) 2006-02-09
US7064242B2 (en) 2006-06-20
JP2004174202A (ja) 2004-06-24
CN1703250A (zh) 2005-11-30
KR20050052525A (ko) 2005-06-02
BRPI0314527B8 (pt) 2021-06-22
JP4398158B2 (ja) 2010-01-13
TW200418433A (en) 2004-10-01
BR0314527A (pt) 2005-07-26
CN1332654C (zh) 2007-08-22
AU2003299189A1 (en) 2004-04-23
WO2004030714A1 (ja) 2004-04-15
BRPI0314527B1 (pt)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491B1 (ko) 부착제
US20040156886A1 (en) Sheet-like patch agent
JP4073231B2 (ja) シ−ト状貼付剤
AU772863B2 (en) Sheet-form adhesive preparation
US20110300198A1 (en) Hydrocolloid - essential oil patches
JP5350575B2 (ja) シート状パック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39451A (ja) 含水系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貼付剤
WO2022125624A1 (en) Highly elastic patches and mask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JP6594937B2 (ja) シート状パック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274951B2 (ja) 異型断面繊維を使用した支持体を有するテーピング型貼付剤
US20230381371A1 (en) Polymer hydrogel with slow-release func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JP4491245B2 (ja) テーピング型貼付剤およびその支持体および支持体の製造方法
JPH06135828A (ja) 経皮吸収性製剤
JP4171305B2 (ja) 水溶性不織布を用いたパック剤
JP2005225805A (ja) 使用時膨潤型シート状貼付剤及び使用時膨潤型シート状貼付剤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