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843B1 -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cgi 흑연주철 - Google Patents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cgi 흑연주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843B1
KR101013843B1 KR1020070114210A KR20070114210A KR101013843B1 KR 101013843 B1 KR101013843 B1 KR 101013843B1 KR 1020070114210 A KR1020070114210 A KR 1020070114210A KR 20070114210 A KR20070114210 A KR 20070114210A KR 101013843 B1 KR101013843 B1 KR 101013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iron
weight
high temperature
cgi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024A (ko
Inventor
신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843B1/ko
Priority to US12/006,313 priority patent/US20090123321A1/en
Publication of KR2009004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04Cast-iron alloys containing spheroidal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06Cast-iron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7/08Cast-iron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10Cast-iron alloys containing aluminium or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percharger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의 사용 조건하에서 우수한 내산화성과 내열 균열성의 효과가 있고, 가열과 냉각 반복과정을 거치는 자동차 엔진의 부품인 터빈하우징 등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철(Fe)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탄소(C) 3.00~3.60 중량%, 규소(Si) 4.00~4.80 중량%, 망간(Mn) 0.10~0.30 중량%, 인(P) 0.07 중량% 이하, 황(S) 0.02 중량% 이하, 몰리브덴(Mo) 0.30~1.20 중량%, 크롬(Cr) 0.01~0.1 중량%, 니켈(Ni) 0.30~1.20 중량%, 바나듐(V) 0.30~1.20 중량%, 티탄(Ti) 0.2중량% 이하, 마그네슘(Mg) 0.050 중량% 이하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을 제공한다.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

Description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High Strength and High Oxidation Resist Hi Silicon Ferritic CGI Cast Iron}
본 발명은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의 사용 조건하에서 우수한 내산화성과 내열 균열성의 효과가 있고, 가열과 냉각 반복과정을 거치는 자동차 엔진의 부품인 터빈하우징 등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계적물성(인장강도)를 용이하계 확보하기 위해 구상흑연 주철 베이스(BASE)에서 마그네슘 접종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CGI주철을 제조하는데 이를 위해 정밀한 제어 장치, 인과 황의 함량이 낮은 고급자재를 사용하고도, 조건변화에 민감하여 재질 불량 및 주조불량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재질은 규소를 약 4.5~5.5 wt% , 니켈을 30~40wt% 함유하는 고 니켈 오스테나이트 구상흑연주철로 주조성이 좋지 않고, 제조 원가가 고가이고 또 한 절삭성도 좋치 않기 때문에 비용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한편, 내열 구상흑연주철 재질도 사용되고 있으나 고온강도가 부족하여 저배기량 차종에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흑연 형태를 구상에서 컴팩트 흑연으로 비꾸고 Fe에 C, Si,, Mn, Mo, V, Ni, Cr, Ti 및 Mg의 한계값을 규정하고, 이 조성으로 이루어진 페라이트계 CGI흑연주철을 제조하였으며, 이 재질에 고온에서의 내열성 및 고온 물성 등 우수함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에서 사용되는 자동차 부품인 터빈하우징 합금의 구성 성분을 조정하고, 흑연의 형태는 컴팩트 흑연을 60% 이상, 그외는 구상흑연, Si의 양을 4.0% 이상, 또한 Mo, V의 정출 탄화물을 일정양 분해시켜, 이들 원소의 편석없이 이들 원소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고온 내산화성과 고온강도를 증대시켜, 고온강도와 고온내열 특성이 우수한 자동차 부품인 터빈하우징에 적용할 수 있는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Fe)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탄소(C) 3.00~3.60 중량%, 규소(Si) 4.00~4.80 중량%, 망간(Mn) 0.10~0.30 중량%, 인(P) 0.07 중량% 이하, 황(S) 0.02 중량% 이하, 몰리브덴(Mo) 0.30~1.20 중량%, 크롬(Cr) 0.01~0.10 중량%, 티탄(Ti) 0.2중량% 이하, 니켈(Ni) 0.3~1.20 중량%, 바나듐(V) 0.30~1.20 중량%, 마그네슘(Mg) 0.050 중량% 이하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은 기존의 내열 구상흑연 주철과 비교하여 고온특성, 고온 내산화성 등의 물성이 월등하게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물성의 향상과 더불어서 가격도 저렴한 실용적인 터빈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합금재료는 터보차저의 터빈하우징에 적용시 고온강도와 고온내열특성을 증대시켜 기존 고 니켈 주철재질을 대체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고 규소 페라이트 CGI 흑연주철 재료는 고온에서의 내산화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고온 인장강도 등의 고온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터보차저의 터빈 하우징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 규소 페라이트 CGI 흑연주철은 컴팩트 흑연에 페라이트 기지조직을 나타내며, 화학성분 중 Si, Mo, V, Ni, Cr가 첨가되어 고온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으로서, 철(Fe)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탄소(C) 3.00~3.60 중량%, 규소(Si) 4.00~4.80 중량%, 망간(Mn) 0.10~0.30 중량%, 인(P) 0.07 중량% 이하, 황(S) 0.02 중량% 이하, 몰리브덴(Mo) 0.30~1.20 중량%, 크롬(Cr) 0.01~0.10 중량%, 티탄(Ti) 0.2중량% 이하, 니켈(Ni) 0.3~1.20 중량%, 바나듐(V) 0.30~1.20 중량%, 마그네슘(Mg) 0.050 중량% 이하가 함유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Compact Graphite Cast Iron)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CGI 흑연주철의 각 성분에 대한 첨가 및 함량비 한정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탄소(C) 3.00~3.60 중량%
유동성 저하 및 초정 흑연 정출을 고려해서, 3.00~3.60 중량%로 제한한다.
(2) 규소(Si) 4.00~4.80 중량%
규소는 흑연 정출에 기여하는 원소로서, 기지의 페라이트화 작용, 내산화성 향상 및 페라이트에서 오스테나이트 변태 상승 효과, 주조시 용탕흐름 및 절삭성을 고려해서, 그 함량을 4.00~4.80 중량%로 제한하며, 그 이유는 4.00 중량% 이하에서는 고온 내산화성이 저하되고 4.80 중량% 이상에서는 개발재의 재질이 경해져서 취성을 유발하기 때문에 제한을 둔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산화성 향상에는 산화 피막과 기지와의 계면에 밀접한 Fe2SiO4 을 많이 생성시키는 것이 유리하여 본 재료에는 규소를 4.00중량% 이상을 첨가시켰는 바, 일반적으로 Si은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내산화성 향상 이외에도 페라이트에서 오스테나이트 변태 온도를 올리는 원소이지만 Si 양이 4.80중량%를 초과하면 페라이트 경도가 높아져 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흑연주철 재료는 내산화성 향상과 연성 저하를 막기 위해 그 첨가량을 제한하였다.
(3) 망간(Mn) 0.10~0.30 중량%
망간은 공정셀 경계에 편석해서 이 부분에 대한 페라이트에서 오스테나이트 변태 온도를 낮춰 열균열 수명을 저하시키므로 0.10~0.30 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인(P) 0.07 중량% 이하
인은 일종의 불순물로서, 스테다이트를 형성시키므로 0.07 중량%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황(S) 0.02 중량% 이하
황은 일종의 불순물로서, 흑연구상화에 유해하므로 0.02 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몰리브덴(Mo) 0.30~1.20 중량%
몰리브덴은 탄소와 화합해서 석출 탄화물을 형성하고, 평균 열팽창 계수가 낮아져서 고온영역에서 열 응력 발생을 낮게 해서 고온 강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다량 첨가시 입계 탄화물이 증가해 절삭성 및 상온 연신율 저하시키므로 0.30~1.20 중량%로 제한한다.
몰리브덴(Mo) 첨가 효과로서 페라이트에 고용강화의 효과로 고온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7) 크롬(Cr) 0.01~0.10 중량%
크롬은 Cr계 산화물을 형성하여 내산화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0.01~0.10중량% 이하로 한정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첨가시 절삭성이 저하된다.
(8) 니켈(Ni) 0.30~1.20 중량%
니켈은 상온 연신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시켰고, 0.30~1.20 중량%의 범위를 벗어나면 기지의 퍼얼라이트화가 강하게 나타나므로 1.2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함.
(9) 바나듐(V) 0.30~1.20 중량%
바나듐은 고온강도 개선 효과(VC에 의한 석출강화)를 얻을 수 있는 원소로서, 0.30~1.20 중량%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20 중량% 이상 첨가하면 탈탄반응이 촉진되어 내산화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은 바나듐(V) 첨가에 의해 기지에 바나듐계 탄화물(VC)이 형성되어 있는 조직이고, 이들 조직이 고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 티탄(Ti) 0.2중량% 이하
티탄(Ti)의 경우, 흑연의 형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0.2중량% 이하가 바람 직하다.
(11) 마그네슘(Mg) 0.050 중량%
마그네슘은 CGI 흑연 핵생성 및 성장 촉진을 위하여 첨가되며, 흑연구상화 및 수축불량을 감안하여 0.050 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조성의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 재료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통상적인 주조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은 고온용 주철합금 소재로서 우수한 내열특성과 내산화성을 나타내므로, 고출력 엔진의 터보차저의 터빈 하우징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로서,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Fe)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탄소(C) 3.13 중량%, 규소(Si) 4.30 중량%, 망간(Mn) 0.20 중량%, 인(P) 0.05 중량%, 황(S) 0.01 중량%, 몰리브덴(Mo) 1.20 중량%, 크롬(Cr) 0.08 중량%, 니켈(Ni) 0.66 중량%, 바나듐(V) 0.50 중량%, 티탄(Ti) 0.2중량%, 마그네슘(Mg) 0.03 중량%가 함유된 조성으로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주조 방식으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빈 하우징 재질로 사용되고 있는 내열 구상흑연 주철재로서, 철(Fe)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탄소(C) 3.31 중량%, 규소(Si) 4.16 중량%, 망간(Mn) 0.32 중량%, 인(P) 0.048 중량%, 황(S) 0.03 중량%, 몰리브덴(Mo) 0.65 중량%, 크롬(Cr) 0.02 중량%, 니켈(Ni) 0.03 중량%, 마그네슘(Mg) 0.026 중량%가 함유된 조성으로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주조 방식으로 내열 구상흑연 주철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Figure 112007080528543-pat00001
시험예
시험예로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대하여 고온인장 및 고온산화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고온인장 실험 결과, 가혹한 내구 모드인 재질 표면온도 800℃에서 통상의 장비를 이용하여 고온 인장강도 시험을 하였는 바, 그 결과는 도 1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고온 인장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Mo첨가에 의한 고용강화 효과로 고온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또한 V첨가에 의해 VC의 석출 강화의 효과로 고온강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의 복합첨가에 의해 고온 강도는 상승효과가 더 클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온산화 시험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시편을 가로 20mm , 세로 20mm, 높이 2mm의 정사각형의 시험편으로 제작하여, 시험편을 분위기 온도 700℃ 가열 보온로에서 300시간 유지한 후 시편을 가열 보온로 꺼내 공기 중에 냉각시킨 후에 쇼트 브러스트 처리를 해서 산화스케일을 제거한 후, 산화시험 전후의 단위 면적당 질량 변화 즉 산화감량(g/㎟)을 구하여 평가하였는 바, 그 결과는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다.
고온산화 시험결과, 실시예가 가장 낮은 산화 감량을 보인 이유는 Si 함량에 따른 내산화성 향상에는 산화 피막과 기지와의 계면에 밀접한 Fe2SiO4을 많이 생성시키는 것이 유리하였기 때문이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대한 고온 인장강도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대한 고온산화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Claims (1)

  1. 탄소(C) 3.00~3.60 중량%, 규소(Si) 4.00~4.80 중량%, 망간(Mn) 0.10~0.30 중량%, 인(P) 0.07~0.05 중량%, 황(S) 0.02~0.01 중량%, 몰리브덴(Mo) 0.30~1.20 중량%, 크롬(Cr) 0.01~0.10 중량%, 티탄(Ti) 0.2 중량%, 니켈(Ni) 0.3~1.20 중량%, 바나듐(V) 0.30~1.20 중량%, 마그네슘(Mg) 0.050~0.03 중량%가 함유되고, 잔부는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CGI 흑연주철.
KR1020070114210A 2007-11-09 2007-11-09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cgi 흑연주철 KR101013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210A KR101013843B1 (ko) 2007-11-09 2007-11-09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cgi 흑연주철
US12/006,313 US20090123321A1 (en) 2007-11-09 2007-12-31 High-silicon ferritic compacted graphite cast iron having high-temperature strength and high oxidation-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210A KR101013843B1 (ko) 2007-11-09 2007-11-09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cgi 흑연주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024A KR20090048024A (ko) 2009-05-13
KR101013843B1 true KR101013843B1 (ko) 2011-02-14

Family

ID=4062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210A KR101013843B1 (ko) 2007-11-09 2007-11-09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cgi 흑연주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23321A1 (ko)
KR (1) KR101013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813A1 (en) * 2009-06-23 2010-12-23 General Electric Company SiMo DUCTILE IRON CASTINGS IN GAS TURBINE APPLICATIONS
DE102010045523A1 (de) * 2010-09-15 2012-03-15 Hilde Schlögl Kupplungsanordnung sowie Kupplungsstück
JP6090905B2 (ja) * 2012-11-26 2017-03-0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高温延性と高温クリープ破断寿命に優れた球状黒鉛鋳鉄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587588B2 (en) 2013-07-03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 inlet axial automotive turbine
CN104328333A (zh) * 2014-10-13 2015-02-04 无锡科博增压器有限公司 增压器涡轮壳
KR101673779B1 (ko) * 2015-06-10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열주철
US11859270B2 (en) 2016-09-12 2024-01-02 Snam Alloys Pvt Ltd Non-magnesium process to produce compacted graphite iron (CGI)
BR102020019029A2 (pt) 2020-09-23 2022-03-29 Tupy S.A. Liga de ferro fundido vermicular, bloco e cabeçote de motor de combustão
CN113667886A (zh) * 2021-08-20 2021-11-19 天津昌昊实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韧性低温球墨铸铁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242A (ja) 1983-04-19 1984-11-01 Mitsubishi Heavy Ind Ltd 高珪素球状黒鉛鋳鉄
KR20000041083A (ko) * 1998-12-21 2000-07-15 이구택 연성 및 강도 특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구상흑연주철재의 제조방법
KR20000043687A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내열용 구상흑연주철재 및 그 열처리방법
JP2002371335A (ja) 2001-06-19 2002-12-26 Aisin Takaoka Ltd 耐酸化性に優れた排気系部品用の耐熱球状黒鉛鋳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278A (en) * 1981-10-06 1988-08-30 Enderlein Jr Emmanuel X Boat propeller
DE3147461C2 (de) * 1981-12-01 1983-10-13 Goetze Ag, 5093 Burscheid Verschleißfeste Gußeisenlegierung hoher Festigkeit mit sphärolithischer Graphitausscheidung, ihr Herstellungsverfahren und ihre Verwendung
US4484953A (en) * 1983-01-24 1984-11-27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making ductile cast iron with improved streng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242A (ja) 1983-04-19 1984-11-01 Mitsubishi Heavy Ind Ltd 高珪素球状黒鉛鋳鉄
KR20000041083A (ko) * 1998-12-21 2000-07-15 이구택 연성 및 강도 특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구상흑연주철재의 제조방법
KR20000043687A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내열용 구상흑연주철재 및 그 열처리방법
JP2002371335A (ja) 2001-06-19 2002-12-26 Aisin Takaoka Ltd 耐酸化性に優れた排気系部品用の耐熱球状黒鉛鋳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3321A1 (en) 2009-05-14
KR20090048024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843B1 (ko)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cgi 흑연주철
JP5232620B2 (ja) 球状黒鉛鋳鉄
JP6079641B2 (ja) 強度及び靭性に優れた球状黒鉛鋳鉄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37086B1 (ko) 지열 발전 터빈 로터용 저합금강 및 지열 발전 터빈 로터용 저합금 물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107012366A (zh) Co 基合金锻造部件
WO2010125841A1 (ja) フェライト系耐熱鋳鋼および排気系部品
JP4825886B2 (ja) フェライト系球状黒鉛鋳鉄
JP4222705B2 (ja) 高純度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および高純度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の製造方法
KR20080035160A (ko) 고온 강도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고 규소 페라이트계 내열주철
CN109355581A (zh) 一种汽轮机叶片和螺栓用耐热钢
JP2542753B2 (ja) 高温強度の優れたオ―ステナイト系耐熱鋳鋼製排気系部品
KR101723174B1 (ko) 우수한 내마멸성, 내산화성 및 강도를 가지는 고크롬계 백주철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JP3730044B2 (ja) 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材
JP6481692B2 (ja) 熱疲労特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鋳鋼及びそれからなる排気系部品
CN112853155A (zh) 具有优异高温耐腐蚀性和抗蠕变性的高铝奥氏体合金
JP3821310B2 (ja) 耐熱球状黒鉛鋳鉄
KR20150106624A (ko) 내열 구상흑연주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배기계
JP4233056B1 (ja) 球状黒鉛鋳鉄及びその製造方法
EP0109040B1 (en) Heat-resisting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KR101438825B1 (ko) 페라이트계 구상흑연 주철재
JPH03146637A (ja) 鋳鉄及びその改質方法
JP6670779B2 (ja) 球状黒鉛鋳鉄及び排気系部品
JP3700977B2 (ja) 安価で、鋳造性、高温強度、耐酸化性の良好な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鋳鋼及びそれからなる排気系部品
JP5475380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鋳鉄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オーステナイト系鋳鉄鋳物
KR102135185B1 (ko) 상온 및 고온 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