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290B1 -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290B1
KR101012290B1 KR1020100082814A KR20100082814A KR101012290B1 KR 101012290 B1 KR101012290 B1 KR 101012290B1 KR 1020100082814 A KR1020100082814 A KR 1020100082814A KR 20100082814 A KR20100082814 A KR 20100082814A KR 101012290 B1 KR101012290 B1 KR 10101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ontainer
medium
ventilation
orna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천
Original Assignee
김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천 filed Critical 김낙천
Priority to KR102010008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관상용 또는 교육용 버섯 재배가 가능한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는, 배지 및 균종을 수용하기 위한 생육 공간이 확보되며, 상측이 개구된 소정 형상의 중공형 구조로서 상측 면에 근접 또는 연장되어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구를 포함하며, 관상용 또는 학습용 관찰을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적재용기; 상기 적재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배지 및 균종을 가압 유지하며, 상기 배지 및 균종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용수를 적재하고, 상기 균종 배양 시 배지의 수분 조절용 통풍구가 마련되도록 돌출 성형된 융기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균종 배양 시 상기 통풍구를 차단하고, 생육 시 이를 개방시키기 위한 발육 스티커; 및 상기 적재용기의 개구면을 개폐하기 위한 밀착면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환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환기용 게이트가 형성된 인입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환기구 및 게이트 간 위치 설정을 통해 환기량 조절을 수행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섯으로 새로운 웰빙 트랜드를 사업화함으로써 이용자의 건강한 삶의 유지와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CONTAINER FOR CULTIVATING ORNAMENTAL MUSHROOM,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CULTURE MEDIUM AND MYCETOMA APPLIED OF THE CONTAINER, MEHTOD FOR CULTIVATING ORNAMENTAL MUSHROO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버섯 재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상용 또는 학습용 버섯 재배가 가능한 버섯재배 용기와, 이를 이용하여 각종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느타리버섯(Pleurotus spp.)은 담자균강(Basidi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ales), 느타리버섯과(Pleaurotacea)에 속하는 사물기생균으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느타리 속은 많은 식용버섯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에서 식용버섯으로 재배되고 있는 느타리 종들은, 생산량이 가장 많은 일반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큰느타리(P. eryngii), 여름철 고온기에 재배가 적합한 사철느타리(P. florida), 여름느타리(P. sajor - caju), 갓 색이 다양한 분홍느타리(P. salmoneo - stramineus), 노랑느타리(P. citrinopileatus) 등이 있다.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은 초기 자연기후에 의존하는 버드나무, 뽕나무 등의 원목재배를 거쳐 볏짚과 폐면을 이용한 균상재배로 발전하여 왔으며, 2000년부터 병재배, 봉지재배의 자동화 재배 형태의 증가와 더불어 대규모 기업형 농가가 늘고 있으며, 시설화 및 자동화에 따른 국내 일반 느타리버섯의 생산 농가수는 4,120호로 전체 재배농가의 63%를 차지하며, 생산량은 45천 톤으로 전체 버섯생산량의 32%로(농림부, 2006)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느타리버섯은 품질의 규격화 및 공급의 안정화로 소비가 증가하였으며, 포장 및 유통차별화로 부가가치를 향상 시키고 있지만 경기침체와 대량 생산으로 인한 버섯가격의 하락과 버섯 배지 재료 값의 상승으로 버섯재배 농가는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근래에는 시장 판로 개척의 일환으로 관상용 또는 교육용 버섯 재배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나, 버섯의 재배환경 요소를 충족시키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버섯의 균사는 일반적으로 5 ~ 40℃ 사이에서 발육하며, 10 ~ 20℃가 가장 적당한 온도이다. 따라서, 자실체 형성에 적당한 온도는 10 ~ 20℃의 저온이며, 또한 균사 발육기에는 65 ~ 80%의 상대습도가 적당하고, 자실체 발생에는 80 ~95%의 습기와 많은 수분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버섯재배를 위한 환경 조건은 관상용 또는 교육용 버섯 재배 시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단가 절감에 악영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버섯 균의 특성상 그 배양 소요일이 다르나 통상 20일 내지 30일 이내에 배양이 완료되기 때문에, 상품의 유통 기한이 짧아져 상품 판매에 많은 어려움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 재배 용기의 구조 및 형상을 다양화하여 구매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 폭을 넓혀 판매촉진을 유도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섯 균 배양의 배양 과정과 생육의 생육 환경조성의 체험에 적합하며, 버섯 생육을 관찰하기에 용이하고, 버섯의 생육을 위한 습도와 환기조건을 적절히 제공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섯의 재배과정을 직접 체험하며 배지에서 버섯균사가 자라는 배양 과정과 자실체가 생성되는 과정과 버섯이 성장하는 과정에서의 온도와 습도 조절 환기량을 조절하여 직접 체험하며 수확까지의 생태를 관찰하는 학습 관상용 버섯 재배 키트로써 버섯 재배용기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된 배지와 균종을 설정된 용량에 따라 분리 포장하고, 버섯 재배 시 해당 버섯 재배용기 내에서 배지와 균종을 접종하도록 함에 따라, 관상용 버섯 재배 키트의 유통 기한을 높여 판매망 확대를 유도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기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는,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구조에 있어서, 배지 및 균종을 수용하기 위한 생육 공간이 확보되며, 상측이 개구된 소정 형상의 중공형 구조로서 상측 면에 근접 또는 연장되어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구를 포함하며, 관상용 또는 학습용 관찰을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적재용기; 상기 적재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배지 및 균종을 가압 유지하며, 버섯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용수를 적재하고, 상기 버섯 생육 시 환기 조절용 통풍구가 마련되도록 돌출 성형된 융기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균종 배양 시 상기 통풍구를 차단하고, 생육 시 이를 개방시키기 위한 발육 스티커; 및 상기 적재용기의 개구면을 개폐하기 위한 밀착면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환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환기용 게이트가 형성된 인입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환기구 및 게이트 간 위치 설정을 통해 환기량 조절을 수행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버섯 재배를 위한 배지 및 균종 양산 방법은, a) 발효기에 면실피, 비트펄프, 면실박, 포플러톱밥, 미강 및 물을 20~30 : 1~4 : 0.5~5 : 1~7 : 0.5~5 : 30~5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b) 보일러 스팀을 주입하여 발효기 온도가 60 ~ 65℃에 도달될 때까지 공기를 주입하면서 발효기를 80 내지 100 rpm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c) 공기량과 발효기의 회전수를 줄여 발효기의 온도를 20 ~ 25℃로 냉각시켜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배지를 일정 용량으로 분배하여 차양막이 도포된 봉지에 밀봉하는 단계; e) 버섯균종을 분양받아 상기 배지의 분배용량 대비 10 내지 20% 중량으로 분배하는 단계; f) 상기 버섯균종을 차양막이 도포된 봉지에 압착 포장하는 단계; 및 g) 상기 배지 및 버섯균종이 적재된 각각의 봉지를 일체화된 봉지에 적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은, a) 상기 배지가 밀봉된 봉지를 개봉하여 상기 적재용기 저면에 배지를 적재하는 단계; b) 상기 균종이 포장된 봉지를 개봉하여 상기 배지 위에 균종을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융기부가 상향 되게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적재용기의 개구면을 따라 가압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융기부의 상단 면에 발육 스티커를 부착시키는 단계; e) 상기 커버를 적재용기의 개구면으로 끼움 결합하되, 상기 게이트와 환기구가 대향 되지 않도록 상기 적재용기를 밀폐시키는 단계; f) 소정 기간 동안의 배양이 종료된 후 버섯이 발생되면, 상기 발육 스티커를 제거하고, 상기 트레이에 용수를 공급하는 단계; 및 g)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게이트와 적재용기를 대향시켜 환기량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은, 버섯으로 새로운 웰빙 트랜드를 사업화함으로써 건강한 삶의 유지와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화려한 관상용 소재로서의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어 생활의 여유와 취미생활의 다양화에 따른 국민 건강보조와 가정 환경미화 등의 효과를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의 환기구 구조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효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과, 살균 배지의 양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를 이용한 버섯 배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6의 1차 배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얻어진 결과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a, 9b는 본 발명에 따른 발육 스티커의 부착 여부에 따른 버섯의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c, 9d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의 장착 여부에 따른 버섯의 생육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및 균종을 수용하기 위한 생육 공간이 확보되며, 상측이 개구된 소정 형상의 중공형 구조로서 상측 면에 근접 또는 연장되어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구(103)를 포함하며, 관상용 또는 학습용 관찰을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적재용기(101)와, 상기 적재용기(101)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배지 및 균종을 가압 유지하며, 버섯 생육 시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용수를 적재하고, 상기 버섯 생육 시 환기용 통풍구(117)가 마련되도록 돌출 성형된 융기부(113)를 포함하는 트레이(111)와, 상기 균종 배양 시 상기 통풍구(117)를 차단하고, 생육 시 이를 개방시키기 위한 발육 스티커(131)와, 상기 적재용기(101)의 개구면을 개폐하기 위한 밀착면(127)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환기구(103)와 대응하는 위치에 환기용 게이트(125)가 형성된 인입 가이드(123)를 형성하여, 상기 환기구(103) 및 게이트(125) 간 위치 설정을 통해 환기량 조절을 수행하는 커버(121)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111)는 적재용기(101)의 내부로 인입 설치 시, 적재용기(101)의 내주 면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용수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트레이(111)의 외주 면상에서 연장되는 가이드(115)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부(113)의 종단면에는 상기 발육 스티커(131)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접착면(119)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버섯 재배용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써 버섯의 생육 과정 시 관찰이 용이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무색 투명의 폴리비닐(PV), 폴리에스틸렌 수지(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올레핀(P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수지 등의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유리 재질을 사용하여 관상용품의 질적 향상을 유도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환기구(103) 및 게이트(125)는 서로 동일하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천공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도 2a와 같이 환기구(103)는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125)는 다수 개의 원형 구조를 갖도록 천공될 수 있으며, 도 2b와 같이 상기 환기구(103)는 다수 개의 원형 구조를 갖도록 천공되고, 게이트(125)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환기구(103)의 위치는 상기 적재용기(101)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적재용기(101)의 중앙 위치에 창문 형태로 구현되어, 버섯 생육 과정에서 환기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각인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121)의 회전 결합에 의해 게이트(125)와 환기구(103)의 교차 면적이 가변 되어, 결국 환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주지된 바와 같이, 습도 조절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습도 조절은 환기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봄 철에는 높은 공중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환기를 억제해야 하고, 여름 철에는 적절한 환기를 통해 건조현상을 방지해야 하며, 가을 철에는 용기 내의 온도 유지를 위해 환기를 억제해야 한다. 즉, 가을철의 잦은 환기는 용기 내의 건조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버섯 생장이 정지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버섯 재배용기 내의 환기는 버섯 생육 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환기의 조절 가능 범위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환기구(103)는 대향 되도록 두 곳에 구성되고, 그 길이는 적재용기(101)의 상측 면에 형성된 개구면의 원주 또는 길이의 1/4 이내에서 적절한 크기로 천공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환기구(103)의 높이 또는 크기는 상기 커버(121)의 인입 가이드(123)의 높이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적재용기(101)는 사각형 구조를 형성하나, 다각형 예컨대 삼각형, 5각형, 8각형 등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적재용기(101)는 일 측면에 소정 크기의 환기구(103)를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적재용기(101) 내부로 인입 설치되는 트레이(111) 또한 적재용기(101)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사각형 구조를 가지며, 트레이(111)의 중앙 위치에는 통풍구(117)를 구비한 융기부(113)가 마련된다. 상기 융기부(113)는 트레이(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거나, 제1 실시 예에서 도시된 원형 구조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트레이(111)의 외주면에는 가이드(115)가 연장 성형되고, 상기 융기부(113)의 종단부에는 발육 스티커(131)가 탈부착 되기 위한 접착면(119)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커버(121)는 적재용기(10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적재용기(101)의 개구면으로 끼움결합 된다. 상기 커버(121)는 적재용기(101)의 개구면을 개폐하기 위한 밀착면(127)을 포함하여, 적재용기(101)의 환기구(103)를 충분히 밀폐하도록 연장된 인입 가이드(123)를 형성한다. 상기 인입 가이드(123)는 각 측면에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천공된 게이트(125)를 형성하며, 커버(121)의 밀폐 시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형성된 게이트(125)와 환기구(103)가 대향 되면, 이로부터 어느 하나의 게이트(125)에 의해 환기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21)와 적재용기(101) 간 결합 방향에 따라 환기 용량이 결정된다. 즉, 상기 게이트(125)가 인입 가이드(123)의 네 개 면상에서 형성될 때, 게이트의 갯 수를 증가하도록 설계 예컨대, '0' 내지 '3'개의 게이트(125)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버섯 재배용기 내의 환기량을 높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커버(121)를 분리한 후, 게이트(125)의 갯 수가 많은 커버(121) 측면이 적재용기(101)의 환기구(103) 방향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 나타낸 적재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적용되는 적재용기(101)는 유리 재질로 구성된 병(Bottle)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적재용기(101) 또한 상측 면이 개구되고, 개구면에 근접 또는 연장되도록 환기구(103)가 마련된다.
상기 개구면을 개폐하는 커버(121)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임의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커버(121)를 형성하는 밀착면(127) 및 인입 가이드(123)를 포함한다. 상기 인입 가이드(123)의 일측에는 상기 환기구(103)와 대응되도록 게이트(125)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1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환기구(103)와 게이트(125)가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적재용기(101)의 환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111)는 컬러에 관계없이 연성 재질로서 사출되며, 상기 개구면을 통해 적재용기(101) 내부로 인입시켜 설치한다. 상기 개구면의 직경이 트레이(111)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트레이(111)를 휘어 상기 개구면으로 인입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 개구면이 트레이의 직경보다 크도록 설계하여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면, 전술된 버섯 재배용기에 적재되는 버섯 배지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지는 발효 배지로써 도 5a에 도시된 배지제조 방법에 따라 양산된다. 이러한 발효 배지는 포플러톱밥, 참나무톱밥, 볏짚, 콘 코브, 사탕수수 박, 미강, 면실 피, 면실박, 현미, 번데기 등 매우 다양한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재배가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면실피, 비트펄프, 면실박, 포플러톱밥, 미강 및 물을 적정량 혼합하여 제조한다.
즉, S501 단계에서와 같이 면실피, 비트펄프, 면실박, 포플러톱밥, 미강 및 물의 중량비율이 (20 ~ 30) : (1 ~ 4) : (0.5 ~ 5) : (1 ~ 7) : (0.5 ~ 5) : (30 ~ 50)이며, 바람직하게는 25 : 1.5 : 1.8 : 2.8 : 1 : 38이 되도록 혼합한다. 예컨대, 4t 용량의 발효기에 면실피 2,500㎏, 비트펄프 150㎏, 면실박 180㎏, 포플러톱밥 280㎏(14포대), 미강 100㎏, 물 3,800㎏을 넣고 혼합하는 것이다.
이후, S503 단계에서 스팀 보일러를 사용하여 40분간 스팀을 주입하여 발열 초기온도를 상승시키며, 발효기의 온도가 60 ~ 65℃에 도달될 때까지 공기를 주입하면서 발효기를 80 내지 100 rpm 바람직하게는 90 RPM으로 회전시킨다. S505 단계에서 발효기 내부의 온도가 60 ~ 65℃임으로 판단되면, S507 단계와 같이 발효기의 회전수를 60 rpm으로 줄이고, 발효기 내부의 온도를 55 ~ 60℃로 줄인 후, S509 단계에서 공기량과 발효기의 회전수를 줄여 30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발효기의 온도를 20 ~ 25℃로 냉각시켜 배지를 제조한다.
S511 단계로 진입하여, 대용량의 배지가 완성되면 분배기를 이용하여 일정 용량 예컨대, 500g 씩 배지를 분배하여 차양막이 도포된 봉지에 투입한다. 이는 봉지 내면에 은(Ag) 성분을 증착시키는 것으로, 배지가 적재된 봉지 내부에서 불필요한 미생물이 배양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배지가 적재된 봉지는 압착 포장되며, 압착 포장된 배지는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S513 단계에서는 분양된 균주에 대한 균종 포장이 이루어진다. 균종은 식용 버섯인 느타리(노랑느타리, 분홍느타리, 미소느타리, 수한 등), 새송이, 양송이, 표고, 팽이버섯 등이 가능하고, 식약용버섯인 노루궁뎅이, 꽃송이, 아가리쿠스, 잎새버섯 등이 가능하며, 약용버섯으로서 운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중 어느 하나이며, 포장 용량은 상기 배지 용량의 1 내지 20 중량%가 적절할 것이다. 상기 균주에 대한 균종의 포장은 차양막이 도포된 봉지가 사용되며, 압착 포장된다. 물론, 진공 압착을 통해 균주의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배지 및 균주는 각각의 낱개 포장이 이루어진 후, 상기 버섯 재배용기에 적재시켜 관상용 버섯 재배 키트(KIT)가 완성된다.
또한, 전술된 과정은 발효 배지를 제조생산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살균 배지를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살균 배지가 사용되고자 할 경우, S521 단계에서 살균배지의 배지재료를 혼합한다. 상기 배지재료는 톱밥, 비트펄프, 면실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율은 50 : 30 : 20이 적절하다. 그러나, 배지재료의 혼합 시기 예컨대, 계절에 따른 온도, 습도에 상관하여 그 비율이 다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톱밥, 비트펄프, 면실박의 혼합 비율은 40 ~ 60 : 20 ~ 40 : 10 ~ 30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S523 단계로 진입하여 배지의 수분을 조절한다. 수분량은 65 ~ 75%이며, 이는 혼합 배지 내의 수분 함량이다. 이러한 수분이 적절히 유지될 때, S525 단계와 같이 입병 한다. 입병은 소정 용량의 병 또는 봉지에 적재한 후 밀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배지량은 950cc 병에 650 ± 100g 정도가 적절하다. 입병 또는 입봉이 완료되면, S527 단계에서 살균을 수행하는데, 이는 살균기를 이용하여 상압살균 100도씨에서 5시간 내지 고압살균 121도에서 90분간 실시한다. 이후, 살균이 완료되면, 배지를 냉각실로 이동시켜 1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5℃까지 냉각시킨다.
그리고 S529 단계는 접종 과정으로, 본 과정에서 분홍느타리, 노랑느타리, 미소느타리, 수한 중 어느 하나의 균종을 접종한다. 균종은 무균상에서 20g씩 접종하며, 접종된 배지는 S531 단계와 같이 소정 기간 배양되는데, 배양 온도는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20℃이고, 습도는 60 ~ 70 ± 5% 조건을 갖도록 하며 배양 기간은 20일 내지 30일 동안 배양한다.
이후 S533 단계에 진입하여, 입병된 상태에서 배양된 배지를 추출하여 소정 크기로 혼합 분쇄하고, S535 단계와 같이 일정량씩 포장한다. 포장은 전술된 바와 같이, 차양막이 도포된 포장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살균된 후 진공포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전술된 버섯 재배 키트 즉, 버섯 재배용기 및 정량 포장된 배지, 균주를 이용한 버섯 생육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섯 생육은 전술된 관상용 버섯 재배용기를 이용하며, S601 단계에서 상기 적재용기(101) 저면에 배지를 적재한다. 상기 배지를 수용하고 있는 봉지를 개봉하여 적재용기(101)에 투입하는 것으로, 청결한 상태에서 배지를 가볍게 다진다. 사용자는 1회용 비닐장갑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재용기(101)의 내측 면에 배지가 묻지 않도록 한다. 이때, 다져진 배지의 상단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데, 구멍은 배지의 상단에서 적재용기(101)의 저면에 이르도록 하여, 추후 균종과의 접종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배지에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배양 시 호흡열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키트에서는 소정 크기의 나무막대가 제공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상기 균종이 포장된 봉지를 개봉하여 상기 배지 위에 균종을 적층시킴으로써, 균종을 배지에 접종한다. 이때, 상기 배지 및 균종은 밀봉된 포장용지로부터 개봉된 후 접종함에 따라, 균종의 생존 기한 이내에 접종이 이루어져야 한다. 접종의 생존 기한은 균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균종의 포장 봉지에 기재된 접종 기한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S601 단계 및 S603 단계는 발효 배지를 적재 및 접종하기 위한 절차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살균 배지가 적용될 경우, S601' 단계와 같이 적재용기(101)에 살균 배지를 적재하는 과정을 갖는다. 살균 배지는 이미 균종과 배지가 접정된 상태로서 전술된 봉지에 밀봉 포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밀봉 포장을 개봉하여 적재용기(101)에 적재한 후, S607 단계에서 트레이(111)를 설치한다.
즉 S607 단계로 진입하여,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111)를 설치한다. 상기 트레이(111)는 융기부(113)가 상향 즉, 적재용기(101)의 개구면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트레이(111)는 적재용기(101)의 내주 면을 따라 인입 설치되며, 가이드(115)는 적재용기(101)의 내주 면에 밀착된다. 균사는 매우 작은 미생물로서 상기 가이드(115)와 적재용기(101) 사이의 공간이 생길 경우, 융기부(113) 이외에 다른 공간에서 버섯이 재배됨에 따라 관상용 버섯으로서의 미려함이 저하된다. 따라서, 적재용기(101)의 내주 면이 청결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111)가 가압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111)는 투명재질을 사용함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이나, 상기 트레이(111)가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버섯의 생육 과정에서, 빛이 없을 경우 생육이 늦어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111)를 불투명으로 제조할 경우, 중앙의 통풍구(117)에 버섯이 집중되어 관상용 버섯의 미려함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S609 단계에서, 상기 융기부(113)의 상단 면에 발육 스티커(131)가 부착된다. 상기 발육 스티커(131)는 상기 융기부(113)의 외주 면으로 구비된 접착면(119)을 따라 부착되며, 상기 발육 스티커(131)는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추후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배양 준비가 완료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위에 균종이 접종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111)가 압착된 후, 트레이의 융기부(113) 상단 면에 수분 유지를 위한 발육 스티커(131)가 부착된다. 이후, 상기 커버(121)를 적재용기(101)의 개구면으로 끼움 결합하되, 상기 게이트(125)와 환기구(103)가 대향 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발육 스티커(131)의 부착 과정은 버섯 생육 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는데, 상기 발육 스티커(131)는 배양 중 열로 인하여 배지의 수분증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버섯이 발이되는 과정에서 발육 스티커(131)에 의해 적절한 저항을 받아 융기부(113) 내에서의 균사체의 밀도가 높아져 추후 발육 스티커(131) 제거 시 풍부한 버섯을 생육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a와 같이 발육 스티커(131)가 부착된 후 생육 과정 시 이를 제거하면, 버섯 균사체의 밀집도가 높아져 건강하게 생육된다. 도 9a의 첫 번째 사진은 균사체가 발육 스티커(131)를 밀치고 올라오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발육 스티커(131)의 가압력에 의해 균사체의 밀도가 높아진 후, 발육 스티커(131)의 가압력을 이기고 올라올 정도로 줄기가 강하게 형성된다. 도 9b는 추후 단계에서 이루어질 발육 스티커(131) 제거 과정을 거친 것으로, 균사체의 줄기가 명확하게 식별되고 있다.
그러나, 도 9c와 같이 최초에 발육 스티커(131)를 부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균사체가 집중되지 못하여 다수의 줄기가 갈리지고 뭉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버섯이 풍부하게 생육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버섯 줄기만이 생장하기 때문에 나머지 버섯 줄기는 생장을 멈추게 되어 관상용으로 적합하지 않게 된다. 즉, 생장이 멈춘 버섯 줄기는 형상 및 컬러가 변질되기 때문에 학습용 또는 관상용으로 적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S611 단계에서는 초기 배양을 수행한다. 초기 배양은 균종의 접종 이후(발효 배지 사용 시), 도 7B와 같이 균사의 개체 수가 충분히 배양되는 것으로, 시각적 변화가 대두 되며 초기 배양은 버섯이 자라나기 시작하는 도 7C 시점까지의 기간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초기 배양은 일반가정의 실내온도 범위에서 느타리버섯은 약 3 ~ 5일이면 초기 배양이 완성되고, 영지버섯은 약 7 ~ 10일 정도의 초기 배양기간이 소요되며, 기타의 버섯은 균의 특성상 그 배양 소요일이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양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소정 기간 동안 초기 배양을 완료 한다. 상기 기간이 경과 되면 즉, S613 단계에서 버섯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본 과정에서의 판단결과 버섯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S615 단계로 진입한다.
본 과정에서는 초기 배양이 완료되고, 버섯이 발생하기 시작한 시점으로, 상기 발육 스티커(131)를 제거하여 외부의 수분을 배지 및 균종에 공급한다. 이는 S617 단계와 같이 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수분을 유지토록 하는데, 상기 용수는 트레이(111)의 상단에 소정 용량의 용수가 투입된다. 여기서 용수의 용량은 최초 적재된 배지 중량의 10% 내지 20% 정도가 적절하며, 배양 환경 또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용수의 재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커버(121)를 적재용기(101)와 결합 체결하는데, 커버(121)의 게이트(125)와 적재용기(101)의 환기구(103)는 대향 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2차 배양 개시 과정에서 적재용기(101) 내의 수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는 것으로, 커버(121)를 회전시켜 환기구(103)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본 과정은 S619 단계로서, 버섯의 발생과정에서 적재용기 내 수분을 형성하며, 여기서 버섯 생육이 가속될 때 적재용기(101) 내의 수분이 증가한다.
한편, 버섯의 발생에 따른 생육하는 과정에서 습도와 같이 매우 중요한 환경 조건으로서 환기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환기는 버섯이 자라면서 CO2 배출과 산소 공급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버섯균 류는 호흡작용에 의하여 배지속의 유기물을 산화하거나 발효하여 얻는 에너지를 합성과정에 이용하고, 따라서 탄소원은 절대로 고에너지의 유기물이며, 질소원으로서는 유기질소나 일부 무기 질소를 이용하는 호기성균이므로 공기 즉 산소의 존재는 필수적인 것이다.
따라서, 버섯 발생기에는 더욱 많은 량의 산소를 호흡 소비하면서, 많은 량의 탄산가스와 유해 가스를 발생하므로 신선한 공기의 공급이 절대로 필요하다. 예컨대, 버섯 발생에 지장 없는 실내 탄산가스의 농도는 느타리버섯은 0.05% 이하이며 특히 균상 표면의 탄산가스 농도 저하가 중요하다. 이로 인해, 버섯이 성장함에 따라 산소 요구량이 많아지므로 산소 요구량을 맞춰주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이산화탄소 장해를 입어 버섯이 사멸할 수도 있다.
예시된 도 9c는 환기 조절이 잘못된 상태에서의 버섯 생육 과정을 나타낸 사진으로, 버섯의 생육 과정에서 산소 결핍에 의한 사멸된 상태이다. 그러나, 버섯의 정상적인 호흡 즉, 환기가 적절하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9d와 같이 풍부한 버섯 생육 과정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125) 및 환기구(103)는 버섯 생육 시 필수적으로 개폐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적재용기(101) 내의 적절한 수분을 유지함과 동시에 실내 탄산가스의 농도를 조절해야 한다. 즉 상기 커버(121)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게이트(125)와 환기구(103)의 소정 면적을 교차시켜 적재용기(101)의 내부 환기를 유도한다. 상기 게이트(125) 및 환기구(103) 간의 교차 면적은 환기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적재용기(101) 내피면에 형성되는 수분량에 비례하여 게이트(125)의 개폐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과정을 거쳐 생육되는 버섯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관찰자 또는 학습자는 배지 및 균종의 접종 과정부터, 균사의 응집과정, 버섯 생성과정을 포함하여 생육 전반에 걸친 자연학습을 제공받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은, 관상용 또는 학습용으로 재배 가능하도록 습도 및 통풍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고, 이러한 용기를 기반으로 각종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배지 및 균종을 별도 포장한 키트화된 제품을 제시함으로써, 아이디어 창출산업으로 생산품의 다양화 및 고부가가치를 유도하여 재배농가의 소득 안정화와 경쟁력을 향상시켜 산업적 이용 가치가 충분히 높다 할 수 있다.
101 : 적재용기 103 : 환기구
111 : 트레이 113 : 융기부
115 : 가이드 119 : 접착면
121 : 커버 123 : 인입 가이드
125 : 게이트 127 : 밀착면

Claims (13)

  1.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버섯 재배 용기에 있어서,
    배지 및 버섯균종을 수용하기 위한 생육 공간이 확보되며, 상측이 개구된 소정 형상의 중공형 구조로서 상측 면에 근접 또는 연장되어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구(103)를 포함하며, 관상용 또는 학습용 관찰을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적재용기(101);
    상기 적재용기(101)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배지 및 균종을 가압 유지하며, 상기 배지 및 균종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용수를 적재하고, 상기 균종 배양 시 배지의 수분 조절용 통풍구(117)가 마련되도록 돌출 성형된 융기부(113)를 포함하는 트레이(111);
    상기 균종 배양 시 상기 통풍구(117)를 차단하고, 생육 시 이를 개방시키기 위한 발육 스티커(131); 및
    상기 적재용기(101)의 개구면을 개폐하기 위한 밀착면(127)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환기구(103)와 대응하는 위치에 환기용 게이트(125)가 형성된 인입 가이드(123)를 형성하여, 상기 환기구(103) 및 게이트(125) 간 위치 설정을 통해 환기량 조절을 수행하는 커버(121);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균종은 노랑느타리버섯, 분홍느타리버섯, 미소느타리버섯, 수한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 꽃송이버섯, 아가리쿠스버섯, 잎새버섯, 운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11)는 적재용기(101)의 내부로 인입 설치 시, 적재용기(101)의 내주 면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용수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트레이(111)의 외주 면상에서 연장되는 가이드(115)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부(113)의 종단면에는 상기 발육 스티커(131)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접착면(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103) 및 게이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구조 또는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용기(101)의 상측 면에 형성된 개구면의 원주 또는 길이의 1/4 이내에서 적절한 크기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재배용기는 원형, 다각형 및 병(Bottle)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재배용기는 폴리비닐(PV), 폴리에스틸렌 수지(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올레핀(P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수지 또는 유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사출 또는 성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11)는 불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의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를 이용한 관상용 버섯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a) 배지와 버섯균종이 밀봉된 봉지를 개봉하여 적재용기(101) 저면에 배지를 균일하게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융기부(113)가 상향 되게 상기 트레이(111)를 상기 적재용기(101)의 개구면을 따라 가압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융기부(113)의 상단 면에 발육 스티커(131)를 부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커버(121)를 적재용기(101)의 개구면으로 끼움 결합하되, 상기 게이트(125)와 환기구(103)가 대향 되지 않도록 상기 적재용기(101)를 밀폐시키는 단계;
    e) 소정 기간 동안의 배양이 종료된 후 버섯이 발생하면, 상기 발육 스티커(131)를 제거하고, 상기 트레이(111)에 용수를 공급하는 단계; 및
    f) 상기 커버(121)를 회전시켜 상기 게이트(125)와 적재용기(101)를 대향시켜 환기량을 조절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의 재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배지의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 배지의 산소 공급 및 호흡열 방출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버섯의 재배 방법.

KR1020100082814A 2010-08-26 2010-08-26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KR10101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14A KR101012290B1 (ko) 2010-08-26 2010-08-26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14A KR101012290B1 (ko) 2010-08-26 2010-08-26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290B1 true KR101012290B1 (ko) 2011-02-08

Family

ID=4377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14A KR101012290B1 (ko) 2010-08-26 2010-08-26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2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3329A (zh) * 2012-12-26 2013-04-24 青岛天农食用菌有限公司 平菇家庭盆栽新技术
KR101327518B1 (ko) 2011-04-19 2013-11-08 김주화 가정용 상황버섯 공중재배 포트
CN103766132A (zh) * 2012-10-23 2014-05-07 宇明泰化工股份有限公司 蕈类培养用的封盖
CN105638245A (zh) * 2016-02-02 2016-06-08 贵州省生物研究所 一种香菇二次打孔栽培方法
KR20160097455A (ko) * 2015-02-06 2016-08-18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 장치
KR101655183B1 (ko) 2015-05-20 2016-09-07 주식회사 국제화학산업 산란광 파장을 제어하는 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버섯재배용 봉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93Y1 (ko) 1998-09-30 2000-02-15 이경군 버섯종균용기의통풍장치
KR20000014488U (ko) * 1998-12-30 2000-07-25 고광우 버섯재배용 용기
KR20010066793A (ko) * 1999-05-14 2001-07-11 가네꼬 히사시 저융점 글래스, 절연 패키지 및 밀봉 부재
KR20030065551A (ko) * 2000-12-18 2003-08-06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광학필름 및 이를 사용한 편광필름, 및 편광필름의 시야각개량 방법
KR20040038046A (ko) * 2002-10-31 2004-05-08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국부 발진 신호 경로를 통한 동 위상 및 직교 위상 신호간 부정합 보정 회로를 이용한 국부 발진기 및 이를이용한 수신 장치
KR200365551Y1 (ko) 2004-07-12 2004-10-20 김남회 가정용 버섯 재배 용기
KR200438046Y1 (ko) 2007-10-05 2008-01-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재배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93Y1 (ko) 1998-09-30 2000-02-15 이경군 버섯종균용기의통풍장치
KR20000014488U (ko) * 1998-12-30 2000-07-25 고광우 버섯재배용 용기
KR20010066793A (ko) * 1999-05-14 2001-07-11 가네꼬 히사시 저융점 글래스, 절연 패키지 및 밀봉 부재
KR20030065551A (ko) * 2000-12-18 2003-08-06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광학필름 및 이를 사용한 편광필름, 및 편광필름의 시야각개량 방법
KR20040038046A (ko) * 2002-10-31 2004-05-08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국부 발진 신호 경로를 통한 동 위상 및 직교 위상 신호간 부정합 보정 회로를 이용한 국부 발진기 및 이를이용한 수신 장치
KR200365551Y1 (ko) 2004-07-12 2004-10-20 김남회 가정용 버섯 재배 용기
KR200438046Y1 (ko) 2007-10-05 2008-01-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재배 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18B1 (ko) 2011-04-19 2013-11-08 김주화 가정용 상황버섯 공중재배 포트
CN103766132A (zh) * 2012-10-23 2014-05-07 宇明泰化工股份有限公司 蕈类培养用的封盖
CN103053329A (zh) * 2012-12-26 2013-04-24 青岛天农食用菌有限公司 平菇家庭盆栽新技术
KR20160097455A (ko) * 2015-02-06 2016-08-18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 장치
KR101692489B1 (ko) 2015-02-06 2017-01-0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 장치
KR101655183B1 (ko) 2015-05-20 2016-09-07 주식회사 국제화학산업 산란광 파장을 제어하는 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버섯재배용 봉지
CN105638245A (zh) * 2016-02-02 2016-06-08 贵州省生物研究所 一种香菇二次打孔栽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290B1 (ko) 관상용 버섯 재배를 위한 용기, 이에 적용되는 배지 및 균종의 양산 방법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CN102786333A (zh) 桑黄袋料栽培培养基及采用该培养基栽培桑黄子实体的方法
CN103688750A (zh) 一种活体灵芝盆景的制作方法
CN101548613A (zh) 一种食用灵芝盆景的栽培方法
CN104541938A (zh) 一种灵芝融合培养方法
CN102612999A (zh) 一种秀珍菇、平菇立体袋栽方法
KR101214311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Chen Cultivation of the medicinal mushroom Ganoderma lucidum (curt.: Fr.) P. karst.(reishi) in north America
CN104521565A (zh) 一种温室种植灵芝的方法
CN106856984A (zh) 一种珊瑚状猴头菌树花及其栽培方法
CN108377837A (zh) 一种灵芝乳芽多次采摘的栽植技术
CN103125274A (zh) 一种灵芝不同种间嫁接方法及盆景工艺
CN106613336A (zh) 灵芝种植方法
CN103070015B (zh) 一种切花灵芝培育方法
KR101679243B1 (ko) 버섯 재배키트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20200012367A (ko) 꽃송이 버섯 재배방법
KR20200063376A (ko)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버섯류 재배 키트
JP5156243B2 (ja) 観賞用白色ないし黄色鹿角霊芝の栽培方法。
CN105831023A (zh) 一种长头螨的培育方法
KR200461644Y1 (ko) 버섯 재배 용기
CN105875202A (zh) 一种用于培育食用菌的接种机构、菌种容器以及方法
KR102183105B1 (ko) 미세기공이 형성된 버섯 배양용 봉지를 이용한 버섯의 제조방법
KR20100041668A (ko) 표고버섯 상자 재배방법
JPH1084772A (ja) マンネンタケの栽培方法
JP5325924B2 (ja) エノキ茸の人工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