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351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351B1
KR101011351B1 KR1020087015792A KR20087015792A KR101011351B1 KR 101011351 B1 KR101011351 B1 KR 101011351B1 KR 1020087015792 A KR1020087015792 A KR 1020087015792A KR 20087015792 A KR20087015792 A KR 20087015792A KR 101011351 B1 KR101011351 B1 KR 10101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wall
opening
connector device
lock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701A (ko
Inventor
아르민 슈투브너
아힘 하비히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7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6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a screw r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헤드(2)와 플러그 소자(3, 17)를 가진 플러그 바디(1)를 포함하는 플러그와 개구(13)로 이루어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4)은 플러그 헤드(2)로부터 플러그 소자(3, 17)로 연장되며 전기 콘택(5)에서 끝나고, 벽(8)에 형성된 개구(13) 내로 플러그 소자(3, 17)가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 소자(3)와 벽(8) 또는 플러그 소자(3)와 록킹 소자가 결합됨으로써, 플러그 바디(1)는 개구(13)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개구, 플러그 소자, 록킹 소자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arrangement}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 모터의 기어장치 커버에 배치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US 5 213 225 호에는 윈드실드 와이퍼 모터의 기어장치의 기어장치 커버에 배치된 커넥터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장치는 전자장치 모듈의 내부 전기 라인과 외부 전기 공급 라인 사이의 접속을 형성한다. 전자장치 모듈은 기어장치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자장치 모듈은 윈드실드 와이퍼의 변위를 제한하는 자동 정지 메카니즘이다. 커넥터 장치에는 기어장치 커버에 상기 커넥터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홀이 배치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사에 의한 고정은 많은 시간과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따라서, 삽입만 되고 나사 고정되지 않아도 되는 동시에 내부 전기 라인에 대한 접속부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장치가 바람직하다.
DE 198 48 732 호에는 상기 방식의 커넥터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는 플러그 헤드와 플러그 소자를 포함한다. 다수의 전기 라인들은 플러그 헤드로부터 플러그 소자로 연장되고 전기 콘택에서 끝난다. 플러그는 기어장치의 벽에 형성된 개구 내로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 장치의 단점은 특히 불완전한 밀봉에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장치는 윈드실드 와이퍼 모터의 기어장치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시간과 공정 과정으로 제조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 소자와 벽 또는 플러그 소자와 록킹 소자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플러그 바디는 개구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실시예에서 플러그 소자에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돌출부를 가진 나사산이 형성되고,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나선형 돌출부의 삽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의 개선예에서 나선형 돌출부의 피치(Steigung)는, 플러그 바디를 돌려 넣을 때 나선형 돌출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벽을 가압하도록 홈의 크기에 매칭된다.
대안 개선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돌출부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벽을 가압하는 노즈가 형성된다.
개선예에서 벽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홈에서 끝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 쉽게 휘어지는 텅이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에서, 록킹 소자가 삽입될 수 있는 리세스가 플러그 소자에 배치된다.
제 2 실시예의 개선예에서, 플러그 소자는 돌출한 지지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소자에 탄성 밀봉부가 장착될 수 있다.
개선예에서, 록킹 소자는 쐐기형 팁을 갖고, 상기 팁은 록킹 소자의 삽입시 밀봉부에 의해 가해진 탄성력에 대항해서 플러그 소자를 내로 끌어넣을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커넥터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 커버 내의 개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커넥터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과 다른 측면에서 본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장치.
도 5는 소자가 삽입됨으로써 플러그가 개구 내에 고정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커넥터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플러그는 플러그 바디(1)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바디는 플러그 헤드(2)와 플러그 소자(3)를 갖는다. 플러그 헤드(2)와 플러그 소자(3)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헤드(2)는 외부 케이블의 삽입을 위해 제공된 플러그 바디의 부분이다. 플러그 소자(3)는 벽 내의 개구 내로 삽입을 위해 제공된 플러그 바디(1)의 부분이다. 플러그 헤드(2)와 플러그 소자(3)는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서로 구분될 필요는 없다. 전기 라인(4)은 플러그 헤드(2)로부터 플러그 바디(1)의 내부를 통해 플러그 소자(3)로 연장되고, 전기 콘택(5)에서 끝난다. 플러그 헤드(2)에는 외부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고정 리세스(6)가 형성된다. 플러그 소자(3)는 원통 대칭으로 형성되고, 단면도로 도시된, 기어장치 커버에 포함되는 벽(8)에 지지하는 돌출한 지지 소자(7)를 포함한다. 벽(8)은 기어장치의 하우징 커버의 부분이고,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벽(8)과 지지 소자(7) 사이에 밀봉 링(9)이 연장되고, 상기 밀봉 링은 지지 소자(7)에 고정된다.
플러그 소자(3)에 다수의 나선형 돌출부(10)를 가진 나사산이 형성된다. 밀봉 링(9)은 단면도로 도시되므로, 상기 밀봉 링은 나사산을 부분적으로 은폐하지 않는다. 플러그 바디(1)의 나사산은 벽(8) 내의 개구(도 2 참조) 내로 돌려 넣어진다. 나선형 돌출부(10)는 개구의 가장자리에 있는 홈(11) 내로 삽입된다. 실린더 형태로 인해 플러그 소자(3)는 돌려 넣어질 때 항상 개구의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따라서 견고하게 위치 설정된다.
나선형 돌출부(10)에 노즈(12)가 형성되고, 상기 노즈는 홈(11)의 가장자리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 플랭크를 갖는다. 노즈(12)의 위치는, 노즈(12)가 홈(11) 내에 완전히 배치되면 콘택(5)이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선택된다. 지 지 소자(7)에 의해 플러그가 계속 돌려 넣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밀봉 링(9)은 심하게 압축되므로, 플러그는 윈드실드 와이퍼 모터에 필요한 정도로 양호하게 밀봉된다.
플러그(1)가 돌려 넣어질 때 노즈(12)는 벽(8)에 대해 가압된다. 벽(8)은 탄성적으로 휘어지고(이는 도 2를 참고로 더 상세히 설명됨), 노즈(12)의 후방에서 다시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노즈(12)는 벽(8)에 후크 결합되고, 플러그(1)가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한다. 노즈(12)에 대한 대안으로서, 나선형 돌출부(10)의 피치는, 나선형 돌출부(10)가 벽(8)을 가압할 정도로 작게 선택되고 홈(11)의 크기에 매칭될 수 있다. 벽(8) 아래에서 돌출부를 돌려 넣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돌출부의 피치는 먼저 홈 내로 삽입되는 위치에서 가파르게 선택되어야 한다. 나선형 돌출부는 완전히 홈 내로 돌려 넣어지고, 벽(8)은 나선형 돌출부(10) 후방에서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나선형 돌출부의 단부는 노즈(12)를 대체한다. 제 1 실시예에서, 플러그 소자(3)와 벽(8)의 결합은 구체적으로 나선형 돌출부(10) 또는 나선형 돌출부(10)에 장착된 노즈(12)가 홈(11)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콘택(5)은 내부 라인과의 접속을 위해 적절하게 위치 설정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커버 내의 개구(13)를 도시한다.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링 섹터로서 홈(11)이 형성된다. 벽(8)에 슬롯(14)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홈(11)에서 끝난다. 슬롯(14)에 의해, 홈 및 나선형 돌출부(10)와 동일한 폭을 가진 텅(15)이 형성되고, 상기 텅은 압축 하중시 노즈(12) 또는 나 선형 돌출부(10)로 인해 휘어진다. 노즈(12) 또는 나선형 돌출부(10)가 완전히 홈(11) 내에 배치되면, 텅(15)은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도 3은 커넥터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러그 바디(16)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바디(1)의 차이점은 플러그 소자(17)이다. 플러그 소자(17)는 바람직하게 사각형 베이스 면을 갖고, 사각형 지지 소자(18)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소자는 단면도로 도시된 벽(19)에 지지된다. 플러그 소자(17)는 벽(19) 내의 개구에 삽입되어 돌려 넣어지지 않고, 플러그 소자(17)의 사각형에 매칭된, 즉 마찬가지로 사각형인 개구의 에지에 접촉한다. 플러그 소자(17)는 그 사각형 횡단면으로 인해 개구 내에서 견고하게 위치설정될 뿐 아니라, 비틀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횡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벽(19)에 대해 평행하게, 플러그 소자(17)에 리세스(21)가 연장된다. 상기 리세스는 중앙에서 플러그 소자(17)를 통해 연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소자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고, 거기에는 전기 라인이 연장되지 않는다. 리세스(21)는, 벽(19)과 지지 소자(18) 사이에 연장되고 지지 소자(18)에 고정된 밀봉부(20)를 압축하는 힘 작용 없이, 리세스(21)가 벽(19)에 동일 평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벽(19)과 리세스(21) 사이의 단이 형성되도록 위치 설정된다.
도 4는 도 3의 플러그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다. 플러그는 다수의 전기 라인(4)을 갖고, 상기 전기 라인들은 고정 리세스(6)로부터 콘택(5)으로 하부로 플러그 소자(17)에 연장된다.
도 5는 도 3의 커넥터 장치를 도시하고, 플러그(16)는 록킹 소자(22)가 개구 내의 리세스(21) 내로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록킹 소자(22)의 전방에 쐐기형 팁(23)가 형성된다. 록킹 소자(22)가 리세스(21) 내로 삽입되면, 쐐기형 팁(23)는 리세스(21)의 하부 에지에 부딪힌다. 이로 인해, 힘이 압축된 밀봉부(20)에 가해진다. 따라서 플러그(16)는 벽(19)에 견고하게 밀봉 방식으로 접촉하고, 이는 윈드실드 와이퍼 모터에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록킹 소자(22)는, 플러그가 원형 횡단면을 갖는 경우, 플러그의 회전을 저지한다. 제 2 실시예에서, 플러그 소자(17)와 록킹 소자(22)의 결합은 구체적으로, 록킹 소자(22)가 리세스(21) 내로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커패시터(24)와 같은 임의의 전기 부품(24)에 장착될 수 있는 록킹 소자(22)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플러그 소자(17)가 예컨대 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이 충분한 경우 상기 록킹 소자(22)는 간단한 스프링 소자일 수 있다.
전기 접속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라 콘택(5)이 스프링 소자로 형성된, 전기 라인의 단부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형성된다. 내부 전기 라인은 콘택에 납땜될 수 있다.

Claims (8)

  1. 플러그 헤드(2)와 플러그 소자(3, 17)를 가진 플러그 바디(1)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개구(13)로 이루어진 커넥터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4)이 상기 플러그 헤드(2)로부터 상기 플러그 소자(3, 17)로 연장되고 전기 콘택(5)에서 끝나고, 벽(8)에 형성된 상기 개구(13) 내로 상기 플러그 소자(3)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플러그 소자(3, 17)와 록킹 소자(22)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개구(13) 내에 상기 플러그 바디(1)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플러그 소자(17)에 리세스(21)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21) 내로 상기 록킹 소자(22)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소자(17)는 돌출 지지 소자(18)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지지 소자(18)에는 탄성 밀봉부(20)가 장착되고, 상기 록킹 소자(22)는 쐐기형 팁(23)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상기 록킹 소자(22)의 삽입시, 상기 밀봉부(2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에 대항해서 상기 개구 내로 상기 플러그 소자(17)를 더욱 끌어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소자(3)에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돌출부(10)를 가진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13)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나선형 돌출부(10)의 삽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돌출부(10)의 피치는, 상기 플러그 바디(1)가 돌려 넣어질 때 상기 나선형 돌출부(10)가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상기 벽(8)을 가압하도록, 홈(11)의 크기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돌출부(10)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벽(8)을 가압하는 노즈(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벽(8)에 상기 홈(11)에서 끝나는 슬롯(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7015792A 2005-12-27 2006-11-07 커넥터 장치 KR101011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62545A DE102005062545A1 (de) 2005-12-27 2005-12-27 Steckverbindungsanordnung
DE102005062545.2 200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701A KR20080078701A (ko) 2008-08-27
KR101011351B1 true KR101011351B1 (ko) 2011-01-28

Family

ID=3767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792A KR101011351B1 (ko) 2005-12-27 2006-11-07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969683B1 (ko)
JP (1) JP4773528B2 (ko)
KR (1) KR101011351B1 (ko)
CN (1) CN101346856B (ko)
BR (1) BRPI0621283A2 (ko)
DE (2) DE102005062545A1 (ko)
WO (1) WO2007073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1897B8 (en) * 2008-08-06 2016-06-22 TACO ITALIA S.r.l. Connection device for a circulator for a boiler apparatus, connector for a circulator, connection socket for a circulator and circulator
DE102011004154A1 (de) * 2011-02-15 2012-08-16 Robert Bosch Gmbh Direktsteckverbindung für eine elektronische Komponen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3040A1 (en) * 2002-12-05 2006-04-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grammabl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9719A (en) * 1984-09-10 1986-05-20 Brand-Rex Company Wall plate assembly for in-line electrical coupling
CN2269643Y (zh) * 1995-12-08 1997-12-03 北京市电视技术研究所 一种改进型电源插接装置
US6083040A (en) * 1997-07-25 2000-07-0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nnector with releasable mounting flange
FI109564B (fi) * 2000-11-24 2002-08-30 Valtimo Components Oy Radiotaajuusliit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3040A1 (en) * 2002-12-05 2006-04-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grammabl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9683B1 (de) 2010-03-17
DE502006006477D1 (de) 2010-04-29
EP1969683A1 (de) 2008-09-17
CN101346856B (zh) 2011-04-20
DE102005062545A1 (de) 2007-07-05
BRPI0621283A2 (pt) 2011-12-06
JP4773528B2 (ja) 2011-09-14
WO2007073972A1 (de) 2007-07-05
JP2009521794A (ja) 2009-06-04
CN101346856A (zh) 2009-01-14
KR20080078701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1947B2 (ja) コネクタ
US20040161981A1 (en) Press fitting type spring connector
KR100789326B1 (ko) 부착편에 지지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US8512075B2 (en) Connector
JP4696907B2 (ja) コネクタ
JP4922612B2 (ja) 電気コネクタ
TWI297966B (ko)
KR101011351B1 (ko) 커넥터 장치
US6805575B2 (en) Guide system for contact plugs
KR100340738B1 (ko)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KR0149712B1 (ko)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611849B2 (ja) 端子台
JP4587922B2 (ja) 端子台および照明器具
CN215834730U (zh) 前螺钉端子
KR100691205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JP2860865B2 (ja) コネクタの端子固定装置
KR100830697B1 (ko)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JP6095180B1 (ja) コネクタ
JP4611850B2 (ja) 端子台
KR100340737B1 (ko)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CN217641917U (zh) 一种具有防呆和柔插的连接组件
KR100340736B1 (ko)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JPH0711417Y2 (ja) ランプソケット
TW202118160A (zh) 電連接器
JP2005135745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