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736B1 -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 Google Patents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736B1
KR100340736B1 KR1020007005587A KR20007005587A KR100340736B1 KR 100340736 B1 KR100340736 B1 KR 100340736B1 KR 1020007005587 A KR1020007005587 A KR 1020007005587A KR 20007005587 A KR20007005587 A KR 20007005587A KR 100340736 B1 KR100340736 B1 KR 10034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terminal plate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688A (ko
Inventor
마쓰다다케시
마노노부유키
오가와마사미쓰
Original Assignee
이케다 데루타카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케다 데루타카,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케다 데루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7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on the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조립의 작업성을 좋게 하여, 불량품의 발생율을 낮추어 비용절감을 꾀함과 동시에, 소형으로 설치장소를 차지하지 않는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를 제공한다. 각 회전손잡이(25)를 본체플레이트(20)에 일체로 구비한 통형상의 하우징부(21)의 상단부에서부터 각각 돌출함 과 동시에 회전손잡이(25)를 하우징부(2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여, 회전손잡이(25)의 중심에 관통개구시킨 막대형 콘택트삽통공(24)에 막대형 콘택트(30)를 회전손잡이(2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여, 하우징부(21)의 저부에 터미널플레이트(41)를 고정시켜, 그 암나사구멍(46)에 나사축부(32)를 나사결합시켜, 회전손잡이(25)의 회전조작에 의해 막대형 콘택트(3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나사축부(32)가 터미널플레이트(4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선협지부(31)가 터미널플레이트(41)와의 대향방향으로 진퇴동작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Multi-connective screw-type terminal device}
종래, 다연형의 나사식 터미널장치로서는, 도 7 내지 9에 보인 구조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종래 장치는, 판 형상의 본체플레이트(1) 표면에, 짧은 원통형상을 이루고 둘레의 벽에 도선삽입용 요부(2)를 갖는 복수의 도선접속부들(3)을 일체로 구비하며, 각각의 도선접속부(3)의 저부에 터미널플레이트(4)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 외측에 막대형 콘택트(5)를 중심에 고정한 회전손잡이(6)를 삽입하고 막대형 콘택트(5)와 일체로 성형된 나사축부(7)가 터미널플레이트(4)의 중심부에 설치한 나사공(8)에 나사결합하고 있다.
막대형 콘택트(5)에는 기부끝단 측에 플랜지형상의 도선협지(挾持)부재(9)가 일체 성형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 나사축부(7)가 일체로 돌출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축부(7)를 터미널플레이트(4)의 나사공(8)에 관통시킨 후, 그 선단부를 눌러 변형시키는 커얼체결부(15)에 의해, 터미널플레이트(4)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또, 막대형 콘택트(5)는, 상단부에 플러그삽입공(10)이 개구되어 있고, 그 개구연부(緣部)를 플랜지형상으로 성형하는 커얼(curl)체결부(11)에 의해서 회전손잡이(6)와 일체화시키고 있다.
플러그삽입공(10)에는, 도 9에 보인 바나나칩형 플러그(12)가 삽입되어 있다.
터미널플레이트(4)는, 그 주위의 고정용 절곡편들(13)이 이면(裏面)에 대해 옆으로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지게 성형되고, 이것을 본체플레이트(1)의 고정용 구멍에 압입함으로써 본체플레이트(1)에 대해 고정된다.
또, 터미널플레이트(4)에는 단자편(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편(14)은 원호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본체플레이트(1)의 표면 쪽에서부터 삽입하여 이면 쪽으로 돌출시켜, 선단의 단자부(14a)가 횡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본체플레이트에 대해 터미널플레이트가 부착될 때, 본체플레이트의 표면쪽에서부터 조립해 넣고, 이것과 일체의 단자편을 이면쪽으로 관통시켜 돌출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단자편을 횡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경우에는, 원호형상으로 단자편을 삽입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나쁘고, 또한 횡방향의 돌출길이가 길게 되면, 그 부분만큼 원호상의 곡율반경이 크게 되고, 본체플레이트의 이면에 크게 단자편을 돌출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되어, 형상이 대형화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본체플레이트에 대한 터미널플레이트의 고정을, 절곡편을 삽입공에압인하는 것으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가압공정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회전손잡이와 일체인 막대형 콘택트의 이탈방지를 나사축부의 누름 가공에 의해서 행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다연형과 같이 본체플레이트의 이면에 다수의 나사축부가 돌출하고 있는 본 장치에서는, 누름가공작업이 지극히 귀찮은 작업이 되어,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회전손잡이는 고급감(高級感)을 갖게 하기 위해서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료를 사용하지만, 막대형 콘택트를 중심 구멍에 삽입하여 커얼체결에 의해 일체화할 때에, 회전손잡이가 깨지기 쉽고, 불량품의 발생율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각종 문제점을 고려하여, 조립의 작업성을 좋게하여, 불량품의 발생율을 낮추어 비용절감을 꾀함과 동시에, 소형으로 설치장소를 차지하지 않는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행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오디오세트의 스피커 등에 도선을 접속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에 관련한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보여진 장치의 부분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1개의 터미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보여진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 1실시예의 조립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본체플레이트의 표면에 복수의 회전손잡이를 튀어나오게 설치시켜, 그 각 회전손잡이의 중심에 막대형의 콘택트를 통하게 삽입하고, 해당 막대형 콘택트에는 선단부에 개구시킨 플러그삽입공을 구비함과 동시에 기부끝단부분에 플랜지형상으로 돌출한 도선협지부와, 해당 도선협지부의 중심에서부터 돌출한 배치의 나사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또 상기 본체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선협지부재에 대향하는 배치로 터미널플레이트를 일체로 가지는 터미널이 고정되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에 설치한 나사구멍에 상기 나사축부를 나사결합시키고, 해당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축부를 나사모양으로 전진시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와 도선협지부재 사이에 도선을 협지시키도록 한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손잡이를 상기 본체플레이트에 일체로 구비한 통형상의 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부터 각각 돌출시킴과 동시에 해당 회전손잡이를 해당 하우징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여, 해당 회전손잡이의 중심에 관통개구시킨 막대형 콘택트삽통공에 상기 막대형 콘택트를 해당 회전손잡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저부에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하고, 해당 터미널플레이트의 암나사구멍에 상기 나사축부를 나사결합시켜,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 막대형 콘택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축부가 터미널플레이트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선협지부가 터미널플레이트와의 대향방향으로 진퇴동작하도록 한 것에 있다.
더욱이, 하우징부의 상단부를 본체플레이트 표면측에 튀어나오게 설치시킴과 동시에, 해당 하우징부의 밑바닥측을 상기 본체플레이트의 이면측으로 개방시켜, 해당 하우징부의 저부에 본체플레이트의 이면측에서부터 삽입한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것, 터미널플레이트는, 주위에 복수의 이탈방지용 스프링편을 일체로 가지고, 본체플레이트 배면측에서부터 하우징부내에 압입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용 스프링편이 하우징부 내면에 구비된 걸림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것, 및, 회전손잡이는 그 기부끝단부분 외주에 이탈방지용의 돌출부를 일체로 가져, 해당 돌출부를 하우징부의 상단부분의 개구연부 내측에 맞물리게 하여 돌출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하여 이탈방지하여, 해당 회전손잡이의 저면을 본체플레이트의 뒷편에서부터 삽입한 터미널플레이트부의 상면측에 일체로 튀어나오게 설치한 손잡이스토퍼편을 구비하여, 해당 스토퍼편에 의해서 상기 회전손잡이의 압입방향의 이동을 규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20은 합성수지에 의해 몰드성형된 본체플레이트이다.
본체플레이트(20)에는 2열 배치로 8개의 하우징부들(21)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각 하우징부(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 쪽이 본체플레이트(20)의 표면쪽으로 돌출된 돌통(突筒)부(21a)로 되어 있고, 저부는 본체플레이트(20)의 뒷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돌통부(21a)의 측면에 도선(a)이 삽입될 수 있는 도선삽입구(22)가 개구되어 있다.
또, 돌통부(21a)의 상단부 중앙에는 손잡이삽통구(23)가 형성되어, 해당 손잡이삽통구(23)의 주변 연부는 돌통부(21a)의 상단부 보다 중심방향을 향하여 플랜지형상으로 돌출한 손잡이이탈방지부(24)로 되어있다.
하우징부(21)의 돌통부(21a) 내에 회전손잡이(25)의 기부끝단 측이 삽입되어 있다.
회전손잡이(25)는 합성수지재로 원통형상으로 몰드성형되어 있고, 선단측의 원통손잡이부(25a)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구(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기부끝단부분의 외주에 플랜지형상의 이탈방지용 돌출부(27)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회전손잡이(25)는, 원통손잡이부(25a)가 하우징부 상단부분의 손잡이삽통구(23)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기부끝단부분의 이탈방지용 돌출부(27)가 상기 손잡이삽통구(2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손잡이(25)를 본체플레이트(20) 저부의 개구측에서부터 하우징부(21)내에 삽입하여, 선단측의 원통손잡이부(25a)를 손잡이삽통구(23)내에 삽통하여 하우징부의 상단부 밖으로 돌출시켜, 이탈방지용 돌출부(27)가 손잡이삽통구(23) 주변 연부의 손잡이이탈방지부(24)에 맞물리게 하여 이탈방지된다.
회전손잡이(25)에는 그 중심에 콘택트삽통공(25b)이 개구되어 있고, 이것에 막대형 콘택트(30)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통되고 있다. 그 막대형 콘택트(30)는 도전성의 금속재료로 성형되고, 기부끝단부분에 플랜지형상의 도선협지부(31)가 일체로 성형되고, 그 위쪽이, 도1, 도6에 보인 것 같이 원형의 일부를 직선상으로 잘라 낸 편평부(30a)가 전체길이에 걸쳐 성형된 이형(異形)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회전손잡이(25)의 컨택트삽통공(25b)도 그 하부가 상기 이형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하고 있고, 이것에 상기 막대형 콘택트(3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막대형 콘택트(30)는 회전손잡이(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만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막대형 콘택트(30)에는 상기 도선협지부(31)의 중심에 나사축부(32)가 일체로 튀어나오게 설치되어 있다. 또, 막대형 콘택트(30)의 상단부에는 밑이 있는 플러그삽인공(34)이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부(21)내에는, 본체플레이트(20)의 저면측의 개방부에서부터 터미널(40)이 삽입되어 있다. 터미널(40)은, 도전성 금속판재를 천공하고 구부려 성형되어 있고, 평판형상을 한 터미널플레이트(41)와, 해당 터미널플레이트(41)의 서로 대향하는 한 쪽의 양 연부로부터 직각으로 이면측으로 세워진 한 쌍의 고정용스프링편들(42) 및 터미널플레이트(41)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쪽의 양 연부에 있고 상기 고정용 스프링편 위치로부터 90도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직각으로 윗방향으로 세워진 손잡이스토퍼편들(43), 및 한 쪽의 고정용 스프링편(42)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단자편(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 고정용 스프링편(42)에는 선단을 외측으로 향해 직각으로 구부린 장출부(42a)를 일체로 가지고, 이 장출부(42a)를 하우징부(21)의 돌통부 하단에 설치한 터미널고정구멍(45)에 삽입함으로써 터미널(40)을 하우징부(21) 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것에 의해서 양 손잡이스토퍼편(43)이 회전손잡이(25)의 저면에 맞물리어, 해당 회전손잡이(25)가 압입방향의 동작이 규제되어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터미널플레이트(41)의 중앙부분에는 암나사구멍(46)이 개구되어, 이 암나사구멍(46) 내에 막대형 콘택트(30)의 나사축부(3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나사식 터미널장치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미리 막대형 콘택트(30)의 나사축부(32)를 터미널플레이트(41)의 암나사구멍(46)에 나사결합시켜 놓고, 본체플레이트(20)의 이면측에서부터 회전손잡이(25)를 하우징부(21) 내에 삽입하여 그 선단을 하우징부 상단부보다 돌출하게 하고, 이어서 막대형 콘택트(30)와 함께 터미널(40)을 하우징부(21) 내에 삽입한다.
이때 고정용 스프링편들(42)을 중심쪽으로 탄성적으로 압입시켜 하우징부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양 장출부들(42a)이 터미널고정구멍들(45) 위치까지 압입되어지면 고정용 스프링편들(42)이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양 장출부들(42a)이 터미널고정구멍들(45)에 끼워 넣어져 터미널(4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회전손잡이(25)의 소정 위치로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이 나사식 터미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손잡이(25)를 회전조작하여 막대형 콘택트(30)를 상승시켜 도선협지부(31)를 터미널플레이트(41)로부터 떼어, 이것에 의해 형성되는 터미널플레이트(41)의 상면과 도선협지부(31)와의 간극에 접속하고자 하는 도선(a)을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막대형 콘택트(3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손잡이(25)를 회전시켜 도선협지부(31)와 터미널플레이트(41) 사이에 도선(a)을 협지시키는 것에 의해 도선(a)의 접속이 완료된다.
또, 막대형 콘택트(30)의 플러그삽입공(34)에, 주위에 복수의 접촉스프링(50)을 탄성적으로 돌출시키는 플러그(51)(통칭 바나나칩)를 삽입함으로써 플러그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는, 각 회전손잡이를 본체플레이트에 일체로 구비한 통형상의 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부터 각각 돌출시킴과 동시에 해당 회전손잡이를 해당 하우징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여, 해당 회전손잡이의 중심에 관통개구시킨 막대형 콘택트 삽통공에 상기 막대형 콘택트를 회전 불가능하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저부에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하여, 해당 터미널플레이트의 암나사구멍에 상기 나사축부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 막대형 콘택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축부가 터미널플레이트에 대하여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선협지부가 터미널플레이트와의 대향방향으로 진퇴동작 되게한 것에 의해, 회전손잡이와 일체의 나사축부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체가공, 및 막대형 터미널과 회전손잡이 일체화를 위한 커얼체결이 불필요해져, 조립 작업이 간편화됨과 동시에 가체시의 깨어짐에 의한 불량품의 발생이 없어져, 비용이 삭감된다.
또, 하우징부의 상단부를 본체플레이트 표면측에 튀어나오게 설치시킴과 동시에, 해당 하우징부의 밑바닥측을 상기 본체플레이트의 이면측에 개방시켜, 해당 하우징부의 저부에 본체플레이트의 이면측에서부터 삽입한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본체플레이트에 대한 각 부재의 조립해 넣기가, 본체플레이트 이면측에서부터의 삽입작업만으로 완료되어져, 특히 터미널플레이트와 일체의 단자부를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시키고 싶은 경우에도, 종래의 만곡시킨 단자부와 같이 높이 방향의 치수를 크게 잡을 필요가 없어져, 소형화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손잡이에 그 기부끝단부분 외주에 이탈방지용의 돌출부를 일체로 설치하여, 해당 돌출부를 하우징부의 상단부 개구연부 내측에 맞물리게 하여 돌출??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하여 이탈방지하고, 해당 회전손잡이의 저면을 본체플레이트의 뒷쪽에서부터 삽입한 터미널플레이트의 상면측에 일체로 튀어나오게 설치한 손잡이스토퍼편을 구비하여, 해당 스토퍼편에 의해 상기 회전손잡이의 압입방향의 동작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터미널플레이트의 고정과 동시에 회전손잡이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장치의 조립이 한층 간략화되어진다.
조립의 작업성을 좋게 하여, 불량품의 발생율을 낮춤과 비용감소를 꾀함과 동시에, 소형으로 설치장소를 차지하지 않는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본체플레이트의 표면에 복수의 회전손잡이를 튀어나오게 설치시켜, 그 각 회전손잡이의 중심에 막대형의 콘택트를 삽통하고, 해당 막대형 콘택트에는 선단부에 개구시킨 플러그삽입공을 구비함과 동시에 기부끝단부분에 플랜지형상으로 돌출한 도선협지부와, 해당 도선협지부의 중심에서부터 돌출한 배치의 나사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또 상기 본체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선협지부재에 대항하는 배치로 터미널플레이트를 일체로 가지는 터미널이 고정되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에 설치한 나사구멍에 상기 나사축부를 나사결합시켜, 해당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나사축부를 나사모양으로 전진시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와 도선협지부재 사이에 도선을 협지시키도록 한 다연형나사식 터미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손잡이를 상기 본체플레이트에 일체로 구비한 통형상의 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부터 각각 돌출시킴과 동시에 해당 회전손잡이를 해당 하우징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여, 해당 회전손잡이의 중심에 관통개구시킨 막대형 콘택트삽통공에 상기 막대형 콘택트를 해당 회전손잡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저부에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시키고, 해당 터미널플레이트의 암나사구멍에 상기 나사축부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 막대형 콘택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축부가 터미널플레이트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선협지부가 터미널플레이트와의 대향방향에 진퇴동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부의 상단부를 본체플레이트 표면측에 튀어나오게 설치시킴과 동시에, 해당 하우징부의 밑바닥측을 상기 본체플레이트의 이면측에 개방시켜, 해당 하우징부의 저부에 본체플레이트의 이면측에서부터 삽입한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하게 되는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터미널플레이트는, 주위에 복수의 이탈방지용 스프링편을 일체로 가지고, 본체플레이트 배면측에서부터 하우징부내에 압입되어짐으로써, 상기 이탈방지용 스프링편이 하우징부 내면에 구비된 걸림단부에 걸리도록 한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회전손잡이는 그 기부끝단부분 외주에 이탈방지용의 돌출부를 일체로 가지고, 해당 돌출부를 하우징부의 상단부 개구연부 내측에 맞물리게 하여 돌출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하여 이탈방지시킴으로써, 해당 회전손잡이의 저면을 본체플레이트의 뒷쪽에서부터 삽입한 터미널플레이트부의 상면측에 일체로 튀어나오게 설치한 손잡이스토퍼편을 구비하여, 해당 스토퍼편에 의해 상기 회전손잡이의 압입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KR1020007005587A 1999-10-12 2000-03-21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KR100340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89003 1999-10-12
JP28900399A JP2001110474A (ja) 1999-10-12 1999-10-12 多連型ネジ式ターミナル装置
PCT/JP2000/001699 WO2001028045A1 (fr) 1999-10-12 2000-03-21 Borne du type a vis multip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688A KR20010078688A (ko) 2001-08-21
KR100340736B1 true KR100340736B1 (ko) 2002-06-20

Family

ID=1773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587A KR100340736B1 (ko) 1999-10-12 2000-03-21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1110474A (ko)
KR (1) KR100340736B1 (ko)
CN (1) CN1130804C (ko)
TW (1) TW437131B (ko)
WO (1) WO2001028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6788B2 (ja) * 2009-10-29 2011-11-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ユニット
KR102029968B1 (ko) * 2018-04-19 2019-10-08 (주)대영엔지니어링 단선방지 복합 단자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462B2 (ja) * 1995-08-11 1999-10-2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ジャック板
US5664971A (en) * 1996-08-01 1997-09-09 Coy; John W. Terminal binding p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6121A (zh) 2001-10-03
KR20010078688A (ko) 2001-08-21
TW437131B (en) 2001-05-28
CN1130804C (zh) 2003-12-10
JP2001110474A (ja) 2001-04-20
WO2001028045A1 (fr) 200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1665A (en) Cam lock connector
EP1139509B1 (en) Terminal connector
JP2736697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
KR100340738B1 (ko)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JPH11273764A (ja) ねじ接続部を持つコンタクト部材
KR100340736B1 (ko)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JPH0711409Y2 (ja) 接続装置
KR100340737B1 (ko) 다연형 나사식 터미널장치
US5593315A (en) Connector readily assembled with a cable accurately positioned without using tools
JP3487104B2 (ja) ブレーカ装置
JP6095180B1 (ja) コネクタ
JP2860865B2 (ja) コネクタの端子固定装置
JPH0722133A (ja) ランプソケット
JP4485450B2 (ja) 端子台装置
KR101011351B1 (ko) 커넥터 장치
JP4232959B2 (ja) ツマミ、ターミナル端子、および電子機器
US1103544A (en) Electrical binding-screw or terminal.
JPH08130041A (ja) 端子装置
US865761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S601497Y2 (ja) 同軸プラグ
JP5060271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5054504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H09102356A (ja) ゴム栓装着具
JP2004127823A (ja) 端子コネクタ
JP309299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