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712B1 -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712B1
KR0149712B1 KR1019940005891A KR19940005891A KR0149712B1 KR 0149712 B1 KR0149712 B1 KR 0149712B1 KR 1019940005891 A KR1019940005891 A KR 1019940005891A KR 19940005891 A KR19940005891 A KR 19940005891A KR 0149712 B1 KR0149712 B1 KR 014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circuit board
contact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377A (ko
Inventor
슈 오바라
사또시 모리
Original Assignee
사까이 히데끼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까이 히데끼,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까이 히데끼
Publication of KR95002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소형화가 가능하고 신뢰성이 높고, 그리고 피치 변환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로기판(Q)상에 부착되는 제1커넥터(10)와 이 제1커넥터(10)에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하기 위하여 판상으로 돌출시키는 결합부(31)가 설치된 제2커넥터(10)의 결합오목부(12)에 삽입 이후에 이 결합부(31)를 회전운동하여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접촉자(20,21과 33,34,35,36)의 대응접촉부 끼리를 탄압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기 제2의 커넥터(30)의 복수의 접촉자(33,34,35,36)의 대응접촉부 끼리를 탄압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기 제2의 커넥터(30)의 복수의 접촉자(33,34,35,36)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촉부에 있어서의 배열피치와 타탄부의 배열피치가 상이하다

Description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결합부의 삽입시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커넥터의 접촉자만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커넥터의 결합부의 결합완료시의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커넥터의 사용시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다른 종래의 커넥터의 사용시의 개요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커넥터 11 : 하우징
12 : 결합오목부 17 : 안내면
18 : 규제면 20,21,33,34,35,36 : 접촉자
20A,21A,33A,34A,35A,36A : 접촉부 20C,21C : 접속부
30 : 제2커넥터 31 : 결합부
Q : 회로기관
본 발명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것으로, 특히 접촉자측의 일단측에 형성된 접속부에서 외부부재에 접속되고, 접촉자의 타단측에 형성된 접속부에서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이 커넥터의 접속부와의 결선으로 인해 회로기판에 형성된 회로부의 배열피치와, 외부부재가 접촉 접속되는 상기 접촉자의 접촉부의 배열피치가 상이한 이른바 피치 변환을 수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전기 커넥터로서는 예를들면 제4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있다. 제4도에 있어서 부호51은 회로기판이며 상부면에는 커넥터의 접촉자의 접속부와의 결선을 위한 회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51) 위에는 커넥터(5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커넥터(52)는 외부부재 예를들면 도시한 예에서는 2매의 카드(53)를 받아들이도록 되어있다. 상기커넥터(52)의 복수의 접촉자는 상하 2단에있어서(紙面)에 직각방향으로 복수위치에 배열되고 일단부(도시하지 않음)가 하우징(52A)의 내부에서 상기 카드(53)의 대응회로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있고, 타12단부(54)가 하우징(52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52A)에는 한쌍의 커넥터 (56A,56B)로 이루어지는 변환 커넥터(56)의 일측의 커넥터(56A)가 하면에 부착된 보조(子)기판(55)이 단부에서 발츨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있다. 이 일측의 커넥터(56B)와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보조기판(55)의 양면에는 상기 커넥터의 상하부 접촉자의 타단부(접속부)(54)와, 상기 커넥터(56A) 접촉자의 접속부를 각각 대응시켜 접속한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52) 접촉자의 타단부(54)의 배열피치, 즉 카드(53)의 접촉부의 배열피치와는 상이하게 되어있다. 통상 전자는 성기게, 그리고 후자는 조밀하게 되어있다.
사용시에는, 회로기관(51)에 변환커넥터의 일측 커넥터(56B)를 납땜등(도면중에서, 반원부분으로 표시된 위치)으로 결선하는 한편, 커넥터(56A)를 보조기판(55)에 납땜 등으로 결선한 후에 이 보조기판(55) 접촉자의 타단부(54)를 상기 보조기판(55)에 납땜 등에 의해 결선한다. 그런후에, 한쌍의 커넥터(56A,56B)를 결합한다. 이렇게 해서, 카드(53)와 회로기판(51)의 회로부의 배열피치가 상이하더라도 서로 접속이 가능케 된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은 전기커넥터도 알려져 있다.
이 커넥터는 제4도에 도시된 것에 비해, 2매의 카드를 위한 커넥터(62)가 62A,62B 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는 점과, 보조기판(65)이 플렉시블하게 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다르다. 또 이에 더하여, 하측의 커넥터(62B) 접촉자의 타단부(64B)가 상기 보조기판(65)에서는 없고, 회로기판(61)에 직접 결선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5도의 전기 커넥터의 사용시에는, 제5도의 상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커넥터(56) 중의 일측 커넥터(56A)가 납땜등으로 결선된 보조기판(65)에는 상방의 커넥터(62A) 접촉자의 타단부(64A)를 납땜 등으로 결선한다. 한편 동일도면의 상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의 커넥터(62B)는 회로기판(61)의 회로기판(61)에 부착되고, 접촉자의 타단부(64B)가 회로기판(61)의 회로부에 납땜 등으로 결선된다. 그런후, 한쌍의 변환 커넥터(64A,64B)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을 전기 커넥터는 외부부재인 카드 접촉부의 배열피치와 회로기판 회로부의 배열피치가 상이하더라도 변환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되므로 편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납땜 등에 의한 결선의 장소가 너무 많아,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동시에, 납땜 결선 불량이 생길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 보조기관을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대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하측의 커넥터의 접촉자의 타단부가 그늘에 가려지므로, 여기서 납땜 결선 불량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변환 커넥터를 서로 떼어낸 상태에서 개수하는 납땜 결선을 하여야 하지만, 특히 제4도의 경우, 보조기판이 플렉시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어려워진다.
이에 더하여 보조기판을 필요한 부피 만큼 전체 부피가 대형으로 되어버리는 등 여러가지 분제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전기 커넥터가 갖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소형화와 저 가격화가 가능하고 작업이 간단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신뢰성이 높을 회로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는 제1커넥터와, 이 제1커넥터에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하기 위하여 판상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설치된 제2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1커넥터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결합부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결합 오목부가 절연 하우징에 개구 형성되고, 이 결합 오목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배열된 제2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접촉자의 일단부인 접촉부가 열을 이루어 설치되고, 이 복수의 접촉자의 타단부인 접속부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여 회로기판의 대응회로부에 결선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커넥터는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접촉자의 일단부인 접촉부가 상기 판상의 결합부의 면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대응 접촉자의 접촉부와 접촉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의 결합 오목부에의 삽입후에 이 결합부를 회전운동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접촉자의 대응 접촉부끼리를 탄성눌림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커넥터의 복수의 접촉자의 타단부가 외부부재와 접속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제2의 커넥터의 복수의 접촉자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촉부에 있어서의 배열 피치와 타단부의 배열피가 상이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① 먼저, 제1커넥터를 회로기판상에 배치하고 이 제1커넥터의 접촉자의 타단부에 형성된 접속부를 회로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등에 의해서 결선한다.
② 납땜등에 의해 결선이 끝난 상기①의 제1커넥터의 결합 오목부내에 제2커넥터의 결합부를 삽입한 후에, 이 제2커넥터를 회전운동시켜, 이 결합부에 대하여 제1커넥터의 접촉자의 접촉부를 탄성눌림으로 접촉시킨다.
③ 그런후에 상기 제2커넥터에 소정의 외부 부재를 접속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의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가지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1은 제1커넥터(10)를 위한 절연 하우징이며, 절연재료를 몰드성형하여 형성되어진다. 이 하우징(11)은, 제1도에 있어, 그 단면이 거의 정방형을 이루고 있으나. 통상, 동일 도면에서 지면에 직각 방향(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한다.
상기 하우징(11)에는 전방(우측)으로 향하여 개구된 결합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오목부(12)는 양단 벽의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그의 상하 내면에는 접촉자를 삽입하기 위하여 전후(좌우)로 뻗는 복수의 홈(13,14)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내면의 홈(13)은 상기 결합 오목부(12)에 개구하여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좌측)으로 관통하여 형성 되어 있다. 또 하부 내면의 홈(14)은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이 홈(14)과 평행하게 형성된 맞물림 홈(15)과 개구측에서 연통하고있다.
상기 결합 오목부(12)의 길이 방향 바닥부에는 후술하는 제2커넥터(30)의 결합부(31)의 이 결합 오목부(1)에의 삽입깊이를 정하는 맞닿는면(16)과 이 맞닿는면(16)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뻗는 안내면(17)을 갖고 있다. 이 안내면(17)은 상기 결합 오목부(12)의 개구부의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결합부(31)의 삽입후의 회전운동각을 규제하는 (18)과 동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안내면(17)은 이 규제면(18)의 연장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결합 오목부(12)의 개구부의 상부 내면에는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결합부(31)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테이퍼상의 입구안내면(19)이 형성되어있다. 이 입구 안내면(19)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이 입구 안내면(19)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때에는, 상기 결합부(31)를 제1도와 같이 비스듬이 삽입할 때에, 상기 결합 오목부(12)의 높이방향의 폭(상부 내면과 하부 내면과의 사이의 거리)을 충분히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크기가 대형으로 되어 버리므로 상기 입구 안내면(1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14)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는 하부 접촉자(20)는 도전재료로서의 금속 평판부재를 퍼칭하여 만들어져 있고, 제2도에도 볼수 있듯이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서 그의 선단에서 상기 결합부(31)의 대응접촉자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손가락 형상으로 탄성을 갖는 접촉부(20A)와, 그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맞물림홈(15)에 압입되는 맞물림부(20B),하우징(11)밖에 있으며 이 하우징(11)의 바닥면의 연장면 보다도 약간 돌출하여 위치하는 접속부(20C)를 갖고 있다. 이 하부 접촉자(20)는 제2도와 같은 피치(p)로 평행하게 복수 배열되어 있다.
홈(13)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는 상부 접촉자(21)(제2도 참조)도 상기 하부 접촉자(20)와 동일하게 금속평판 부재를 펀칭하여 만들어져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촉자(20)와 동일 평면상에서, 하부 접촉자(20)의 경우와 동일한 피치(p)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이 상부 접촉자(21)는 상기 하부 접촉자(20)의 접촉부(20A)와는 반대 방향으로 만곡하여 탄성을 갖는 손가락 형상의 접촉부(21A)와, 중간부에 형성되어서 하우징의 후부 개구에 맞물리는 맞믈림부(21B)와, 하우징(11)밖에 있으며 이 하우징(11)의 바닥면의 연장면보다도 약간 하방으로 돌출하여 위치하는 접속부(21C)를 갖고 있다.
상기 하부 접촉자(20)의 접촉부(20A)및 상부 접촉자(21)의 접촉부(21A)의 각 선단끼리는, 제1도에서, 결합부(31)를 삽입할때의 이 결합부(31)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이 판 두께와 거의 같게 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의 바닥면에는 회로기판(Q)등의 부착공(도시하지 않음)에 삽입하여 위치 결졍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커넥터(10)에 끼워지는 제2커넥터(30)는 절연재료로 성형되어 상기 결합부(31)를 유지하는 하우징 분체(32)에, 도전재료인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상부 접촉자(33,34)및 하부 접촉자(35,36)가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32)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지면에 직각방향의 양단부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측벽부(37)를 가지며, 상기 제1커넥터(10)에 끼워넣을 때의 안내가 이 측벽부(37)에서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양측벽부(37)는 이 제 2 커넥터(30)의 상기 제 1 커넥터(10)에 끼워지는 방향의 중간부에서 접촉자 유지부(3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하우징 본체(32)는 이 접촉자 유지부(38)의 전방(도면에서 좌측)에서 상하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접촉자 유지부(38)의 전면에는 판상으로 형성된 상기 결합부(31)의 후단부(31A)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입 오목부(39)가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1)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선단 하면에 경사면(31B)을 가지며, 상하면에는 후술하는 상부 및 하부 접촉자(33,34), 그리고(35,36)의 접촉부(33A,34A)그리고(35A,36A)를 삽입한기 위한 홈(40,41)이 각각 전후로 연장하도록 상기 접촉자(33,34)의 수만큼 지면에 직각 방향의 복수 위치에 피치(p)를 가지고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30)의 상부 접촉자(33,34)및 하부 접촉자(35,36)는 하우징 본체(32)의 접촉자 유지부(38)에 형성된 상기 수입 오목부(39)의 상방 및 하방위치에서 동일면(지면에 평행하면)에서 4단을 이루도록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접촉자(33,34)및 하부 접촉자(35,36)는 제1도에서 크랭크 형태로 굴절되어 있고, 전방부분이 접촉부(33A,34A), 그리고 후방부분이 외부 부재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33B,34B)그리고(35B,36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한쪽의 상부 접촉자(33)는 제2도에 있어서, 후방부분의 접속부(33B)가 전방부분의 접속부(33A)에 대하여 피치 방향으로 반 피치(p/2)만 일측으로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으며, 또 다른 쪽의 상부 접촉자(34)는 후방부분의 접속부(34B)가 전방부분의 접촉부(34A)에 대하여 반 피치(p/2)만 상기 접촉자(33)의 경우에 비하여 반대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따라서, 제1도에 표시되는 1쌍의 상부 접촉자(33,34)의 접속부(33B,34B)가 동일면에 있으면서 접촉부(33A,34A)가 1피치(p)만 어긋나 있다. 즉, 접촉부(33A,34A)가 제1커넥터(10)의 상부 접촉자(21)와 동일피치(p)로 배열되면서, 접속부(33B,34B)에서는 2배의 피치(2p)로 배열되도록 되고, 여기서 피치의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제2커넥터의 하부 접촉자(35,36)도, 상기 상부 접촉자(33,34)의 경우와 동일하게 피치 변환이 행하여 지고 있다(제2도 참조).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먼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를 회로기판(Q)의 소정위치에 배치하고 이제1커넥터(10)의 고정 돌출부(도시하지않음)을 회로기관(Q)의 부착공(도시하지 않음) 삽입하여 위치를 정한다. 상부 접촉자(21)및 하부 접촉자(20)의 접속부(21C)및 (20C)는 각각 회로기판(Q)의 대응회로부(도시하지않음)와 접촉하도록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21C)및 (2ㅐC)를 회로기판(Q)의 대응회로부와 납땝 결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에 제 2 커넥터(30)를 결합하지만, 먼저 상기 제 2 커넥터(30) 결합부(31)의 하면측의 사면(31B)을 제1커넥터(10)의 하부 접촉자(20)측으로 하여 상기 결합오목부(12)에 삽입한다. 상기 결합부(31)는 하우징(11)의 입구 안내면(19)에 의해, 상부면이 안내되면서, 하부 접촉자(20) 및 상부 접촉자(21)와의 비접촉 혹은 극히 가벼운 접촉하에 제 1 도와 같이 진입하고, 동일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31B)이 안내면(17)에 도달한 후, 이 안내면(17)상을 활주하여 선단이 맞닿는면(16)과 맞닿아, 삽입이 완료한다.
다음에,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1)를 즉, 제 2 커넥터(30)를 하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수평한 소정위치로 가져오게 한다. 이 소정위치에서 결합부(31)는 제1커넥터(10)의 하우징(1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와 맞물려 그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해서 상기 제 2 커넥터(30)의 결합부(31)상의 상부 접촉자(33,34)및 하부 접촉자(35,36)의 접촉부(33A,34A) 및 (35A,36A)는 제1커넥터(10)의 하부 접촉자(20) 및 상부 접촉자(21)의 접촉부(20A) 및 (21A)를 밀어 확장하도록 하여, 이들의 접촉부(20A,21A)와 탄성눌림으로 접촉하게 되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회전운동시, 결합부(31)는 이 결합부(31)가 과도하게 회전운동되려고 하더라도 그의 하면이 하우징의 규제면(18)과 맞닿으므로, 상기 접촉자(20,21)를 과대하게 밀어서 확장시켜서 이들에게 소성변형을 가져오게 하거나, 손상을 주는 일은 없다.
그후에, 상기 제 2 커넥터(30)에 대하여, 이 제 2 커넥터(30)의 접촉자(33,34) 그리고(35,36)의 접속부(33B,34B) 그리고(35B,36B)에 외부 부재인 카드 또는 다른 결선이 끝난 커넥터를 결합 시키거나 혹은 케이블을 직접 결선한다. 이렇게해서 외부 부재와 회로기판은 피치변환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커텍터의 결합부가 하우징 본체와 별개로 형성되어서 서로 조립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 결합부는 하우징 본체에 헐겁게 끼워져서 접촉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압입되어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제1커넥터에 대하여, 피치 변환을 하여 외부 부재를 수용하는 제2커넥터를 직접 결합할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많은 납땜 결선을 수반하는 보조기판을 개재시키는 일이 없이, 납땜 장소의 수가 적어져서 작업이 간단화되어 신뢰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감소시켜 비용의 절감이 도모되고, 더 나아가서는 장치의 소형화가 실현된다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는 제1커넥터와, 이 제1커넥터에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판상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설치된 제2커넥터를 가지며, 제1커넥터에는 제2커넥터의 상기 결합부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결합오목부가 절연하우징에 개구 형성되고, 이 결합오목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배열된 제2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자의 일단부인 접촉부가 열을 이루고 설치되고,이 복수의 접촉자의 타단부인 접속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하여 회로기판의 대응회로부에 결선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커넥터는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접촉자의 일단부인 접촉부가 상기 판상의 결합부의 면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대응접촉자의 접촉부와 접촉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의 결합오목부에의 삽입후에 이 결합부를 회전운동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접촉자의 대응접촉부 끼리를 탄성눌림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커넥터의 복수의 접촉자의 타단부가 외부부재와 접속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제2커넥터의 복수의 접촉자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촉부에 있어서의 배열피치와 타단부의 배열피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2커넥터의 겹합부는 이 제2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삽입발출이 자유롭게 되어 있고, 이 결합부의 표면에 이 제2커넥터의 복수의 접촉자의 일단부인 접촉부는 각각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합부가 일측 면에 선단면을 끝을 가늘게 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결합오목부의 내부면 부분에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을 삽입안내하는 안내면이, 상기 삽입 후에 회전운동된 결합부의 과도한 회전운동의 규제를 위한 규제면과 거의 연장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9940005891A 1994-01-11 1994-03-23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KR0149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12248 1994-01-11
JP6012248A JP2814446B2 (ja) 1994-01-11 1994-01-11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377A KR950024377A (ko) 1995-08-21
KR0149712B1 true KR0149712B1 (ko) 1998-10-15

Family

ID=1180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891A KR0149712B1 (ko) 1994-01-11 1994-03-23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62461A (ko)
EP (1) EP0662734B1 (ko)
JP (1) JP2814446B2 (ko)
KR (1) KR0149712B1 (ko)
DE (1) DE6950081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913A (en) * 1995-06-15 1998-11-24 The Whitaker Corporation Edge connector having latches for multiple daughter boards
US5791925A (en) * 1996-06-28 1998-08-11 Berg Technology, Inc. Card edge connector
US6095827A (en) * 1996-10-24 2000-08-01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 isolating solder tail
US6012952A (en) * 1997-08-13 2000-0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lanted connector
FR2771197B1 (fr) * 1997-11-19 2000-01-07 Sagem Support de connecteur de carte electronique
US6014809A (en) * 1998-03-03 2000-0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ircuitizing over an edge of a circuit card
MY123239A (en) * 1998-12-18 2006-05-31 Molex Inc Card-receiving connector with grounding terminal
US6394823B1 (en) 2000-05-26 2002-05-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terminals having increased capacitance
CN103579886B (zh) * 2012-07-26 2016-01-20 宏致电子股份有限公司 连接器的制造方法
CN203521687U (zh) * 2013-09-27 2014-04-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端子及包括有该端子的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6933A3 (de) * 1980-03-28 1981-12-02 Bohdan Ulrich Steckverbinder und Verwendung desselben zur Herstellung einer lösbaren elektrischen Verbindung
US4420211A (en) * 1981-08-10 1983-12-13 Belden Corporation Flat electrical cable splicer
US4577922A (en) * 1985-04-04 1986-03-25 Molex Incorporated Laminated electrical connector arrangement
JPH059827Y2 (ko) * 1986-05-02 1993-03-10
US4773876A (en) * 1986-06-02 1988-09-27 Hirose Electric Co., Ltd. Multi-conductor flat c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tion method thereto
JPS6456152U (ko) * 1987-10-01 1989-04-07
US4941830A (en) * 1988-08-01 1990-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Edge design for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JP2704300B2 (ja) * 1989-10-06 1998-01-2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エッジ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US4995828A (en) * 1990-04-12 1991-02-26 Itt Corporation Connector for paired wire cable
US5316486A (en) * 1990-05-29 1994-05-31 Kel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film circuitry
US5156553A (en) * 1990-05-29 1992-10-20 Kel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film circuitry
JP2563626Y2 (ja) * 1991-07-19 1998-02-25 ケル株式会社 サーフェスマウント式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2734A1 (en) 1995-07-12
KR950024377A (ko) 1995-08-21
DE69500815D1 (de) 1997-11-13
JPH07211402A (ja) 1995-08-11
EP0662734B1 (en) 1997-10-08
JP2814446B2 (ja) 1998-10-22
US5562461A (en) 1996-10-08
DE69500815T2 (de) 199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7873C (zh) 印刷电路板的嵌入式连接器
US799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00081334A1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US7070456B1 (en) Battery connector
KR20000076849A (ko) 전기커넥터
KR0149712B1 (ko)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KR860003183Y1 (ko) 멀티콘넥터
US5236372A (en) No-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US6062871A (en)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
US7976345B2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344048B1 (ko) Pga 패키지용의 점검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H0728291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8033834B2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with twisted arm
JP3965380B2 (ja) オス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オスコネクタ
KR20050004200A (ko) 전기 커넥터
EP0944135B1 (en) Terminal structure of connector
GB2239135A (en) Mechanical retain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04540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olded electrical contacts
KR20020081103A (ko)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US6007374A (en) Connector socket
US746796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97689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mating contact and a connection object
US6213807B1 (en) ZIF socket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6022242A (en) Connector used for flexible flat cable
CN221305077U (en) Improved generation binding p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