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183Y1 - 멀티콘넥터 - Google Patents

멀티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183Y1
KR860003183Y1 KR2019820009442U KR820009442U KR860003183Y1 KR 860003183 Y1 KR860003183 Y1 KR 860003183Y1 KR 2019820009442 U KR2019820009442 U KR 2019820009442U KR 820009442 U KR820009442 U KR 820009442U KR 860003183 Y1 KR860003183 Y1 KR 860003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contacts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444U (ko
Inventor
미쯔오 호시노
오사무 후쿠시마
도시오 가꾸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도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도오루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4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4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콘넥터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콘넥터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멀티콘넥터의 저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멀티콘넥터의 일부를 절단한 정면도.
제 5 도는 제 1 및 제 2 블록과 제 3 블록과의 합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이들 블록 일단부의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제 1 블록에 접점 및 단자를 일체로 지지시키는 작업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 1 의 블록 (12) : 제 2 의 블록
(13) : 삽입홈구 (141)~(14n), (151)~(15n) : 안내홈
(17) : 제 3 의 블록 (251)(252) : 결합돌조
(261)~(26n),(271)~(27n) : 접점 (181)(182) : 지지체
본 고안은 다수의 접점을 수용한 멀티콘넥터, 특히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된 멀티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멀티콘넥터는 직방체 형상의 절연재의 몸체의 일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대 콘넥터가 삽탈되는 삽입홈구가 형성되고, 그 삽입홈구내에 다수의 접점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열지지되어 있다.
종래에는 몸체내에 각 접점열의 접점수용부가 형성되고, 접점 및 그 단자가 소정의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태로 각 접점수용부에 몸체의 앞면 또는 배면에서 각각 삽입되어서 지지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접점을 한개씩 삽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형으로 제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또 생산을 자동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단자가 다른 전기적 배선을 납땜할 때에 그 땜납찌꺼기가 단자 삽통 구멍을 통해서 몸체내에 들어가 이것이 접점까지 도달되면 상대 콘넥터와의 전기적 접촉이 손상된다. 이와 같은 일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몸체의 단자도출부를 접착제로 밀봉할 필요가 있으며, 그만큼 제조공정수가 많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멀티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생산을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가 있는 멀티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땜납찌꺼기가 접점에 솟아오르지 않고, 또한 생산이 용이한 멀티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는 제 1, 제 2 3 및 제 3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제 2 블록은 그 양단부가 서로 접합되고, 이들 양단부 사이에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대 콘넥터의 삽탈용의 삽입홈구가 구성된다. 제 3 블록은 그 삽입홈구의 상대콘넥터 삽탈쪽과 반대쪽에 감합되어서 이것을 막음과 동시에 제 1, 제 2 블록의 접합상태를 합체수단에 의해서 지지한다. 삽입홈구내의 제 1, 제 2 블록의 적어도 한편의 내면에 상대 콘넥터 삽탈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안내홈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열·형성되고, 이들 안내홈에 각각 접점이 배설되고, 이들 접점은 그 안내홈이 형성된 블록에 지지된다. 또 접점과 일체로 구성된 단자가 그 접점지지블록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삽입홈구내에서 접점의 유단부(游端部)는 제 3 블록의 결합수단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서 그 접점을 지지하고 있는 블록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기력이 부여된다. 즉 상대콘넥터가 삽입되었을 때에 그 상대콘넥터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예비압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몸체가 제 1, 제 2, 제 3 블록의 결합으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또는 및 제 2 블록에 접점 및 그 단자가 되는 탄성도전선을 일체로 성형한 후 이들 탄성도전선을 동시에 절곡 가공해서 접점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접점을 부착한 블록을 결합시켜서 콘넥터로 함으로서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한 접점 및 그 단자를 몸체내에 하나하나 삽입지지시키는 것과 같은 번잡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멀티콘넥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의 전기절연재로 대체로 직방체형상의 제 1 의 블록(11)이 형성된다(제 5 도 참조). 이 제 1 의 블록(11)의 양단부에 동일방향으로 판면에 대해서 직각으로 굴곡되어서 굴곡부(11A)(1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의 블록(11)에 대해서 이들의 굴곡부(11A)(11B)에서 접해서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제 1 의 블록(11)과 같은 길이의 직방체 형상의 제 2 의 블록(12)이 착설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을 서로 대접 배설한 상태에서 이들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 사이에는 상대 콘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구(13)가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게 된다.
제 1 도,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삽입홈구(13)내에서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에 상대콘넥터의 삽탈방향으로 연장된 안내홈(141)(142)……(14n),(151)(152)……(15n)이 각각 블록(1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열 형성된다. 안내홈(141)~(14n), (151)~(15n)의 각 인접하는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과 일체로 리브(311)~(31n-1), (321)~(32n-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안내홈(141)~(14n), (151)~(15n)은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또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삽입홈구(13)로의 상대콘넥터 삽탈면, 즉 앞면(11a)(12a) 위에도 연장 형성되고, 그 연장단은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서로의 외측면(11b)(12b)에 달하고 있다.
제 3 도에 있어서 (14p)(및 15p)로 표시되는 각 안내홈은 상대 콘넥터의 삽탈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얕은 부분과 앞면(11a)(및 12a)에서 보아서 이 얕은 부분보다 먼 곳에서 외측면(11b)(및 12b)을 향해서 깊게 되어 공간(33p)(및 34p)을 형성하는 깊은 부분을 가지고, 상대 콘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이 공간내에서 접점(26p)(및 27p)의 유단부가 인접하는 리브의 내벽에 안내되어서 외측면(11b)(및 12b)을 향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양단부의 서로 외부쪽의 모서리부에 감합오목부(351)(352) 및 (361)(362)(여기에서 (351)(352) 및 (362)는 (361)과 동일하므로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음)이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을 서로 당접하면 그들 양단에 T자형상의 돌출면을 구성한다.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에 대해서 그 배면쪽에서 감합장착 가능하게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의 전기절연재로 판형상의 제 3 의 블록(17)이 형성된다. 제 3 의 블록(17)의 양단부쪽에는 제 1 도, 제 4 도,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판면과 직각방향으로 동일방향으로 판형상의 지지체(181)(18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지지체(181)(182)의 대향면의 양측부에는 제 1, 제 2 의 블록(11)(12)에 형성되어 있는 감합오목부(351)(352) 및 (361)(362)와 각각 감합가능한 안내볼록수(201)(202) 및 (211)(212)[(201)(202)는 (211)(212)과 동일하므로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볼록부(201)(202) 및 (211)(212)의 정상부에는 감합돌출부(221)(222) 및 (231)(23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T자형상 돌출면의 양 날개부에 형성된 감합홈 (281)(282) 및 (291)(292)[(291)(292)와 (281)(282)는 동일하므로 도시하지 않음]에 감합되고, 그것에 의해서 지지체(181)(182)가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단부로부터 외부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제 3 의 블록(17)의 지지체(181)(182) 돌출부쪽의 판면에는 그 길이방향의 대체로 전체길이에 걸쳐서 서로 평행으로 연장된 결합돌조(251)(2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조(251)(252)의 간격은 삽입홈구(13)의 폭과 대체로 일치된다.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의 블록(17)은 제 1, 제 2 의 블록(11)(12)의 배면쪽에서 삽입홈구(13)쪽의 폭이 확대되어서 결합돌조(251)(252)의 부분이 감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그 배면쪽에 각각 단부(101)(102)가 형성되고, 제 3 의 블록(17)의 결합돌조(251)(252)의 외부쪽의 부분, 즉 어깨부(91)(92)가 이 단부(101)(102)와 각각 결합하도록 된다.
박판 띠형상의 탄성도 전재로 형성되는 접점(261)~(26n) 및 (271)~(27n)이 각각 제 1 의 블록(11) 및 제 2 블록(12)의 안내홈(141)(142)……(14n) 및 (151)(152)……(15n)에 배설된다. 이들 접점(261)~(26n) 및 (271)~(27n)의 앞쪽 단부는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각 앞면(11a)(12a)쪽의 연장된 안내홈(141)~(14n) 및 (151)~(15n) 속으로 들어가도록 서로 외부쪽으로 절곡되고, 또한 측면(11b)(12b) 근처에서 되꺾여서 각각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내에 매립되어서 배면으로부터 블록밖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위치에서 서로 외부쪽과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서 단자(461)~(46n) 및 (471)~(47n)가 된다.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26p) 및 단자(46p)(p=1,2…n)가 일체가 되게 직선형으로 된 것과 제 1 의 블록(11)을 모울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그 후 그 앞쪽 돌출부를 안내홈(14p)에 따르도록 뒤집듯 절곡 가공해서 접점(26p)으로 한다. 절곡된 접점(26p)은 앞면(11a)으로부터 떨어져 나감에 따라 안내홈(14p)의 얕은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각도를 이루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공간(33p)내로 인도되어 있다. 접점(26p)의 유단부는 제 3 의 블록(17)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다. 접점(26p)쪽의 단부를 모울드 전에 제 6 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절곡 가공해 놓고, 접점(26p)의 앞쪽 돌출부를 대응하는 안내홈(14p)의 외주를 따라서 압압해서 절곡하고, 그 후 압압을 해방해서 접점의 탄성에 의해서 제 3 도에 나타낸 상술한 형상의 접점(26p)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의 블록(12)에 접점(27p)을 지지시킨다.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을 그 굴곡부(11A)(11B)의 단면을 접합시켜서 결합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구성된 삽입홈구(13)의 배면쪽에 제 3 의 블록(17)의 결합돌조(251)(252)를 접점(261)~(26n), (271)~(27n)의 각 유단부가 그 결합돌조(251)(252)에 당접 결합되도록 해서 감함시키고, 결합돌조(251)(252)의 어깨부(91)(92)를 블록(11)(12)의 단부(101)(102)와 각각 결합시킨다. 동시에 제 3 의 블록(17)의 안내볼록부(201)(202) 및 (211)(212)를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감합오목부(351)(352) 및 (361)(362)에 각각 감합시키고, 이들 안내볼록부의 정상부에 형성된 감합돌출부(221)(222) 및 (231)(232)를 감합홈(281)(282) 및 (291)(292)에 감합시켜서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양단부가 블록(17)의 지지체(181)(182) 및 안내볼록부(201)(202) 및 (211)(222)에 의해 각각 협지되도록 해서 제 1, 제 2 및 제 3 의 블록(11)(12) 및 (17)을 서로 합체시킨다. 즉,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양단부는 각각 볼록부(201)(202)에 의해서, 또 (211)(212)에 의해서 양쪽에서 협지된다. 제 1, 제 2 및 제 3 의 블록(11)(12)(17)의 각 접함면은 예를 들면 초음파 접합에 의해서 서로 완전하게 고착할 수가 있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의 블록(11)(12)(17)을 합체할 때에 접점(261)(271)(262)(272)……의 각 유단부를 서로 당접하는 방향으로 넓혀서 이들 사이에 제 3 의 블록(71)의 결함돌조(251)(252)를 위치시키고, 결합돌조(251)(252)에 접점(261)~(26n), (271)~(27n)의 유단부가 탄성적으로 당접하도록 한다. 접점(26p)(27p)의 유단부의 간격이 서로 벌어지는 동작이 제한되지 않도록 안내홈(14p)(15p)은 각각 측면(11b)(12b)쪽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홈구(13)의 중간부에 역삽입방지돌기(30)가 형성되고, 이것은 예를 들면 제 1 의 블록(11)과 일체가 되게 형성된다. 역삽입방지돌기(30)로부터 굴곡부(11A)(11B)에서 제한되는 삽입홈구(13)의 양단까지의 거리를 다르게 해서, 즉 좌우대칭으로 하여 상대 콘넥터를 삽입홈구(13)에 삽입할 때에 그 앞뒤를 반대로 하면 삽입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멀티콘넥터에 있어서는 접점(261)~(26n) 및 (271)~(27n)는 각각 제 1, 제 2 의 블록(11)(12)에 지지되고, 이들 블록(11)(12)을 서로 접합하므로서 삽입홈구(13)가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 6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점(261)~(26n), (271)~(27n)을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에 모울드에 의해서 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 접점을 1개씩 몸체의 작은 구멍에 삽입할 경우와 비교해서 접점의 간격을 작게 할 수가 있고, 멀티콘넥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한 블록과 접점 및 단자를 일체로 성형할 경우에 예를 들면 단자의 유단부를 이것과 직각인 연결아암으로 연결해 놓으면 접점 사이를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일정하게 지지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단자를 모울드형틀내에 간단하게 지지할 수가 있어 용이하게 모울드를 행할 수가 있으며, 그 후의 이들 접점을 소정의 형상으로 동시에 절곡가공할 수 있고, 이 가공을 다시 블록의 결함 등 모든 것을 자동화할 수가 있다.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에 접점 및 그 단자를 모울드에 의해서 일체로 지지할 경우에 한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에 각각 접점과 대응해서 형성한 작은 관통구멍에 탄성도 전선을 각각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통 고정한 후 이들 탄성도전선을 동시에 되꺾어서 접점(26p)(27p)을 형성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도 자동조립을 행하도록 할 수가 있으며, 또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한 접점 및 단자를, 몸체내에 삽입 지지하는 종래의 것보다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 접점(261)~(26n) 및 (271)~(27n)의 유단부가 결합돌조(251)(252)와 탄성적으로 결합해 놓고, 즉 예비 압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홈구(13)로부터 삽입되는 상대 콘넥터의 각 대응하는 접점에 대해서 각각 충분한 접촉압력으로 접점(261)~(26n), (271)~(27n)과 양호하게 접촉시킬 수가 있다. 또 제 1 의 블록(11)의 굴곡부(11A)(11B)의 단부면을 제 2 의 블록(12)에 접합시키고, 또한 제 3 의 블록(17)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의 양단부를 협지 고정함으로서 삽입홈구(13)의 폭이 소정치가 되어 이 점에서도 삽입되는 상대 콘넥터와의 접촉이 양호하게 일정한 것이 얻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의 블록(11)(12)에 접점(261)~(26n), 그 단자(461)~(46n) 및 접점(271)~(27n) 및 그 단자(471)~(47n)를 모울드로 일체가 되게 지지할 경우는 이들 단자에 대해서 납땜을 해도 그 땜납찌꺼기가 삽입홈구(13)내로 누출할 염려가 없어서 접점과 상대 콘넥터와의 접촉을 손상할 염려는 없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의 블록(11)(12)에 대해서 접점(261)~(26n) 및 (271)~(27n)을 부착하였으나, 제 1 혹은 제 2 의 블록(11) 혹은 (12)의 한쪽에만 접점(261)~(26n) 혹은 (271)~(27n)을 부착한 구조로 해도 된다.

Claims (9)

  1. 절연재로 이루어진 대체로 직방체인 제 1 의 블록(11)과 상기 제 1 의 블록(11)과 그 양단부에서 결함하고, 이 양단부 사이에 상대 콘넥터가 삽탈되는 삽입홈구(13)를 상기 제 1 의 블록(11)과 함께 구성하고 있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제 2 의 블록(12)과 상기 삽입홈구(13)의 상대 콘넥터의 삽탈쪽과 반대쪽을 막도록 감합되고 절연재로 이루어진 제 3 의 블록(17)과 상기 제 3 의 블록(17)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의 블록(11) (12)의 양단부를 협지해서 이들 제 1 , 제 2 및 제 3 의 블록(11)(12)(17)을 서로 합체하는 합체수단과 상기 제 1 의 블록(11)의 상기 삽입홈구(13)의 내면에 상대콘넥터 삽탈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의 블록(11)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해서 형성된 복수의 안내홈(14p)(p=1,2,3……)과 이들 안내홈(14p)에 각각 배설되어서 상기 제 1 의 블록(11)에 지지된 탄성도전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접점(26p)과 이들 복수의 접점(26p)과 그 지지부쪽에서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의 블록(1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단자(46p)와 상기 제 3 의 블록(17)에 형성되고 상기 접점의 유단부가 탄성적으로 결합해서 그 접점에 상기 제 2 의 블록(12)쪽으로 편기력을 부여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멀티콘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블록(12)의 상기 삽입홈구(13)의 내면에 상대 콘넥터 삽탈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의 블록(12)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해서 형성된 복수의 안내홈(15p)과 이들 안내홈(15p)에 각각 배설되어서 상기 제 2 의 블록(12)해 지지된 탄성도전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접점(27p)과 이들 복수의 접점(27p)과 이 지지부쪽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의 블록(1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단자(47p)(d=1,2,……)와 상기 제 3 의 블록(17)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의 블록(12)에 지지된 접점(27p)의 유단부가 탄성적으로 결합해서 그 접점에 상기 제 1 의 블록(11)쪽으로의 편기력을 부여하는 다른 결합수단을 더 포함한 멀티콘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체수단은 상기 제 3 의 블록(17)의 양단부에 제 1 및 제 2 지지체(181)(182)가 동일방향으로 대체로 직각으로 일체가 되게 형성되고, 이들 제 1, 제 2 지지체(181)(182)의 대향면의 양측부에 안내볼록부(201)(202), (211)(212)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이들 안내볼록부(201)(202), (211)(212)가 감함되는 감합오목부(351)(352), (361)(362)가 상기 제 1, 제 2 의 블록(11)(12)의 양단부의 서로 외부쪽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볼록부(201)(202), (211)(212)에 의해서 제 1, 제 2 의 블록(11)(12)의 양단부를, 이들 블록(11)(12)(17)을 합체시키도록 협지한 멀티콘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26p)(27p)이 지지되는 블록에 상기 탄성도전선이 상기 각 안내홈(14p)(15p)과 대응해서 상대 콘넥터 삽탈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양단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일체로 각각 모울드되고, 그 탄성도전선의 상대 콘넥터 삽탈쪽의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구(13)내의 대응하는 안내홈내로 되꺾여서 상기 접점(26p)(27p)이 되고, 상기 탄성도전선의 다른쪽의 돌출부는 상기 단자(46p)(47p)로 되어 있는 멀티콘넥터.
  5. 내용 없음.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수단 및 또 다른 결합수단은 상기 제 3 의 블록(17)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조(251)(252)이며, 이들 결합돌조(251)(252)의 간격은 상기 삽입홈구(13)의 상대콘넥터 삽탈쪽의 폭과 대체로 같게 되어 있는 멀티콘넥터.
  7. 내용 없음.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의 블록(11)(12)(17)의 상호 결합면의 고착은 초음파 용착에 의해서 행하여진 멀티콘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의 블록(11)(12)의 한쪽 양단부에 그 다른쪽의 블록쪽에 돌출된 굴곡부(11A)(11B)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굴곡부(11A)(11B)의 돌출단부면이 상기 다른쪽의 블록과 결합하고, 그 굴곡부(11A)(11B)의 돌출길이에 의해서 삽입홈구(13)의 폭이 결정되는 멀티콘넥터.
KR2019820009442U 1981-11-30 1982-11-26 멀티콘넥터 KR86000318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78549 1981-11-30
JP1981178549U JPS5882786U (ja) 1981-11-30 1981-11-30 マルチ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444U KR840003444U (ko) 1984-07-25
KR860003183Y1 true KR860003183Y1 (ko) 1986-11-13

Family

ID=1605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442U KR860003183Y1 (ko) 1981-11-30 1982-11-26 멀티콘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01465A (ko)
JP (1) JPS5882786U (ko)
KR (1) KR860003183Y1 (ko)
DE (1) DE3244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7790A (en) * 1985-07-18 1988-05-31 Hosiden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FR2623313B1 (fr) * 1987-11-13 1991-10-04 Cit Alcatel Cadre de contact pour lecteur de carte a puce
GB8908098D0 (en) * 1989-04-11 1989-05-24 Amp Holland Electrical jacks and headers
US5162979A (en) * 1989-10-23 1992-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Personal computer processor card interconnect system
JPH04181676A (ja) * 1990-11-15 1992-06-29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とその製作方法
US5338230A (en) * 1993-06-29 1994-08-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9311959U1 (de) * 1993-08-11 1994-12-15 Bosch Gmbh Robert Steckverbindungsteil einer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JP2932152B2 (ja) * 1994-07-19 1999-08-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に於ける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の形成方法
US5626482A (en) * 1994-12-15 1997-05-06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667393A (en) * 1995-07-14 1997-09-16 Grabbe; Dimitry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ed housing cavity
US5700151A (en) * 1995-07-14 1997-12-23 The Whitaker Corporation Adjustable height sealed electrical connector
JP3350843B2 (ja) * 1996-12-20 2002-11-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サートモールドで電気コネクタを製造する方法
US5892216A (en) * 1997-04-21 1999-04-06 Airborn, Inc. Smart card reader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KR100333312B1 (ko) 1998-06-09 2002-04-24 임봉순 카드리더용 커넥터의 구조
JP2000260506A (ja) * 1999-03-10 2000-09-22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DE19939580C2 (de) 1999-08-20 2003-11-27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G80641A1 (en) 1999-08-30 2001-05-22 Fci Singapore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s for enhancing coplanarity
JP2009289627A (ja) * 2008-05-30 2009-12-10 D D K Ltd コネクタ
CN201887180U (zh) * 2009-12-30 2011-06-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8449335B2 (en) * 2011-04-18 2013-05-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and receptacle assemblies having retention inserts
US9048581B2 (en) 2013-07-02 2015-06-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and receptacle assemblies having retention inser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557098A (en) * 1958-05-06 H. Crone Albert Top burner assembly for gas stove
DE1665757B2 (de) * 1966-09-26 1972-07-13 Siemens AG, 1000 Berlin u. 8000 München Steckverbinder fuer gedruckte schaltungen
US3525972A (en) * 1968-10-17 1970-08-25 Amp Inc Integrated circuit connector
US3646504A (en) * 1969-10-17 1972-02-29 Litton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
US3594699A (en) * 1969-12-15 1971-07-20 Sylvania Electric Prod Articulated printed circuit edge connector
US3710303A (en) * 1971-09-13 1973-01-09 Rca Corp Edge connector
BE794021A (fr) * 1972-01-17 1973-05-02 Western Electric Co Bloc de connection de fils perfectionne
DE7228972U (de) * 1972-08-04 1972-12-07 Cannon Electric Gmbh Kontaktleiste
DE2502521A1 (de) * 1975-01-22 1976-08-05 Bunker Ramo Elektrische federleiste
AU503549B2 (en) * 1976-07-06 1979-09-06 Bunker Ram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US4221458A (en) * 1978-09-08 1980-09-0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269467A (en) * 1979-10-23 1981-05-2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having molded conductors
US4395084A (en) * 1981-07-06 1983-07-26 Teledyne Industries, Inc. Electrical socket for leadless integrated circuit pack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44247A1 (de) 1983-06-01
US4501465A (en) 1985-02-26
KR840003444U (ko) 1984-07-25
JPS5882786U (ja) 1983-06-04
JPS615020Y2 (ko) 198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3183Y1 (ko) 멀티콘넥터
US5286218A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means for fixing contacts
US518496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s on diestamping centers
EP0693804B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KR970003361B1 (ko) 부동형 전기 커넥터
KR0125456B1 (ko) 전기 커넥터
US7976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250966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039611A (en) Connector
US5122066A (en) Electrical terminal with means to insure that a positive electrical connection is effected
US8105114B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JP7445703B2 (ja) コネクタ
US5499924A (en) Butt joint connector assembly
US2021011150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878093A1 (en) Board-to-board connector pair
CN111934110B (zh) 连接器
US4255004A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6135816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construction for fixing shield p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US4429943A (en) Insulation box for wire harness connector device
KR970018870A (ko) 위킹 방지용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40451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or
CN113948943A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GB2400244A (en) Joint connector and terminal therfor
JPH0152871B2 (ko)
KR20050053004A (ko)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