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252B1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Google Patents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1252B1 KR101011252B1 KR1020100117717A KR20100117717A KR101011252B1 KR 101011252 B1 KR101011252 B1 KR 101011252B1 KR 1020100117717 A KR1020100117717 A KR 1020100117717A KR 20100117717 A KR20100117717 A KR 20100117717A KR 101011252 B1 KR101011252 B1 KR 101011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reinforcement
- pillar
- pier
- altern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멘 구조물의 우각부와 지점부(교각부)를 보강함으로써 구조물의 단면을 무리하게 크게 하지 않고 장경간의 라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하는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of a parental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and a ramen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reinforcing the right side portion and the branch portion (pier portion) of the ramen structure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of a parent-reinforced ramen structure and a ramen structure having the same.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존 라멘 구조물(A)(라멘교 등)은 지면에 지지되는 기초부(B), 기초부(B) 위에 세워지는 벽체부(C), 벽체부(C) 위에 시공되는 슬래브(D)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existing ramen structure (A) (Ramen bridge, etc.) is constructed on the base portion (B) supported on the ground, the wall portion (C) standing on the foundation portion (B), the wall portion (C) It consists of the slab (D) which becomes.
기초부(B)와 벽체부(C) 및 슬래브(D)는 예를 들어, 거푸집을 이용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된다.The base portion B, the wall portion C, and the slab D ar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ing, for example, formwork.
이러한 슬래브(D)는 소정의 두께(t)를 가지게 되며 그 단면 형태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L) 및 두께(t)를 가지도록 사각 단면형태로서 전체적으로는 장방형부재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The slab (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 and its cross-sectional shap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L) and thickness (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It can be seen that formed to be a rectangular member.
이때, 벽체부(C)와 슬래브(D)의 사이에는 내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벽체부(C)의 상단 연결부 위로 연장되도록 헌치부(E)가 형성되는데 이는 헌치부(E) 상부에 휨 부모멘트(-M1)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between the wall portion (C) and the slab (D) is a haunting portion (E) is formed so as to extend over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of the wall portion (C) inclined downward from the inside, which is a bending paren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unch (E) Since (-M1) occurs, this is to ensure rigidity.
헌치부(E)는 직선형태로 경사지도록 형성시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고 헌치부(E)를 포함하는 모서리 부위를 우각부라 지칭하기도 한다.
The haunting portion 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straight line so as to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corner portion including the haunching portion E may be referred to as a right angle portion.
이러한 라멘 구조물(A)은 교량용 거더를 이용하지 않고 슬래브를 직접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비교적 짧은 지간(개략 10-15m)에서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교량이라 할 수 있다.Such a ramen structure (A) can be said to be an efficient and economical bridge in a relatively short section (approximately 10-15m) because the construction is easy because the slab is directly installed without using the bridge girder.
라멘 구조물(A)을 장경간(예를 들어 18m 이상)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슬래브(D)의 연장길이를 더 크게 해야 하는데, 슬래브(D)의 연장길이가 길어질수록 슬래브(D)의 자중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그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In order to construct the ramen structure A in a long span (for example, 18 m or mor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lab D must be larger. The longer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lab D, the greater the weight of the slab 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accordingly.
이와 같이 슬래브(D)의 하중이 증가하면 우각부에 큰 모멘트가 가해짐에 따라 우각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우각부의 단면을 무리하게 크게 할 수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철근과 콘크리트의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어 시공원가가 비싸지므로 비경제적이고 또한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슬래브(D)의 자중과 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에 따른 응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온도 응력으로 인하여 우각부의 단면을 크게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우각부 뿐만 아니라 다경간의 라멘 구조물의 경우 벽체부(교대)(C)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교각이 설치되는데, 상기 교각 부분 역시 부모멘트부로서 우각부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As the load of the slab (D) increases in this way, as the large moment is applied to the right corner por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right corner portion must be excessively increased to reinforce the right corner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rebar and concrete used. Since the cost is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uneconomical and the air is long. In addition, the stress caused by the temperature change as well as the bending moment due to the weight and the load of the slab (D)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right angle part is forced to increase due to this temperature stress. In the case of a multi-span ramen structure as well as a right corner, one or more piers are installed between the wall portions (shifts) C. The piers also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 right corner portions as parent portion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각부의 기둥부와 거더부를 일체로 합성하고, 다경간의 교각 위의 거더부를 보강하여 우각부와 교각부의 단면적을 무리한 크기로 하지 않으면서 우각부 및 교각부의 응력을 보완함으로써 장경간 및 다경간의 라멘 구조물을 실현할 수 있는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pillar portion and the girder portion of the ridge integrally, reinforcement of the girder on the bridge between the multi-span, the ridge portion without mak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idge and the pier portion unreasonable siz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and a ramen structure having a parent-reinforced ramen structure that can realize the long and multi-span ramen structure by complementing the stress of the pier.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한 쌍의 교대용 기둥과; 상기 한 쌍의 교대용 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거더와; 상기 교대용 기둥과 거더 사이의 우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과 거더를 일체형으로 합성하는 우각부 보강판을 포함하여 콘크리트부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우각부 보강판은 상기 교대용 기둥에 고정되는 기둥 합성부 및 상기 기둥 합성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거더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더에 고정되는 거더 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ing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air of alternating pillars are se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irder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alternating pillars; It is installed in the right corner between the alternating pillar and the girder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including a right corner reinforcement plate for synthesizing the pillar and the girder integrally, and the right corner reinforcement plate is fixed to the alternating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irder composite portion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girde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osite portion and the column composite portion fixed to the girder.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교각을 갖는 다경간 라멘 구조물의 경우, 상기 교각용 기둥 위에 결합되는 거더에 결합되어 상기 교각용 기둥 및 상기 교각용 기둥 양측의 거더를 보강하는 교각부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multi-span ramen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piers, is coupled to a girder coupled to the pier pillar to include a pier reinforcement plate for reinforcing the pier pillars and girders on both sides of the pier pillar.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에 의하면, 보강판을 통해 기둥과 거더가 일체로 합성되어 우각부가 보강되고, 또한, 다경간 라멘 구조물에서 교각 상부의 거더가 보강됨으로써 장경간의 라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우각부와 교각부의 단면을 무리하게 크게 하지 않더라도 우각부와 교각부 등 부모멘트부의 응력에 대한 버팀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자재 감소를 통해 시공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우각부와 교각부의 휨 모멘트뿐만 아니라 온도 응력에 대해서도 우각부와 교각부가 버팀강성을 발휘하여 라멘 구조물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장경간의 라멘 구조물을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라멘 구조물의 적용분야를 확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rame of the parent cement portion reinforced ramen structure and the ramen structur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and the girder are integrally synthesized through the reinforcement plate to reinforce the right corner portion, and also the girder of the upper part of the piers in the multi-span ramen structure is reinforced. Therefore, when constructing the long span rame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iffness against stress of the parent part such as the ridge and the pier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of the ridge and the pier. And can shorten the air. In addition to the bending moments of the ridges and piers, the ridges and piers can be stiffened against temperature stresses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ramen structur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construct a long span ramen structure, thereby expanding the field of application of the ramen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라멘 구조물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의 우각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의 우각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에 적용된 우각부의 기둥부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에 적용된 우각부의 거더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에 적용된 우각부의 보강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에 적용된 우각부의 보강을 보인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의 기둥과 거더가 "H" 빔인 우각부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에 적용된 교량부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의 교각부가 "H"빔인 예시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right angle of the frame of the parent cement portion reinforced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ight angle of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ing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lumn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ht angle portion applied to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portion of the right angle portion applied to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reinforcement of the right corner portion applied to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the reinforcement of the right corner portion applied to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llustra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pillar and girder of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 beam.
Figure 9 is an exemplary view of the bridge portion applied to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of the pier portion of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ing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 beam.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를 보강하는 라멘구조물의 골조는, 기둥(1), 거더(2), 거더(2)의 양측 단부와 기둥(1)을 연결하는 우각부(10), 우각부(10)를 보강하는 우각부 보강판(2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rame of the ramen structure reinforcing the right ang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 angle portion connecting both ends of the
기둥(1)과 거더(2) 및 우각부(10)는 각각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형 강관이 사용될 수 있으며, 원형 강관 이외에 "H"빔 등도 사용 가능하고, "H"빔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기둥(1)은 라멘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교대용 기둥일 수 있고, 거더(2)의 길이방향 양측이 기둥(1) 위에 각각 고정된다.The
우각부(10)는 기둥(1)과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기둥 연결부(11), 기둥 연결부(11)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거더(2)와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거더 연결부(12)로 구성된다.The
우각부 보강판(20)은 기둥(1)과 거더(2)를 합성하여 우각부(10)를 보강하는 것으로,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에 각각 연결(예를 들어 삽입 용접)되는 기둥 합성부(21) 및 거더 합성부(22)로 구성된다.The reinforcing
우각부 보강판(20)은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를 합성하는 모든 구조물을 총칭하는 것이며, 기둥(1)측과 거더(2)측의 합성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판재의 형태이면서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의 전부분에 걸쳐(횡단)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ght
우각부 보강판(20)의 결합구조는 예컨대,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는 각각 슬롯(11a,12a)이 형성되며, 우각부 보강판(20)의 기둥 합성부(21)와 거더 합성부(22)는 각각 슬롯(11a,12a)에 삽입 및 용접되어 고정된다. 응력이 부족한 경우 2개소 이상의 슬롯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ight
슬롯(11a,12a)은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우각부 보강판(20)의 기둥 합성부(21)와 거더 합성부(22)가 각각 기둥 연결부(11) 및 거더 연결부(12)와 일측에서만 용접되도록 할 수 있고, 도 4와 도 5에서처럼,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의 양측에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기둥 합성부(21)와 거더 합성부(22)가 각각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의 양측에서 용접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우각부 보강판(20)은 기둥 합성부(21)가 기둥 연결부(11)의 슬롯(11a)에 끼워짐으로써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right
우각부 보강판(20)이 용접 전에 우각부(10)에서 빠지지 않도록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거더 합성부(22)에 거더 연결부(12)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돌기가 적용될 수 있다.A structure that can set the position so that the right
우각부 보강판(20)은 전술한 구조에 의해 기둥 합성부(21)와 거더 합성부(22)가 일체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에 삽입되면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를 일체형으로 합성할 수 있다.The right
우각부 보강판(20)은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를 일체형으로 합성함과 더불어 콘크리트부(200)와 우각부(10)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플랜지(23)가 포함될 수 있다.The right
플랜지(23)는 판상이며 기둥 합성부(21)와 거더 합성부(22)의 일측 단부(콘크리트부(200)측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부(200)의 내부에 매설된다. The
아울러, 플랜지(23)는 콘크리트부(200)를 향하는 외측면에 다수의 전단 연결재(24)(여기서 전단 연결재(24)는 콘크리트부(200)와 결속할 수 있는 모든 구조물을 총칭한다)가 결합되어 콘크리트부(200)와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플랜지(23)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채움공이 포함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부(200)의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채움공에 상기 콘크리트가 채워짐으로써 플랜지(23)의 전후 및 횡방향 이동도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우각부 보강판(20)은 스틸(steel)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ight
지금까지는 우각부(10)가 별도의 구조물로서 기둥(1)과 거더(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른 우각부(10)에 우각부 보강판(20)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우각부(10)와 우각부 보강판(20) 조립체를 현장에서 기둥(1)과 거더(2)에 결합함으로써 쉽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우각부(10)가 별도의 구조물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둥(1)과 거더(2)의 결합에 형성되는 경우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거더(2)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기둥(1)이 연결됨으로써 우각부가 구성되며, 기둥(1)과 거더(2)에는 각각 슬롯이 형성되고 우각부 보강판(2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기둥(1)과 거더(2)에 형성된 슬롯에 각각 삽입 고정된다.Until now, the
우각부(10)가 원형 강관의 구조이기 때문에 우각부 보강판(20)이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의 슬롯(11a,12a)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우각부가 "H" 빔인 경우도 가능하며, 도 8에서와 같이, 기둥(1)과 거더(2)는 각각 "H" 빔이고, 우각부 보강판(20)의 기둥 합성부(21)와 거더 합성부(22)는 각각 기둥(1)과 거더(2)가 연결되는 우각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우각부 보강판(20)은 "H"빔형 기둥(1)과 거더(2)에 삽입되거나 면접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Since the
기둥(1)과 거더(2)는 라멘 구조물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일렬로 배열되는 기둥(1)과 거더(2)는 각각 기둥 지지대와 거더 지지대를 통해 서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우각부(10)는 하나 이상의 우각부 지지대(13)를 통해 지지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우각부(10)가 라멘 구조물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우각부 보강판(20)도 우각부(10)의 수량만큼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wo or more
이때, 근접되는 우각부 보강판(20)들을 서로 결속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판 지지간(30)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보강판 지지간(30)은 원형 단면의 관, "H"빔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양측 단부가 각각 우각부 보강판(2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보강판 지지간(30)은 우각부 보강판(20)의 기둥 합성부(21)와 거더 합성부(22)에서 우각부(10)의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에서 돌출된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물론, 플랜지(23) 등에 고정될 수도 있다.
Reinforcement
그리고, 본 발명은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우각부(10)들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합성할 수 있도록 보강재(40)(도 6에 도시됨)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reinforcement 40 (shown in FIG. 6) to more firmly synthesize between the
보강재(40)는 기둥(1)과 동일 방향의 수직부(41) 및 수직부(41)의 상단부에서 거더(2)와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42)로 이루어져, 우각부(10)들을 지지하는 우각구 지지간(13)의 측방향(기둥(1) 방향)과 상부(거더(2) 방향)에 걸쳐 설치된다. 수직부(41)와 수평부(42)에는 각각 다수의 전단 연결재(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재(40)는 우각부 보강판(20)과 동일한 재질의 판재이거나 격자형의 우각부 보강 철근(50)(도 7에 도시됨) 등 다양하게 적용된다. 우각부 보강 철근(50)은 라멘 구조물의 폭만큼 전체적으로 설치되고 추가로 2단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The
본 발명은 우각부(10)뿐만 아니라 부모멘트부인 교각측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inforce not only the
단경간은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2개의 기둥(교대)만 사용될 수 있으나, 장경간의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도면에는 하나로 도시됨)의 교각용 기둥(3)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각용 기둥(3)부분은 부모멘트부로서 이 부분의 보강을 위하여 교각부 보강판(60)이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ly two pillars (alternations) may be used, but in the case of long spans, as illustrated in FIG. 9, one or more pier pillars 3 (shown as one in the drawing) may be used. Pier column (3) portion as this is a parent portion portion, the
교각부 보강판(60)은 교각용 기둥(3) 위쪽의 거더(2)에 연결(삽입 등)되는 교각측 보강부(61), 교각측 보강부(61)의 외부에 형성되는 플랜지(62)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랜지(62) 위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전단 연결재(63)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교각용 기둥(3)과 거더(2)가 "H"빔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거더(2)가 "H" 빔인 경우 교각부 보강판(60)은 거더(2)의 상부(또는 거더(2)의 하부로서, 거더(2)와 교각용 기둥(3)의 사이 등)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FIG. 10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 이상의 교각부 보강판(60) 사이에는 보강판 지지간(우각부 보강판(20)을 지지하는 보강판 지지간(30)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음)이 설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between two or more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10은 콘크리트부(200) 내부에 배근되는 라멘 외벽체 보강 철근이다.In the figu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각부 보강판(20)과 교각부 보강판(60)을 통해 우각부와 교각부를 각각 보강할 수 있으며, 이때, 우각부 보강판(20)과 교각부 보강판(60)을 선택적으로 독립 설치하여 선택된 우각부 또는 교각부를 보강할 수 있고, 다르게는 우각부 보강판(20)과 교각부 보강판(60) 모두를 함께 설치하여 우각부와 교각부 모두를 함께 보강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ight angle portion and the pier portion may be reinforced through the right angle
본 발명에 의한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Ram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S10) 골조 설치.(S10) skeleton installation.
단경간으로서 한 쌍의 교대용 기둥(1)만 적용되는 경우, 한 쌍의 기둥(1)을 세우고, 기둥 연결부(11)와 거더 연결부(12)로 이루어진 우각부(10)를 기둥(1)의 상단부로 올려 기둥 연결부(11)를 기둥(1)의 상단부에 결합한다. 이어서, 한 쌍의 우각부(10)들의 거더 연결부(12) 사이에 거더(2)를 올려 거더 연결부(12)와 거더(2)의 양측 단부를 결합한다.When only a pair of alternating
우각부(10)가 별개의 단품이기 때문에 우각부(10)에 우각부 보강판(20)을 결합한 후 기둥(1)에 설치할 수 있다.Since the
한편, 우각부가 별도의 단품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기둥(1)과 거더(2)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한 쌍의 기둥(1)을 세우고, 거더(2)를 기둥(1) 위에 올려 기둥(1)과 결합한다. 그리고, 우각부 보강판(20)의 기둥 합성부(21)와 거더 합성부(22)를 각각 기둥(1)과 거더(2)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 용접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ight angle par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라멘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기둥(1)과 거더(2)의 조립체를 폭방향을 따라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근접되는 기둥(1)들과 거더(2)들에 크로스 빔을 각각 결합하여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기둥(1)과 거더(2)들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지지기반을 확충한다.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amen structure, two or more assemblies of the
또한, 우각부 보강판(20)들의 사이에 보강판 지지간(30)을 설치하여 서로 이격된 우각부 보강판(20)들을 연결함으로써 지지토록 한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S20) 콘크리트부 시공.(S20) Concrete construction.
상기 (S10) 골조 설치 공정을 통해 골조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골조의 둘레부에 라멘 외벽체 철근(210)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여기서 콘크리트는 라멘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모든 재료를 총칭한다)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부(200)를 시공한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거푸집을 탈형한다. 이로써, 라멘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rame is completed through the frame installation process (S10), the ramen
본 발명은 우각부 보강판(20)이 라멘 구조물의 자중과 외부 하중에 의한 모멘트와 온도 응력에 대해 저항하여 우각부의 단면을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이 짧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둥(1) 하부의 기초부의 크기를 줄여도 라멘 구조물을 지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reducing the size of the base por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지금까지는 예를 들어 교각을 사용하지 않는 단일 경간의 라멘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교대용 기둥(1)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교각용 기둥(3)이 적용되는 다경간 라멘 구조물의 경우에는, 교대용 기둥(1)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교각용 기둥(3)을 세우고, 교대용 기둥(1)과 교각용 기둥(3)들의 사이에 거더(2)를 올려 결합한다. 이어서, 교각용 기둥(3) 상부의 거더(2)에 교각부 보강판(60)을 삽입 용접하여 교각용 기둥(3) 및 교각용 기둥(3) 상부의 거더(2)를 보강한다.So far, for example, a single-span ramen structure without a pier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of a multi-span ramen structure in which one or
1 : 기둥, 2 : 거더
10 : 우각부,
11 : 기둥 연결부, 12 : 거더 연결부
11a, 12a: 슬롯
20 : 우각부 보강판,
21 : 기둥 합성부, 22 : 거더 합성부
23 : 전단 연결재,
30 : 우각부 지지간, 40 : 보강재
50 : 우각부 보강 철근, 60 : 교각부 보강판1: pillar, 2: girder
10: right corner,
11: pillar connection, 12: girder connection
11a, 12a: slot
20: right angle reinforcement plate,
21: column composite portion, 22: girder composite portion
23: shear connector,
30: right angle support part, 40: reinforcement
50: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60: pier reinforcing plate
Claims (11)
상기 한 쌍의 교대용 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거더(2)와;
상기 교대용 기둥과 거더 사이의 우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과 거더를 일체형으로 합성하는 우각부 보강판(20)을 포함하여 콘크리트부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우각부 보강판은 상기 교대용 기둥에 고정되는 기둥 합성부(21) 및 상기 기둥 합성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거더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더에 고정되는 거더 합성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A pair of alternating columns (1)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irder (2)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alternating pillars;
It is installed in the right corner between the alternating pillar and the girder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including a right angle reinforcement plate 20 for synthesizing the pillar and the girder integrally,
The right angle reinforcement plate includes a column compounding portion 21 fixed to the alternating pillars and a girder compounding portion 22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girder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compounding portion and fixed to the girder. Frame of the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of the parent part part to be.
상기 한 쌍의 교대용 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교각용 기둥(3)과;
상기 한 쌍의 교대용 기둥과 교각용 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거더(2)와;
상기 교각용 기둥 상부의 거더에 결합되는 교각측 보강부(61)로 이루어져 상기 교각용 기둥과 상기 교각용 기둥 상부의 거더 양측을 보강하는 교각부 보강판(60)을 포함하며 콘크리트부의 내부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A pair of alternating columns (1)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pier pillar (3)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alternating pillars;
A girder (2)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alternating pillars and piers;
It is composed of a pier side reinforcement portion 61 coupled to the girder of the pier pillar upper portion and includes a pier reinforcement plate 60 for reinforcing both sides of the girder pillar and the girder of the pier pillar column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상기 교대용 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교각용 기둥(3)과;
상기 교대용 기둥과 교각용 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거더(2)와;
상기 교대용 기둥에 고정되는 기둥 합성부(21) 및 상기 기둥 합성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거더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더에 고정되는 거더 합성부(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대용 기둥과 거더 사이의 우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과 거더를 일체형으로 합성하는 우각부 보강판(20)과;
상기 교각용 기둥 상부의 거더에 설치되는 교각측 보강부(61)로 이루어져 상기 교각용 기둥과 상기 교각용 기둥 상부의 거더 양측을 보강하는 교각부 보강판(60)을 포함하며 콘크리트부의 내부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Shift pillars (1)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pier pillar (3) installed between the alternating pillars;
A girder (2)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lternating pillar and the piling pillar;
It is composed of a girder composite portion 21 is fixed to the alternating pillar 21 and the girder composite portion 22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girder at the upper end of the pillar composite portion fixed to the girder, between the alternating pillar and the girder A reinforcing part reinforcing plate 20 installed at the right side to synthesize the pillar and the girder integrally;
It consists of a pier side reinforcement portion 61 installed on the girder of the pier pillar upper part and includes a pier reinforcement plate 60 for reinforcing both sides of the girder pillar and the girder of the pier pillar column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Frame of the parent portion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7717A KR101011252B1 (en) | 2010-11-24 | 2010-11-24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7717A KR101011252B1 (en) | 2010-11-24 | 2010-11-24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11252B1 true KR101011252B1 (en) | 2011-01-26 |
Family
ID=4361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7717A KR101011252B1 (en) | 2010-11-24 | 2010-11-24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1252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941B1 (en) | 2011-03-14 | 2011-07-07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without hunch |
KR101788581B1 (en) * | 2016-11-02 | 2017-10-20 | 엘에스빌드윈 주식회사 |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with Reinforced Corner Portion and Bridge with the Same |
KR101900451B1 (en) * | 2017-11-10 | 2018-09-19 | 김석희 | Bridg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KR101902785B1 (en) * | 2017-08-29 | 2018-10-01 | 정병목 | Hunch removal type rahm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038311B1 (en) * | 2019-03-26 | 2019-10-30 | 김효진 | Conner parts structure of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bridge |
KR20210032756A (en) * | 2019-09-17 | 2021-03-25 | 주식회사 택한 |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steel girder for composite rahmen bridge |
KR20210035681A (en) * | 2019-09-24 | 2021-04-01 | (주)삼현피에프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139A (en) | 1997-06-26 | 1999-01-19 | Nippon Steel Corp | Corner angle joint between reinforced bar or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various columnar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therefor |
JP2002180537A (en) | 2000-12-08 | 2002-06-26 | Bridgestone Ipe:Kk | Sealed construction for open end portion of pipe structure |
JP2003328437A (en) | 2002-05-08 | 2003-11-19 | Sekisui House Ltd | Connecting structure for gluelam |
KR100664874B1 (en) * | 2005-07-27 | 2007-01-04 | 조윌리엄용 | The truss |
-
2010
- 2010-11-24 KR KR1020100117717A patent/KR10101125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139A (en) | 1997-06-26 | 1999-01-19 | Nippon Steel Corp | Corner angle joint between reinforced bar or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various columnar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therefor |
JP2002180537A (en) | 2000-12-08 | 2002-06-26 | Bridgestone Ipe:Kk | Sealed construction for open end portion of pipe structure |
JP2003328437A (en) | 2002-05-08 | 2003-11-19 | Sekisui House Ltd | Connecting structure for gluelam |
KR100664874B1 (en) * | 2005-07-27 | 2007-01-04 | 조윌리엄용 | The truss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941B1 (en) | 2011-03-14 | 2011-07-07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without hunch |
KR101788581B1 (en) * | 2016-11-02 | 2017-10-20 | 엘에스빌드윈 주식회사 |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with Reinforced Corner Portion and Bridge with the Same |
KR101902785B1 (en) * | 2017-08-29 | 2018-10-01 | 정병목 | Hunch removal type rahm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1900451B1 (en) * | 2017-11-10 | 2018-09-19 | 김석희 | Bridg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KR102038311B1 (en) * | 2019-03-26 | 2019-10-30 | 김효진 | Conner parts structure of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bridge |
KR20210032756A (en) * | 2019-09-17 | 2021-03-25 | 주식회사 택한 |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steel girder for composite rahmen bridge |
KR102301622B1 (en) * | 2019-09-17 | 2021-09-13 | 주식회사 택한 |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steel girder for composite rahmen bridge |
KR20210035681A (en) * | 2019-09-24 | 2021-04-01 | (주)삼현피에프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2270427B1 (en) * | 2019-09-24 | 2021-06-29 | (주)삼현피에프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7194B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011252B1 (en)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
KR101295740B1 (en) | Joint of Steel Column | |
KR100927344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 |
KR20110032687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KR101766806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temporary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the modular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538516B1 (en) | A box girder using steel and foam concrete inser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on bridge using the same | |
KR101962853B1 (en) |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 |
KR101329443B1 (en) | Precast concret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s using precast concrete slab continued by post tensioning | |
KR101472027B1 (en) | Method of building concrete structure using attachment plates adjoining ends of concrete beam with walls of abutments | |
KR200469319Y1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JP3752999B2 (en) | Upper and lower integrated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954387B1 (en) |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735077B1 (en) | Bridg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 |
KR100710583B1 (en) | Hybrid system of pc column and steel beam | |
KR20210004289A (en) |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 |
KR102033052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 |
KR101878762B1 (en) |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 |
JP6849491B2 (en) | Exposed column base structure of steel column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00045740A (en) | Support assembly for precast half depth cantilever deck, constructing method of such cantilever deck, bridg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for such bridge | |
KR102330481B1 (en) | Semiconductor factory structure using grill beam structure | |
JP5872332B2 (en) |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buildings | |
CN210767231U (en) | Support-free prefabricated assembly type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column joint with bracket | |
KR101346671B1 (en) | The pin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pacer in the junction of pc beam and vertical member | |
KR200383309Y1 (en) |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