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581B1 -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with Reinforced Corner Portion and Bridge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with Reinforced Corner Portion and Bridge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8581B1 KR101788581B1 KR1020160145154A KR20160145154A KR101788581B1 KR 101788581 B1 KR101788581 B1 KR 101788581B1 KR 1020160145154 A KR1020160145154 A KR 1020160145154A KR 20160145154 A KR20160145154 A KR 20160145154A KR 101788581 B1 KR101788581 B1 KR 101788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girder
- bridge
- steel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우각부를 보강하여 우각부의 균열을 방지하고, 휨 모멘트를 감소시켜서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한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제작되는 교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2) 위에 강관(3)을 설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후 기초(2) 위에 복수의 단부 거더(4)를 설치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후 각 단부거더(4)의 사이에 중앙거더(6)를 거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후 상기 강관(3)의 내부에 강관 철근 브래킷(8)을 설치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후 강관(3) 및 단부거더(4)에 강관철근(10) 및 단부거더 철근(12)을 조립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후 단부거더(4)를 가로질러 강봉(14)을 설치하는 제 6단계와;상기 제 6단계 후 콘크리트(C) 타설 및 강봉(14)을 인장하는 제 7단계와; 상기 제 7단계 후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의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16)을 설치하는 제 8단계와; 상기 제 8단계 후 벽체 철근(18) 조립 및 벽체 거푸집(20)을 설치하는 제 9단계; 상기 제 9단계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제 10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시공방법과, 복수의 강관(3)과; 상기 강관(3)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는 단부거더(4) 및 중앙거더(6)와; 상기 강관(3), 단부거더에 삽입되는 강관철근(10) 및 단부거더 철근(12)과; 상기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만나는 면에 끼우는 팩킹(P)과; 상기 팩킹(P)이 구비된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가 만나는 부분에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가 연결되도록 결합 고정되는 연결판(30)과; 상기 강관(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강관 철근(10)이 안치되어서 강관(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강관 철근 브래킷(8)을 포함하는 교량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ing method for reinforcing a right-angled portion of a bridge to prevent cracking of the right-angled portion, reducing the bending moment and structurally stabilizing the bridge, and a bridge made by such a construct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installing a steel pipe (3) on a foundation (2);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end girders (4) on a foundation (2) after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placing a center girder (6) between the end girders (4) after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installing a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 8 inside the steel pipe 3 after the third step; A fifth step of assembling the steel pipe reinforcing bars 10 and the end girder reinforcing bars 12 to the steel pipe 3 and the end girder 4 after the fourth step; A sixth step of installing a steel bar 14 across the end girder 4 after the fifth step and a seventh step of placing the concrete C and pulling the steel bar 14 after the sixth step; An eighth step of installing a slab formwork (16) on the end girder (4) and the center girder (6) after the seventh step; A ninth step of assembling the wall reinforcing bar (18) and installing the wall mold (20) after the eighth step; And a tenth step of placing the concrete (C) after the ninth step; a plurality of steel pipes (3); An end girder (4) and a center girder (6)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pipe (3); A steel pipe (3), a steel pipe reinforcing bar (10) and an end girder reinforcing steel (12) inserted into the end girder; A packing (P) sandwiched between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A connecting plate 30 to which the end girder 4 and the center girder 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ortion where the end girder 4 equipped with the packing P and the center girder 6 meet; And a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 8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3 to prevent the steel pipe reinforcing bar 10 from being inserted and being inser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pipe 3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제작되는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우각부를 보강하여 우각부의 균열을 방지하고, 휨 모멘트를 감소시켜서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reinforced by a right angle portion and a bridge constructed by such a construction method, wherein the right portion of the bridge is reinforced to prevent cracks in the right portion and to reduce the bending moment so as to be structurally stable.
일반적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는 교량은 거더교와 라멘교로 나뉘는데, 먼저 거더교는 강재 또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더를 교대위에 설치된 교좌장치에 거치하고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갖는다. In general, currently widely used bridges are divided into girder bridges and raymen bridges. First, girders are constructed of steel or concrete girders installed on an alternating system, installed with expansion joints, .
이러한 거더교는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교량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신축이음장치와 교좌장치는 사용하중(차량, 도보하중 등)에 의해 일정시간 사용 후 교체가 필요한 소모성 제품으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집중호우와 홍수로 인한 하천 범람시 발생한 부유물질에 의해서 신축이음장치와 교좌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These girder bridge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can be constructed easily and economically. However, expansion joints and bridge devices are consumable products that need to b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usage load (vehicle, walking load, etc.)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maintenance is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pansion joint device and the calibration device are damaged due to floating substances generated during flooding due to heavy rainfall and floods.
상기와 같은 유지관리의 불편함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것이 라멘교 형식의 교량이다. 라멘교는 신축이음장치와 교좌장치를 없애고, 교대부와 상부구조물(거더+바닥판 콘크리트)을 일체화 시키는 구조이다. 라멘교는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강절(剛節, rigid joint) 로 연결함으로써, 교량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지간내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를 줄이는 대신, 이를 하부구조가 부담하게 하는 교량형식이다.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강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경간의 길이에 한계가 있고,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결합되는 코너부인 우각부에는 균열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To overcome the inconvenience of maintenance as described above, it is a bridge of the bridge type. The ramen bridge is a structure that eliminates the expansion joints and the tilting mechanism and integrates the shift part and the superstructure (girder + bottom plate concrete). Raman bridge is designed to bridge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of a bridge with a rigid joint so as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ridge and reduce the magnitude of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in the bridge, Format. Since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behave as one body, the rigidity is excellent.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e length of the span, and cracks may occur in the corner of the corner where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are combined.
일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단점은 장경간 교량의 경우, 자중의 비율이 높아 철근 콘크리트의 재료만으로 상부하중을 지지할 수 없으므로, 짧은 경간의 교량에만 적용 가능하고, 지간이 짧아 통수 단면 확보에 곤란하며, 콘크리트의 전 단면을 현장에서 타설하므로 제작되는 교량의 품질이 양호하지 못하다. The disadvantages of general reinforced concrete rammen bridge are that they can not support the upper load with only the material of reinforced concrete because of the high ratio of self weight in long span bridges. Therefore, it can be applied only to short span bridges, The quality of the bridges produced is poor due to the casting of the front section of the concrete in the field.
또한,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동바리 설치가 필요하고, 경간에 비해 하부구조 높이가 짧은 경우, 벽체 및 기초부에 모멘트가 매우 커져 단면이 과대하거나, 아예 설계될 수 없게 된다. Also, if the height of the lower structure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pan,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upper concrete in order to install the upper concrete, and the moment becomes too large on the wall and the foundation,
참고로, 하부구조 높이란 상부 부재를 지지하고 상부 부재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하부구조의 높이로서, 여기서는 상부 부재의 상면에서 하부 부재의 기초부 하면까지 거리를 말한다. For reference, the height of the lower structure is the height of the lower structure supporting the upper member and transmitting the load of the upper member to the ground. Here, it refers to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표적인 종래기술인 방법으로 라멘교의 벽체부를 먼저 완성 후, 거더를 거치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공법으로 합성 전 거동을 단경간 구조계를 활용하여 우각부에 힌지구조를 적용한 라멘교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ypical method of the prior art is to construct the wall part of the ramen bridge first, then to install the girder and to synthesize the slab concrete, and the ramen bridge which uses the hinge structure in the right part by using the short- .
우각부에 힌지구조를 적용한 라멘교는 거더 거치시 우각부에서 거더 자중에 의한 부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고, 이에 따라 벽체부에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벽체부 및 하부기초의 단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시공이 완료된 단계에서의 하중에 대한 구조계의 반응은 거의 동일하다. In the case of the ramen bridge applying the hinge structure to the right corner, there is no occurrence of the moment due to the weight of the girder at the corner of the girder, and therefore the size of the section of the wall and the lower foundation can be reduced . This is because the response of the structural system to the load at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is almost the same.
즉, 포장하중, 차량하중, 토압 및 온도, 건조 수축 등에 대한 변화의 라멘교 거동은 교량 제작 및 시공에 사용되는 재료의 강성 및 강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시공이 완료된 단계에서의 거동은 거의 유사하다. That is, the raman bridge behavior of changes in pavement load, vehicle load, earth pressure, temperature and drying shrinkage may b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materials used for bridg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The behavior is almost similar.
이때, 거더는 단경간 거동을 하여 거더 중앙부는 아주 큰 정(+)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거더 중앙부에 단면의 크기 증가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를 제작/거치하여 중앙부의 휨 모멘트에 대응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girder is subjected to a short-span behavior, so that a very large positive moment is gener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girder. To solve this problem, a girder having an increased section size or a prestressed girder is manufactured / .
하지만, 이와 같이 거더 중앙부 휨모멘트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 사용시, 거더 중앙부의 크기 및 범위가 커질 수 밖에 없어, 라멘교 시공에 필요한 거더 제작공정과 재료적 측면에서 경제성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method to cope with the bending moment at the center of the girder is used, the size and the rang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girder must be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not easy to obtain economical efficiency in terms of the girder manufacturing process and materials There is a problem.
또한, 우각부 힌지구조를 강절점으로 구성할 때, 거더의 외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철근에 의해 하부 벽체와 연결이 되며, 교량 상부에 작용하는 활하중(차량하중, 군집하중, 적설하중 등)에 의해 발생하는 우각부 모멘트를, 연결되는 콘크리트에 전달하여 하부 벽체 프레임에 전달하는 형태로 반복적인 활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the right-angled hinge structure is constituted by the point of reinforcement,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wall by the concrete and the reinforced concrete placed on the outer side of the girder, and the live load (vehicle load, community load, This is because concrete cracks due to repetitive live loads are generated in the form of transmitting the right moment generated by the concrete to the connected concrete and transmitting it to the lower wall fram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량을 구성하는 거더의 특정 구간에 힌지부를 마련하여 거더 중앙부의 정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수직방향의 강관과 수평방향의 거더가 만나는 지점인 지점부와 벽체의 휨 부모멘트는 기둥 역할을 하는 강관과 거더의 결속을 통해 시공이 완료된 단계에서 양 지점부 거더 상단에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가 지점부와 벽체에 강봉과 철근 콘크리트의 합성에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강거더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nge section in a specific section of a girder which constitutes a bridge to reduce the moment in the center of the girder, The bending moment of the fulcrum at the point where the steel pi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eets the gird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bending moment in the wall at the point where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binding of the steel pipe and the girder, And the structure is transmitted to the wall by the synthesis of the steel bar and the reinforced concrete, so that the steel girder can be optimized.
또한, 본 발명은 중앙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더라도 크기와 범위를 종래보다 작게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고, 양 지점부에 크게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에 대해 지점부 거더 상단에서 저항하게 되므로, 장경간 라멘교에 있어 매우 유리한 거동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urther, even if a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enter girder, the size and the range of the center girder can be made smaller and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and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at the both fulcrum parts is resisted at the upper end of the fulcrum girder. So that it can have a very favorable behavior in bridge.
또한, 본 발명은 양 단부에 작용하는 압축력과 인장력 및 전단력을 우각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단부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having improved strength of right-handed cornering, which has an end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transmitting a compressive force, a tensile force and a shearing force acting on both ends.
또한, 본 발명은 우각부의 휨 부모멘트를 최소화하여 벽체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휨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단부거더 상부에 강봉을 설치하여 휨 부모멘트를 감소시켜 거더 단면 및 우각부의 단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교량(장지간 저형고 라멘교)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bending moment of the right-angled portion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wall, and by installing a steel bar on the end portion of the end portion where the bending moment acts, the bending moment is reduced to minimize the cross- (Bridges with a long bridg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기초 위에 강관을 설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후 강관 위에 복수의 단부 거더를 설치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후 각 단부거더의 사이에 중앙거더를 거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후 상기 강관의 내부에 강관 철근 브래킷을 설치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후 강관 및 단부거더에 강관철근 및 단부거더 철근을 조립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후 단부거더를 가로질러 강봉을 설치하는 제 6단계와; 상기 제 6단계 후 콘크리트 타설 및 강봉을 인장하는 제 7단계와; 상기 제 7단계 후 단부거더와 중앙거더의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8단계와; 상기 제 8단계 후 벽체 철근 조립 및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9단계; 상기 제 9단계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10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pipe, comprising the steps of: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end girders on the steel pipe after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placing a center girder between the end girders after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installing a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 inside the steel pipe after the third step; A fifth step of assembling a steel pipe reinforcing bar and an end girder reinforcing steel to the steel pipe and the end girder after the fourth step; A sixth step of installing a steel bar across the end girder after the fifth step; A seventh step of pouring concrete after the sixth step and pulling the steel bar; An eighth step of installing a slab formwork on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after the seventh step; A ninth step of installing the wall reinforcing bars and the wall dies after the eighth step; And a tenth step of pouring concrete after the ninth step.
또한, 상기 강관안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강관 철근 브래킷을 통해 강관철근은 강관의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삽입되지 않고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까지만 삽입되는 것이다. Also, the steel pipe reinforcing bars inserted through the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teel pipe are inserted not onl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pipe but up to the section where the moment is exerted.
교량 파손시 복구를 위해 제 8단계후 강관의 사이에 시트파일을 연결하고, 토양을 쌓아 파손된 교량의 임시통행을 위한 진입도로를 조성하는 것이다. In order to restore the damaged bridge,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sheet pile between the steel pipes after the eighth step and stack up the soil to create an entrance road for temporary passage of the broken bridge.
또한, 상기 강관의 각 측면에는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에 소정 갯수의 시트파일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Further, a bracket is fixed to each side of the steel pipe,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 files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는 단부거더 및 중앙거더와; 상기 강관과 단부거더에 삽입되는 강관철근 및 단부거더 철근과; 상기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만나는 일부분에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연결되도록 결합 고정되어 힌지 역할을 하도록 하는 연결판과;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강관 철근이 안치되어서 강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강관 철근 브래킷과; 상기 강관, 단부거더 및 중앙거더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교량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d girder and a center girder connected between upper portions of the steel pipe; A steel pipe reinforcing bar and an end girder reinforcing steel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and the end girder; A connecting plate which is coupled and fixed to a portion of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where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rve as a hinge; A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to prevent the steel pipe reinforcing bar from being inser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pipe; A bridge including the steel pipe, the end girder and the concrete placed in the center girder is provided.
또한, 상기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만나는 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surface where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meet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또한,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만나는 면에는 팩킹이 개재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packing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rface where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meet is interposed.
또한, 상기 강관 철근 브래킷은,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Further, the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And a plurality of support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연결대에는 강관안에 삽입되는 강관 철근의 띠 철근이 안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각각 강관 철근이 관통되도록 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has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for placing a reinforcing bar of a steel pipe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and the protruding pieces each have an insertion hole for allowing the steel pipe to penetrate.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강관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고리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has a hook formed to be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steel pipe.
또한, 상기 단부거더에는 인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강봉을 결합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Further, the end girder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steel rods are joined to improve the tensile force.
또한, 상기 강봉은 단부측에 바깥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하는 너트가 나사결합되는 구조이다. In addition, the steel bar has a structure in which a nut is screwed on the end side so as to be pulled outward.
또한, 상기 단부거더는 상부편과 하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편은 제 1영역부와, 상기 제 1영역부보다 확장된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제 2영역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진 구조의 헌치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end girder is composed of an upper piece and a lower piece, and the upper piece is composed of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which has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eeth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교량은 상기 복수의 강관에 콘크리트 타설전에 각 강관의 한쪽 측면에 브래킷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복수의 시트파일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Further, in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brackets are fixed to one side of each steel pipe before concrete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teel pipes, and a plurality of sheet files are connected between the bracket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거더 소정위치에 힌지를 형성하여 벽체와 기초에 작용하는 부(-)모멘트 및 정(+)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고,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egative moment and the positive (+) moment acting on the wall and the foundation by forming a hing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irder of the bridge,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단부거더 측에 강봉을 설치하여 부모멘트를 저감시켜서 장지간의 라멘 교량을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el bar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nd girder where a negative moment acts to reduce the momentum, thereby providing a raman bridge between the longitudinals.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우각부를 강관과 철근을 적용하여 하부구조로의 응력전달을 확실하게 하여 경제성 및 구조적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ipe and the reinforcing steel are applied to the right portion of the bridge to ensure the transmission of stress to the lower structure, thereby ensuring economical efficiency and structural efficiency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벽체를 이루는 강관안에 철근 브래킷을 삽입하고, 최대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일부 구간에 철근을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로 합성하여 보강함으로써 벽체부의 콘크리트 단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ection of the wall portion by inserting a reinforcing bracket in a steel pipe forming a wall, inserting reinforcing bars into a section where a maximum bending moment acts, and then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s with concrete.
또한, 본 발명은 수해로 인해 파손된 교량을 임시로 신속하게 복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파형 구조의 시트파일을 강관 사이에 연결하여 긴급 가설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ecessary to temporarily and quickly restore a damaged bridge due to water pollution, a sheet file of a corrugated structure can be connected between steel pipes to enable emergency hypothesis.
또한, 본 발명은 거더에 헌치부를 형성하여 종래의 교량에 형성되는 우각부 헌치부에 비해 통수 단면적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supply port as compared with the right-angled portion of the conventional bridge formed by forming the spiral portion on the girder.
도 1a 내지 도 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교량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교량의 한쪽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강관 철근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교량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와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과 다른 실시 예의 교량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교량에 설치되는 단부거더와 중앙거더 및 강관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중 교량의 임시 복구를 위해 강관과 강관 사이에 시트파일을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시트파일이 적용된 구조를 나타내는 교량의 평면도이다.
도 11의 (a) 내지 (c)는 종래의 일반적인 라멘교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의 여유고를 비교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의 단면 모멘트를 표시한 것으로서, 강관안에 삽입되는 강관철근이 일부까지만 삽입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의 단면 모멘트 변화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단경간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의 단면 모멘트 변화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연속경간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1A to 1J are diagrams showing steps of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one portion of a bridge fabricated by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lan view of FIG. 2A.
2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el pipe bracket shown in FIG. 2A.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idge fabricated by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 4A.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idge of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at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n end girder, a center girder, and a steel pipe installed in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sheet file between a steel pipe and a steel pipe for provisional restoration of a bridge among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 bridge showing a structure to which the sheet pile according to Fig. 9 is applied.
11 (a) to 11 (c) are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s for comparing the clearances of bridges reinforced by right ang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aymanic bridg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ection moment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ly a part of a steel pipe inserted into a steel pipe is inserted.
FIG. 1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tion moment of the bridge chan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ase where the bridge is short-span.
FIG. 1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of a cross section moment change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ase of continuous spa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selected from th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unctions,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artisan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ique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by the applicant at will,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relative to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the nomenclature, and its scop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a 내지 도 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교량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1A to 1J are diagrams showing steps of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j에 의거 본 발명의 교량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교량(1)은 구체적으로 라멘교로서, 우각부가 보강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교량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J.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은 기초(2)위에 강관(3)을 설치하는 제 1단계와(도 1a 참조), 상기 제 1단계후 상기 강관(3) 위에 복수의 단부 거더(4)를 설치하는 제 2단계와(도 1b 참조), 상기 제 2단계후 각 단부거더(4)의 사이에 중앙거더(6)를 거치하는 제 3단계와(도 1c 참조), 상기 제 3단계후 상기 강관(3)의 내부에 강관 철근 브래킷(8)을 설치하는 제 4단계와(도 1d 참조), 제 4단계후 강관(3) 및 단부거더(4)에 강관철근(10) 및 단부거더 철근(12)을 조립하는 제 5단계와(도 1e 참조), 상기 제 5단계후 단부거더(4)를 가로질러 강봉(14)을 설치하는 제 6단계(도 1f 참조)와, 상기 제 6단계 후 콘크리트 타설 및 강봉(14)을 인장하는 제 7단계와(도 1g 참조), 제 7단계 후 단부거더(4) 및 중앙거더(6)의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16)을 설치하는 제 8단계(도 1h 참조)와, 상기 제 8단계후 벽체 철근(18) 조립 및 벽체 거푸집(20)을 설치하는 제 9단계(도 1i 참조)와, 제 9단계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제 10단계(도 1j 참조)를 포함한다.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installing a
상기 제 1단계에 있어서, 도 2a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2)는 지면속에 매립되도록 시공하고, 기초(2)의 하부에 말뚝(A)을 설치하여 견고하기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as shown in FIG. 2A or FIG. 3, the
상기 제 2단계에 있어서, 단부거더(4)는 기초(2)위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강관(3)과 용접으로 결합할 수 있다. In the second step, the
상기 제 3단계에 있어서, 중앙거더(6)는 단부거더(4)와 볼트로 조립할 수 있다. In the third step, the
상기 제 4단계에 있어서, 강관 철근 브래킷(8)이 강관(3)안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데, 이 상태에서 강관(3)안에 삽입되는 강관철근(10)은 강관(3)의 전체 길이(또는 높이)에 걸쳐서 삽입되지 않고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까지만 삽입되도록 한다(도 12 참조). In the fourth step, the steel
따라서, 강관철근(10)을 강관(3)의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해도 무방하지만, 부모멘트가 작용하지 않는 구간에는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강관철근(10)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teel
상기 제 7단계에 있어서, 콘크리트 주입호스(C1)를 통해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도 1g에서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In the seventh step, the concrete C is poured through the concrete injection hose C1, and the concrete C is poured in Fig. 1G.
또한, 상기 제 7단계에 있어서, 강봉(14)을 인장하는 작업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봉(14) 단부에 너트(14a)를 나사 결합하고, 이 너트(14a)를 회전시키면, 강봉(14)이 바깥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인장되어 인장력이 향상되며, 이럼으로써 모멘트(+M)(-M)가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2A, when the
제 9단계를 나타낸 도면 1i에 있어서, 왼쪽은 벽체 거푸집(20)이 도시된 것이고, 우측은 벽체 철근(18)이 도시된 것으로서, 양쪽이 모두 벽체 철근(18)을 구비하고, 벽체 거푸집(20)을 구비하는 것이며, 편의상 벽체 철근(18)과 벽체 거푸집(20)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In the ninth step, the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교량의 한쪽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2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one portion of a bridge fabricated by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철근 브래킷(8)은 양쪽 강관(3)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8a)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8a) 사이에 결합되는 곡선형의 연결대(8b)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A, the steel
상기 지지대(8a)의 상단부는 구부러져 형성되는 걸고리(8c)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upper end of the
상기 곡선형의 연결대(8b)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출편(8b-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8b-1)에는 각각 삽입공(8b-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curved
또한, 상기 곡선형의 연결대(8b)는 지지대(8a)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ved connecting
상기 강관 철근 브래킷(8)은 강관(3)안에 삽입되어 걸고리(8c)를 통해 강관(3)의 상단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강관철근(10)을 삽입할때, 강관 철근 브래킷(8)의 연결대(8b)에 형성된 돌출편(8b-1)의 각 삽입공(8b-2)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이와 동시에 강관 철근(10)을 감싸고 있는 띠철근(10a)이 강관 철근 브래킷(8)의 연결대(8b)에 형성된 돌출편(8b-1)에 안치되어 지지되게 한다.The steel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3)의 모멘트가 영(zero)이 되는 지점에는 강관 철근(10)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강관(3)안에 삽입되는 강관 철근(10)은 강관(3)의 전체 길이중 일부까지만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stee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교량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idge fabricated by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교량(1)은 단경간 구조로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기초(2)의 상부에 강관(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강관(3)의 상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단부거더(4)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도 3에 있어서, 기초(2)의 하부에 형성된 것은 지면속에 매립되는 말뚝(A)이다. In Fig. 3, the pile A formed at the bottom of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단경간은 물론, 연속경간에도 적용가능하다.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to a short span but also to a continuous span.
상기 강관(3)은 벽체 기둥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 타설후 벽체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The
상기 단부 거더(4)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상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대략 "U"자형의 절곡된 상부편(4a)과, 상기 상부편(4a)의 하부에 지지하는 "ㅗ"자형의 하부편(4b)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1C, the
또한, 강관(3)과 결합되는 단부측에는 내부가 빈 중공형의 강관(3)과 연통되는 관통공(4c)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a through
또한, 상기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부편(4a)안에는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강봉(14)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Also, as shown in FIG. 1F, a plurality of
또한, 양쪽의 단부거더(4)의 사이에는 중앙거더(6)가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Further, the
상기 중앙거더(6)는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거더(4)와 각각 볼트(32)와 같은 체결부재로 조립될 수 있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상 "I"자형의 빔 형태를 이루는 하부편(6a)과, 상기 하부편(6a)의 상부 양쪽 단부측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수용부재(6b)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The
상기 중앙거더(6)는 크레인 등을 이용해 견인 와이어(7)를 통해 단부거더(4)의 사이에 설치된다. The
도 6은 도 3의 C부 확대도로서,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가 맞닿는 부분을 연결해주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가 맞닿는 부분은 조립 시공의 편의를 위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고무재와 같이 신축성을 가지는 패킹(P)을 끼운 다음, 연결판(30)을 대고 복수의 볼트(32)를 끼워서 반대편에서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in Fig. 3, showing 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상기 경사면은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의 조립시, 중앙거더(6)가 하부방향으로 쉽게 낙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prevent the
또한, 양측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의 사이에 상기 고무재의 탄성력을 가지는 패킹(P)이 개재되어 있는데, 현장에서 콘크리트(C) 타설시 양생되지 않은 상태의 콘크리트(C)물이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 사이의 틈으로 침투하면, 콘크리트(C)의 양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강재와의 합성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현장 이음부 틈새를 패킹(7)을 끼워서 막음으로써 틈새를 제거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C)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A packing P having an elastic force of the rubber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both
또한, 상기 패킹(P)이 마련된 연결판(30)은 교량(1)의 힌지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서 상기 연결판(30)에 볼트(32)로 체결하는 위치는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의 하부편(4b)(6b)(웨브부)로서,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의 전체면에 걸쳐서 체결하여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하중 작용시 상,하 방향의 거동이 이루어지면서 힌지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만일, 단부거더(4)와 중앙거더(6)의 전체면(수직방향)에 걸쳐서 체결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거동이 발생하지 않아 힌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If the
도 7은 도 3의 도시된 교량의 다른 실시 예로서, 양측에 마련되는 단부거더(5)에 경사진 구조의 헌치부(5a)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Fig.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ridge shown in Fig. 3, in which the
상기 헌치부(5a)가 형성되는 단부거더(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거더(4)와 마찬가지로, 상부편(5b)과 하부편(5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편(5b)은 헌치부(5a)로 인해 제 1영역부(5b-1)와, 상기 제 1영역부(5b-1)보다 확장된 면적을 가지는 제 2영역부(5b-2)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8, the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1)에 비해 우각부가 더욱 보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compared to the
도 9는 시공 완료된 교량이 수해 등으로 인해 파손되어 복구 작업시 콘크리트 타설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지 않고, 임시 로 신속하게 복구작업을 하여 교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트파일(50)을 강관(3)의 사이에 연결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is laid on the seat in order to perform a temporary restoration work without using the concrete pouring work, And the
다시 말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3)과 강관(3) 사이에 복수 연결되는 시트파일(50)을 신속하게 끼워서 파형강판처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강관(3)의 한쪽면에 브래킷(40)을 용접 등을 통해 결합 고정시킨 상태에서, 브래킷(40)의 외부면에 형성된 삽입구(42)를 통해 시트파일(50)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워서 조립하도록 한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sheet piles 50 connected between the
상기 브래킷(40)은 강판을 강관(3)의 각 측면에 용접하는 구조로서, 내부는 빈 공간으로 되고, 물론 상면도 강판으로 막힌 구조를 이룬다. 즉, 도 9에서 브래킷(40)은 막힌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The
또한, 도 9에 도시된 강관(3) 및 브래킷(40)은 미리 한셋트로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하여 소정 갯수의 시트파일(50)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The
물론, 상기 시트파일(50)은 강관(3)과 강관(3)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절한 갯수로 연결할 수 있는데, 시트파일(50)은 삽입구(5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Of course, the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강관(3) 및 시트파일(50)의 연결구조가 적용된 교량의 평면도로서, 양측에 복수 마련된 강관(3)의 사이에 시트파일(50)이 연결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Fig. 10 is a plan view of a bridge to which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이러한 시트파일(50)을 이용하면, 임시 교량에 진입하기 위해 토양을 쌓으면서 진입도로를 만들때, 강관(3)의 사이에 조립된 시트파일(50)로 인해 토양이 강관(3) 사이로 흘러내리지 않고 잡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진입도로를 쉽게 만들수 있고, 그에 따라 임시 교량을 통행할 수 있게 된다. The use of such a
물론, 교량의 임시 통행중에, 벽체 철근(18) 및 벽체 거푸집(2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벽체 거푸집(20)을 해체하여 교량의 복구 작업이 완료된다. Of course, during the temporary passage of the bridge, the
만일,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3)의 둘레에 벽체철근(18) 및 벽체 거푸집(20)을 설치하고 벽체 거푸집(20)안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경우, 교량의 수해 복구시, 벽체 철근(18) 및 벽체 거푸집(2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강관(3) 사이가 빈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교량의 임시 통행을 위해 진입도로를 만들때, 토양이 강관(3)의 사이로 빠져나가 붕괴되기 쉬워서 임시 통행을 위한 진입도로를 만들기 어렵다.1I, when the
따라서, 벽체 철근(18) 및 벽체 거푸집(2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벽체 거푸집(20)을 해체하는 과정을 거쳐야 진입도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복구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지만, 강관(3)의 사이에 시트파일(50)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바로 진입도로를 만들고 교량을 임시통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강관(3)과 브래킷(40) 및 시트파일(50)이 조립된 상태에서 바로 벽체 철근(18) 및 벽체 거푸집(2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벽체 거푸집(20)을 해체하여 파손된 교량의 복구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어 교량 통행이 금지되는 시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since the entrance road can be made by installing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 또는 도 13에 도시된 교량(1)은 벽체와 기초에 작용하는 부(-)모멘트 및 정(+)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고,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단부거더(4) 측에 강봉(14)을 설치하여 장지간의 라멘교량을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또한, 본 발명은 교량(1)의 우각부를 강재 기둥인 강관(3)과 철근을 적용하여 하부구조로의 응력전달을 확실하게 하여 경제성 및 구조적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ipe (3) and the reinforcing bars, which are steel pillars, are applied to the rudder portion of the bridge (1) to reliably transmit stress to the lower structure, thereby ensuring economical efficiency and structural efficiency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벽체를 이루는 강관(3)안에 강관 철근 브래킷(8)을 삽입하고, 최대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일부 구간에 강관 철근(10)을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C)로 합성하여 보강함으로써 벽체부의 콘크리트 단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el
또한,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해로 인해 파손된 교량을 임시로 신속하게 복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시트파일(50)을 강관(3)과 강관(3)의 사이에 연결하여 긴급 가설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9 and 10, when the
도 11의 (a) 내지 (c)는 종래의 일반적인 라멘교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의 여유고를 비교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교량(도 11의 (a))의 여유고에 비해 증대되는 것이다. 11 (a) to 11 (c) are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s for comparing the allowance of bridges reinforced by the right-angled por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general raymond bridge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margin of the conventional bridge (Fig. 11 (a)).
다시 말해서, 종래의 교량인 라멘교는 우각부가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도 11의 (a) 도면처럼 교량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우각부에 경사진 헌치부를 낮게 형성하여 헌치부 하단부까지 여유고가 정해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은 우각부가 보강되는 구조이고, 특히 도 11의 (c) 도면처럼 헌치부(5a)를 낮출 필요가 없어, 여유고가 종래의 교량(라멘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여유고인 경우에는 종래의 교량은 높이를 더욱 더 높게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since the raymen bridges, which are conventional bridges, can be vulnerable to the right angles, as shown in Fig. 11 (a), the angled bridges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bridges are formed to be low, The b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such that the right angle portion is reinforced.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11 (c), it is not necessary to lower the
또한, 교량의 통수 단면적이 작으면, 통수 단면적이 큰 교량에 비해 유속이 빨라지고, 따라서 교량에 미치는 악영향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통수 단면적이 클 수록 안정된 교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1)은 종래의 교량에 비해 통수 단면적이 크므로, 그만큼 안정된 교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If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bridges is small, the flow velocity is faster than that of the bridges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of water, and thus the adverse effect on the bridges is increased. Therefore, a stable bridge can be maintained as the cross- The
도 13은 단경간의 교량(1)에 적용되는 단계별 모멘트 변화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의 (a)는 상기 연결판(30)을 통해 부분 현장 이음작업을 하여 힌지 역할을 하도록 형성한 상태의 모멘트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의 (b)는 힌지부 완전 결합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부(단부거더(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번 구간의 이동으로 부모멘트(-M)는 상승하고, 정모멘트(+M)는 감소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c)는 강봉(14)의 인장작업을 통해 정,부모멘트가 저감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13 (a) is a view showing a moment in a state of being formed as a hinge by performing a partial field joining operation through the connecting
다시 말해서, 상기 교번 구간은 정모멘트(+M)와 부모멘트(-M)가 교차하는 부분 즉, 도 13에서는 영이 되는 구간을 의미하고, 따라서, 도 13의 (a)는 교번구간은 힌지이고, 도 13의 (b)에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교번 구간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alternating section means a section where the momentum (+ M) and the momentum (-M) intersect with each other, that is, a section that becomes zero in FIG. 13, and therefore, the alternating section is a hinge , And FIG. 1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alternate section ha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도 14는 연속경간의 교량에 적용되는 단계별 모멘트 변화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4의 (a)는 도 13의 단경간과 마찬가지로 부분 현장 이음작업을 통해 힌지를 형성하고, 도 14의 (b)는 콘크리트 타설로 강관, 우각부의 보강과 부분 이음부인 연결판(30)의 완전 결합으로 인한 교번 구간 이동으로 모멘트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의 (c)는 강봉(14)의 인장으로 모멘트가 저감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14 (a) shows a hinge formed by a partial site joining operation as in the case of the short axes in Fig. 13, and Fig. 14 (b) 14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ment is increased due to the tensile force of the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 : 말뚝
C : 콘크리트
C1 : 콘크리트 주입호스
P : 패킹
1 : 교량
2 : 기초
3 : 강관
4 : 단부거더
4a : 상부편
4b : 하부편
4c : 관통공
5 : 단부거더
5a : 헌치부
5b : 상부편
5c : 하부편
5b-1 : 제 1영역부
5b-2 : 제 2영역부
6 : 중앙거더
6a : 하부편
6b : 수용부재
7 : 견인 와이어
8 : 강관 철근브래킷
8a : 지지대
8b : 연결대
8b-1 : 돌출편
8b-2 : 삽입공
8c : 걸고리
10 : 강관철근
10a : 띠철근
12 : 단부거더철근
14 : 강봉
14a : 너트
16 : 슬리브 거푸집
18 : 벽체 철근
20 : 벽체 거푸집
30 : 연결판
32 : 볼트
40 : 브래킷
42,52 : 삽입구
50 ; 시트파일A: Stake
C: Concrete
C1: Concrete injection hose
P: Packing
1: Bridge
2: Foundation
3: Steel pipe
4: End girder
4a:
4b:
4c: Through-hole
5: End girder
5a:
5b:
5c:
5b-1:
5b-2:
6: Center girder
6a:
6b: housing member
7: pull wire
8: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
8a: Support
8b: Links
8b-1:
8b-2: Insertion hole
8c: The hook
10: Reinforcing steel pipe
10a:
12: End girder reinforcement
14: steel rods
14a: Nut
16: sleeve mold
18: Wall Reinforcement
20: Wall mold
30: Connection plate
32: Bolt
40: Bracket
42, 52:
50; Sheet file
Claims (14)
상기 강관(3)의 상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단부거더 및, 상기 단부거더의 사이에 연결되는 중앙거더와;
상기 강관(3), 단부거더에 삽입되는 강관철근(10) 및 단부거더 철근(12)과;
상기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만나는 일부분에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연결되도록 결합 고정되어 힌지 역할을 하도록 하는 연결판(30)과;
상기 강관(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강관 철근(10)이 안치되어서 강관(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강관 철근 브래킷(8)과;
상기 강관(3), 단부거더 및 중앙거더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
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만나는 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단부거더와 중앙거더가 만나는 면에는 팩킹이 개재되고,
상기 단부거더에는 인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강봉(14)을 결합하며,
상기 강봉(14)은 단부측에 바깥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하는 너트(14a)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각부가 보강되는 교량.
A plurality of steel tubes (3);
An end girder connected between upper portions of the steel pipe 3, and a center girder connected between the end girders;
A steel pipe (3), a steel pipe reinforcing bar (10) and an end girder reinforcing steel (12) inserted into the end girder;
A connecting plate (30) for engaging and securing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to a part where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meet to serve as a hinge;
A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 8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3 to prevent the steel pipe reinforcing bar 10 from being inserted and to be inser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pipe 3;
Concrete (C) placed on the steel pipe (3),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 RTI >
The surface where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meet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Packing is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end girder and the center girder meet,
The end girder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teel rods (14) for enhancing tensile fo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bar (14) is screwed with a nut (14a) to be pulled outward on the end side.
상기 강관 철근 브래킷(8)은,
복수의 지지대(8a)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8a)가 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연결대(8b);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el pipe reinforcing bracket (8)
A plurality of supports 8a;
A linkage (8b) to which the plurality of supports (8a) are coupled so as to be spaced apart;
Wherein the bridge is reinforced by a right angle portion.
상기 연결대(8b)에는 강관(3)안에 삽입되는 강관 철근(10)의 띠 철근(10a)이안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돌출편(8b-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8b-1)에는 각각 강관 철근(10)이 관통되도록 하는 삽입공(8b-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8b-1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block 8b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10a of the steel pipe reinforcing bars 10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3 are unified. (8b-2) through which the steel pipe reinforcing bars (10) are inserted, respectively.
지지대(8a)의 상단부에는 강관(3)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걸고리(8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nd a hook (8c) for hooking the upper end of the steel pipe (3)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ase (8a).
상기 단부거더는 상부편과 하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편은 제 1영역부(5b-1)와, 상기 제 1영역부(5b-1)보다 확장된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제 2영역부(5b-2)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진 구조의 헌치부(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end piece has a first area 5b-1 and a second area 5b-1 which has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area 5b-1. (5b-2)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5b-2).
상기 복수의 강관(3)에 콘크리트 타설전에 각 강관(3)의 한쪽 측면에는 브래킷(40)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40)의 사이에 복수의 시트파일(5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The method of claim 5,
A bracket 40 is fixed to one side of each steel pipe 3 before concrete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teel pipes 3 and a plurality of sheet piles 50 are connected between the brackets 40 Bridges reinforced with right angl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5154A KR101788581B1 (en) | 2016-11-02 | 2016-11-02 |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with Reinforced Corner Portion and Bridge with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5154A KR101788581B1 (en) | 2016-11-02 | 2016-11-02 |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with Reinforced Corner Portion and Bridge with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8581B1 true KR101788581B1 (en) | 2017-10-20 |
Family
ID=6029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5154A KR101788581B1 (en) | 2016-11-02 | 2016-11-02 |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with Reinforced Corner Portion and Bridge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858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2756A (en) * | 2019-09-17 | 2021-03-25 | 주식회사 택한 |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steel girder for composite rahmen bridge |
KR20210035681A (en) * | 2019-09-24 | 2021-04-01 | (주)삼현피에프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2431326B1 (en) | 2022-02-17 | 2022-08-11 | 이형훈 | Strut-ti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5572Y1 (en) * | 2002-05-23 | 2002-08-13 | 비비엠코리아(주) | Apparatus for connecting head of steel pipe and concrete footing |
KR200302138Y1 (en) * | 2002-10-30 | 2003-01-24 | 유근무 | A Floor of Temporary Bridge for using Sheet-Pile |
KR101011252B1 (en) * | 2010-11-24 | 2011-01-26 | 김석희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KR101384087B1 (en) * | 2013-10-07 | 2014-04-09 | 다울이엔씨 주식회사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tendon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KR101447722B1 (en) * | 2013-03-04 | 2014-10-06 | 최승희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637330B1 (en) * | 2016-02-05 | 2016-07-07 | 강경훈 | Correctible girder structure for rahmen bridge and the constructurion method using the same |
-
2016
- 2016-11-02 KR KR1020160145154A patent/KR10178858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5572Y1 (en) * | 2002-05-23 | 2002-08-13 | 비비엠코리아(주) | Apparatus for connecting head of steel pipe and concrete footing |
KR200302138Y1 (en) * | 2002-10-30 | 2003-01-24 | 유근무 | A Floor of Temporary Bridge for using Sheet-Pile |
KR101011252B1 (en) * | 2010-11-24 | 2011-01-26 | 김석희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KR101447722B1 (en) * | 2013-03-04 | 2014-10-06 | 최승희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384087B1 (en) * | 2013-10-07 | 2014-04-09 | 다울이엔씨 주식회사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tendon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KR101637330B1 (en) * | 2016-02-05 | 2016-07-07 | 강경훈 | Correctible girder structure for rahmen bridge and the constructurion method using the sam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2756A (en) * | 2019-09-17 | 2021-03-25 | 주식회사 택한 |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steel girder for composite rahmen bridge |
KR102301622B1 (en) * | 2019-09-17 | 2021-09-13 | 주식회사 택한 |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steel girder for composite rahmen bridge |
KR20210035681A (en) * | 2019-09-24 | 2021-04-01 | (주)삼현피에프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2270427B1 (en) * | 2019-09-24 | 2021-06-29 | (주)삼현피에프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2431326B1 (en) | 2022-02-17 | 2022-08-11 | 이형훈 | Strut-ti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2259B1 (en) | Rigid connecting method betwe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substructure of bridge | |
KR100951097B1 (en) | Slab and subgrade external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subgrade external wall, bracket | |
US20180050467A1 (en) | Pre-Stressed Box Culvert and Methods for Assembly Thereof | |
JP3844743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788581B1 (en) |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with Reinforced Corner Portion and Bridge with the Same | |
KR101263370B1 (en) | Precast end-block with girder connection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s same | |
KR101881580B1 (en) | Bridge comprising monolithic structure of girder and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2269141B1 (en) | Deck plate 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pavement | |
KR200397213Y1 (en) | Mounting structure of Steel Cross-beam in Multi-girder concret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6517123B2 (en) | T-girder installation method | |
KR101293838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tensioned concre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6517122B2 (en) | Superstructure of T-girder bridge | |
KR100937252B1 (en) | Prestressed steel composite bea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3737475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054718B1 (en) | Rahmen bridge using butress and enlarged tendon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terefor | |
KR101232329B1 (en) | Integr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ed and concrete-filled tube | |
KR20070001410A (en) | Mounting structure of steel cross-beam in multi-girder concret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80943B1 (en)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unterfort without abutment parts | |
KR20030094195A (en) | Improved prestre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eam | |
JP4038822B2 (en) | Road expansion structure | |
KR101627658B1 (en) | Pile beam with shear-keys and Construction method of mixed bridge using Piled beams with shear-key | |
JP4437064B2 (en) | Construction method and formwork structure of concrete floor slab for composite floor slab bridge | |
KR101898720B1 (en) | Fixing block with expedite installation pile cap | |
KR100902640B1 (en) | Waterway culvert using steel sheet pil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366939Y1 (en) | Bracket for supporting forms for perimeter girder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