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662B1 - 신발 벗김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신발 벗김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662B1
KR101008662B1 KR1020100046996A KR20100046996A KR101008662B1 KR 101008662 B1 KR101008662 B1 KR 101008662B1 KR 1020100046996 A KR1020100046996 A KR 1020100046996A KR 20100046996 A KR20100046996 A KR 20100046996A KR 101008662 B1 KR101008662 B1 KR 10100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heel
support
boot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민영
Original Assignee
전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영 filed Critical 전민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80Devices for putting-on or removing boots or shoes, e.g. boot-hooks, boot-jac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화, 장화, 부츠, 등산화등의 신발 뒷굽(2)을 눌러 지지하여 신발을 간편하게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로서, 신발의 뒷굽(2)과 결합된 위쪽의 뒷꿈치부분(3) 사이의 요홈부(5)에 내측 모서리부분(13,54)이 배치되는 두개의 지지부(11, 51)가 U자 형태로 분기되어 벌어진 형상의 신발 뒷굽 고정부(10, 50)와,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10)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지주부(20) 및 사용자가 손으로 지팡이 처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신발을 신을 때 보통 사용하는 구두 주걱과 같이 사용자가 신발 뒷굽을 안정되게 눌러 발을 신발에서 간편하게 빼내어 벗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신발 벗김 보조기구{A DEVICE FOR TAKING OFF SHOES}
본 발명은 2010.02.25. 특허출원 제10-2010-0016962호 "신발 벗김 보조기구"의 우선권주장 출원이다.
본 발명은 구두주걱을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게 구비하고, 부츠와 장화, 작업화와 같은 목이 긴 신발들에 있어서 벗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편하게 신발을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퍽거리는 작업 환경에 사용하는 장화나 안전을 위한 작업화, 등산화와 같은 경우 신발이 벗겨지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꼭 맞는 것을 착용하도록 하며, 이러한 이유로 예를들어 집에 들어오거나 식당등에 가서는 작업화나 장화, 등산화, 부츠를 벗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고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이러한 종류의 신발을 힘을 주어 잡은 상태에서 발을 신발에서 빼내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중심을 잃고 넘어질 수도 있는 등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화나 작업화의 경우 흙탕물이나 오물이 묻는 경우에는 신발을 벗을 때 손으로 잡을 수 없어 신발을 벗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신발의 측부에 지퍼를 부착하기도 하지만, 지퍼를 열고 신발을 벗어 놓게 되면 신발이 옆으로 쓰러지게 되어 밟히거나 모양이 좋지 않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지퍼는 장화와 같은 경우에는 채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화나 작업화, 등산화, 부츠와 같은 신발의 경우 벗을 때 예를들어 구두를 신을 때 사용하는 구두 주걱과 같은 보조기구가 요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장화나, 작업화, 등산화, 부츠와 같은 종류의 신발을 벗을 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을 고정하여 간편하고 손쉽게 신발을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두주걱을 필요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신발 벗김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벗김 보조기구는 작업화, 장화, 부츠, 등산화등의 신발 뒷굽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뒷굽과 결합된 위쪽의 뒷꿈치부분 사이의 요홈부에 내측 모서리부분이 배치되는 두개의 지지부가 U자 형태로 분기되어 벌어진 형상의 신발 뒷굽 고정부와,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지주부 및 사용자가 손으로 지팡이 처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의 두개의 지지부는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내측 모서리부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의 분기된 두개의 지지부는 지면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수평의 제1 플랜지부와, 그 내측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되어 사용시 신발의 뒷굽과 뒷꿈치부분 사이의 요홈부에서 뒷굽의 모서리부분 위에 배치되는 수평의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는 파이프 형태로서 상부가 하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부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의 와이어가 배치되고 그 절곡된 단부에는 돌기부가 끼워져 와이어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가 상부의 벽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에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어 돌기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높이의 홀에 맞물리게 되어 사용자의 키에 적합한 높이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구두주걱과, 상기 구두주걱을 지주부의 하부에 구두주걱을 사용위치와 보관위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두주걱 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벗김 보조기구는 장화나 작업화, 등산화, 부츠와 같은 신발을 벗을 때 신발의 뒷굽과 뒤꿈치 부분 사이의 요홈부에 분기된 두개의 지지부의 내측 모서리부분이 배치되어 뒷굽을 눌러 줄 수 있어 사용자가 신발을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간편하게 신발을 벗을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사용위치와 보관위치로의 위치변경가능하게 장착된 구두주걱을 함께 구비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작업화등의 신발을 벗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발 벗김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신발 벗김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지주부의 높이 조정을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 2의 선 A-A에 의해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 벗김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신발 벗김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구두주걱을 구비한 신발벗김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구두주걱과 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신발벗김 보조기구의 보관위치 상태의 구두주걱을 보여주는 신발벗김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의 사시도와 도 3의 사용상태 사시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발 벗김 보조기구(1)는 작업화나 장화 등산화등의 신발 뒷굽(2)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뒷굽(2)과 결합된 위쪽의 뒷꿈치부분(3) 사이의 요홈부(5)에 배치되는 두개의 지지부(11)가 U자 형태로 분기되어 벌어진 형상의 신발 뒷굽 고정부(10)와,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10)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지주부(20) 및 사용자가 손으로 지팡이 처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벗김 보조기구의 신발 뒷굽 고정부(10)는 두개의 지지부(11)가 신발 뒷굽(2)의 곡면에 대응되게 만곡되어 벌어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삼각형상을 갖는다.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1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료나 AL 합금과 같은 금속을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10)의 분기된 지지부(11)는 신발의 예를들어 가죽이나 고무 또는 직물로 만들어지는 뒷꿈치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합성수지재료로 코팅되거나 별도로 제조된 합성고무재의 커버부(12)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 뒷굽 고정부(10)의 지지부(11)는 사용시에 삼각형 단면에서 내측의 모서리부(13)가 도 3에 도시된 사용상태 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신발의 뒷굽(2)과 그 위쪽의 곡면으로 된 뒷꿈치부분(3)이 결합되는 요홈부(5)에 배치되어 신발을 벗을 때 아래쪽의 뒷굽(2)을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신발 뒷굽이 들려지지 않아 쉽게 벗겨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신발 벗김 보조기구를 사용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마치 길다란 구두주걱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손잡이를 잡고 신발 뒷굽 고정부(10)의 분기된 지지부(11)들을 신발 뒷굽(2)과 뒷꿈치부분(3) 사이의 요홈부(5)에서 신발 뒷굽(2)의 모서리부 위에 배치하여 신발 뒷굽을 누른 상태로 신발을 벗게 되며,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에서 신발 뒷굽을 안정되게 누를 수 있어서 발을 뒷꿈치부터 신발로 부터 쉽게 빼낼 수 있게 되므로 자세를 굽히지 않고도 매우 간편하게 신발을 벗을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 4는 지주부(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보여주고 있으며, 파이프 형태의 상부(21)가 하부(22)에 끼워지도록 되고, 상부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의 와이어(24)가 배치되고 그 절곡된 단부에는 돌기부(25)가 끼워져 와이어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25)는 상부(21)의 벽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에는 복수개의 홀(23)들이 형성되어 돌기부(25)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높이의 홀(23)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에 적합한 높이로 지주부(20)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벗김 보조기구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신발 벗김 보조기구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뒷굽 고정부(10)의 변형된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뒷굽 고정부(50)의 분기된 두개의 지지부(51)는 지면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수평의 제1 플랜지부(52)와 그 내측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된 수평의 제2 플랜지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된 상기 제2 플랜지부(53)의 모서리부(54)는 사용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지지부(11)의 모서리부(13)와 마찬가지로 신발의 뒷굽(2)과 뒷꿈치부분(3) 사이의 요홈부(5)에서 뒷굽(2)의 모서리부분 위에 배치되며, 이로써, 사용자가 손잡이(30)를 잡고 누른 상태에서는 뒷굽(2)은 제2 플랜지부(53)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신발에서 발을 빼내어 신발을 쉽게 벗을 수 있게 된다. 지주부(20)에는 도 4에 도시된 높이 조정구조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신발의 뒷굽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플랜지부(53)는 합성수지재로 코팅되거나 합성고무재와 같은 재료로 성형된 커버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구두주걱을 구비한 신발벗김 보조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신발 벗김 보조기구의 지주부(20)의 하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시 하방으로 배치되고 보관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방으로 배치되게 회동가능하게 구두주걱(100)이 제공된다.
상기 구두주걱(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 바디(101)의 일부분을 펀칭에 의하여 돌출시키고 절곡하여 바디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절곡편(105)을 갖는 홀더(110)에 장착되며, 상기 구두주걱은 통상적인 구두주걱 형태로서 그 상단부가 절곡편(105)과 홀더 사이에 회동핀(106)으로 측방향으로 회동하여 보관시 상향으로 배치되거나 사용시 하향으로 배치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절곡편은 구두주걱을 외측방향에 대하여 지지한다.
상기 회동핀(106)은 그 양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지주부(20)에 나사체결되거나 적어도 외측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절곡편(105)에 나사체결되거나 리벳 형태로서 고정부에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는 분기된 지지부의 바람직한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분기된 지지부(107)들은 구두 또는 부츠의 뒷굽의 만곡된 형상에 적합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고무재의 커버(108)가 끼워져 지지부와 접촉되는 구두 또는 부츠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홀더(110)는 신발벗김 보조기구의 지주부의 하단부 외측에 동심원적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두주걱은 오목한 사용면이 신발벗김을 위한 분기된 지지부(107)와 반대방향으로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사용시 지지부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편(105)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홀더(110)의 바디(101)에 고정되어 구두주걱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신발 벗김 보조기구에서 구두주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두주걱을 하향으로 배치한 다음 구두를 신고 보관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두주걱을 홀더의 개방된 측방향을 통해 회동시켜 상향으로 배치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두주걱과 신발벗김 보조기구를 일체화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사용자는 별도로 구두주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신발 벗김 보조기구는 작업화, 장화, 등산화, 부츠와 같은 신발의 뒷굽을 지지하도록 두개의 분기된 지지부와, 지지부들이 하단에서 연결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제고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신발의 뒷굽과 뒤꿈치부분 사이의 요홈부에 분기된 지지부들의 내측 모서리부분을 배치하여 신발 뒷굽을 누른 상태로 사용자가 발을 신발에서 간편하게 빼내어 벗을 수 있게 되어 마치 신발을 신을 때 보통 사용하는 구두 주걱과 같이 신발을 벗을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구두주걱을 하단부에 일체화시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2 ; 뒷굽 3 : 뒷꿈치부분
10, 50 : 고정부 11, 51 : 지지부
20 : 지주부 30 : 손잡이
21 : 상부 22 : 하부
23 : 홀 24 : 와이어
25 : 돌기부

Claims (6)

  1. 작업화, 장화, 부츠, 등산화등의 신발 뒷굽(2)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뒷굽(2)과 결합된 위쪽의 뒷꿈치부분(3) 사이의 요홈부(5)에 내측 모서리부분(13,54)이 배치되는 두개의 지지부(11, 51)가 신발의 뒷굽에 대응되게 만곡되어 분기된 형상의 신발 뒷굽 고정부(10, 50)와,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10)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지주부(20) 및 사용자가 손으로 지팡이 처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30)를 구비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50)의 분기된 두개의 지지부(51)는 지면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수평의 제1 플랜지부(52)와 그 내측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되어 사용시 신발의 뒷굽(2)과 뒷꿈치부분(3) 사이의 요홈부(5)에서 뒷굽(2)의 모서리부분 위에 배치되는 수평의 제2 플랜지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20)의 하단부에는 구두주걱(100)이 지주부의 하단부 외측에 제공되는 바디(101)에 형성된 절곡편(105)으로 구성된 홀더(110)에서 사용시 하방으로 배치되고 보관시에는 상방으로 배치하도록 절곡편에 제공된 회동핀(106)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
  3. 작업화, 장화, 부츠, 등산화등의 신발 뒷굽(2)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뒷굽(2)과 결합된 위쪽의 뒷꿈치부분(3) 사이의 요홈부(5)에 내측 모서리부분(13)이 배치되는 두개의 지지부(11)가 신발의 뒷굽에 대응되게 만곡되어 분기된 형상의 신발 뒷굽 고정부(10)와,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10)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지주부(20) 및 사용자가 손으로 지팡이 처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30)를 구비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신발 뒷굽 고정부(10)의 두개의 지지부(11)는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내측 모서리부분(13)을 갖고, 상기 지주부(20)는 파이프 형태의 상부(21)가 하부(22)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부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의 와이어(24)가 배치되고 그 절곡된 단부에는 돌기부(25)가 끼워져 와이어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25)가 상부(21)의 벽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에는 복수개의 홀(23)들이 형성되어 돌기부(25)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높이의 홀(23)에 맞물리게 되어 사용자의 키에 적합한 높이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20)는 파이프 형태의 상부(21)가 하부(22)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부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의 와이어(24)가 배치되고 그 절곡된 단부에는 돌기부(25)가 끼워져 와이어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25)가 상부(21)의 벽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에는 복수개의 홀(23)들이 형성되어 돌기부(25)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높이의 홀(23)에 맞물리게 되어 사용자의 키에 적합한 높이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벗김 보조기구.
KR1020100046996A 2010-02-25 2010-05-19 신발 벗김 보조기구 KR101008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6962 2010-02-25
KR1020100016962 2010-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662B1 true KR101008662B1 (ko) 2011-01-17

Family

ID=4361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996A KR101008662B1 (ko) 2010-02-25 2010-05-19 신발 벗김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115B1 (ko) * 2018-04-18 2019-10-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벽걸이형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0754U (ko) 1971-11-08 1973-08-02
JPS641033A (en) * 1987-06-24 1989-01-05 Toshiba Corp Computer device
JP3102278B2 (ja) * 1994-09-07 2000-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降坂路における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7215963A (ja) 2006-02-14 2007-08-30 Tomoko Hashimoto ブーツ・長靴脱ぎ靴ベ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0754U (ko) 1971-11-08 1973-08-02
JPS641033A (en) * 1987-06-24 1989-01-05 Toshiba Corp Computer device
JP3102278B2 (ja) * 1994-09-07 2000-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降坂路における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7215963A (ja) 2006-02-14 2007-08-30 Tomoko Hashimoto ブーツ・長靴脱ぎ靴ベ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115B1 (ko) * 2018-04-18 2019-10-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벽걸이형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7288A1 (ja) 簡易着脱履物
US5961012A (en) Shoehorn for use with walking cane
EP1252851A2 (en) Disposable towel holder with suction cup
KR101008662B1 (ko) 신발 벗김 보조기구
KR101301306B1 (ko) 보행용 지팡이
EP3398015B1 (en) A tripod foot
US6792936B2 (en) Barbecue grill shelf with opposed tool hangers
JP5314808B1 (ja) 仕込み杖
JP2007215963A (ja) ブーツ・長靴脱ぎ靴ベラ
JP3208897U (ja) 携行型靴脱着補助具および屋内配置型靴脱着補助具
JP2012152368A (ja) ベロつまみ引き上げフック付き靴ベラ
US6598769B1 (en) Sock holding dressing aid
JP7060294B1 (ja) 杖の持ち手カバー
JP3139846U (ja) 靴下用の補助具
JP3189167U (ja) 靴脱ぎ装置
JP3104366U (ja) 靴べら兼用杖
JP5221803B1 (ja) 簡易着脱履物
JP3077297U (ja) 傘装着可能杖
JP3123486U (ja) 踵固定用靴べら
JP2020115933A (ja) ステッキ用補助具
JP3201746U (ja) 靴下装着補助具
JP5221802B1 (ja) 簡易着脱履物
JP3166883U (ja) 靴べら付靴脱ぎ器
KR200368581Y1 (ko) 신발 탈착기
JP3190552U (ja) 置き場所を選ばないステ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