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306B1 - 보행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보행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306B1
KR101301306B1 KR1020110079310A KR20110079310A KR101301306B1 KR 101301306 B1 KR101301306 B1 KR 101301306B1 KR 1020110079310 A KR1020110079310 A KR 1020110079310A KR 20110079310 A KR20110079310 A KR 20110079310A KR 101301306 B1 KR101301306 B1 KR 10130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r
cane
ba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052A (ko
Inventor
윤경진
Original Assignee
코리아케어서프라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케어서프라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케어서프라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3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6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also serviceable for other purposes, e.g. to be used as spade, chair, ski-stick
    • F16M13/08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also serviceable for other purposes, e.g. to be used as spade, chair, ski-stick for use as a walking-ca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팡이의 내구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지팡이 사용에 따른 신체적 무리를 방지하며, 지팡이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보행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손잡이 하단에 지지바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바 하단에 지지발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돕기 위한 지팡이에 있어서, 지지바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하되, 전방을 향하여 만곡진 형태로 곡선지게 형성하고, 지지발은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바 하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지지바를 만곡진 곡선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하여 지팡이의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키고, 손목, 팔, 다리 등의 신체에 무리를 가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원하는 기능과 형태의 지지발을 교체 장착하여 사용성을 극대화시키고, 지지발에 장착되는 탄성접지부재 또는 아이젠부재를 통해 지팡이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보행용 지팡이{Stick for walking}
본 발명은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팡이의 내구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지팡이 사용에 따른 신체적 무리를 방지하며, 지팡이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보행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지팡이는 보행자가 걸을 때 도움을 받기 위해 짚는 막대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노약자용, 장애인용, 등산용, 스포츠용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이 되며, 그 기능과 재질 역시 사용 용도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37705호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팡이 겸용 목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한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상단에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1)를 구비하고, 손잡이(1) 하단에 지팡이를 지지하는 역할의 지지봉(2)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봉(2) 하단에는 지면을 짚어 지지할 수 있는 지지발(3)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특히, 상기 지지봉은 그 길이의 조절을 가변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지지봉을 신축 및 이완 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같이, 지팡이의 사용을 통해 보행시에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신체의 밸런스를 지켜주게 되고, 과체중으로 인한 무릎의 과부하를 경감시켜 주며, 특히 내리막길에서는 지팡이를 적절히 활용하여 무릎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대한 줄이게 됨으로써, 무릎에 발생되는 갖가지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팡이는 지지봉이 직선의 프레임 형태로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지지봉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지팡이에 체중을 싣어 몸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지지봉을 거의 수직에 가깝게 세워야 하는데, 이때 손목 부분이 무리하게 꺾이게 되면서 하중이 집중되어 손목의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지팡이는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발의 지지 면적인 매우 좁아 구멍이 뚫려진 배수로 덮개(그레이팅)와 같이 불안전한 접지 환경에서는 지팡이를 지면에 안전하게 짚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다만, 상기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단순히 지지면적을 넓힌 형태의 지지발이 출시되고 있기는 하나, 이들은 지면과의 마찰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특히 지지발의 구성이 지지봉에 고정된 구조로서 하나의 지팡이를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지팡이의 사용성이 극히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KR 10-2001-0037705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지바의 형태를 변형 형성하여 지팡이의 내구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손목질환을 방지하도록 한 보행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팡이의 접지면적과 접지마찰력을 높여 지팡이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보행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발의 장탈착이 가능하여 지팡이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보행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손잡이 하단에 지지바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바 하단에 지지발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돕기 위한 지팡이에 있어서, 지지바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하되, 전방을 향하여 만곡진 형태로 곡선지게 형성하고, 지지발은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바 하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발은 고정바 하부에 고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재 저면에 탄성접지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접지부재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파형의 형태로 형성하되, 파형을 이루는 상단의 각 변곡점들은 고정부재 저면에 고정시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저면 중앙을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탄성접지부재는 상면 중앙을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탄성접지부재의 저면 중앙을 볼록하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발은 고정바 하부에 고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재 저면에 아이젠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젠부재는 저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의 아이젠핀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발 상부에 고정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고정바 상면에 수나사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지지바 저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지팡이의 지지바가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만곡진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발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지팡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손목과, 팔, 다리 등에 무리를 가하지 않고 지팡이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원하는 기능 및 형태의 지지발을 장착 및 탈착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지팡이의 사용성을 극대화시키고, 특히 탄성접지부재를 갖는 지지발의 경우 넓은 접지면적과 강한 접지마찰력을 발휘하며, 또한 아이젠부재를 갖는 지지발의 경우 넓은 접지면적과 함께 강한 접지력을 발휘하여 지팡이를 더욱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팡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탄성접지부재가 장착된 지팡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팡이 하단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아이젠부재가 장착된 지팡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지팡이 하단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보행용 지팡이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손잡이(10)와, 지지바(20)와, 지지발(30)(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지팡이를 파지하도록 지팡이 상단에 결합된 것으로, 지팡이의 사용 용도에 따라 손잡이(10)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즉, 노약자들이 사용하는 지팡이의 경우, 보행시 체중을 싣는 것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0)를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고, 절곡된 손잡이(10) 저면에는 손가락 모양의 굴곡을 주어 그립감을 증대하며, 또한 손바닥에 접하는 손잡이(10) 상면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동계 사용시에 손시려움을 방지한다.
그리고, 등산용과 같이 스포츠용으로 사용하는 지팡이의 경우, 보행시 지팡이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손잡이(10)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손잡이(10) 전면에는 손가락 모양의 굴곡을 주어 그립감을 증대하며, 또한 손바닥에 접하는 손잡이(10) 배면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동계 사용시에 손시려움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5와 같이, 지지바(20)는 지팡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손잡이(10)와 지지발(30)(30') 사이에 연결한 것으로,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조하고, 단면을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하며, 지지바(20)가 전방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만곡진 형태로 휘어지도록 곡선지게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바(20)는 하나의 지지바(20)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적절하게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바(20)를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연결하여 그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바(20)와 다른 지지바(20) 사이에는 지지바(2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가변조절구(24)를 삽입 설치하되, 상기 가변조절구(24)에는 지지바(20)를 원하는 길이만큼 가변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구성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적절하게는 조절스위치(부호 생략)의 누름조작을 통해 복수의 지지바(20)에 각각 형성된 구멍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면서 지지바(20)를 원하는 길이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 외에도 복수의 지지바(20)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높이조절수단의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발(30)(30')은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지되도록 지지바(20) 하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바(20) 하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바(2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도 3 및 도 5를 통해 결합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지지발(30)(30') 상부에 고정바(2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바(22) 상면 중앙에 수나사부(23)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수나사부(2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바(20) 저면 중앙에 암나사부(21)를 형성한다. 즉, 고정바(22)에 형성된 수나사부(23)를 지지바(20)에 형성된 암나사부(21)에 나사 결합하여 지지바(20)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회전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지지발(30)(30') 상면에 원형의 힌지볼(35)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힌지볼(35) 상단의 상당부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고정바(22) 저면 내부에 볼조인트(25)를 고정 설치한다. 즉, 고정바(22) 저면에 구성된 볼조인트(25)에 지지발(30)(30') 상면에 구성된 힌지볼(35)이 수용되어 회전함으로써, 지지발(30)(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회전수단의 구성이 상기한 회전수단의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 외에도 지지발(30)(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또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같은 구성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지지발(30)(30')의 일실시예 구성으로, 접지면적과 접지마찰력을 높인 탄성접지부재(3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바(22)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회전수단의 일 구성요소인 힌지볼(35) 하단에 사각의 고정부재(31)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31) 저면에 탄성접지부재(32)를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접지부재(32)는 전방 일측에서 후방 타측을 향하여 파형의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상기 파형을 이루는 탄성접지부재(32) 상단의 각 변곡점들은 고정부재(31) 저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1)는 저면 중앙을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31)에 대응되는 탄성접지부재(32)는 상면 중앙을 상부를 향하여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정부재(31) 저면에 탄성접지부재(32) 상면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탄성접지부재(32)는 상면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바, 지면에 접촉되는 저면은 그 중앙이 하부를 향하여 볼록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접지부재(32)는 지면과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우레탄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우레탄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마찰계수를 갖는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지지발(30)(30')의 다른 실시예 구성으로, 접지면적과 접지력을 높인 아이젠부재(33)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바(22)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회전수단의 일 구성요소인 힌지볼(35) 하단에 원형의 고정부재(31')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31') 저면에 아이젠부재(33)를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젠부재(33)는 그 저면 둘레를 따라 쐐기 형태로 형성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아이젠핀(34)을 고정 형성하게 되는데, 적절하게는 7~9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접지부재(32)와 아이젠부재(33)를 갖는 지지발(30)(30')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한 지지발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지지발(30)(30')의 구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여러 가지 형상의 지지발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보행용 지팡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지바(20) 하단에 지팡이의 사용 용도에 맞추어 그에 해당하는 지지발(30)(30')을 끼워 장착한 후,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지지바(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팡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지지발(30)(30') 상단에 형성된 수나사부(23)를 지지바(20) 하단에 형성된 암나사부(21)에 맞추어 나사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지지발(30)(30')을 지지바(20)에 끼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4에 도시한 지지발(30)은 탄성접지부재(32)를 갖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보행시 탄성접지부재(32)를 통해 넓은 접지면적과 강한 접지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도 5에 도시한 지지발(30')은 아이젠부재(33)를 갖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보행시 넓은 접지면적과 강한 접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2에 도시한 지팡이 사용에 따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노약자나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지팡이의 손잡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발(30) 하단의 탄성접지부재(32)를 지면에 짚게 되면, 상기 탄성접지부재(32)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탄성접지부재(32)의 저면 형상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면서 지면을 짚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접지부재(32)가 넓은 면적을 갖고 형성됨으로써, 구멍이 뚫린 배수로 덮개 등과 같이 불안정한 지면에 지지발(30)을 짚게 되더라도 지지발(30)을 안정적으로 짚어 지팡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지팡이 사용에 따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등산이나 눈이 내린 지역에서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아이젠부재(33)를 지면에 짚게 되면, 상기 아이젠부재(33)에 형성된 아이젠핀(34)들이 지면에 박히듯 접지됨으로써,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이젠부재(33)가 넓은 면적을 갖고 아이젠핀(34)들이 상기 아이젠부재(33)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불안정한 지면에 지지발(30')을 짚게 되더라도 지지발(30')을 안정적으로 짚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탄성접지부재(32) 및 아이젠부재(33)를 갖는 지지발(30)(30') 모두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게 됨으로써, 손목이 다소 틀어진 상태에서 지지발(30)(30')이 지면을 짚게 되면 접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각도로 지지발(30)(30')이 자연스럽게 회전하여 접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팡이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배가시키고 손목 부상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체중의 상당 부분은 자연스럽게 지팡이에 실리게 되는데, 이를 지탱하는 지지바(20)가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지팡이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손목을 과도하게 꺾지 않더라도 지지발(30)(30')이 안정적으로 지면에 접지되어 손목은 물론, 팔과 다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손잡이 20 : 지지바
21 : 암나사부 22 : 고정바
23 : 수나사부 24 : 가변조절구
25 : 볼조인트 30, 30' : 지지발
31, 31' : 고정부재 32 : 탄성접지부재
33 : 아이젠부재 34 : 아이젠핀
35 : 힌지볼

Claims (7)

  1. 손잡이 하단에 지지바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바 하단에 지지발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돕기 위한 지팡이에 있어서,
    지지바(2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하되, 전방을 향하여 만곡진 형태로 곡선지게 형성되고, 지지발(30)은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바(20) 하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발(30)은 고정바(22) 하부에 고정부재(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31) 저면에 탄성접지부재(3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탄성접지부재(32)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파형의 형태로 형성하되, 파형을 이루는 상단의 각 변곡점들은 고정부재(31)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31)는 저면 중앙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1)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탄성접지부재(32)는 상면 중앙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접지부재(32)의 저면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지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발(30) 상부에 고정바(2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고정바(22) 상면에 수나사부(2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23)에 나사 결합되도록 지지바(20) 저면에 암나사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용 지팡이.
KR1020110079310A 2011-08-09 2011-08-09 보행용 지팡이 KR101301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310A KR101301306B1 (ko) 2011-08-09 2011-08-09 보행용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310A KR101301306B1 (ko) 2011-08-09 2011-08-09 보행용 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052A KR20130017052A (ko) 2013-02-19
KR101301306B1 true KR101301306B1 (ko) 2013-08-28

Family

ID=4789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310A KR101301306B1 (ko) 2011-08-09 2011-08-09 보행용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68Y1 (ko) 2022-04-06 2023-05-17 남승준 온열 기능이 구비된 지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340B1 (ko) * 2015-08-28 2019-12-11 김희원 회전형 목발
US11363863B2 (en) * 2019-12-20 2022-06-21 Ali Burkett Servideo Soft terrain walking assist device
KR102623763B1 (ko) * 2022-10-21 2024-01-11 한국전기연구원 실시간 위치추적-헬스케어형 스마트 지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2434A (en) * 1998-01-20 1999-11-30 Berlin; Leonard A. Enlarged tip for cane
KR200282333Y1 (ko) * 2002-04-16 2002-07-22 박정현 지팡이의 물미
KR200288271Y1 (ko) * 2002-06-14 2002-09-09 테츠지 가와카미 지팡이의 지면 접촉부 구조
JP2003153716A (ja) * 2001-09-10 2003-05-27 Sukehisa Komatsu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2434A (en) * 1998-01-20 1999-11-30 Berlin; Leonard A. Enlarged tip for cane
JP2003153716A (ja) * 2001-09-10 2003-05-27 Sukehisa Komatsu
KR200282333Y1 (ko) * 2002-04-16 2002-07-22 박정현 지팡이의 물미
KR200288271Y1 (ko) * 2002-06-14 2002-09-09 테츠지 가와카미 지팡이의 지면 접촉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68Y1 (ko) 2022-04-06 2023-05-17 남승준 온열 기능이 구비된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052A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224B2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CN108078743B (zh) 免持拐杖
KR101301306B1 (ko) 보행용 지팡이
CA2031513A1 (fr) Appareil orthopedique pour handicapes d'une jambe_
US20110108075A1 (en) Ergonomic crutch
JP6071210B2 (ja) 杖先及び杖
US10278887B2 (en) Crutch and sitting device
KR100920991B1 (ko) 지팡이 겸용 목발
US20140373887A1 (en) Helix cane stopper
US20040226593A1 (en) Walking cane
KR101249964B1 (ko) 목발 및 목발용 완충부재
JP2019071982A (ja) 杖先及び杖
NO333591B1 (no) Truge med integrert ledd
US20080053503A1 (en) Ergonomic forearm crutch
US20160316869A1 (en) Exercise Device for Use as a Walking Stick Having an Ergonomically Angled Handle
FR2828792A1 (fr) Dispositif implante dans une chaussure de golf, permettant de liberer le pied porteur en fin de swing protegeant des traumatismes lies a la phase finale du swing
EP2486814B1 (fr) Orthèse ergonomique d'appui pour jambe
JP4900788B2 (ja)
RU188778U1 (ru) Палка для ходьбы
JP5956852B2 (ja) 杖支持具
CN208388956U (zh) 一种可调式助行器
US20060118154A1 (en) Crutches that convert into canes and methods for conversion of same
KR20120001356U (ko) 지팡이
JP6762687B2 (ja) 歩行用ポール
CN109744672B (zh) 一种使四脚拐杖使用更安全省力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