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991B1 - 지팡이 겸용 목발 - Google Patents

지팡이 겸용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991B1
KR100920991B1 KR1020090067421A KR20090067421A KR100920991B1 KR 100920991 B1 KR100920991 B1 KR 100920991B1 KR 1020090067421 A KR1020090067421 A KR 1020090067421A KR 20090067421 A KR20090067421 A KR 20090067421A KR 100920991 B1 KR100920991 B1 KR 10092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rmpit
upper rod
can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장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진 filed Critical 장성진
Priority to KR102009006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2003/0233Crutches convertible from armpit crutch into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전체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잡이 및 겨드랑이 끼움구를 절첩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겨드랑이 끼움구 대신 지팡이 손잡이를 결합하여 지팡이로 사용 가능한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손잡이의 용이한 절첩을 위해,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치는 겨드랑이 끼움구(460,500), 상단이 겨드랑이 끼움구(460,500)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봉(410), 상부봉(410)에 장착되는 손잡이 고정부재(440), 손잡이 고정부재(44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480), 상부봉(41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봉(420)을 포함하며, 손잡이 고정부재(440)는 상부봉(410)이 삽입되는 관상의 몸체부(441)를 가지며, 몸체부(441)의 일측에는 손잡이(480)의 전단이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 삽입공(446)이 형성되고, 손잡이 삽입공(446)을 에워싸면서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고 양측벽과 저벽을 가지는 손잡이 고정부(442)가 돌출 연장되며, 손잡이 고정부(442)의 양측벽에는 손잡이 고정공(443)이 형성되고, 손잡이(480)에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442) 양측벽의 손잡이 고정공(443)에 의해 지지된 손잡이 고정수단(444)에 의해 관통되는 절첩용 장공(48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한다.
목발, 길이가변, 지팡이 겸용, 절첩

Description

지팡이 겸용 목발{COMBINED STICK AND CRUTCH}
본 발명은 목발에 관한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겨드랑이 끼움구와 손잡이의 절첩이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지며, 겨드랑이 끼움구의 완충작용이 우수하며 지팡이로 변형 사용이 가능한 지팡이 겸용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발은 지체부자유자 또는 부상환자들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목발의 재료는 목재, 합성수지, 금속재료등이며, 합성수지는 금속재료 또는 목재에 비하여 가볍고 변형이 적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목발의 구성은 겨드랑이 사이에 밀착되며 인체의 하중을 받는 최상단의 겨드랑이 끼움구와,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의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캡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목발은 상기 지지대가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에 단순하게 고정결합을 이루고 있거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지지대에 수 개의 구멍을 뚫어 상기 손잡이의 위치를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목발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춘 전체 길이 조절이나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어렵고, 폭이 큰 겨드랑이 끼움구와 손잡이 부분으로 인해 목발을 휴대하거나 보관하기에 불편하다. 게다가, 부상이 있는 환자들 대부분은 부상이 완쾌되더라도 다리에 무리가 가거나 제대로 걷지 못한다. 따라서 지팡이를 사용하게 되므로, 별도로 지팡이를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목발의 길이 조절 및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세밀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목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길이 조절 기능과 더불어 겨드랑이 끼움구와 손잡이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목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지팡이로의 용도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지팡이 구입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겨드랑이 끼움구에서도 추구되었던 완충기능을 보다 강화하여 겨드랑이 부분에 전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치는 겨드랑이 끼움구; 상단이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봉; 상기 상부봉(410)에 장착되는 손잡이 고정부재;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상부봉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봉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봉이 삽입되는 관상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의 전단이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삽입공을 에워싸면서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고 양측벽과 저벽을 가지는 손잡이 고정부가 돌출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양측벽에는 손잡이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양측벽의 손잡이 고정공에 의해 지지된 손잡이 고정수단에 의해 관통되는 절첩용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를 탈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봉의 상단에 장착되는 지팡이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한다.
또한, 일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봉 상단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체결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중간부에는 절첩용 장공이 형성된 피벗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의 하부에는 상기 피벗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는 피벗부재 삽입공이 형성되고, 피벗부재 삽입공 주위로는 하방 및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돌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대향하는 양측벽에는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벗부재의 절첩용 장공을 관통하 는 고정수단의 양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봉과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의 몸체부 사이에 상부봉 보호관이 설치되되, 상기 상부봉 보호관은 하단에 다른 부분보다 넓은 내경을 갖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외부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봉 하부에는, 상부 외경보다 하부 외경이 크게 형성된 고정관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 목발 사용시 고정관의 상부 외경이 상기 상부봉 보호관의 결합구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부봉 보호관의 상하 이동이 방지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상부봉 보호관의 요홈에 단부가 접촉되어 압력을 가하는 상하고정 볼트가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봉 보호관의 횡방향 외형은 타원형이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의 횡방향 내형은 상기 상부봉 보호관의 횡방향 외형과 합치하는 타원형으로 되어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에는 겨드랑이와 접촉하는 부분에 탄성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목발의 길이 조절 및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세밀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길이 조절 기능과 더불어 겨드랑이 끼움구와 손잡이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지팡이로의 용도전환이 가능하여 별도의 지팡이 구입부담을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겨드랑이 끼움구가 우수한 완충기능을 가져 겨드랑이 부분에 전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겸용 목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겸용 목발은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치는 겨드랑이 끼움구(460), 상단이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460,500)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봉(410), 상기 상부봉(410)에 장착되는 손잡이 고정부재(440),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480), 상기 상부봉(41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봉(420)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하나의 하부봉(42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둘 이상의 하부봉(42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봉 하단에는 마모에 강한 지지캡(490)이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는 상기 상부봉(410)이 삽입되는 관상의 몸체부(441)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441)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 전단(482)이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 삽입공(446)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삽입공(446)을 에워싸면서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고 양측벽과 저벽을 가지는 손잡이 고정부(442)가 돌출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442)의 양측벽에는 손잡이 고정공(443)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80)에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442) 양측벽의 손잡이 고정공(443)에 의해 지지되는 손잡이 고정수단(444)에 의해 관통되는 절첩용 장공(481)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고정수단(444)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손잡이 고정공(44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이다.
상부봉(410)과 하부봉(420)은 하부봉(420)이 상부봉(410)보다 직경이 작아 상부봉(410) 내부로 원하는 길이만큼 들어가 전체 길이를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변경된 길이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봉(410)과 하부봉(420)을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은 등산스틱이나 청소용 걸레자루 등 길이조절 구조로서 공지된 기술을 채용하며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상술하지 않고, 도면에서도 상부봉(410)과 하부봉(420)의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드랑이 끼움구(460)에는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460)에는 겨드랑이와 접촉하는 부분에 탄성부(463,464,465,466)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466)의 탄성을 이용하여 목발 사용시 체중에 의해 느껴지는 겨드랑이의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464)를 두고, 그 내부의 스프링 고정 돌기(465)에 스프링 (466)을 끼운 다음 스프링(466) 하부를 스프링 고정 돌기(465)와 대향하는 위치의 스프링 고정 요홈(463)에 끼워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464)와 함께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서 겨드랑이 끼움구 커 버(464)를 겨드랑이 끼움구(460)에 끼우면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464)와 겨드랑이 끼움구(460)사이에 스프링(466)이 수축된 상태로 유지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464)는 다소의 수축과 팽창을 할 수 있는 우레탄이나 생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되며, 내부 양단에는 겨드랑이 끼움구(460) 양단의 반원 형태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반원 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464) 양단을 조금 당기면서 겨드랑이 끼움구(460)와 결합시키면 반원 형태의 돌출부와 반원 형태의 홈이 서로 걸리게 되어 상하로 일정거리 유동하면서도 웬만한 힘에 의해서는 겨드랑이 끼움구(460)로부터 탈거되지 않으므로, 스프링(466) 역시 탈거 우려가 없이 약간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464)에 의해 겨드랑이에 가해지는 압박은 스프링(466)의 완충작용에 의해 최소화된다.
겨드랑이 끼움구(460)는, 바람직하게는, 피벗부재(430)를 매개하여 상부봉(410)에 결합되는데, 피벗부재(430)는 일단에 수나사산(436)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봉(410) 상단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산(412)에 체결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중간부에는 절첩용 장공(4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460)의 하부에는 상기 피벗부재(430)의 타단이 삽입되는 피벗부재 삽입공(462)이 형성되고, 피벗부재 삽입공(462) 주위로는 하방 및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돌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의 대향하는 양측벽에는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461)이 형성되어 상기 피벗부재(430)의 절첩용 장공(434)을 관통하는 고정수단(467)의 양단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겨드랑이 끼움구(460)와 피벗부재(430)는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461)과 절첩용 장공(434)을 일렬로 맞춘 상태에서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수단(467)을 삽입하여 절첩용 장공(434)을 관통하면서 그 양단이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461)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피벗부재(430)를 겨드랑이 끼움구(460)에 결합함과 아울러, 피벗부재 수나사산(436)을 상부봉(410)의 상단부 내경에 있는 상부봉 암나사산(412)에 체결하면 겨드랑이 끼움구(460)와 상부봉(410) 상단이 결합하게 된다. 겨드랑이 끼움구(460)가 수평상태에서 수직방향인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면 피벗부재 전단(432)이 겨드랑이 끼움구 삽입공(462)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겨드랑이를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 고정부재(440)를 직접 상부봉(410)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나, 손잡이(48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부봉(410)이 변형되고 사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봉 보호관(450)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봉 보호관(450)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관(470)을 상부봉(410) 하부에 고정하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봉(410)과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몸체부(441) 사이에 상부봉 보호관(45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은 하단에 다른 부분보다 넓은 내경을 갖는 결합구(45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봉(410) 하부에는, 상부 외경보다 하부 외경이 크게 형성된 고정관(470)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 목발 사용시 고정관(470)의 상부 외경이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의 결합구(452)의 내경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상부봉 보호관(450)의 상하 이동이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부봉 보호관(450)의 외부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요홈(454)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일측을 관통하는 상하고정 볼트(445)가 설치되어 상하고정 볼트(445)의 단부가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의 요홈(454)에 접촉되어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홈(454)은 상하고정 볼트(445)의 단부가 가하는 압력을 미끄러짐 없이 안전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겨드랑이 끼움구(460)와 손잡이(480)의 방향은 인체공학적인 이유로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높이를 달리하여 고정하더라도 겨드랑이 끼움구(460)에 대한 손잡이(480)의 방향이 항상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안출하였는 바,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의 횡방향 외형은 타원형이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횡방향 내형은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의 횡방향 외형과 합치하는 타원형으로 되어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필요한 경우, 고정관(470)은 상부봉(410)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나, 상부봉 보호관(450)은 고정관(47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나 강한 힘을 가하면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봉(410) 외주면으로부터 손잡이 보호관(450)의 해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지팡이로의 용도 전환시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과 손잡이 고정부재(440)를 간단히 탈거 후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다.
지팡이로 사용하는 경우 겨드랑이 끼움구(460)를 지팡이 손잡이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일측으로 절첩될 우려가 있으므로, 겨드랑이 끼움구(460)를 탈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봉(4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지팡이 손잡이(520)를 별도로 구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 겸용 목발(400)은 휴대 및 보관을 위해 겨드랑이 끼움구(460) 및 손잡이(480)를 절첩할 수 있다.
목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480)를 손잡이 고정부재(440) 방향으로 밀어주어 손잡이 전단(482)이 손잡이 삽입공(446)에 삽입되는 한편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저벽에 의해 지지되어 손잡이가 수평인 상태에서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휴대 및 보관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480)를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고정수단(444)에 대한 절첩용 장공(481)의 여유폭으로 인해 손잡이 전단(482)이 손잡이 삽입공(446)에서 빠져나온다. 또한, 고정수단(444) 전방으로 남아 있는 손잡이(480) 부분의 길이가 충분히 짧게 되어 손잡이 고정부(442)의 저벽과의 간섭없이 손잡이(480)가 수직으로 절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고정부(442)는 다소의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손잡이 고정부(442)의 상측 개방부로 손잡이(480)를 약간 힘을 주어 꺾어주면 개방부가 약간 벌어지면서 손잡이(480)가 수직 상태로 절첩이 될 수 있음과 아울러, 손잡이 고정부(442)의 탄성작용으로 인하여 별도 고정기능이 없어도 상기 손잡이(480)는 절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절첩 기능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목발은 휴대 또는 보관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겨드랑이 끼움구(46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겨드랑이 끼움구의 피벗부재 삽입공(462)에 삽입되어 있던 피벗부재 전단(432)이 빠져나오게 됨과 아울 러,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461)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수단(467)이 절첩용 장공(434)을 따라 피벗부재 전단(43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겨드랑이 끼움구(460) 하부의 연결부의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꺾어 절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지팡이 겸용 목발은 지팡이로의 용도 전환이 용이하다. 겨드랑이 끼움구(460)를 탈거하고 상하고정 볼트(445)를 풀어 상부봉(410)에서 손잡이 고정부재(440)를 탈거한다. 그리고 상기 목발은 상부봉 보호관(450)을 상측으로 잡아당겨 고정관(470)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상부봉(410)으로부터 빼낸 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별도 제작한 지팡이 손잡이(520)를 상부봉 상단에 있는 상부봉 암나사산(412)에 나사식 연결로 결합시키면 간단하게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겸용 목발의 겨드랑이 끼움구(500)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겨드랑이 끼움구(500)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대신에 우레탄이나 생고무 등 탄성이 강한 재질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550)를 사용하며,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550)의 저부에는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 요홈(502)을 형성한다.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 요홈(502)의 내부에 겨드랑이 끼움구 지지대(510)를 삽입하여 접착제 또는 볼트로 고정하여 일체로 만든다. 겨드랑이 끼움구 지지대(510)를 피벗부재(430)로 상부봉(410)과 연결하여 고정시키면 완충력이 강화된 겨드랑이 끼움구가 된다. 도면상 미설명된 부호 512는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이고 514는 피벗부재 삽입공을 나 타내며 이들은 앞서 기술된 실시예의 유사한 명칭을 가진 것과 같은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즉,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겸용 목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발이 운반의 편의를 위해 길이가 단축되고 겨드랑이 끼움구와 손잡이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목발에서 겨드랑이 끼움구와 피벗부재를 역방향에서 확대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 고정부재와 손잡이를 확대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6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른 종단면의 일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상부봉 보호관과 고정관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목발을 지팡이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겨드랑이 끼움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겨드랑이 끼움구와 피벗부재를 역방향에서 확대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400: 목발 410: 상부봉
412: 상부봉 암나사산 420: 하부봉
430: 피벗부재 432: 피벗부재 전단
434: 절첩용 장공 436: 피벗부재 수나사산
440: 손잡이 고정부재 441: 손잡이 고정부재 몸체부
442: 손잡이 고정부 443: 손잡이 고정공
444: 손잡이 고정수단 445: 상하고정 볼트
446: 손잡이 삽입공 450: 상부봉 보호관
452: 결합구 454: 요홈
460: 겨드랑이 끼움구 461: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
462: 피벗부재 삽입공 463: 스프링 고정 요홈
464: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 465: 스프링 고정 돌기
466: 스프링 467: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수단
470: 상부봉 보호관 고정관 480: 손잡이
481: 절첩용 장공 482: 손잡이 전단
490: 지지캡 500: 겨드랑이 끼움구
502: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 요홈 510: 겨드랑이 끼움구 지지대
512: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 514: 피벗부재 삽입공
520: 지팡이 손잡이 550: 겨드랑이 끼움구 커버

Claims (6)

  1.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치는 겨드랑이 끼움구(460,500);
    상단이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460,500)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봉(410);
    상기 상부봉(410)에 장착되는 손잡이 고정부재(440);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480); 및
    상기 상부봉(41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봉(420)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는 상기 상부봉(410)이 삽입되는 관상의 몸체부(441)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441)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480)의 전단이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 삽입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삽입공(446)을 에워싸면서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고 양측벽과 저벽을 가지는 손잡이 고정부(442)가 돌출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 고정부(442)의 양측벽에는 손잡이 고정공(443)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80)에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442) 양측벽의 손잡이 고정공(443)에 의해 지지된 손잡이 고정수단(444)에 의해 관통되는 절첩용 장공(48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460,500)를 탈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봉(410)의 상단 에 장착되는 지팡이 손잡이(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에 수나사산(436)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봉(410) 상단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산(412)에 체결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중간부에는 절첩용 장공(434)이 형성된 피벗부재(4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460,500)의 하부에는 상기 피벗부재(430)의 타단이 삽입되는 피벗부재 삽입공(462,514)이 형성되고, 피벗부재 삽입공(462,514) 주위로는 하방 및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돌출 연장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대향하는 양측벽에는 겨드랑이 끼움구 고정공(461,512)이 형성되어 상기 피벗부재(430)의 절첩용 장공(434)을 관통하는 고정수단(467)의 양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봉(410)과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몸체부(441) 사이에 상부봉 보호관(450)이 설치되되,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은 하단에 다른 부분보다 넓은 내경을 갖는 결합구(452)가 형성되고 외부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요홈(45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봉(410) 하부에는, 상부 외경보다 하부 외경이 크게 형성된 고정관(470)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 목발 사용시 고정관(470)의 상부 외경이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의 결합구(452)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부봉 보호관(450)의 상하 이동이 방지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의 요홈(454)에 단부가 접촉되어 압력을 가하는 상하고정 볼트(445)가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의 횡방향 외형은 타원형이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440)의 횡방향 내형은 상기 상부봉 보호관(450)의 횡방향 외형과 합치하는 타원형으로 되어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겨드랑이 끼움구(460,500)에는 겨드랑이와 접촉하는 부분에 탄성부(463,464,465,466;5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겸용 목발.
KR1020090067421A 2009-07-23 2009-07-23 지팡이 겸용 목발 KR100920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21A KR100920991B1 (ko) 2009-07-23 2009-07-23 지팡이 겸용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421A KR100920991B1 (ko) 2009-07-23 2009-07-23 지팡이 겸용 목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991B1 true KR100920991B1 (ko) 2009-10-09

Family

ID=4157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421A KR100920991B1 (ko) 2009-07-23 2009-07-23 지팡이 겸용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99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24Y1 (ko) 2009-03-14 2010-04-21 김상순 지팡이
DE102013009787A1 (de) * 2013-06-12 2014-12-18 Eduard Galinker Unterarmgehstütze
KR101502566B1 (ko) 2013-10-10 2015-03-19 김진호 휴대가 간편한 목발
CN107495563A (zh) * 2017-08-25 2017-12-22 刘明爽 一种多组合式野外登山拐杖
CN107874983A (zh) * 2017-11-13 2018-04-06 姜曼曼 一种新式的医用康复训练用多功能拐杖
KR102003953B1 (ko) * 2018-11-13 2019-07-25 김영태 목발
CN110693680A (zh) * 2019-11-14 2020-01-17 刘海霞 一种骨科护理用拐杖
KR102079755B1 (ko) * 2019-04-29 2020-02-20 김영태 목발
WO2021015476A1 (ko) * 2019-07-25 2021-01-28 김영태 목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070A (en) * 1994-10-04 1996-01-09 Kelly; James V. Combined adjustable crutch and cane
US5954074A (en) * 1996-09-19 1999-09-21 Mattson; Evert C. Universal adjustable walking crutch and/or cane
KR200230947Y1 (ko) 2001-02-19 2001-07-04 정동명 목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070A (en) * 1994-10-04 1996-01-09 Kelly; James V. Combined adjustable crutch and cane
US5954074A (en) * 1996-09-19 1999-09-21 Mattson; Evert C. Universal adjustable walking crutch and/or cane
KR200230947Y1 (ko) 2001-02-19 2001-07-04 정동명 목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24Y1 (ko) 2009-03-14 2010-04-21 김상순 지팡이
DE102013009787A1 (de) * 2013-06-12 2014-12-18 Eduard Galinker Unterarmgehstütze
DE102013009787B4 (de) * 2013-06-12 2014-12-31 Eduard Galinker Unterarmgehstütze
KR101502566B1 (ko) 2013-10-10 2015-03-19 김진호 휴대가 간편한 목발
CN107495563A (zh) * 2017-08-25 2017-12-22 刘明爽 一种多组合式野外登山拐杖
CN107874983A (zh) * 2017-11-13 2018-04-06 姜曼曼 一种新式的医用康复训练用多功能拐杖
KR102003953B1 (ko) * 2018-11-13 2019-07-25 김영태 목발
WO2020101279A1 (ko) * 2018-11-13 2020-05-22 김영태 목발
KR102079755B1 (ko) * 2019-04-29 2020-02-20 김영태 목발
WO2021015476A1 (ko) * 2019-07-25 2021-01-28 김영태 목발
CN110693680A (zh) * 2019-11-14 2020-01-17 刘海霞 一种骨科护理用拐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991B1 (ko) 지팡이 겸용 목발
US7434592B2 (en) Ergonomic collapsible crutch
US20090114257A1 (en) Handle and a Walking Aid Incorporating the Same
KR20100067270A (ko)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US20050076940A1 (en) Ergonomic collapsible crutch
US20180133093A1 (en) Crutch and Sitting Device
US7270138B2 (en) Joint mechanism
US20170319423A1 (en) Crutches and Sitting Device
KR20140102917A (ko) 워킹 스틱
KR20130017052A (ko) 보행용 지팡이
CN204562797U (zh) 腋、手杖
KR100807304B1 (ko) 평형 유지 및 충격 흡수 지팡이
CN2845532Y (zh) 三点支撑可伸缩拐杖
KR200468125Y1 (ko) 절첩식 보조의자 겸용 목발
US20210212880A1 (en) Crutch and sitting device
CN104784017A (zh) 一种医疗康复保健拐杖
KR20120001356U (ko) 지팡이
CN215584764U (zh) 弹性缓冲式免持拐杖
CN104688495B (zh) 腋、手杖
CN215270964U (zh) 一种结构改良的杖体
CN214910092U (zh) 一种便于收纳的助行器
KR200454246Y1 (ko) 지팡이 겸용 목발
KR20080006174U (ko)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개선된 목발
KR200157049Y1 (ko) 간이의자로서 사용가능한 지팡이
KR200234342Y1 (ko) 스프링이 장착된 목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