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566B1 - 휴대가 간편한 목발 - Google Patents

휴대가 간편한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66B1
KR101502566B1 KR20130120751A KR20130120751A KR101502566B1 KR 101502566 B1 KR101502566 B1 KR 101502566B1 KR 20130120751 A KR20130120751 A KR 20130120751A KR 20130120751 A KR20130120751 A KR 20130120751A KR 101502566 B1 KR101502566 B1 KR 10150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dle
support portion
ho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2013012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겨드랑이에 견착하기 위한 견착부와, 그 견착부와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고 외경이 각기 상이한 복수개의 단위지지대로 접철식으로 마련되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일자형으로 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면에 접하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상기 견착부가 구비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목발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단위지지대에 설치되고 그 단위지지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단위지지대 중 최외측 단위지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 고정공에 끼워져 각각의 단위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관의 일측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에 끼워진 고정구를 커버하여 외부로의 인출을 차단하는 커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 또는 고정관에는 손잡이연결용 브라켓이 설치되고, 그 손잡이연결용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을 차단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평행상태가 유지되도록 회동차단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캡 사이에는 커플러가 결합되어 지되,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커플러의 일측은 상기 지지캡의 하면이 지면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회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회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지지부 또는 커플러의 일측에 형성된 구형의 끼움돌기와, 그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부 또는 커플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는 건전지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가 간편한 목발{crutches easy to portable}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발은 지체부자유자 또는 부상환자들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목발은 주로 목재로 제조되었으나, 최근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료의 특징은 목재와 비교하여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목발은 겨드랑이 사이에 밀착되며 인체의 하중을 받는 최상단의 견착부와, 상기 견착부의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나 또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 또는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 하부에 설치되는 고무재의 지지캡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발은 지지대가 견착부에 단순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따라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높이 조절이 필요한 상황 즉, 목발을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발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100호(2011.03.04, 지팡이 겸용 목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다수의 목발이 출원 및 등록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지지대의 길이조절과 함께 지팡이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목발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겨드랑이에 단순히 견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어 견착력이 좋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파지부의 지지력이 좋지 않아 사용시 하중에 의한 손쉽게 휘어지거나 처지는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지대의 길이조절시 통상의 볼트와 나사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지 않음은 물론 길이조절과정에서 볼트 또는 나사의 분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가 지지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해, 사용시 지지대의 각도가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변경되어 지면 그 지지대와 함께 받침부의 각도가 변경되어짐으로써 받침부의 일측만이 지면과 면접촉하게 되어 타측에 비해 마모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고, 안정적인 지지를 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의 길이조절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고정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특히 지지부의 길이조절과 손잡이의 접철이 가능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등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함은 물론 목발 사용시 안정적인 견착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목발 사용과정에서 지지캡이 지면과 항상 면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지지캡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겨드랑이에 견착하기 위한 견착부와, 그 견착부와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고 외경이 각기 상이한 복수개의 단위지지대로 접철식으로 마련되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일자형으로 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면에 접하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상기 견착부가 구비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목발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단위지지대에 설치되고 그 단위지지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단위지지대 중 최외측 단위지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 고정공에 끼워져 각각의 단위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관의 일측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에 끼워진 고정구를 커버하여 외부로의 인출을 차단하는 커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 또는 고정관에는 손잡이연결용 브라켓이 설치되고, 그 손잡이연결용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을 차단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평행상태가 유지되도록 회동차단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캡 사이에는 커플러가 결합되어 지되,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커플러의 일측은 상기 지지캡의 하면이 지면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회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회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지지부 또는 커플러의 일측에 형성된 구형의 끼움돌기와, 그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부 또는 커플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는 건전지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지지부 또는 손잡이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 사용자의 팔을 결속시키도록 결속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착부에는 4개의 견착돌기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2개의 견착돌기는 흉부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견착돌기는 팔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흉부 측면을 감싸는 2개의 견착돌기는 상기 팔을 감싸는 견착돌기에 비해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와 견착부에는 손잡이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양단이 각각 손잡이와 견착부에 고정되는 보강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 따르면, 단위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부의 길이조절작업이 용이하고, 특히 단위지지대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되며, 견착부에 의한 안정적인 견착과 함께 지지캡에 의한 안정적인 지지로 인해 사용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발이 일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목발과 지팡이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손잡이의 회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걸림수단의 일 예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걸림수단을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견착부를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견착부의 측면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지지부와 지지캡의 연결상태도,
도 10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보강대가 설치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손잡이에 발광수단이 설치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최하측 단위지지대에 엘이디램프가 설치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손잡이의 회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걸림수단의 일 예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걸림수단을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견착부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견착부의 측면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지지부와 지지캡의 연결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보강대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손잡이에 발광수단이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에서 최하측 단위지지대에 엘이디램프가 설치된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간편한 목발은 미사용시에는 부피를 줄이고 사용시에만 지지부의 길이를 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목발의 기본구성은 종래의 목발구성과 같이 겨드랑이에 견착하기 위한 견착부(10)와, 그 견착부(10)와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면에 접하는 지지캡(30)과, 상기 지지부(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발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20)가 일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지지부(20)는 복수개의 단위지지대(22)로 구성되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되도록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2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설명을 위해 외경이 가장 큰 최외측 단위지지대는 도면부호를 22a로 하고, 외경이 가장 작은 최내측 단위지지대는 도면부호를 22c로 하며, 그 최외측 단위지지대와 최내측 단위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단위지지대는 도면부호를 22b로 부호를 매겨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중간 단위지지대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이상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부(20)는 휴대하거나 보관 또는 미사용시에는 최외측 단위지지대(22a)에 다른 단위지지대(22b,22c)를 순차적으로 접철시키면 되는 것이고, 사용시에는 접철된 단위지지대(22b,22c)를 순차적으로 인출시켜 길이조절수단으로 그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한 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20)는 가볍고 단단한 소재인 알루미늄이나 티타늄으로 제작된다.
상기 복수개의 단위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부(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은 고정관(50)과 고정공(53)과 고정구(55) 및 커버판(5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관(50)은 상기 단위지지대(2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55)가 관통하도록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관(50)은 단위지지대(22)에 관통되어 그 단위지지대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단위지지대에 관통되지 않은 채 단위지지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관(50)이 단위지지대에 관통되어 설치된 경우, 상기 관통공(51)은 단위지지대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55)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공(53)은 상기 단위지지대 중 최외측 단위지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지지대 즉, 도 1 및 도 2에서 최외측 단위지지대(22a) 내측으로 접철되는 단위지지대(22b,22c)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51)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면 된다.
상기 고정구(55)는 상기 관통공(51)과 고정공(53)에 끼워져 각각의 단위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단위지지대의 직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고리(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고정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판(57)은 고정관(50)의 일측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55)를 관통공(51)과 고정공(53)으로 밀어넣는 기능을 함은 물론, 그 관통공(51)과 고정공(53)에 끼워진 고정구(55)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55)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55)의 머리부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판(57)의 일측에는 고정구(55)의 머리부 전체에 면접하도록 일정면적으로 밀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버판(57)을 회동시켜 상기 고정구(55)를 가압한 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경우, 상기 커버판은 억지가압된 상태로 고정구(55)를 커버하고 있음에 따라 외부압력이 없이는 커버판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구가 손쉽게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견착부(10)는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견착되는 부분으로써 그 견착부(10)에는 4개의 견착돌기(11a,11b,11c,11d)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견착돌기 중 2개의 견착돌기(11a,11b)는 흉부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견착돌기(11c,11d)는 팔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견착돌기(11a,11b)와 나머지 2개의 견착돌기(11c,11d)는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돌출되어 각각 흉부 측면과 팔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흉부 측면을 감싸는 2개의 견착돌기(11a,11b)는 상기 팔을 감싸는 견착돌기(11c,11d)에 비해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흉부 측면이 팔에 비해 그 폭이 큼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견착될 수 있도록 흉부를 감싸는 견착돌기가 팔을 감싸는 견착돌기에 비해 그 길이를 길게 한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착부(10)는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상면이 오목하게 견착홈(14)이 형성된다. 상기 견착홈(14)을 형성하는 이유는 겨드랑이에 상기 견착부(10)를 끼워넣을 경우, 겨드랑이에 상기 견착홈(14)이 견착됨과 아울러 견착부(10)의 양측이 겨드랑이의 앞쪽과 뒤쪽을 파지하도록 하여 견착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견착홈(14)에는 겨드랑이에 견착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완충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탄성체(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딱딱함에 따른 결림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지지부(20) 또는 고정관(50)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지지부(20) 또는 고정관(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휴대시 또는 미사용시 부피를 줄임은 물론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견착부(10)가 구비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견착부(10)가 구비된 방향으로만 회동되고 지지캡(30)이 구비된 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부(20) 또는 고정관(50)에는 손잡이연결용 브라켓(4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연결용 브라켓(41)은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을 위해 견착부 방향은 개구되고 지지캡 방향은 폐쇄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연결용 브라켓(41)의 내측면에는 상기 손잡이(40)가 지지부(20)에 대해 수직 또는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수단은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연결용 브라켓(41)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손잡이(40)가 지지부(20)에 대해 수직 또는 평행하게 구비된 경우 손잡이(40)의 회동을 차단하는 회동차단돌기(43)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인위적으로 지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평행하게 회동시킨 경우 상기 회동차단돌기(43)에 의해 그 회동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연결용 브라켓(41)의 내측면에는 걸림홈(48)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48)과 대응되는 손잡이(40)의 측면에는 걸림돌기홀(42)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40)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47)에 의해 일측 단부가 손잡이(40)의 단부로 돌출되는 걸림해제봉(46)이 설치되고, 그 걸림해제봉(46)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돌기홀(4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48)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45a)가 형성된 탄성편(45)이 걸림해제봉(4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걸림홈(48)에 걸림돌기(45a)가 걸려진 경우, 상기 손잡이(40)의 단부로 돌출된 걸림해제봉(46)을 눌러 걸림해제봉을 후진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해 상기 걸림홈(48)에 삽입되어 걸려진 걸림돌기(45a)를 걸림해제시킬 수 있고, 걸림해제 후 손잡이(40)를 견착부가 구비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부와 평행하게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걸림해제봉(46)의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탄성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해제봉(46)이 전진이동되면서 걸림돌기(45a)가 걸림돌기홀(42)을 통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한 구조 외에도 손잡이를 지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평행한 상태로 구비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 또는 손잡이(40)에는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0)에 사용자의 팔을 결속시키도록 결속밴드(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속밴드(6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되, 단부에 벨크로가 형성되어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속밴드(60)에 의해 사용자의 팔이 결속된 상태이므로 손잡이(40)를 완벽하게 쥐지 않은 상태에서도 목발을 들거나 옆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와 견착부(10)에는 손잡이(4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보강대(6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65)는 양단이 각각 손잡이(40)와 견착부(10)에 고정되어 손잡이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와 견착부에 고정하는 구조의 일 예로, 상기 견착부(10)에는 일정 길이로 보강대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65)의 양단에는 상기 보강대결합돌기(12)와 손잡이(4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66)이 형성되며, 그 삽입홈(66)에 보강대결합돌기와 손잡이가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홈의 측면에서 결합되게 고정수단(67)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수단(67)의 일예로 고정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대(65)에 의해 손잡이(40)를 보강하게 됨으로써 손잡이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발은 사용시 지지캡(30)의 하면은 지면과 면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20)와 지지캡(30) 사이에 커플러(35)가 결합되어 지고, 상기 지지부(20)와 결합되는 커플러(35)의 일측은 지지부(20)의 단부에 회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회동되게 결합되어 진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발을 사용하는 경우 지면에 대해 지지부의 각도가 바뀌더라도 지지캡(30)의 하면은 항상 지면과 면접촉한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며, 지지캡(30)의 손상이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수단의 일 예로, 상기 커플러(35)의 일측에 형성된 구형의 끼움돌기(36)와, 그 끼움돌기(36)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부(2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홈(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36)가 지지부(20)에 형성되고, 돌기삽입홈(37)이 커플러(35)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돌기삽입홈(37)을 형성하기 위한 일 예로, 도면에서는 두 개의 단위결합체(38a,38b)가 구비되어 그 단위결합체(38a,38b)의 결합을 통해 그 내측으로 돌기삽입홈(37)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단위결합체(38a,38b)는 상기 지지부(2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관(39)에 의해 하나로 합쳐짐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2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캡(30)은 상기 커플러(35)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노후에 따른 교체가 가능하도록 볼트결합방식으로 커플러(35)에 결합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의 단부에는 그 손잡이(40)의 내부에 내장된 건전지(72)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수단의 일 예로 엘이디(LE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에 바람직하게는 단위지지대 중 최하측에 구비되는 단위지지대(22c)에는 안전보행을 위해 단위지지대 내측에 내장되는 건전지(72)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램프(7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70)은 전방의 시야 확보나 특정 물체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이고, 엘이디램프(75)는 목발을 이용한 보행시 지지캡이 접촉되는 지면부분을 조명하여 보다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이다.
상기 발광수단(70) 및 엘이디램프(75)의 전원공급을 위해 마련되는 건전지는 교체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발광수단(70)과 엘이디램프(75)는 별도의 버튼이나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의 길이조절을 통해 미사용시 접철시키도록 하여 휴대가 간편하게 되고, 각 단위지지대를 고정하여 길이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의 조작이 간단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한 목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견착부를 구조를 변경하여 견착력을 높여줌으로써 사용시 불편함없이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지지캡의 각도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불규칙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지지력 상승은 물론, 안정적인 지지로 사용상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조절을 통해 지팡이로도 대용할 수 있어 목발과 지팡이 겸용으로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10: 견착부 11a,11b,11c,11d: 견착돌기
12: 보강대결합돌기 14: 견착홈
16: 탄성체 20: 지지부
22: 단위지지대 22a: 최외측 단위지지대
22b: 중간 단위지지대 22c: 최내측 단위지지대
30: 지지캡 35: 커플러
36: 끼움돌기 37: 돌기삽입홈
38a,38b: 단위결합체 39: 결합관
40: 손잡이 41: 손잡이연결용 브라켓
42: 걸림돌기홀 43: 회동차단돌기
45: 걸림편 46: 걸림해제봉
47: 탄성스프링 48: 걸림홈
50: 고정관 51: 관통공
53: 고정공 55: 고정구
57: 커버판 58: 밀착부
60: 결속밴드 65: 보강대
66: 삽입홈 67: 고정수단
70: 발광수단 72: 건전지
75: 엘이디램프

Claims (12)

  1. 겨드랑이에 견착하기 위한 견착부(10)와, 그 견착부(10)와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고 외경이 각기 상이한 복수개의 단위지지대(22)로 접철식으로 마련되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일자형으로 된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면에 접하는 지지캡(30)과, 상기 지지부(20)의 상부 일측에 상기 견착부(10)가 구비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목발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단위지지대(22)에 설치되고 그 단위지지대(22)를 관통하는 관통공(51)이 형성된 고정관(50)과, 상기 단위지지대 중 최외측 단위지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공(53)과, 상기 관통공(51)을 통해 고정공(53)에 끼워져 각각의 단위지지대(22)를 고정하는 고정구(55)와, 상기 고정관(50)의 일측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51)에 끼워진 고정구(55)를 커버하여 외부로의 인출을 차단하는 커버판(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20) 또는 고정관(50)에는 손잡이연결용 브라켓(41)이 설치되고, 그 손잡이연결용 브라켓(41)의 내측면에는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을 차단하여 상기 지지부(20)에 대해 수직 또는 평행상태가 유지되도록 회동차단돌기(43)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0)와 지지캡(30) 사이에는 커플러(35)가 결합되어 지되, 상기 지지부(20)와 결합되는 커플러(35)의 일측은 상기 지지캡(30)의 하면이 지면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20)의 단부에 회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회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지지부(20) 또는 커플러(35)의 일측에 형성된 구형의 끼움돌기(36)와, 그 끼움돌기(36)가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돌기(36)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부(20) 또는 커플러(35)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홈(37)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40)의 단부에는 건전지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수단(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 또는 손잡이(40)에는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0)에 사용자의 팔을 결속시키도록 결속밴드(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10)에는 4개의 견착돌기(11a,11b,11c,11d)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2개의 견착돌기(11a,11b)는 흉부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견착돌기(11c,11d)는 팔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 측면을 감싸는 2개의 견착돌기(11a,11b)는 상기 팔을 감싸는 견착돌기(11c,11d)에 비해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10)의 상면은 오목하게 견착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홈(14)에는 완충을 위해 탄성체(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0)와 견착부(10)에는 손잡이(4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양단이 각각 손잡이(40)와 견착부(10)에 고정되는 보강대(6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대(22) 중 최하측에 구비되는 단위지지대에는 엘이디램프(7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목발.
KR20130120751A 2013-10-10 2013-10-10 휴대가 간편한 목발 KR10150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751A KR101502566B1 (ko) 2013-10-10 2013-10-10 휴대가 간편한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751A KR101502566B1 (ko) 2013-10-10 2013-10-10 휴대가 간편한 목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566B1 true KR101502566B1 (ko) 2015-03-19

Family

ID=5302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751A KR101502566B1 (ko) 2013-10-10 2013-10-10 휴대가 간편한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279A1 (ko) * 2018-11-13 2020-05-22 김영태 목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88A (ko) * 1987-11-17 1990-06-01 전성용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JPH06319608A (ja) * 1993-05-10 1994-11-22 Takeji Saito ステッキ用脚部金具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ステッキ
JP2003130017A (ja) 2001-10-22 2003-05-08 Suritsuku Kk 伸縮自在管
KR100920991B1 (ko) 2009-07-23 2009-10-09 장성진 지팡이 겸용 목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88A (ko) * 1987-11-17 1990-06-01 전성용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JPH06319608A (ja) * 1993-05-10 1994-11-22 Takeji Saito ステッキ用脚部金具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ステッキ
JP2003130017A (ja) 2001-10-22 2003-05-08 Suritsuku Kk 伸縮自在管
KR100920991B1 (ko) 2009-07-23 2009-10-09 장성진 지팡이 겸용 목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279A1 (ko) * 2018-11-13 2020-05-22 김영태 목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654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xoskeleton attachment
US7712478B2 (en) Ergonomic crutch
US5711334A (en) Ambulatory aid
US3272210A (en) Telescopic folding crutch
US20090235966A1 (en) Ergonomic crutches
US8800579B2 (en) Handgrip for a crutch
US4121605A (en) Walking cane assembly
US7347215B1 (en) Ergonomic crutches
US20100243011A1 (en) Walking aid combined with a toilet seat
CN101095643A (zh) 轮椅的脚底板操作装置
KR100920991B1 (ko) 지팡이 겸용 목발
EP2323610A1 (en) Walker
US20180021202A1 (en) Biomechanical and ergonomical adjustable crutch
KR20100067270A (ko)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US7270138B2 (en) Joint mechanism
US20120167933A1 (en) Length Adjustable Crutch
KR101502566B1 (ko) 휴대가 간편한 목발
KR101241292B1 (ko) 기능성 지팡이
CN208659841U (zh) 一种多功能拐杖
US20080072943A1 (en) Crutch
CN204655442U (zh) 一种多功能骨外科康复拐杖
JP2006346244A (ja) 傘を手で持たない傘保持器
KR100807304B1 (ko) 평형 유지 및 충격 흡수 지팡이
US20210128393A1 (en) Length adjustable crutch
KR101247402B1 (ko) 실내외 겸용 목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