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270A -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 Google Patents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270A
KR20100067270A KR1020080125749A KR20080125749A KR20100067270A KR 20100067270 A KR20100067270 A KR 20100067270A KR 1020080125749 A KR1020080125749 A KR 1020080125749A KR 20080125749 A KR20080125749 A KR 20080125749A KR 20100067270 A KR20100067270 A KR 20100067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d
upper rod
crutches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장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진 filed Critical 장성진
Priority to KR102008012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7270A/ko
Publication of KR2010006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2003/0233Crutches convertible from armpit crutch into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전체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팡이로 사용가능한 길이 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을 개시한다. 하부에 상부봉삽입부를 갖는 겨드랑이끼움구와; 상기 상부봉삽입부가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절첩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는 손잡이고정부재와, 상기 상부봉의 하단과 결합되는 하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하단과 하부봉의 상단을 수납하여, 상부봉과 하부봉을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목발이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고정부재는 상부봉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손잡이고정부와, 상기 손잡이고정부에 일측이 고정결합된 제1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된 제2 고정구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측이 고정 결합된 손잡이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타측이 상기 손잡이결합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구에 연결된 스프링이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 지지된다.
목발, 지팡이 겸용, 길이 가변, 일자형, 고정부재

Description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COMBINED STICK AND CRUTCH HAVING VARIABLE LENGTH}
본 발명은 목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체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팡이로 사용가능한 길이 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발은 지체부자유자 또는 부상환자들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목발은 주로 목재로 제조되었으나, 최근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료의 특징은 목재와 비교하여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고 있다.
종래 목발은 겨드랑이 사이에 밀착되며 인체의 하중을 받는 최상단의 겨드랑이받침부와, 상기 겨드랑이받침부의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나 또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 또는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 하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목발은 지지대가 겨드랑이받침부에 단순하게 고정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따라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높이 조절이 필요한 상황 즉, 목발을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목발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목발의 일예가 한국 특허 등록 제10-07171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목발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중공부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내측면에 등간격의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된 이동지지부와 고정지지부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내부를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편을 구비한다. 손잡이부에 연접하여 설치된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 회전에 따라 승강제어편이 끼움홈에 끼움 또는 끼움해제됨으로써, 목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목발은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 회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으나, 연접하여 설치된 손잡이부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지 않아 길이 조절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로 인하여, 회전부재를 무리하게 회전시키면, 손잡이가 오작동, 심지어는 고장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회전부재가 전후방으로 회전하여 목발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손목이 약한 여성 환자나 노인 환자는 손목에 무리한 힘을 주다가 손목이 부상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시에 고장이나 파손될 우려가 적도록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손목이 약한 환자들 등 누구나 쉽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목발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다리 부상이 있는 환자들 대부분은 부상이 완쾌되더라도 제대로 걷지 못하거나 다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지팡이를 사용하게 되므로, 별도로 지팡이를 구매해야하는 부담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길이 조절 가능한 목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좌우 회전에 의하여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겨드랑이 받침구와 손잡이를 간단하게 탈부착하여 목발 또는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에 상부봉삽입부를 갖는 겨드랑이끼움구와; 상기 상부봉삽입부가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절첩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는 손잡이고정부재와; 상기 상부봉의 하단과 결합되는 하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하단과 하부봉의 상단을 수납하여, 상부봉과 하부봉을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는 상부봉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손잡이고정부와, 상기 손잡이고정부에 일측이 고정결합된 제1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된 제2 고정구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측이 고정 결합된 손잡이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타측이 상기 손잡이결합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구에 연결된 스프링이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 지지되는 길이가 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은 하부봉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캡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고정부재는 손잡이고정부과 결합되는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과 하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갖는다. 상부 커버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며, 하부 커버가 상기 본체부의 하부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된다.
본 발명의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박은 상부봉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상부봉삽입부를 갖는 지팡이손잡이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지팡이손잡이는 상부봉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지팡이손잡이의 상부는 겨드랑이끼움구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겨드랑이끼움구는 하부에 한 쌍의 돌출부를 갖는 수평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양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면 지지대와, 상부봉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피벗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피벗 부재는 상부봉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하단부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개구가 형성된 상단부와, 상기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원통형 스톱퍼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고정부재는 상부봉의 직경보다 약간 큰 타원형을 이루는 본체를 구비하고, 마찰패드가 손잡이고정부재의 장축부에 설치되며, 본체에 삽입된 고정수단에 의하여 본체 내부에서 상부봉의 외주면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타원형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패드는 본체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홈이 상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으로 목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를 접첩시킬 수 있으므로, 목발을 지팡이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발(400)은 하부로부터 돌출하는 끼움구본체부(460a)를 갖는 겨드랑이끼움구(460)와, 지팡이손잡이(461)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봉(410)과, 상부봉(41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좌우 회전에 따라 상부봉(41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손잡이고정부재(440)와, 상부봉(410)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봉(420)과, 하부고정부재(45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상부봉(410)과 하부봉(420)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하부고정부재(450)와, 하부봉(420)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어 하부봉(420)을 지지하는 지지 캡(470)을 포함한다.
텔레스코프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봉(410), 하부봉(420), 지지캡(470) 순으로 직경이 작아져, 상부봉(410)의 내부에 하부봉(420)이 삽입될 수 있다.
상부봉(410)이 삽입되는 손잡이고정부재(440)는 본체부(441)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고정부(442a)가 삽입된 손잡이부(442)를 구비하여, 목발(4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있다. 하부고정부재(450)는 상부봉(410)과 하부봉(420)의 길이를 조절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봉(410)에 일체로 형성된 지팡이손잡이(46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고정공(462a)과 결합공(46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팡이손잡이(461)의 상측에 겨드랑이끼움구(460)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겨드랑이끼움구(460)의 하부 즉, 끼움구본체부(460a)의 일측에는 지팡이손잡이(461)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삽입홈(46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팡이손잡이(461)의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중공부(463)가 형성되어 있다.
겨드랑이끼움구(460)의 내측에 지팡이손잡이(461)가 중공부(463)를 통하여 삽입되면, 고정공(462a)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61a)와 결합공(462b)을 관통하는 결합볼트(461b)에 의해 고정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461a) 및 결합볼트(461b)는 끼움구본체부(460a)의 상부를 벗어나 겨드랑이끼움구(460)의 상부 일부에 단단히 체결된다.
손잡이고정부재(4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41)와, 상기 본체부(44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하는 손잡이부(442)와, 상기 본체부(441)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커버(443)와, 본체부(44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커버(444)를 구비한다.
본체부(441)는 상부봉(410)이 삽입되는 중공부(442c)와, 외주면의 중간부에일체로 형성된 손잡이고정부(442a)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441a)와, 나사부(441a)에 목발(4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441b)를 구비한다.
절개부(441b)는 중공부(442c)에 상부봉(410)을 삽입하여 상부봉(410)의 외주면과 중공부(442c)의 내주면의 접촉면적을 조절하여 상부봉(410)을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부봉(4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고정부재(440)를 상하 이동시킨 이후에 소정 위치에서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절개부(441b)는 나사부(441a)에 상부 커버(443) 및/또는 하부 커버(444)가 결합할 때 중공부(442c)의 내주면에 삽입된 상부봉(410)이 단단히 고정되어 이동하지 못한다.
상부 커버(443)는 본체부(441)의 나사부(441a)에 대응되는 제1 나사부(443a)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본체부(441)의 상측에 결합한다.
또한, 하부 커버(444)는 나사부(441a)에 대응되는 제2 나사부(444a)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본체부(441)의 하부와 결합한다.
손잡이부(442)는 손잡이고정부(442a)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하여 목발(4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있다.
하부고정부재(450)는 손잡이고정부재(440)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손잡이부(442)를 갖지 않으며, 본체부(441)에 대응하는 몸통부, 상부 커버(443)에 대응되는 상부 커버, 하부 커버(444)에 대응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한다.
하부고정부재(450)는 상호 외경이 상이한 상부봉 및 하부봉을 연결하여 고정 또는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는 하부 커버와 비교하여 직경이 크므로 상부봉(410)이 상부 커버의 내부에 삽입가능하며, 하부 커버의 내부에는 하부봉(420)이 삽입되어, 그 연결부위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여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발(400)에 있어서, 손잡이고정부재(440)의 외부에 일자로 결합된 손잡이부(442)는 손잡이부(442)의 내측에 삽입된 스프링(448)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고정부(442a)는 본체부(411)의 외주면 일부로부터 돌출하며, 그 하부에 절결부(442b)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442)는 내주면이 손잡이고정부(442a)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결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고정부재(440)는 손잡이고정부(442a)의 내부에 고정 결합된 제1 고정구(446a)와, 제1 고정구(446a)에 일단이 연결된 스프링(448)과, 스프링(448)의 타단이 연결된 제2 고정구(446b)와, 제2 고정구(446b)가 고정 결합된 손잡이결합구(447)를 구비한다. 손잡이결합구(447)가 손잡이부(442)의 연장된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스프링(448)의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442)가 탄 성 지지된다.
탄성 지지되는 손잡이부(442)는 목발(400)의 하부로 절첩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48)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손잡이부(442)를 목발(400)의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손잡이부(442)의 상부봉(410)에 인접한 단부를 손잡이고정부(442a)의 단부로부터 이탈시킨다. 그 이후, 손잡이부(442)를 하측 방향으로 절첩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42)가 목발(400)의 하측방향으로 절첩되고, 스프링(448)은 손잡이고정부(442a)의 절결부(442b) 사이로 이동하여 복원된다.
목발(400)을 보관하거나 휴대시에 목발(440)의 손잡이부(442)를 하측으로 절첩하면 보관 또는 휴대가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목발은 하부봉(420)이 상부봉(4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고정부재(45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봉(410)과 하부봉(420)을 구비하며, 길이 조절 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또 다른 하부봉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봉(420)의 하단부에 또 다른 하부봉(비도시)을 추가로 설치하고, 하부봉(420)의 외부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는 손잡이고정부재(440)를 마련하여 또 다른 하부봉은 하부봉(420) 내부에 삽입된다. 하부봉(420)은 상부봉(41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내경을 달리하여 제조함으로써, 목발의 길이 조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부봉(420)을 상부봉(410)의 내경부에 삽입할 때, 손잡이고정 부(440)를 최대한 하방으로 내려, 최하측 고정부재에 근접하게 이동한 다음, 별도의 하부봉을 하부봉(420) 내부에 삽입하고, 하부봉(420)을 상부봉(410)의 내경부로 삽입하면, 지팡이 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부봉(410)은 상단에 지팡이손잡이(461)가 일체로 형성되는 대신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봉(41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한 봉삽입부(491)를 갖는 지팡이손잡이(49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목발(400)을 지팡이로 사용하는 경우에, 겨드랑이끼움구(460)를 분리한 이후에 지팡이손잡이(490)를 장착한다.
이 경우에, 봉삽입부(491)는, 예를 들면, 탄성 재질로 제조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상부봉(410)의 상단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고정부재(440)는 상부봉(410)의 대략 중간 지점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목발을 조립할 때, 겨드랑이끼움구(46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봉(410)의 상부로부터 삽입한 이후에, 겨드랑이끼움구(460)를 상부봉(410)의 상부에 결합하는 과정으로 목발을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부봉(410)의 하단부에 하측고정부재(450)를 삽입하기 전에, 손잡이고정부재(440)를 하부로부터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이후,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위치에 손잡이고정부재(440)를 고정시킨다.
또한, 목발에 사용자의 체중이 인가될 때 하방으로 큰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부봉(410)과 하부봉(420)을 고정하는 하부고정부재(450) 또는 하부봉(420)과 별도의 하부봉을 고정하는 최하부고정부재는 고정력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부봉(410), 하부봉(420) 또는 별도의 하부봉 내부에 연결부재(비도시)를 삽입하고, 연결부재는 중앙부의 원주 둘레를 따라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두꺼운 'C'자 형상의 개재링을 안착시킬 수 있다.
개재링과 연결부재를 이용한 봉 고정방식은 종래의 몹자루나 걸레 등의 길이 조절구조에 이용되는 것으로,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원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겨드랑이끼움구(500)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1a는 겨드랑이끼움구(500)가 피벗 부재에 의하여 상부봉(514)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b는 탄성부재(516)가 겨드랑이끼움구(50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1c는 상부봉(514)의 상단에 체결된 피벗 부재를 도시하며, 도 11d는 겨드랑이끼움구(500)가 피벗식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겨드랑이끼움구(500)는 하부에 한 쌍의 돌출부(506)를 갖는 수평 지지대(502)와, 상기 수평 지지대(502)의 양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면 지지대(504)와, 상부봉(514)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피벗 부재를 구비한다. 피벗 부재는 상부봉(514)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하단부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512)와, 개구(513)가 형성된 상단부와, 상기 나사부(512)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원통형 스톱퍼(510)를 구비한다.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대(502)의 한 쌍의 돌출부(506) 사이 에 피벗 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된 이후에, 결합핀이 돌출부(506)의 개구(508)와 상단부의 개구(513)에 삽입되어, 수평 지지대(502)가 피벗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수평 지지대(502)는 피벗 부재의 나사부(512)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스톱퍼(510)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피벗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손잡이고정부재(400')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손잡이고정부재(400')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선 12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12c는 손잡이고정부재(400')의 마찰패드(440c)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d는 손잡이고정부재(400')와 마찰패드(440c)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손잡이고정부재(400')는 손잡이부(442')가 손잡이고정부재(400')의 본체에 일체형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는 상부봉(410)의 직경보다 약간 큰 타원형을 이룬다. 마찰패드(440c)는 손잡이고정부재(400')의 장축부에 설치되며, 본체에 삽입된 나사(440a)에 의하여 고정되며, 나사(440a)의 조임 작동에 의하여 상부봉(410)의 일부면과 단단히 접촉하여, 손잡이고정부재(400')가 적소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찰패드(440c)가 손잡이고정부재(400') 내부에서 상부봉(410)을 향하여 똑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고정부재(4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가이드부(440e)가 돌출 설치되며, 마찰 패드(440c)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가이드(440e)가 삽입될 수 있는 홈(440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찰패드(440c)의 중간 부분에는 홀(440g)이 형성되어, 나사(440a)의 단부(440b)가 결합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a는 도 1의 선 Ⅰ을 따라 절취한 종단면도.
도 4b는 도 1의 선 Ⅱ를 따라 절취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목발의 손잡이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손잡이부가 절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목발의 길이가 단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목발을 지팡이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겨드랑이끼움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1a는 겨드랑이끼움구가 피벗 부재에 의하여 상부봉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b는 탄성부재가 겨드랑이끼움구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1c는 상부봉의 상단에 체결된 피벗 부재를 도시하며, 도 11d는 겨드랑이끼움구가 피벗식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손잡이고정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손잡이고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선 12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12c는 손잡이고정부재의 마찰패드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d는 손잡이고정부재와 마찰패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겨들라이끼움구와 도 12에 도시된 손잡이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400 : 목발 410 : 상부봉
420 : 하부봉 440 : 손잡이고정부재
441 : 본체부 441a : 나사부
441b : 절개부 442 : 손잡이부
442a : 손잡이고정부 442b : 트임부
442c : 통공 443 : 상부 커버
443a : 제1 나사부 443b : 결합공
444 : 하부 커버 444a : 제2나사골
444b : 삽입공 446a : 제1 고정구
446b : 제2 고정구 447 : 손잡이결합구
448 : 스프링 450 : 하부고정부재
460 : 겨드랑이끼움구 460a : 끼움구본체부
461a : 고정볼트 461b : 결합볼트
462a : 고정공 462b : 결합공
463 : 중공 464 : 삽입홈
470 : 지지캡 490 : 지팡이손잡이
491 : 상부봉삽입부

Claims (9)

  1. 하부에 상부봉삽입부를 갖는 겨드랑이끼움구와;
    상기 상부봉삽입부가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절첩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는 손잡이고정부재와;
    상기 상부봉의 하단과 결합되는 하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하단과 하부봉의 상단을 수납하여, 상부봉과 하부봉을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는 상부봉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손잡이고정부와, 상기 손잡이고정부에 일측이 고정결합된 제1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에 일단이 연결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된 제2 고정구와, 상기 제2 고정구의 일측이 고정 결합된 손잡이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타측이 상기 손잡이결합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구에 연결된 스프링이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봉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캡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고정부재는 손잡이고정부과 결합되는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과 하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가지고,
    상부 커버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며, 하부 커버가 상기 본체부의 하부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봉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상부봉삽입부를 갖는 지팡이손잡이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손잡이는 상부봉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지팡이손잡이의 상부는 겨드랑이끼움구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겨드랑이끼움구는 하부에 한 쌍의 돌출부를 갖는 수평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양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면 지지대와, 상부봉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피벗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부재는 상부봉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하단부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개구가 형성된 상단부와, 상기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원통형 스톱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고정부재는 상부봉의 직경보다 약간 큰 타원형을 이루는 본체를 구비하고, 마찰패드가 손잡이고정부재의 장축부에 설치되며, 본체에 삽입된 고정수단에 의하여 본체 내부에서 상부봉의 외주면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마찰패드는 본체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홈이 상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KR1020080125749A 2008-12-11 2008-12-11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KR20100067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749A KR20100067270A (ko) 2008-12-11 2008-12-11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749A KR20100067270A (ko) 2008-12-11 2008-12-11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270A true KR20100067270A (ko) 2010-06-21

Family

ID=4236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749A KR20100067270A (ko) 2008-12-11 2008-12-11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727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68B1 (ko) * 2012-02-21 2014-01-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차부 보행을 할 수 있는 보행 보조수단
DE102013009787A1 (de) * 2013-06-12 2014-12-18 Eduard Galinker Unterarmgehstütze
CN104688495A (zh) * 2015-03-21 2015-06-10 王长柱 腋、手杖
KR101955860B1 (ko) * 2018-10-14 2019-05-30 이광배 양손잡이의 카본파이버 노약자용 지팡이
KR20190099690A (ko) * 2018-02-19 2019-08-28 유지열 복수개의 손잡이를 가지는 지팡이
KR102035779B1 (ko) * 2018-11-08 2019-10-23 고수영 활동보조형 지팡이
CN111544265A (zh) * 2020-05-13 2020-08-18 南通大学 一种骨科可调式通用掖拐
JP2021083732A (ja) * 2019-11-28 2021-06-03 聖侑企業股▲ふん▼有限公司 パイプ体とグリップの組立構造
IT202100007889A1 (it) * 2021-03-30 2022-09-30 Tompoma S R L Dispositivo di supporto alla deambulazione telescopic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68B1 (ko) * 2012-02-21 2014-01-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차부 보행을 할 수 있는 보행 보조수단
DE102013009787A1 (de) * 2013-06-12 2014-12-18 Eduard Galinker Unterarmgehstütze
DE102013009787B4 (de) * 2013-06-12 2014-12-31 Eduard Galinker Unterarmgehstütze
CN104688495A (zh) * 2015-03-21 2015-06-10 王长柱 腋、手杖
KR20190099690A (ko) * 2018-02-19 2019-08-28 유지열 복수개의 손잡이를 가지는 지팡이
KR101955860B1 (ko) * 2018-10-14 2019-05-30 이광배 양손잡이의 카본파이버 노약자용 지팡이
KR102035779B1 (ko) * 2018-11-08 2019-10-23 고수영 활동보조형 지팡이
JP2021083732A (ja) * 2019-11-28 2021-06-03 聖侑企業股▲ふん▼有限公司 パイプ体とグリップの組立構造
CN111544265A (zh) * 2020-05-13 2020-08-18 南通大学 一种骨科可调式通用掖拐
IT202100007889A1 (it) * 2021-03-30 2022-09-30 Tompoma S R L Dispositivo di supporto alla deambulazione telescopic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7270A (ko) 길이가변형 지팡이 겸용 목발
US7347215B1 (en) Ergonomic crutches
KR100920991B1 (ko) 지팡이 겸용 목발
US20190091095A1 (en) Biomechanically derived crutch
US4121605A (en) Walking cane assembly
US5771910A (en) Collapsible sectional lofstrand-type crutch
US8418706B2 (en) Ergonomic crutch
US5954074A (en) Universal adjustable walking crutch and/or cane
US20060254633A1 (en) Walking cane assembly
US20090235966A1 (en) Ergonomic crutches
CA2517117A1 (en) Walking cane assembly
US20170311688A1 (en) Adaptive Pivoting and Impact Reduction Tip Assembly for Walking Aids
US10258533B1 (en) Foldable crutch
US7270138B2 (en) Joint mechanism
EP0015034A1 (en) Walking aid device
US20040025922A1 (en) Mobility-aid apparatus and method using multiple height adjustments
KR100860500B1 (ko) 충격 흡수 목발
US20040025926A1 (en) Shock absorb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ity-aid device using limited range of compression
US20080072943A1 (en) Crutch
DK2825147T3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HANDLE ON A ROLLATOR
US5904167A (en) One legged two handed walking device
KR102084531B1 (ko) 복수개의 손잡이를 가지는 지팡이
KR101502566B1 (ko) 휴대가 간편한 목발
JP2019195391A (ja) 折り畳み杖
KR200230947Y1 (ko) 목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