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538B1 -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538B1
KR101007538B1 KR1020080048787A KR20080048787A KR101007538B1 KR 101007538 B1 KR101007538 B1 KR 101007538B1 KR 1020080048787 A KR1020080048787 A KR 1020080048787A KR 20080048787 A KR20080048787 A KR 20080048787A KR 101007538 B1 KR101007538 B1 KR 10100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middle beam
foam
wal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971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8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53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들빔(200)과 벽폼유닛(500)을 연결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폼유닛(500)은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이동부재(520)와; 상기 이동부재(520)를 지지하는 제 2 쐐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쐐기(530)가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520)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200)도 이동부재(520)가 이동된 거리만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래브, 미들빔, 벽폼, 체결, 이동부재

Description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Slab Wall Form}
본 발명은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는 바둑판처럼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과, 상기 슬래브 폼(10)의 하방에 마련되어 슬래브 폼(10)을 지지하는 미들빔(20)과, 상기 미들빔(20)의 하방에 위치되어 미들빔(20)을 지지하는 벽폼(40) 및 기둥(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인접한 상기 슬래브 폼(10) 사이는 볼트(미도시) 등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서로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상기 벽폼(40)과 벽폼(40), 또는 벽폼(40)과 기둥(30) 사이에 미들빔(20)을 올려놓고, 상기 미들빔(20)과 미들빔(20) 사이에 슬래브 폼(10)을 올려놓은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되면 상기 슬래브 폼(10), 미들빔(20) 그리고 벽폼(40)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벽폼(40) 및 기둥(30)을 제거하고, 미들빔(20)을 제거한 후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슬래브 폼(10)을 한꺼번에 바닥에 떨어뜨리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는 슬래브 폼(10)을 한꺼번에 바닥에 떨어뜨리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큰 소음을 발생시켜 공사현장 주변에 피해를 주게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 폼(10)이 미들빔(20), 기둥(30) 그리고 벽폼(40)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어 미들빔(20), 기둥(30) 그리고 벽폼(40)의 상단면이 슬래브 폼(10)의 상단면과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슬래브 폼(10)이 많이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슬래브 폼이 바닥에 직접 떨어지지 않고 해체되는 구조를 가지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와, 슬래브 폼의 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는 미들빔(200)과 벽폼유닛(500)을 연결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폼유닛(500)은,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이동부재(520)와;
상기 이동부재(520)를 지지하는 쐐기(5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쐐기(530)가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재(520)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빔(200)도 이동부재(520)가 이동된 거리만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520)는 상기 벽폼유닛(500)의 고정부재(510) 내에서 상하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510)에는 슬롯(51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510)에는 관통공(514)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들빔(200)과 벽폼유닛(500)을 연결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폼유닛(500)은,
고정부재걸림턱(585)이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걸림턱(585)의 상방에 고정부재걸림공(583)이 마련되는 개량고정부재(581)와;
상기 고정부재걸림턱(585)에 걸리도록 상단에 이동부재걸림턱(587)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걸림턱(587)의 하방에 이동부재걸림공(588)이 마련되는 개량이동부재(586)와;
상기 고정부재걸림공(583)와 이동부재걸림공(588)에 인입되는 체결핀(59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개량고정부재(581)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돌출부(58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량이동부재(586)에는 빔걸림장치(59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벽폼유닛(500)의 상단과 미들빔(200)의 상단 사이에는 끼임부(700)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이동부재(520)에는 제 3 돌출부(528)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미들빔(200)과 벽폼유닛(500)의 각각 상단면(201, 501)은 높이가 같게 될 수 있고, 상기 제 3 돌출부(528)에는 경사부분(526)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체작업시에 미들빔과 슬래브 폼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 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들빔이나 벽의 상단면이 슬래브 폼의 상단면 높이와 일치되어 슬래브 폼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임부는 연결브래킷의 상단과 미들빔의 상단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연결브래킷의 상단과 미들빔의 상단 사이가 끼임부만큼 이격되어 있어서 미들빔을 연결브래킷으로부터 분리할 때 분리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슬롯은 돌출로드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과, 이동되는 돌출로드를 멈추게 하는 스톱퍼 역할을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이들이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 고, 도 3은 도 2 중 B-B부분의 단면도 및 미들빔의 측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의 작동전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의 작동후 상태도이다.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는 도 2와 같이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 그룹이 여러 개 마련되고, 인접한 상기 슬래브 폼(100) 그룹들 사이가 연결되도록 미들빔(200)이 마련되며, 상기 미들빔(200)을 지지하는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이 마련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은 꺽임부(110)가 끝단에 마련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기둥(300)과 기둥(300)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미들빔(200)의 구조는 도 3과 같이 상기 꺽임부(110)와 결합되는 안착부재(222)가 형성된 제 1 돌출부(220)가 장축방향으로 마련되고, 양단(221)의 하부내측으로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가 형성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기둥(300)과 벽폼유닛(500)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미들빔(200)은 기둥(300)과 결합되는 우측끝단(223)이 우측하방으로 경사지다 수직으로 꺾이는 형상이고, 상기 우측끝단(223)의 하부에 플레이트(211)가 형성되며, 벽폼유닛(500)과 결합되는 좌측끝단(225)은 수직 형상이고, 상기 좌측끝단(225)의 하부에 플레이트(211)가 형성된다.
상기 미들빔(200)의 장축방향으로 마련된 제 1 돌출부(220)에는 도 3과 같이 안착부재(222)가 마련되어 슬래브 폼(100)의 꺽임부(110)와 연결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기둥(300)은 하단이 바닥에 접하는 하부기둥(310)과 상기 하부기둥(310)의 상부에 마련된 헤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320)는 하부기둥(310) 상단에 마련된 스톱퍼(322)와, 상기 스톱퍼(322)의 상단에 마련된 중간기둥(330)과, 상기 중간기둥(330)의 상부에 마련된 드롭헤드(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드롭헤드(340)는 상기 중간기둥(330)과 일체로 연결된 상측헤드(350)와, 상기 상측헤드(350)의 하방에 형성된 하측헤드(3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헤드(350)는 상단부분(352)과, 상기 상단부분(352)의 하방에 마련되는 몸체부분(3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상측헤드(350)의 형상은 상단부분(352)에서 몸체부분(354)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단턱(353)지고, 상기 몸체부분(354)은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한편,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상기 하측헤드(380)의 양측면에는 제 1 경사부분(362)이 형성된 제 2 돌출부(3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경사부분(362)은 상기 플레이트(211)가 제 2 돌출부(360)의 정확한 위치에 걸쳐져 상기 미들빔(200)이 드롭헤드(34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헤드(380)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이고 상측헤드(350)와 이격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하측헤드(380)가 도 5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미들빔(200)은 하측헤드(380)로부터 쉽게 분 리된다.
또한, 상기 중간기둥(330)에는 걸림돌기(332)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돌기(332)는 수평단면이 사각형인 중간기둥(330)의 4개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전후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측헤드(380) 하방에는 제 1 쐐기(370)가 마련된다.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제 1 쐐기(370)에는 상기 제 2 돌기(332)를 포함하는 중간기둥(330)이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공간부(372)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공간부(372)에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잘라진 경사부(374)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제 1 쐐기(370)가 하측헤드(380)와 상기 제 2 돌기(332) 사이에 위치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제 1 쐐기(370)의 우측이 타격되면 상기 제 1 쐐기(370)의 경사부(374)가 하측헤드(380)와 제 2 돌기(332) 사이에 낀 상태에서 해제되고 제 1 쐐기(370)와 하측헤드(380)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되다가 도 5와 같이 스톱퍼(322)에 의하여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벽폼유닛(500)은 수직벽 형성에 사용되는 벽폼(502)과, 상기 벽폼(502)의 상방에서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연결브래킷(505) 및 상기 연결브래킷(505)의 상단면(501)과 미들빔(200)의 상단면(201) 사이에 마련되는 끼임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임부(700)는 상기 연결브래킷(505)의 상단면(501)과 미들빔(200)의 상단면(201)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연결브래 킷(505)의 상단면(501)과 미들빔(200)의 상단면(201) 사이가 끼임부(700)만큼 이격되어 있어서 미들빔(200)이 연결브래킷(505)으로부터 분리될 때 분리작업이 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래킷(505)의 상단면(501)과 미들빔(200)의 상단면(201) 사이의 공간이 작아 콘크리트가 세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끼임부(700)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결브래킷(505)은 상기 벽폼유닛(50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510)와, 상기 고정부재(510)와 연결되어 상하이동되는 이동부재(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510)는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슬롯(512)과, 상기 슬롯(512)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관통공(514) 및 상기 관통공(514)에 인출입되는 제 2 쐐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520)는 상기 슬롯(512) 밖으로 돌출되는 돌출로드(524)와, 상기 좌측끝단(225)의 플레이트(211)와 연결되는 제 3 돌출부(528)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돌출부(528)에는 제 2 경사부분(52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경사부분(526)은 상기 플레이트(211)가 제 2 경사부분(526)을 따라 내려가서 제 3 돌출부(528)의 정확한 위치에 걸쳐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와 같이 이동부재(520)의 제 3 돌출부(528)가 상기 좌측끝단(225)의 플레이트(21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514)에는 제 2 쐐기(530)가 위 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는 슬래브 폼 장치의 작동상태도인데, 도 6의 (a)에서 좌측그림은 우측그림의 C-C부분을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의 (b)에서 좌측그림은 우측그림의 D-D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 미들빔(200),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이 서로 결합되면 상기 슬래브 폼(100), 미들빔(200),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의 각각 상단면(101, 201, 301, 501)은 높이가 같게 되고, 콘크리트는 상기 상단면(101, 201, 301, 501) 위에 타설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기 슬래브 폼(100)의 꺽임부(110)가 상기 제 1 돌출부(220)에 안착되는 과정을 거쳐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지만,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에는 상기 슬래브 폼(100)의 꺽임부(110)가 안착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과 슬래브 폼(100)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은 없다는 것이다.
다만, 도 2과 같이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과 미들빔(200) 사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슬래브 폼(100)이 상기 미들빔(200)의 측면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슬래브 폼(100) 중 일부는 상기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의 측면과도 밀착된다.
한편,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에 필요한 시간이 흐른 뒤에는 다음과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 장치의 해체 작업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해체작업은 상기 벽폼(502)이 해체된 후에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100)이 해체되는데, 여기서는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100)이 해체되는 과정만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쐐기(370) 및 제 2 쐐기(530)를 망치 등으로 쳐서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쐐기(370)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고, 상기 제 2 쐐기(530)는 관통공(514)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 1 쐐기(370)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상기 하측헤드(380)도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쐐기(530)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상기 이동부재(520)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결국, 상기 하측헤드(380) 및 이동부재(520)와 연결되어 있던 미들빔(200)과,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어 있던 슬래브 폼(100)이 하방으로 이동되다가 도 5 및 도 6의 (b)와 같이 제 1 쐐기(370)가 상기 스톱퍼(322)에 의하여 멈추게 되고 상기 돌출로드(524)가 슬롯(512)에 의해 멈추게 되면 같이 멈추게 된다.
상기 슬롯(512)은 돌출로드(524)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과, 이동되는 돌출로드(524)를 멈추게 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이 상태에서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으로부터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의 분리작업이 진행된다.
그런데, 도 5와 같이 상기 상측헤드(350)는 상측헤드(350) 중 상단부분(352)에서 몸체부분(354)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단턱(353)지고, 상기 몸체부분(354)은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미들빔(200)을 기둥(30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하측헤드(380)의 하방 이동 거리가 작은 경우에도 상기 미들빔(200)의 우측끝단(223)이 상측헤드(350)의 몸체부분(354)에 걸리지 않으면서 미들빔(200)이 상기 기둥(300)으로부터 쉽게 이격되어 분리된다.
이때, 상기 상측헤드(350)는 상기 하측헤드(380)의 이동과 무관하게 양생된 콘크리트를 계속해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미들빔(200)을 벽폼유닛(500)의 연결브래킷(505)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상기 고정부재(510)와 미들빔(200)의 좌측끝단(225) 사이가 상기 끼임부(700)만큼 이격되어 있어서, 미들빔(200)이 상기 벽폼유닛(500)의 연결브래킷(505)으로부터 쉽게 이격되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통하면 상기 제 1 쐐기(370)가 스톱퍼(322)까지 이동되는 수직 거리 및 이동부재(520)의 이동 거리가 하부 바닥면까지의 높이에 비하여 매우 작아서 해체작업시에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100)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빔(200), 기둥(300) 및 벽폼유닛(500)의 상단면(201, 301, 501)이 슬래브 폼(100)의 상단면(101)의 높이와 일치되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슬래브 폼의 사용량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개량연결브래킷이 장착된 벽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개량연결브래킷을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해도이며, 도 9는 도 7의 개량연결브래킷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에서 좌측 도면은 결합도이고, 상기 좌측 도면을 제외한 3개의 도면은 좌측 도면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의 구조에서 상기 연결브래킷(505)의 형태만 개량연결브래킷(580)으로 바꾼것이다.
즉,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는 벽폼유닛(500)에 마련된 벽폼(502)과, 상기 벽폼(502)의 상방에 마련된 개량연결브래킷(5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개량연결브래킷(580)은 개량고정부재(581)와, 상기 개량고정부재(58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개량이동부재(586) 및 상기 개량이동부재(586)와 일체로 이동되는 빔걸림장치(5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량고정부재(581)에는 하단에 고정부재걸림턱(585)이 내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걸림턱(585)의 상방에 고정부재걸림공(583)이 마련되며,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돌출부(58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량이동부재(586)에는 상기 고정부재걸림턱(585)에 걸리도록 상단에 이동부재걸림턱(587)이 외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걸림턱(587)의 하방에 이동부재걸림공(588)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돌출부(584)가 맞물리는 가이드홈(589)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량고정부재(581)의 내부에 개량이동부재(586)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걸림공(583)와 이동부재걸림공(588)에 인입되는 체결핀(596)이 마련되어 개량이동부재(586)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개량이동부재(586)와 일체로 결합되는 상기 빔걸림장치(590)에는 경사면(592)이 마련된 빔걸림부(59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같이 상기 체결핀(596)이 상기 고정부재걸림공(583)와 이동부재걸림공(588)에 인입되어서 개량이동부재(586)가 개량고정부재(581)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개량연결브래킷(580)은 그 하단이 상기 벽폼유닛(500)에 마련된 벽폼(502)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벽폼(502)을 측벽에서 떼어낼 때 개량연결브래킷(580)의 방해를 받지 않고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벽폼(502)이 제거된 후에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핀(596)이 제거되면 도 9의 (b)와 같이 개량이동부재(586)가 하방으로 이동되다가 이동부재걸림턱(587)이 상기 고정부재걸림턱(585)에 걸리면서 멈추게 된다.
이 상태는 도 5의 고정부재(510)와 이동부재(520)의 모습과 같아서 도 5에서 고정부재(510) 및 이동부재(520) 대신에 개량고정부재(581) 및 개량이동부재(586)가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보면 실시예 1과 같이 미들빔(200)의 제거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벽폼유닛(500)의 상단과 미들빔(200)의 상 단 사이에는 끼임부(700)가 마련되고, 상기 미들빔(200)과 벽폼유닛(500)의 각각 상단면(201, 501)은 높이가 같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3은 도 2 중 B-B부분의 단면도 및 미들빔의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의 작동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의 작동후 상태도.
도 6은 슬래브 폼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개량연결브래킷이 장착된 벽폼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개량연결브래킷을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해도.
도 9는 도 7의 개량연결브래킷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슬래브 폼 110: 꺽임부
200: 미들빔 222: 안착부재
300: 벽 500: 벽폼유닛
505: 연결브래킷 510: 고정부재
581: 개량고정부재 585: 고정부재걸림턱
586: 개량이동부재 587: 이동부재걸림턱
596: 체결핀 700: 끼임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미들빔(200)과 벽폼유닛(500)을 연결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폼유닛(500)은,
    하단에 고정부재걸림턱(585)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걸림턱(585)의 상방에 고정부재걸림공(583)이 마련되며,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돌출부(584)가 형성되는 개량고정부재(581)와;
    상기 고정부재걸림턱(585)에 걸리도록 상단에 이동부재걸림턱(587)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걸림턱(587)의 하방에 이동부재걸림공(588)이 마련되며, 상기 미들빔(200)에 형성된 플레이트(211)가 미끄러지도록 경사면(592)이 마련된 빔걸림장치(590)가 형성되는 개량이동부재(586)와;
    상기 고정부재걸림공(583)와 이동부재걸림공(588)에 인입되는 체결핀(59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벽폼유닛(500)의 상단과 미들빔(200)의 상단 사이에는 끼임부(70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미들빔(200)과 벽폼유닛(500)의 각각 상단면(201, 501)은 높이가 같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KR1020080048787A 2008-04-07 2008-05-26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KR10100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787A KR101007538B1 (ko) 2008-04-07 2008-05-26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123 2008-04-07
KR1020080048787A KR101007538B1 (ko) 2008-04-07 2008-05-26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71A KR20090106971A (ko) 2009-10-12
KR101007538B1 true KR101007538B1 (ko) 2011-01-14

Family

ID=4153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787A KR101007538B1 (ko) 2008-04-07 2008-05-26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5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61B1 (ko) * 2015-04-09 2016-02-19 삼성물산 주식회사 동바리가 없는 슬라브 패널 지지장치
WO2019190078A1 (ko) * 2018-03-28 2019-10-03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731A (ko) * 2018-03-28 2019-10-10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068A (ko) * 2018-03-28 2019-10-10 백희정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897B1 (ko) * 2012-04-20 2014-04-01 금강공업 주식회사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
KR101589238B1 (ko) 2014-08-21 2016-01-27 주식회사 케이비테크 빔의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1912367B1 (ko) * 2016-09-12 2018-10-26 서보산업 주식회사 저소음 거푸집 조립체와 이의 시공 및 해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49A (ko) * 2001-07-04 2003-01-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
KR200303949Y1 (ko) * 2002-11-12 2003-02-11 주식회사 거혁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040037465A (ko)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플렉서를 이용하여 믹서의 출력 특성을 개선한 업/다운컨버터
KR200437465Y1 (ko) * 2006-11-27 2007-12-05 김귀환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49A (ko) * 2001-07-04 2003-01-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
KR20040037465A (ko)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플렉서를 이용하여 믹서의 출력 특성을 개선한 업/다운컨버터
KR200303949Y1 (ko) * 2002-11-12 2003-02-11 주식회사 거혁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0437465Y1 (ko) * 2006-11-27 2007-12-05 김귀환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61B1 (ko) * 2015-04-09 2016-02-19 삼성물산 주식회사 동바리가 없는 슬라브 패널 지지장치
WO2019190078A1 (ko) * 2018-03-28 2019-10-03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731A (ko) * 2018-03-28 2019-10-10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068A (ko) * 2018-03-28 2019-10-10 백희정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2041392B1 (ko) * 2018-03-28 2019-11-07 백희정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2150274B1 (ko) 2018-03-28 2020-10-27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71A (ko)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538B1 (ko)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JP6986892B2 (ja) 片持ち張り出し作業車の撤去工法
JP5237895B2 (ja) 飛散防止装置
JP6321102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ガイド機構
CN110869569A (zh) 用于组装电梯设备的平台
JP3204261U (ja) 足場材
KR101292959B1 (ko) 이동 형체기구의 수평도 조절장치
KR101207580B1 (ko) 헤드 분리형 드롭헤드를 이용한 슬래브 폼 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20090063056A (ko) 슬래브 폼 장치
JP2013234554A (ja) 緊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緊結構造
JP4754446B2 (ja) 仮設足場用筋交い
JP6740117B2 (ja) エレベーター
KR101702816B1 (ko) 핸드레일 고정부재
KR101310845B1 (ko)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JP4844132B2 (ja)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KR10133666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KR101379897B1 (ko)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JP2010018948A (ja) 仮設足場用筋交
CN210339988U (zh) 一种电梯口防护装置
KR200445023Y1 (ko) 거푸집 보강프레임용 고정구
JP2017020203A (ja) 吸音板の耐崩落性遮音壁と遮音壁吸音板の崩落防止施工方法及び施工用治具と施工装置
JP4754449B2 (ja) 仮設足場用筋交い
KR20090126528A (ko) 벽폼에 사용되는 고정장치
KR100763000B1 (ko)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