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056A - 슬래브 폼 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056A
KR20090063056A KR1020080039207A KR20080039207A KR20090063056A KR 20090063056 A KR20090063056 A KR 20090063056A KR 1020080039207 A KR1020080039207 A KR 1020080039207A KR 20080039207 A KR20080039207 A KR 20080039207A KR 20090063056 A KR20090063056 A KR 20090063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oam
head
middle beam
pilla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539B1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정공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6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은 둘레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내측헤드(342)와,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헤드(34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헤드(344)는 테이퍼진 상기 내측헤드(342)와 마찰 없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체작업시에 미들빔과 슬래브 폼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들빔이나 기둥의 상단면이 슬래브 폼의 상단면 높이와 일치되어 슬래브 폼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슬래브 폼, 미들빔, 기둥, 테이퍼, 외측헤드

Description

슬래브 폼 장치{Slab Form Device}
본 발명은 슬래브 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를 나타내는 삼면도인데, 도 1의 중앙에 큰 면적을 나타내는 부분은 종래 슬래브 폼 장치의 평면도이고, 상기 평면도의 우측에 도시된 부분은 우측면도이며, 평면도의 하방에 도시된 부분은 정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는 바둑판처럼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과, 상기 슬래브 폼(10)의 하방에 마련되어 슬래브 폼(10)을 지지하는 미들빔(20)과, 상기 미들빔(20)의 하방에 위치되어 미들빔(20)을 지지하는 기둥(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인접한 상기 슬래브 폼(10) 사이는 볼트(미도시) 등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서로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래브 폼(10)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상기 기둥(30)과 기둥(30) 사이에 미들빔(20)을 올려놓고, 상기 미들빔(20)과 미들빔(20) 사이에 슬래브 폼(10)을 올려놓은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되면 상기 슬래브 폼(10), 미들빔(20) 그리고 기둥(30)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기둥(30)을 제거하고, 미들빔(20)을 제거한 후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슬래브 폼(10)을 한꺼번에 바닥에 떨어뜨리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는 슬래브 폼(10)을 한꺼번에 바닥에 떨어뜨리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큰 소음을 발생시켜 공사현장 주변에 피해를 주게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 폼(10)이 미들빔(20) 및 기둥(30)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어 미들빔(20)이나 기둥(30)의 상단면이 슬래브 폼(10)의 상단면의 높이와 일치되어 슬래브 폼(10)의 상단면과 나란히 놓인 상태에서 슬래브 폼(10)을 지지하는 구조에 비하여 슬래브 폼(10)이 많이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슬래브 폼이 바닥에 직접 떨어지지 않고 해체되는 구조를 가지는 슬래브 폼 장치와, 슬래브 폼의 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슬래브 폼 장치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은 둘레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내측헤드(342)와,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헤드(34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헤드(344)는 테이퍼진 상기 내측헤드(342)와 마찰 없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헤드(344)의 일측면에는 경사면(388)이 형성된 제 1 안착부재(348)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외측헤드(344)의 타측면에는 경사면(362)이 형성된 제 2 돌출부(36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안착부재(348)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헤드(342)의 측면 중 마주보는 2개의 측면만 테이퍼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슬래브 폼(100), 미들빔(200) 및 기둥(300)의 상단면(101, 201, 301)은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들빔(200)에는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미들빔(200)에는 제 2 안착부재(2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슬래브 폼(100)은 둘레에 꺽임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부재(348)와 제 1 돌출부(346) 사이의 결합은 제 1 안착부재(348)에 제 1 돌기(349)가 마련되어 결합되거나, 볼트(35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은 상측헤드(410)와, 상기 상측헤드(410)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하측헤드(5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측헤드(510)가 하방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미들빔(200)이 하측헤드(5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헤드(410)는 제 1 상단부분(420)의 제 1 측면폭(a)이 제 1 몸체부분(433)의 제 2 측면폭(b)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측헤드(410)는 제 1 상단부분(420)의 제 1 전후폭(c)이 제 1 몸체부분(433)의 제 2 전후폭(d)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측헤드(410)의 제 2 상단부분(421) 및 제 2 몸체부분(434)은 상기 미들빔(200)의 양단(241)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헤드(410)의 제 3 상단부분(422) 제 5 전후폭(m)이 제 3 몸체부분(435)의 제 6 전후폭(n)보다 넓어지도록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상단부분(421)의 제 3 전후폭(e)과 제 2 몸체부분(434)의 제 4 전후폭(f)은 크기가 같게 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헤드(510)의 하방에는 제 1 쐐기(377)가 마련되 고, 상기 제 1 쐐기(377)의 하방에는 제 2 쐐기(477)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분(433, 434, 435)은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미들빔(200)의 상단면(201)과 기둥(300)의 상단면(301) 사이에는 메움유닛(61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체작업시에 미들빔과 슬래브 폼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들빔이나 기둥의 상단면이 슬래브 폼의 상단면 높이와 일치되어 슬래브 폼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헤드의 테이퍼진 형상은 외측헤드가 내측헤드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내려갈 때 마찰 없이 쉽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안착부재 및 제 2 안착부재의 경사면은 꺽임부가 제 1 안착부재 및 제 2 안착부재의 정확한 위치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고, 플라스틱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제 1 안착부재 및 제 2 안착부재는 상기 꺽임부가 제 1 안착부재 및 제 2 안착부재에 접촉될 때 소음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단부분의 제 1 측면폭이 몸체부분의 제 2 측면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단부분의 제 1 전후폭이 몸체부분의 제 2 전후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몸체부분이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에 상측헤드의 상단부분 은 슬래브 폼 및 미들빔과 밀착되고, 몸체부분은 슬래브 폼 및 미들빔이 상측헤드에서 분리될 때 슬래브 폼 및 미들빔이 상기 몸체부분과 접촉됨이 없이 상측헤드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측헤드의 형상에는 상기 외측헤드와 달리 상측헤드의 둘레를 감싸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상기 하측헤드가 하방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미들빔은 하측헤드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들빔과 기둥 사이가 이격되고, 상기 미들빔의 상단면과 기둥의 상단면 사이에 메움유닛이 마련되기 때문에 미들빔의 양단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측헤드의 상단부분 및 몸체부분이 상기 양단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분의 제 3 전후폭과 몸체부분의 제 4 전후폭은 크기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에 하측헤드의 하방 이동 거리가 작은 경우에도 상측헤드의 상단부분 및 몸체부분이 상기 양단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단이 상측헤드에 걸리지 않으면서 미들빔이 상기 기둥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이격거리가 제 1 이격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미들빔이 기둥으로부터 더욱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단면이 평평한 T자형의 메움유닛 또는 상단면이 볼록한 T자형의 메움유닛은 미들빔의 상단면과 기둥의 상단면 사이의 상방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 중 제 1 실시예의 일부 작동 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드롭헤드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중 쐐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는 도 3의 미들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는 복수개의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미들빔(200)과, 상기 기둥(300)의 일측면과 수직으로 위치된 타측면에 연결되는 슬래브 폼(1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둥(300), 미들빔(200) 그리고 슬래브 폼(100) 각각의 상단면은 높이가 동일하다.
즉,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 그룹이 여러 개 마련되고, 인접한 상기 슬래브 폼(100) 그룹들 사이가 연결되도록 미들빔(200)과 기둥(30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0)은 인접한 상기 미들빔(200)들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기둥(3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는 기둥(30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기둥(300)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의 (a)는 도 3의 (a) 중에 헤드부(320)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b) 중에 헤드부(32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기둥(300)은 하단이 바닥에 접하는 하부기둥(310)과 상기 하부기둥(310)의 상부에 마련된 헤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헤드부(320)는 하부기둥(310) 상단에 마련된 스톱퍼(322)와, 상기 스톱퍼(322)의 상단에 마련된 중간기둥(330)과, 상기 중간기둥(330)의 상부에 마련된 드롭헤드(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드롭헤드(340)의 수평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드롭헤드(340)의 측면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이다.
또한, 상기 드롭헤드(340)는 상기 중간기둥(330)과 일체로 연결된 내측헤드(342)와,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헤드(3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헤드(342)의 둘레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인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둘레를 이루는 4개의 측면 중 마주보는 2개의 측면만 테이퍼지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알루미늄 재질의 상기 슬래브 폼(100)과 연결되는 스틸 재질의 상기 외측헤드(344)의 좌우측면에는 제 1 돌출부(346)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돌출 부(346)의 상단에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재질을 가진 제 1 안착부재(348)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안착부재(348)에는 상방으로 넓어지게 경사진 경사면(388)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안착부재(348)와 제 1 돌출부(346) 사이의 결합은 제 1 돌출부(346)에 결합홈(347)이 형성되고 제 1 안착부재(348)에 상기 결합홈(347)에 결합되는 제 1 돌기(349)가 마련되어 결합되는 방식 또는 볼트(351)에 의한 나사결합 방식 등으로 결합된다.
한편, 도 3의 (b) 및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상기 외측헤드(344)의 전후측면에는 상기 제 1 돌출부(346)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제 2 돌출부(360)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돌출부(360)의 상단에는 경사면(362)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돌출부(360)와 미들빔(200) 사이의 결합시 발생되는 소음은 제 1 돌출부(346)와 슬래브 폼(100) 사이의 결합시 발생되는 소음보다 작기 때문에 제 2 돌출부(360)에는 제 1 안착부재(348)가 마련되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돌출부(360)에도 상기 제 1 돌출부(346)와 같이 제 1 안착부재(348)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외측헤드(344)는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중간기둥(330)에는 제 2 돌기(332)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돌기(332)는 중간기둥(330)의 4개측면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형성되며, 바람직하 게는 전후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외측헤드(344) 하방에는 쐐기(370)가 마련되는데,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쐐기(370)에는 상기 제 2 돌기(332)를 포함하는 중간기둥(330)이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공간부(372)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공간부(372)에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잘라진 경사부(374)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헤드(344)가 내측헤드(342)의 둘레에 위치되고, 상기 쐐기(370)가 외측헤드(344)와 상기 제 2 돌기(332)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쐐기(370)의 일측이 타격되면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쐐기(370)의 경사부(374)가 외측헤드(344)와 제 2 돌기(332) 사이에 끼이게 되어 외측헤드(344)는 내측헤드(342)의 둘레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370)의 타측이 타격되면 도 5의 (a)와 같이 쐐기(370)의 경사부(374)가 외측헤드(344)와 제 2 돌기(332) 사이에 낀 상태가 해제되고, 쐐기(370)와 외측헤드(344)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미들빔(20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3의 (b) 및 도 6과 같이 상기 미들빔(200)에는 미들빔(200)의 경사진 양단(221)의 하부내측으로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가 형성되고, 상기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는 상기 제 2 돌출부(360)에 걸쳐져 결합되며, 제 1 돌출부(346)와 같은 형상인 제 3 돌출부(220)가 장축방향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안착부재(348)와 같은 형상의 제 2 안착부재(222)가 마련된 상기 제 3 돌출부(220)는 제 1 돌출부(346)와 같은 높이에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슬래브 폼(100)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슬래브 폼(100)은 도 3의 (a) 및 도 4의 (a)와 같이 꺽임부(110)가 끝단에 마련되어 제 1 돌출부(346)에 걸쳐지며 결합되고, 이러한 구조는 상기 꺽임부(110)가 제 3 돌출부(220)와 결합되는 경우에도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 중 제 1 실시예의 전체 작동 상태도이다.
아파트 등의 건물을 구성하는 상부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미 형성된 하부 바닥면 위에 기둥(300)을 세우고,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쐐기(370)의 경사부(374)가 외측헤드(344)의 하단과 중간기둥(330)의 제 2 돌기(332)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워 상기 외측헤드(344)가 내측헤드(342)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제 2 돌출부(360)에 미들빔(200)의 일측에 마련된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를 올려놓으면 상기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가 상기 제 2 돌출부(360)의 경사면(362)을 따라서 내려가면서 제 2 돌출부(360)에 정확하게 안착되고, 미들빔(200)의 타측에 마련된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는 인접한 다른 제 2 돌출부(360)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도 7의 (a)와 같이 미들빔(200)의 상단면(201)과 드롭헤드(340)의 상단면(301)의 높이가 일치된 상태로 미들빔(200)이 드롭헤드(340)의 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 2 돌출부(360)의 경사면(362)은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가 제 2 돌출부(360)의 정확한 위치에 걸쳐져 상기 미들빔(200)이 드롭헤드(34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기둥(300)과 미들빔(20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슬래브 폼(100)의 꺽임부(110)가 상기 제 1 돌출부(346)의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3 돌출부(220)의 제 2 안착부재(222)에 안착되는 과정을 거쳐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 및 기둥(30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래브 폼(100)이 설치됨에 있어서 별도의 핀이나, 볼트가 불필요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도 4 및 도 6의 상기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2 안착부재(222)의 경사면(388, 224)은 치수가 정확하게 제작된 상기 꺽임부(110)가 상기 경사면(388, 224)을 따라 내려가서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2 안착부재(222)의 정확한 위치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여 슬래브 폼(100)이 미들빔(200) 및 드롭헤드(340)의 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하고, 플라스틱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2 안착부재(222)는 상기 꺽임부(110)가 제 1 안착부재(348) 및 제 2 안착부재(222)에 접촉될 때 소음 방지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 그리고 기둥(300) 사이의 결합과정이 반복되면 도 2와 같은 슬래브 폼 장치가 완성된다.
이때,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 미들빔(200) 그리고 기둥(300)의 각각 상단면(101, 201, 301)은 높이가 같고, 콘크리트는 상기 상단면(101, 201, 301) 위에 타설된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에 필요한 시간이 흐른 뒤에는 다음과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 장치의 해체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7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쐐기(370)를 망치 등으로 쳐서 도 5의 (a)와 같이 제 2 돌기(332)가 경사부(374)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쐐기(370)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고, 상기 쐐기(370)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외측헤드(344)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쐐기(370)는 상기 스톱퍼(322)에 의하여 멈추게 되고 결국 도 7의 (b)와 같이 상기 외측헤드(344), 미들빔(200) 그리고 슬래브 폼(100)도 하방으로 이동되어 쐐기(370)와 같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헤드(342)의 테이퍼진 형상은 외측헤드(344)가 내측헤드(342)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내려갈 때 마찰 없이 쉽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내측헤드(342)는 상기 외측헤드(344)의 이동과 무관하게 양생된 콘크리트를 계속해서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의 분리작업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통하면 상기 쐐기(370)가 스톱퍼(322)까지 이동되는 수직 높이가 하부 바닥면까지의 높이에 비하여 매우 작아서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100)이 해체작업시에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빔(200)이나 기둥(300)의 상단면(201, 301)이 슬래브 폼(100)의 상단면(101)의 높이와 일치되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슬래브 폼(10)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 중 제 2 실시예의 일부 작동 상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드롭헤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는 복수개의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미들빔(200)과, 상기 기둥(300)의 일측면과 수직으로 위치된 타측면에 연결되는 슬래브 폼(1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둥(300), 미들빔(200) 그리고 슬래브 폼(100) 각각의 상단면은 높이가 동일하다.
즉,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 그룹이 여러 개 마련되고, 인접한 상기 슬래브 폼(100) 그룹들 사이가 연결되도록 미들빔(200)과 기둥(30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0)은 인접한 상기 미들빔(200)들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기둥(3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는 기둥(30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기둥(300)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의 (a)는 도 9의 (a) 중에 헤드부(320)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도 9의 (b) 중에 헤드부(32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과 같이 상기 기둥(300)은 하단이 바닥에 접하는 하부기둥(310)과 상기 하부기둥(310)의 상부에 마련된 헤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와 같이 상기 헤드부(320)는 하부기둥(310) 상단에 마련된 스톱퍼(322)와, 상기 스톱퍼(322)의 상단에 마련된 중간기둥(330)과, 상기 중간기둥(330)의 상부에 마련된 드롭헤드(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드롭헤드(340)는 상기 중간기둥(330)과 일체로 연결된 상측헤드(410)와, 상기 상측헤드(410)의 하방에 형성된 하측헤드(5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헤드(410)는 제 1 상단부분(420)과, 상기 제 1 상단부분(420)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 1 몸체부분(4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의 (a) 및 도 10의 (a)와 같이 상기 상측헤드(410) 중 상기 슬래브 폼(100)과 마주보는 제 1 상단부분(420)의 제 1 측면폭(a)이 제 1 몸체부분(433)의 제 2 측면폭(b)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도 9의 (b) 및 도 10의 (b)와 같이 상기 상측헤드(410) 중 상기 미들빔(200)과 마주보는 제 1 상단부분(420)의 제 1 전후폭(c)이 제 1 몸체부분(433)의 제 2 전후폭(d)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상측헤드(410) 중 제 1 몸체부분(433)은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상기 상측헤드(410)의 형상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이유는 상기 상측헤드(410)의 제 1 상단부분(420)은 슬래브 폼(100) 및 미들빔(200)과 밀착되어야 하고, 상기 상측헤드(410)의 제 1 몸체부분(433)은 슬래브 폼(100) 및 미들빔(200)이 드롭헤드(340)에서 분리될 때 슬래브 폼(100) 및 미들빔(200)이 상기 제 1 몸체부분(433)과 접촉됨이 없이 드롭헤드(34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9의 (b) 및 도 10의 (b)와 같이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상기 하측헤드(510)의 전후측면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제 2 돌출부(36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헤드(510)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하측헤드(510)의 형상에는 제 1 실시예의 외측헤드(344)와 달리 상측헤드(410)의 둘레를 감싸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상기 하측헤드(510)가 도 7의 (b)에 도시된 외측헤드(344)처럼 하방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미들빔(200)은 하측헤드(51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즉, 제 1 실시예의 외측헤드(344)는 도 4의 (b)와 같이 내측헤드(342)를 감싸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도 7의 (b)에서 미들빔(200)이 외측헤드(344)로부터 분리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상기 하측헤드(510)의 형상에는 도 10의 (b)와 같이 상기 상측헤드(410)의 둘레를 감싸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상기 하측헤드(510)가 도 7의 (b)에 도시된 외측헤드(344)처럼 하방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미들빔(200)은 하측헤드(51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한편, 상기 중간기둥(330)에는 제 2 돌기(332)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돌기(332)는 중간기둥(330)의 4개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전후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헤드(510) 하방에는 쐐기(370)가 마련되는데, 상기 쐐기(370)의 구조 및 기능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도 5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미들빔(200)의 구조는 도 9의 (b) 및 도 6과 같고, 그 구성 및 기능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한편, 상기 슬래브 폼(100)은 꺽임부(110)가 끝단에 마련되어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미들빔(200)의 제 3 돌출부(220)에 걸쳐지며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 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래브 폼(100)의 꺽임부(110)가 도 6의 상기 제 3 돌출부(220)의 제 2 안착부재(222)에 안착되는 과정을 거쳐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 사이의 결합은 이루어지지만,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기둥(300)의 하측헤드(510)에는 상기 슬래브 폼(100)의 꺽임부(110)가 안착되는 도 3의 제 1 돌출부(346)가 없기 때문에 기둥(300)과 슬래브 폼(100)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은 없다.
다만, 도 8과 같이 기둥(300)과 미들빔(200) 사이가 연결되어 상방에서 보면 하나의 긴 로드 형상이고, 상기 슬래브 폼(100)이 상기 미들빔(200)의 측면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슬래브 폼(100) 중 일부는 상기 기둥(300)의 측면과도 밀착되도록 접하게 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 및 기둥(300)이 서로 결합되면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 미들빔(200) 그리고 기둥(300)의 각각 상단면(101, 201, 301)은 높이가 같게 되고, 콘크리트는 상기 상단면(101, 201, 301) 위에 타설된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에 필요한 시간이 흐른 뒤에는 다음과 같이 상기 슬래브 폼(100) 장치의 해체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7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0의 상기 쐐기(370)를 망치 등으로 쳐서 경사부(374)가 제 2 돌기(332)의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쐐기(370)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고, 상기 쐐기(370)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하측헤드(510)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쐐기(370)는 상기 스톱퍼(322)에 의하여 멈추게 되고 결국 도 10의 우측 하측헤드(510) 및 도 7의 (b)에 도시된 미들빔(200)과 슬래브 폼(100)도 하방으로 이동되어 쐐기(370)와 같이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기둥(300)으로부터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의 분리작업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측헤드(510), 미들빔(200) 그리고 슬래브 폼(100)이 상기 스톱퍼(322)에 의하여 멈춘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 폼(100)을 기둥(300)으로부터 이격시킬 때에 상기 상측헤드(410)의 구조가 도 9의 (a) 및 도 10의 (a)와 같이 제 1 몸체부분(433)의 제 2 측면폭(b)보다 제 1 상단부분(420)의 제 1 측면폭(a)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헤드(510)의 하방 이동 거리가 작은 경우에도 상기 꺽임부(110)가 상측헤드(410)에 걸리지 않으면서 슬래브 폼(100)이 상기 기둥(300)으로부터 쉽게 이격되어 분리된다.
또한, 상기 미들빔(200)을 기둥(300)으로부터 이격시킬 때에도 상기 상측헤드(410)의 구조가 도 9의 (b) 및 도 10의 (b)와 같이 제 1 상단부분(420)의 제 1 전후폭(c)이 제 1 몸체부분(433)의 제 2 전후폭(d)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헤드(510)의 하방 이동 거리가 작은 경우에도 상기 양단(221)이 상측헤 드(410)에 걸리지 않으면서 미들빔(200)이 상기 기둥(300)으로부터 쉽게 이격되어 분리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상기 제 1 몸체부분(433)의 형상은 상기 슬래브 폼(100) 및 미들빔(200)이 기둥(300)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작용한다.
이때, 상기 상측헤드(410)는 상기 하측헤드(510)의 이동과 무관하게 양생된 콘크리트를 계속해서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통하면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효과 외에도 하측헤드(510)가 상측헤드(410) 둘레를 감싸지 않는 형태이기 때문에 하측헤드(510)가 스톱퍼(32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슬래브 폼(100) 및 미들빔(200)이 상기 기둥(300)의 하측헤드(51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 중 제 3 실시예의 일부 작동 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하측헤드가 제 1 스톱퍼까지 이동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하측헤드가 제 2 스톱퍼까지 이동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일부 변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에서 일부가 변형된 형태이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슬래브 폼(100)과 기둥(300) 사이의 결합관계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도 9의 (a) 및 도 10의 (a)와 같 고, 미들빔(200)과 기둥(300) 사이의 결합관계만 제 2 실시예와 다르다.
즉, 도 11과 같이 미들빔(200)의 양단(24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측헤드(410)의 제 2 상단부분(421) 및 제 2 몸체부분(434)은 상기 양단(241)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상단부분(421)의 제 3 전후폭(e)과 제 2 몸체부분(434)의 제 4 전후폭(f)은 크기가 같다.
그리고 상기 양단(241)과 상기 제 2 상단부분(421)의 제 1 전후측면(446) 및 제 2 몸체부분(434)의 제 2 전후측면(449) 사이는 이격되어 제 1 이격거리(g)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이격거리(g)는 크지 않게 때문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양단(241)과 상기 제 2 상단부분(421) 사이로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미들빔(200)의 상단면(201)과 기둥(300)의 상단면(301) 사이에 단면이 T자형인 메움유닛(610)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하측헤드(510)의 하방에는 제 1 쐐기(377)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쐐기(377)의 하방에는 제 1 스톱퍼(323)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스톱퍼(323)의 하방에는 제 2 쐐기(477)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쐐기(477)의 하방에는 제 2 스톱퍼(324)가 마련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스톱퍼(324)의 하방에 쐐기 및 스톱퍼를 추가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기둥(330)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 2 돌기(332)가 마련되고, 상기 하측헤드(510), 제 1 쐐기(377), 제 1 스톱퍼(323) 및 제 2 쐐기(477) 는 상기 중간기둥(3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즉, 제 1 쐐기(377)가 도 5의 (a)에서 쐐기(370)가 이동되는 것과 같이 이동되면 상기 하측헤드(510) 및 제 1 쐐기(377)는 제 1 스톱퍼(323)에 의하여 멈춰질 때까지 이동되고, 도 12와 같이 상기 하측헤드(510) 및 제 1 쐐기(377)가 제 1 스톱퍼(323)에 의하여 멈춰진 후에 상기 하측헤드(510)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제 2 쐐기(477)을 도 5의 (a)에서 상기 쐐기(370)가 이동되는 것과 같이 이동시켜 도 13과 같이 상기 하측헤드(510), 제 1 쐐기(377), 제 1 스톱퍼(323) 및 제 2 쐐기(477)가 제 2 스톱퍼(324)에 의하여 멈춰질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기둥(300)의 상단면(301)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있어도 미들빔(200)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기둥(3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단(241)과 상기 제 1 전후측면(446) 및 제 2 전후측면(449) 사이는 제 1 이격거리(g) 만큼 떨어져 있어서 미들빔(200)이 기둥(300)으로부터 분리되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몸체부분(434)을 도 10의 제 1 몸체부분(433)과 같이 하방으로 좁아지도록 페이퍼지게 만들어 미들빔(200)이 기둥(300)으로부터 분리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미들빔(200)의 양단(24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측헤드(410)의 제 3 상단부분(422)의 제 5 전후폭(m)이 제 3 몸체부분(435)의 제 6 전후폭(n)보다 넓어지도록 단턱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3 몸체부분(435)과 양단(241) 사이에는 제 2 이격거리(h)가 마련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미들빔(200)의 상단면(201)과 기둥(300)의 상단면(301) 사이에 메움유닛(61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3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미들빔(200)과 연결된 하측헤드(510)가 제 1 스톱퍼(323) 또는 제 2 스톱퍼(324)에 의하여 멈춰질 때까지 이동된 후에 슬래브 폼(100) 및 미들빔(200)이 해체되기 때문에 슬래브 폼(100)을 직접 바닥에 떨어뜨림으로 인한 소음이 예방된다.
그리고 제 3 실시예는 하측헤드(510)의 구조가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하측헤드(510)가 상측헤드(410) 둘레를 감싸지 않는 형태이기 때문에 하측헤드(510)가 제 1 스톱퍼(323) 또는 제 2 스톱퍼(324)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슬래브 폼(100) 및 미들빔(200)이 상기 기둥(300)의 하측헤드(51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더욱이 제 3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공통되는 작용 외에도 도 11과 같이 미들빔(200)과 기둥(300) 사이가 이격되고, 상기 미들빔(200)의 상단면(201)과 기둥(300)의 상단면(301) 사이에는 필요한 경우 메움유닛(610)이 마련되기 때문에 미들빔(200)의 양단(241)이 수직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상측헤드(410)의 제 2 상단부분(421) 및 제 2 몸체부분(434)이 상기 양단(241)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상단부분(421)의 제 3 전후폭(e)과 제 2 몸체부분(434)의 제 4 전후폭(f)은 크기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하측헤드(510)의 하방 이동 거리가 작은 경우에도 상측헤드(410)의 제 2 상단부분(421) 및 제 2 몸체부분(434)이 상기 양단(241)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단(221)이 상측헤드(410)에 걸리지 않으면서 미들빔(200)이 상기 기둥(3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미들빔(200)의 양단(24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측헤드(410) 제 3 상단부분(422)의 제 5 전후폭(m)이 제 3 몸체부분(435)의 제 6 전후폭(n)보다 넓어지도록 단턱지게 형성된 경우이고, 도 14의 제 3 상단부분(422)이 도 11의 제 2 상단부분(421)과 크기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이격거리(h)가 도 11의 제 1 이격거리(g)보다 크기 때문에 미들빔(200)이 기둥(300)으로부터 도 11에서보다 도 14에서 더욱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상기 메움유닛(610) 또는 메움유닛(611)은 상기 미들빔(200)의 상단면(201)과 기둥(300)의 상단면(301) 사이의 상방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래브 폼 장치를 나타내는 삼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 중 제 1 실시예의 일부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3의 드롭헤드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중 쐐기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도 3의 미들빔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 중 제 1 실시예의 전체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 중 제 2 실시예의 일부 작동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드롭헤드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인 슬래브 폼 장치 중 제 3 실시예의 일부 작동 상태도.
도 12는 도 11의 하측헤드가 제 1 스톱퍼까지 이동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하측헤드가 제 2 스톱퍼까지 이동된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일부 변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슬래브 폼 200: 미들빔
300: 기둥 310: 하부기둥
320: 헤드부 322: 스톱퍼
330: 중간기둥 340: 드롭헤드
346: 제 1 돌출부 348: 제 1 안착부재
349: 제 1 돌기 351: 볼트

Claims (21)

  1.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은,
    둘레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내측헤드(342)와;
    상기 내측헤드(342)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헤드(344);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헤드(344)는 테이퍼진 상기 내측헤드(342)와 마찰 없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헤드(344)의 일측면에는 경사면(388)이 형성된 제 1 안착부재(34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헤드(344)의 타측면에는 경사면(362)이 형성된 제 2 돌출부(36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착부재(348)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헤드(342)의 측면 중 마주보는 2개의 측면만 테이퍼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폼(100), 미들빔(200) 및 기둥(300)의 상단면(101, 201, 301)은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빔(200)에는 핀(210) 또는 플레이트(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빔(200)에는 제 2 안착부재(22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폼(100)은 둘레에 꺽임부(11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착부재(348)와 제 1 돌출부(346) 사이의 결합은 제 1 안착부재(348)에 제 1 돌기(349)가 마련되어 결합되거나, 볼트(351)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1.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폼(100)과 미들빔(200)의 각각 상단면(101, 201)은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의 상단면(301)은 미들빔(200)의 상단면(201)의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3. 복수개의 슬래브 폼(100)과, 상기 슬래브 폼(100)을 지지하는 미들빔(200) 및 기둥(300)을 포함하는 슬래브 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300)은,
    상측헤드(410)와;
    상기 상측헤드(410)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미들빔(200)과 연결되는 하측헤드(51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측헤드(510)가 하방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미들빔(200)이 하측헤드(5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측헤드(410)는 제 1 상단부분(420)의 제 1 측면폭(a)이 제 1 몸체부분(433)의 제 2 측면폭(b)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측헤드(410)는 제 1 상단부분(420)의 제 1 전후폭(c)이 제 1 몸체부분(433)의 제 2 전후폭(d)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측헤드(410)의 제 2 상단부분(421) 및 제 2 몸체부분(434)은 상기 미들빔(200)의 양단(24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측헤드(410)의 제 3 상단부분(422) 제 5 전후폭(m)이 제 3 몸체부분(435)의 제 6 전후폭(n)보다 넓어지도록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단부분(421)의 제 3 전후폭(e)과 제 2 몸체부분(434)의 제 4 전후폭(f)은 크기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19.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헤드(510)의 하방에는 제 1 쐐기(377)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쐐기(377)의 하방에는 제 2 쐐기(477)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20.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분(433, 434, 435)은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21.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빔(200)의 상단면(201)과 기둥(300)의 상단면(301) 사이에는 메움유닛(61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폼 장치.
KR1020080039207A 2007-12-13 2008-04-28 슬래브 폼 장치 KR101007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83 2007-12-13
KR20070020083 2007-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056A true KR20090063056A (ko) 2009-06-17
KR101007539B1 KR101007539B1 (ko) 2011-01-14

Family

ID=4099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207A KR101007539B1 (ko) 2007-12-13 2008-04-28 슬래브 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5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238B1 (ko) 2014-08-21 2016-01-27 주식회사 케이비테크 빔의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1594961B1 (ko) 2015-04-09 2016-02-19 삼성물산 주식회사 동바리가 없는 슬라브 패널 지지장치
EP3516133A4 (en) * 2016-09-19 2020-05-20 Lenkin, Michael L. ADJUSTABLE SUPPORT DEVICE AND SHELF SYSTEM
KR102656619B1 (ko) * 2023-10-24 2024-04-12 (주)성지알펙스 슬래브 패널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66B1 (ko) * 2012-04-04 2013-12-04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CN106641600B (zh) * 2017-02-23 2018-08-21 武汉科技大学 一种用于脱硫站旋转塔的平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22546T3 (es) * 2001-04-03 2009-06-23 Ulma C Y E, S. Coop. Sistema de encofrado de losas.
KR100655243B1 (ko) * 2004-09-01 2006-12-11 금강공업 주식회사 천장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238B1 (ko) 2014-08-21 2016-01-27 주식회사 케이비테크 빔의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1594961B1 (ko) 2015-04-09 2016-02-19 삼성물산 주식회사 동바리가 없는 슬라브 패널 지지장치
EP3516133A4 (en) * 2016-09-19 2020-05-20 Lenkin, Michael L. ADJUSTABLE SUPPORT DEVICE AND SHELF SYSTEM
KR102656619B1 (ko) * 2023-10-24 2024-04-12 (주)성지알펙스 슬래브 패널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539B1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6813A (ko) 슬래브 폼 장치
KR101007539B1 (ko) 슬래브 폼 장치
KR101819308B1 (ko) 단부 보강형 합성보와 기둥의 접합 구조
KR200436856Y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KR101007538B1 (ko) 슬래브 벽폼 체결장치
KR101207580B1 (ko) 헤드 분리형 드롭헤드를 이용한 슬래브 폼 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947431B1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JP2018003481A (ja) 防音壁における緩衝材の交換方法
JP612444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JP6320242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10133666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슬래브 폼 장치
JP5542041B2 (ja) 構造物解体方法および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101310845B1 (ko)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KR200410231Y1 (ko) 건물 기둥용 거푸집 지지체
JP641468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における接合構造
JP2005213852A (ja) ガードレール用の基礎ブロック
KR101834867B1 (ko) 고강성 하이브리드 메가 거더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JP2015071884A (ja) 地下ピット構造
KR102610232B1 (ko) 받침철물용 u헤드잭
KR101117804B1 (ko) 콘크리트 지붕의 거푸집
JP5827588B2 (ja) 床版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20120124278A (ko)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KR101742538B1 (ko) 거더 지지 그릴빔을 이용한 클린룸 골조
KR101825489B1 (ko) 철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