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431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431B1
KR101006431B1 KR1020080100646A KR20080100646A KR101006431B1 KR 101006431 B1 KR101006431 B1 KR 101006431B1 KR 1020080100646 A KR1020080100646 A KR 1020080100646A KR 20080100646 A KR20080100646 A KR 20080100646A KR 101006431 B1 KR101006431 B1 KR 101006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adjacent
bars
semiconductor memor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457A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10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431B1/ko
Priority to US12/341,449 priority patent/US7933135B2/en
Priority to TW098102984A priority patent/TW201015582A/zh
Publication of KR2010004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가 각각 나란히 배열된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 또는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되어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커플링 제어부를 포함한다.
오픈 비트라인, 커플링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집적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오픈 비트라인 구조(6F2)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고 있다.
오픈 비트라인 구조는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가 동일한 셀 매트에 구비되어 있는 기존의 폴디드(Folded) 비트라인 구조와 달리,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가 서로 다른 셀 매트에 존재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오픈 비트라인 구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셀 매트(10-1, 10-2)를 포함하고, 각 셀 매트(10-1, 10-2)는 워드라인(WL10~WL1i, WL20~WL2i) 및 오픈 비트라인(BL0~BLn, /BL0~/BLn) 간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한다. 아울러, 각 셀 매트(10-1, 10-2) 간에는 센스앰프 블록(20)이 배치되며, 각각의 센스앰프(SA)에는 인접하는 두 셀 매트의 메모리 셀에 접속된 비트라인(BL0-/BL0~BLn- /BLn)이 공통 접속된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접 센스앰프에 접속된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이를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라 한다.
이러한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센싱 동작을 위해 특정 비트라인(예를 들어, BL1)이 선택된 경우 인접 센스앰프에 접속된 비트라인(BL2)과 선택된 비트라인(BL1) 간에 커플링 현상이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특정 비트라인(예를 들어, BL2)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비트라인-바(/BL2)와 인접 센스앰프에 접속된 비트라인-바(/BL3) 간에 커플링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오동작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인접 비트라인 간의 커플링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인접 비트라인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가 각각 나란히 배열된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 또는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되어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커플링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가 각각 나란히 배열된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간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복수의 셀 매트; 상기 셀 매트 간에 배치되어 인접 셀 매트에 포함된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이 접속되는 복수의 센스앰프를 구비하는 센스앰프 블록; 및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 또는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되어 비트라인 이 퀄라이즈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커플링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 비트라인 간의 커플링 현상을 제거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이며,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간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복수의 셀 매트(10-1, 10-2), 셀 매트(10-1, 10-2) 간에 배치되어 인접 셀 매트에 포함된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이 접속되는 복수의 센스앰프를 구비하는 센스앰프 블록(20) 및 인접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되며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에 의해 구동되는 커플링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제어부(100)는 인접 비트라인 또는 인접 비트라인-바 중, 물리적으로 근접해 있는 인접 비트라인 또는 인접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된다.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는 하이(high) 레벨인 경우 센스앰프 파워라인(RTO)과 센스앰프 접지라인(SB)의 전압을 특정 전압(VBLP)으로 만들어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를 동일한 전압 레벨이 되도록 한다. 또한, 센싱 동작을 위해 비트 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가 로우(low) 레벨이 되면 비트라인(BL) 및 비트라인-바(/BL)에 차지 쉐어링(charge sharing)이 개시된다.
즉,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는 센스앰프를 프리차지시키거나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에 인가되는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신호로서, 이를 이용하여 커플링 제어부(100)를 구동함으로써 인접 비트라인 간의 커플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커플링 제어부의 일 예시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 제어부(100)는 인접 비트라인(BLj, BLj+1) 또는 인접 비트라인-바(/BLj, /BLj+1) 간에 접속되어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센싱 동작을 위해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가 로우 레벨이 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는 턴오프되어 인접 비트라인 또는 인접 비트라인-바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따라서,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가 나란하게 배열된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에서, 특정 비트라인이 활성화되고 센스앰프가 구동된 경우 인접 비트라인과의 커플링 현상에 의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플링 제어부(100)는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가 로우 레벨로 인가될 때 턴오프되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플링 제어부(10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물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인접 비트라인(BLj+1, BLj+2), 또는 인접 비트라인-바(/BLj, /BLj+1) 간에 형 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접한 모든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 간에 커플링 제어부(1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커플링 제어부(100)는 인접하는 비트라인(BLj, BLj+1)(BLj+1, BLj+2) 및 인접하는 비트라인-바(/BLj, /BLj+1)(BLj+1, BLj+2) 간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센스앰프 동작시 물리적으로 근접하게 배열된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 간의 커플링 현상은 물론, 이격되어 형성된 인접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 간의 커플링 현상 또한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스앰프의 회로도로서, 인접하는 한 쌍의 센스앰프(20-1, 20-2) 및 이와 비트라인(비트라인-바)를 통해 접속된 커플링 제어부(100)를 도시하였다.
각 센스앰프(20-1, 20-2)는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에 의해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에 동일한 레벨(VBLP)의 전위를 인가하는 프리차지부(210), 센스앰프 접지라인 신호(SB)에 의해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에 인가된 전위를 증폭하는 제 1 증폭부(220), 센스앰프 파원라인 신호(RTO)에 의해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에 인가된 전위를 증폭하는 제 2 증폭부(230), 제 1 및 제 2증폭부(230)에 의해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의 전압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칼럼 선택 신호(YI)에 의해 비트라인 및 비트라인-바의 증폭된 데이터를 입출력 라인(SIOj, /SIOj)(SIOj+1, /SIOj+1)으로 출력하는 출력부(240), 제 1 비트라인 분리신호(BISL)에 의해 인접 메모리 셀과 센스앰프 간을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250) 및 제 2 비트라인 분리신호(BISH)에 의해 인접 메모리 셀과 센스앰프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260)를 포함한다.
다만,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에서 센스앰프와 인접 메모리 셀과의 분리는 불필요하므로 제 1 및 제 2 절연부(250, 260)는 생략 가능하다.
한편, 인접 비트라인(BLj, BLj+1) 또는 비트라인-바(/BLj, /BLj+1) 간에 커플링 제어부(100)가 접속되며,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에 의해 이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센스앰프(20-1) 동작시 커플링 제어부(100)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접 비트라인(BLj, BLj+1) 또는 비트라인-바(/BLj, /BLj+1)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커플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가 각각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인접 비트라인 또는 인접 비트라인-바 간의 커플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픈 비트라인 구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커플링 제어부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스앰프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10-2 : 셀 매트 20 : 센스앰프
100 : 커플링 제어부

Claims (5)

  1.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가 각각 나란히 배열된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 또는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되어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비트라인, 또는 인접하는 한 쌍의 비트라인-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절연시키는 커플링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제어부는, 인접하는 모든 비트라인, 또는 인접하는 모든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제어부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비트라인 또는 비트라인-바가 각각 나란히 배열된 듀얼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간에 접속된 복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하는 복수의 셀 매트;
    상기 셀 매트 간에 배치되어 인접 셀 매트에 포함된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이 접속되는 복수의 센스앰프를 구비하는 센스앰프 블록; 및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 또는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되어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비트라인, 또는 인접하는 한 쌍의 비트라인-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절연시키는 커플링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 제어부는, 인접하는 모든 비트라인 및 인접하는 모든 비트라인-바 간에 접속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삭제
KR1020080100646A 2008-10-14 2008-10-14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06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46A KR101006431B1 (ko) 2008-10-14 2008-10-14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2/341,449 US7933135B2 (en) 2008-10-14 2008-12-22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including a coupling control section
TW098102984A TW201015582A (en) 2008-10-14 2009-01-23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including a coupling control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46A KR101006431B1 (ko) 2008-10-14 2008-10-14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57A KR20100041457A (ko) 2010-04-22
KR101006431B1 true KR101006431B1 (ko) 2011-01-06

Family

ID=4209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646A KR101006431B1 (ko) 2008-10-14 2008-10-14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33135B2 (ko)
KR (1) KR101006431B1 (ko)
TW (1) TW2010155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5896B (zh) * 2020-09-04 2024-03-29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177A (ko) * 2005-10-20 2007-04-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센스앰프 회로
KR20070113813A (ko) * 2006-05-26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비트라인데이터 센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7624A (en) * 1997-09-17 2000-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operating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having reconfigurable bit lines
US6333866B1 (en) 1998-09-28 2001-12-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device array having dense memory cell array and heirarchical bit line scheme
KR100308188B1 (ko) * 1999-04-27 2001-10-29 윤종용 안정된 감지 마진을 가지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KR100610015B1 (ko) * 2004-09-10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픈 비트라인 셀 구조의 번인 테스트 스킴을 갖는 메모리장치 및 그 방법
US7310257B2 (en) 2005-11-10 2007-12-18 Micron Technology, Inc. Local digit line architecture and method for memory devices having multi-bit or low capacitance memory ce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177A (ko) * 2005-10-20 2007-04-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센스앰프 회로
KR20070113813A (ko) * 2006-05-26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비트라인데이터 센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57A (ko) 2010-04-22
TW201015582A (en) 2010-04-16
US20100091543A1 (en) 2010-04-15
US7933135B2 (en) 201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4408B2 (en) Bit line sense amplifier
US8482951B2 (en) Memory device from which dummy edge memory block is removed
KR20130132377A (ko) 센스 증폭기 및 비트라인 절연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4221613B2 (ja) ダイナミック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086614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바이어싱 방법
CN114400029B (zh) 读出电路及其方法
KR2016001822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692586B2 (en) Semiconductor device
JP5072429B2 (ja) セルアレイにビットライン均等化部を備えたメモリ装置及びビットライン均等化部をセルアレイに配置する方法
KR10100643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48560B1 (ko)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US7474549B2 (en) Bit-line equalize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t-line equalizer
KR2013000159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위한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회로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070756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aring sense amplifier
KR10060004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TWI269297B (en) Low voltag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57592B1 (ko) 2중 비트라인 센스앰프
KR20110106687A (ko) 비트라인 프리차지 동작을 개선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34600B1 (ko) 비트라인 오버 드라이빙 스킴을 가진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43130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제1 메모리 블록과 제2 메모리블록에 의해 공유되는 비트라인 센스앰프 회로
KR20070036575A (ko) 공유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구조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소자및 그 구동방법
KR10183938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앰프
KR20120100621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90099708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JP2011154763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