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42B1 - 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42B1
KR101003742B1 KR1020030093623A KR20030093623A KR101003742B1 KR 101003742 B1 KR101003742 B1 KR 101003742B1 KR 1020030093623 A KR1020030093623 A KR 1020030093623A KR 20030093623 A KR20030093623 A KR 20030093623A KR 101003742 B1 KR101003742 B1 KR 10100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shing
fishing line
bob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39A (ko
Inventor
히가시야마키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5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바람을 받아도 낚싯줄이 끌어올려지기 어려운 일정한 깊이에 낚싯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낚시찌는, 본체부(1)와, 본체부(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추(2)와, 플랜지체(3)로 이루어진다. 추(2)는 본체부(1)의 관통공(1a)의 한쪽 개구(開口) 부근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축 방향으로 구멍이 관통하고 있고, 이 구멍은 상술한 본체부(1)의 관통공(1a)에 연통(連通)하는 것이다. 플랜지체(3)는 본체부(1)의 관통공(1a) 내에 있어서, 상술한 추(2)에 인접하는 상공(上空)측에 안으로 끼워진다. 이 플랜지체(3)의 수저(水底)측 단부는, 수저 방향으로 경사하고 또한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튀어 나오는 플랜지로 되어 있다.
낚시찌, 본체부, 관통공, 플랜지체, 추

Description

낚시찌{FISHING FLOA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를 도시한 도.
도 2는 도 1의 낚시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를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를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21, 31: 본체부
2, 22: 추
3, 23, 33: 플랜지체
12: 자석
L: 낚싯줄
본 발명은 낚시에 이용하는 낚시찌, 특히, 중통 낚시찌 (구멍찌)로 불리는 타입의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를 할 때 이용되는 낚시찌로서 「중통 낚시찌」라고 불리는 타입의 것이 있다.
이 「중통 낚시찌」에는, 제1 타입으로서 「고정 채비용 중통 낚시찌」로 불리는 것이 있다. 고정 채비용 중통 낚시찌는, 낚싯줄이 관통하는 관통공(貫通孔)을 축 방향으로 가지고 있고, 여기에 낚싯줄을 관통한 후, 나아가 고정핀 등을 관통공에 삽입하여 낚싯줄을 관통공 내에서 위치 결정하여, 낚싯줄 상의 임의의 긴쪽 방향 위치에 낚시찌를 고정하는 것이다.
「중통 낚시찌」의 제2 타입으로서,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로 불리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이 타입의 낚시찌는, 낚싯줄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본체부를 가지고, 이 관통공의 수저(水底)측 출구의 직경을 소경화(小經化)시킨 것이다. 그리고, 낚싯줄에 찌 멈춤체를 달아 두고, 낚시 조작을 행한다 (특허 문헌 1 참조).
이 제2 타입의 낚시찌에서는, 수중에 채비를 투척하면, 중통 낚시찌는 수면에 부유하고, 낚싯줄의 선단(先端)에 달린 추나 낚싯바늘 등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은 선단측부터 침강한다. 낚싯줄이 찌 멈춤체를 단 위치까지 침강하면, 찌 멈춤체가 유동 낚시찌의 관통공 내의 소경 부분에 닿아, 낚싯줄의 침강이 멈춘다. 이와 같이 하여, 수면보다 일정한 깊이에 낚싯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는, 노리는 물고기가 생식하는 수심이 깊은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다. 즉, 노리는 물고기가 생식하는 수심이 깊으면, 그 수심에 맞추어 낚시찌와 채비의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때문에, 낚시찌와 채비 간 거리가 길어진다. 낚시찌와 채비 간의 거리가 긴 경우에 「고정 채비용 중통 낚시찌」를 이용하면, 이 낚시찌의 위치까지밖에 낚싯줄을 릴에 감아올릴 수 없기 때문에, 채비에 걸린 물고기를 수중에 넣기 어렵다. 그래서, 필요에 따라서, 낚시찌와 채비 간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를 이용하면, 찌 멈춤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채비가 위치하는 깊이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낚시터의 상황에 맞추어 기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3344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제1 문제점으로서, 종래의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는 바람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에서는, 낚싯바늘 등의 채비를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에 두어도, 수면 상에 위치하는 낚싯줄이 강한 바람을 받아 흐르면, 낚싯줄은 유동 낚시찌를 반대로 관통하여 수면으로부터 끌어올려져, 낚싯바늘 등의 채비가 예정된 깊이보다 얕은 위치로 끌어올려져버린다. 낚싯바늘의 수심이 변화하면, 노렸던 물고기를 능숙하게 잡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본체부의 관통공의 상공(上空)측 구단(口端)에, 낚싯 줄의 찌 멈춤체가 거꾸로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 등을 배치하는 대응 방법이 생각된다.
그러나, 만일 상술과 같은 대응을 행하였다고 해도, 나아가 제2 문제점으로서, 종래의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에서는 물고기가 채비에 걸렸을 때의 「입질」에 순간에 반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술의 대응을 더 시행한 「반유동 채비용 중통 낚시찌」를 이용한 낚시에 있어서, 바람 등의 영향을 받아도 낚싯줄의 찌 멈춤체는 상술의 링에 의해 중통 낚시찌의 본체 부내에 둘 수 있고, 따라서, 낚싯바늘 등의 채비가 예정의 깊이보다 얕은 위치로 끌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찌 멈춤체가 상술한 링에 닿고 있으므로, 채비에 걸린 물고기가 낚싯줄을 끌어당겨도, 찌 멈춤체가 관통공 내의 소경 부분에 닿을 때까지 관통공 내를 이동하는 일정한 시간 지체가 발생한다. 낚시꾼은 낚시찌의 움직임을 보고 「입질」에 반응하기 때문에, 이러한 타임 래그는, 낚시꾼이 순간에 정확하게 「입질」에 반응하여 낚싯바늘 등으로 물고기를 잡는데 있어서 큰 장해가 된다.
본 발명은, 바람을 받아도 낚싯줄이 끌어올려지기 어려운 일정한 깊이에 낚싯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낚시꾼이 「입질」에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낚시찌는, 낚싯줄에 찌 멈춤체를 달고 행하는 낚시를 할 때 이용되는 낚시찌에 있어서, 낚싯줄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관통공을 관통하는 낚싯줄의 찌 멈춤체의 수저측으로의 도출을 억제하는 제1 억제 수단과, 제1 억제 수단으로 억제된 낚싯줄의 찌 멈춤체가 제1 억제 수단으로 억제된 상태로부터 상공측으로 역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제2 억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낚시찌는, 본체부의 관통공에 낚싯줄을 관통한 상태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낚싯줄의 일정한 위치에 매듭이나 소구(小球) 등을 달아 둔다. 이것이 찌 멈춤체이다. 수중으로 낚싯줄의 선단에 연결한 채비를 투척하면, 본체부는 수면에 부유하고, 낚싯줄의 선단에 달린 추나 낚싯바늘 등의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낚싯줄은 선단측부터 침강한다. 낚싯줄이 매듭 등의 찌 멈춤체의 위치까지 침강하면, 제1 억제 수단이 매듭 등을 계지(係止)하여, 낚싯줄이 그 이상 수저측으로 도출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낚싯줄의 침강이 멈춘다. 이와 같이 하여,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에 낚싯바늘 등의 채비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수면 위에서 강풍 등에 의해 낚싯줄이 흐르면, 낚싯줄이 반대로 낚시찌로부터 상공 방향으로 되돌려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억제 수단이 제1 억제 수단에 의해 수저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되어 있는 낚싯줄의 매듭 등의 찌 멈춤체를 계지하여, 낚싯줄이 그 위치로부터 상공측으로 역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침강하고 있는 낚싯바늘의 깊이를 일정한 위치에 둔다. 이와 같이, 제2 억제 수단은, 찌 멈춤체가 제1 억제 수단으로 억제되어 있는 상태로 낚싯줄의 역도출을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 물고기가 낚싯줄을 끌어들였을 때에는, 찌 멈춤체가 순간에 제1 억제 수단에 닿아, 낚시찌가 반응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낚시찌의 하나는, 본체부의 관통공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이고, 관통공에 연통(連通)하는 관통공보다 소경의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내주면(內周面)에 복수의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부재와, 본체부의 관통공 내부의 제1 부재의 상공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부재이고, 관통공의 축 방향에 있어서 수저 방향으로 경사하고 또한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튀어 나오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제1 부재가 제1 억제 수단이고, 제2 부재가 제2 억제 수단이다.
이 낚시찌도, 본체부의 관통공에 낚싯줄을 관통한 상태로 이용된다. 또한, 낚싯줄의 일정한 위치에 매듭이나 소구 등을 찌 멈춤체로서 달아 둔다. 수중으로 채비를 투척하면, 본체부는 수면에 부유하고, 낚싯줄의 선단에 달린 추나 낚싯바늘 등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은 선단측부터 침강한다. 낚싯줄의 매듭 등의 찌 멈춤체는 제2 부재를 관통하여 본체부의 관통공 내에 이르고, 그 후, 제1 부재의 소경의 구멍에 매듭 등의 찌 멈춤체가 걸려, 낚싯줄이 그 이상 수저측으로 도출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낚싯줄의 침강이 멈춘다.
한편, 수면 위에 강풍 등에 의해 낚싯줄이 흐르면, 낚싯줄이 반대로 낚시찌로부터 상공 방향으로 되돌려지지만, 제2 부재의 플랜지에 낚싯줄의 매듭 등이 계지되어 낚싯줄이 그 이상, 상공측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덧붙여, 릴로 낚싯줄을 감아올리는 등으로 해서, 과하게 낚싯줄을 본체부로부터 상공측으로 끌어 내면, 낚싯줄의 매듭 등은 플랜지를 빠져 나온다.
이러한 낚시찌의 다른 하나는, 본체부의 관통공 내부에 배치되어 관통공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자석과, 낚싯줄 상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자성체를 가지고 있다. 제1 억제 수단 및 제2 억제 수단이 자석이고, 자성체가 찌 멈춤체이다.
이 낚시찌도, 본체부의 관통공에 낚싯줄을 관통한 상태로 이용된다. 또한, 낚싯줄의 일정한 위치에 자성체를 찌 멈춤체로서 달아 둔다. 수중으로 채비를 투척하면, 본체부는 수면에 부유하고, 낚싯줄의 선단에 달린 추나 낚싯바늘 등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은 선단측부터 침강한다. 낚싯줄의 자성체는 본체부의 관통공 내에 이르러 자석에 붙어, 낚싯줄이 그 이상 수저측으로 도출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낚싯줄의 침강이 멈춘다.
한편, 수면 위에서 강풍 등에 의해 낚싯줄이 흐르면, 낚싯줄이 반대로 낚시찌로부터 상공 방향으로 되돌려지지만, 자성체가 자석에 붙어 있어 낚싯줄은 상공측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덧붙여, 릴로 낚싯줄을 감아올리는 등으로 해서, 과하게 낚싯줄을 본체부로부터 상공측으로 끌어 내면, 낚싯줄의 자성체와 자석과의 붙음은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낚시찌의 다른 하나는, 본체부의 관통공 내부에 배치되어 관통공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자성체와, 낚싯줄 상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는 자석을 가지고 있다. 제1 억제 수단 및 제2 억제 수단이 자성체이고, 자석이 찌 멈춤체이다.
또한, 이러한 낚시찌의 다른 하나는, 본체부의 관통공이 부분적으로 타 부분과 비교하여 소경화되어 있어 본체부의 관통공의 내부의 소경화된 영역의 상공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부재이고, 관통공의 축 방향에 있어서 수저 방향으로 경사하고 또한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튀어 나오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관통공의 소경화된 부분이 제1 억제 수단이고, 부재가 상기 제 2 억제 수단이다.
이 낚시찌도, 본체부의 관통공에 낚싯줄을 관통한 상태로 이용된다. 또한, 낚싯줄의 일정한 위치에 매듭 등의 찌 멈춤체를 형성해 둔다. 수중으로 채비를 투척하면, 본체부는 수면에 부유하고, 낚싯줄의 선단에 달린 추나 낚싯바늘 등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은 선단측부터 침강한다. 낚싯줄의 매듭은 부재를 관통하여 본체부의 관통공 내에 이르러, 관통공의 소경화된 부분에 걸려, 낚싯줄이 그 이상 수저측으로 도출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낚싯줄의 침강이 멈춘다. 한편, 수면 위에서 강풍 등에 의해 낚싯줄이 흐르면, 낚싯줄이 반대로 낚시찌로부터 상공 방향으로 되돌려지지만, 낚싯줄의 매듭이 부재의 플랜지에 걸려, 낚싯줄은 상공측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덧붙여 릴로 낚싯줄을 감아올리는 등으로 해서, 과하게 낚싯줄을 본체부에서 상공측으로 끌어 내면, 낚싯줄의 매듭 등은 플랜지를 빠져 나온다.
덧붙여, 본 발명의 낚시찌에 있어서는, 제1 억제 수단 및 제2 억제 수단은, 본체부의 관통공의 축 방향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는, 본체부(1)와, 본체부(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추(2)와, 플랜지체(3)로 이루어진 다.
본체부(1)는, 발포 폴리우레탄이나 ABS 수지 등의 경질 합성 수지재로부터 구성되는 구상(球狀)의 부재이다. 낚시찌 전체로서 그 비중이 대략 1 정도로 되도록 조정된다. 낚시찌를 수면 부근에 띄우기 때문이다. 본체부(1)에는 하나의 축 방향으로 관통공(1a)이 관통하고 있다. 이 관통공(1a)의 수저측의 개구(開口)에 추(2)가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추(2)에 인접하여 그 상면측에는 플랜지체(3)가 관통공(1a)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추(2)는 관통공(1a)의 한쪽 개구 부근의 내주면을 부분적으로 깎아 직경을 확대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납이나 놋쇠, 그 외의 금속 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축 방향으로 구멍이 관통하고 있어, 이 구멍은 상술한 본체부(1)의 관통공(1a)에 연통하는 것이다. 추(2)의 구멍은, 본체부(1)의 내부측에서 대경으로 관통공(1a)의 직경에 합치하고 있지만, 본체부(1)의 외부측에서 소경화되어 있다. 소경화된 구멍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요철 홈이 형성된다. 이 소경화되는 구멍의 직경은 낚싯줄(L)이 관통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고, 예를 들면, 0.5mm 내지 1.5mm정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추(2)가 배치되는 측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 수저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플랜지체(3)는 관통공(1a)에 안으로 끼워진 대락 파이프상의 부재이고, 합성 수지재 등으로부터 구성된다. 플랜지체(3)의 파이프 구멍은 관통공(1a)의 저면측만큼 소경화하도록 가공해도 무방하다. 특히, 이 플랜지체(3)의 저면측 (추(2)측) 단부는, 수저 방향으로 경사하고 또한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튀어 나오는 플랜지로 되어 있다. 이 플랜지체(3)의 최소 직경은, 상술한 추(2) 구멍의 최소 직경보다 약간 큰, 2.0mm 내지 4.0mm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 플랜지체(3)는, 예를 들면, 관통공(1a)의 내주면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대경화하여 두고, 관통공(1a)의 상단측으로부터 이 대경화한 부분에 억지로 끼워 넣는 등에 의해 안에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 추(2)와 플랜지체(3)의 거리는, 1.0mm 내지 4.0mm정도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낚시찌는, 이하와 같이 하여 이용된다. 우선,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로부터의 낚싯줄(L)을, 낚싯대의 소정의 낚싯줄 가이드에 관통한 후에, 플랜지체(3)로부터 본체부(1)의 관통공(1a)을 지날 수 있는 추(2)의 구멍으로 관통한다. 그리고, 낚싯줄(L)의 선단측에는 낚싯바늘이나 조개 봉돌 등 필요한 부재를 장착한다. 또한, 낚시찌로부터 릴측의 낚싯줄(L)의 일부에 별도 낚싯줄을 감아 찌 멈춤 실(P)을 형성하고, 또는 소구 등의 「찌 멈춤체」를 달아 둔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중에 채비를 투척하면, 추(2)를 수저측으로 하여, 낚시찌의 본체부(1)는 수면에 부유하고, 낚싯줄(L)의 선단에 달린 추나 낚싯바늘 등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L)은 선단측부터 수저 방향으로 침강한다. 낚싯줄(L)의 찌 멈춤 실(P)은 플랜지체(3)를 관통하여 본체부(1) 내의 관통공(1a)에 이르러, 추(2)의 소경 부분에 걸린다. 낚싯줄(L)은 그 이상 수저측으로 도출하는 것이 억제되어 낚싯줄(L)의 침강이 멈춘다.
한편,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면 위에서 강풍 등에 의해 낚싯줄(L)이 흐르면, 낚싯줄(L)이 반대로 낚시찌로부터 상공 방향 (낚싯대측)으로 되돌려진다. 그러나, 플랜지체(3) 내측의 플랜지에 낚싯줄(L)의 찌 멈춤 실(P)이 걸려, 낚싯줄(L)이 그 이상, 상공측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따라서, 낚시찌로부터 낚싯바늘까지의 거리가 변화하는 일 없이, 일정한 수심 위치에 낚싯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다. 나아가, 낚싯줄(L) 선단의 채비의 낚싯바늘에 물고기가 걸려, 물고기가 낚싯줄을 끌어당길 경우에는, 찌 멈춤 실(P)은 즉시 추(2)에 닿아, 낚시찌의 본체부(1)가 반응한다. 낚시꾼은 물고기의 「입질」을 순간에 인식하여 물고기를 낚아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릴로 낚싯줄(L)을 감아올리는 등으로, 낚시찌가 낚싯대의 낚싯줄 가이드에 이르러, 과하게 낚싯줄(L)을 본체부(1)로부터 상공측으로 끌어 내는 힘이 가해지면, 낚싯줄(L)의 찌 멈춤 실(P)은 플랜지체(3)의 플랜지를 빠져 나와 관통하고, 낚싯줄(L)을 충분히 릴에 감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는,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자석(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낚싯줄(L)에는 별도 자성체(13)를 장착한다.
본체부(11)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발포 폴리우레탄이나 ABS 수지 등의 경질 합성 수지재로부터 구성되는 구상의 부재이다. 하나의 축 방향으로 관통공(11a)이 관통하고 있다. 이 관통공(11a)의 한편의 개구 부근은 특히 일단 소경화되어 있 다. 이 관통공(11a)의 소경화된 측에 자석(12)이 수납된다. 덧붙여, 다른쪽 측의 개구에 별도 보호 링 등을 장착해도 무방하다.
자석(12)은 중앙에 구멍이 관통하고 있는 구멍이 달린 원반 형태의 부재이다. 그 외경은 관통공(11a) 대경(大徑) 부분의 내경에, 그 내경은 관통공(11a)의 소경 부분의 내경에 합치하고 있고, 관통공(11a) 내에 수납되어 있다. 덧붙여, 자석(12)의 내경 (관통공(11a)의 소경 부분의 내경)은 낚싯줄(L)이 관통 가능한 정도로 설정되고,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예를 들면, 0.5mm 내지 1.5mm정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자석(12)이 추로서도 작용하고, 자석(12)을 장착한 측이 연직 방향에서 수저 방향에 위치한다.
자성체(13)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및 외부로부터 이 관통공에 이르는 슬릿이 형성된, 금속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낚싯줄(L)을 슬릿으로부터 관통공에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고, 압력을 가해 자성체(13)를 찌부러뜨려, 낚싯줄(L) 상의 임의의 위치에 자성체(13)는 장착된다. 이 자성체(13)는 본체부(11)의 관통공(11a) 내의 대경 부분에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이면 충분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관통공(11a)의 소경 부분보다 두꺼운 직경의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낚시찌는, 이하와 같이 하여 이용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릴로부터의 낚싯줄(L)을 낚싯대의 소정의 낚싯줄 가이드에 관통한 후, 본체부(11)의 관통공(11a)으로 이끌어, 자석(12) 구멍으로 도출한다. 그리고, 낚싯줄(L)의 선단측에는 낚싯바늘이나 조개 봉돌 등 필요한 부재를 장착한다. 자 성체(13)는 본체부(11)보다 낚싯대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수중으로 채비를 투척하면, 자석(12)측을 수저측으로서 낚시찌의 본체부(11)는 수면에 부유하고, 낚싯줄(L)의 선단에 달린 추나 낚싯바늘 등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L)은 선단측부터 수저 방향으로 침강한다. 낚싯줄(L) 상에 고정되어 있는 자성체(13)는 본체부(11)의 관통공(11a) 내에 수납되어 자석(12)에 붙는다. 그리고, 낚싯줄(L)은 그 이상 수저측으로 도출하는 것이 억제되어 낚싯줄(L)의 침강이 멈춘다.
한편, 수면 위에서 강풍 등에 의해 낚싯줄(L)이 흐르면, 낚싯줄(L)이 반대로 낚시찌로부터 상공 방향 (낚싯대측)으로 되돌려진다. 그러나, 자성체(13)가 자석(12)에 붙어 있어, 낚싯줄(L)은 상공측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따라서, 낚시찌로부터 낚싯바늘까지의 거리가 변화하는 일 없이, 일정한 수심 위치에 낚싯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다. 나아가, 릴로 낚싯줄(L)을 감아올리는 등으로, 낚시찌가 낚싯대의 낚싯줄 가이드에 이르러, 과하게 낚싯줄(L)을 본체부(11)로부터 상공측으로 끌어 내는 힘이 가해지면, 낚싯줄(L)의 자성체(13)는 자석(12)으로부터 떨어져 낚싯줄(L)을 충분히 릴에 감을 수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낚시찌에 자석을, 낚싯줄의 찌 멈춤체로서 자성체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바꿔 넣어도 무방하다.
[제3 실시예]
나아가,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추(22)와, 플랜지체(23)로 이루어진다. 본체부(21)와 플랜지체(23)는 제1 실시예와 같아, 설명을 생략한다.
추(22)는 본체부(21)의 관통공(22a)의 한쪽 개구 부근의 내주면을 부분적으로 깎아 직경을 확대한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납이나 놋쇠, 그 외의 금속 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축 방향으로 구멍이 관통하고 있고, 이 구멍은 상술한 본체부(21)의 관통공(22a)에 연통하는 것이다. 추(22)의 구멍은 관통공(22a)과 비교하여 소경화되어 있다. 그 직경은 낚싯줄(L)이 관통 가능한 정도로 설정되고, 예를 들면, 0.5mm 내지 1.5mm정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추(22)가 배치되는 측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 수저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낚시찌에 있어서도, 낚싯줄(L)의 소정의 위치에, 예를 들면, 찌 멈춤 비즈(P1)를 장착해 두는 것으로, 제1 실시예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나아가,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는, 본체부(31)와 플랜지체(33)로 이루어진다.
본체부(31)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이 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의 관통공(31a)은 그 축 길이 방향 중앙 부근의 일정한 영역에 있어서는, 타 부분보다 소경화되어 있고 목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목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관통공(31a)은 1.0mm정도의 혈경(穴俓)이 된다. 목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의 상공측에 인접하여 플랜지체(33)가 관통공(31a)에 안으로 끼워져 있다. 플랜지체(33)에 대해서는 상기 각 실시예와 같아,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본체부(31)에는, 필요에 따라서, 그 수저측에 추 등을 적당히 배치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낚시찌에 있어서도, 낚싯줄(L)의 소정의 위치에, 찌 멈춤체(P2)를 장착해 두는 것으로, 제1 실시예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찌에 의하면, 바람을 받아도 낚싯줄이 끌어올려지기 어려운 일정한 깊이에 낚싯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다. 나아가, 낚시꾼이 「입질」에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다.

Claims (6)

  1. 낚싯줄에 찌 멈춤체를 달고 행하는 낚시를 할 때 이용되는 낚시찌에 있어서,
    낚싯줄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貫通孔)이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낚싯줄의 찌 멈춤체의 수저(水底)측으로의 도출을 억제하는 제1 억제 수단과,
    상기 제1 억제 수단으로 억제된 낚싯줄의 찌 멈춤체가 제1 억제 수단으로 억제된 상태로부터 상공(上空)측으로 역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제2 억제 수단
    을 구비한 낚시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관통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이고, 상기 관통공에 연통(連通)하는 상기 관통공보다 소경(小經)의 구멍이 형성되어, 그 구멍의 내주면(內周面)에 복수의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관통공 내부의 상기 제1 부재의 상공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부재이고, 상기 관통공의 축 방향에 있어서 수저 방향으로 경사하고 또한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튀어 나오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제2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1 억제 수단이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억제 수단인 낚시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관통공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자석과, 낚싯줄 상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자성체를 가지고, 상기 제1 억제 수단 및 상기 제2 억제 수단이 상기 자석이고, 상기 자성체가 상기 찌 멈춤체인 낚시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관통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자성체와, 낚싯줄 상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자석을 가지고, 상기 제1 억제 수단 및 상기 제2 억제 수단이 상기 자성체이고, 상기 자석이 상기 찌 멈춤체인 낚시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관통공은 부분적으로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소경화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관통공 내부의 상기 소경화된 영역의 상공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부재이고, 상기 관통공의 축 방향에 있어서 수저 방향으로 경사하고 또한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튀어 나오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의 소경화된 부분이 상기 제1 억제 수단이고, 상기 부재가 상기 제2 억제 수단인 낚시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억제 수단 및 상기 제2 억제 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관통공의 축 방향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낚시찌.
KR1020030093623A 2002-12-25 2003-12-19 낚시찌 KR101003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4359 2002-12-25
JPJP-P-2002-00374359 2002-12-25
JPJP-P-2003-00389692 2003-11-19
JP2003389692A JP4362353B2 (ja) 2002-12-25 2003-11-19 浮き、および、仕掛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39A KR20040057939A (ko) 2004-07-02
KR101003742B1 true KR101003742B1 (ko) 2010-12-24

Family

ID=3291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623A KR101003742B1 (ko) 2002-12-25 2003-12-19 낚시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62353B2 (ko)
KR (1) KR101003742B1 (ko)
CN (1) CN1003871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26B1 (ko) * 2006-01-20 2007-05-02 정장진 상승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구멍찌
JP2010142135A (ja) * 2008-12-17 2010-07-01 Eiso:Kk 釣り用ウキ
JP5813271B1 (ja) * 2015-06-29 2015-11-17 横山 武志 中通し浮き
CN105850924A (zh) * 2016-05-31 2016-08-17 刘政 一种在浮漂体内设有可滑动的两块同性相斥磁体的鱼浮漂
CN106472444A (zh) * 2016-12-19 2017-03-08 贾贤杰 一种自定位防挂钓具
KR102088433B1 (ko) * 2018-03-07 2020-03-12 이주동 낚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65U (ja) 1983-06-28 1985-01-19 大島 秀明 吸引式磁気ウキ止め装置
JP2003164243A (ja) 2001-11-30 2003-06-10 Gamakatsu Co Ltd 中通し浮き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22428Y (zh) * 1994-07-29 1996-03-20 株式会社钓研 垂钓用浮子止动体
JPH11196737A (ja) * 1998-01-09 1999-07-27 Tsuriken:Kk 釣用中通し浮き
JP2002223683A (ja) * 2001-02-01 2002-08-13 Tsuriken:Kk 釣り用浮き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65U (ja) 1983-06-28 1985-01-19 大島 秀明 吸引式磁気ウキ止め装置
JP2003164243A (ja) 2001-11-30 2003-06-10 Gamakatsu Co Ltd 中通し浮き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39A (ko) 2004-07-02
JP2004215652A (ja) 2004-08-05
JP4362353B2 (ja) 2009-11-11
CN100387124C (zh) 2008-05-14
CN1509604A (zh)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10798A (en) Fishing bobber with bait guard
US2720720A (en) Fishing device
US5784829A (en) Fishing bobber
US4845884A (en) Fishing line float
US20070294934A1 (en) Safeslide bobber apparatus
KR101003742B1 (ko) 낚시찌
US5033227A (en) Fishing device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US8341872B2 (en) Magnetic slip bobber
US2892283A (en) Safety bobber for fish line
KR20040057938A (ko) 낚시찌
JP3805672B2 (ja) 中通し浮き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US2888773A (en) Fishing bobber having temporary line retaining means
CN106455533A (zh) 钓鱼线隐藏设备
WO1985005249A1 (en) Float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KR100626728B1 (ko) 낚시 채비
JP4303819B2 (ja) コマセ籠及び該籠を用いた釣り具
JP2018134015A (ja) 釣り具及び餌入れ
KR102511226B1 (ko) 원투 낚시채비
JP2001190197A (ja) コマセかご及び仕掛け
KR19990022494U (ko) 릴찌낚시의밑줄엉킴방지용가이드
JP2018061498A (ja) 釣り用ウキ
KR200381785Y1 (ko) 플라스틱 톱이 구비된 바다 낚시용 어신찌
JPH06292493A (ja)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