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250B1 -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250B1
KR100996250B1 KR1020090033324A KR20090033324A KR100996250B1 KR 100996250 B1 KR100996250 B1 KR 100996250B1 KR 1020090033324 A KR1020090033324 A KR 1020090033324A KR 20090033324 A KR20090033324 A KR 20090033324A KR 100996250 B1 KR100996250 B1 KR 100996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frame
glass
roof glas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771A (ko
Inventor
주용운
정호성
이상훈
우종철
Original Assignee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to KR102009003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25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84Water draining for non-fixed roofs or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2Sliding roof trays 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7Water drainage or guide means not integral with roof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62D25/07Fixed roofs having water drainage or guide means integral with roof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는, 루프프레임에 배치되며,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루프패널과 루프글래스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을 받아 가이드 이송시키는 배수프레임과, 루프프레임에 배치된 상태로 배수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루프글래스가 개구부를 막은 경우, 배수프레임의 일 단부는 루프글래스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탄성부재를 가압하면서 유지되고,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개구부가 개방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배수프레임의 일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루프패널에 인접되게 위치하면서, 루프패널과 루프글래스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이와 같은,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는,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개구부를 개방시,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배수프레임의 일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루프패널에 인접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루프패널과 루프글래스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배수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집수된 후 외부로 이송 배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Draniage device of sun roof for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루프의 개방작동시, 루프패널과 글래스 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루프는 차량의 다른 창유리가 운전시계를 확보할 필요에 의해 설치된 것과는 달리, 루프 패널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차내를 밝게 해주고, 심리적으로 공간을 크게 하여 탑승자에게 해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환기가 잘되게 하여 차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루프는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덮는 패널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 형(Sliding type)과 틸트업 형(Tilt up type) 등으로 크게 분류된다. 상기 슬라이드형은 선루프의 루프글래스가 루프 패널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이 슬라이딩형은 다시 루프글래스가 루프 패널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아웃터 슬라이딩형과, 루프글래스가 루프패널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인너 슬라이딩형으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 틸트업 형은 루프글래스의 후단이 들어 올려지는 타입으로 차내의 환기를 주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선루프가 마련된 일반적인 자동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차량의 루프패널(1) 일측에는 차실내와 차실외가 서로 통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부(1a)가 형성된다. 상기 루프패널(1)의 개구부(1a)에는 그 개구부(1a)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개폐하기 위한 루프글래스(2)가 루프프레임(3)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루프글래스(2)의 상대운동되는 구조는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고 통상의 공지기술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도면에 자세하게 표현하지 않았다. 한편, 상기 루프글래스(2)의 하부에는 루프글래스(2)를 통과한 빛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빛을 차광하기 위한 선쉐이드(5)가 루프프레임(3) 상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글래스(2)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루프글래스(2)가 상기 개구부(1a)를 막은 상태에서 차량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루프패널(1)에 밀착되는 실링재(4)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루프프레임(3)에는 상기 루프글래스(2)가 상방향으로 틸트업(Tilit up)되거나, 약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1a)가 일정 크기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글래스(2)와 상기 루프패널(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받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로(6)가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의 선루프는, 상기 배수로(6)를 상기 루프패널(1)의 하방에 대략 수평상태로 배치함으로 인해, 상기 배수로(6)와 상기 루프패널(1) 사이의 이격거리가 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루프글래스(2)가 상기 개구부(1a)를 개방할 경우, 상기 루프글래스(2)와 상기 루프패널(1) 사이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배수로(6)에 안정적으로 유입되지 않고,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루프글래스를 열었을 때, 루프글래스와 루프패널 사이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패널에 형성된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루프프레임에 설치된 루프글래스와, 상기 루프글래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루프글래스를 통과한 빛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루프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선쉐이드를 구비하는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루프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을 받아 가이드 이송시키는 배수프레임과, 상기 루프프레임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배수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루프글래스가 상기 개구부를 막은 경우, 상기 배수프레임의 일 단부는 상기 루프글래스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면서 유지되고, 상기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상기 개구부가 개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배수프레임의 일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루프패널에 인접되게 위치하면서,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이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수프레임은, 상기 루프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블럭과,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배수로가 마련된 형상을 가지며, 일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본체 및, 일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타 단부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블럭 상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블럭 상에서 상기 본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타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에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 단부에는 연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재가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절첩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루프글래스가 닫히면서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막을 때, 상기 루프글래스의 저면이 상기 본체에 접촉하면서 손상이 발생되지 않게 함과 더불어 상기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열을 때,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막아 상기 물들이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는,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개구부를 개방시,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배수프레임의 일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루프패널에 인접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루프패널과 루프글래스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배수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집수된 후 외부로 이송 배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100)는, 배수프레임(200), 탄성부재(300)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차량의 루프패널(1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가 필요에 따라 개폐되도록 상기 루프패널(10)에는 루프프레임(30) 상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루프글래스(2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루프글래스(20)는 빛 투과율이 우수한 투명유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루프글래스(20)는 앞서 종래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루프패널(10)에 배치되는 루프프레임(30) 상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루프글래스(20)가 상기 루프프레임(3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루프패널(10)과 접촉되는 루프글래스(20)의 단부에는 실링재(21)가 결합되어, 외부의 먼지나 물 등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루프글래스(20)가 닫힐 때 상기 루프패널(10)과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루프글래스(20)의 일단부 저면에는 상기 루프글래스(20)를 지지하기 위한 글래스 서포트패널(50)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 루프글래스(20)의 하부에는 상기 루프프레임(3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선쉐이드(도면미도시)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선쉐이드는 상기 루프글래스(2)를 통과한 빛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선쉐이드의 일 단부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선쉐이드를 여닫을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오목한 홈이 형성된 손잡이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선쉐이드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배수프레임(200)은 상기 루프글래스(20)가 상방향으로 틸트업(Tilt up)되면서 열려, 상기 루프패널(10)과 상기 루프글래스(20) 사이의 개구부(11)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을 받아 차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호스(도면미도시)로 가이드 이송시킨다. 이러한, 상기 배수프레임(200)은 상기 루프프레임(30) 상에 설치되며, 지지블럭(210), 본체(220), 조절볼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블럭(210)은 상기 루프프레임(20) 상부에 결합 설치되어, 이후 설명될 상기 본체(220)을 지지한다.
상기 본체(220)는 상기 지지블럭(210)에 회동 가능하게 핀(222) 결합된 상태로 상기 루프패널(10)과 상기 루프글래스(20) 사이의 개구부(11)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을 받아 집수한 후,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송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220)는 상기 물들을 이송 가이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대해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배수로(221)가 마련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 기 배수로(221)를 통해 상기 물들이 이송 가이드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220)의 폭방향 일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3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폭 방향 타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210)에 회동 가능하게 핀(222)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00)는 상기 루프패널(10)과 상기 루프글래스(20)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상기 물들을 용이하게 집수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210)에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 배치된다. 이같이, 상기 본체(200)가 상기 지지블럭(210)에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 배치됨으로써, 상기 물들이 상기 배수로(221)의 일측 모서리부를 통해 집수 이송된다.
상기 조절볼트(240)는 상기 지지블럭(21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본체(2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조절볼트(240)의 일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210)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본체(220)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본체(22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볼트(240)의 상기 지지블럭(210)에 대한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본체(220)의 상기 지지블럭(210) 상 설치각도가 결정된다. 즉, 상기 조절볼트(240)의 상기 지지블럭(210)에 대한 결합 삽입상태가 얕을수록 상기 조절볼트(240)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220)의 폭방향 타단부 저면을 상방으로 밀게 되어, 상기 본체(220)의 폭방향 일단부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루프패널(10)에 멀게 배치된다. 반대로, 상기 조절볼트(240)의 상기 지지블럭(210)에 대한 결합 삽입상태가 깊어지면 상기 조절볼트(240)의 타단부에 의한 상기 본체(220)의 폭방향 타단부 저면의 밀림이 적게되어, 상기 본체(220)의 폭방향 일단부는 상기 루프패널(10)에 가깝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220)의 폭방향 일 단부에는, 연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재(230)를 연장되게 마련한다. 이러한, 상기 충격흡수부재(230)는 상기 루프글래스(20)가 틸트다운(Tilt down)되면서 상기 개구부(11)를 완전히 막을 때, 상기 루프글래스(20)의 저면이 상기 본체(220)의 폭 방향 일단부와 접촉시, 손상이 발생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격흡수부재(231)를 적용할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충격흡수부재(231)는 절첩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흡부재(231)의 단부는 밸크로나 클립 또는 자성부재에 의해 상기 루프글래스(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루프글래스(20)가 열리면서 상기 루프패널(10)과 상기 루프글래스(20)의 개구부(11)가 개방될 때, 상기 루프패널(10)과 상기 루프글래스(20) 사이를 상기 충격흡수부재(231)가 막으면서 상기 물들이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배수프레임(200)을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본체(220)의 폭 방향 타 단부를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루프글래스(20)의 틸트업(Tilt up)시, 상기 본체(220)의 폭 방향 타 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루프패널(10)에 인접되게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300)의 일 단부는 상기 루프프레임(30)에 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본체(220)의 폭방향 타 단부 저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선택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100)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루프글래스(20)가 상기 루프패널(10)의 개구부(11)를 막은 상태로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배수프레임(200)의 본체(220) 일 단부는 상기 루프글래스(20)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00)를 가압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루프글래스(20)를 틸팅업 또는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루프패널(10)의 개구부(11)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루프글래스(20)에 의해 가압되던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수프레임(200)의 본체(220) 일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프레임(200)의 본체(220) 일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루프패널(10)에 인접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루프글래스(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글래스(20)와 상기 루프패널(10) 사이의 개구부(11)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은 상기 본체(220)에 의해 집수 이송된 후,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100)는, 상기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상기 개구부(11)를 개방시,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수프레임(200)의 일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루프패널(10)에 인접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루프패널(10)과 상기 루프글래스(20) 사이의 개구부(11)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이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배 수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집수된 후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외부로 이송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루프가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루프글래스 열림동작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충격흡수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글래스 열림동작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배수장치 200: 배수프레임
210: 지지블럭 220: 본체
230,231: 충격흡수부재 300: 탄성부재

Claims (4)

  1. 차량의 루프패널에 형성된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루프프레임에 설치된 루프글래스와, 상기 루프글래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루프글래스를 통과한 빛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루프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선쉐이드를 구비하는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루프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을 받아 가이드 이송시키는 배수프레임과;
    상기 루프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배수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루프글래스가 상기 개구부를 막은 경우, 상기 배수프레임의 일 단부는 상기 루프글래스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면서 유지되고, 상기 루프글래스가 열리면서 상기 개구부가 개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배수프레임의 일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루프패널에 인접되게 위치하면서,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이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프레임은,
    상기 루프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블럭과,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배수로가 마련된 형상을 가지며, 일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본체 및,
    일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타 단부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블럭 상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블럭 상에서 상기 본체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에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글래스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들을 용이하게 집수시키는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4. 삭제
KR1020090033324A 2009-04-16 2009-04-16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KR10099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24A KR100996250B1 (ko) 2009-04-16 2009-04-16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24A KR100996250B1 (ko) 2009-04-16 2009-04-16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71A KR20100114771A (ko) 2010-10-26
KR100996250B1 true KR100996250B1 (ko) 2010-11-23

Family

ID=4313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24A KR100996250B1 (ko) 2009-04-16 2009-04-16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2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4925A (ja) 2002-09-27 2004-04-15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JP2006131152A (ja) 2004-11-08 2006-05-25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ガイドフレームの構造
JP2008247059A (ja) 2007-03-29 2008-10-16 Honda Motor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の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4925A (ja) 2002-09-27 2004-04-15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JP2006131152A (ja) 2004-11-08 2006-05-25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ガイドフレームの構造
JP2008247059A (ja) 2007-03-29 2008-10-16 Honda Motor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の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71A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538B2 (en) Roof device for a vehicle
KR100996250B1 (ko)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KR102429163B1 (ko) 선루프 배수구조
CN103358863B (zh) 天窗装置
CN205417120U (zh) 天窗排水装置
CN108331494B (zh) 能够兼顾通风与防泼水的平面气密窗
KR10229895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KR101388282B1 (ko) 선루프장치
KR100880353B1 (ko) 소음방지를 위한 차량용 선루프의 배수장치
EP2853425B1 (en) Roof apparatus
KR101864034B1 (ko) 선루프 조립체
KR101261922B1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리어 레일 실링장치
KR100527139B1 (ko) 자동차용 디플렉터의 지지구조
KR100471486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자동닫힘 장치
JP2001039166A (ja) サンルーフのディフレクタ構造
KR20050038449A (ko) 공기 차단수단을 구비한 선루프 장치
KR102407685B1 (ko) 선루프용 메커니즘커버의 구조
KR101527056B1 (ko) 선루프의 메커니즘 커버구조
KR100792532B1 (ko) 차량용 선루프 웨더스트립 조립구조
JP6669904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03276446A (ja) サンルーフ装置のディフレクタ
KR20210100280A (ko) 플러쉬 글라스장치
KR20090094542A (ko) 자동차의 선루프 디플렉터
KR102484933B1 (ko) 틸팅 선루프 구조
JP4568129B2 (ja) 雨垂れ防止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