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034B1 - 선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선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034B1
KR101864034B1 KR1020160139440A KR20160139440A KR101864034B1 KR 101864034 B1 KR101864034 B1 KR 101864034B1 KR 1020160139440 A KR1020160139440 A KR 1020160139440A KR 20160139440 A KR20160139440 A KR 20160139440A KR 101864034 B1 KR101864034 B1 KR 10186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nroof
opening
panel
sun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399A (ko
Inventor
문정민
반재민
최종오
김문수
백동수
서현준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심원 filed Critical (주)심원
Priority to KR102016013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0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선루프 조립체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는,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오프닝을 개폐 하도록 병진운동 가능한 선루프 유닛; 상기 선루프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오프닝을 개폐 하도록 병진운동 하는 선쉐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선쉐이드 유닛; 및 상기 선루프유닛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선쉐이드 유닛이 움직이도록, 상기 선루프유닛과 상기 선쉐이드 유닛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연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루프 조립체{ASSEMBLY OF SUNROOF}
아래의 실시예는 선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계장치이다. 기존의 자동차에는 차량의 문에 형성되는 창문을 통해서만, 자동차 내부와 외부를 환기할 수 있었다.
최근, 자동차의 고급화와 대중화에 따라, 선루프가 장착된 자동차가 대중화되고 있다. 선루프는 차량의 내부 환기 및 쾌적한 개방감을 사용자에게 느끼게 해주기 위해 자동차에 마련되는 보조 창문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에 장착되는데,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에 형성되는 오프닝에 배치되는 선루프 글라스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또한, 선루프는 외부로부터 차량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선루프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글라스(glass) 패널을 포함하며, 자외선 및 적외선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차양막인 선쉐이드(sunshade)를 함께 포함한다.
이 경우, 선루프의 글라스 패널과 선쉐이드는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프닝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서는, 글라스 패널 및 선쉐이드를 각각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선루프가 하나의 글라스 패널을 통해 작동하는 경우, 선루프가 개방되는 경우 선쉐이드를 글라스 패널의 움직임에 연동시켜 함께 오프닝을 개방하도록 움직이는 것이 가능했지만, 반대로 선루프가 오프닝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선쉐이드와 선루프의 연동이 해제되어 선쉐이드를 수동으로 폐쇄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선쉐이드와 글라스 패널이 함께 움직이도록 연결되는 경우에는, 선쉐이드만을 별도로 움직이는 구성이 불가능하여, 선쉐이드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선쉐이드와 글라스 패널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면서도, 선쉐이드를 자동을 개폐 가능한 선루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 10-2014-0115131호는 블라인드 타입의 선루프 장치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선쉐이드 유닛을 구비하는 선루프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선쉐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선루프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는,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오프닝을 개폐 하도록 병진운동 가능한 선루프 유닛, 상기 선루프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오프닝을 개폐 하도록 병진운동 하는 선쉐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선쉐이드 유닛 및 상기 선루프 유닛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선쉐이드 유닛이 움직이도록, 상기 선루프유닛과 상기 선쉐이드 유닛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연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연동 유닛은 상기 선루프 유닛에 연결되는 제1연동부; 및 상기 선쉐이드 유닛에 연결되는 제2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동부는, 상기 선루프 유닛이 상기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2연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선쉐이드 유닛을 상기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오프닝을 개폐 가능한 선루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부는, 상기 선루프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선쉐이드 패널을 향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동부는 상기 상기 선쉐이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선루프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선쉐이드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선루프 패널이 상기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2연결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쉐이드 패널이 상기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선쉐이드 패널이 상기 오프닝을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선쉐이드 패널이 상기 오프닝을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틸팅(Tilting)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를 상기 제2연결부와 이격 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선쉐이드 유닛은 상기 선쉐이드 패널의 후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선루프 유닛이 상기 오프닝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선루프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선쉐이드 패널을 상기 오프닝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유닛은 상기 선루프 패널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물받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부재는 상기 선루프 유닛이 상기 오프닝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절곡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오프닝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선루프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의 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선쉐이드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는, 선루프 유닛의 움직임에 선쉐이드 유닛을 연동시킴으로써, 선쉐이드 유닛의 자동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는, 선루프 유닛의 움직임에 제공되는 동력을 선쉐이드 유닛에 전달함으로써, 하나의 동력원을 통해 선쉐이드 유닛 및 선루프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는, 선쉐이드 유닛 및 선루프 유닛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선쉐이드 유닛을 수동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도 1에서 선루프 패널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의 연동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루프 장치가 오프닝을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작동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작동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에서, 선쉐이드 유닛이 선루프 유닛에 의해 오프닝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작동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가 오프닝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작동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에서, 선쉐이드 유닛이 선루프 유닛에 의해 오프닝을 폐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작동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선루프 패널(23)을 제외한 선루프 조립체(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연동 유닛(40)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1)는 자동차(C)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O)에 설치되어, 오프닝(O)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루프 조립체(1)는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 및 폐쇄하는 방향(D1)에 대하여 양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오프닝(O)의 형상이나 면적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가변 가능하며,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선루프 장치의 형상, 예를 들어 오프닝(O)을 폐쇄하는 선루프 패널(23) 또는 선쉐이드 패널(31)의 형상도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프닝(O)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루프 조립체(1)는 오프닝(O)이 형성된 자동차(C) 지붕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0), 양측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10)에 연결되어 오프닝(O)을 개폐하는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선루프 유닛(20), 선루프 유닛(20)에 동력을 공급하고 선루프 유닛(20)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 양측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10)에 연결되어 오프닝(O)을 개폐하는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선쉐이드 유닛(30) 및 선쉐이드 유닛(30)을 선루프 유닛(20)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선쉐이드 유닛(30)에 동력을 공급하는 연동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은 오프닝(O)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10)은 오프닝(O)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오프닝(O)의 좌측 및 우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은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움직이면서, 오프닝(O)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방향(D1)으로 병진이동 하도록,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레일(11) 및 제1레일(11)의 하부에 단차지게 마련되는 제2레일(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레일(11)은 선루프 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며, 제2레일(12)은 선쉐이드 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선루프 유닛(20)은 오프닝(O)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오프닝(O)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선루프 유닛(20)은 선루프 패널(23), 지지프레임(22), 가이드부(21) 및 물받이 부재(24)를 포함할 수 잇다.
선루프 패널(23)은 오프닝(O)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경우에 오프닝(O)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선루프 패널(23)은 오프닝(O)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오프닝(O)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루프 패널(23)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경우에, 선루프 패널(23)과 자동차(C)의 지붕은 단차가 없이 평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루프 패널(23)은 글라스(glass)와 같이 경도가 높으면서도 채광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루프 패널(23)의 둘레에는 선루프 패널(23)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경우, 오프닝(O)과 선루프 패널(23)의 사이에 공간을 밀봉(sealing)할 수 있도록, 실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2)은 선루프 패널(23)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어, 선루프 패널(23)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22)은 선루프 패널(23)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선루프 패널(23)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선루프 패널(23)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2)이 움직이게 되면, 선루프 패널(23)도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22)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은 지지프레임(22)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 상향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이드부(21)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프레임(22)이 틸팅(tilting)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지지프레임(22)에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는 가이드 레일(10)의 제1레일(11)을 따라 병진운동하며, 구동 유닛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지지프레임(22)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지지프레임(22)의 양 측단을 지지하도록 지지프레임(22)에 연결되며, 지지프레임(22)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지지프레임(22)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21)는 지지프레임(22)의 가이드 홈을 따라 움직이면서 지지프레임(22)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되는데, 가이드부(21)가 가이드 홈의 양 단부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22)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면서, 지지프레임(22)과 함께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홈의 형상은 지지프레임(22)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일정 각도 상향지게 형성되므로, 가이드 홈에 연결된 가이드부(21)가 오프닝(O)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22)이 가이드부(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하도록 틸팅(tilting)될 수 있다. 반면, 가이드부(21)가 오프닝(O)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22)이 가이드부(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도록 틸팅(tilting)될 수 있다.
물받이 부재(24)는 선루프 패널(23)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수로(water course)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 부재(24)는 선루프 패널(23)이 오프닝(O)을 개방시키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에 마련되고, 빗물과 같은 외부물질이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물받이 부재(24)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프레임(22)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선루프 패널(23)의 단부에 밀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물받이 부재(24)는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물받이 부재(24)는 후술하는 선쉐이드 패널(31)의 절곡부(32)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 움직이는 경우, 선쉐이드 유닛(30)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움직이도록 선쉐이드 유닛(30)을 연동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은 선루프 유닛(20)에 동력을 전달하여,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 및 구동모터의 동력을 가이드부(21)에 전달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 및 구동 부재의 형상, 배치, 연결관계는 도면에 나타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선쉐이드 유닛(30)은 선루프 유닛(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오프닝(O)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선쉐이드 유닛(30)은 선쉐이드 패널(31) 및 선쉐이드 패널(31)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선쉐이드 패널(31)은 오프닝(O)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선쉐이드 유닛(30)은 빛을 차단하는 차양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쉐이드 유닛(30)은 빛을 일부 통과시키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쉐이드 패널(31)은 선루프 패널(23)을 통과한 태양빛의 자외선이 자동차(C) 내부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선쉐이드 패널(31)의 양측은 가이드 레일(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쉐이드 패널(31)은 가이드 레일(10)의 제2레일(12)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드 병진 운동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10)의 제1레일(11)과 제2레일(12)은 단차지게 마련되므로, 선쉐이드 패널(31)은 선루프 패널(23)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32)는 선쉐이드 패널(31)의 후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절곡부(32)는 선쉐이드 패널(31)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32)는 선쉐이드 패널(31)의 후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곡부(32)는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물받이 부재(24)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선쉐이드 유닛(30)을 선루프 유닛(20)의 움직임에 연동시킬 수 있다.
연동 유닛(40)은 선루프 유닛(20)의 움직임에 따라 선쉐이드 유닛(30)이 움직이도록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연동 유닛(40)은 선루프 유닛(20)에 연결되는 제1연동부(41) 및 선쉐이드 유닛(30)에 연결되는 제2연동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동부(41) 및 제2연동부(42)는 선택적으로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동부(41) 및 제2연동부(42)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선쉐이드 유닛(30)이 선루프 유닛(20)의 움직임에 따라 피동되어 움직이며, 제1연동부(41) 및 제2연동부(42)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선쉐이드 유닛(30)과 선루프 유닛(20)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연동부(41)는 선루프 패널(23)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선루프 유닛(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연동부(41)는 제1지지부(411) 및 제1연결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411)는 지지프레임(2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지지프레임(22)의 측면에 제1지지부(411)의 측면이 나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제1지지부(411)가 지지프레임(22)에 연결되는 방식이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연결부(412)는 선쉐이드 패널(31)을 향하도록 제1지지부(411)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연결부는 후술하는 제2연결부(423)와 접촉하기 용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연결부는 하부를 향할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선단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의 측면을 기준으로 제1연결부(412)는 제1지지부(411)로부터 선쉐이드 패널(31)을 향해 좁아지는 역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411)는 선단을 중심으로 제1지지부(411)로 연결되는 2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제2연동부(42)는 선쉐이드 패널(31)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동부(42)는 선쉐이드 패널(31)과 연결되는 제2지지부(421), 일측이 제2지지부(421)와 연결되고 타측이 선루프 패널(23)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422) 및 연장부(422)의 단부로부터 제2지지부(421)를 향해 절곡 연장되는 제2연결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421)는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이 오프닝(O)을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제1연결부(4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선쉐이드 패널(31)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421)는 선쉐이드 패널(31)과 나사결합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제2지지부(421)가 선쉐이드 패널(31)과 연결되는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부(422)는 일단부가 제2지지부(42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422)의 적어도 일부는 제2지지부(421)와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연장부(422)는 외력에 의해 제2지지부(421) 방향으로 텐션(tension)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421) 방향으로의 외력이 연장부(422)에 가해지면, 연장부(422) 및 제2지지부(421)가 이루는 각도가 좁아짐으로써, 연장부(422) 및 제2지지부(421)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422)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연장부(422) 및 제2지지부(421)가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반면, 제2지지부(421) 방향으로 연장부(422)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소되면, 연장부(422)는 제2지지부(421)와 이루는 각도가 원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2지지부(421)의 반대 방향으로 텐션될 수 있다.
연장부(422)는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422)는 외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장부(422)에 외력이 가해지면 연장부(422)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제2지지부(421)와 이루는 각도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제2지지부(421) 방향으로 텐션(tension)될 수 있다.
제2연결부(423)는 연장부(422)의 타단부, 다시 말해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42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연결부는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422)의 단부에서 다시 하부를 향해 절곡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422) 및 제2연결부(423)는 측면을 기준으로 삼각형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연결부(423)는 선루프 유닛(20)의 움직임에 따라, 제1연결부(412)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선루프 유닛(20)의 동력을 제공받고 선쉐이드 유닛(30)이 움직이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연결부(423) 및 제1연결부(412)가 접촉됨에 따라, 선쉐이드 유닛(30)이 선루프 유닛(20)의 움직임에 따라 피동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D1)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제2연결부(423)가 제1연결부(412)에 접촉하게 되면, 제2연결부(423)는 제1연결부(412)로부터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결부(423)는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D1)으로의 외력을 제공받아, 선쉐이드 유닛(30)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D1)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제2연결부(423)가 제1연결부(412)로부터 제공받는 외력의 크기가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제2연결부(423)는 제1연결부(412)와의 연결이 해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423)가 제1연결부(412)로부터 제공받는 외력은 수직방향의 힘과 수평방향의 힘의 합력에 해당하고, 제2지지부(421)로의 수직방향의 힘이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면, 연장부(422) 및 제2지지부(421)가 이루는 각도가 좁아짐으로써, 제2연결부(423) 및 제1연결부(412)의 접촉이 해소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연동 유닛(40)이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의 일측에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연동 유닛(40)이 선루프 조립체(1)의 양 측에 마련되거나, 복수개 마련되는 구성도 당연히 가능함을 밝힌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1)가 오프닝(O)을 개폐하는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루프 조립체(1)의 작동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기재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조립체(1)의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이 오프닝(O)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선쉐이드 유닛(30)이 선루프 유닛(20)에 연동되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이 오프닝(O)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선쉐이드 유닛(30)이 선루프 유닛(20)에 연동되어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D1)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루프 유닛(20)과 선쉐이드 유닛(30)은 각각 가이드 레일(10)의 제1레일(11) 및 제2레일(12)이 연결되므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할 수 있다.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이 오프닝(O)을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 제1연동 유닛(40) 및 제2연동 유닛(4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완전히 폐쇄하고 있는 경우에, 가이드부(21)는 지지프레임(22)의 가이드 홈에 의해 지지프레임(2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21)는 제1레일(11)을 따라 병진운동만을 하고, 가이드 레일(10)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지지프레임(22)이 제1레일(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향지게 틸팅(tilting)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2)에 연결된 선루프 패널(23) 및 제1연동 유닛(40)도 제1레일(11)에 대해 상향지게 틸팅(tilting)되고, 선쉐이드 유닛(30)과의 이격된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선쉐이드 유닛(30)은 선루프 유닛(20)과 독립적으로 오프닝(O)을 개폐하는 방향(D1, 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일정한 값 이상의 힘으로 선쉐이드 유닛(30)을 이동시키면, 선쉐이드 유닛(30)은 선루프 유닛(20)과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상태가 되면, 구동 유닛은 가이드부(21)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21)는 제1레일(11)을 따라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부(21)는 지지프레임(22)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므로, 지지프레임(22)은 가이드부(21) 및 가이드 레일(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향 틸팅(tilting)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확대된 도면과 같이, 제1연동 유닛(40) 및 제2연동 유닛(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가이드부(21)가 지지프레임(22)의 가이드 홈을 이동하다가, 가이드 홈의 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부(21)는 지지프레임(22)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2)은 가이드부(21)에 의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며, 지지프레임(22)에 연결된 선루프 패널(23) 및 제1연동부(41)재도 함께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선쉐이드 유닛(30)은 선루프 유닛(20)과 별도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선쉐이드 유닛(30)을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수동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선쉐이드 유닛(30) 및 선루프 유닛(20)의 상호 간섭이 없어, 선쉐이드 유닛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반면, 선쉐이드 유닛(30)을 오프닝(O)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제1연결부(412) 및 제2연결부(423)의 접촉을 통한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결부(423)에는 제1연결부(412)와의 접촉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수 있고, 제2연결부(423)에 가해지는 외력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연장부(422)가 제2지지부(421) 방향으로 텐션(tension)되어 제1연결부(412) 및 제2연결부(423)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선쉐이드 유닛(30)의 움직임에 따라 제2연결부(423) 및 제1연결부(412)의 접촉이 해제되어, 제2연결부(423)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소되면, 연장부(422) 및 제2지지부(421)의 간격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선쉐이드 유닛(30) 및 선루프 유닛(20)의 상호 간섭이 해제되어, 선쉐이드 유닛(30)은 독립적으로,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면, 선루프 유닛(20)의 물받이 부재(24)는, 선쉐이드 유닛(30)의 절곡부(32)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받이 부재(24)의 일측은 선쉐이드 유닛(30)의 절곡부(32)와 간섭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면, 절곡부(32)는 물받이 부재(24)와 접촉한 상태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선쉐이드 유닛(30)은 가이드 레일(10)의 제2레일(12)을 따라 선루프 유닛(20)과 함께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선쉐이드 유닛(30)은 선루프 유닛(20)에 의해 연동되어, 오프닝(O)을 완전히 개방할 때까지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선루프 유닛(20)과 선쉐이드 유닛(30)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쉐이드 유닛(30)의 제2연동부(42)와 선루프 유닛(20)의 제1연동부(41)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선루프 유닛(20)은 독립적으로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D1)으로 움직이게 되면, 제1연동부(41)는 선쉐이드 패널(31)에 연결된 제2연동부(42)에 연결되게 된다. 예를 들어,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연동부(41)의 제1연결부(412)는 제2연동부(42)의 제2연결부(42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412)는 선루프 유닛(20)의 움직임에 따른 외력을 제2연결부(423)에 전달하게 되고, 제2연결부(423)는 제1연결부(412)에 의해 움직이면서, 선쉐이드 유닛(3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쉐이드 유닛(30)은 선루프 유닛(20)에 의해 피동되어 오프닝(O)을 완전히 폐쇄할 때까지 선루프 유닛(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후, 선쉐이드 유닛(30) 및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가이드 부의 움직임에 의해 지지프레임(22)이 상방으로 틸팅(tilting)되어, 도 4의 초기 상태로 원상복귀 될 수 있다.
반면, 선쉐이드 유닛(30) 및 선루프 유닛(20)이 연동되어 함께 오프닝(O)을 폐쇄하는 작동과정에서, 제1연동부(41) 및 제2연동부(42)의 연결이 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 유닛(20) 및 선쉐이드 유닛(30)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오프닝(O)에 이물질 또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1연결부(412) 및 제2연결부(423) 사이의 외력이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면, 제1연결부(412) 및 제2연결부(423)가 분리됨으로써, 제1연동부(41) 및 제2연동부(42)의 연동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오프닝(O)에 위치하고 있던 사용자가 부상당하거나, 이물질에 의해 선쉐이드 유닛(30) 및 선루프 유닛(20)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선루프 조립체(1)는 선쉐이드 유닛(30) 및 선루프 유닛(20)이 오프닝(O)을 폐쇄하는 방향(D1)으로 움직이는 작동이 중단되면, 선쉐이드 패널(31) 및 선루프 패널(21)이 오프닝(O)을 개방하는 방향(D2)으로 일정범위 이동하도록 하는 안티피치(anti pitch)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상 및 선루프 조립체(1)의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선루프 조립체
10: 가이드 레일
20: 선루프 유닛
21: 가이드부
22: 지지프레임
23: 선루프 패널
24: 물받이 부재
30: 선쉐이드 유닛
31: 선쉐이드 패널
32: 절곡부
40: 연동 유닛
41: 제1연동부
42: 제2연동부

Claims (10)

  1.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오프닝을 개폐 하도록 병진운동 가능한 선루프 유닛;
    상기 선루프 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오프닝을 개폐 하도록 병진운동 하는 선쉐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선쉐이드 유닛; 및
    상기 선루프 유닛과 상기 선쉐이드 유닛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연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 유닛은,
    상기 선루프 유닛에 연결되는 제1연동부; 및
    상기 선쉐이드 유닛에 연결되는 제2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동부는, 상기 선루프 유닛이 상기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2연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선쉐이드 유닛을 상기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연동부는, 상기 선쉐이드 패널이 상기 오프닝을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연동부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선루프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오프닝을 개폐 가능한 선루프 패널을 포함하는, 선루프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부는, 상기 선루프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선쉐이드 패널을 향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동부는, 상기 상기 선쉐이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선루프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선쉐이드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선루프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선루프 패널이 상기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선쉐이드 패널이 상기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외력을 가하는, 선루프 조립체.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선쉐이드 패널이 상기 오프닝을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틸팅(Tilting)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를 상기 제2연결부와 이격 시키는, 선루프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쉐이드 유닛은,
    상기 선쉐이드 패널의 후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선루프 유닛이 상기 오프닝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선루프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선쉐이드 패널을 상기 오프닝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루프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유닛은,
    상기 선루프 패널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물받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부재는, 상기 선루프 유닛이 상기 오프닝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절곡부와 연결되는, 선루프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오프닝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선루프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레일; 및
    상기 제1레일의 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선쉐이드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선루프 조립체.
KR1020160139440A 2016-10-25 2016-10-25 선루프 조립체 KR10186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40A KR101864034B1 (ko) 2016-10-25 2016-10-25 선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40A KR101864034B1 (ko) 2016-10-25 2016-10-25 선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399A KR20180045399A (ko) 2018-05-04
KR101864034B1 true KR101864034B1 (ko) 2018-06-04

Family

ID=6219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440A KR101864034B1 (ko) 2016-10-25 2016-10-25 선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68B1 (ko) * 2018-06-29 2019-10-22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선 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5960A (ja) * 2009-06-26 2011-01-13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シェードパネルの連動機構
KR101233765B1 (ko) 2012-06-21 2013-02-15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2웨이 연동 슬라이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롤러 블라인드 장치
KR101233770B1 (ko) 2012-06-21 2013-02-15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9545A (ja) * 1996-10-04 1998-04-28 Daihatsu Motor Co Ltd サンルーフのサンシェード連動開閉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5960A (ja) * 2009-06-26 2011-01-13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シェードパネルの連動機構
KR101233765B1 (ko) 2012-06-21 2013-02-15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2웨이 연동 슬라이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롤러 블라인드 장치
KR101233770B1 (ko) 2012-06-21 2013-02-15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399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118B1 (ko) 자동차용 다중부품 선루프
EP1486367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such open roof construction
US7392618B2 (en) Door for vehicle having a door glass with projecting portions
US6857693B2 (en) Sun screen for a motor vehicle
US9475370B2 (en) Sunroof window assembly for vehicle
KR10234769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US4684168A (en) Sun roof for vehicles
US6560930B2 (en) Guide device for a window having a guide rail mounted to pivot substantially parallel to a plane of the window
US6893083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cover which can be moved to the rear over the roof skin
KR101864034B1 (ko) 선루프 조립체
US6547320B2 (en) Openable motor vehicle roof sealing system for a support lever
US7059669B2 (en) Sunroof
US8333426B2 (en) Rise up panoramic roof for a vehicle
CN107097614A (zh) 车辆上屋顶的遮阳,包括在车辆顶上具有遮阳的车辆,在车辆里防晒的方法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US9132722B2 (en) Glazed roof having a sliding and tilting mobile panel
CN115635832A (zh) 车顶系统
KR100969021B1 (ko) 자동차용 선루프 선세이드의 마운팅구조
EP3106330B1 (en) Vehicle roof having a movable roof device
EP4122730A1 (en) Roof system
KR100792532B1 (ko) 차량용 선루프 웨더스트립 조립구조
KR102484933B1 (ko) 틸팅 선루프 구조
EP1859980B1 (en) Motor vehicle roof provided with a sunroof panel
KR101388282B1 (ko) 선루프장치
KR20020054976A (ko) 온-오프 힌지를 이용한 도어 윈도우 개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