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58B1 - 테이프 커터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커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858B1
KR100991858B1 KR1020087018236A KR20087018236A KR100991858B1 KR 100991858 B1 KR100991858 B1 KR 100991858B1 KR 1020087018236 A KR1020087018236 A KR 1020087018236A KR 20087018236 A KR20087018236 A KR 20087018236A KR 100991858 B1 KR100991858 B1 KR 10099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cutting blade
adhesive
cutt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407A (ko
Inventor
도시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3Applying label, tab to handle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의 비접착면측에 절단날을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후에 용이하게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에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할 수 있는 테이프 커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해결방법은, 절단날(11)을 점착테이프(2)의 비점착면(2b)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 절단날(11)을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에 따라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절단날(11)을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세하는 토션 스프링(17)과, 점착테이프(2)의 비점착면(2b)이 감겨지도록 절단날(11) 근방의 수납부(3)측에 배치되어, 점착테이프(2)의 인출에 따라 회전하고, 절단날(11)에 의하여 점착테이프(2)가 절단되었을 때에 절단날(11)과의 사이에서,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에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2d)를 형성하는 회전롤러(18)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테이프 커터장치{TAPE CUTTER DEVICE}
본 발명은, 절단한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를 되접어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할 수 있는 테이프 커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하나의 면에 점착면을, 다른 면에 비점착면을 각각 가지는 점착테이프를 수납 가능한 릴, 즉 수납부와,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한 수납부로부터 손가락으로 잡아 인출된 점착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절단된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를 절단날과의 사이에서 되접어 손잡이부 즉,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대기부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서는, 점착테이프를 필요한 부분에 접착할 때에는, 예를 들면 접착 예정영역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가 되도록, 점착테이프의 되접음부를 손가락끝으로 잡고 인출하여 접착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또, 점착테이프가 필요한 부분에 접착된 후, 떼어 낼 때에는 점착테이프의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손가락끝으로 잡아 끌어 올림으로써, 그 점착테이프를 간단하게 떼어 낼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제2958331호 공보
그런데,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의 작업능률의 향상을 위하여, 점착테이프를 골판지 등의 피접착부재에 접착할 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를 접착 예정영역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가 되도록 인출하여 접착하는 것을 하지 않고, 점착테이프의 선단부만을 피접착부재에 접착하고, 그후 계속해서 점착테이프를 유지하고 있는 본체측을 이동시킴으로써, 점착테이프를 접착 예정영역에 접착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테이프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구성과는 달리, 절단날을 점착테이프의 점착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비점착면측에 배치하게 하고 싶다. 그러나, 단지 절단날을 점착테이프의 비점착면측에 배치한 것만으로는, 피접착부재로부터 떼어 낼 때에 편리한 것으로 되어 있는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의 형성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서의 실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점착테이프의 비점착면측에 절단날을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후에 용이하게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에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할 수 있는 테이프 커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면에 점착면을, 다른 면에 비점착면을 각각 가지는 점착테이프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와, 이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점착테이프가 인출되는 인출부와, 이 인출부에서 인출된 상기 점착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구비한 것에 있고, 상기 절단날을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비점착면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 절단날을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절단날을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와,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비점착면이 감겨지도록 상기 절단날 근방의 상기 수납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절단날에 의해 상기 점착테이프가 절단되었을 때에 상기 절단날과의 사이에서 상기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에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하는 회전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를 골판지 등의 피접착부재에 접착할 때에는, 우선 제일 먼저 피접착부재에 점착테이프의 선단부를 접착한다. 그후 계속해서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측을 이동시켜 점착테이프를 인출하면서 그 인출된 점착테이프의 부분을 차례로 피접착부재에 접착하여 간다. 이때, 인출부로부터의 점착테이프의 인출조작에 따라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절단날이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인출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 그 사이에 점착테이프의 인출조작에 따라 점착테이프가 감겨진 회전롤러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피접착부재가 접착 예정영역의 전체에 점착테이프가 접착된다. 그후 이 점착테이프가, 그 비점착면측에 배치된 절단날로 절단된다. 이 절단날로 절단되었을 때에, 회전롤러의 관성에 의하여,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를, 점착면이 안쪽이 되도록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이 동작에 계속해서 절단날이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의하여 테이프의 인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즉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절단날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휘어진 폐쇄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가, 절단날과 회전롤러와의 사이에서 되접혀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의 비점착면측에 절단날을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후에 가세부재의 가세력을 거쳐 용이하게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에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절단날의 상기 수납부측에 위치하는 안쪽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에서 인출된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비접착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절단날을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의 접착시에, 인출부로부터 점착테이프가 인출되었을 때에, 이 인출된 점착테이프의 비점착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가이드부재가 인출방향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따라 절단날이 회동한다. 즉, 점착테이프의 인출 시에 점착테이프에 절단날을 접촉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인출된 점착테이프를 절단날로 상처를 입히지 않고, 절단날을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되접음부가 맞닿는 되접음 위치 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되접음 위치 결정부에, 절단된 점착테이프의 휘어진 부분이 맞닿음으로써, 점착테이프의 되접음을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 있고, 또 점착테이프의 절단마다 동일한 길이의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절단날의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스토퍼부에 절단날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점착테이프의 절단시에 있어서의 절단날의 날끝과 회전롤러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항상 동일한 길이의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절단날의 날끝의 양측부에, 상기 날끝보다도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의 인출시에, 돌출부를 골판지 등의 피접착부재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절단날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 휴대시 등에 날끝이 다른 물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회전롤러가 점성을 가지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의 인출시에 인출된 점착테이프가 회전롤러가 가지는 점성에 의하여 이 회전롤러에 접착되면서 인출되고, 그 후의 점착테이프의 절단시에도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가 회전롤러에 접착 유지된다. 이에 의하여 이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는 점착면측이 안쪽이 되도록 오목형상으로 휘기 쉬워져, 더욱 확실하게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를 되접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회전롤러의 바깥 둘레면에 정전기발생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의 절단시에, 회전롤러의 정전기발생부재의 정전기에 의하여 점착테이프의 휘어진 절단 끝부를 회전롤러에 접착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손가락끝에 의한 가세조작에 의하여 상기 절단날을,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손가락걸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수납부에 수납된 점착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끝을 손가락걸이부에 걸어 가압함으로써, 절단날을 개방시켜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서 상기 손가락걸이부를 상기 절단날의 양측부에 대응시켜 한쌍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오른손잡이인 사람, 왼손잡이인 사람의 어느 쪽의 사람에게도 사용하기 쉽게 대응할 수 있어, 한층 사용상 편리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의 비점착면측에 절단날을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후에 용이하게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를 되접어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피접착부재에 접착된 점착테이프를 떼어 낼 때에, 되접음부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점착테이프를 떼어 낼 수 있고, 또 점착테이프의 본체측을 이동시켜 행하는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이 가능해져, 이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 커터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절단날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절단날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도 1의 B 방향에서 본 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절단날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도 1의 C 방향에서 본 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절단날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절단날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주요부 정면도, (b)는 측면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장착 가능한 다른 절단날을 나타내는 도,
도 10은 점착테이프 접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이 실시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점착테이프 접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 개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대략 상응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 13은 점착테이프 접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의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 대략 상응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 15는 점착테이프 접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점착테이프 절단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 대략 상응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 17은 점착테이프 접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점착테이프 절단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 대략 상응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 19는 점착테이프 접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의 되접음부 형성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상태에 대략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 21은 점착테이프 접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절단날의 다른 개방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점착테이프
2a : 점착면 2b : 비점착면
2c : 휨부 2d : 되접음부
3 : 수납부 4 : 인출부
7 : 제 1 프레임체 10 : 제 2 프레임체
10a : 스토퍼부 10b : 손가락걸이부
11 : 절단날 11a : 날끝(유지부)
12 : 돌출부 13 : 판스프링(가이드부재)
13a : 되접음 위치 결정부 14 : 합성수지판(정전기발생부재)
15 : 스페이서 15a : 스페이서
17 : 토션 스프링(가세부재) 18 : 회전롤러
20 : 골판지(피접착부재) 25 : 다른 절단날
25a : 날끝(유지부재) 26 : 합성수지판(정전기발생부재)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 커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 커터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절단날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절단날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B 방향에서 본 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절단날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C 방향에서 본 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절단날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절단날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주요부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테이프 커터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와, 이 본체(1)에 포함되고, 하나의 면에 점착면(2a)을, 다른 면에 비점착면(2b)을 각각 가지는 점착테이프(2)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3)와, 이 수납부(3)에 수납된 점착테이프(2)가 인출되는 인출부(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인출부(4)에는 인출된 점착테이프(2)의 점착면(2a)이 접촉하여 회전하는 롤러부재(5)가 포함되어 있다. 본체(1)에는, 수납부(3)에 수납된 점착테이프(2)의 바깥 둘레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 는 손잡이(6)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1)에는 제 1 프레임체(7)를 도 2에 나타내는 나사(8)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제 1 프레임체(7)에 설치된 축(9)에는, 제 2 프레임체(10)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키고 있다. 이 제 2 프레임체(10)의 윗쪽부분에는, 이 제 2 프레임체(10)의 회동에 따라 제 1 프레임체(7)에 걸어 맞추는 스토퍼부(10a), 즉 제 2 프레임체(10)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스토퍼부(10a)와, 손가락끝으로의 제 2 프레임체(10)의 회동을 허용시키는 손가락걸이부(10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 2 프레임체(10)의 아래쪽부분에는, 좌우 한쌍의 돌출부(12)를 형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체(10)에는 점착테이프(2)를 절단하는 절단날(11)을 볼트(16)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즉, 이 절단날(11)은 점착테이프(2)의 인출에 따라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으로 제 2 프레임체(10)와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한 제 2 프레임체(10)에 형성한 스토퍼부(10a)는, 절단날(11)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는, 상기한 절단날(11)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제 2 프레임체(10)의 돌출부(12)는, 절단날(11)을 끼우도록 이 절단날(11)의 양측에 배치되고, 절단날(11)의 날끝(11a)보다도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11)의 날끝(11a)은, 예를 들면 쐐기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이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절단날(11)의 날끝(11a)에 의하여 점착테이프(2)가 절단되었을 때에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가 접착 유지 되는 유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체(10)와 일체로 설치되는 절단날(11)을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17)을 축(9)에 장착시키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2)의 비점착면(2b)이 감기도록 절단날(11) 근방의 수납부(3)측에 배치되고, 점착테이프(2)의 인출에 따라 회전하여, 절단날(11)에 의해 점착테이프(2)가 절단되었을 때에 절단날(11)과의 사이에서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에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뒤에서 설명하는 되접음부(2d)를 형성하는 회전롤러(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롤러(18)는, 예를 들면 점성을 가지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져,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5, 도 7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11)의 수납부(3)측에 위치하는 안쪽부분에 설치되고, 수납부(3)로부터 인출된 점착테이프(2)의 비점착면(2b)과의 접촉에 의하여 절단날(11)을, 토션 스프링(1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부재, 예를 들면 판스프링(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판스프링(13)은 윗쪽부분에, 점착테이프(2)의 뒤에서 설명하는 되접음부(2d)가 맞닿는 되접음 위치 결정부(13a)를 구비하고 있다.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11)과 판스프링(13)과의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스페이서(15)를 배치하고 있다. 또, 도 5, 도 7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11) 근방의 수납부(3)측의 위치, 예를 들면 판스프링(13) 의 안쪽부분에는, 정전기발생부재를 형성하는 합성수지판(14)을 배치하고 있다. 이 합성 수지판(14)도 상기한 절단날(11)의 쐐기형상의 날끝(11a)과 마찬가지로, 절단날(11)에 의해 점착테이프(2)가 절단되었을 때에,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를 정전기를 거쳐 접착유지하는 유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도 8(b)에 나타내는 절단날(11)과, 스페이서(15)와, 판스프링(13)과, 합성수지판(14)이, 도 2, 도 3 등에 나타내는 볼트(16)에 의하여 제 2 프레임체(10)에 고정되고,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 2 프레임체(10)의 손가락걸이부(10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체(10)의 회동을 허용시키는 것, 즉 손가락끝에 의한 가세동작에 의하여 제 2 프레임체(10)와 일체의 절단날(11)을 토션 스프링(1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절단날(11)의 양측부에 대응시켜 한쌍 구비하고 있다.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
도 10 내지 도 20은,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0은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이 실시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 개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대략 상응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점착테이프의 접착작업의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 대략 상응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점착테이프 절단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 대략 상응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점착테이프 절단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 는 측면도,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 대략 상응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9는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의 되접음부 형성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상태에 대략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점착테이프(2)를 비접착부재, 예를 들면 골판지(20)에 접착함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손잡이(6)에 손바닥을 맞닿게 하고, 수납부(3)에 수납된 점착테이프(2)를 끼워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롤러(18)에 감겨져 있는 점착테이프(2)의 선단부의 점착면(2a)를 골판지에 근접하여,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2)의 선단부를 회전롤러(18)로 가압하도록 하여 골판지(20)에 접착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본체(1)측을 접착 예정영역을 따라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이에 의하여 도 11의 화살표 2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때까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던 제 2 프레임체(10)가, 절단날(11) 및 판스프링(13)과 일체로 토션 스프링(1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으로 회동하고, 절단날(11)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골판지(20)에는, 제일 먼저 돌출부(12)가 접촉하고, 다음에 판스프링(13)이 접촉한다.
계속해서 본체(1)를 접착 예정영역을 따라 이동시키면,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13)이 점착테이프(2)의 비점착면(2b)과의 접촉에 의하여 휘고, 이 휨에 의한 판스프링(13)의 탄성력과 회전롤러(18)를 거친 가압력이 점착테이프(2)에 주어져, 이 점착테이프(2)는 접착 예정영역에 강고하게 접착되어 간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점착테이프(2)가 인출되는 동안, 롤러부재(5)는 점착테이프(2)의 점착면(2a)에 접촉하면서 회전하고, 회전롤러(18)는 점착테이프(2)의 비점 착면(2b)에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점착테이프(2)가 접착 예정영역의 전체에 걸쳐 접착되고, 절단위치에 도달하면,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2)의 비점착면(2b)측에 배치된 절단날(11)에 의하여 이 점착테이프(2)가 절단된다. 이때, 점착테이프(2)의 인출에 따라 회전하고 있던 회전롤러(18)의 관성에 의하여 절단 직후도 회전롤러(18)는 약간이지만 도 18의 화살표 2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롤러(18)의 관성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는, 도 17,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면(2a)이 안쪽이 되도록 오목형상으로 휘어지고, 점착테이프(2)에 휨부(2c)가 형성된다. 이때,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는, 절단날(11)의 날끝(11a)에 접착됨으로써 이 날끝(11a)에 유지된다.
이 동작에 계속해서 도 19, 도 20의 화살표 2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체(10)가 절단날(11) 및 판스프링(13)과 일체적으로, 토션 스프링(17)의 가세력에 의하여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즉 절단날(11)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들 절단날(11) 및 판스프링(13)의 회동에 의하여, 점착테이프(2)의 휨부(2c)가 합성수지판(14)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이 합성수지판(14)에 접착 유지되면서, 절단날(11) 및 판스프링(13)과, 회전롤러(18)와의 사이에서, 판스프링(13)의 되접음 위치 결정부(13a)에 맞닿으면서 되접혀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2d)가 형성된다.
도 21도 점착테이프 접착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절단날(11)의 다른 개방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이동에 따라 절단 날(11)을 개방시키는 대신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끝을 제 2 프레임체(10)의 한쌍의 손가락걸이부(10b) 중 어느 하나에 걸어 제 2 프레임체(10)를 회동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절단날(11)을 개방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2)의 비점착면(2b)에 절단날(11)을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 후에 토션 스프링(17)의 가세력을 거쳐 용이하게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에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2d)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피접착부재인 골판지(20)에 접착된 점착테이프(2)를 떼어 낼 때에, 되접음부(2d)을 파지하여 용이하게 점착테이프(2)를 떼어 낼 수 있고, 또 점착테이프(2)의 본체(1)측을 이동시켜 행하는 점착테이프(2)의 접착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이 점착테이프(2)의 접착작업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절단날(11)의 뒷쪽에 가이드부재, 즉 판스프링(13)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점착테이프(2)의 인출 시에 점착테이프(2)에 절단날(11)을 접촉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인출된 점착테이프(2)를 절단날(11)로 상처를 입히는 일 없이, 절단날(11)을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접착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에 되접음부(2d)를 형성할 때에 맞닿는 되접음 위치 결정부(13a)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이 되접음 위치 결정부(13a)에 절단된 점착테이프(2)의 휨부(2c)가 맞닿음으로써, 점착테이프(2)의 되접음을 양호하게 행 하게 할 수 있고, 또 점착테이프(2)의 절단마다 동일한 길이의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2d)를 형성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되접음부(2d)의 제작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 2 프레임체(10)에 절단날(11)이 개방될 때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스토퍼부(10a)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부(10a)가 제 1 프레임체(7)에 걸어 멈춰져 절단날(11)이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점착테이프(2)의 절단시에 있어서의 절단날(11)의 날끝(11a)과, 회전롤러(18)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항상 동일한 길이의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2d)를 형성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되접음부(2d)의 제작기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 절단날(11)의 날끝(11a)의 양측부에, 날끝(11)보다도 돌출하는 돌출부(12)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점착테이프(2)의 인출시에, 돌출부(2)를 골판지(20)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절단날(11)을 개방시킬 수 있어, 골판지(20)를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다. 또, 휴대시 등에 날끝(10a)이 다른 물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하여 우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회전롤러(18)가 점성을 가지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점착테이프(2)의 절단시에도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가 점성을 거쳐 회전롤러(2)에 접착유지된다. 이에 의하여 이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면(2a)측이 안쪽이 되도록 오목형상으로 휘어지기 쉬워져, 더욱 확실하게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를 되접을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되접음부(2d)의 제작기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 절단날(11)에 의하여 점착테이프(2)가 절단되었을 때에,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를 유지하는 유지부, 즉,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절단날(11)의 날끝(11a), 및 정전기발생부재인 합성수지판(14)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점착테이프(2)가 절단되었을 때에, 이들 유지부의 유지력을 거쳐 절단 끝부가 확실하게 되접혀 일정한 형상치수의 되접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피접착부재인 골판지(20)에 점착테이프(2)를 접착하였을 때의 미관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점착테이프(2)의 절단시에, 절단 끝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절단날(11)의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날끝(11a) 및 정전기발생부재인 합성수지판(14)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절단날(11)의 쐐기형상의 날끝(11a)은 절단날(11)의 제작시에 형성할 수 있고, 또, 합성수지판(14)은 형상이 단순한 것으로, 따라서 이들 절단날(11)의 날끝(11a) 및 합성수지판(14)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손가락끝에 의한 가세동작에 의하여 절단날(11)을 토션 스프링(1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점착테이프(2)의 인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손가락걸이부(10b)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부에 수납된 점착테이프(2)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끝을 손가락걸이부(10b)에 걸어 가압함으로써, 절단날(11)을 개방시켜 점착테이프(2)의 접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좋다. 또 특히, 이 손가락걸이부(10b)를 절단날(11)의 양측부에 대응시켜 한쌍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오른손잡이인 사람, 왼손잡이인 사람의 어느 쪽의 사람에게도 사용하기 쉽게 대응할 수 있어 한층 사용상 편리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장착 가능한 다른 절단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절단날을, 절단날(11) 외에 다른 절단날(25)을 구비한 2매날로 하고, 다른 절단날(25)의 날끝(25a)에 의해서도 점착테이프(2)의 절단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판스프링(13)과 다른 절단날(25)과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5)와 동등한 탄성을 가지는 스페이서(15a)를 배치하고, 다른 절단날(25)의 안쪽부분, 즉 수납부(3)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정전기발생부재를 형성하는 합성수지판(26)을 배치하고, 이들 절단날(11), 스페이서(15), 판스프링(13), 스페이서(15a), 다른 절단날(25) 및 합성수지판(26)을, 도 2에 나타낸 볼트(16)에 의하여 제 2 프레임체(10)에 고정하여, 일체적으로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서는, 절단날(11)에 의한 절단과, 다른 절단날(25)에 의한 절단의 양쪽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점착테이프(2)에 대한 절단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롤러(18)를, 점성을 가지는 고무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이 회전롤러(18)를 예를 들면 정전기발생기능을 가지는 것, 즉, 정전기발생부재를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이 회전롤러(18)를, 점성을 가지는 고무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나, 예를 들면 일부의 바깥 둘레면에 정전기발생부재인 합성수지제의 시트 등을 접착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들과 같이 회전롤러(18)의 바깥 둘레면에 정전기발생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에서는,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에 되접음부(2d)를 형성할 때에, 정전기발생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하여 점착테이프(2)의 휨부(2c)를 회전롤러(18)에 접착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정밀도가 높은 되접음부(2d)의 제작기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점착테이프(2)의 절단시에, 그 절단 끝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절단날(11)의 쐐기형상의 날끝(11a) 및 판스프링(13)의 뒷쪽에 배치되는 합성수지판(14)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이들 구성 대신에, 또는 이들의 구성에 더하여, 절단날(11)의 날끝(11a)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절단된 점착테이프(2)가 꽂힘으로써 이 점착테이프(2)가 걸어멈춰지는 걸어멈춤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것에서는, 걸어멈춤부는 점착테이프(2)에 꽂히는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점착테이프(2)의 절단 끝부가 걸어멈춤부에 꽂힘으로써 이 절단 끝부를 확실하게 되접을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되접음부(2d)의 제작기능의 확보에 공헌한다.

Claims (9)

  1. 하나의 면에 점착면을, 다른 면에 비점착면을 각각 가지는 점착테이프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점착테이프가 인출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서 인출된 상기 점착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을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비점착면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절단날을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절단날을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부재와,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비점착면이 감겨지도록 상기 절단날 근방의 상기 수납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절단날에 의하여 상기 점착테이프가 절단되었을 때에 상기 절단날과의 사이에서, 상기 점착테이프의 절단 끝부에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되접음부를 형성하는 회전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날의 상기 수납부측에 위치하는 안쪽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에서 인출된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비점착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절단날을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되접음부가 맞닿는 되접음 위치 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의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인출방향으로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의 날끝의 양측부에, 상기 날끝보다도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가 점성을 가지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의 바깥 둘레면에 정전기발생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손가락끝에 의한 가압조작에 의하여 상기 절단날을, 상기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점착테이프의 인출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손가락걸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걸이부를 상기 절단날의 양측부에 대응시켜 한쌍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장치.
KR1020087018236A 2005-12-26 2006-12-25 테이프 커터장치 KR100991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2645 2005-12-26
JP2005372645A JP4554508B2 (ja) 2005-12-26 2005-12-26 テープカッ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407A KR20080080407A (ko) 2008-09-03
KR100991858B1 true KR100991858B1 (ko) 2010-11-04

Family

ID=3821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236A KR100991858B1 (ko) 2005-12-26 2006-12-25 테이프 커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2505B2 (ko)
EP (1) EP1967475B1 (ko)
JP (1) JP4554508B2 (ko)
KR (1) KR100991858B1 (ko)
CN (1) CN101326114B (ko)
WO (1) WO20070747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5107A1 (en) * 2017-06-18 2018-12-27 Ekhlasi Kazaj Hekmat POCKET ADHESIVE TAPE DISPENSE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1276B2 (ja) * 2009-05-29 2013-10-30 重信 菊地 テープカッター
KR101365058B1 (ko) * 2013-01-22 2014-02-19 임충홍 롤 테이프 자동절단기
TWM466097U (zh) * 2013-07-26 2013-11-21 yu-jun Huang 吸附式膠帶使用器
US10532842B1 (en) * 2015-05-04 2020-01-14 Wexxar Packaging, Inc. Tape applicator with tape end fold and associated case sealing machine and method
US9926165B2 (en) * 2016-04-25 2018-03-27 Hsiu-Man Yu Chen Adhesive tape dispenser
CN108231629B (zh) * 2018-01-02 2020-0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胶带贴附设备和胶带的贴覆方法
KR102435474B1 (ko) * 2020-10-26 2022-08-22 이지환 테이프 절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115A (ja) * 1997-04-07 1998-10-20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弾性体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11722A (en) * 1951-04-04 1954-07-07 Minnesota Mining & Mf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vy duty hand dispensers for adhesive tape
US4540393A (en) * 1981-08-20 1985-09-10 Knoop Jack P Variable length tab-forming device for tape roll holders
ES264528Y (es) * 1982-04-15 1983-05-16 Soporte para cinta autoadhesiva por una o varias caras.
JPH0625256U (ja) * 1992-08-25 1994-04-05 有限会社パル商品設計事務所 接着テープカッター
JPH06122854A (ja) * 1992-10-09 1994-05-06 Atom Chem Paint Co Ltd テープ貼り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2583745B2 (ja) * 1993-10-26 1997-02-19 憲次 倉田 粘着テープ貼付器
JP3251819B2 (ja) * 1995-08-14 2002-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2958331B2 (ja) 1995-07-18 1999-10-06 ベルマティック販売株式会社 粘着テープ端末切断装置
US5928466A (en) * 1997-10-09 1999-07-27 Yu Chen; Hsiu-Man Tape support having a protective member
US6152398A (en) * 1999-08-04 2000-11-28 Chen; Hsiu-Man Yu Tape dispenser
JP3588717B2 (ja) * 2000-07-28 2004-11-17 株式会社ユニテック 粘着テープ端部の折返し装置及びカートンシーラー
JP2003197848A (ja) 2001-12-28 2003-07-11 Toshiba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パッケージ実装体
TW519120U (en) * 2002-03-12 2003-01-21 Yu-Shiung Huang Tape applicator capable of preventing leading end of tape from loosely falling
JP4214853B2 (ja) 2002-07-29 2009-01-28 ヤマハ株式会社 磁気センサ
US6705373B1 (en) 2002-11-01 2004-03-16 Hsiu-Man Yu Chen Tape cutting device of an adhesive-tape holder
JP2004191065A (ja) 2002-12-06 2004-07-08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磁気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43384B1 (ko) 2003-07-18 2007-07-30 아이치 세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3차원 자기 방위센서 및 마그네토-임피던스 센서 소자
JP4293922B2 (ja) 2004-02-17 2009-07-0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磁気方位検出装置
US7121312B2 (en) * 2004-03-11 2006-10-17 Tzu-Chen Yu Glue tape cut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115A (ja) * 1997-04-07 1998-10-20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弾性体ロー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5107A1 (en) * 2017-06-18 2018-12-27 Ekhlasi Kazaj Hekmat POCKET ADHESIVE TAPE DISPENS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7475B1 (en) 2011-09-21
EP1967475A4 (en) 2010-11-10
EP1967475A1 (en) 2008-09-10
JP2007169043A (ja) 2007-07-05
WO2007074783A1 (ja) 2007-07-05
CN101326114A (zh) 2008-12-17
KR20080080407A (ko) 2008-09-03
CN101326114B (zh) 2012-04-25
JP4554508B2 (ja) 2010-09-29
US20080263873A1 (en) 2008-10-30
US7712505B2 (en)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58B1 (ko) 테이프 커터장치
US20030140760A1 (en) Film cutter
US5824184A (en) Structure for removing a peel-off backing from an adhesive tape
JP6887383B2 (ja) 手動テープアプリケータ装置
JP4423256B2 (ja) テープカッター装置
WO2006085398A1 (ja) テープカッター及びカット装置
KR100959524B1 (ko) 테이프 절단기
JP3849339B2 (ja) 剥離装置
TW201402442A (zh) 膠帶切斷器
JP4722021B2 (ja) テープカッター装置
JP5083852B1 (ja) ラップフィルム容器
JP2583745B2 (ja) 粘着テープ貼付器
JP2007276952A (ja) テープカッター装置
JPH09100062A (ja) テープ貼付具
CN2630205Y (zh) 改进的胶带切割机构造
CN217996269U (zh) 一种胶带切割器
TWM572894U (zh) Cutting blade for sealing tape and tape cutting device containing the same
JP3529833B2 (ja) テープ貼付装置
JP2006347760A (ja) 粘着テープカッタ
KR20230134247A (ko) 테이프 커터기
JP2007161284A (ja)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
KR200478097Y1 (ko)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JP3105742U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KR100517185B1 (ko) 테이프처리장치
KR20220077328A (ko)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