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731B1 -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731B1
KR100988731B1 KR1020080114035A KR20080114035A KR100988731B1 KR 100988731 B1 KR100988731 B1 KR 100988731B1 KR 1020080114035 A KR1020080114035 A KR 1020080114035A KR 20080114035 A KR20080114035 A KR 20080114035A KR 100988731 B1 KR100988731 B1 KR 100988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iary
support member
strip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109A (ko
Inventor
조문권
Original Assignee
조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권 filed Critical 조문권
Priority to KR102008011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7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6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means for attaching the filing appliance to th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4Devices for protecting or reinforcing covers, e.g. edges or corners
    • B42F13/0046Devices for protecting or reinforcing covers, e.g. edges or corners against ring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4Attachment means of ring, finger or claw form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리의 조립공정 중에 발생 되는 지지부재와 다수의 속지가 결속된 스프링의 오조립 상태가 신속히 수정되면서 다이어리의 조립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속지를 결속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면서 겉표지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스트립과, 상기 스프링과 마주하는 스트립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구와, 상기 스트립의 상부면과 대향하는 걸림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이 압입되면서 걸리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외력이 작용할 때 형태의 변형으로 걸림돌기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다이어리, 스프링, 스트립, 걸림돌기, 걸림구, 개구부

Description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SUPPORT MEMBER FOR FIXING OF DIARY}
본 발명은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리의 조립공정 중에 발생 되는 지지부재와 다수의 속지가 결속된 스프링의 오조립 상태가 신속히 수정되면서 다이어리의 조립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어리(diary)는 각종 메모나 스케쥴 등을 월별, 일별로 일목 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1년을 단위로 사용되며 수첩이나 필기용 노트의 일종이라 할 수있다.
과거의 다이어리는 일반적인 책자와 같은 방식으로 제본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상기 다이어리가 1년 단위로 사용됨에 따라 속지의 양 또한 100매 이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용도가 인쇄된 내용을 읽기 위한 것이 아닌 필기를 목적으로 한 것임을 감안했을 때, 책자와 같은 방식으로 제본된 경우에 필연적으로 페이지 넘김이 불량하면서 필기의 어려움이 따르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가지런히 정리된 속지의 일측으로 다수의 구멍을 연달아 천공하고, 상기의 구멍을 통해 스프링을 끼운 상태로 상 기 스프링을 겉표지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이루게 함으로써 속지의 페이지 넘김을 원활하게 하면서 필기의 편안함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다이어리(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속지(10)와, 상기 속지(10)를 결속하는 스프링(20)과, 상기 스프링(20)이 결합되는 지지부재(40)와, 상기 지지부재(40)가 고정되는 겉표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속지(10)는 여러 장의 속지(10)가 한 묶음으로 만들어진 상태로 상기 속지(10)의 일측으로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구멍(12)이 천공된다.
상기와 같은 속지(10)의 구멍(12)에는 스프링(20)이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20)은 원형의 고리형상을 유지하면서 두 가닥의 스프링선(22)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반복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스프링선(22)은 속지(10)의 구멍(12)에 각각 삽입되면서 속지(10)들을 결속하게 되고, 속지(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속지(10)들을 결속한 상태의 스프링(20)은 지지부재(40)에 결합 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스프링(20)의 길이와 대응되는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0)의 상부면에는 결합 되는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걸림구(5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50)는 상기 지지부재(40)와 직교 된 상태로 일체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50)의 상부에는 걸림턱(5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2)은 결합 되는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이 걸쳐지도록 상기 걸림구(50)의 양측에 걸림구(50)와 직각을 이룬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52)의 상부 일면에는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 삽입시 상기 스프링선(22)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하향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면(5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20)은 지지부재(40)에 결합 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선(22)이 걸림턱(52)의 상부 일면에 형성된 경사면(54)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벌어지게 되고, 이후 경사면(54)을 통과한 스프링선(22)은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걸림턱(52)에 걸쳐지게 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걸림턱(5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겉표지(30)는 스프링(20)이 결합된 지지부재(40)가 고정된 상태로 속지(1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0)는 겉표지(30)의 내측 중앙부에 고주파 열접착, 접착제, 또는 봉재에 의해 고정되고, 그 재질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이어리(1)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러장이 한 묶음으로 만들어진 속지(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12)을 통해 스프링(20)을 삽입시켜 상기 속지(10)를 결속시킨다.
이후, 겉표지(30)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된 지지부재(40)의 걸림구(50) 상부로 상기 속지(10)를 결속한 스프링(2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은 걸림구(5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52)의 하향 경사면(54)과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속지(1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이 걸림턱(52)의 경사면(54)을 타고 하방으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스프링선(22)은 벌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스프링선(22)은 경사면(54)을 통과함과 동시에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걸림턱(52)에 걸쳐지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40)에 스프링(20)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다이어리(1)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다이어리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속지가 오조립 되거나 또는 걸림구의 걸림턱과 스프링의 스프링선이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 되지 못하면서 상기 걸림턱과 스프링선이 밀린 상태로 결합 되는 불량결합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자는 불량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다이어리의 수정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때 작업자는 속지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로 스프링이 결합 된 반대방향으로 약간의 경사를 주면서 당겨 걸림턱으로부터 스프링선을 이탈시킨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재가 겉표지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걸림턱으로부터 스프링선의 이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작업자는 일일이 걸림구의 걸림턱으로부터 스프링선을 해제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그리고, 상기 오조립 된 다이어리의 수정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상기 다이어리가 1년 단위로 사용되고 통상적으로 연초에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임으로, 그 제조 시기 역시 연말연시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대량생산 시 다이어리의 오조립에 의한 신속한 수정작업이 이루어지질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제조의 측면에서 볼 때 치명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어리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오조립에 대하여 신속하게 수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속지를 결속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면서 겉표지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스트립과, 상기 스프링과 마주하는 스트립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구와, 상기 스트립의 상부면과 대향하는 걸림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이 압입되면서 걸리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외력이 작용할 때 형태의 변형으로 걸림돌기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구는 스트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는 만곡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후방에는 보강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는, 상기 스트립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구 내측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선이 걸림돌기로부터 손쉽게 이탈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다이어리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다이어리의 오조립에 대한 신속한 수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어리의 대량생산에 따른 오조립의 수정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짐에 따라 원활한 조립공정이 진행되는 효과가 있으며, 오조립의 수정작업에 따 른 별도의 인력이 줄어들게 되면서 인건비의 상승에 대한 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의 구성중 지지부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의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가 오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의 오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걸림돌기로부 터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개구부 후방에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어리(100)는 다수의 속지(10)를 결속하는 스프링(20)과, 상기 스프링(2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면서 겉표지(30)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40)로 기본적인 구성을 이룬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스프링(2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스트립(150)과, 스트립(150)의 상부면에 돌출된 다수의 걸림구(160)와, 상기 걸림구(160)의 양측에 형성되어 스프링(20)이 수용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62)와, 상기 걸림구(16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166)로 크게 구성된다.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150)은 일정한 폭과 상기 속지(10)가 결속된 스프링(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스트립(150)은 속지(10)를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겉표지(30)의 내측 중앙부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립(150)의 고정 방식이 접착제를 통해 이루어 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고주파 열접착 또는 봉재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립(150)에는 걸림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160)는 스프링(20)과 마주하는 스트립(150)의 상부면에 상기 스트립(1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160)의 수는 결합 되는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 수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걸림구(160)와 스프링선(22) 수가 대응되는 상태로 결합 되면 걸림구(160)와 스프링선(22)의 결합력 증대와 함께 속지(10)의 사용에 따른 유동으로부터 스프링선(22)의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걸림구(160)는 상기 스트립(15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걸림구(160)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구(160)가 스트립(150)과 일체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접착제나 열융착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걸림구(160)에는 걸림돌기(16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62)는 스트립(150)의 상부면과 대향 하면서 결합 되는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이 압입되어 걸리도록 걸림구(160)의 양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62)의 내측은 걸림구(160)의 상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162)는 걸림구(16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걸림구(160)의 상측방향으로 최소의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62)에 결합 되는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은 상기 걸림돌기(16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걸림돌기(162)의 곡선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외부의 유동으로 인한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62)의 상부 일면에는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 결합시 상기 스프링선(22)의 삽입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하향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면(16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160)의 내측으로는 개구부(166)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66)는 걸림구(16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걸림구(160)의 외각과 일정 폭을 유지한 상태로 걸림구(160)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66)는 걸림돌기(162)가 외부로부터 눌리거나 당겨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이뤄질 때 상기 걸림돌기(162)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166)는 걸림돌기(162)의 변형이 이뤄질 때 상기 걸림돌기(162)로 가해지는 외력의 영향을 받는 부분만 변형 가능토록 한다.
이는, 상기 걸림구(160)의 내측이 개구부(166)에 의해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걸림구(160)의 전체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만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0)이 스트립(150)에 오조립 되더라도 스프링(20)의 이탈이 용이함은 물론, 스프링(20)의 이탈시 발생 되는 외력이 걸림구(160)에 무리를 가하지 않게 되면서 상기 걸림구(160)의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가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150)의 상부면과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걸림구(16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166)의 후방 즉 스트립(150)의 상부면과 만나는 위치에 보강부(168)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168)는 걸림구(16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150)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의 강화와 함께 외부의 충격에 의한 걸림구(160)의 하부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150)은 성형금형에 의한 사출과정을 통해 제작되고, 상기 성형과정에 의해 완성된 스트립(150)은 성형금형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150)과 일체로 형성된 걸림구(160)의 보강부(168)로 별도의 밀핀(미도시)이 하강하면서 상기 보강부(168)와 접촉을 이루고, 이 상태에서 밀핀이 계속 하강하여 상기 스트립(150)을 성형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이어리(100)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속지(10)를 결속된 스프링(20)을 겉표지(30)의 내측 중앙부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스트립(150)의 걸림구(160) 상부로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은 걸림구(16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62)의 하향 경사면(164)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속지(1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스프링(20)의 스프링선(22)은 걸림돌기(162)의 경사면(164)을 타고 하방으로 미끄러지면서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후, 속지(10)를 누르는 힘이 계속 진행되면서 상기 스프링선(22)은 경사면(164)을 통과하게 되고, 경사면(164)을 통과함과 동시에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20)의 각 스프링선(22)은 원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걸림돌기(162)에 수용되면서 걸리게 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스프링(20)과 스트립(150)은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다이어리(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진 다이어리(100)에서 오조립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가 속지(10)의 일측을 가볍게 파지하고, 상기 속지(10)를 상방으로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면서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속지(10)에는 외부로부터 속지(10)를 당기는 외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외력은 속지(10)를 결속하는 스프링(20)을 통해 걸림구(160)의 걸림돌기(162)에 수용된 스프링선(22)을 당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162)는 스프링선(22)의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변형을 일으키면서, 도 9b와 같이 걸림돌기(162)의 바깥쪽이 상방으로 제쳐지게 된다.
이후, 계속되는 외력에 의해 걸림돌기(162)이 상방으로 더욱 제쳐지면서 상기 걸림돌기(162)의 곡면이 수평선상을 넘어서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걸림돌기(162)에 걸쳐졌던 스프링선(22)이 외부로 이탈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162)는 스프링선(22)의 이탈과 동시에 원형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62)에 수용된 스프링선(22)이 계속적인 외력에 의해 차례대로 이탈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20)은 손쉽게 다이어리(100)로부터 이탈이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어리(100)의 조립공정 중에 발생 되는 오조립에 대한 수정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되면서 상기 다이어리(100)의 조립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어리(100)에 한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노트, 바인더, 또는 사진첩과 같은 곳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의 구성중 지지부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종래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가 오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의 구성중 지지부재를 도 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의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가 오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의 오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걸림돌기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개구부 후방에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다이어리 10...속지
12...구멍 20...스프링
22...스프링선 30...겉표지
40, 140...지지부재 50, 160...걸림구
52...걸림턱 54, 164...경사면
150...스트립 162...걸림돌기
166...개구부 168...보강부

Claims (4)

  1. 다수의 속지를 결속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면서 겉표지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스트립;
    상기 스프링과 마주하는 스트립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구;
    상기 스트립의 상부면과 대향하는 걸림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이 압입되면서 걸리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구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외력이 작용할 때 형태의 변형으로 걸림돌기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스트립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후방에는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KR1020080114035A 2008-11-17 2008-11-17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KR100988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35A KR100988731B1 (ko) 2008-11-17 2008-11-17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35A KR100988731B1 (ko) 2008-11-17 2008-11-17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109A KR20100055109A (ko) 2010-05-26
KR100988731B1 true KR100988731B1 (ko) 2010-10-20

Family

ID=4227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35A KR100988731B1 (ko) 2008-11-17 2008-11-17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7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870Y1 (ko) 2004-07-12 2004-10-11 이신영 서류철용 용지 고정장치
KR200391966Y1 (ko) 2005-05-10 2005-08-09 박병직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100760848B1 (ko) 2006-05-16 2007-09-21 조영철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0891749B1 (ko) 2007-07-11 2009-04-03 박철우 스프링 바인더용 파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870Y1 (ko) 2004-07-12 2004-10-11 이신영 서류철용 용지 고정장치
KR200391966Y1 (ko) 2005-05-10 2005-08-09 박병직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100760848B1 (ko) 2006-05-16 2007-09-21 조영철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0891749B1 (ko) 2007-07-11 2009-04-03 박철우 스프링 바인더용 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109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8052B2 (en) Binder
US8322940B2 (en) Binder
US20070196162A1 (en) Back plate and file cover for ring binder
JP4635768B2 (ja) バインダー
US7052045B2 (en) Labeling device for bound materials
US20060008319A1 (en) Document inserting and removing device of file folder
KR100988731B1 (ko)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EP1803582A2 (en) Book tag
JP4548786B2 (ja) ダブルクリ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70014007A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JP3141353U (ja) ファイリング用具
JP7168830B2 (ja) 用紙の着脱が容易な手帳やノート、バインダー等
JP2012187839A (ja) 綴じ具及びファイル
JP2011116066A (ja) ファ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30462B1 (ko) 다이어리 고정클립
WO2020255959A1 (ja) クリップ用パッド
JP4624444B2 (ja) ブックカバー
KR200442053Y1 (ko) 착탈식 서류보관용 파일
JP3076641U (ja) ファイル
KR200444304Y1 (ko) 바인더 스프링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제본방법
US7018125B2 (en) Notebook having integral binder members
KR200347895Y1 (ko)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JP2008055876A (ja) 用紙係止用具
KR20060126370A (ko) 파일용 바인더의 고정구 및 파일
JP3035134U (ja) ファイル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