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966Y1 -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 Google Patents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966Y1
KR200391966Y1 KR20-2005-0013083U KR20050013083U KR200391966Y1 KR 200391966 Y1 KR200391966 Y1 KR 200391966Y1 KR 20050013083 U KR20050013083 U KR 20050013083U KR 200391966 Y1 KR200391966 Y1 KR 200391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n
twin spring
spring
portion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직
Original Assignee
박병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직 filed Critical 박병직
Priority to KR20-2005-0013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6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covers are united by o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윈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이 없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겉표지 및 속표지에 간단하게 제본할 수 있고 나아가, 트윈스프링 제본철의 제조도 간단하며, 그 트윈스프링 제본철을 경량저가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는 구조의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를 제공한다.
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는, 노출됨이 없이 트윈스프링(10)을 개재하여 내용물(2)을 표지(5)에 제본시키기 위한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지(5)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표지(5)의 속표지와 겉표지사이에 내장되는 바닥부(21,31)와, 그 바닥부(21,31)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트윈스프링(10)의 인접한 권선부분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그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 사이를 확장시키면서 통과하여 트윈스프링(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부(22,32)와, 삽입부(22,32)가 통과된 후, 확장된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 사이가 복원력에 의해 축소되어 그 축소된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이 걸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하여 제본이 간단하게 완성되게 하는 다수쌍의 걸림부(23,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윈스프링 제본철(20,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structure for a bookbinder of an undisclosed twin spring type}
본 고안은, 트윈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이 없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겉표지 및 속표지에 간단하게 제본할 수 있고 나아가, 트윈스프링 제본철의 제조도 간단하며, 그 트윈스프링 제본철을 경량저가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는 구조의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프링 노트북, 다이어리 등의 트윈스프링 제본물(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5)와 내용물(2)에 천공된 통과공(6)을 통해 트윈스프링(10)을 통과시킴으로써 제본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트윈스프링(10)을 개재하여 표지(5)에 내용물(2)을 제본하는 경우, 그 트윈스프링(10)이 표지(5)의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표지(5)에 천공된 통과공(6)을 통해 그 트윈스프링(10)을 통과시켜 제본하기 때문에 제본하는 데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나아가, 그 트윈스프링(10)에 걸리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지만, 어느 하나의 문제점을 해결하더라도 다른 문제를 지니게 되거나, 또는 문제점들이 완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윈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이 없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겉표지 및 속표지에 간단하게 제본할 수 있고 나아가, 트윈스프링 제본철의 제조도 간단하며, 그 트윈스프링 제본철을 경량저가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는 구조의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는, 노출됨이 없이 트윈스프링을 개재하여 내용물을 표지에 제본시키기 위한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지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표지의 속표지와 겉표지사이에 내장되는 바닥부와, 그 바닥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트윈스프링의 인접한 권선부분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그 트윈스프링의 권선부분 사이를 확장시키면서 통과하여 트윈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부와, 삽입부가 통과된 후, 확장된 트윈스프링의 권선부분 사이가 복원력에 의해 축소되어 그 축소된 트윈스프링의 권선부분이 걸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하여 제본이 간단하게 완성되게 하는 다수쌍의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윈스프링 제본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서 내용물을 표지와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일부 확대사시도, 제본된 상태의 길이방향 부분단면도 및 도 4의 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3 내지 도 6에서, 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는, 종래와 같이, 노출됨이 없이 트윈스프링(10)을 개재하여 내용물(2)을 표지(5)에 제본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특수한 구조의 트윈스프링 제본철(20)을 구비한다.
그 트윈스프링 제본철(20)은, 바닥부(21), 다수의 삽입부(22) 및 다수쌍의 걸림부(23)로 구성된다.
그 바닥부(21)는, 표지(5)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표지(5)의 속표지와 겉표지사이에 내장되어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다.
다수의 삽입부(22)는, 바닥부(21)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트윈스프링(10)의 인접한 권선부분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그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 사이를 확장시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이와 같이 통과함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 삽입부(22)가 트윈스프링(1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다수쌍의 걸림부(23)는, 각각 삽입부(22)가 통과된 후, 확장된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 사이가 복원력에 의해 축소되어 그 축소된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이 걸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하여 제본이 간단하게 완성되도록 한쌍의 후크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 있어서는, 트윈스프링(10)을 내용물(2)에 삽입한 후, 그 트윈스프링(10)의 인접 권선부분사이에 각 삽입부(22)를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그 인접 권선부분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형태의 걸림부(23)에 걸리게 되어 제본이 완성되게 되므로, 매우 간단하게 제본공정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트윈스프링(10)의 구조가 도 5에서와 같이 좁은 폭(d)과 넓은 폭(D)이 교차하여 형성되고 그 칫수가 종류별로 규격화되어 있어 본 고안에 따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는 범용성을 지니게 된다.
상술한 트윈스프링 제본철(20)의 삽입부(22)가 삽입되는 상기 트윈스프링(10)의 인접한 권선부분은, 좁은 폭(d)의 스프링 권선부분인 것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넓은 폭(D)사이로 삽입부(22)를 삽입시키는 경우, 삽입부(22)의 경사가 완만하여 삽입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넓은 폭(D)사이의 권선부분이 동일한 칫수만큼 확장/축소되는 때에 더욱 탄성력이나 복원력이 작게 되므로 걸림부(23)로부터의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걸림부(23)의 최대 폭이 커져 재료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게 된다.
또, 트윈스프링 제본철(20)을 길게 형성한 후, 트윈스프링(10)의 길이에 맞게 절단만 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길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 실시예의 트윈스프링 제본철(20)은, 박판구조로서 플라스틱 사출성형 등에 의해 성형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강도면에서 도 8 내지 도 11과 관련한 실시예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트윈스프링 제본철(20)이 박철판제 내지 박강판제로 형성하는 경우 그 전개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와 같은 전개도로 블랭킹, 피어싱 등에 의해 절단한 후, 폭방향 중앙부에서 절곡하여 상기 삽입부(22) 및 걸림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각도에 따라서도 최소의 곡률(r)이 요구되지만, 삽입부(22)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곡률(r)과 절곡각도(A)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절곡된 때에 형성되는 한쌍의 경사면(25)은, 상부 양측에서 상향으로 삽입부(22)를 형성하게 되고, 중간부분 양측에서 걸림부(2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트윈스프링 제본철(20)의 바닥부(21), 삽입부(22) 및 걸림부(23)의 형상이나 구조 등이 본 고안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일예로서, 상기 트윈스프링(10)의 일부 권선부분이 걸림부(23)에 걸린 때에 삽입부(22)를 더욱 삽입시킨 후, 그 걸린 권선부분을 확장시키지 않고는 이탈시킬 수 없도록 걸림부(23)의 단부가 틈새(g)만큼 바닥부(21)측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트윈스프링 제본철(30)은, 바닥부(31), 걸림부(33) 및 삽입부(32)로 구성되며, 그 각 바닥부(31), 걸림부(33) 및 삽입부(32)는, 상술한 실시예의 바닥부(21), 걸림부(23) 및 삽입부(22)와 그 기능면에서는 유사하고,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으로 형성시키는 구조의 것이 도시된다. 예로서, 이 실시예에서 단지 삽입부(32)에서는 경사지지만, 위 실시예에서의 경사면(25)은 없이 형성됨으로써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부(32)의 폭이 상하로 동일하게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능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에서는 바닥부(21,31)가 상기 표지(5)의 내면에 부착되는 구조가 도시되고, 표지(5)의 속표지와 겉표지사이에 내장되는 구조가 도시되지는 아니하지만, 바닥부(21,31)가 표지(5)의 속표지와 겉표지사이에 내장되는 때에는 다수의 삽입부(22,32)가 각각 속표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관통공이 속표지에 형성될 것이다.
또, 본 고안은, 다수의 삽입부(22,32)가 좁은 폭(d)의 스프링 권선부분사이로 삽입되어 트윈스프링(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가 도시되지만, 이 역시 좁은 폭(d)의 스프링 권선부분외측에서 미끄러져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트윈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됨이 없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겉표지 및 속표지에 간단하게 제본할 수 있고 나아가, 트윈스프링 제본철의 제조도 간단하며, 그 트윈스프링 제본철을 경량저가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출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내용물을 표지와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서 내용물을 표지와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내용물과 표지가 본 고안에 따라 제본된 상태를 도시한 길이방향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제본철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서 내용물을 표지와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내용물과 표지가 본 고안에 따라 제본된 상태를 도시한 길이방향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트윈스프링 제본물 2: 내용물
5: 표지 6: 통과공
10: 트윈스프링 20,30: 트윈스프링 제본철
21,31: 바닥부 22,32: 삽입부
23,33: 걸림부 25: 경사면

Claims (3)

  1. 노출됨이 없이 트윈스프링(10)을 개재하여 내용물(2)을 표지(5)에 제본시키기 위한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지(5)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표지(5)의 속표지와 겉표지사이에 내장되는 바닥부(21,31)와, 그 바닥부(21,31)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트윈스프링(10)의 인접한 권선부분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그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 사이를 확장시키면서 통과하여 트윈스프링(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부(22,32)와, 삽입부(22,32)가 통과된 후, 확장된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 사이가 복원력에 의해 축소되어 그 축소된 트윈스프링(10)의 권선부분이 걸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하여 제본이 간단하게 완성되게 하는 다수쌍의 걸림부(23,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윈스프링 제본철(20,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스프링(10)의 일부 권선부분이 걸림부(23,33)에 걸린 때에 삽입부(22,32)를 더욱 삽입시킨 후, 그 걸린 권선부분을 확장시키지 않고는 이탈시킬 수 없도록 걸림부(23,33)의 단부가 틈새(g)만큼 바닥부(21,31)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스프링 제본철(20)이 박철판재 내지 박강판재로 형성되는 때에 전개도로 절단한 후, 폭방향 중앙부에서 곡률(r)과 각도(A)로 절곡되어 상부 양측에서 상향으로 삽입부(22)를 형성하고 중간부분 양측에서 걸림부(23)를 형성하는 한쌍의 경사면(25)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20-2005-0013083U 2005-05-10 2005-05-10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200391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83U KR200391966Y1 (ko) 2005-05-10 2005-05-10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83U KR200391966Y1 (ko) 2005-05-10 2005-05-10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966Y1 true KR200391966Y1 (ko) 2005-08-09

Family

ID=4369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083U KR200391966Y1 (ko) 2005-05-10 2005-05-10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9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31B1 (ko) 2009-02-27 2009-06-01 전광인쇄정보(주) 졸업앨범
KR100988731B1 (ko) 2008-11-17 2010-10-20 조문권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KR101009377B1 (ko) 2009-03-06 2011-01-19 조영철 다이어리 바인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31B1 (ko) 2008-11-17 2010-10-20 조문권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KR100900031B1 (ko) 2009-02-27 2009-06-01 전광인쇄정보(주) 졸업앨범
KR101009377B1 (ko) 2009-03-06 2011-01-19 조영철 다이어리 바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4834B2 (en) Plastic hinge for cases, particularly for glasses cases
JP4025658B2 (ja) 天井板用吊持杆の連結機構
KR200391966Y1 (ko)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JP2002248887A (ja) プラスチック製の上部を有するバインダ用のリング機構
US5295622A (en) Folder or the like
JP2008302508A (ja) 綴じ具
JP6516275B1 (ja) 綴じ具
JP5602490B2 (ja) 連結印
KR200382730Y1 (ko) 다이어리용 책갈피
JP2007039072A (ja) 梱包箱
JP4426517B2 (ja) 紙製綴じ具によるカレンダー
JP4361888B2 (ja) カレンダー
KR200439754Y1 (ko)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JP4336193B2 (ja) バインダー用補助具
JP3133479U (ja) 組立収納箱
KR200379760Y1 (ko) 타이고정 구조를 갖는 파일철
JP3127845U (ja) クリップ
KR200402534Y1 (ko) 힌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박스
KR200239127Y1 (ko) 헤어클립
JP2005153896A (ja) 吊り下げ用パッケージ
KR20100021825A (ko) 다이어리용 책갈피 끈 고정구
JP3065496U (ja) シ―ト綴り用ファイルにおけるシ―トの押え板
KR200343713Y1 (ko) 바인더 커버
KR200379759Y1 (ko) 타이고정 구조를 갖는 파일철
JP2005053139A (ja) ファィ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