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754Y1 -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 Google Patents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754Y1
KR200439754Y1 KR2020070017278U KR20070017278U KR200439754Y1 KR 200439754 Y1 KR200439754 Y1 KR 200439754Y1 KR 2020070017278 U KR2020070017278 U KR 2020070017278U KR 20070017278 U KR20070017278 U KR 20070017278U KR 200439754 Y1 KR200439754 Y1 KR 200439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ring
connec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펠릭스킴앤레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펠릭스킴앤레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펠릭스킴앤레기진
Priority to KR2020070017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7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7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6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means for attaching the filing appliance to th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4Attachment means of ring, finger or claw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 바인더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종이를 모아 링을 이용해 서류철 하거나 한 권의 책으로 제본한 링 제본물을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이를 연결하는 연결 커버가 각각 독립적 개체로 구비되어 견고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하도록 구성된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링 제본물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감싸는 바인더 커버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꺽음부가 일측에 절곡되게 형성된 전상판과, 전상판의 일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전면 커버와; 전면 커버의 전상판과 동일한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꺽음부가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일측에 절곡되게 형성된 후상판과, 후상판의 일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후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후면 커버와; 제본물의 책등 두께를 포함할 수 있는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연결부가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연결상판과, 연결상판에 끼워져 결합되고 링 제본물의 링이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본물 결속후크가 형성된 연결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연결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면 커버와 연결 커버는 각각 독립적 개체로서 꺽음부와 연결부의 연결공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고, 상기 일직선상의 연결공을 관통하는 철 심에 의해 일체로 연결·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바인더, 제본, 링 제본물, 커버, 표지, 세네카.

Description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Binder cover of Bookbinding article using a ring}
본 고안은 링 바인더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종이를 모아 링을 이용해 서류철 하거나 한 권의 책으로 제본한 링 제본물을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이를 연결하는 연결 커버가 각각 독립적 개체로 구비되어 견고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하도록 구성된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에 관한 것이다.
고도화된 지식 산업 사회에서 컴퓨터 작업이나 복사를 통해 다량의 문서가 출력되고 있으며 출력 또는 복사된 서류는 제본하여 보관된다. 이러한 제본의 경우 서류의 끝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키기도 하지만 요즈음엔 끝 부분을 천공하여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여 링 제본물로 만들어 보관한다.
그리고, 상기 링 제본물의 표지는 단순히 두꺼운 종이 또는 사각형의 플라스틱 합성 수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이를 이용한 표지는 물에 약하고 내구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단순한 사각형태의 플라스틱 표지는 내구성은 우수하나 전,후면 표지가 서로 체결되지 않아 제본물을 견고히 고정하지 못해 이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단 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링 제본물을 감싸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커버는 그 내부에 각종 서류를 철(綴)하여 보관하거나 필요한 서류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문구용품의 일종이다.
이에 따라 링 제본물, 서적이나 다이어리, 화일 등은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절첩시킨 내부에 글자나 그림 등이 마련되는 내용물, 즉 서적을 구성하는 다수의 종이나 서류, 노트, 투명필름지, 다이어리용 속지 등 제본물을 결합 배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제본물은 파스너(Fastener)나 철편, 원형의 링형태로 되어 있는 바인더(Binder) 등에 결합되어 커버로부터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각종 제본물을 사용하기 좋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러한 바인더 커버에 결합된 제본물의 속지는 휴대시 바람이나 약간의 충격에 의해 커버가 떨어져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링 제본물을 보호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링 제본물 커버(100)는 통상 두꺼운 마분지 또는 플라스틱 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부(110)와, 그 상·하에 접착되는 비닐류의 시트지(120)와, 링 제본물이 고정되는 제본물 결속구(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10)는 그 중앙에 한 쌍의 평행한 힌지홈으로 접힘부(111)가 형성되어, 전면 커버지(113)와, 후면 커버지(114) 및 그 중앙의 연결부(115)의 3등분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트지(120)는 그 표면을 직물로 할 수도 있고, 적절한 칼라를 주어 바인더 커버의 외양을 고급스럽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15)의 상·하에는 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홀(112)에 리벳 또는 스터드(140)가 관통하여 제본물 결속구(130)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본물 결속구(130)에 서류가 직접 철되어 보관되고 링 제본물이 끼워져 보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바인더 커버(100)는 두꺼운 마분지나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강도가 떨어지며, 특히 상기 연결부(115)의 강도가 약하여 이에 결합되는 제본물 결속구(130)를 튼튼하게 지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지(113)와 후면 커버지(114) 및 연결부(115)는 단일 커버부(110)의 접힘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15)의 크기는 제작 당시에 한정되어 그 크기에 맞는 링 제본물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되는 링 제본물의 책등(세네카)의 두께 변화에 대처하기 힘들고, 다수회의 열고 닫는 펼침에 따라 단일 커버부(110)로 형성된 접힘부(111)의 기능이 상실되어 바인더 커버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연결 커버가 각각 독립적인 개체로 구분되면서 조립되어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외관이 좋은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는 각각 이중구조로서 상판과 하판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내부 간격에 따라 메모지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관절역할을 하는 꺽음부에 철심을 이용해 서로 연결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된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연결 커버는 걸림후크가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링 제본물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는, 링 제본물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감싸는 바인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가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테두리 일측에 절곡되게 형성된 전상판과, 상기 전상판의 일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의 전상판과 동일한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가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테두리 일측에 절곡되게 형성된 후상판과, 상기 후상판의 일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일 체로 결합되어 내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후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후면 커버와; 상기 제본물의 책등 두께를 포함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의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가 양측 테두리에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상판과, 상기 연결상판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링 제본물의 링이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본물 결속후크가 다수개 형성된 연결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연결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면 커버와 연결 커버는 각각 독립적 개체로서 꺽음부와 연결부의 연결공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고, 상기 일직선상의 연결공을 관통하는 철심에 의해 일체로 연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면 커버의 전상판과 전하판은 1㎜의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후면 커버의 후상판과 후하판은 1㎜의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데, 상기 수납공간은 일면에 돌출된 수납돌기벽이 연결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수납돌기벽은 1㎜의 높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의 전상판과 후면 커버의 후상판은, 상기 링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테두리가 절곡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벽에 의해 감싸져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과, 상기 연결 커버의 연결부가 끼워져 위치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며 연결공이 관통되어 상기 본체의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꺽음부는 90°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의 후상판은 일측에 끈 또는 고무줄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관통된 2개의 통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끈 또는 고무줄을 이용하여 휴대시 커버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의 전하판과 후면 커버의 후하판은, 상기 링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판체와, 상기 판체의 일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끼움돌기와, 상기 판체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 수납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 커버의 연결상판은, 일자의 판형상으로 내측에 다수개의 걸리돌기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돌출되어 연결하판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커버의 연결하판은, 연결상판에 끼워질 수 있는 일자의 판형상으로 양측 테두리에 다수개의 걸리돌기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직립되게 돌출되어 상호 대향되어 쌍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본물 걸림후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본물 걸림후크는 단부에 꺽쇠형상의 절곡된 돌부를 가지는 것으로, 이웃하는 걸림후크의 돌부와 돌부 사이에 링 제본물의 링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에 의하면,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그리고 연결 커버가 각각 독립적인 개체로 구분되어 조립된 구조로 외관품질이 우수하고 강성 재질의 커버에 의해 튼튼하면서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링 제본물의 두께에 따라 연결 커버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는 이중구조로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되면서 수납공간을 가져 영수증, 메모지와 같은 종이를 따로 모을 수 있어 공간 활용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링 제본물이 결합되는 부분은 지지판과 결속후크로 이루어져 상기 링 제본물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제거 또한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종이 또는 기타 가죽류로 이루어지던 커버를 강성 재질의 금속판과 플라스틱 구조물로 제작하여 재질이 주는 느낌 및 내구성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는, 내부에 링 제본물(도 8, 7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의 조립·결합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 사이에 상기 제본물의 책등(세네카) 두께를 포함할 수 있는 폭과 상기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연결 커버(4)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커버(4)를 관절로 이용하여 상기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의 좌·우 접힘이 용이하도록 서로 연 결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링 제본물은 상기 연결 커버(4)의 일측에 서로 대향되게 쌍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본물 결속후크(61)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상기 바인더 커버(1)와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링 제본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는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 및 연결 커버(4)가 각각 독립적인 개체로 구분되게 형성되어 조립되는데, 상기 전면 커버(2)와 연결 커버(4), 그리고 상기 후면 커버(3)와 연결 커버(4)는 이들의 측부에 형성된 연결공(6)을 관통하는 철심(5)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전면 커버(2)는 연결 커버(4)와 결합되는 부위에 절곡되게 꺽어진 꺽음부(13)를 형성하는데, 상기 꺽음부(13)는 바람직하게 90°의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철심(5)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연결공(6)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공(6)은 상기 전면 커버(2)의 측부를 관통하는 구멍이며, 상기 꺽음부(13)는 이웃하는 꺽음부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링 바인더 커버(1)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전면 커버(2)의 꺽음부(13)는 연결 커버(4)의 연결부와 서로의 연결공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교차적으로 위치되어 끼워지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3)도 상기 전면 커버(2)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동 일 구조를 가지는 바, 상기 연결 커버(4)와 결합되는 부위에 절곡되어 꺽어진 꺽음부(33)를 형성하며, 상기 꺽음부(33)는 바람직하게 90°의 각도로 꺽어져 형성되며 일측에 철심(5)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연결공(6)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철심(5)에 의해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연결 커버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결합된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는 상기 연결 커버(4)가 형성하는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의 공간 간격(a)에 해당하는 만큼 세네카(책등) 부분을 가지며, 링 제본물은 상기 연결 커버(4)의 제본물 결속후크(61)에 링이 결착되면서 착탈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외부에서 보여지는 상기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 및 연결 커버(4)는 금속판과 같은 강성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강성 재질이 주는 느낌에 의해 튼튼한 느낌과 외관 품질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강하고 정확한 형상을 가지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를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는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의 전·후면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의 연결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는 각각 독립된 개체인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 및 연결 커버(4)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측부를 관통하는 철심(5)에 의해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가 열려 젖혀질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 커버(2)는 전상판(10)과 전하판(20)의 이중구조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상판(10)과 전하판(20)은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21)와 이에 대응되는 홈(12)의 결합으로 일체형으로 끼워지며, 그 사이 간격에 의해 메모지 등이 끼워질 수 있는 내부 수납공간(A)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상판(10)은, 링 제본물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크기,즉 폭과 길이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일측에 연결공(14)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13)가 이웃하는 꺽음부(13)와 서로 일정 간격(c)을 가지면서 절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하판(20)은, 상기 전상판(10)의 일면에 간격을 가지면서 끼워져 일체로 결합되고, 그 사이 공간에는 수납공간(A)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전면 커버(2)의 전상판(10)은 링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테두리 부분이 완곡하게 내면측으로 절곡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내면에 돌출된 돌기벽에 의해 감싸져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12)과, 연결공(14)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커버(4)의 연결부(51)가 끼워져 위치될 수 있는 간격(c)을 가지며 상기 본체(11)의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홈(12)은 본체(11)의 테두리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된 면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된 테두리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벽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단일 끼움홈(12)을 형성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홈(12)은 돌기벽에 의해 상기 본체(11)의 상·하·좌·우 단부측에 하나씩 끼움홈(12a, 12b, 12c, 12d)을 형성하고, 내부 일측에 끼움홈(12e)을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는 일면에 돌출된 돌기벽들에 의해 감싸진 수납공간(A)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일부는 연결되는 돌기벽과 함께 상기 끼움홈(12)을 형성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하·좌·우의 수납돌기벽(15a, 15b, 15c, 15d)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돌기벽(15a, 15b, 15c, 15d)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공간이 메모지 등이 끼워질 수 있는 수납공간(A)이 된다.
이때, 상기 수납돌기벽은 0.5∼2㎜의 높이를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1㎜의 높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끼움홈(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하판(20)의 끼움돌기(21)가 상기 끼움홈(12)에 끼워지면서 상기 전면 커버(2)를 구성하는 전상판(10)과 전하판(20)이 결합되는데, 상기 수납돌기벽(15)의 높이만큼 상기 전상판(10)과 전하판(20)은 간격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납공간(A)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상판(10)의 꺽음부(13)는 상기 본체(11)의 테두리 일측 측부에 90°의 각도로 절곡되게 꺽어져 돌출된 것으로,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공(14)이 형성되고, 연결 커버(4)의 연결부(51) 길이와 동일한 간격(c)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꺽음부(13)의 연결공(14)은 이에 끼워지는 철 심(5)이 관통될 수 있도록 이웃하는 꺽음부(13)의 연결공(14)과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2)의 전하판(20)은, 상기 링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판체(23)와, 상기 판체의 일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끼움돌기(21)와, 상기 판체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 수납공(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전하판(20)의 끼움돌기(21)는 전면 커버(2)의 전상판(10)의 끼움홈(12)과 대응되는 수와 위치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판체(23)의 전·후·좌·우 단부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21a, 21b, 21c, 21d)와 중간에 형성되는 끼움돌기(21e)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21)는 전상판(10)의 끼움홈(12)에 꽉차게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이와 같은 끼움홈(12)과 끼움돌기(21)의 결합에 의해 전면 커버(2)는 사이에 수납공간(A)이 형성되는 전상판(10)과 전하판(20)의 이중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전하판(20)은 그 구조상 상기 전상판(10)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하판(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납공(22)은 상기 전면 커버(2)의 수납공간(A)과 연통되는 것으로, 영수증 또는 다른 메모 종이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의 사용시, 사용자는 전면 커버(2)를 젖히고 상기 수납공(22)을 통해 영수증 또는 메모지를 수납공간(A)에 끼워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A)의 간격이 0.5㎜ 미만일 경우, 공간이 적기 때문에 영수증 또는 메모 종이를 수납하기가 어려우며, 2㎜ 초과일 경우 수납공간(A)에 의해 바인더 커버(1)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외관상 좋지 않다.
이에 따라, 상기 전상판(10)과 전하판(20)은 0.5∼2㎜의 간격을 가져 수납공간(A)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1㎜의 간격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전상판(10)과 전하판(20)은 동일한 강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전상판(10)은 외부 품질을 고려하여 금속판을 이용하고, 전하판(20)은 상기 전상판(10)의 일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의 경질의 플라스틱판을 이용한다.
재차,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의 후면 커버(3)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후면 커버(3)는 상기에 기술한 전면 커버(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링 제본물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전면 커버(2)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데, 후상판(30)과 후하판(40)의 이중구조로 구성되며, 돌기(41)와 이에 대응되는 홈(32)의 결합으로 일체형으로 끼워져 결합되면서 그 사이 간격에 의해 메모지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A)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후상판(30)은, 링 제본물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크기, 즉 길이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일측에 연결공(34)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33)가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절곡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후하판(40)은, 상기 후상판(30)의 일면에 간격을 가지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그 사이에 수납공간(A)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후면 커버(3)의 후상판(30)은 링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테두리 부분이 완곡하게 내면측으로 절곡된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내면에 돌출된 돌기벽에 의해 감싸져 형성되는 다수개의 끼움홈(32)과, 연결공(34)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커버(4)의 연결부(51)가 끼워져 위치될 수 있는 간격(c)을 가지며 상기 본체(31)의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32)은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 커버(2)의 끼움홈(12)과 동일한 형상과 위치를 가지며 형성되는데, 일면에 돌출된 돌기벽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 끼움홈(32)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31)의 상·하·좌·우 단부측에 하나씩 끼움홈(32a, 32b, 32c, 32d)을 형성하고, 내부 일측에 끼움홈(32e)을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31)의 내면에는 돌출된 돌기벽들에 의해 감싸진 수납공간(A)이 형성되는데, 상·하·좌·우의 수납돌기벽(35a, 35b, 35c, 35d)에 의해 메모지 등이 끼워질 수 있는 상기 수납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후하판(40)의 끼움돌기(41)가 상기 끼움홈(32)에 끼워져 후상판(30)과 후하판(40)이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돌기벽(35)의 높이만큼 간격을 가져 수납공간(A)을 이룬다.
이때, 상기 수납돌기벽은 0.5∼2㎜의 높이를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1㎜의 높이를 가진다.
한편, 상기 후상판(30)의 꺽음부(33)는 상기 본체(31)의 테두리 일측 측부에 90°의 각도로 절곡되게 꺽어져 돌출된다.
더불어, 상기 후상판(30)은 일측에 본체(31)를 관통하는 통공(3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36)은 바람직하게 2개가 서로 근접하게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통공(36)에 끈 또는 고무줄을 걸어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끈 또는 고무줄을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의 닫혀진 상태의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에 감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는 휴대한 상태에서 외부의 흔들림에도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 커버(3)의 후하판(40)은 전하판(20)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링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판체(43)와, 상기 판체의 일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끼움돌기(41)와, 상기 판체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 수납공(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판체(43)의 전·후·좌·우 단부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41a, 41b, 41c, 41d)와 중간에 형성되는 끼움돌기(41e)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하판(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납공(42)은 상기 후면 커버(3)의 수납공간(A)과 연통되는 것으로, 영수증 또는 다른 메모 종이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의 사용시, 사용자는 상기 수납공(42)을 통해 영수증 또는 메모지를 수납공간(A)에 끼워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A)의 간격이 0.5㎜ 미만일 경우, 공간이 적기 때문에 영수증 또는 메모 종이를 수납하기가 어려우며, 2㎜ 초과일 경우 수납공간(A)에 의해 바인더 커버(1)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외관상 좋지 않다.
이에 따라, 상기 후상판(30)과 후하판(40)은 0.5∼2㎜의 간격을 가져 수납공간(A)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후상판(30)과 후하판(40)은 1㎜의 간격을 가져 수납공간(A)을 형성한다.
삭제
이어서, 도 4와 도 6을 참고하여 연결 커버(4)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커버(4)는 전면 커버(2) 및 후면 커버(3)와 철심(5)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조립되는 연결상판(50)과, 상기 연결상판에 끼워지고 링 제본물이 고정되는 연결하판(60)의 이중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상판(50)은, 링 제본물의 책등(세네카) 두께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일측에 연결공(52)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51)가 이웃하는 연결부와 서로 간격(d)을 가지면서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하판(60)은, 상기 연결상판(5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링 제본물의 링이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본물 결속후크(61)가 일면에 다수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연결상판(50)은, 링 제본물의 책등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테두리가 절곡된 일자형태의 판형상으로, 링 제본물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는 길이와 제본물의 책등 두께를 포함할 수 있는 폭(a')을 가지며 내측에 다수개의 걸리돌기홈(53)이 형성된 본체(54)와, 상기 본체(54)의 양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연결공(52)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5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4)의 내측에는 연결하판(60)이 안정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이와 접면하여 지지하는 받침부(5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1)는 이웃하는 연결부(51)와 일정한 간격(d)을 가지고 형성되는데, 상기 간격(d)은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의 꺽음부(13, 33) 길이와 동일한 것으로 상기 간격(d)이 형성하는 공간에 꺽음부(13, 33)가 양측에 끼워져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꺽음부(13, 33)와 연결부(51)는 서로 교차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1)에 형성된 연결공(52)과 꺽음부(13, 33)에 형성된 연결 공(14, 34)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공(6)을 관통하면서 철심(5)이 끼워져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 그리고 연결 커버(4)는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철심(5)에 의해 연결된 연결부(51)와 꺽음부(13, 33)는 관절의 역할을 하여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가 열고 닫힐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연결하판(60)은 상기 연결상판(50)의 본체(54)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일자 형상의 지지판(62)과, 상기 지지판(62)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호 대향되게 쌍을 이루는 제본물 걸림후크(6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62)의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연결상판(50)의 걸리돌기홈(53)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돌출된 다수개의 걸리돌기(6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리돌기(63)가 상기 걸리돌기홈(53)에 끼워지면서 연결하판(60)은 연결상판(50)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이중구조의 연결 커버(4)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본물 걸림후크(61)는 지지판(63)의 일면에 직립되게 돌출된 것으로, 상호 대향되어 쌍을 이루는데 지지판(63)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후크(61)는 단부에 꺽쇠형상으로 절곡된 돌부(61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돌부(61a)와 이웃하는 걸림후크(61)의 돌부(61a) 사이의 간격은 링 제본물의 링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여 상기 링이 상기 걸림후크(61)의 돌부와 돌부에 걸리면서 링 제본물은 커버(1)와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도 7(a)(b)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에 링 제본물을 결 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를 구성하는 전면 커버(2), 후면 커버(3) 및 연결 커버(4)의 결합구조와 그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는, 전상판과 전하판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 전면 커버(2)와, 후상판과 후하판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 후면 커버(3)와, 연결 상판과 연결 하판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 연결 커버(4)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이웃하는 상기 전면 커버(2)의 꺽음부(13)와 꺽음부, 이웃하는 상기 후면 커버(3)의 꺽음부(33)와 꺽음부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후면 커버(4)의 연결부(51)는 이들을 관통하는 연결공(6)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위치되며 이를 통과하는 철심(5)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는 상기 연결 커버(4)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열고 닫을 수 있는 회동 운동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는 이중 구조를 가지는 바, 상판과 하판 구조에 의해 내부 수납공간(A)을 형성하는데,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 커버(3)는 후상판(30)과 후하판(40)이 간격(b)을 가지며 결합되고, 상기 간격(b)에 해당되는 공간상에 수납공(42)과 연통되는 수납공간(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공(42)을 통해 영수증 또는 메모지를 상기 수납공간(A)에 끼워 따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커버(2) 또한 이중구조에 의해 수납공(22)과 연통되는 수납 공간(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3)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36)은 후면 커버(3)의 후상판상에 이를 관통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통공(36)에 끈 도는 고무줄을 걸어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를 휴대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커버(4)는 연결 상판(5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된 연결 하판(60)에 형성된 제본물 걸림후크(61)를 포함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출력된 다수개의 종이 묶음 또는 다이어리 속지 등의 링 제본물(70)의 링(71)은 상기 걸림후크(61)에 걸려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1)는 각각 독립된 개체의 전면 커버(2)와 후면 커버(3) 및 연결 커버(4)를 철심(5)을 이용해 조립 연결하면서 내부에 수납공간(A)을 가져 그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걸림후크에 의한 링 제본물(70)의 결합에 의해 제본물의 착탈이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의 전·후면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의 연결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b)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에 링 제본물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2 : 상부 커버 3 : 하부 커버
4 : 연결 커버 5 : 철심
6 : 연결공 10 : 상상판
20 : 상하판 30 : 하상판
40 : 하하판 50 : 연결상판
60 : 연결하판

Claims (10)

  1. 링 제본물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감싸는 바인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가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테두리 일측에 절곡되게 형성된 전상판과, 상기 전상판의 일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의 전상판과 동일한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가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테두리 일측에 절곡되게 형성된 후상판과, 상기 후상판의 일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후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후면 커버와;
    상기 제본물의 책등 두께를 포함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의 판형상으로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가 양측 테두리에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상판과, 상기 연결상판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링 제본물의 링이 걸려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본물 결속후크가 다수개 형성된 연결하판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연결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면 커버와 연결 커버는 각각 독립적 개체로서 꺽음부와 연결부의 연결공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고, 상기 일직선상의 연결공을 관통하는 철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전상판과 전하판은 0.5∼2㎜의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후면 커버의 후상판과 후하판은 0.5∼2㎜의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일면에 돌출된 수납돌기벽이 연결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수납돌기벽은 0.5∼2㎜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전상판과 후면 커버의 후상판은,
    상기 링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테두리가 절곡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벽에 의해 감싸져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과, 상기 연결 커버의 연결부가 끼워져 위치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며 연결공이 관통되어 상기 본체의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꺽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꺽음부는 90°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 물 바인더 커버.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의 후상판은 일측에 끈 또는 고무줄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관통된 2개의 통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전하판과 후면 커버의 후하판은,
    상기 링 제본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판체와, 상기 판체의 일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끼움돌기와, 상기 판체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 수납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버의 연결상판은, 일자의 판형상으로 내측에 다수개의 걸리돌기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돌출되어 연결하판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버의 연결하판은, 연결상판에 끼워질 수 있는 일자의 판형상으로 양측 테두리에 다수개의 걸리돌기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직립되게 돌출되어 상호 대향되어 쌍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본물 걸림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본물 걸림후크는 단부에 꺽쇠형상의 절곡된 돌부를 가지는 것으로, 이웃하는 걸림후크의 돌부와 돌부 사이에 링 제본물의 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KR2020070017278U 2007-10-25 2007-10-25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KR200439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78U KR200439754Y1 (ko) 2007-10-25 2007-10-25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78U KR200439754Y1 (ko) 2007-10-25 2007-10-25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754Y1 true KR200439754Y1 (ko) 2008-05-02

Family

ID=4164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278U KR200439754Y1 (ko) 2007-10-25 2007-10-25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7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891B1 (ko) * 2008-07-30 2010-12-21 변종국 다이어리
KR102507558B1 (ko) * 2022-08-10 2023-03-09 주식회사 넥스페이스 촉각인식 입체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891B1 (ko) * 2008-07-30 2010-12-21 변종국 다이어리
KR102507558B1 (ko) * 2022-08-10 2023-03-09 주식회사 넥스페이스 촉각인식 입체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1026B2 (ja) 文具品のための詰め替え品、および当該詰め替え品を備えた文具品
US7665924B2 (en) Back plate and file cover for ring binder
JP2014520014A5 (ko)
AU2020294794A1 (en) Modular notebook system
KR200439754Y1 (ko)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US6607215B2 (en) Scrapbook
US20070158936A1 (en) Book tag
KR100581537B1 (ko) 앨범
KR20080104654A (ko) 앨범
KR20080051718A (ko) 표지 겸용 지지대 구조체
US20100201113A1 (en) Multipurpose cover supporter
US6926306B2 (en) Report cover with improved bind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57426Y1 (ko) 책자 수납 앨범
KR20090122601A (ko) 눈보호 커버지지대
KR100951722B1 (ko) 링 바인더
JP5622503B2 (ja) 集冊ファイル用別冊、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表紙部及び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綴じ込み方法
KR200408513Y1 (ko) 앨범첩이 부착된 노트
JP3083742U (ja) スケッチブック等のノート型ファイル
JP3065984U (ja) 書類ホルダ―
KR20100005478U (ko) 분책 착탈형 책
US20040164541A1 (en) Binding assembly
KR101390997B1 (ko) 다용도 바인더
KR200396931Y1 (ko) 바인더형 방명록
WO2014130389A1 (en) Binding system using two binding pieces
AU2011100710A4 (en) Custom-Build Notebooks Pres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