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848B1 - 다이어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다이어리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848B1
KR100760848B1 KR1020060043777A KR20060043777A KR100760848B1 KR 100760848 B1 KR100760848 B1 KR 100760848B1 KR 1020060043777 A KR1020060043777 A KR 1020060043777A KR 20060043777 A KR20060043777 A KR 20060043777A KR 100760848 B1 KR100760848 B1 KR 10076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iary
support member
inla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007A (ko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조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0136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608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102006004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848B1/ko
Publication of KR2007001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6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means for attaching the filing appliance to th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4Attachment means of ring, finger or claw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어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이 묶여진 속지를, 스프링으로써 겉표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에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겉표지 내부 정중앙 영역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적정 길이와 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 하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양측으로 상기 스프링이 걸리게 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로 이루어진 스프링삽입홈을 갖는 다수의 지지돌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겉표지의 정중앙 영역에 지지부재를 고정시킨 다음, 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돌출부의 스프링조립공을 통하여 속지가 결합된 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직접 끼워 다이어리를 조립하게 됨에 따라 조립이 간편하게 되었으며, 또한 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조립공을 구성하는 결합부가 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됨에 따라 결합부 양측의 걸림단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스프링의 결합된 후, 수정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다이어리, 조립, 속지, 겉표지

Description

다이어리 조립구조{a diary assemble structure}
도 1은 종래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어리 20 : 속지
30 : 스프링 40 : 지지부재
42 : 고정판 44 : 스프링삽입홈
44a : 요입부 44b : 결합부
44b-1 : 걸림단 45 : 지지돌출부
47 : 책갈피 끼움공 60 : 걸림편
70 : 걸림돌부
본 발명은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어리의 겉표지 정중앙 영역에 폭방향으로 지지부재를 고정시키고, 이 지지부재에 형성된 스프링삽입홈에, 속지에 삽입되어 묶여진 스프링을 간편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어리(a diary)는 연간 발생될 수 있는 일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및 기록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다이어리는 통상적으로 속지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스프링을 결합하고, 이 스프링을 겉표지의 중앙 영역에 폭방향으로 결합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다이어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다이어리 조립구조를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이어리(100)는 스프링(300)으로써 묶여진 속지(200)와; 스프링(300)이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판(400)과; 지지 판(400)이 고정되는 겉표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속지(200)는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210)이 형성되고, 구멍(210)에는 스프링(30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300)은 고리형의 스프링선(31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판(400)은 속지(2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게 되고, 상부에는 등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걸림편(41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편(410)은 상부에 상호 마주보게 다수의 걸림돌부(411)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부(411)는 스프링(300)의 스프링선(310) 삽입시 용이하게 미끄러져 삽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스프링(300)의 결합후 스프링선(3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편(410)과의 각도가 60~8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겉표지(500)는 지지판(400)이 내측 정중앙 영역에 상부로 돌출되게 삽입 고정되고, 속지(200)가 보호되는 커버로서, 그 재질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다이어리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속지(200)를 겊표지(500)에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속지(200)의 구멍(210)을 통하여 스프링(300)을 삽입시켜 속지(200)에 스프링(300)을 묶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겉표지(500)의 중앙 영역에 삽입되어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지지판(400) 상부의 걸림편(410) 상부에, 속지(200)가 묶여진 스프링(300)을 올려 놓게 되면, 스프링(300)의 스프링선(310)이 걸림편(410) 상부에 일체로 형성 된 걸림돌부(411) 상부의 하향 경사면에 일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속지(20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300)의 스프링선(310)이 걸림돌부(411)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지면서, 스프링선(310)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걸림편(140)과 걸림편(140) 사이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선(300) 자체의 복원력으로써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걸림편(14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걸림돌부(411)에 걸려져 결합이 유지된다.
*한편, 속지(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속지(200)에 묶여진 스프링선(310)을 손가락으로 잡은 후, 서로 밀착시켜 걸림편(140)과 걸림돌부(141)로부터 이탈시키면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이어리는, 지지판 상부의 걸림편과 걸림돌부가 이루는 각도가 60~80°로 유지됨에 따라 속지에 묶여진 스프링과 지지판의 결합 후, 작업자 실수로 속지의 오조립시, 수정 작업을 해야되는 데, 걸림편과 걸림돌부로부터 스프링을 이탈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이어리에 대한 조립이 간편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오조립시 수정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다이어리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는 스프링이 묶여진 속지를, 스프링으로써 겉표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에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겉표지 내부 정중앙 영역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적정 길이와 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 하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양측으로 상기 스프링이 걸리게 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로 이루어진 스프링삽입홈을 갖는 다수의 지지돌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구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1)는 스프링(30)으로써 묶여진 속지(20)와; 스프링(30)이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부재(40)와; 지지부재(40)가 고정되는 겉표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속지(20)는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22)이 형성되고, 구멍(22)에는 스프링(3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30)은 고리형의 스프링선(3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속지(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고, 겉표지(50) 내부 정중앙 영역에 고정되는 고정판(42)과; 고정판(42)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적정 길이와 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에 스프링삽입홈(44)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출부(45)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판(42) 중앙 영역에는 4개의 스프링삽입홈(44)이 형성된 지지돌출부(45)가 배치되고, 이 지지돌출부(45) 양단과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3개의 스프링삽입홈(44)이 형성된 지지돌출부(45)가 배치되며, 이 지지돌출부(45) 양단과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3개의 스프링삽입홈(44)이 형성된 지지돌출부(45)가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돌출부(45)의 일면에는 책갈피용 끈이 끼워져 고정되는 책갈피 끼움공(47)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삽입홈(44)은 스프링(30)의 스프링선(32)이 끼워지는 요입부(44a)와; 요입부(44a) 하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양측으로 스프링선(32)이 걸리게 되는 걸림단(44b-1)이 형성된 결합부(44b)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44b)는 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스프링선(32)의 결합 후, 스프링선(32)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스프링삽입홈(44)의 요입부(44a) 사이에는 스프링(30)의 끼움이 용이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겉표지(50)는 지지부재(40)가 내측 정중앙 영역에 고정되고, 속지(20) 가 보호되는 커버로서, 그 재질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부재(40)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판(42)의 상부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걸림편(6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걸림편(60)의 상부에는 일방향으로 걸림돌부(7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스프링(30)이 걸리게 된다.
이때, 걸림돌부(70)가 걸림편(60) 상부 일면에 원형을 유지하여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스프링(30)의 스프링선(32)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스프링선(32)의 결합 후, 스프링선(32)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스프링선(32) 결합시 원형의 걸림돌부(70)에 의해 스프링선(32)이 안내되어 쉽게 끼워지게 되고, 반대로 스프링선(32) 이탈시 쉽게 이탈되어 오조립에 대한 수정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1)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속지(20)의 구멍(22)에 스프링(30)을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속지(20)에 스프링(3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겉표지(50) 내측 정중앙 영역에 지지부재(40)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판(42)을 안착시킨 후, 지지부재(40)의 고정판(42)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출부(45)를 겉표지(50) 내측 중앙 영역으로 돌출되도록 끼워 고정시켜 고정판(42)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후에, 지지돌출부(45)의 스프링삽입홈(44)을 구성하고 있는 요입부(44a)에 상기한 스프링(30)의 스프링선(32)을 올려놓은 다음, 속지(2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선(32)이 요입부(44a)를 통과하면서 자체 탄성력으로써 스프링선(32)이 오므러들게 되고, 결합부(44b)내부로 유입되면서 복원력으로써 원래위치로 복귀되어, 결합부(44b)의 걸림단(44b-1)에 걸리면서 스프링선(32)이 결합되어 속지(20)가 결합됨으로써 다이어리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스프링삽입홈(44)의 요입부(44a) 사이가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30)의 끼움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돌출부(45) 일면의 책갈피 끼움공(47)에는 책갈피를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속지(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속지(20)를 가볍게 파지하고서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스프링선(32)이 결합부(44b)의 걸림단(44b-1)로부터 탄력적으로 이탈되어 분리됨으로써 수정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내용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지지부재(40)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판(42)의 상부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걸림편(6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걸림편(60)의 상부에는 일방향으로 걸림돌부(7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스프링(30)이 걸리게 된다.
즉, 고정판(42)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편(60)의 걸림돌부(70)에 속지(20)가 결합되어 묶여진 스프링(30)의 스프링선(32)을 결합시키면, 스프링선(32)이 원형의 걸림돌부(6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결합편(60)과 걸림돌부(70) 사이에 스프링(30)이 걸려지게 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속지(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속지(20)를 가볍게 파지하고서 상방으 로 당기게 되면, 스프링선(30)이 걸림편(60)의 걸림돌부(70)로부터 쉽게 분리됨으로써 수정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겉표지의 내부 정중앙 영역에 지지부재를 고정시킨 다음, 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돌출부의 스프링삽입홈을 통하여 속지가 결합된 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직접 끼워 다이어리를 조립하게 됨에 따라 조립이 간편하게 되었으며, 또한 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삽입홈을 구성하는 결합부가 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됨에 따라 결합부 양측의 걸림단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스프링의 결합된 후, 수정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판의 상부에 다른 타입, 즉 상부에 원형의 걸림돌부를 갖는 다수의 걸림편을 형성하여 속지에 결합된 스프링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발명은 다이어리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노트 및 바인더 등의 사무용구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Claims (6)

  1. 스프링이 묶여진 속지를, 스프링으로써 겉표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50)에 상기 스프링(30)이 결합되는 지지부재(40)를 고정시키되,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겉표지(50) 내부 정중앙 영역에 고정되는 고정판(42);
    상기 고정판(42)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적정 길이와 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30)이 끼워지는 요입부(44a)와, 상기 요입부(44a) 하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양측으로 상기 스프링(30)이 걸리게 되는 걸림단(44b-1)이 형성된 원형의 결합부(44b)로 이루어진 스프링삽입홈(44)을 갖는 다수의 지지돌출부(4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삽입홈(44)의 요입부(44a) 사이가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부(45)는 일면에는 책갈피 끼움공(4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의 고정판(42) 상부에는 등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걸림편(6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60)의 상부에는 일방향으로 원형을 유지하여 걸림돌부(7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구조.
  6. 삭제
KR1020060043777A 2006-05-16 2006-05-16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076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777A KR100760848B1 (ko) 2006-05-16 2006-05-16 다이어리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777A KR100760848B1 (ko) 2006-05-16 2006-05-16 다이어리 조립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706U Division KR200398495Y1 (ko) 2005-07-26 2005-07-26 다이어리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007A KR20070014007A (ko) 2007-01-31
KR100760848B1 true KR100760848B1 (ko) 2007-09-21

Family

ID=3801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777A KR100760848B1 (ko) 2006-05-16 2006-05-16 다이어리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31B1 (ko) 2008-11-17 2010-10-20 조문권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41Y1 (ko) * 2008-06-04 2009-07-02 유명자 책자용 스프링 홀더
KR101009377B1 (ko) * 2009-03-06 2011-01-19 조영철 다이어리 바인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025Y1 (ko) * 2005-03-23 2005-06-07 추봉식 다이어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025Y1 (ko) * 2005-03-23 2005-06-07 추봉식 다이어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31B1 (ko) 2008-11-17 2010-10-20 조문권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007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078B2 (en) Cord stopper
US20090106952A1 (en) Zipper head
CN105840604A (zh) 可扣接及防震的柱体结构
KR100760848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US7990698B2 (en) Portable extension memory storage device
KR200398495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JP5816417B2 (ja) アクセサリ用クラスプ
KR101684606B1 (ko)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6159913A (ja) ファイル・バインダ
US20080098574A1 (en) Cord Lock
US8545122B2 (en) Binding device
US20070082541A1 (en) Clip for flat flexible cable
JP2017080373A (ja) 陳列棚の組付構造及びその構成部材
JP5499061B2 (ja) シート状物押え具
JP4809895B2 (ja) ファイル・バインダ用綴じ具
KR101711569B1 (ko) 슬라이드 개폐식 링 바인더
KR200464955Y1 (ko) 펜던트 모듈
KR100945897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US20180354744A1 (en) Line fixing device
KR20090013400A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JP4077816B2 (ja) ノイズ吸収装置
JP4650088B2 (ja) バインダー
JP6858094B2 (ja) クランプ及びクランプ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191891B1 (ko) 이탈 방지용 클립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JP5497854B2 (ja) 装身具用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120

Effective date: 200909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