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895Y1 -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895Y1
KR200347895Y1 KR20-2004-0001108U KR20040001108U KR200347895Y1 KR 200347895 Y1 KR200347895 Y1 KR 200347895Y1 KR 20040001108 U KR20040001108 U KR 20040001108U KR 200347895 Y1 KR200347895 Y1 KR 200347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ion ring
inlay
hole
book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한영
Original Assignee
송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한영 filed Critical 송한영
Priority to KR20-2004-0001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 B42F13/2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and locked when so engaged, e.g. snap-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8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taggered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2Fasteners; Closure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가를 크게 절감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전면 패널;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며, 상기 전면 패널과 함께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연결되는 형상인 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 및/또는 후면 패널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연결링부와 패널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부품 개수의 감소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하고, 연결링부의 속지 관통구에 삽입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본기 없이 수작업도 가능함에 따라 제본 비용 및 제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속지의 보충이나 교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Binding assembly having a one body type binding ring}
본 고안은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가를 크게 절감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 조립체(도면에서는 탁상 카렌더를 예시함)는, 속지(1) 넘김이나 속지(1)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링(2)(흔히, 링, 와이어, 스프링, 스트립 등으로 불려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종래의 제본 조립체는, 크게 속지(1)와, 전면 패널(3)과, 후면 패널(4) 및 연결링(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속지(1)는,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1a)가 형성되어 다수 장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3)은, 역시 일측에 관통구(3a)가 형성되고, 상기 속지(1)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어서 상기 속지(1)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 패널(4)은, 역시 일측에 관통구(4a)가 형성되고, 넘겨진 상기 속지(1)의 후면 또는 전면을 덮어서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 예시된 탁상 카렌더의 경우에는 상기 전면 패널(3)과 후면 패널(4)이 서로 연결되어 탁상에 세워 놀 수 있게 되어 있는 구조이다.
특히, 종래의 연결링(2)은, 상기 속지(1) 넘김과 속지(1)의 보충 및 교환이가능하도록 속지(1)의 관통구(1a)와, 전면 패널(3)의 관통구(3a) 및 후면 패널(4)의 관통구(4a)를 동시에 관통하여 속지(1)들과 전면 패널(3) 및 후면 패널(4)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링(2)은 도면에 도시된 일반적인 나선형 스프링부터 두 줄 스프링이나 엇물림 스프링 등 매우 다양한 형태 및 종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종래의 연결링(2)은, 상기 전면 패널(3)이나 후면 패널(4)과는 전혀 별개의 부품으로서, 상기 속지(1)와 전면 패널(3) 및 후면 패널(4)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구(1a)(3a)(4a)에 모두 동시 관통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별도 연결링(2)과 별도 전면 패널(3) 및 후면 패널(4)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상기 연결링(2)과 전면 패널(3) 및 후면 패널(4)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전면 패널(3)과, 후면 패널(4) 및 연결링(2)을 모두 별도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증대로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이 증대되고, 상기 연결링(2)을 속지(1)와, 전면 패널(3) 및 후면 패널(4)의 관통구(1a)(3a)(4a)에 삽입하는 제본 과정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여 수작업이 불가능함에 따라 별도로 제작된 스프링(연결링) 제본기(Binder, 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제본 비용 및 제본 시간이 증대되며, 이렇게 제본기에 의해 제본된 스프링(연결링)은 한번 제본되면 다시 풀리지 않기 때문에 속지의 보충이나 교환이 수작업으로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연결링부와 패널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부품 개수의 감소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하고, 연결링부의 속지 관통구에 삽입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본기 없이 수작업도 가능함에 따라 제본 비용 및 제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속지의 보충이나 교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본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일례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전면 패널;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며, 상기 전면 패널과 함께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연결되는 형상인 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 및/또는 후면 패널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 일단부와, 상기 후면 패널의 내측 일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일단부 형성되는 전면 패널측 연결링부와, 상기 후면 패널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후면 패널측 연결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패널측 연결링부의 일단부와, 상기 후면 패널측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각각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상기 후면 패널의 관통구 통과가 용이하도록 절곡 가능한 형상의 양측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날개부에는 상기 후면 패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일체형 패널; 및 상기 일체형 패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패널은 일자형 판형상이고,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일체형 패널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연결링부와, 상기 일체형 패널의 상단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 연결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연결링부의 일단부와, 상기 후면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각각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패널은 일자형 판형상이고,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일체형 패널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의 일단부가 상기 일체형 패널의 관통구에 관통되어 관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관통구를 기준으로 관통구 전방 돌기와 관통구 후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체형 패널은 양측이 접철가능한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속지가 좌우방향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일체형 패널의 중심부에 세로로 형성되는 돌출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의 일단부는 상기 돌출판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 조립체로서, 크게 속지(100)와, 전면 패널(300)과, 후면 패널(400) 및 연결링부(300a)(4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속지(100)는,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100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부(300a)(400a)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300) 및 후면 패널(400)을 기준으로 넘겨질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300)은, 상기 속지(100)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100)를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후면 패널(400) 역시, 상기 속지(100)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1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전면 패널(300)과 함께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300)과 연결되는 형상이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링부(300a)(400a)는, 상기 전면 패널(300) 및/또는 후면 패널(400)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속지(100) 넘김과 속지(100)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구성이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상기 전면 패널(300)의 내측 일단부와, 상기 후면 패널(400)의 내측 일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301) 및 억지물림홈(40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부(300a)(400a)는, 상기 전면 패널(300)의 일단부 형성되는 전면 패널측 연결링부(300a)와, 상기 후면 패널(4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후면 패널측 연결링부(400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패널측 연결링부(300a)의 일단부와, 상기 후면 패널측 연결링부(400a)의 일단부에 각각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302) 및 억지물림홈(40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속지(100)의 넘김이 자유롭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300)과 후면 패널(400) 및 상기 전면 패널측 연결링부(300a)와 상기 후면 패널측 연결링부(400a)를 서로 분해하여 상기 속지(100)의 교체 및 보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전면 패널(300)과, 후면 패널(400) 및 연결링부(300a)(400a)는, 상기 연결링부(300a)(400a)의 오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코팅)종이나 합성수지류(고무, PP, PE, PVC 등) 등 서로 동일한 재질로 사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서로 동일한 재질의 사출 제작 이외에도 서로 별도 제작된 후, 접착제나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일체형으로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상기 연결링부가 상기 전면 패널(300)이나 후면 패널(400) 중 어느 한 쪽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링부(300a)는, 상기 전면 패널(30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부(300a)의 일단부에 상기 후면 패널(400)의 관통구(400b) 통과가 용이하도록 절곡 가능한 형상의 양측 날개부(300b)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양측 날개부(300b)에는 상기 후면 패널(4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00c)와 대응하는 고정홈(300c)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양측 날개부(300b)를 상기 관통구(400b)에 통과시킨 후, 상기 양측 날개부(300b)의 고정홈(300c)에 상기 후면 패널(400)의 고정돌기(400c)를 억지삽입하여 매우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일종의 상기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을 통합시킨 일체형 패널을 갖는 것으로서, 크게 속지(100)와, 일체형 패널(500) 및 연결링부(500a)(5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속지(100)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100a)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일체형 패널(500)은, 상기 속지(100)를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연결링부(500a)(500b)는, 상기 일체형 패널(5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100) 넘김과 속지(100)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500a)(500b)인 것으로서,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패널(500)은 일자형 판형상이고, 상기 연결링부(500a)(500b)는, 상기 일체형 패널(500)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연결링부(500a)와, 상기 일체형 패널(500)의 상단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 연결링부(5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연결링부(500a)의 일단부와, 상기 후면 연결링부(500b)의 일단부에 각각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501) 및 억지물림홈(502)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속지(100)의 넘김이 자유롭고, 해체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 연결링부(500a)와 상기 후면 연결링부(500b)를 서로 분해하여 상기 속지(100)의 교체 및 보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상기 연결링부가 상기 일체형 패널(500)의 전면이나 후면 중 어느 한 쪽면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패널(500)은 일자형 판형상이고, 상기 연결링부(500c)는, 상기 일체형 패널(500)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500c)의 일단부가 상기 일체형 패널(500)의 관통구(500d)에 관통되어 관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링부(500c)의 일단부에 관통구(500d)를 기준으로 관통구 전방 돌기(500e)와, 상기 관통구 전방 돌기(500e)와 반대되는 방향의 관통구 후방 돌기(500f)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링부(500c)의 관통구 전방 돌기(500e)를 상기 관통구(500d)에 통과시킨 후, 상기 관통구 후방 돌기(500f)와 함께 고정시켜서 매우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관통구 전방 돌기(500e)와 관통구 후방 돌기(500f)의 설치 방향이 서로 반대되기 때문에 상기 관통구 전방 돌기(500e) 및 관통구 후방 돌기(500f)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 즉 연결링부(500c)의 일단을 비틀어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주면 매우 쉽게 연결링부(500c)의 개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상술된 속지(100)를 상하방향으로 넘기는 방식의 수직식 제본 조립체 이외에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지(100)를 좌우방향으로 넘기는 방식의 수평식 제본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일체형 패널(500)은 양측이 접철가능한 좌측 패널(600) 및 우측 패널(700)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부(504)는, 상기 속지(100)가 좌우방향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일체형 패널(500)의 중심부에 세로로 형성되는 돌출판(503)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링부(504)의 일단부는 상기 돌출판(503)에 형성된 관통구(503a)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링부(504)를 개방하여 속지를 교환 및 보충할 수있고, 상기 연결링부(504)를 상기 돌출판(503)에 형성된 관통구(503a)에 삽입시켜서 상기 속지(100)의 넘김 및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술된 억지물림홈과 억지물림돌기와, 고정돌기와 고정홈 및 관통구의 형상 등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전면 패널, 후면 패널 및 일체형 패널 역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에 의하면,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연결링부와 패널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부품 개수의 감소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하고, 연결링부의 속지 관통구에 삽입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본기 없이 수작업도 가능함에 따라 제본 비용 및 제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속지의 보충이나 교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7)

  1.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전면 패널;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며, 상기 전면 패널과 함께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연결되는 형상인 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 및/또는 후면 패널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 일단부와, 상기 후면 패널의 내측 일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일단부 형성되는 전면 패널측 연결링부와, 상기 후면 패널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후면 패널측 연결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패널측 연결링부의 일단부와, 상기 후면 패널측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각각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상기 후면 패널의 관통구 통과가 용이하도록 절곡 가능한 형상의 양측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날개부에는 상기 후면 패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4.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일체형 패널; 및
    상기 일체형 패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패널은 일자형 판형상이고,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일체형 패널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연결링부와, 상기 일체형 패널의 상단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 연결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연결링부의 일단부와, 상기 후면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각각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패널은 일자형 판형상이고,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일체형 패널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의 일단부가 상기 일체형 패널의 관통구에 관통되어 관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관통구를 기준으로 관통구 전방 돌기와 상기 관통구 전방 돌기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관통구 후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패널은 양측이 접철가능한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속지가 좌우방향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일체형 패널의 중심부에 세로로 형성되는 돌출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의 일단부는 상기 돌출판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KR20-2004-0001108U 2004-01-15 2004-01-15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KR200347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108U KR200347895Y1 (ko) 2004-01-15 2004-01-15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108U KR200347895Y1 (ko) 2004-01-15 2004-01-15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895Y1 true KR200347895Y1 (ko) 2004-04-17

Family

ID=4942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108U KR200347895Y1 (ko) 2004-01-15 2004-01-15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8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206B1 (ko) 2006-10-26 2007-07-10 성정환 조립식 탁상용 카렌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206B1 (ko) 2006-10-26 2007-07-10 성정환 조립식 탁상용 카렌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497B2 (en) Loose-leaf binder
US4601489A (en) Album design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409447B2 (en) Bookbinding signature comb and spine device
IE904109A1 (en) New and improved album design
KR200347895Y1 (ko)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AU748380B2 (en) Ring binder mechanism
CN1809471A (zh) 脊式活页夹
US20070158936A1 (en) Book tag
KR20050067130A (ko)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KR100844993B1 (ko) 스프링 타입 다이어리용 스프링 홀더 어셈블리
KR200391966Y1 (ko) 비노출 트윈 스프링 제본구조
KR200347862Y1 (ko)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KR200439754Y1 (ko)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JP4025112B2 (ja) ファイル
JPH10297156A (ja) バインダーの綴じ具
JP2701203B2 (ja) バインダー綴具及びバインダー綴具用見出し板
JPH07125473A (ja) 増減可能な綴帳
KR102564344B1 (ko) 문구용의 링 바인더 기구
KR20060013690A (ko) 연결링 결합형 제본 조립체
CN215970816U (zh) 一种卡扣装订线圈
CN100496999C (zh) 用于文件夹的夹具的固定工具,以及该文件夹
JP3039406U (ja) ファイリング装置
KR200161236Y1 (ko) 앨범
KR100988731B1 (ko) 다이어리용 탈부착 지지부재
JP3061198U (ja) バインダ―または手帳用表紙、バインダ―および手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