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130A -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130A
KR20050067130A KR1020050050133A KR20050050133A KR20050067130A KR 20050067130 A KR20050067130 A KR 20050067130A KR 1020050050133 A KR1020050050133 A KR 1020050050133A KR 20050050133 A KR20050050133 A KR 20050050133A KR 20050067130 A KR20050067130 A KR 20050067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ion ring
inlay
bookbinding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한영
Original Assignee
송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한영 filed Critical 송한영
Priority to KR102005005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7130A/ko
Publication of KR2005006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1Calendar blocks with means for engaging calendar sheet perforatio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가를 크게 절감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제 1 패널;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패널과 함께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패널과 연결되는 형상인 제 2 패널;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 및 상기 연결링부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연결링부와 패널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부품 개수의 감소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하고, 연결링부의 속지 관통구에 삽입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본기 없이 수작업도 가능함에 따라 제본 비용 및 제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이나 속지의 보충이나 교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결링부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링부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Binding assembly having a one body type binding ring}
본 발명은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가를 크게 절감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 조립체(도면에서는 탁상 카렌더를 예시함)는, 속지(1) 넘김이나 속지(1)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링(2)(흔히, 링, 와이어, 스프링, 스트립 등으로 불려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종래의 제본 조립체는, 크게 속지(1)와, 제 1 패널(3)과, 제 2 패널(4) 및 연결링(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속지(1)는,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1a)가 형성되어 다수 장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3)은, 역시 일측에 관통구(3a)가 형성되고, 상기 속지(1)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어서 상기 속지(1)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패널(4)은, 역시 일측에 관통구(4a)가 형성되고, 넘겨진 상기 속지(1)의 후면 또는 전면을 덮어서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 예시된 탁상 카렌더의 경우에는 상기 제 1 패널(3)과 제 2 패널(4)이 서로 연결되어 탁상에 세워 놀 수 있게 되어 있는 구조이다.
특히, 종래의 연결링(2)은, 상기 속지(1) 넘김과 속지(1)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속지(1)의 관통구(1a)와, 제 1 패널(3)의 관통구(3a) 및 제 2 패널(4)의 관통구(4a)를 동시에 관통하여 속지(1)들과 제 1 패널(3) 및 제 2 패널(4)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링(2)은 도면에 도시된 일반적인 나선형 스프링부터 두 줄 스프링이나 엇물림 스프링 등 매우 다양한 형태 및 종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종래의 연결링(2)은, 상기 제 1 패널(3)이나 제 2 패널(4)과는 전혀 별개의 부품으로서, 상기 속지(1)와 제 1 패널(3) 및 제 2 패널(4)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구(1a)(3a)(4a)에 모두 동시 관통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별도 연결링(2)과 별도 제 1 패널(3) 및 제 2 패널(4)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상기 연결링(2)과 제 1 패널(3) 및 제 2 패널(4)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 1 패널(3)과, 제 2 패널(4) 및 연결링(2)을 모두 별도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증대로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이 증대되고, 상기 연결링(2)을 속지(1)와, 제 1 패널(3) 및 제 2 패널(4)의 관통구(1a)(3a)(4a)에 삽입하는 제본 과정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여 수작업이 불가능함에 따라 별도로 제작된 스프링(연결링) 제본기(Binder, 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제본 비용 및 제본 시간이 증대되며, 이렇게 제본기에 의해 제본된 스프링(연결링)은 한번 제본되면 다시 풀리지 않기 때문에 속지의 보충이나 교환이 수작업으로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연결링부와 패널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부품 개수의 감소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하고, 연결링부의 속지 관통구에 삽입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본기 없이 수작업도 가능함에 따라 제본 비용 및 제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이나 속지의 보충이나 교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결링부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링부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제 1 패널;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패널과 함께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패널과 연결되는 형상인 제 2 패널;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 및 상기 연결링부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를 지지하고, 중심 접철선을 기준으로 좌우 접철이 가능한 일체형 패널; 상기 일체형 패널의 중심 접철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또는 우측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 및 상기 연결링부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중심 접철선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 조립체로서, 크게 속지(10)와, 제 1 패널(11)과, 제 2 패널(12)과, 연결링부(20)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속지(10)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관통구(10a)가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다수장의 종이나 합성수지류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11)은, 상기 속지(10)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인 것으로서, 상기 속지(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속지(10)를 지지하는 패널이다.
또한, 상기 제 2 패널(12)은, 상기 속지(10)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인 것으로서, 상기 속지(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것은 물론, 상기 제 1 패널(11)과 함께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패널(11)과 연결되는 패널이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제 1 패널(11)과 제 2 패널(12)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전체가 사각형인 패널인 것이 널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모양의 패널 등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링부(20)는, 상기 제 1 패널(11) 및/또는 제 2 패널(12)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10) 넘김과 속지(10)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개방 가능한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링부(2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패널(11) 및/또는 제 2 패널(1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링부(2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방한 다음, 상기 속지(10)를 조립하거나, 보충하거나 교환한 다음,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링부(20)를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의 일례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패널(11)의 내측 일단부와, 상기 제 2 패널(12)의 내측 일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인 한 쌍의 억지물림단턱(13) 및 억지물림줄홈(14)인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억지물림단턱(13)을 상기 억지물림줄홈(14)으로부터 이탈시켜서 상기 연결링부(20)를 개방시킨 후, 개방된 상기 연결링부(20)에 속지(10)를 끼워 조립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역으로 다시 상기 억지물림단턱(13)을 상기 억지물림줄홈(14)에 억지 물림시켜서 상기 연결링부(20)를 폐쇄하는 동시에 연결링부(2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링부(20)는, 상기 제 1 패널(11)의 일단부 형성되는 제 1 패널측 연결링부(20a)와, 상기 제 2 패널(12)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2 패널측 연결링부(20b)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패널측 연결링부(20a)와 제 2 패널측 연결링부(20b) 사이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측 연결링부(20a)의 일단부와, 상기 제 2 패널측 연결링부(20b)의 일단부에 각각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21) 및 억지물림홈(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연결링부(20)의 형태 및 구조는 매우 다양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있을 때, 상기 제 1 패널측 연결링부(20a)와 제 2 패널측 연결링부(20b) 사이로 속지(1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링부(20)는, 상기 제 1 패널측 연결링부(20a)의 길이는 짧고, 상기 제 2 패널 연결링부(20)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는 경우와, 상기 제 1 패널측 연결링부(20a)의 길이는 길고, 상기 제 2 패널 연결링부(20)의 길이는 짧게 형성되는 경우가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인 보강을 위하여 2개의 상기 연결링부(20)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형성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링부(20)의 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의 다각형을 이루는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연결링부를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상기 연결링부(20)에 형태 및 디자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연결링부(20)의 개방된 입구부(20c)를 덮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패널(11) 및/또는 제 2 패널(12)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되고, 접철시 상기 제 1 패널(11) 및/또는 제 2 패널(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23) 및 억지물림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20)와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링부홈(25)이 형성되는 접철판(26)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 2 패널(12)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링부(20)의 개방된 입구부(20c) 사이로 상기 제 1 패널(11)을 분리시켜서 개방된 상기 연결링부(20)에 속지를 끼워 조립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역으로 다시 상기 연결링부(20)의 개방된 입구부(20c) 사이로 상기 제 2 패널(12)을 밀어 넣어 삽입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판(26)을 상기 제 1 패널(11)에 접철시켜서 상기 연결링부(20)를 폐쇄하는 동시에 연결링부(2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링부의 개방된 입구부(20c)는 접철된 상기 접철판(26)의 상기 연결링부홈(25)에 의해 물림되고, 이러한 상기 접철판(26)은 상기 억지물림홈(24)에 결합되는 상기 억지물림돌기(23)에 의해 접철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제 1 패널(11)의 내측 일단부와, 상기 제 2 패널(12)의 내측 일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인 한 쌍의 화살형 물림돌기(27) 및 화살형 물림홈(28)이고, 상기 화살형 물림돌기(27) 및 화살형 물림홈(28)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패널(11) 및 제 2 패널(12)의 하측 누름부(29)를 누르면 지렛대 작용으로 상기 연결링부(20)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 1 패널(11) 및 제 2 패널(12) 사이에 충분한 누름공간(3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살형 물림돌기(27)를 상기 화살형 물림홈(29)에 삽입시켜서 상기 연결링부(20)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링부(2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29)를 가압하여 상기 누름공간(30)을 축소시키면 지렛대의 작용으로 상기 연결링부(20)가 쉽게 개방되어 개방된 상기 연결링부(20)에 속지를 끼워 조립하는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상기 고정수단의 일종으로, 상기 연결링부(20)의 개방된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링측 지퍼이빨(31)과, 상기 제 1 패널(11) 및/또는 제 2 패널(1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측 지퍼이빨(31)과 대응되는 형상의 패널측 지퍼이빨(32) 및 상기 연결링측 지퍼이빨(31)과 패널측 지퍼이빨(32)을 선택적으로 체결하고, 손잡이 고리(33)가 형성되는 지퍼물림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지퍼물림대(34)를 전진시켜서 상기 연결링측 지퍼이빨(31)과 패널측 지퍼이빨(32)을 분리한 후, 이러한 분리로 인해 개방된 상기 연결링부(20)에 속지를 끼워 조립한 다음, 다시 상기 지퍼물림대(34)를 이용하여 상기 지퍼물림대(34)를 후진시켜서 상기 연결링측 지퍼이빨(31)과 패널측 지퍼이빨(32)을 서로 결합시켜서 상기 연결링부(2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패널(11)과 제 2 패널(12)은 서로 연결핀(3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접철되는 힌지구조인 것도 가능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패널(11)과 제 2 패널(12)이 일체형상으로 제조되어 세워지는 등 상기 제 1 패널(11)과 제 2 패널(12)의 종류 및 형상은 매우 다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패널에 대한 기술은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연결링부(20)는, 표면에 광고용 문구(36)가 표시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폭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넓은 폭을 갖는 연결링부(20)가 상기 제 1 패널(11) 및 제 2 패널(12)의 상측 가운데 형성되고, 좁은 폭을 갖는 연결링부(20)가 상기 넓은 폭을 갖는 연결링부(20)의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폭을 갖는 연결링부(20)가 상기 제 1 패널(11) 및 제 2 패널(12)의 상측 가운데 형성되고, 넓은 폭을 갖는 연결링부(20)가 상기 좁은 폭을 갖는 연결링부(20)의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상기 연결링부(20)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등 상기 연결링부(20)의 형상에 대한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도 14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패널(11)과 제 2 패널(12)의 접철시 접철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패널(11) 및/또는 제 2 패널(12)의 측면에 형성되는 형태 유지 날개(3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패널(11)과 제 2 패널(12)의 접철시 형성된 수납 공간에 사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서랍(38)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는, 크게 속지(10)와, 일체형 패널(39)과, 연결링부(20)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속지(도시하지 않음)는,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종이나 합성수지류이다.
또한, 상기 일체형 패널(39)은, 상기 속지를 지지하고, 중심 접철선(40)을 기준으로 좌우 접철이 가능한 일체형 패널이다.
또한, 상기 연결링부(20)는, 상기 일체형 패널(39)의 중심 접철선(40)을 기준으로 좌측 및/또는 우측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링부(2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중심 접철선(40)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중심 접철선(40)을 펼쳤을 때, 서로 맞물림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암컷 홈(42) 및 수컷 돌기(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중심 접철선(40)을 접철하여 상기 연결링부(20)를 개방한 다음, 속지를 자유롭게 끼워 넣을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중심 접철선(40)을 펼치면 상기 수컷 돌기(41)가 상기 암컷 홈(42)에 삽입되어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연결링부(20)가 폐쇄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링부(20)의 폐쇄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암컷 홈(42)과 수컷 돌기(41)의 설치 위치 및 형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접철선(40)이 펼쳐지는 순간 서로 맞대어 대응되는 접촉면에 접촉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등 이러한 상기 암컷 홈(42)과 수컷 돌기(41)의 설치 위치 및 형태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접철선(40)을 펼쳤을 때, 좌우 접철을 방해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 접철선(40)에 덧붙여지는 보강고정판(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링부(20)가 폐쇄시킨 후, 상기 보강고정판(43)을 덧붙여서 상기 중심 접철선(40)의 좌우 접철이 간섭되게 하여 결국, 상기 연결링부(2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의 상기 연결링부(20)는, 상기 일체형 패널(39)의 중앙 단턱(44)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링부(20)의 개방된 입구부(20c)를 덮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일체형 패널(39)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되고, 접철시 상기 일체형 패널(39)의 중앙 단턱(4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45) 및 억지물림홈(46)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20)와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링부홈(47)이 형성되는 접철판(48)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된 상기 연결링부(20)에 속지를 자유롭게 끼워 넣을 수 있고, 상기 접철판(48)을 상기 중앙 단턱(44)에 접철시켜고, 상기 억지물림홈(44)에 상기 억지물림돌기(45)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링부홈(47)이 상기 연결링부(20)를 폐쇄시킬 수 있게 하여 상기 연결링부(2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의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일체형 패널(39)의 접철가능한 제 1 내부 접철판(51)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내부 접철판(51)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일체형 패널(39)의 접철가능한 제 2 내부 접철판(52)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기 제 1 내부 접철판(51)과 제 2 내부 접철판(52)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패널(39)방향으로 접철시키면 상기 연결링부(20)가 폐쇄되어 속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 1 내부 접철판(51)과 제 2 내부 접철판(52)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암수돌기(53)(54)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수돌기(53)(54)와 함께 상기 연결링부(20)의 단부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55)이 상기 제 2 내부 접철판(5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부 접철판(51)과 제 2 내부 접철판(52)에 각각 연결링부(2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술된 고정수단들에 대한 상세한 형태나 디자인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수정 및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링부(20)와 제 1 패널(11) 및 제 2 패널(12)에 각각 한 쌍의 자석(60)을 설치하여 상기 연결링부(20) 및 제 1 패널(11)과 제 2 패널(12)을 서로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링부(20)의 형태 역시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등 매우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11), 제 2 패널(12), 일체형 패널(39) 및 연결링부(2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류나 기타 종이, 천 등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에 의하면,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연결링부와 패널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부품 개수의 감소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하고, 연결링부의 속지 관통구에 삽입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본기 없이 수작업도 가능함에 따라 제본 비용 및 제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이나 속지의 보충이나 교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결링부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링부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제본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의 조립 이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 후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링부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연결링부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링부의 다양한 형태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연결링부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연결링부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또 다른 일례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또 다른 일례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전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3는 도 17의 또 다른 일례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4은 도 33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Claims (16)

  1.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는 제 1 패널;
    상기 속지의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속지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패널과 함께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패널과 연결되는 형상인 제 2 패널;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 및
    상기 연결링부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일단부와, 상기 제 2 패널의 내측 일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인 한 쌍의 억지물림단턱 및 억지물림줄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제 1 패널의 일단부 형성되는 제 1 패널측 연결링부와, 상기 제 2 패널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2 패널측 연결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패널측 연결링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 2 패널측 연결링부의 일단부에 각각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제 1 패널측 연결링부의 길이는 짧고, 상기 제 2 패널 연결링부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는 경우와, 상기 제 1 패널측 연결링부의 길이는 길고, 상기 제 2 패널 연결링부의 길이는 짧게 형성되는 경우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링부의 개방된 입구부를 덮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되고, 접철시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링부홈이 형성되는 접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패널의 내측 일단부와, 상기 제 2 패널의 내측 일단부에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인 한 쌍의 화살형 물림돌기 및 화살형 물림홈이고,
    상기 화살형 물림돌기 및 화살형 물림홈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의 하측 누름부를 누르면 지렛대 작용으로 상기 연결링부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 사이에 충분한 누름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링부의 개방된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링측 지퍼이빨;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측 지퍼이빨과 대응되는 형상의 패널측 지퍼이빨; 및
    상기 연결링측 지퍼이빨과 패널측 지퍼이빨을 선택적으로 체결하고, 손잡이 고리가 형성되는 지퍼물림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8. 달력이나 탁상 카렌더나 수첩이나 다이어리나 책자나 노트 등의 제본물의 내용이 기록되고,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다수장의 속지;
    상기 속지를 지지하고, 중심 접철선을 기준으로 좌우 접철이 가능한 일체형 패널;
    상기 일체형 패널의 중심 접철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또는 우측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지 넘김과 속지의 보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일측의 개방이 가능한 연결링부; 및
    상기 연결링부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중심 접철선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중심 접철선을 펼쳤을 때, 서로 맞물림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암컷 홈 및 수컷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중심 접철선을 펼쳤을 때, 좌우 접철을 방해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 접철선에 덧붙여지는 보강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일체형 패널의 중앙 단턱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링부의 개방된 입구부를 덮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일체형 패널에 접철가능하게 형성되고, 접철시 상기 일체형 패널의 중앙 단턱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억지물림돌기 및 억지물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링부홈이 형성되는 접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는, 상기 일체형 패널의 접철가능한 제 1 내부 접철판 및/또는 제 2 내부 접철판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내부 접철판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일체형 패널의 접철가능한 제 2 내부 접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는, 표면에 광고용 문구가 표시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접철시 접철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패널 및/또는 제 2 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형태 유지 날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접철시 형성된 수납 공간에 사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서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 및/또는 고정수단은 자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KR1020050050133A 2005-06-11 2005-06-11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KR20050067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133A KR20050067130A (ko) 2005-06-11 2005-06-11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133A KR20050067130A (ko) 2005-06-11 2005-06-11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130A true KR20050067130A (ko) 2005-06-30

Family

ID=3725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133A KR20050067130A (ko) 2005-06-11 2005-06-11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71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48B1 (ko) * 2007-12-13 2009-09-16 윤종철 탁상용 달력
KR101441635B1 (ko) * 2009-08-11 2014-09-23 가부시키가이샤 카렌다 고코쿠 탁상 리프 베이스 및 바인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48B1 (ko) * 2007-12-13 2009-09-16 윤종철 탁상용 달력
KR101441635B1 (ko) * 2009-08-11 2014-09-23 가부시키가이샤 카렌다 고코쿠 탁상 리프 베이스 및 바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3052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20010051069A1 (en) Storage device
EP1199188A2 (en) Filing device.
IE904109A1 (en) New and improved album design
KR20050067130A (ko) 연결링 일체형 패널을 갖는 제본 조립체
US5295622A (en) Folder or the like
CN100564065C (zh) 脊式活页夹
US6994215B2 (en) Sleeve retainer clip for a compact disc binder
US20070158936A1 (en) Book tag
KR200439754Y1 (ko)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US20090206590A1 (en) Foam book with improved binding and removably insertable interior book
KR200483537Y1 (ko) 양쪽 개방형 노트의 표지 결합구조
JP2007090720A (ja) ダブルクリ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
KR102564344B1 (ko) 문구용의 링 바인더 기구
JPH0518158Y2 (ko)
US20100201113A1 (en) Multipurpose cover supporter
JP3150897U (ja) 書類収納ケース
US20070098486A1 (en) Paper binder
KR200206792Y1 (ko) 사물함의 도어 힌지장치
KR200378562Y1 (ko)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JP4032361B1 (ja) 用紙係止用具
JP4624444B2 (ja) ブックカバー
KR200260095Y1 (ko) 플라스틱 바인더
KR200444304Y1 (ko) 바인더 스프링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제본방법
KR100951722B1 (ko) 링 바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