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969B1 -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및 전자기기를작동시키는 전지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및 전자기기를작동시키는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969B1
KR100987969B1 KR20077025932A KR20077025932A KR100987969B1 KR 100987969 B1 KR100987969 B1 KR 100987969B1 KR 20077025932 A KR20077025932 A KR 20077025932A KR 20077025932 A KR20077025932 A KR 20077025932A KR 100987969 B1 KR100987969 B1 KR 10098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ge
fuel cell
unit
power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2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304A (ko
Inventor
모모에 카츠마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31Purg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91Concentration; Density
    • H01M8/04798Concentration; Density of fuel cell reacta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7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purging or increasing flow or pressure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08Cartridges, cryogenic media or cryogenic reservoi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2Voltage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11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 Cel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연료전지를 적어도 한 개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 연료전지는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출력부와, 상기 전력 출력부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대하여 퍼지의 지시를 행하는 퍼지 제어부를 갖는다.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소비 전력, 동작 상태 혹은 피조작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감시부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퍼지 제어부에 대하여 퍼지의 지시를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결과를 상기 퍼지제어부 출력하는 퍼지 허가부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77025932
연료전지, 전자기기, 퍼지, 디지털 카메라

Description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및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전지{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AND BATTERY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전원으로서 이용 가능한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지에 의해 발전 효율을 회복시키는 연료전지를 탑재한 전자기기,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지로부터 전력공급을 받아서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가 존재하고 있다. 이들 기기 중에서, 특히 옥외 사용이 가능한 기기의 전력공급에 있어서는, 그 전지수명이 큰 과제다.
이하, 옥외 사용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촬영된 피사체 상을 촬상소자에 의해 화상 신호로 광전 변환하고, 이 광전 변환된 화상 신호를 A/D 변환해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며, 또 내장된 액정 모니터에 화상의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촬영 교환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은염 필름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조작성 및 고속 연사성을 유지하면서, 촬영한 화상이 고화질일 것, 촬영 가능한 피사체의 휘도 범위가 넓은 것 등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화소 수가 많은 고감도의 촬상소자의 채용이 필수가 되고 있다. 또, 은염 필름 카메라와 비교하면, 촬상회로, 화상처리회로, 및 화상표시회로 등을 포함하는, 많은 전기부품을 사용하는 대규모의 전기회로가 부가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커지고,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의 소형·경량화가 진행되는 중에, 종래의 1차 전지 및 2차 전지에서는, 카메라에 충분한 구동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형의 연료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반응 가스인 수소 등의 연료가스와 공기에 포함된 산소 등의 산화제 가스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연료에 포함된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다음에, 연료전지의 전력 생성 원리를 설명한다. 연료전지는, 수소를 포함한 연료가스를 연료극에 공급하고, 산소를 포함한 산화제 가스를 산소극에 공급해서, 양쪽 극에서 발생하는 전기 화학반응에 의해 기전력을 얻는다. 연료극에 공급된 수소는, 촉매에 의해 양성자와 전자로 분리된다. 분리된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서 산소극으로 이동하고, 양성자는 고체 고분자막을 통해서 산소극으로 이동한다. 산소극에서는, 양성자, 전자 및 산소가 결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이하,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전기 화학반응을 나타낸다. 식 (1)은 연료극에 있어서의 반응을 나타내고, 식 (2)는 산소극에 있어서의 반응을 나타내며, 식 (3)은 전지 전체에서 발생하는 반응을 나타낸다.
H2 → 2H+ + 2e- ...(1)
(1/2)02 + 2H+ + 2e- → H20 ...(2)
H2 + (1/2)02 → H20 ...(3)
연료전지는, 전해질의 차이 등에 의해 여러 가지 타입으로 분류된다. 그 하나의 타입으로서, 전해질로서 고체 고분자막을 사용한 연료전지가 알려져 있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저비용화가 가능해서, 소형화 및 경량량화도 용이하고, 전지성능의 관점에서도 높은 출력밀도를 갖는다. 이 이유 때문에, 이 타입의 연료전지는 카메라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휴대전화 및 PDA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구동 전원으로서 유망하다. 또한, 복수의 발전 셀과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교대로 적층한 구성을 갖는 스택 셀형의 연료전지도 제안되어 있다.
도 11은, 연료전지를 사용했을 때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퍼지를 행하면서 연료전지를 사용했을 때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시간에 걸쳐 연료전지에 의해 발전을 행하면, 출력 전압이 저하한다. 그것은,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생긴 생성수가 연료극으로 역확산해서 발전 면적이 감소하는 동시에, 발전에는 불필요한 가스가 연료극에 잔류해서 수소 분압이 저하하는 것이 원인이다. 연료전지는 전자기기의 전류공급원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출력 전압이 저하해서 전자기기의 허용 전압범위 이하로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연료극에 공급되는 수소의 유량을 급증시켜서, 연료극에 잔류하고 있는 수분이나 발전에 불필요한 가스를 스택 셀의 외부로 방출하여, 발전 면적의 회복과 수소 분압의 상승을 도모해서, 출력 전압을 안정시킨다(퍼지 방식). 퍼지를 행한 후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상승한다.
연료전지의 퍼지를 행하는 시기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는, 몇 개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 하나의 방법으로서,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모든 스택 셀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셀들 중 어떤 한 층이 소정전압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퍼지를 행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JP-A-2002-093438 참조). 또한, 어떤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강제적으로 퍼지를 행하는 방법(예를 들면, JP-A-2000-215905)이나, 정기적인 퍼지와 셀마다의 전압측정에 의한 수소 퍼지를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JP-A-2003-115314). 또한, 그 밖의 방법으로서,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어떤 일정시간 동안, 또는 일정한 샘플 수로 측정하고, 그 측정치로부터 내부저항을 연산하며, 그 내부 저항을 미리 설정된 표준값과 비교하고, 연료전지의 전해질의 상태를 추정해서 필요에 따라 퍼지를 행하는 방법(예를 들면, JP-A-2002-164065)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발전 면적의 회복과 수소분압의 상승을 꾀하고, 출력 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퍼지를 행하는데도 불구하고, 퍼지 중에 반대확산에 의한 연료극과의 공기혼합이나, 연료극 내부의 수소압력 및 온도강하 때문에,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순간적으로 내려가 버린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형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그 전원 시스템의 관리는 엄격한 정밀도가 요청된다. 예를 들면, 연료전지가 퍼지하는 타이밍과, 전자기기가 비교적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타이밍이 겹쳤을 경우, 연료전지로부터 전자기기가 필요로 하고 있는 전력량을 끌어낼 수 없고, 전자기기가 전력부족 상태가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전자기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했을 경우, 연료전지의 연료극으로부터 미량 연료가스가 누설해 버려, 연료극측의 수소농도가 저하해 버린다. 다음에 연료전지를 기동시킬 때에, 출력 전압이 필요전압까지 상승하는데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연료전지의 퍼지를 전자기기의 상태에 적합한 최적의 타이밍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과,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목적은,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출력부와, 상기 전력출력부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 부에 대하여 퍼지의 지시를 행하는 퍼지제어부를 갖는 연료전지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기기의 소비 전력, 동작 상태 혹은 피조작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부와, 상기 감시부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퍼지제어부에 대하여 퍼지의 지시를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결과를 상기 퍼지제어부에 출력하는 퍼지허가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목적은,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출력부와, 상기 전력출력부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대하여 퍼지의 지시를 행하는 퍼지제어부를 구비한 연료전지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기기의 소비 전력, 동작 상태 혹은 피조작 상태를 감시하는 스텝과, 상기 감시스텝의 감시결과로부터, 상기 퍼지제어부에 대하여 퍼지의 지시를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판단스텝에서의 판단결과를 상기 퍼지제어부에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목적은,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출력부와, 상기 전력출력부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구동되어야 할 전자기기로부터의 허가 신호에 따라, 상기 퍼지부에 대하여 퍼지의 지시를 행하는 퍼지제어부를 구비한 연료전지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고, 이 도면의 전반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같거나 비슷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탑재된 연료전지(80)의 내부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a, 1b 및 도 2에 나타낸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O)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4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구동 시퀸스의 소비 전력량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6은 제 2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은 제 3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은 제 4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9는 제 5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0은 제 5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또 다른 제어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1은 연료전지를 사용했을 때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퍼지를 행하면서 연료전지를 사용했을 때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나 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연료전지 유닛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스텝 S802에서 퍼지에 의한 갑작스런 수소 방출에 대한 충분한 수소량이 연료 탱크(400) 내의 수소 흡장 합금(41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 실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이하에, 참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의 전자기기로서,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일안 리플렉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안 리플렉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및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 본체를 구성하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복수의 촬영 렌즈(310) 등으로 구성되는 촬영 광학계를 포함한 촬영 유닛(300)과, 기록매체 200 및 210과, 전원 유닛(116)과, 연료 탱크(수소공급원장치)(400)로 구성된다. 또한, 기록매체 200 및 210, 전원 유닛(116), 및 연료 탱크(400)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촬영 유닛(300)은, 촬영 렌즈(3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촬영 렌즈(310)를 투과하는 광속의 입사량을 조정하는 광량 제한수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촬영 유닛(300)는 카메라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100)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12는, 촬상소자(14)의 노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셔터다. 촬상소자(14)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예를 들면 CCD 센서 등이다. 촬영 렌즈(310)에 입사한 광선은, 광량 제한수단인 조리개(312), 렌즈 마운트 306 및 106, 미러 122 및 셔터(12)를 통해서 인도되어, 광학상으로서 촬상소자(14)의 촬상면 위에 결상된다.
또한, 미러 122 및 124에 의해, 촬영 렌즈(310)에 입사한 광선을 광학 파인더(110)로 인도한다. 또한, 미러 122는 퀵 리턴(quick return) 미러의 구성이나 혹은 하프(half) 미러의 구성이어도 된다.
참조번호 16은, 촬상소자(14)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 출력을 디지털 신호(이하, 화상 데이터라고 한다)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다. 참조번호 18은, 촬상소자(14), A/D 변환기(16), D/A 변환기(26)에 클럭 신호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발생회로이며, 이 타이밍 발생회로는, 메모리 제어회로(22) 및 시스템 제어회로(50)에 의해 제어된다.
참조번호 20은, 화상처리회로로서, A/D 변환기(16)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 보간처리 및 색변 환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회로(20)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고, 취득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회로(50)가 측거부(42) 및 측광부(44)에 대하여 TTL(through-the-lens)방식의 AF(auto focus)처리, AE(automatic exposure) 제어처리, 및 EF(electronic flash)처리를 행한다. 한층 더, 화상처리회로(20)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회로(46)에 의해 취득한 연산결과에 따라 WB(white balance)처리도 행하고 있다.
메모리 제어회로(22)는, A/D 변환기(16), 타이밍 발생회로(18), 화상처리회로(20), 화상 표시 메모리(24), D/A 변환기(26), 메모리(30), 및 압축/신장회로(32)를 제어한다. A/D 변환기(1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는, 화상처리회로(20)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통해서 혹은 메모리 제어회로(22)만을 통해서 화상 표시 메모리(24) 혹은 메모리(30)에 기록된다.
화상 표시 메모리(24), D/A 변환기(26), 및 예를 들면 TFT/LCD 등의 화상표시부(28)는, 화상표시를 위한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표시 메모리(24)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가, D/A 변환기(26)를 통해서 화상표시부(28)에 출력되어서 표시된다. 화상표시부(28)에 촬상소자(14)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면, 전자 뷰파인더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상표시부(28)는, 시스템 제어회로(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임의로 표시를 온/오프할 수 있다. 표시를 OFF로 했을 경우에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소비 전력을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30)는, 촬영한 정지화상 및 동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매체이며, 소정매수의 정지화상이나 소정시간의 동화상을 기억하는데 충분한 기억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매의 정지화상을 연속해서 촬영하는 연사 촬영이나 파노라마 촬영의 경우에도, 고속 및 대량의 화상기록을 메모리(30)에 대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모리(30)를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작업영역으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신장회로(32)는 적응 이산 코사인 변환(ADCT) 등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한다. 압축/신장회로(32)는 메모리(30)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압축 처리 혹은 신장 처리를 행하며, 처리를 끝낸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30)에 기록한다.
참조번호 40은, 측광부(44)로부터의 측광 정보에 따라 조리개(312)를 제어하는 조리개 제어회로(340)와 연계하여 셔터(12)를 제어하는 셔터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측거부(42)는, AF(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한다. 측거부는, 렌즈(310)에 입사한 광선을 조리개(312), 렌즈 마운트 306 및 106, 미러 122 및 측거용 서브 미러(미도시)를 통해서 측거부(42)에 입사시킴으로써, 광학상으로서 결상된 화상의 인-포커스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광부(44)는, AE(자동노출) 처리를 행한다. 측광부는 렌즈(310)에 입사한 광선을 조리개(312), 렌즈 마운트 306 및 106, 미러 122 및 측광용 렌즈(도시 생략)를 통해서 측광부(44)에 입사시킴으로써, 광학상으로서 결상된 화상의 노출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참조번호 45는, 화이트 밸런스 산출회로로서, TTL 방식에 의해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색 온도를 산출한다. 화이트 밸런스 제어회로(46)는, 촬영자의 광원 선택이나 색 온도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게인 등에 의하여, 화상처리회로(20)가 화이트 밸런스 처리를 하는데 필요한 화이트 밸런스 보정 데이터를 산출한다.
참조번호 48은, AF 보조광의 투광기능 및 전자 플래시 광 조절 기능을 가진 전자 플래시이다. 촬상소자(14)에 의해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처리회로(20)에 의해 연산한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시스템 제어회로(50)가 셔터 제어회로(40), 조리개 제어회로(340), 및 측거제어회로(342)를 제어한다, 비디오 TTL 방식을 사용해서 노출 제어 및 AF(오토 포커스)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층 더, 측거부(42)에 의한 측정결과와, 촬상소자(14)에 의해 촬상한 화상 데이터의 화상처리회로(20)에 의한 연산결과를 모두 사용해서 AF(오토 포커스)제어를 실시해도 괜찮다. 그리고, 측광부(44)에 의한 측정 결과와, 촬상소자(14)에 의해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처리회로(20)에 의한 연산결과를 모두 사용해서 노출 제어를 행해도 괜찮다.
참조번호 50은,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전부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회로이며, 참조번호 52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다.
참조번호 54는, 시스템 제어회로(50)에서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문자, 화상, 음성 등을 이용해 동작 상태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기능과, 동작음이나 경고음 등을 발음하는 예를 들면 스피커 등의 발 음 기능을 갖는 표시부이다. 표시부(54)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조작부 부근의 위치 등의 시인하기 쉬운 위치에 1개 혹은 복수개 장착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는 LCD나 LED, 발음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조작 수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시부(54)의 표시 내용 중, LCD 등에 표시하는 것으로서는, 단사/연사 촬영 표시, 셀프 타이머 표시, 압축율 표시, 기록 화소 수 표시, 기록 매수 표시, 잔여 촬영 가능 매수 표시, 셔터 스피드 표시, 조리개값 표시, 노출 보정표시, 플래시 표시, 적목 완화 표시, 매크로 촬영 표시, 부저 설정 표시, 시계용 전지 잔량표시, 전지 잔량 표시, 에러 표시, 복수 자리 수의 숫자에 의한 정보표시, 기록매체 200 및 210의 착탈 상태표시, 촬영 유닛(300)의 착탈 상태 표시, 통신 I/F 동작 표시, 날짜·시간 표시, 외부 컴퓨터와의 접속 상태 표시 등이 있다.
또한, 표시부(54)의 표시 내용 중, 광학 파인더(110)에 표시하는 것으로서는, 인-포커스 표시, 촬영 준비 완료 표시, 손 흔들림 경고 표시, 플래시 충전 표시, 플래시 충전 완료 표시, 셔터 스피드 표시, 조리개값 표시, 노출 보정표시, 기록매체 기록 동작 표시 등이 있다. 한층 더, 표시부(54)의 표시 내용 중, LED 등에 표시하는 것으로서는, 인-포커스 표시, 촬영 준비 완료 표시, 손 흔들림 경고 표시, 플래시 충전 표시, 플래시 충전 완료 표시, 기록매체 기록 동작표시, 매크로 촬영 설정 통지표시, 이차 전지 충전 상태 표시 등이 있다. 그리고, 표시부(54)의 표시 내용 중, 램프 등에 표시하는 것으로서는, 셀프 타이머 통지 램프 등이 있다. 이 셀프 타이머 통지 램프는 AF 보조 광원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참조번호 55는, 퍼지 경고부로, 연료전지(80)의 출력 전압이 강하해 퍼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퍼지 작동 스위치(78)를 조작하도록 경고한다. 이것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여기에서, 퍼지란, 연료전지의 연료극에 공급되는 수소의 유량을 급증시키고 연료극에 잔류하고 있는 수분이나 불필요한 가스를 스택 셀의 외부로 방출해서, 발전면적의 회복과 수소 분압의 상승을 꾀하는 방법이다.
참조번호 56은,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 필요에 따라 메모리(52)의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 등이다. 또한, 모드 다이얼(60), 릴리즈 스위치 SW1(62), 릴리즈 스위치 SW2(64), 및 화이트 밸런스 선택 스위치(66)(도시하지 않음)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각종의 동작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조작수단은, 스위치, 다이얼, 터치 패널, 시선 검출를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 음성인식장치 등의 단수 혹은 복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들 조작수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모드 다이얼(60)은, 자동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셔터 속도 우선 촬영 모드, 조리개 우선 촬영 모드, 메뉴얼 촬영 모드, 초점 심도 우선 (depth) 촬영 모드, 포트레잇(portrait) 촬영 모드, 풍경 촬영 모드, 접사 촬영 모드, 스포츠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파노라마 촬영 모드 등의 각종 촬영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회전식 스위치다.
릴리즈 스위치 SW1(62)은, 릴리즈 버튼(도시 생략)의 조작 도중에 ON(온) 되어, AF (오토 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 처리, WB(화이트 밸런스)처리, EF(전자 플래시) 처리 등의 동작 시작을 지시한다. 릴리즈 스위치 SW2(64)는, 릴리스 버튼(도시하지 않음)의 조작 완료시 ON 되어, 촬상소자(14)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A/D 변환기(16)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통해서 메모리(30)에 기록하는 노광처리와, 화상처리회로(20) 및 메모리 제어회로(22)에 의한 연산을 사용한 현상처리와, 메모리(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압축/신장회로(32)에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며, 기록매체 200 혹은 21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처리를 포함한 일련의 처리의 동작 시작을 지시한다.
참조번호 70은, 각종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부이다. 예를 들면. 이 조작부는 메뉴 버튼, 세트 버튼, 매크로 버튼, 멀티 화면 재생 전환 페이지 버튼, 플래시 설정 버튼, 단사/연사/셀프 타이머 전환 버튼, 메뉴 이동 플러스(+)버튼, 메뉴 이동 마이너스(-)버튼, 촬영화질 선택 버튼, 노출 보정 버튼, 날짜/시간 설정 버튼, 선택 및 전환 버튼, 결정 및 실행 버튼, 화상 표시 온/오프 스위치, 퀵 리뷰 온/오프 스위치, 압축 모드 스위치, 재생 스위치, AF 모드 설정 스위치, 및 화이트 밸런스 선택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선택 및 전환 버튼은, 파노라마 모드 등의 촬영 및 재생을 실행할 때에 각종 기능의 선택 및 전환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결정 및 실행 버튼은, 파노라마 모드 등의 촬영 및 재생을 실행할 때에 각종 기능의 결정 및 실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화상표시 온/오프 스위치는, 화상표시부(28)의 온/오프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퀵 리뷰 온/오프 스위치는, 촬영 직후에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자동 재 생하는 퀵 리뷰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압축 모드 스위치는, JPEG 압축의 압축율을 선택하기 위해서, 혹은 촬영소자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디지털화해서 기록매체에 이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CCD/RAW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재생 스위치는, 재생 모드, 촬영 상태 불량 화상 재생 모드, PC 접속 모드 등의 각종 기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AF 모드 설정 스위치는, 릴리즈 스위치 SW1(62)가 눌러지면 오토 포커스 동작을 일단 개시하고, 인-포커스 상태를 취득했으면 인-포커스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원 샷(one-shot) AF 모드와, 릴리즈 스위치 SW1(62)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연속해서 오토 포커스 동작을 계속하는 서보 AF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이트 밸런스 선택 스위치는, 오토 화이트 밸런스와, 메뉴얼 화이트 밸런스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오토 화이트 밸런스에 있어서, 촬상소자(14)의 출력 신호로부터 외광의 색을 산출하고, 그 색 온도 데이터를 사용하는 TTL 방식에 의해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한다. 메뉴얼 화이트 밸런스에 있어서는, 촬영환경의 광원의 종류(예를 들면, 태양광, 전구, 형광 등)를 촬영자가 판단하고, 광원선택 버튼(도시 생략)에 의해 광원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또는 촬영자가 촬영 환경의 색조(색 온도)를 측정하며, 색 온도 입력 버튼에 의해 전자 카메라에 촬영 환경의 색 온도를 입력하고, 이 광원의 선택 및 색 온도의 입력에 따라 적신호 입력 회로의 게인과 청신호 입력회로의 게인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광원 및 색 온도 고유의 고정 게인으로 설정된다.
상기 플러스 버튼 및 마이너스 버튼이, 회전 다이얼 스위치를 구비하면, 보다 매끄럽게 버턴의 수치나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참조번호 72는, 전원 스위치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 온과 전원 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 접속된, 촬영 유닛(300), 외부 전자 플래시(도시 생략), 기록매체 200, 210 등의 각종 부속장치의 전원 온과 전원 오프도 전환할 수 있다. 참조번호 74는, 연료 탱크(400)가 커넥터(93)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연료탱크 착탈 검출부이다.
참조번호 76은,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구동전력을 검출하는 구동전력 검출회로다. 참조번호 78은 퍼지 작동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가 ON되었을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80)에 대하여 퍼지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연료전지(8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연료전지(80)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참조번호 93 및 412은,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연료전지(80)의 연료가스(수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400)를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다. 참조번호 94는, 연료전지(80)의 산소극(도시 생략)에 공기를 보내주기 위한 흡기구다. 참조번호 96은, 연료전지(80)에 대하여 퍼지를 행했을 때에 수소 및 불순물이나 연료전지(80)에 사용한 공기를 전자 카메라 본체(100)로부터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다. 참조번호 97은, 전원 전환부로,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제어 하에,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을 연료전지(80)에서 전원 유닛(116)로, 혹은 전원 유닛(116)에서 연료전지(80)로 전환한다.
참조번호 98은, 전원제어회로로, 전지검출회로, DC/DC 컨버터, 전력이 공급 되는 블록들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제어회로는 전지의 종류, 전지 잔량을 검출하고, 검출결과 혹은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지시에 의거하여 DC/DC 컨버터를 제어하며,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기록매체를 포함한 각부에 공급한다. 참조번호 112 및 114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전원 유닛(116)를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다. 전원 유닛(116)는, 알칼리 전지 및 리튬 전지 등의 일차 전지와, NiCd 전지, NiMH 전지, 및 Li 전지 등의 이차 전지와, AC 어댑터 등으로 구성된다.
참조번호 91 및 95는, 메모리 카드 및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와의 인터페이스다. 참조번호 92 및 99는, 메모리 카드 및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와 접속을 행하는 커넥터다. 참조번호 118은, 커넥터 92 및 99에 기록매체 200 혹은 210이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기록매체 착탈 검출부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록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를 2계통 갖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다. 물론, 기록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는, 1개 혹은 복수의 계통수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개의치 않는다. 또한, 다른 규격의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를 조합해서 갖는 구성으로 해도 개의치 않는다.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의 규격으로서는, PCMCIA 카드나 CF(콤팩트 플래시) 카드 등의 규격에 준거한 것을 사용해서 구성해도 된다. 한층 더, 인터페이스 91 및 95와, 커넥터 92 및 99를 PCMCIA 카드나 CF(콤팩트 플래시)카드 등의 규격에 준거한 것을 사용해서 구성했을 경우, 그리고 LAN 카드, 모뎀 카드, USB 카드, IEEE1394 카드, P1284 카드, SCS1 카드, PHS 카드 등의 각종 통신 카드를 사용했을 경우, 다른 컴퓨터와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와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에 부속된 관리정보를 서로 전송할 수 있다.
참조번호 136은, 통신부로, RS23232, USB, IEEE1394, P1284, SCSI, 모뎀, LAN, 무선통신 등의 각종 통신 기능을 갖는다. 참조번호 138은, 통신부(136)에 의해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다른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거나 혹은 무선통신의 경우에는 안테나이다.
참조번호 140은, 렌즈 마운트(106) 내에 있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촬영 유닛(30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참조번호 142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촬영 유닛(3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다. 참조번호 144는, 렌즈 마운트(106) 및/또는 커넥터(142)에 촬영 유닛(300)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렌즈 착탈 검출부다.
커넥터(142)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촬영 유닛(300)와의 사이에서 제어신호, 상태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서로 전송하는 동시에, 각종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커넥터(142)는 전기 통신뿐만 아니라, 광통신, 음성통신 등도 제공해도 된다.
참조번호 200은,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다. 기록매체 200은,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록 영역(202),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의 인터페이스(204), 및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접속하는 커넥터(206)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번호 210은,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다. 기록매체 210 은,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록영역(212),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의 인터페이스(214), 및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접속을 행하는 커넥터(21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촬영 유닛(3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유닛(300)는, 렌즈 교환가능한 형태이다.
렌즈 마운트(306)는, 촬영 유닛(300)를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기계적으로 결합한다. 렌즈 마운트(306) 내에는, 촬영 유닛(300)를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각종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참조번호 320은, 렌즈 마운트(306) 내에 있어서, 촬영 유닛(300)를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참조번호 322는, 촬영 유닛(300)를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다. 커넥터(322)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와 촬영 유닛(300)와의 사이에서 제어신호, 상태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서로 전송하는 동시에, 각종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거나 각종 전압 및 전류가 공급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322)는 전기 통신뿐만 아니라, 광통신, 음성통신 등도 제공해도 된다.
조리개 제어회로(340)는, 측광부(44)로부터 공급된 측광정보에 의거하여 셔터(12)를 제어하는 셔터 제어회로(40)와 연계하면서, 조리개(312)를 제어한다. 측거제어회로(342)는, 촬영 렌즈(310)의 포커싱을 제어한다. 줌 제어회로(344)는, 촬영 유닛(300)의 전체를 제어한다.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346)는, 동작용의 정수, 변수,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기능과, 촬영 유닛(300) 고유의 번호 등의 식별 정보, 관리 정보, 개방 조리개값이나 최소 조리개값, 초점 거리 등의 기능 정보, 현재나 과거의 각 설정값 등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능도 제공한다.
다음에, 연료 탱크(400)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연료 탱크(400)는, 수소흡장 합금(410) 및 커넥터 412로 구성되어 있다. 수소 흡장 합금(410)은, 연료전지(80)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연료가스(수소)를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412는, 연료 탱크(400)와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접속한다. 수소 흡장 합금(410)은, 연료전지(80) 내에서의 수소압력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조정하고, 커넥터 93 및 412를 통해서 연료전지(80)에 연료가스(수소)를 보낸다.
계속해서, 도 1a 및 1b에 나타낸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 탑재되어 있는 연료전지(8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a 및 1b에 나타낸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탑재한 연료전지(80)의 내부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도 1a 및 1b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소자이다.
도 2에 있어서, 참조번호 81은,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연료전지 스택이다. 참조번호 82는 컴프레서(compressor)로서, 흡기구(94)로부터 흡수된 공기를 압축하고, 압축된 공기를 연료전지 스택(81)의 산소극(도시 생략)에 보낸다. 참조번호 83은, 퍼지 수단으로서의 퍼지 밸브로, 순환하고 있는 수소를, 배기구(96)를 통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로 배기하는 동시에, 연료전지 스택(81) 내에 축적한 물이나 불순물을 배기함으로써 퍼지를 행한다.
참조번호 84는, 연료전지 스택(81)으로부터 배출된 연료가스(수소)를 순환시 키는 인젝터이다. 참조번호 85는, 산화제 가스(공기)의 압력을 측량하는 센서다. 또한, 참조번호 86은, 연료가스(수소)의 압력을 측량하는 센서다. 참조번호 87은, 산화제 가스의 유량을 측량하는 센서다. 참조번호 88은, 연료가스(수소)의 유량을 측량하는 센서다.
참조번호 89는,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량하는 셀 전압 검출회로다. 셀 전압 검출회로(89)는 도 2에서는 편의상 1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 셀 전압 검출회로는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셀마다 혹은 셀 군마다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연료전지의 출력을 측정할 때는, 이렇게 셀 전압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기기측에서 출력 전압을 측정하도록 전압검출회로를 설치해도 된다.
참조번호 90은, 목표 발전량이 되도록, 연료가스(수소)의 압력과 유량, 산화제 가스(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입력으로 해서, 컴프레서(82) 등을 제어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이다. 또한, 셀 전압검출 회로(89)의 출력결과를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시스템 제어회로(50)에 보내는 동시에, 시스템 제어회로(50)로부터 퍼지 명령을 받았을 때는, 퍼지 제어수단으로서 퍼지 밸브(83)를 구동시켜서 퍼지를 행한다.
다음에, 도 1a, 1b 및 도 2에 나타낸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a, 1b 및 도 2에 나타낸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연료전지(80)를 전력공급수단으로서 사용해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구 동시켰을 때,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셀 전압 검출회로(89)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셀 전압이 퍼지가 필요로 하는 제 1의 소정값보다도 강하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101).
여기에서, 셀 전압이 제 1의 소정값보다도 크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101의 NO)에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다시 스텝 S101로 되돌아와 셀 전압검출회로(89)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한다. 셀 전압이 제 1의 소정값보다도 강하할 때까지 스텝 S101을 반복한다.
셀 전압이 제 1의 소정값보다도 작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101의 YES),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셀 전압이 제 1의 소정값보다도 작아지고, 퍼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스템 제어회로(50)에 통지한다(스텝 S102). 이에 따라 시스템 제어회로(50)는, 구동전력 검출회로(76)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구동전력이 소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03). 이 소정값은, 퍼지 중에 전압강하가 발생해도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텝 S103에 있어서의 소정값에 대해서,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구동 시퀸스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량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 스위치(72)가 ON되어 있는 경우, 항상 카메라 회로의 소비전력은 6.0∼7.0W정도다. 게다가 카메라의 구동 시퀸스의 타이밍에 따라서, 셔터(12)나 미러 122 및 124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1.5W정도의 전력이 소비되고, 조리개(312)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4.0W 정도의 전력이 소비된다.
예를 들면, 모터(도시 생략)와 조리개(312)가 동시에 구동하고 있을 때 등 비교적 소비전력이 클 때(도 4에서는 약 12.0W보다 작은), 퍼지를 행하는 경우, 순간적인 전압강하에 의해 필요한 전력이 취득되지 않고,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구동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력이 카메라 회로에 의해서만 소비될 때 퍼지를 행하면 된다. 도 3의 스텝 S103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비교적 전력소비가 작을 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도 4의 예에서는, 도 3의 스텝 S103에서의 소정값은 도 4의 점선으로 나타낸 7.0 W정도가 최적이라고 생각된다.
구동전력 검출회로(76)는 구동전력이 소정값이하라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103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가 퍼지 밸브(83)를 구동시켜서 퍼지를 행하고, 연료전지 스택 내의 과잉의 수분이나 불순물을 배기구(96)를 통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로 배기한다(스텝 S104).
또한, 구동전력 검출회로(76)는 구동전력이 소정값이상이라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103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대기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셀 전압검출회로(89)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다시 측정하여, 셀 전압이 제 2의 소정값보다도 작은지 아닌가를 판별한다. 제 2의 소정값은 제 1의 소정값보다도 작으며,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금지 전압(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가 정 상동작 불가능한 전압)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셀 전압이 제 2의 소정값보다도 크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105의 NO)에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시스템 제어회로(50)에 판별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스텝 S103로 되돌아오고, 시스템 제어회로(50)는, 구동전력 검출회로(76)에 의해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구동전력을 다시 측정한다. 즉, 구동전력 검출회로(76)의 검출결과가 소정값이상이며, 또한, 셀 전압이 제 2의 소정값보다도 큰 경우에는, 스텝 S103 및 스텝 S105의 처리에서 루프한다.
또한, 셀 전압이 제 2의 소정값보다도 작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105의 YES),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가 시스템 제어회로(50)에 판별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스텝 S106로 진행하고,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전환부(97)를 제어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을 연료전지(80)로부터 전원 유닛(116)로 전환한다.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가 퍼지 밸브(83)를 구동시켜서 퍼지를 행하고, 연료전지 스택 내의 과잉의 수분이나 불순물을 배기구(96)를 통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로 배기한다. 퍼지 중에,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수소압력을 소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연료 탱크(400) 내의 수소 흡장 합금(410)으로부터 항상 수소가 배기되고, 커넥터 93 및 412를 통해서 연료전지(80)에 보내진다(스텝 S107).
퍼지 종료 후,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전환부(97)를 제어해서 전자 카 메라 본체(100)의 전원을 전원 유닛(116)로부터 연료전지(80)로 전환한다(스텝 S108).
이상, 일련의 연료전지(80)의 제어 동작을 설명했다. 도 3의 처리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가 연료전지(80)를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동안은,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시퀸스 내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적은 경우에 퍼지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퍼지 중의 전압강하에 의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전지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퍼지를 반복해서, 연료전지(80)에 의해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시퀸스 내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큰 경우, 그리고 퍼지를 행할 때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구동에 영향을 주는 상태에서 금방 퍼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연료전지(80) 대신에 전원 유닛(116)가 일시적으로 사용되고, 이 기간 동안에 퍼지를 완료한다. 이에 따라,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연료전지(80)를 퍼지할 수 있고,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연료전지(80)를 주전원으로서 사용해 구동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다양한 사용 상태(제 1 내지 제 5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 예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사용 상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채 방치하고 연료전지(80)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료전지(8O)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해 버린 제 1 사용 상태에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 스위치(72)를 온 한다. 도 5는, 제 1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 스위치(72)가 ON 되었는지 아닌가를 판별한다(스텝 S201). 여기에서, 전원 스위치(72)가 OFF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스텝 S201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스위치(72)가 ON될 때까지 스텝 S201에 있어서의 판별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전원 스위치(72)가 OFF인 상태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판별 처리는 행하지 않게 된다. 전원 스위치(72)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력을 공급받아,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다만, 전원의 제어에 의존해서, 서스펜드(슬리브) 상태 등, 전력 절약 모드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72)의 상태가 OFF 상태로서 판별된다. 이러한 전력 절약 모드에 있어서는, 판별처리(스텝 S201)를 소정시간마다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력 절약 모드의 경우에는, 소정의 조작, 예를 들면 촬영 지시에 응답해, ON 상태가 된다. 이 타이밍에서, 전원 스위치(72)가 ON 상태가 되었다고 판별해도 된다.
전원 스위치(72)가 ON 되었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201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80)의 구동을 시작한다(스텝 S202).
스텝 S202에서 연료전지(80)의 구동이 개시되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 밸브(83)를 구동시켜 퍼지를 행하고,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과잉의 수분이나 불순물을 배기구(96)를 통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로 배기한다.
퍼지 중에,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수소압력이 소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연료탱크(400) 내의 수소 흡장 합금(410)으로부터 항상 수소가 배기되고, 커넥터 93 및 412를 통해서 연료전지(80)에 보내진다(스텝 S203). 그것과 동시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80)로부터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의 전력공급을 개시하여, 카메라를 기동시킨다(스텝 S204).
또한, 스텝 S202에서 시스템 제어회로(50)가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할지 아닌지를, 이하의 방식으로 결정해도 된다. 도 3의 스텝 S101 및 스텝 S10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전압 검출회로(89)는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스템 제어회로에 통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기 때문에 연료전지(80)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해 버렸을 경우에도,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 스위치(72)가 온 되었을 때에 퍼지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료전지(80)의 연료극에 연료가스가 충전되어, 출력 전압의 상승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지가 필요할 때에만 퍼지를 행하면, 전원 스위치의 ON/OFF가 단시간 내에 온/오프되는 경우에 있어서, 비경계적인 퍼지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 사용상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 탱크(400)(연료가스 공급 수단)가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료전지(80)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해 버린 제 2 사용 상태에서, 연료 탱크(400)가 장착된다. 도 6은, 제 2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 연료 탱크(40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유닛(116)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탱크 착탈 검출부(74)를 제어하여, 커넥터(93)에 연료 탱크(400)가 장착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01).
커넥터(93)에 연료 탱크(40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01의 NO)에는, 연료 탱크 착탈 검출부(74)는, 커넥터(93)에 연료 탱크(400)가 장착될 때까지 판별을 반복한다.
또한, 커넥터 93에 연료 탱크(400)가 장착되었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301의 YES)에는, 연료 탱크 착탈 검출부(74)는, 시스템 제어회로(50)에 연료 탱크(400)가 장착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제어회 로(50)는 전원 전환부(97)에게, 전원을 전원 유닛(116)에서 연료전지(80)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302).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 밸브(83)를 구동시켜 퍼지를 행하고,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과잉의 수분이나 불순물을 배기구(96)를 통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로 배기한다. 퍼지 중,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수소압력이 소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연료 탱크(400) 내의 수소 흡장 합금(410)으로부터 항상 수소가 배기되어, 커넥터 93 및 412를 거쳐서 연료전지(80)에 보내진다(스텝 S303).
또한, 도 6에 나타낸 스텝 S302에서는 전원의 전환을 행했지만, 퍼지를 행하고(스텝 S303) 연료전지(80)의 출력이 안정된 후에 전환을 행해도 된다. 또한, 스텝 S3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회로(50)가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 아닌지를, 이하의 사실에 의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도 3의 스텝 S101 및 스텝 S10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전압 검출회로(89)는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퍼지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가 시스템 제어회로에 통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연료 탱크(400)가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연료전지(80)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해 버렸을 경우에도, 연료 탱크(400)가 장착되었을 때에 퍼지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료전지(80)의 연료극에 연료가스가 충전되기 때문에, 연료전지(80)의 출력 전압의 상승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지가 필요할 때에만 퍼지를 행하도록 하면, 바로 연료 탱크(400)가 교환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 비경제적인 퍼지를 방지할 수 있다.
[제 3 사용 상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채 방치하고, 연료전지(80)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료전지(80)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해 버린 제 3 사용 상태에서, 오토 파워-오프가 실행된다. 도 7은, 제 3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자 카메라 본제(100)의 전원 스위치(72)가 ON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401). 전원 스위치(72)가 ON 되었을 경우(스텝 S401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80)의 구동을 시작하여,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기동한다(스텝 S402). 전원 스위치(72)가 OFF의 상태인 경우(스텝 S401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스위치(72)가 ON될 때까지 판별처리를 반복한다.
전원 스위치(72)가 OFF인 상태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판별처리는 행하지 않게 된다. 전원 스위치(72)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력의 공급을 받아,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다만, 전원의 제어에 따라서는, 서스펜드(슬리브) 상태 등, 전력 절약 모드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72)의 상태가 OFF 상태로서 판별된다. 이러한 전력 절약 모드에 있어서는, 판별처리(스텝 S401)를 소정시간마다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력 절약 모드의 경우에는, 소정의 조작, 예를 들면 촬영 지시에 응답해, ON 상태가 된다. 이 타이밍에서, 전원 스위치(72)가 ON 상태가 되었다고 판별해도 된다.
다음에,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기동한 후,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타이밍 발생회로(18)를 제어해서 조작부(70) 등의 각종 스위치가 최후에 조작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측량하여,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무조작 상태(이하, 카메라 무조작 상태라고 한다)가 소정시간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403).
스텝 S403에 있어서, 카메라 무조작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403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카메라 무조작 상태가 소정시간이상이라고 판별될 때까지, 조작부(70) 등의 각종 스위치가 최후에 조작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반복해 측정한다.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는, 카메라 무조작 상태가 소정시간이상 경과하면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하는 오토 파워 오프 기능을 갖는다.
스텝 S403에서, 카메라 무조작 상태가 소정시간에 도달했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403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 밸브(83)를 구동시켜서 퍼지를 행하고,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과잉의 수분이나 불순물을 배기구(96)를 통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로 배기한다. 퍼지 중 에,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수소압력이 소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연료 탱크(400) 내의 수소 흡장 합금(410)으로부터 항상 수소가 배출되고, 커넥터 93 및 412를 거쳐서 연료전지(80)에 보내진다(스텝 S404). 퍼지가 종료하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80)의 구동을 정지하고,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가 전력 절약 모드를 갖는 경우에, 상기의 소정시간의 경과 시에는 전력 절약 모드 상태로 되어도 된다. 이 경우, 퍼지는 전력 절약 모드에서 행해지게 된다. 또한, 스텝 S403에서 YES라고 판단될 경우에, 시스템 제어회로(50)가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 아닌지를, 이하의 사실에 근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도 3의 스텝 S101 및 스텝 S10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전압검출 회로(89)는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퍼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가 시스템 제어회로에 통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채 방치하기 때문에 연료전지(80)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해 버렸을 경우에도, 오토 파워 오프를 행하기 전에 퍼지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료극에 연료가스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다음에,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기동할 경우에, 연료전지(80)의 출력 전압의 상승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사용 상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은채 장시간 방치해서 연료전지(80)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료전지(80)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해 버린 제 4 사용 상태에서, 또 오토 파워 오프 상태에서, 재기동된다. 도 8은, 제 4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스위치(72)가 ON되었는지 아닌가를 판별한다(스텝 S501). 여기에서, 전원 스위치(72)가 ON되었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501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80)의 구동을 시작하여,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기동한다(스텝 S502). 또한, 전원 스위치(72)가 OFF라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501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스위치(72)가 ON될 때까지 판별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전원 스위치(72)가 OFF인 상태일 때에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판별처리는 행하지 않게 된다. 전원 스위치(72)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력의 공급을 받아,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다음에,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기동한 후,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타이밍 발생회로(18)를 제어해서 조작부(70) 등의 각종 스위치가 최후에 조작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그것에 의해 카메라 무조작 상태가 소정시간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503).
상기 스텝 S503에 있어서, 카메라 무조작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았 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503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카메라 무조작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으로 될 때까지, 조작부(70) 등의 각종 스위치가 최후에 조작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반복해 계측한다.
또한, 상기 스텝 S503에 있어서, 카메라 무조작 상태가 소정시간에 도달했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503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 전력공급을 정지한다(스텝 S504). 이 경우, 전자 카메라 본체(100)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 전력공급이 정지되어도, 시스템 제어회로(50)에의 전력공급은 예를 들면 전원 유닛(116)로부터 계속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조작부(70) 등의 각종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었는 아닌지(카메라 무조작 상태가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505).
여기에서, 카메라 무조작 상태가 계속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505의 NO)에는, 조작부(70) 등의 각종 조작 스위치가 다시 조작될 때까지, 판단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505에 있어서, 조작부(70) 등의 각종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검출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505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제어회로(98)를 제어해서 연료전지(80)의 구동을 정지하고, 전원 전환부(97)를 제어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을 연료전지(80)에서 전원 유닛(116)로 전환하고,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의 전력공급을 시작한다(스텝 S506).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 밸브(83)를 구동시켜서 퍼지를 행하고,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과잉의 수분이나 불순물을 배 기구(96)를 통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로 배기한다. 퍼지 중에,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수소압력이 소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연료 탱크(400) 내의 수소 흡장 합금(410)으로부터 항상 수소가 배출되고, 커넥터 93 및 412를 통해서 연료전지(80)에 보내진다(스텝 S507). 퍼지 종료 후,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전환부(97)를 제어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을 전원 유닛(116)에서 연료전지(80)로 전환한다(스텝 S508).
또한, 스텝 S506에서 스텝 S507로 이행할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가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할지 아닌지를, 이하의 사실에 근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도 3의 스텝 S101 및 스텝 S10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전압 검출회로(89)는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퍼지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가 시스템 제어회로에 통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해서 연료전지(80)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료전지(80)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한 상태에서, 또 오토 파워 오프 상태에서 재기동하는 경우에는, 연료전지(80)의 퍼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80)의 연료극에 연료가스가 충전되므로, 전자 카메라 본체의 재기동시에 있어서의 연료전지(80)의 출력 전압의 상승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지 중에 연료전지(80) 대신에 전원 유닛(116)를 사용하기 때문에, 퍼지 중에 연료전지(80)의 출력 전압이 강하해도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자 카메라 본체의 구동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5 사용 상태]
제 5 사용 상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가 퍼지 작동 스위치(78)를 온 했을 때에 퍼지를 행하는 사용 상태다. 도 9는, 제 5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스위치(72)가 ON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601). 여기에서, 전원 스위치(72)가 ON 되었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601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80)의 구동을 시작하여,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기동한다(스텝 S602). 또한, 전원 스위치(72)가 OFF 상태라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601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스위치(72)가 ON될 때까지 판별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전원 스위치(72)가 OFF인 상태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판별 처리를 행하지 않게 된다. 전원 스위치(72)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되었을 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력의 공급을 받아,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스텝 S602에 있어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 기동 후,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타이밍 발생회로(18)를 제어해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가 기동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소정시간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 다(스텝 S603). 이 스텝 S603에 있어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가 기동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603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그 시간이 소정시간이상이 될 때까지,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가 기동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반복해 측정한다.
또한, 스텝 S603에 있어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가 기동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이 소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603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퍼지 경고부(55)를 제어하여,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가 퍼지 작동 스위치(78)를 ON하도록 사용자에게 경고를 한다(스텝 S604).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사용자에 의해 퍼지 작동 스위치(78)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605). 여기에서, 퍼지 작동 스위치(78)가 ON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605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퍼지 경고부(55)에 의해 경고를 계속해서 하는 동시에, 퍼지 작동 스위치(78)가 ON되었는지 아닌지를 반복해 판별한다.
또한, 스텝 S605에 있어서, 퍼지 경고부(55)로부터의 경고에 응답해 사용자가 퍼지 작동 스위치(78)를 ON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스텝 S605의 YES)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전환부(97)를 제어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을 연료전지(80)에서 전원 유닛(116)으로 전환한다(스텝 S606).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퍼지 시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 밸브(83)를 구동시켜 퍼지를 행하고,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과잉의 수분이나 불순물을 배기구(96)를 통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로 배기한다. 퍼지 중에, 연료전지 스택(81) 내의 수소압력이 소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연료 탱크(400) 내의 수소 흡장 합금(410)으로부터 항상 수소가 배출되고, 커넥터 93 및 412를 통해서 연료전지(80)로 보내진다(스텝 S607).
퍼지 종료 후,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전환부(97)를 제어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을 전원 유닛(116)에서 연료전지(80)로 전환한다(스텝 S608).
다음에,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타이밍 발생회로(18)를 제어해서 퍼지 종료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소정시간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609).
스텝 S609에 있어서, 퍼지 종료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스텝 S609의 NO)에는,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소정시간이상이 될 때까지, 퍼지가 종료하고나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반복해 계측한다. 또한, 스텝 S609에 있어서, 퍼지 종료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했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609의 YES)에는, 스텝 S604로 되돌아온다.
또한, 스텝 S604에 있어서 경고를 할 경우에, 경고를 했는지 아닌지를 이하의 방식으로 판단해도 된다. 셀 전압 검출회로(89)가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따라, 퍼지의 필요성을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가 시스템 제어회로에 통지한다. 즉, 퍼지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에는, 경고 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가 퍼지 작동 스위치(78)를 온 했을 때에 퍼지를 행한다. 그러므로, 퍼지 중의 전압강하나 퍼지에 의한 충격(사용자의 손의 위치나 얼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는 퍼지 중의 배기구(96)로부터의 배기에 놀라는 등의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에 번거롭게 되는 일없이,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속 구동시간으로부터 퍼지가 필요한 타이밍을 판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에게 퍼지 작동 스위치(78)가 눌러지는 타이밍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지 중에 연료전지(80) 대신에 전원 유닛가 사용되기 때문에, 퍼지 중의 전압강하에 의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의 부족을 방지하고, 카메라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카메라 본체의 구동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5 사용 상태의 다른 동작 예]
전술한 제 5 사용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낸 동작과 다른 동작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 5 사용 상태에서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80)의 제어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0에 나타낸 스텝 S701∼S702의 처리와 스텝 S704∼S707의 처리는, 도 9에 나타낸 스텝 S601∼S602의 처리와 스텝 S604∼S607의 처리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702에 있어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기동 후,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셀 전압 검출회로(89)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해서, 셀 전압이 소정값보다도 작은지 아닌지(퍼지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703).
여기에서, 셀 전압이 소정값보다도 크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703의 NO)에는, 재차 셀 전압 검출회로(89)가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셀 전압이 소정값보다도 작게 될 때까지 스텝 S703의 처리를 반복한다. 셀 전압이 소정값보다도 작다고 판별했을 경우(스텝 S703의 YES)에는,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의 필요성을 시스템 제어회로(50)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퍼지 경고부(5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퍼지 작동 스위치(78)를 ON하도록 사용자에게 경고를 한다(스텝S704).
스텝 S707에 있어서 퍼지 종료 후,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전환부(97)를 제어해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전원을 전원 유닛(116)에서 연료전지(80)로 전환하고(스텝 S708), 그 후에 스텝 S703로 되돌아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가 퍼지 작동 스위치(78)를 온 했을 때에 퍼지를 행하고, 퍼지 중의 전압강하나 퍼지에 의한 충격에 번거롭게 되는 일없이,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료전지(80)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퍼지가 필요하게 되는 타이밍을 판별하고 퍼지가 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경고를 함으로써,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 라의 사용자에게 퍼지 작동 스위치가 눌러지는 타이밍을 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지 중에 연료전지(80) 대신에 전원 유닛(116)가 사용되기 때문에, 퍼지 중의 전압강하에 의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연료전지의 부족을 방지하고, 카메라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연료전지(80)에 의한 전자 카메라 본체의 구동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연료전지(80)가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 내장되고, 연료 탱크(400)가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연료전지(80)가 연료 탱크(400)와 함께 전자 카메라 본체(100)의 외부에 장착되고, 커넥터 93 및 412를 거쳐서 전자 카메라 본체(100)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설치되고, 시스템 제어회로(50)와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선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자신의 상태에 따라 퍼지를 행한다. 따라서, 자신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타이밍에서 연료전지(80)의 퍼지를 행할 수 있고, 연료전지(80)의 구동을 계속할 수 ㅇ있. 또한,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자신의 동작 시퀸스 내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적은 타이밍에서 퍼지를 행하므로, 퍼지 중의 전압강하에 의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전지부족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해서 연료전지(80)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료전지(80) 내의 연료극의 연료가스가 감소해 버린 상태라도,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 스위치(72)가 온 되었을 때에 퍼지를 하고, 그 후에 연료전지(80)의 연료극에 연료가스가 충전되기 때문에, 출력 전압의 상승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했다. 그렇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외의 설계 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로서,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어 사용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콤팩트 카메라, PDA, 휴대전화, 혹은 노트북 등의 소형전자기기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채용한 휴대형 전자장치에 대해서는 휴대전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 및 도 1b에 대응하는 구성소자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부착해서 연료전지(80)와 연료 탱크(400)를 나타냈다.
도 13a 및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휴대전화는 휴대전화 본체(500), 연료 탱크(수소 공급원;400), 전원 유닛(600) 및 연료전지 유닛(700)으로 구성된다. 연료 탱크(400) 및 전원 유닛(600)는 휴대전화 본체(500)에 착탈가능하 게 장착되어 있다.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내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등(이들 각각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을 갖는다. CPU는 ROM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작업영역으로서 내부 RAM의 소정의 영역을 이용해서 휴대전화 본체(500) 전체를 제어한다.
기억부(512)는 휘발성 메모리 RAM, 자기/광 기록매체 및 그것의 리더 유닛,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예를 들면, 기억부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및 각종 동작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전화 본체(500)의 동작 및 시스템의 프로그램과, 동화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 드라이버(520)는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를 메인 표시부(522) 또는 서브 표시부(524)에 출력되는 화상 출력 신호로 변환해서 화상을 표시한다.
조작부(530)는 각종 버튼,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스피커(532)는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로부터 입력된 음성 출력 데이터에 따라 사운드 및 보이스를 출력한다.
마이크로폰(534)은 외부에서 입력된 사운드 및 보이스를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에 출력한다.
전원 스위치(536)는 휴대전화 본체(500)의 전원 온/오프 모드의 각각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동전력 검출회로(538)는 휴대전화 본체(500)의 구동전력을 검출한다.
연료 고갈 경고부(540)는, 연료 탱크(400)의 수소 흡장 합금(410) 내의 수소 잔량이 휴대전화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소정량보다 작게 되면, 수소 흡장 합금(410)에 즉시 수소가 공급되도록 요구되는 사실, 혹은 휴대전화를 구동하는데 충분한 수소를 흡장하는 수소 흡장 합금(410)을 갖는 연료 탱크(40)가 연료전지 유닛(700)에 장착되도록 요구되는 사실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전원 전환부(542)는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의 제어 하에, 휴대전화 본체(500)의 전원을 연료전지 유닛(700)에서 전원 유닛(600)으로 전환하거나, 혹은 전원 유닛(600)에서 연료전지 유닛(700)으로 전환한다.
전원 제어회로(544)는 전지 검출회로, DC-DC 변환기, 전력이 공급되는 블록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로 구성된다. 전원 제어회로는 전지의 종별 및 전지 잔량을 검출하고, 휴대전환 시스템 제어회로(510)로부터의 지시 또는 검출결과에 따라 DC/DC 변환기를 제어해서,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동안 각부에 공급하다.
커넥터 546 및 604는 휴대전화 본체(500)와 전원 유닛(600)을 서로 연결한다.
커넥터 548 및 706은 휴대전화 본체(500)와 연료전지 유닛(700)을 서로 연결한다.
촬영렌즈(554)로부터 입력되어 촬상소자(552) 상에 결상된 화상은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에 출력되는 화상 신호로 변환된다.
통신 안테나(562)는 무선 송신부(564)에 의해 RF 처리되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송수신한다.
송수신 전환 스위치(566)는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에 의해 수신 또는 송신측에 접속된다.
참조번호 568은 수신부이고, 참조번호 570은 수신 데이터 처리부이며, 참조번호 572는 송신부이고, 참조번호 574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이다.
수신 모드에 있어서,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의 제어 하에, 전환 스위치(566)는 우선 수신부(568)측에 접속된다. 통신 안테나(562)에서 수신된 신호는 무선 통신부(564)에서 RF 처리되고, 그 후에 수신부(568)에서 복조되며, 그 다음 수신 데이터 처리부(570)에서 디코드된다.
신호가 음성 데이터이면, 스피커(532)로부터 출력되지만, 신호가 텍스트 데이터 혹은 화상 데이터이면, 표시 드라이버(520)를 통해서 메인 표시부(522) 혹은 서브 표시부(524)에 표시된다.
송신 모드에 있어서, 전환 스위치(566)는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의 제어 하에, 송신부(572)측에 접속된다. 조작부(530), 마이크로폰(534) 또는 촬상소자(55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574)에 입력되고, 송신 데이터 처리부(574)에서 인코드되며, 송신부(572)에서 변조되고, 무선 송신부(564)에서 RF 처리된 후, 통신 안테나(562)로부터 송신된다.
다음에, 전원 유닛(6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 유닛(600)은, 전원(602) 및 커넥터(604)로 구성된다. 전원(602)은 알칼리 전지 및 리튬 전지 등의 1차 전지와, NiCd 전지, NiMH 전지 및 Li 전지 등의 2차 전지와, AC 어댑터로 구성된다. 커 넥터(604)는 전원 유닛(600)과 휴대전화 본체(500)를 서로 연결한다.
다음에, 연료전지 유닛(700)에 대해 설명한다. 연료전지 유닛(700)은, 연료전지 유닛(80), 연료 잔량 검출부(702), 연료 탱크 탈착 검출부(704), 커넥터 706 및 708, 흡기구(710) 및 배기구(712)로 구성된다. 이 실시 예의 휴대전화에 있어서, 연료전지 유닛(700)은 휴대전화 본체(5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연료 탱크(400)는 연료전지 유닛(7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료 잔량 검출부(702)는 커넥터 708 및 412를 통해서 연료전지 유닛(700)에 접속된 연료 탱크(400) 내의 연료 잔량을 검출하고, 즉 수소 흡장 합금(410) 내의 수소 잔량을 검출한다.
연료 탱크 착탈 검출부(704)는 연료 탱크(400)가 커넥터(708)에 장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커넥터 706은 휴대전화 본체(500)와 연료전지 유닛(700)을 서로 연결하고, 커넥터 708은 연료전지 유닛(700)과 연료 탱크(400)를 서로 연결한다. 흡기구(710)는 연료전지(80)의 산소극(미도시)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배기구(712)는 연료전지(80)의 퍼지 중에 연료전지(80)가 사용한 수소, 불순물, 및 공기를 휴대전화 본체(5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에, 도 13a 및 13b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퍼지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도 13a 및 13b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퍼지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우선, 휴대전화 본체(500)는 전원 유닛으로서 연료전지(80)를 이용해서 구동되고,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셀 전압 검출부(89)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셀 전압이 퍼지가 필요한 제 1의 소정값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셀 전압이 제 1의 소정값보다도 크다고 판정되면(스텝 S801에서, No),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스텝 S801로 돌아가 셀 전압 검출회로(89)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셀 전압이 제 1의 소정값보다 작게 될 때까지 스텝 S801을 반복한다.
셀 전압이 제 1의 소정값보다도 작다고 판정되면(스텝 S801에서 YES),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0)는 연료 잔량 검출부(702)를 제어해서 수소 흡장 합금(410) 내의 수소 잔량을 검출하고, 퍼지에 의한 갑작스런 수소 방출에 대하여 충분한 수소의 양이 수소 흡장 합금(410)에 잔존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802).
수소 흡장 합금(410) 내의 수소 잔량이 퍼지를 행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면(스텝 S802에서 NO), 플로우는 스텝 S804로 진행된다. 스텝 S804의 동작 및 그 이후의 스텝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수소 흡장 합금(410) 내의 수소 잔량이 퍼지를 행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면(스텝 S802에서 YES),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 허가 신호를 커넥터 548 및 706을 통해서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에 송신한다(스텝 804).
다음에,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연료전지 유닛(700)의 퍼지에 의한 불순물 배기가 휴대전화 본체(500)의 사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 여부를 판정한 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본체(500)가 촬상소자(552)로 촬영하고 있고 퍼지를 행하면, 불순물 배기 중에 진동에 의해 손이 흔들릴 가능이 있다. 휴대전화 본체(500)가 마이크로폰(534)으로부터 외부의 사운드 및 보이스를 획득하면, 퍼지에 의한 불순물 배기 중에 사운드가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될 가능성이 있다.
스텝 S805에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동작 상태가 연료전지 유닛(700)의 퍼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판정되면(스텝 S805에서 YES),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구동전력 검출부(538)를 제어해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구동전력이 퍼지에 의한 임시 전압 강하에 영향을 받지 않은 레벨을 갖는다(스텝 S806).
스텝 805에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동작 상태가 연료전지 유닛(700)의 퍼지에 영향을 받는다고 판정되면(스텝 S805에서 NO),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셀 전압 검출회로(89)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을 측정하고, 셀 전압이 휴대전화 본체(5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제 2의 소정값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807).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이 제 2의 소정값보다 크면(스텝 S807에서 NO), 플로우는 스텝 805로 되돌아간다.
연료전지 스택(81)의 셀 전압이 휴대전화 본체(500)를 구동할 수 있는 제 2의 소정값보다 작으면(스텝 S807에서 YES),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전원 전환부(542)를 제어해 휴대전화 본제(500)의 전원을 연료전지 유닛(700)에서 전원 유닛(600)으로 전환해, 전력을 커넥터 546 및 604를 통해서 전원(602)으로부터 휴대전화 본체(500)의 각 부에 공급한다(스텝 S808).
다음에, 휴대전화 제어회로(510)는 전류 전지 유닛(700)의 퍼지에 의한 불순 물 배기가 휴대전화 본체(500)의 사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09).
스텝 S809에서 연료전지 유닛(700)의 퍼지에 의한 불순물 배기가 휴대전화 본체(500)의 사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정되면(스텝 S809에서 YES), 플로우는 스텝 S8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809에서 연료전지 유닛(700)의 퍼지에 의한 불순물 배기가 휴대전화 본체(500)의 사용에 영향을 준다고 판정되면(스텝 S809에서 NO), 휴대전화 본체(500)의 동작 상태가 퍼지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될 때까지 이 판정을 반복한다.
스텝 S806에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구동전력이 퍼지에 의한 임시 전압 강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레벨을 갖는다고 판정되면(스텝 S806에서 YES),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퍼지 허가 신호를 커넥터 548 및 706을 통해서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송신한다(스텝 S810).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로부터 퍼지 허가 신호의 수신 시, 퍼지 밸브(83)를 제어해서 연료전지 스택 내의 과잉의 수분 및 불순물을 배기구(712)를 통해서 연료전지 유닛(700)의 외부로 배기한다(스텝 S811).
스텝 S806에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구동전력이 퍼지에 의한 전압 강하에 영향을 받은 레벨을 갖는다고 판정되면(스텝 S806에서 NO),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전원 전환부(542)를 제어해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전원을 연료전지 유닛(700)에서 전원 유닛(600)으로 전환해서, 전력을 전원(602)으로부터 커넥터 546 및 604를 통해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각 부에 공급한다(스텝 S812).
다음에,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퍼지 허가 신호를 커넥터 548 및 706을 통해서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송신한다(스텝 S813).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 허가 신호를 수신해 퍼지 밸브(83)를 구동해서 퍼지를 행하고 연료전지 스택 내의 과잉의 수분 및 불순물을 배기구(710)를 통해서 연료전지 유닛(700)의 외부로 배기한다(스텝 S814).
퍼지가 완료된 후에,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퍼지 완료 통지신호를 커넥터 548 및 706을 통해서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에 송신한다(스텝 S815).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가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로부터 퍼지 완료 통지신호를 수신하면, 전원 전환부(542)를 제어해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전원을 전원 유닛(600)에서 연료전지 유닛(700)으로 전환한다(스텝 S816).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스텝 802에서 퍼지에 의한 갑작스런 수소 방출에 대하여 충분한 수소의 양이 연료 탱크(400)의 수소 흡장 합금(410) 내에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되면 실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4에 나타낸 스텝 802에서,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연료 잔량 검출부(702)를 제어해 수소 흡장 합금(410) 내의 수소 잔량을 검출하고, 퍼지에 의한 갑작스런 수소 방출에 대하여 충분한 수소의 양이 연료 탱크(400)의 수소 흡장 합금(410)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수소 흡장 합금(410) 내의 수소 잔 량이 퍼지에 의한 수소 방출에 충분하지 않으면(스텝 802에서 NO),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는 전원 전환 요구신호를 커넥터 548 및 706을 통해서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에 송신해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전원을 연료전지 유닛(700)에서 전원 유닛(600)으로 전환한다(스텝 S901).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가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로부터 전원 전환신호를 수신하면, 전원 전환부(542)를 제어해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전원을 연료전지 유닛(700)에서 전원 유닛(600)으로 전환하고 전력을 전원(602)으로부터 커넥터 546 및 604를 통해서 휴대전화 본체(500)의 각 부에 공급한다(스텝 S902).
다음에,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연료 고갈 경고부(540)를 제어해 휴대전화를 구동하는데 충분한 수소가 연료 탱크(400)의 수소 흡장 합금(410)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휴대전화 사용자에게 경고한다(스텝 S90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휴대전화에 의하면, 연료전지 유닛(700)의 출력 전압이 낮아져 퍼지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 퍼지 허가 신호가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에 송신된다. 퍼지가 완료되면, 퍼지 완료 통지신호가 송신된다. 수소 흡장 합금(410) 내의 수소 잔량이 퍼지에 필요한 양보다 작으면, 전원 전환 요구신호가 송신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는 연료전지 유닛(70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휴대전화 시스템 제어회로(510)가 연료전지 유닛(700)으로부터 허지 허가 신호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퍼지 허가 신호를 휴대전화 본체(500)의 구동 상태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 제어회로(90)에 송신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가 퍼지에 의한 충격에 번거롭게 되는 일없이, 연속해 사용될 수 있다(사용자가 퍼지에 의해 배기구(712)로부터의 가스 배기 등의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 휴대전화 본체(500)가 퍼지에 의한 임시 전압 강하를 견딜 수 없으면, 휴대전화 본체(500)의 공급 전원이 연료전지 유닛(700)에서 전원 유닛(600)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퍼지 중의 전압 강하에 의해 휴대전화 본체(500)의 전지 고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휴대전화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연료전지 유닛(700)에 의해 계속해서 구동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하는 도 1a, 1b 및 도 2에 나타낸 각 수단과,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 3,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각 스텝은, 컴퓨터의 RAM이나 RO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CD-ROM과 같은 기록매체의 형태로 혹은 각종 전송매체를 통해서, 컴퓨터에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로서는, CD-ROM 이외에,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자기 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매체로서는, 프로그램 정보를 반송파를 이용해서 공급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LAN, 인터넷의 등의 WAN, 무선통신 네트워크 등)에 있어서의 통신매체(광파이버 등의 유선회선이나 무선회선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외의 프로그램 종류도 포함한다. 즉, 컴퓨터에 공급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있어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공동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실현되거나, 공급된 프로그램의 처리의 전두 혹은 일부가 컴퓨터의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의해 행해짐으로써 본 실시 예의 일안 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실현된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되어 있는, 2005년 5월 13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제2005-140840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연료전지 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장치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퍼지 지시를 출력하는 퍼지 제어부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이 미리 결정된 값과 같은지 또는 적은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검출부에서 상기 소비전력이 미리 결정된 값과 같거나 또는 작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퍼지 제어부가 상기 퍼지 지시를 출력하도록 허가하는 퍼지 허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연료전지 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장치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퍼지 지시를 출력하는 퍼지 제어부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서,
    적어도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공급을 온 하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타이밍을 검출했을때 상기 퍼지 제어부가 상기 퍼지 지시를 출력하도록 허가하는 퍼지 허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연료전지 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장치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퍼지 지시를 출력하는 퍼지 제어부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적어도 연료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상기 연료전지 장치의 연료저장부와,
    적어도 상기 연료저장부가 상기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타이밍을 검출했을때 상기 퍼지 제어부가 상기 퍼지 지시를 출력하도록 허가하는 퍼지 허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연료전지 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장치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퍼지 지시를 출력하는 퍼지 제어부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서,
    적어도 소정시간에 걸쳐서 이용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 실행되는 오토 파워 오프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타이밍을 검출했을때 상기 퍼지 제어부가 상기 퍼지 지시를 출력하도록 허가하는 퍼지 허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연료전지 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장치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퍼지 지시를 출력하는 퍼지 제어부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서,
    적어도 오토 파워 오프의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타이밍을 검출했을때 상기 퍼지 제어부가 상기 퍼지 지시를 출력하도록 허가하는 퍼지 허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연료전지 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장치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퍼지 지시를 출력하는 퍼지 제어부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로서,
    적어도 조작부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타이밍을 검출했을때 상기 퍼지 제어부가 상기 퍼지 지시를 출력하도록 허가하는 퍼지 허가부, 및
    적어도 상기 퍼지부가 퍼지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전원 소스를 전환하여 상기 연료전지 장치 이외의 전원 소스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소스 전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삭제
  10. 삭제
  11.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화학 반응시켜서 전력을 출력하는 전원출력부를 갖는 연료전지장치와, 상기 전원 출력부를 퍼지하는 퍼지부와, 상기 퍼지부에 퍼지 지시를 출력하는 퍼지 제어부를 적어도 한 개의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을 검출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상기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이 지정된 값과 같은지 또는 적은지를 판단하는 스텝,및
    상기 검출 스텝에서 검출된 상기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이 지정된 값과 같거나 적은것으로 상기 판단스텝이 판단했을 경우 상기 퍼지 제어부가 퍼지 지시를 출력하도록 허가하는 스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077025932A 2005-05-13 2006-05-12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및 전자기기를작동시키는 전지 KR100987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40840 2005-05-13
JPJP-P-2005-00140840 2005-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304A KR20070118304A (ko) 2007-12-14
KR100987969B1 true KR100987969B1 (ko) 2010-10-18

Family

ID=3739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25932A KR100987969B1 (ko) 2005-05-13 2006-05-12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및 전자기기를작동시키는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45750B2 (ko)
EP (1) EP1882280B1 (ko)
KR (1) KR100987969B1 (ko)
CN (1) CN100559645C (ko)
RU (1) RU2369945C2 (ko)
WO (1) WO2006121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33201A1 (en) 2011-04-21 2012-10-2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converting a solid biomass material
JP2014511936A (ja) 2011-04-21 2014-05-19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固体バイオマス材料を転化させる方法
CN103562352A (zh) 2011-04-21 2014-02-05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转化固体生物质材料的方法
KR101592682B1 (ko) * 2014-04-10 2016-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제어 방법
GB2533272A (en) * 2014-12-05 2016-06-22 Intelligent Energy Ltd Fuel cell system
CN105702984B (zh) * 2016-01-21 2018-07-24 北京理工大学 一种用于低功率燃料电池的控制与电能采集系统
KR101867758B1 (ko) * 2017-03-27 2018-06-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퍼지 제어 장치 및 방법
RU209507U1 (ru) * 2021-07-16 2022-03-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Институт физики высоких энергий имени А.А. Логунова Национального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центра "Курчат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НИЦ "Курчат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 ИФВЭ)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ий источник тока поворотного магнит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7236A (ja) 1997-12-22 1999-11-16 Aqueous Reserch:Kk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2093448A (ja) 2000-09-11 2002-03-29 Osaka Gas Co Ltd 燃料電池の停止方法及び停止保管方法
JP2002093438A (ja) 2000-09-13 2002-03-29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536438A (ja) * 2001-07-25 2004-12-02 バラード パワ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燃料電池パージング法およびパージ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0229A (en) * 1968-11-29 1971-08-17 Gen Electric Fuel cell automatic purge system providing reliable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purging
FR2788170B1 (fr) 1999-01-05 2001-02-16 Air Liquide Procede de purge de circuit de gaz de pile a combustible,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3956568B2 (ja) * 2000-02-18 2007-08-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01097312A1 (fr) * 2000-06-14 2001-1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e de generation de puissance a pile a combustible et procede d'interruption de la generation de puissance d'une pile a combustible
JP2002164065A (ja) 2000-11-27 2002-06-0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及びその運転方法
JP4374782B2 (ja) * 2001-01-18 2009-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162874B2 (ja) * 2001-07-26 2008-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におけるガス漏れ検知方法
JP3731517B2 (ja) 2001-10-02 2006-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4281382B2 (ja) * 2002-04-19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生成水処理システム及び発電装置
US6673481B1 (en) * 2002-07-01 2004-01-06 Utc Fuel Cells, Llc Initiating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or other load powered by a fuel cell at sub-freezing temperature
JP3835362B2 (ja) * 2002-07-05 2006-10-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7282286B2 (en) * 2002-11-28 2007-10-16 Honda Motor Co., Ltd. Start-up method for fuel cell
US20040175598A1 (en) * 2002-12-02 2004-09-09 Bliven David C. Fuel cell power supply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fuel cell power control
US7655336B2 (en) * 2003-05-29 2010-02-02 Honda Motor Co., Ltd. Fuel-cell system
JP4882198B2 (ja) * 2003-09-25 2012-02-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5191001A (ja) 2003-12-02 2005-07-14 Canon Inc 燃料電池装置のガス置換方法、燃料電池装置および燃料電池装置用の機器
US20050162122A1 (en) * 2004-01-22 2005-07-28 Dunn Glenn M. Fuel cell power and management system, and technique for controlling and/or operating same
US20060110635A1 (en) * 2004-11-10 2006-05-25 Canon Kabushiki Kaisha Fuel cell system, gas replacement method for fuel cell system, and device for fuel cel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7236A (ja) 1997-12-22 1999-11-16 Aqueous Reserch:Kk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2093448A (ja) 2000-09-11 2002-03-29 Osaka Gas Co Ltd 燃料電池の停止方法及び停止保管方法
JP2002093438A (ja) 2000-09-13 2002-03-29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536438A (ja) * 2001-07-25 2004-12-02 バラード パワ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燃料電池パージング法およびパージ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59645C (zh) 2009-11-11
EP1882280A4 (en) 2010-06-09
RU2007146510A (ru) 2009-06-20
EP1882280A1 (en) 2008-01-30
RU2369945C2 (ru) 2009-10-10
WO2006121212A1 (en) 2006-11-16
US20150125773A1 (en) 2015-05-07
US8945750B2 (en) 2015-02-03
KR20070118304A (ko) 2007-12-14
US9705143B2 (en) 2017-07-11
CN101176231A (zh) 2008-05-07
US20090023022A1 (en) 2009-01-22
EP1882280B1 (en)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969B1 (ko)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및 전자기기를작동시키는 전지
US9172105B2 (en)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battery check device
JP2000253303A (ja) 電池駆動されるデジタル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2005244311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7218345B2 (en) Notifying available capacity of image-data recording medium
JP5105770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345822B (zh) 电子装置
US7755693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2077715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6222529A (ja) 撮像装置
JP2001117542A (ja) 撮像装置、その起動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420702B2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001251543A (ja) 撮像装置
JP2004087171A (ja) 携帯機器
JP200507792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5011626A (ja) 携帯装置
JP2005004997A (ja) 携帯装置
JP200417308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6191289A (ja) 画像処理装置
JP2004077949A (ja) カメラ
JP2004087170A (ja) 携帯機器
JP2007123186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11089A (ja) 電子機器、および電池切れの判定方法
JP2011181989A (ja) 撮像装置
JP2006229838A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