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854B1 -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 Google Patents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854B1
KR100986854B1 KR1020020075331A KR20020075331A KR100986854B1 KR 100986854 B1 KR100986854 B1 KR 100986854B1 KR 1020020075331 A KR1020020075331 A KR 1020020075331A KR 20020075331 A KR20020075331 A KR 20020075331A KR 100986854 B1 KR100986854 B1 KR 100986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needle
sewing
cloth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874A (ko
Inventor
마사히코 우에타
요우 오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5)을 상하 이동시키는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와, 바늘(5)을 좌우로 요동시키는 바늘대 요동 기구(11)와, 단추(200)를 앞뒤로 보내는 단추 이송 기구(30)와, 천(300)을 앞뒤로 보내는 천 이송 기구(50)와,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바늘대 요동 기구(11),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50)를 구비하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1)에 관한 것으로, 제어 장치(150)는 뿌리감기 재봉시에, 영역(A)의 피치(Pa) 및 영역(C)의 피치(Pc)를 영역(B)의 피치(Pb)보다 작게 하도록 천 이송 기구(5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또한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NECK WRAPPING BUTTON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의 외관 및 이 재봉기의 제어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
도 2는 바늘 상하 이동 기구 및 바늘대 요동 기구의 구체적인 모양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단추 이동 기구의 구체적인 모양이 주로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천 이송 기구의 구체적인 모양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천 이송 기구의 구체적인 모양을, 일부의 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단추달이 재봉에 있어서의 단추 및 천의 위치 관계가 주로 도시된 측면도.
도 7은 뿌리감기 재봉에 있어서의 단추 및 천의 위치 관계가 주로 도시된 평면도.
도 8은 뿌리감기 재봉을 앞으로 갈 때의 재봉과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으로 나눠서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체적인 모양이 도시된 도면.
도 10은 제어 장치의 처리의 흐름이 도시된 플로우 챠트.
도 11은 뿌리감기 재봉후의 단추, 실기둥의 상태가 주로 도시된 측면도.
도 12는 바늘이 하강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뿌리감기 재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재봉기(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5 : 재봉 바늘(바늘) 10 : 바늘 상하 이동 기구
11 : 바늘대 요동 기구(상대 이동 수단)
30 : 단추 이송 기구(상대 이동 수단)
50 : 천 이송 기구(상대 이동 수단)
100 : 단추 이동 기구 150 : 제어 장치(제어 수단)
200 : 단추 201, 202, 203, 204 : 구멍
205 : 왼쪽 실기둥 206 : 오른쪽 실기둥
A : 영역(제 2 영역) B : 영역 (제 3 영역)
C : 영역(제 1 영역) D : 영역(제 1 영역)
E : 영역(제 3 영역) F : 영역(제 2 영역)
Pa, Pb, Pc, Pd, Pe, Pf : 피치
본 발명은, 단추를 천에 꿰매어 붙인 후, 뿌리감기 재봉을 하는 뿌리감기 단 추달이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추를 천에 꿰매어 붙인 후, 단추와 천에 현가된 실기둥의 주위에 실을 감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가 알려져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는, 단추(500)를 천(501)에 꿰매어 붙일 때에는 좌우로 나란한 2개의 실기둥(502, 503)을 단추(500)의 구멍과 천(501)을 연결하도록 형성하고, 실을 감을 때에는 실기둥(502, 503) 양쪽을 타고 넘듯이 재봉 바늘을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뿌리감기 재봉을 실시한다. 천(501)에 대해 기립하여, 단추(500)가 천(501)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뿌리감기 재봉의 권회수가 적으면, 뿌리감기 재봉이 어긋나게 되어, 국부적으로 뿌리감기 재봉의 권회수가 매우 적은 부분이 생겨서, 보기 흉한 바느질이 되어 버린다. 더욱이, 실기둥(502, 503)이 천(501)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단추(500)가 천(501)에 붙어 버리게 되어, 봉제품으로서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뿌리감기에 의해 실기둥(502, 503)이 단단히 조여져서 단추(500)가 천(501)에 붙지 않고 떠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단추(500)를 천(501)에 꿰매어 붙이기 위해서는, 뿌리감기 재봉의 권회수를 많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뿌리감기 재봉의 권회수를 많게 하면, 실의 사용량이 늘어나 버린다. 더욱이, 권회수가 많아진다는 것은, 단추달이 뿌리감기 재봉에 걸리는 공정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실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또한 미관성이 좋은 단추 달기를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예컨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추(200)를 누운 상태로 해서, 단추의 구멍과 천(300) 사이에 실기둥(예컨대 왼쪽 실기둥(205) 및 오른쪽 실기둥(206))을 세움으로써 단추를 천에 꿰매어 붙이고, 그 후, 단추를 기립 상태로 해서, 실기둥에 대해 지그재그 재봉에 의해 뿌리감기 재봉을 실시하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1)에 있어서,
상기 바늘과 단추와 천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대 이동 수단(예컨대, 바늘대 요동 기구(11),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과,
뿌리감기 재봉시에, 단추와 천 사이를 단추쪽의 제 1 영역(예컨대, 영역(C) 또는 영역(D)), 천쪽의 제 2 영역(예컨대, 영역(A) 또는 영역(F)) 및 그밖의 제 3 영역(예컨대, 영역(B) 또는 영역(E))으로 구분한 상기 제 1 영역 및/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가 상기 제 3 영역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보다 커지도록,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예컨대, 제어 장치(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대 이동 수단에 의해 바늘이 단추 및 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실기둥에 뿌리감기 재봉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 1 영역 및/ 또는 제 2 영역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가, 제 3 영역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보다 커지기 때문에, 제 1 영역 및/ 또는 제 2 영역에서 실기둥에 뿌리감기 실이 많이 감기며, 제 1 영역에 실이 많이 감겨졌을 경우, 뿌리감기 실과 실기둥과의 마찰이 커져서 뿌리감기 실이 실기둥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고 실기둥을 단단히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영역에 실이 많이 감겨졌을 경우, 뿌리감기 실에 의해 실기둥을 단단히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 3 영역에서는, 뿌리감기 실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뿌리감기 재봉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천 또는 단추 근처에서는 뿌리감기 실을 많게 하여 밀도를 크게 하고 있으므로, 실기둥이 천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 충분히 유지되어,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이루어지며, 또한, 중간부 근처에서는 뿌리감기 실을 적게 해서 밀도를 작게 하고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 및 실의 비용 삭감을 꾀할 수 있다.
한편,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의 각 비율은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 1 영역에서부터 순서대로, 1:1:3이나, 2:2:1이나 2:3:5 등으로 배분해도 좋다. 또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한쪽, 예컨대 제 2 영역이 없을 경우에는, 제 1 영역과 제 3 영역이 소정의 비율로 구분되며, 이것도, 예를 들어 제 1 영역에서부터 순서대로 3:7:, 7:3 등으로 배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비율은 정수비일 필요는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뿌리감기 재봉에 있어서의 지그재그 재봉의 피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 및/ 또는 제 2 영역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가, 상기 제 3 영역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보다 커지도록, 상기 바늘 상하이동수단 및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단추 및/ 또는 천 근처에서 피치를 작게 하고, 단추와 천의 중간부 근처에서 피치를 크게 하기 때문에, 단추 및/ 또는 천의 근처에서 실기둥에 뿌리감기 실이 많이 감기고, 반대로, 중간부 근처에서는 실기둥에 뿌리감기 실이 적게 감긴다. 다시 말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뿌리감기 재봉은 단추와 천 사이를 지그재그 재봉에 의해 왕복 이동하여 봉제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단추에서 천까지 바느질할 때의 피치 변경 위치와, 천에서 단추까지 바느질할 때의 피치 변경 위치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천에서 단추까지 바느질할 때에는, 단추 및/ 또는 천의 근처 범위에 대한 중간부의 비율을 작게 하고, 단추 및/ 또는 천 근처의 넓은 범위에서 피치를 작게 하여, 단추 및/ 또는 천 근처에서 실기둥에 단단히 뿌리감기 재봉을 할 수 있고, 한편, 단추에서 천까지 바느질할 때에는, 단추 및/ 또는 천의 근처 범위에 대한 중간부의 비율을 많게 하고, 중간부의 넓은 범위에서 피치를 크게 하여, 중간부의 바느질을 빨리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기둥이 천에 대해 기립한 상태를 충분히 유지하면서, 생산성의 향상 및 실의 비용 삭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예컨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7 또는 도 8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추(200)를 누운 상태로 해서, 단추의 구멍과 천(300) 사이에 실기둥(예컨대, 왼쪽 실기둥(205) 및 오른쪽 실기둥(206))을 세움으로써 단추를 천에 꿰매어 붙이고, 그 후 단추를 기립 상태로 해서, 실기둥에 대해 지그재그 재봉에 의해 뿌리감기 재봉을 실시하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1)에 있어서,
상기 바늘과 단추와 천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대 이동 수단(예컨대, 바늘대 요동 기구(11),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과,
실기둥 중에 적어도 한번 상기 바늘이 내려가도록,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실기둥 중에」이라 함은, 여러개의 실기둥으로 이루어진 「실기둥 그룹 중에」이며, 또한 실기둥 그룹이 여러개 존재할 경우, 「실기둥 그룹 중에」 및 「실기둥 그룹과 실기둥 그룹의 사이」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실기둥에 적어도 한번 바늘이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실기둥에 통과된 실에 의해 뿌리감기 재봉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단추 또는 천 근처에 감겨진 뿌리감기 실이 실기둥에 걸림으로써, 뿌리감기 재봉의 실이 단추와 천의 중간부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실기둥이 천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 유지되어,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유지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바늘이 단추 및/ 또는 천 근처의 실기둥 중에 내려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실기둥에 통과된 실에 의해, 단추쪽의 뿌리감기 재봉의 실이 단추와 천의 중간부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유지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실기둥 중에 적어도 한번 바늘이 내려가도록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실기둥에 적어도 한번 바늘이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실기둥에 통과된 실에 의해 뿌리감기 재봉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단추 또는 천 근처에 감겨진 뿌리감기 실이 실기둥에 걸림으로써, 뿌리감기 재봉의 실이 단추와 천의 중간부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실기둥이 천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 유지되며,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유지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를 도시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기(1)는, 베드부(2)와, 베드부(2)의 후단부에 세워서 설치된 세로 동체부(3)와, 세로 동체부(3)의 상부에서부터 베드부(2)와 거의 평행이 되도록 연장되는 아암부(4)와, 아암부(4)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늘대(9)와, 바늘대(9)의 하단부에 부착된 바늘(5)과, 베드부(2) 내에서 바늘(5)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 루퍼(도시 생략)와, 재봉기(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50)를 구비하고 있다.
재봉기(1)는, 바늘대(9)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바늘(5)과 루퍼의 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천(다시 말해, 피봉제물)에 단추를 다는 것이다. 루퍼 및 바늘(5)의 동작 등에 의한 바늘땀의 형성에 대해서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기(1)는,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을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 상하 이동 기구(즉, 바늘 상하이동수단)(10)와,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을 좌우로 요동시켜 바늘(5)을 좌우로 요동시키는 바늘대 요동 기구(즉, 상대 이동 수단)(11)를 구비한다.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는, 구동원이 되는 주축 모터(14)와, 주축 모터(14)의 동력을 전동시키는 주축(7)과, 주축(7)에 의해 전동된 동력에 의해 바늘대(9)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크랭크 기구(18)를 구비한다. 주축 모터(14)는, 재봉기(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주축 모터(14)의 구동 취출축에 주축(7)이 고정되어 있다. 주축(7)은, 앞뒤로 연장되어 있으며, 베어링(7a)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아암부(4)내에 지지되어 있다. 주축(7)의 전단부에 크랭크 기구(18)가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 기구(18)는, 바늘대(9)에 연결되어 있다. 바늘대(9)는, 그 중간부와 상부에 있어서, 바늘대 요동대(6)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바늘대 요동대(6)에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에서는, 주축 모터(14)가 작동하여 주축(7)이 회전하면, 주축(7) 및 크랭크 기구(18)에 의해 주축 모터(14)의 동력이 바늘대(9)에 전동됨과 동시에, 크랭크 기구(18)에 의해 주축(7)의 회전 운동이 바늘대(9)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한편, 주축 모터(14)는,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되어, 주축 모터(14)의 회전각도 또는 구동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157)(도 1에 도시함)가 주축 모터(14)에 설치되고, 인코더(157)에 의해 제어 장치(150)는 주축 모터(14)의 회전각도 또는 구동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바늘대 요동 기구(11)는,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을 좌우로 요동시킴으로써, 좌우 방향(즉, 전후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바늘(5)의 낙하 위치(하강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바늘대 요동 기구(11)는, 구동원이 되는 바늘대 요동 모터(20)와, 바늘대 요동 모터(20)의 동력을 전동하는 제 1 링크(24), 제 2 링크(23), 제 3 링크(22), 바늘대 요동 로드(12) 및 요동 아암(13)과, 요동 아암(13)에 의해 전동된 동력에 의해 바늘대(9)를 좌우로 요동시키는 바늘대 요동대(6)를 구비한다. 바늘대 요동 모터(20)는, 재봉기(1)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바늘대 요동 모터(20)의 구동 취출축에 제 1 링크(24)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제 1 링크(24)는 회전이 자유롭게 제 2 링크(23)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링크(23)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제 3 링크(22)에 부착되어 있다. 제 3 링크(22)의 단부는, 바늘대 요동 로드(12)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바늘대 요동 로드(12)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앞뒤로 연장되어 있으며, 바늘대 요동 로드(12)의 전단부는 요동 아암(13)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요동 아암(13)의 타단부는, 바늘대 요동대(6)의 하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부착되어 있다. 바늘대 요동대(6)의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심 주변(지지점 핀(17) 주변)에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아암부(4)의 전단부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바늘대 요동 기구(11)에서는, 바늘대 요동 모터(20)가 작동하면, 바늘대 요동 모터(20)의 회전이 제 1 링크(24), 제 2 링크(23) 및 제 3 링크(22)를 통해서 바늘대 요동 로드(12)에 전동되어, 바늘대 요동 로드(12)가 요동한다. 바늘대 요동 로드(12)가 회전함으로써, 요동 아암(13)이 바늘대 요동 로드(12)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로 요동하고, 바늘대 요동대(6)가 지지점 핀(17)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해,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이 좌우로 요동하여, 바늘(5)의 낙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바늘대 요동 모터(20)가 주축 모터(14)와 연동하여 동작하는데, 바늘(5)이 베드부(2)의 상부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에만 바늘대(9)가 요동하도록 바늘대 요동 모터(20)가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바늘대 요동 모터(20)의 회전 각도가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바늘대(9)의 진폭이 정해지고, 바늘(5)의 낙하 위치가 결정된다.
더욱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기(1)는, 단추(200)를 눕히고 세우거나, 단추(200)를 이동시키는 단추 이동 기구(100)를 구비한다. 단추 이동 기구(100)는, 바늘대(9)의 후방에 있어서 아암부(4)의 하부에 고정된 플레이트 부재(49)에 여러 가지 부재 또는 여러 가지 기구가 부착됨으로써 구성된다. 단추 이동 기구(100)는, 단추(200)를 클램프하는 동시에 단추(200)를 베드부(2)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키는 척 유닛(71)과, 척 유닛(71)과 함께 단추(200)를 누운 상태(즉,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와 기립 상태(즉, 실질적으로 수직 상태)로 회전시키는 단추 회전 기구(46)와, 척 유닛(71)과 함께 단추(200)를 베드부(2)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켜 단추(200)의 높이를 조정하는 단추높이 조정 기구(40)와, 척 유닛(71)과 함께 단추(200)를 베드부(2)에 대해 앞뒤로 이동시켜 이송하는 단추 이송 기구(즉, 상대 이동 수단)(30)를 구비한다.
단추 이송 기구(30)는, 앞뒤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플레이트 부재(49)에 부착됨과 동시에 재봉기(1)의 한가운데 뚫린 부분(즉, 아암부(4)와 베드부(2) 사이의 공간)으로 뻗어 나오는 이송 베이스(36)와, 이송 베이스(36)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앞뒤로 연장되어 있는 랙부(33)와, 구동원이 되는 동시에 아암부(4)에 고정된 단추 이송 모터(32)를 구비한다. 단추 이송 모터(32)의 구동 취출축에 피니언(32a)이 고정되어 있으며, 피니언(32a)이 랙부(33)에 맞물려 있다. 이 단추 이송 기구(30)에서는, 단추 이송 모터(32)가 작동함으로써, 이송 베이스(36)가 플레이트 부재(49)에 대해 앞뒤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단추 이송 모터(32)는,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된다.
단추높이 조정 기구(40)는, 이송 베이스(36)에 고정된 단추높이 조정 모터(35)와, 단추높이 조정 모터(35)의 구동 취출축에 고정된 피니언(35a)과, 피니언(35a)에 맞물리는 동시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하 랙(41)과, 상하 랙(41)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하 랙(41)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어나오는 척 지지 아암(34)을 구비한다. 이 단추높이 조정 기구(40)에서는, 단추높이 조정 모터(35)가 작동하면, 상하 랙(41)과 함께 척 지지 아암(34)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단추높이 조정 모터(35)는,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된다.
척 유닛(71)은, 단추(200)를 클램프하는 척부(90)와, 척부(90)와 함께 단추(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단추 차동 기구(70)를 구비한다. 단추 차동 기구(70)는, 좌우방향의 축심 주변에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척 지지 아암(34)의 전단부에 부착된 유닛 지지부(81)와, 유닛 지지부(81)에 설치된 차동 모터(72)와,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유닛 지지부(81)에 부착된 베이스(74)와, 베이스(74)와 유닛 지지부(81)와의 사이에 현가되어 있는 동시에 유닛 지지부(81)에 대해 베이스(74)를 좌측을 향해 가세하는 인장 스프링(73)을 구비한다. 구동원이 되는 차동 모터(72)는 리니어 모터로서, 인장 스프링(73)에 의해 차동 모터(72)의 축(72a)과 베이스(74)는 항상 맞붙어 있다. 이 단추 차동 기구(70)에서는, 차동 모터(72)가 작동하면, 축(72a)과 함께 베이스(74)가 유닛 지지부(81)에 대해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차동 모터(72)는,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된다.
척부(90)는, 베이스(74)에 대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척 가동 부재(92) 및 척 가동 부재(93)와, 척 가동 부재(93)의 좌단부에 부착된 척 피스(91b)과, 척 피스(91b)에 좌우로 대향하도록 해서 척 가동 부재(92)의 좌단부에 부착된 척 피스(91a)와, 베이스(7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척 가동 부재(92) 및 척 가동 부재(93)를 이동시키는 레버(82)를 구비한다. 이 척부(90)에서는, 작업자가 레버(82)를 한 방향으로 돌리면, 척 가동 부재(92)가 우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척 가동 부재(93)가 좌측으로 이동하며, 척 피스(91a)와 척 피스(91b)가 서로 접근하여, 척 피스(91a)와 척 피스(91b)의 사이에 단추(200) 가 클램프된다. 한편, 작업자가 수동으로 레버(82)를 다른 방향으로 돌리면, 척 가동 부재(92)가 좌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척 가동 부재(93)가 우측으로 이동해, 척 피스(91a)와 척 피스(91b)가 서로 떨어져서, 단추(200)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단추 회전 기구(46)는, 단추 회전 실린더(37)와, 삼각 링크(38)와, 주 링크(39)와, 회전체(45)를 구비한다. 구동원이 되는 단추 회전 실린더(37)는, 척 지지 아암(34)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단추 회전 실린더(37)는, 복동형의 에어 실린더로서, 로드(37a)를 앞뒤로 전진 및 후퇴시키는 것이다. 로드(37a)의 선단부에, 삼각 링크(38)의 제 1 꼭지점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삼각 링크(38)의 제 2 꼭지점 부분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척 지지 아암(34)의 측부에 부착되어 있다. 삼각 링크(38)의 제 3 꼭지점 부분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주 링크(39)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주 링크(39)의 타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되어 회전체(45)에 부착되어 있다. 회전체(45)는, 유닛 지지부(81)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좌우방향의 축심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되어 척 지지 아암(34)의 전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단추 회전 기구(46)에서는, 단추 회전 실린더(37)가 작동하여, 로드(37a)가 전진하면, 삼각 링크(38), 주 링크(39) 및 회전체(45)를 통해서 유닛 지지부(81)가 회전하여, 척부(90)와 함께 단추(200)가 기립한다. 한편, 단추 회전 실린더(37)가 작동하여, 로드(37a)가 후퇴하면, 삼각 링크(38), 주 링크(39) 및 회전체(45)를 통해서 유닛 지지부(81)가 반대로 회전하여, 척부(90)와 함께 단추(200)가 눕는다. 한편, 제어 장치(150)가 전자 밸브(108)를 제어함으로써, 단추 회전 실린더(37)가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단추 이동 기구(100)에서는, 단추 이송 모터(32)가 작동하면, 단추높이 조정 기구(40), 단추 회전 기구(46), 단추 차동 기구(70) 및 척부(90)와 함께 단추(200)가 바늘(5)에 대해 앞뒤로 이동한다. 단추높이 조정 모터(35)가 작동하면, 단추 회전 기구(46), 단추 차동 기구(70) 및 척부(90)와 함께 단추(200)가 바늘(5)에 대해 상하로 이동한다. 단추 회전 실린더(37)가 작동하면, 단추 차동 기구(70) 및 척부(90)와 함께 단추가 회전하여, 단추(200)가 눕거나 기립한다. 차동 모터(72)가 작동하면, 척부(90)와 함께 단추(200)가 바늘(5)에 대해 좌우로 이동한다.
더욱이,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기(1)는, 천을 홀딩하거나 올려놓는 동시에 천을 앞뒤로 보내는 천 이송 기구(즉, 상대 이동 수단)(50)를 구비한다. 천 이송 기구(50)는, 이송 모터(51)와, 타이밍 벨트(53)와, 천 이송 베이스(54, 54)와, 샤프트(55a, 55b)와, 하부판(56)과, 텅(57)과, 텅 지지부(59)와, 천 유지(保持)부(60)와, 바늘판(61)과, 실린더 베이스(65)와, 텅 실린더(66) 등을 구비한다.
구동원이 되는 이송 모터(51)는 베드부(2)에 고정되어 있고, 이송 모터(51)의 구동 취출축(52)에 타이밍 벨트(53)가 걸려져 있다. 타이밍 벨트(53)는 종동 롤러(58)에 걸려 있다. 종동 롤러(58)가 구동 취출축(52)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고, 타이밍 벨트(53)는 앞뒤로 연장되어 있다. 타이밍 벨트(53)에 천 이송 베이스(54, 54)가 고정되어 있다. 천 이송 베이스(54, 54)는 샤프트(55a, 55b)에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55a, 55b)는 앞뒤로 연장되어 있으며, 천 이송 베이스(54, 54)는 샤프트(55a, 55b)에 대해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천 이송 베이스(54, 54)의 상단부에는, 대략 수평면을 갖는 하부판(56)이 고정되어 있다. 하부판(56)의 앞 부분에는 개구(56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56a)의 뒤쪽에 있어서 바늘판(61)이 부착되어 있다. 바늘판(61)의 중앙부에는 바늘 구멍(61b)이 형성되어 있고, 바늘판(61)의 앞쪽 가장자리부에는 오목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판(56)에 있어서, 오목부(61a)와 바늘 구멍(61b)에 대응하는 곳에는, 바늘 구멍이 되는 긴 구멍(56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는, 하부판(56)이 천 이송 베이스(54, 54)로부터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천 이송 베이스(54, 54)의 하단부에는, 실린더 베이스(65)의 후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베이스(65)는, 하부판(56)의 하방에 있어서 앞뒤로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 베이스(65)의 전단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텅 지지부(59)가 좌우방향의 축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텅 지지부(59)의 선단부에 텅(57)이 고정되어 있다. 텅(57)의 선단부에는, 바늘 구멍(5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텅 실린더(66)의 기단부가, 좌우 방향의 축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되어, 실린더 베이스(65)의 중간부에 부착되어 있다. 텅 실린더(66)는, 출력 로드(66a)를 전진 및 후퇴시키는 것이다. 출력 로드(66a)는, 좌우방향의 축 주변에 회전가능하게 되어, 텅 링크(67)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텅 링크(67)의 타단부는, 텅 지지부(59)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하부판(56)의 가장 앞부분에는, 텅(57)마다 천을 끼워서 홀딩시키는 천 홀딩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천 홀딩부(60)는 2개의 스프링 끼움지지부(60a, 60a)를 가지고 있다. 각 스프링 삽입부(60a)는, 상하로 대향하는 2개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 홀딩부(60)의 뒤쪽 가장자리부에는 개구(56a)를 향하도록 바늘 구멍(6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천 이송 기구(50)에서는, 텅 실린더(66)의 동력에 의해, 텅 지지부(59)와 함께 텅(57)이 눕거나 기립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이송 모터(51)의 동력에 의해, 하부판(56)과 함께 텅(57)이 일체가 되어 전후방향(즉, 천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송 모터(51) 및 텅 실린더(66)는,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된다.
재봉기(1)의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CPU(151)와, RAM(152)과, ROM(153)과, 이들을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를 갖는 연산처리장치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제어 장치(150)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등)(154)와, 디스플레이 장치(154)의 표시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155)과, 봉제 개시를 지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작 페달(156)을 구비하고 있다.
CPU(151)에 주축 모터(14), 바늘대 요동 모터(20), 단추 이송 모터(32), 단추높이 조정 모터(35), 이송 모터(51) 및 차동 모터(72)가 드라이버 회로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151)에 디스플레이 장치(154)가 표시 제어 회로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CPU(151)에 조작 페달(156) 및 터치 패널(155)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조작 페달(156)은, 작업자가 밟음으로써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더욱이, CPU(151)에 전자 밸브(108)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터치 패널(155)은, 디스플레이 장치(154)의 표시면이 터치되었음을 검지하여, 그것을 CPU(151)에 출력하는 것이다. 작업자는, 터치 패널(155)을 조작(즉, 터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ROM(153)에는, 재봉기(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이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제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CPU(151)는, RAM(152)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ROM(15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연산을 할 수 있는 동시에, 터치 패널(155) 또는 인코더(15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 연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CPU(151)는, 연산 결과에 따른 신호를 주축 모터(14), 바늘대 요동 모터(20), 단추 이송 모터(32), 단추높이 조정 모터(35), 이송 모터(51), 차동 모터(72), 전자 밸브(108) 및 디스플레이 장치(154)에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50)는, 주축 모터(14), 바늘대 요동 모터(20), 단추 이송 모터(32), 단추높이 조정 모터(35), 이송 모터(51), 차동 모터(72), 텅 실린더(66), 단추 회전 실린더(37) 및 디스플레이 장치(154)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재봉기(1)(즉,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바늘대 요동 기구(11), 단추 차동 기구(70), 단추 회전 기구(46), 단추높이 조정 기구(40),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가 천에 대해 단추를 띄운 상태에서의 감침질(이하, 간단히 단추달이 재봉이라 함) 또는 뿌리감기 재봉에 관련된 동작을 행한다.
재봉기(1)에 의한 단추달이 재봉 및 뿌리감기 재봉(단추달이 및 뿌리감기 재봉을 합쳐서, 단추달이 뿌리감기 재봉이라 함)에 대해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단추달이 재봉에서의 단추(200)와 천(300)의 위치 관계 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뿌리감기 재봉에서의 단추(200)와 천(300)의 위치 관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단추(200)는 4구멍 단추라고 가정하고(단추(200)에는 구멍(201, 202, 203, 204)이 형성되어 있음), 단추달이 재봉은 평행 재봉(구멍(201) 및 구멍(202)에 대한 바늘 낙하가 순차적으로 반복된 후에, 구멍(203) 및 구멍(204)에 대한 바늘 낙하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이루어지는 재봉)인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구멍(201)과 구멍(202)은 앞뒤로 나란하고, 구멍(203)과 구멍(204)도 앞뒤로 나란하며, 구멍(201)과 구멍(204)은 대각으로 나란하다.
먼저, 작업자가 텅(57)의 선단부를 감싸듯이 천을 텅(57)에 세팅하면, 텅 실린더(66)에 의해 출력 로드(66a)가 끌려들어오고, 텅 지지부(59)가 기립하도록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텅(57)의 선단부가 스프링 삽입부(60a, 60a)를 향해 이동하여, 텅(57)과 함께 천이 스프링 삽입부(60a, 60a)에 끼워진다. 이 때, 바늘 구멍(57b)은, 상하방향에서 보면 바늘 구멍(60b)에 대해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세팅된 옷감에 대해, 척부(90)에 클램프된 단추(200)는, 텅(57)의 선단부 근처(즉, 천 홀딩부(60)의 근처)에 배치된다.
천(300)이 천 홀딩부(60)에 세팅되면, 척부(90)에 클램프된 단추(200)는, 도 6에 도시하는 위치로 단추 이동 기구(100)에 의해 이동됨과 동시에, 천(300)은 도 6과 같은 위치로 천 이송 기구(50)에 의해 이동된다. 즉, 천 이송 기구(50)는, 바늘 구멍(60b) 및 바늘 구멍(57b)을 바늘(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천(300)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단추 이동 기구(100)는 바늘(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단 추(200)를 이동시킨다. 단추 이동 기구(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단추 회전 기구(46)가 단추(200)를 눕힌 상태로 해서, 단추높이 조정 기구(40)가 천(300)으로부터 주어진 간격(이하, 이 간격을 단추 높이(j)(도 7에 도시)라고 함)을 비우도록 해서 단추(200)를 천(300)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더욱이, 단추(200)의 중심부(다시 말해, 구멍(201)과 구멍(204)의 대각선과, 구멍(203)과 구멍(202)의 대각선의 교차부)가 바늘(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단추 차동 기구(70) 및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단추달이 재봉의 준비가 완료된다.
그런 다음, 바늘대 요동 기구(11)가 바늘(5)을 구멍(201)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가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단추(200)와 천(3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해서 천 이송 기구(50)가 천(300)을 앞뒤로 왕복 이동시키는 동시에,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앞뒤로 왕복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바늘(5)이 구멍(201)과 구멍(202)에 교대로 낙하하여, 윗실이 단추(200)와 천(300)의 사이에 현가된다(이하, 구멍(201) 및 구멍(202)과 천(300)에 현가된 실을 왼쪽 실기둥(205)이라고 함). 한편, 단추(200) 및 천(300)의 전후 이동은, 바늘(5)이 구멍(201) 및 구멍(202)으로부터 위쪽으로 빠져 있을 때 이루어진다.
구멍(201) 및 구멍(202)에 대한 바느질이 종료되면, 바늘대 요동 기구(11)가 바늘(5)을 구멍(204)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가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단추(200)와 천(3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해서 천 이송 기구(50)가 천(300)을 앞뒤로 왕복 이동시키는 동시에,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앞뒤로 왕복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바늘(5)이 구멍(203)과 구멍(204)에 교대로 낙하하여, 구멍(203) 및 구멍(204)과 천(300)에 오른쪽 실기둥(206)이 세워진다.
구멍(203) 및 구멍(204)에 대한 바느질이 끝나면, 실 절단 기구가 윗실을 한번 절단하여, 단추 회전 기구(46)가 단추(200)를 천(300)(바꿔 말하면, 텅(57)의 선단)의 후방에서(즉, 하부판(56)의 개구(56a)에서) 단추(200)를 기립시킨다. 이것에 의해, 단추(200)와 천(300)의 위치 관계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이어서, 바늘대 요동 기구(11)가 바늘(5)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천 이송 기구(50)가 천을 이동시킴으로써, 왼쪽 실기둥(205)의 밑동(왼쪽 실기둥(205)이 천(300)을 관통하고 있는 위치 근처)의 바로 위에 바늘(5)이 위치한다. 이 때, 단추(200)와 천(300)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해서,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도 이동시킨다.
그 다음,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가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에 연동하여 바늘대 요동 기구(11)가 바늘대(9)와 함께 바늘(5)을 실기둥(205, 206) 상에서 좌우로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바늘(5)은 왼쪽 실기둥(205)의 왼쪽 옆 및 오른쪽 실기둥(206)의 오른쪽 옆에 교대로 반복되도록 하강한다. 이 때, 단추(200)와 천(3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해서 천 이송 기구(50)가 천(300)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앞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바늘 낙하 지점(P1)으로부터 단추(200)를 향해서 지그재그로 뿌리감기 실(207)이 왼쪽 실기둥(205) 및 오른쪽 실기둥(206)을 감도록 해서 실행되어, 이 지그재그 재봉이 뿌리감기 재봉이 된다.
단추(200) 근처까지 뿌리감기 재봉이 종료되면, 바늘(5)이 상하 이동 및 좌우 요동 운동하면서, 단추(200)와 천(3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해서, 천 이송 기구(50)가 천(300)을 반대로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반대로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단추(200) 근처에서부터 바늘 낙하 지점(P2)을 향해 뿌리감기 재봉이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재봉기(1)가 동작하도록, 제어 장치(150)가 주축 모터(14), 바늘대 요동 모터(20), 단추 이송 모터(32), 단추높이 조종모터(35), 단추 회전 실린더(37), 이송 모터(51), 텅 실린더(66) 및 차동 모터(72)를 CPU(151)에 의해 제어한다.
뿌리감기 재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뿌리감기 재봉을, 천(300)에서부터 단추(200)를 향한 바느질(즉, 단추(200) 및 천(300)이 앞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바느질. 이하, 앞으로 갈 때의 재봉이라고 함. 도 8(a)에 도시함)과, 단추(200)에서부터 천(300)을 향한 바느질(즉, 단추(200) 및 천(300)이 뒤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바느질. 이하,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이라고 함. 도 8(b)에 도시함)로 나눠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300)의 선단으로부터 거리(g)의 지점과, 단추(200)로부터 거리(h)의 지점까지의 사이에, 뿌리감기 재봉이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더욱이, 이하에서는, 뿌리감 기 재봉이 실시되는 영역을 영역(I)라고 하며, 영역(I)의 천 이송 방향(즉, 전후방향)의 길이는 길이(i)라고 한다.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단추 높이(j)=거리(g)+거리(h)+길이(i)이다.
앞으로 갈 때의 재봉 및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 모두, 뿌리감기 재봉을 천 이송 방향에서 3개의 영역으로 구분했을 경우, 이송 방향의 단위길이당 바늘 낙하 회수(이하, 실 밀도라고 함)가 각 영역마다 다르다. 앞으로 갈 때의 재봉에 있어서는, 천(300)쪽의 영역(A)(영역(A)의 천 이송 방향의 길이는 길이(a)임), 단추(200)쪽의 영역(C)(영역(C)의 천 이송 방향의 길이는 길이(c)임), 영역(A)와 영역(C) 사이의 영역(B)(영역(B)의 천 이송 방향의 길이는 길이(b)임)의 각각은, 실 밀도가 다르다. 마찬가지로,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에 있어서는, 단추(200)쪽의 영역(D)(영역(D)의 천 이송 방향의 길이는 길이(d)임), 천(300)쪽의 영역(F)(영역(F)의 천 이송 방향의 길이는 길이(f)임), 영역(D)와 영역(F) 사이의 영역(E)(영역(E)의 천 이송 방향의 길이는 길이(e)임)의 각각은, 실 밀도가 다르다. 또한, 길이(i)=길이(a)+길이(b)+길이(c)=길이(d)+길이(e)+길이(f)이다.
구체적으로는, 바늘(5)의 1회 동작당(즉, 바늘(5)이 왼쪽 실기둥(205)의 왼편에서 하강한 다음, 오른쪽 실기둥(206)의 오른편에서 하강할 때까지(또는 오른쪽 실기둥(206)의 오른편에서 하강한 다음 왼쪽 실기둥(205)의 왼편에서 하강할 때까지)) 단추(200) 및 천(300)의 전후방향의 이송량(이하, 간단히 피치라고 함)은, 각 영역(A)∼(F)마다 다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영역(A)의 피치(Pa) 및 영역(C)의 피치(Pc)는 영역(B)의 피치(Pb)보다 작게 되어 있고, 영역(D)의 피치(Pd) 및 영역(F)의 피치(Pf)는 영역(E)의 피치(Pe)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즉, 영역(A) 및 영역(C)의 실 밀도는 영역(B)의 실 밀도보다 크고, 영역(D) 및 영역(F)의 실 밀도는 영역(E)의 실 밀도보다 크다. 한편, 피치(Pa)와 피치(Pc)는 서로 같아도 되고, 피치(Pd)와 피치(Pf)는 서로 같아도 무방하다. 또한, 길이(d)와 길이(c)는 다르며, 길이(d)쪽이 길이(c)보다 짧다. 또한, 길이(a)와 길이(f)는 다르며, 길이(f)가 길이(a)보다 길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앞으로 갈 때의 재봉과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에서, 피치가 바뀌는 타이밍이 다르다.
이상과 같이 하기 위해, 뿌리감기 재봉에 있어서 제어 장치(150)는, 다음과 같이 해서,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주축 모터(14)), 바늘대 요동 기구(11)(바늘대 요동 모터(20)), 천 이송 기구(50)(이송 모터(51)) 및 단추 이송 기구(30)(단추 이송 모터(32))를 제어한다. 먼저, 바늘 낙하 지점(P1)에 바늘(5)이 하강하도록, 제어 장치(150)는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바늘대 요동 기구(11),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이 바느질을 시작 고정 재봉이라고 함). 그 후,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거리(g)만큼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또한 천 이송 기구(50)가 천(300)을 거리(g)만큼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 장치(150)가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를 제어한다. 이 때, 바늘대 요동 기구(11)가 바늘(5)을 왼쪽으로 약간 요동시키도록, 또한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가 바늘(5)을 하강시키도록, 제어 장치(150)가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및 바늘대 요동 기구(11)를 제어한다.
그 후,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가 바늘(5)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또한 바늘대 요동 기구(11)가 바늘(5)을 좌우로 요동시키도록, 제어 장치(150)가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및 바늘대 요동 기구(11)를 제어한다. 바늘(5)의 상하 이동이 반복되고 있는 가운데, 바늘(5)의 1회 동작마다 피치(Pa)만큼 천 이송 기구(50)가 천(300)을 앞쪽으로 보내도록, 또한, 바늘(5)의 1회 동작마다 피치(Pa)만큼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앞쪽으로 보내도록, 제어 장치(150)가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구멍(201)과 구멍(203) 사이의 간격인 동시에 피치(Pa)의 지그재그 재봉(뿌리감기 재봉)이 영역(A)에 실시된다.
제 1 피치 변경 위치(Y1)에 도달해, 영역(A)의 지그재그 재봉이 끝나면(즉, 뿌리감기 재봉이 시작된 다음, '거리(g)+거리(a)'만큼 단추(200) 및 천(300)이 이동하면), 제어 장치(150)는, 1회 동작마다의 이송량을 피치(Pb)로 변경하도록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바늘(5)이 하강하여 그 다음번의 1회 동작시에도 피치(Pa)만큼 단추(200) 및 천(300)이 이송되는 것이면, 그 다음에 바늘(5)이 영역(B)에 하강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제어 장치(150)는, 다음의 1회 동작의 이송량을 피치(Pb)로 변경하도록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 그 후, 피치(Pb)만큼 천 이송 기구(50)가 천(300)을 앞쪽으로 보내도록, 또한, 바늘(5)의 1회 동작마다 피치(Pb)만큼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앞쪽으로 보내도록, 제어 장치(150)가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 물론, 제어 장치(150)는,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의 상하 구동 및 바늘대 요동 기구(11)의 바늘 요동 구동을 계속 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구멍(201)과 구멍(203) 사이의 간격인 동시에 피치(Pb)의 지그재그 재봉이 영역(B)에 실시된다.
뿌리감기 재봉이 시작된 다음, '거리(g)+길이(a)+길이(b)'만큼 단추(200) 및 천(300)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제 2 피치 변경 위치(Y2)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150)는, 1회 동작마다의 이송량을 피치(Pc)로 변경하도록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구멍(201)과 구멍(203) 사이의 간격인 동시에 피치(Pc)의 지그재그 재봉이 영역(C)에 실시된다.
뿌리감기 재봉이 시작된 다음, '거리(g)+길이(a)+길이(b)+길이(c)'만큼 단추(200) 및 천(300)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제 3 피치 변경 위치(Y3)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150)는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의 이송 방향을 뒤쪽으로 전환한다. 더욱이, 바늘(5)의 상하이동이 반복되고 있는 가운데, 바늘(5)의 1회 동작마다 피치(Pd)만큼 천 이송 기구(50)가 천(300)을 앞쪽으로 보내도록, 또한 바늘(5)의 1회 동작마다 피치(Pd)만큼 단추 이송 기구(30)가 단추(200)를 앞쪽으로 보내도록, 제어 장치(150)가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이 시작되고, 구멍(201)과 구멍(203) 사이의 간격인 동시에 피치(Pd)의 지그재그 재봉이 영역(D)에 실시된다.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이 시작된 다음, '길이(d)'만큼 단추(200) 및 천(300)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제 4 피치 변경 위치(Y4)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150)는, 1회 동작마다의 이송량을 피치(Pe)로 변경하도록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구멍(201)과 구멍(203) 사이의 간격인 동시에 피치(Pe)의 지그재그 재봉이 영역(E)에 실시된다. 더욱이,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이 시작된 다음, '길이(d)+길이(e)'만큼 단추(200) 및 천(300)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제 5 피치 변경 위치(Y5)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150)는, 1회 동작마다의 이송량을 피치(Pf)로 변경하도록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구멍(201)과 구멍(203) 사이의 간격인 동시에 피치(Pf)의 지그재그 재봉이 영역(F)에 실시된다. 영역(F)에 지그재그 재봉이 종료되면, 바늘 낙하 지점(P2)에 바늘(5)이 하강하도록, 제어 장치(150)는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바늘대 요동 기구(11), 천 이송 기구(50) 및 단추 이송 기구(30)를 제어한다(이 바느질을 끝 고정 재봉이라고 함).
이상에 의해, 앞으로 갈 때의 재봉 및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으로 이루어진 뿌리감기 재봉이 실기둥(205, 206)에 실시된다.
이상의 재봉기(1)에서는, 여러 가지 형상의 단추를 천에 꿰매어 붙이거나, 꿰매 붙이는 느낌을 변경하거나 할 수 있게, 여러 가지 항목을 데이터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재봉기(1)가 단추달이 뿌리감기 재봉을 실시하기 전에, 제어 장치(150)에 의해 도 9의 (a), (b)와 같은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54)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화면을 본 작업자가 터치 패널(155)을 조작(터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항목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150)가 입력 데이터에 따라 주축 모터(14), 바늘대 요동 모터(20), 단추 이송 모터(32), 단추높이 조정 모터(35), 단추 회전 실린더(37), 이송 모터(51), 텅 실린더(66) 및 차동 모터(7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정할 수 있는 항목에 대해 설명한다. 설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는, 천(300)에 대한 단추(200)의 높이(j)와, 뿌리감기 재봉이 실시되는 영역(I)과 천(300) 사이의 거리(g)와, 영역(I)와 단추(200) 사이의 거리(h)와, 영역(A)의 길이(a)와, 영역(A)내의 피치(Pa)와, 영역(B)내의 피치(Pb)와, 영역(C)의 길이(c)와, 영역(C)내의 피치(Pc)와, 영역(D)의 길이(d)와, 영역(D)내의 피치(Pd)와, 영역(E)의 길이(e)와, 영역(E)내의 피치(Pe)와, 영역(F)의 길이(f)와, 영역(F)내의 피치(Pf)가 있다.
이하, 설정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추 표시부(400)와, 항목 표시부(401)가 설정 화면에 표시된다. 단추 표시부(400)에는, 단추의 평면도(402)와, 단추의 측면도(403)와, 거리(j)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04)과, 거리(h)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05)과, 거리(g)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06)이 표시되어 있다. 평면도(402)에는, 단추의 이미지와 함께 인출선 및 치수선이 부가되어 있고, 구멍과 구멍의 앞뒤 간격 및 구멍과 구멍의 좌우 간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수치가 표시되어 있다. 측면도(403)에는, 단추, 실기둥 뿌리감기 재봉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측면도(403)에 여러 가지 치수선이 부가되어 있고, 인출선에 의해 각 치수선에 항목 아이콘(404, 405, 406)이 각각 대응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항목 아이콘(404, 405, 406)이 어느 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각 항목 아이콘(404, 405, 406)에는, 해당 항목 아이콘(404, 405, 406)에 대응하는 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수치가 표시되어 있다.
항목 표시부(401)에는, 길이(a)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07)과, 피치(Pa)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08)과, 피치(Pb)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09)과, 길이(c)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10)과, 피치(Pc)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11)과, 길이(d)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12)과, 피치(Pd)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13)과, 피치(Pe)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14)과, 길이(f)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15)과, 피치(Pf)에 대응하는 항목 아이콘(416)이 표시되어 있다.
각 항목 아이콘(407∼416)에는, 단추, 실기둥 및 뿌리감기 재봉의 측면도와 함께 인출선 및 치수선이 그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항목 아이콘(407∼416)이 어느 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각 항목 아이콘(407∼416)에 대응하는 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수치가 표시되어 있다.
작업자는 항목 아이콘(404∼416)을 터치함으로써(실제로는, 각 항목 아이콘(404∼416)의 표시 장소에서 터치 패널(155)을 터치한다. 이하,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임) 각 항목 아이콘(404∼416)에 대응하는 항목의 수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항목 아이콘(410)을 터치하면, 표시 화면은 도 9의 (b)와 같은 화면으로 바뀐다. 즉, 항목 표시부(401)가 수치 입력 표시부(417)로 바뀐다. 수치 입력 표시부(417)에는, 「0」∼「9」의 수치 아이콘(부호 생략)과, 리턴 아이콘(418)과, 항목 아이콘(419)이 표시되어 있다. 항목 아이콘(419)은, 도 9의 (a)의 화면에서 터치된 아이콘과 동일한 것이 표시된다. 작업자는, 「0」∼「9」의 수치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항목 아이콘(419)에 서로 대응하는 항목(도 9의 (b)에서는, 길이(c))의 수치를 입력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리턴 아이콘(418)을 터치함으로써, 항목 아이콘(419)에 서로 대응하는 항목이 입력된 수치로 설정된다. 또한, 리턴 아이콘(418)이 터치되면, 표시화면은 도 9의 (a)와 같은 화면으로 바뀐다. 한편, 도 9의 (a) 또는 (b)로의 화면 전환은, 터치 패널(15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터치의 장소에 따른 신호임)에 따라 제어 장치(150)가 CPU(151)에 의해 표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54)에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터치 패널(15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수치를 제어 장치(150)가 CPU(151)에 의해 인식하여, 그 수치가 RAM(152)에 저장됨으로써, 각 항목의 수치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하, CPU(151)의 연산에 의한 제어 장치(150)의 처리의 흐름, 그 처리에 의한 재봉기(1)의 동작을 도 10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 장치(150)에 의해 도 9의 (a)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54)에 표시되고, 조작 페달(156)이 작업자에 의해 밟혀졌는지의 여부(조작 페달(156)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제어 장치(150)는 판정한다(스텝 S1). 조작 페달(156)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1 : NO), 작업자가 도 9의 (b)와 같은 화면에서 터치 패널(155)을 터치하여 각 항목의 수치(데이터)를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제어 장치(150)는 판정한다(스텝 S2). 작업자가 각 항목의 수치를 입력했을 경우(스텝 S2 : YES), 제어 장치(150)는 각 항목을 입력된 수치로 설정하고(스텝 S3), 제어 장치(150)의 처리는 스텝 S1으로 이행한다. 작업자가 각 항목의 수치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스텝 S2 :NO), 제어 장치(150)의 처리는 스텝 S1로 이행한다. 조작 페달(156)이 조작자에 의해 밟혀질 때까지의 동안에, 제어 장치(150)는 스텝 S1∼스텝 S3의 처리를 반복하여, 각 항목의 수치를 입력하여 설정한다.
조작 페달(156)이 작업자에 의해 밟혀졌을 경우(스텝 S1 : YES), 제어 장치(150)의 처리는 스텝 S4로 이행한다. 한편, 작업자가 각 항목의 수치를 입력하지 않고 조작 페달(156)을 밟았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150)는 각 항목을 미리 ROM(153)에 기억된 디폴트값으로 설정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 장치(150)는, 각 항목의 데이터(즉, 입력된 수치 또는 디폴트값)에 근거하여, 단추달이 재봉 및 뿌리감기 재봉에 관련된 바늘 낙하 위치 등을 연산한다. 이 때, 제어 장치(150)는, 단추 높이(j)로부터 길이(a), 길이(c), 거리(g) 및 거리(h)를 뺌으로써 길이(b)를 산출함과 동시에, 단추 높이(j)에서 길이(d), 길이(f), 거리(g) 및 거리(h)를 뺌으로써 길이(e)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 장치(150)가 주축 모터(14), 바늘대 요동 모터(20), 단추 이송 모터(32), 단추높이 조정 모터(35), 이송 모터(51), 차동 모터(72) 및 전자 밸브(108)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달이 재봉이 실시된다(스텝 S5).
그 후, 제어 장치(150)가 단추 회전 실린더(37)를 제어함으로써, 단추(200)가 누운 상태에서 기립 상태로 단추 회전 기구(46)에 의해 회전된다(스텝 S6). 그 다음, 제어 장치(150)는 상술한 시작 고정 재봉을 제어한다(스텝 S7). 그런 다음, 제어 장치(150)가 주축 모터(14), 바늘대 요동 모터(20), 단추 이송 모터(32) 및 이송 모터(51)를 제어함으로써(스텝 S8),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바늘대 요동 기구(11), 바늘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영역(A)에서 피치(Pa)의 지그재그 재봉이 실시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0)는, 1회의 바늘 낙하당 이송량을 순차적으로 피치(Pb), 피치(Pc), 피치(Pd), 피치(Pe), 피치(Pf)로 변경하도록 단추 이송 모터(32)와 이송 모터(51)를 제어한다(스텝 S9∼스텝 S13). 이것에 의해,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바늘대 요동 기구(11),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영역(B), 영역(C), 영역(D), 영역(E) 및 영역(F)에서 순차적으로 지그재그 재봉이 실시된다. 그 후, 제어 장치(150)는, 상술한 끝 고정 재봉을 제어한다(스텝 S14).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뿌리감기 재봉후에는, 실기둥(205, 206)이 뿌리감기 실(즉, 뿌리감기 재봉에 있어서 바늘(5)에 의해 감겨진 실)(207)에 의해 조여진다. 특히, 영역(A)(영역(F)), 영역(C)(영역(D))에 있어서, 실기둥(205, 206)에 뿌리감기 실(207)이 많이 감겨지기 때문에, 단추(200) 및 천(300) 근처에서 실기둥(205, 206)이 강하게 조여진다. 따라서, 단추(200) 및 천(300)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 충분히 유지되어,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이루어진다. 한편, 영역(B)(영역(E))에 있어서, 실기둥(205, 206)에 뿌리감기 실(207)이 조금 감겨지기 때문에, 실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뿌리감기 재봉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한편, 영역(B)(영역(E))에서 실기둥(205, 206)에 감겨지는 뿌리감기 실(207)이 적어도, 단추(200) 및 천(300) 근처에서 실기둥(205, 206)에 뿌리감기 실(207)이 많이 감겨지면, 실기둥(205, 206)이 기립한 상태가 충분히 유지되어, 단추(200)가 천(300)에 대해 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실시되며, 또한 생산성의 향상 및 실의 비용 삭감을 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추(200)쪽의 뿌리감기 실(207)의 밀도가 크다고 생각되는 단추(200)에서부터 제 2 피치 변경 위치(Y2) 근처까지를 제 1 영역, 또한, 천쪽의 뿌리감기 실(207)의 밀도가 크다고 생각되는 천(300)에서부터 제 5 피치 변경 위치(Y5) 근처까지를 제 2 영역, 또한, 그 밖의 부분을 제 3 영역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으로 갈 때의 재봉의 피치 변경 위치와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의 피치 변경 위치가 다르다. 즉, 앞으로 갈 때의 재봉에 있어서의 피치 변경 위치(Y1)와 이에 대응하는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에 있어서의 피치 변경 위치(Y5)는 전후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또한, 앞으로 갈 때의 재봉에 있어서의 피치 변경 위치(Y2)와 이에 대응하는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에 있어서의 피치 변경 위치(Y4)도 전후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다른 실시의 형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뿌리감기 재봉에 있어서 바늘(5)의 낙하 위치가 왼쪽 실기둥(205)의 좌측 및 오른쪽 실기둥(206)의 우측에 교대로 반복되도록, 바늘대 요동 기구(11)가 바늘(5)을 좌우로 요동시키고 있다. 다시 말해, 1피치(1피치는, 왼쪽 실기둥(205)의 좌측에 바늘(5)이 하강한 다음, 오른쪽 실기둥(206)의 우측으로 하강할 때까지의 동안의 단추(200) 및 천(300)의 이송량임)당, 바늘(205)이 한번 하강하였다. 그러나, 1피치당 바늘(5)이 여러번 하강해도 무방하다. 즉, 왼쪽 실기둥(205) 또는 오른쪽 실기둥(206) 또는 이들 사이에 바늘(5)이 적어도 한번 하강하도록, 제어 장치(150)가 바늘대 요동 기구(1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늘 낙하 위치①(오른쪽 실기둥(206)의 우측의 바늘 낙하 위치)와 바늘 낙하 위치④(왼쪽 실기둥(205)의 좌측의 바늘 낙하 위치)가 최대 진폭의 바늘 낙하 위치라고 하면, 바늘 낙하 위치①∼바늘 낙하 위치⑦의 순서대로 바늘(5)이 하강하도록, 제어 장치(150)가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바늘대 요동 기구(11),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를 제어한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늘 낙하 위치①과 바늘 낙하 위치⑤가 최대 진폭의 바늘 낙하 위치라고 하면, 바늘 낙하 위치①∼바늘 낙하 위치⑨의 순서대로 바늘(5)이 하강하도록, 제어 장치(150)가 바늘 상하 이동 기구(10), 바늘대 요동 기구(11), 단추 이송 기구(30) 및 천 이송 기구(50)를 제어한다. 바늘(5)이 왼쪽 실기둥(205) 또는 오른쪽 실기둥(206) 또는 이들 사이에 하강하는 것은 어느 영역이든지 상관없으나, 특히 영역(B) 또는 영역(E)의 맨 처음의 한 동작 및 마지막 한 동작에 의해(또는, 영역(A), 영역(C), 영역(D) 혹은 영역(F)에서), 바늘(5)이 왼쪽 실기둥(205) 또는 오른쪽 실기둥(206) 또는 이들 사이에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경우, 최대 진폭이 되는 2개의 바늘 낙하 위치 사이에 몇 번 바늘을 하강시킬지를 터치 패널(155)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바늘(5)이 왼쪽 실기둥(205) 혹은 오른쪽 실기둥(206) 또는 이들 사이에 하강하면, 봉제후 영역(A), 영역(C), 영역(D) 또는 영역(F)의 뿌리감기 재봉의 실이 영역(B) 또는 영역(E)로 어긋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천(300) 또는 단추(200) 근처에서 실기둥(205, 206)이 강하게 조여진 상태가 유지 되기 때문에, 실기둥(205, 206)이 천(300)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단추(200)가 천(300)에 붙지 않는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해도 무방하다.
예컨대, 각 항목의 수치를 입력하기 위해 터치 패널(155)을 이용하였으나, 터치 패널(155) 대신에 키보드, 마우스 또는 조작 패널 등의 입력장치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단추달이 재봉은, 평행 재봉에 국한되지 않고, 크로스 재봉(구멍(201) 및 구멍(204)으로의 바늘 낙하가 순차적으로 반복된 후, 구멍(202) 및 구멍(203)으로의 바늘 낙하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이루어지는 재봉)이어도 되며, 다른 재봉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단추는, 4구멍 단추에 국한되지 않고, 2구멍 단추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천(300) 및 단추(200)의 각각을 다른 구동원에 의해 앞뒤로 이송시켰으나, 같은 구동원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바늘(5)과 단추(200)의 상대 위치의 변경이, 바늘대 요동 모터(20)에 의한 바늘(5)의 좌우로의 요동, 단추 이송 모터(32)에 의한 단추(20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차동 모터(72)에 의한 단추(200)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 및 이송 모터(51)에 의한 천(30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바늘(5)이 좌우로 요동하지 않고, 단추(200) 및 천(300)만을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추(200) 및 천(300)을 바늘(5)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도록 해도 되며, 즉 바늘(5)과 단추(200)의 상대 위치 관계를 변경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앞으로 갈 때의 재봉에서는 영역(A), 영역(B) 및 영역(C)의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에서는 영역(D), 영역(E) 및 영역(F)의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했으나, 피치가 다른 영역을 더 여러개로 구분할 수도 있다. 물론, 영역이 많아졌다고 해도, 단추(200) 또는 천(300) 근처의 영역에서의 단위 길이당 뿌리감기 회수는, 다른 영역의 뿌리감기 회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으로 갈 때의 재봉시의 영역수와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시의 영역수를 동일한 수로 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앞으로 갈 때의 재봉을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영역(A), (B), (C)에서 피치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것이면,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시에는, 도중에 피치를 변경하지 않고, 영역(B)과 마찬가지로 커다란 피치로 뿌리감기 재봉을 하도록 하면, 봉제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실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앞으로 갈 때의 재봉의 설정과 뒤로 되돌아올 때의 재봉의 설정을 따로 따로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한쪽의 설정만 할 수 있고 다른쪽은 한쪽의 설정이 반영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길이(a) 및 피치(Pa)의 설정이 각각 영역(F)의 길이(f) 및 피치(Pf)에 이용되고, 길이(b) 및 피치(Pb)의 설정이 각각 영역(E)의 길이(e) 및 피치(Pe)에 이용되며, 길이(c) 및 피치(Pc)의 설정이 각각 영역(D)의 길이(d) 및 피치(Pd)에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피치를 변경함으로써, 단추(200) 근처 및 천(300) 근처의 뿌리감기 실(207)의 밀도를 크게 하도록 했으나, 피치의 변경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같은 피치로 단추(200) 근처나 천(300) 근처에서 앞뒤로 여러번 왕복하여 지그재그 재봉을 실시함으로써 뿌리감기 실(207)의 밀도를 크게 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단, 이 경우, 여러번 왕복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커지기 때문에, 피치를 변경하는 편이 모양 좋은 뿌리감기 재봉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단위 길이당 바늘이 하강하는 회수가 많기 때문에,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서 실기둥에 실이 많이 감겨서, 천 또는 단추 근처에서 실기둥이 강하게 조여진다. 한편, 제 3 영역에 있어서, 단위 길이당 바늘이 하강하는 회수가 적기 때문에, 실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뿌리감기 재봉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천 또는 단추 근처에서 실기둥이 강하게 조여지므로, 실기둥이 천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 충분히 유지되어,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실시되며, 또한 생산성의 향상 및 실의 비용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실기둥에 적어도 한번 바늘이 하강하고 있기 때문에, 실기둥에 통과된 실에 의해 뿌리감기 재봉이 어긋나는 일이 방지된다. 따라서, 천 또는 단추 근처에서 실기둥이 강하게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며, 실기둥이 천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 유지되어, 미관성이 좋은 단추달이 재봉이 유지된다.

Claims (6)

  1. 단추를 누운 상태로 해서, 단추의 구멍과 천 사이에 좌우 복수의 실기둥을 세움으로써 단추를 상기 천에 꿰매어 붙인 후, 단추를 기립 상태로 해서, 실기둥을 사이에 두고 지그재그로 바늘을 하강시켜서 뿌리감기 재봉을 실시하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로서,
    상기 바늘과 단추와 천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대 이동 수단과,
    뿌리감기 재봉시에, 단추와 천 사이를 단추쪽의 제 1 영역, 천쪽의 제 2 영역 및 상기 단추쪽의 제 1 영역과 상기 천쪽의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으로 구분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가 상기 제 3 영역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보다 커지도록,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뿌리감기 재봉에 있어서의 지그재그 재봉의 피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가, 상기 제 3 영역의 뿌리감기 실의 밀도보다 커지도록,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감기 재봉은 단추와 천 사이를 지그재그 재봉에 의해 왕복 이동하여 봉제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단추에서 천까지 바느질할 때의 피치 변경 위치와, 천에서 단추까지 바느질할 때의 피치 변경 위치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좌우 복수의 실기둥 사이에 적어도 한번 바늘이 내려가도록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KR1020020075331A 2001-11-30 2002-11-29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KR100986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6864A JP3868805B2 (ja) 2001-11-30 2001-11-30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JP-P-2001-00366864 2001-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874A KR20030044874A (ko) 2003-06-09
KR100986854B1 true KR100986854B1 (ko) 2010-10-08

Family

ID=1917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331A KR100986854B1 (ko) 2001-11-30 2002-11-29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68805B2 (ko)
KR (1) KR100986854B1 (ko)
CN (2) CN101387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0867B2 (ja) * 2005-02-09 2010-08-25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769536B2 (ja) * 2005-10-07 2011-09-07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CN109956022A (zh) * 2017-12-26 2019-07-02 东莞前沿技术研究院 缝纫方法、缝合结构和浮空器
CN110699862B (zh) * 2019-10-15 2021-02-26 温州中科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送扣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893A (ja) * 1987-10-02 1989-04-11 Yamato Sewing Mach Co Ltd 根巻きボタン付け方法
KR910005471U (ko) * 1989-09-07 1991-04-22 이효영 유리창 세척기
KR910005471Y1 (ko) * 1989-02-09 1991-07-27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단추달이 재봉기의 작동장치
US5092256A (en) * 1987-05-11 1992-03-03 Yamato Mishin Seiz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ewing on buttons and wrapping neck thread in a button se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256A (en) * 1987-05-11 1992-03-03 Yamato Mishin Seiz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ewing on buttons and wrapping neck thread in a button sewing machine
JPH0191893A (ja) * 1987-10-02 1989-04-11 Yamato Sewing Mach Co Ltd 根巻きボタン付け方法
KR910005471Y1 (ko) * 1989-02-09 1991-07-27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단추달이 재봉기의 작동장치
KR910005471U (ko) * 1989-09-07 1991-04-22 이효영 유리창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68805B2 (ja) 2007-01-17
CN101387048A (zh) 2009-03-18
KR20030044874A (ko) 2003-06-09
CN101387048B (zh) 2012-06-27
CN100469965C (zh) 2009-03-18
CN1504596A (zh) 2004-06-16
JP2003164679A (ja) 200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241B1 (ko) 상하 이송 재봉기
JP5925603B2 (ja) ミシン
KR100583715B1 (ko) 단추 구멍 재봉 미싱
JP4509491B2 (ja) 差動送りミシン
KR100986854B1 (ko) 뿌리감기 단추달이 재봉기
JP6232894B2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方法
JP2008200129A (ja) 玉縁縫いミシン
CN1542191B (zh) 绕根钉扣缝纫机
JP2007244463A (ja) ミシンの布保持枠移送装置
JP5142454B2 (ja) ミシン
JP4220882B2 (ja) 自動縫製ミシン
JP6918530B2 (ja) 扁平縫いミシン
JP2012176182A (ja) ミシン
JP4790456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12165849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糸切り方法
CN107488942B (zh) 扁平缝缝纫机
JP4301857B2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CN106048906B (zh) 纽扣孔锁边缝纫机
JP2003154180A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制御装置
JP5241244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5420606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JP4198256B2 (ja) ボタン孔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6272011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4757903B2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2003079981A (ja)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