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373B1 -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워드라인 래칭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워드라인 래칭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373B1
KR100984373B1 KR1020047021648A KR20047021648A KR100984373B1 KR 100984373 B1 KR100984373 B1 KR 100984373B1 KR 1020047021648 A KR1020047021648 A KR 1020047021648A KR 20047021648 A KR20047021648 A KR 20047021648A KR 100984373 B1 KR100984373 B1 KR 10098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line
signal
memory cells
response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699A (ko
Inventor
기세케알랜
맥쥐윌리엄에이.
밀릭-스타칼쥐온젠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1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6Multiple access memory array, e.g. addressing one storage element via at least two independent addressing line grou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6Address interface arrangements, e.g. address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리 셀들과; 이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비트라인들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연결되어, 워드라인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들이 상기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하는 워드라인들을 갖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디코더가 워드라인들에 연결되어,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워드라인을 선택하기 위해 클럭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 및 디코드한다. 래치 회로가 디코더 및 워드라인들에 연결된다. 이 래치 회로는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선택된 워드라인에 워드라인 신호를 제공하고,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워드라인 신호를 제거한다.
삭제
메모리 셀, 래치, 클럭 신호, 상승 에지, 하강 에지, 기록, 판독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워드라인 래칭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INCLUDING WORLDLINE LATCHING IN SEMICONDUCTOR MEMORI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워드라인 신호들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은 개인용 컴퓨터 및 기타 전자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많은 응용들에서 이용된다. 모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목적은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다. 하나의 문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인 메모리 간의 통신 속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명령들 및 이 명령들에 의해 구현되는 동작들이 수행될 데이터는 메인 메모리 내의 어드레스들에 저장된다. 명령들 및 데이터를 액세스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어드레스들을 메인 메모리에 전송한다. 메인 메모리는 어드레스를 디코드하고, 요구되는 어드레스에 판독 그리고/또는 기록에 이용할 수 있는 내용들을 만든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어드레스를 메인 메모리에 전송하고 이로부터 각 내용들을 수신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은 시스템의 성능을 상당히 제약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정보를 처리하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한 기술은, 캐시 메모리라 불려지는 고속의 로컬 메모리를 포함하는 아키텍쳐를 마이 크로프로세서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캐시 메모리는 고속의 작은 메모리로서, 최근에 이용된 데이터 또는 명령들의 카피들을 보유한다. 이러한 아이템들이 다시 이용될 때, 이들은 메인 메모리 대신 캐시 메모리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보다 느린 메인 메모리 액세스 속도에서 동작하는 대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대부분의 시간을 보다 빠른 캐시 메모리 액세스 속도에서 동작할 수 있다.
성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동일한 반도체 기판 상에 1개 이상의 캐시 메모리를 포함하였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캐시 메모리들은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회로를 이용하는바, 이는 SRAM 메모리 셀들을 액세스하는 데에 워드라인들 및 비트라인들을 이용하여 높은 밀도를 제공한다. 하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 다이 상에 가능한 많은 메모리를 배치하기 위해, SRAM 회로는 최소의 셀 및 판독/기록 회로 아키텍쳐들을 요구한다. 최소의 아키텍쳐들을 지원하기 위해, 로우 워드라인 와이어를 인에이블시키고 선택된 칼럼 게이팅 트랜지스터가 메모리 셀로부터 값을 판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메모리 셀을 액세스한다.
배터리로 동작하는 메모리 회로들 및 다른 저전압 디바이스들을 이용함에 있어서, 메모리 회로들은 가능한한 가장 낮은 전압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판독 동작 또는 기록 동작은 메모리 어레이들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워드라인은,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정보가 비트라인들 상으로 전달됨으로써 판독되거나, 또는 비트라인들 상의 정보가 메모리 셀들에 저장됨으로써 기록되는 동안 인가되는 파워에 의해 하이로 설정된다. 판독 동작들에 대해, 비트라인들은 감지 증폭기, 즉 센스 엠프에 의해 판독된다. 이러한 감지 증폭기들은, 메모리들이 다이내믹한 메모리들이든, 스태틱 메모리들이든, 플래시 메모리들이든, 아니면 다른 타입의 메모리들이든, 모든 메모리들에 공통이다. 기록 동작들에 대해, 비트라인들 상의 정보는 메모리 셀에 유지되는 전하를 변경시킨다. 워드라인이 온으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파워가 소모된다. 워드라인은 동작의 완전함을 보장하기 위해 판독이든 기록이든 원하는 동작 동안 그리고 그 이후에도 여전히 온 상태로 유지된다. 즉, 더 이상 파워가 요구되지 않을 때 조차도 파워가 소모된다.
저파워 공급 전압에서 동작하는 메모리 회로들로부터 확실한 결과들을 판독하는 것은, 워드라인들의 큰 캐패시턴스 및 게이팅 트랜지스터에 의해 야기되는 문턱 전압 강하(threshold drop)에 의해 복잡해진다. 저파워 공급 전압들은 메모리 속도를 감소시키고, 매우 낮은 전압들에서는, 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트스트랩된 부스트 전압이 워드라인들에 인가되는 메모리 회로들이 개발되었다. 로우 워드라인은 파워 서플라이 라인 보다 높은 전압으로 충전된다. 또한, 로우 워드라인은 칼럼 게이팅 트랜지스터를 스위칭함으로써 메모리 위치를 액세스하기 전에 충전된다. 부스트 회로들은 낮은 전압들에서 확실한 메모리 동작을 제공한다.
부스트 회로들이 갖는 문제들중 하나는, 액세스 회로가 높은 전압들에서 지나지게 스트레스를 받는 다는 것이다. 이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파워 서플라이 동작 범위의 상한을 제한한다.
다른 문제는 부스팅이 메모리 회로의 파워 소모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높은 서플라이 전압들에서, 파워 소모는 허용가능한 레벨을 넘을 수 있고, 메모리 회로는 과열로 인해 고장나기 쉽다.
파워 절약은 끊임없이 요구되어 왔다. 저파워 소모가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파워를 절약하는 방식으로 메모리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 전압들에서 확실한 판독 동작 및 기록 동작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도를 증가시키고 파워를 절약하는 것이 긴급하기 때문에, 당업자들이 오랫동안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고 했지만, 찾지 못했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리 셀들과; 이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비트라인들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연결되어, 워드라인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들이 상기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하는 워드라인들을 갖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디코더가 워드라인들에 연결되어, 메모리 셀에 대한 기록을 위해 워드라인을 선택하기 위해 클럭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 및 디코드한다. 래치 회로가 디코더 및 워드라인들에 연결된다. 이 래치 회로는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에 대한 기록을 위해 워드라인 신호를 선택된 워드라인에 제공하고, 메모리 셀에 대한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워드라인 신호를 제거한다. 이 메모리 시스템은 저전압들에서 확실한 판독 동작 및 기록 동작을 허용하면서 파워를 절약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상기 설명한 것들에 부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다른 장점들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삭제
코어 영역들을 갖는 SRAM은 전형적으로 개별적으로 어드레스가능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모리 셀들의 1개 또는 그 이상의 M ×N 어레이들을 포함한다. 주변 부분들은 전형적으로 입/출력(I/O) 회로 및 본 발명에 따라 개별적인 메모리 셀들을 선택적으로 어드레스하는 프로그래밍 회로를 포함한다. 셀 액세스 회로를 부분적으로 나타내었는바, 이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x-디코더들 및 y-디코더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I/O 회로와 협력하여, 어드레스되는 선택된 메모리 셀들의 소스, 게이트 및 드레인을 소정의 전압들 또는 임피던스들에 연결하여 메모리 셀들 상에서,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기록, 판독, 소거와 같은 지정된 동작들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러한 동작들을 달성하는 데에 필요한 전압들을 얻는다.
타이밍도는 세로 전압축 및 가로 시간축을 가질 것이다. 클럭 신호는 주기적이며, 2개의 상태(phase)들, 즉 상승 시간과 하강 시간의 거의 중간으로부터 측정되는 상태 A 및 상태 B를 가짐으로써, 클럭 신호는 상태 A의 시작에서는 디지털 1로 하이가 되고, 상태 B의 시작에서는 디지털 0으로 로우가 되며, 그리고 다음의 후속 상태의 시작에서는 디지털 1로 하이가 된다. 제 1 워드라인 신호는 워드라인 신호가 판독 전용 동작 동안 워드라인 상에서 하이 전압 또는 하이를 유지하는 계속 기간을 나타낸다. 제 2 워드라인 신호는 메모리 셀에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판독-기록 동작 동안 워드라인 신호가 워드라인 상에서 하이로 래치되어 유지되는 계속 기간을 나타낸다.
시간 지연이 존재하는데, 이는 워드라인 신호들이 클럭 신호의 시작에 의해 트리거(trigger)되기는 하지만, 이 워드라인 신호들이 워드라인들에 인가될 수 있기 전에 요구되는 디코딩 및 다른 처리들로 인해 워드라인들에 도달하는 데에 있어서 지연되기 때문이다. 다양한 신호들이 다양한 시간들 및 전압들에서 겹친다.
본 발명은 기록 동작들이 판독 동작들 이후에 수행되는 판독-수정 기록 방식(read-modify write scheme)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들은 단일 클럭 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M ×N 셀 어레이로부터의 판독 동작들은 판독 전용 동작들 및 기록 동작들 모두 동안 이루어진다.
판독 전용 동작에 있어서, 제 1 워드라인 신호는 이상적으로는 상태 A의 시작에서 하이가 된다. 판독 동작은 클럭 신호의 하강 클럭 에지에 의해 트리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를 보존하기 위해 판독 동작 이후에 가능한한 빨리 제 1 워드라인 신호를 셧다운시키는데, 이는 워드라인 신호가 제공될 때 마다 파워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기록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제 2 워드라인 신호는 이상적으로는 상태 A의 시작에서 하이가 되고 상태 B를 통해 연장됨으로써, 기록 동작이 상태 B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제 2 워드라인 신호는 래치되지 않고 상태 B 이후 가능한한 빨리 셧다운되어, 파워를 보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래칭 메모리 회로는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의 세트의 클럭 입력들에 연결된 클럭을 갖는다. 이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의 세트는 1...n 워드라인들에 대해 1개 또는 그 이상의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은 단조(monotonic) 시퀀스 또는 연속 시퀀스를 갖고, 각각 참(true) 및 상보 출력들을 제공한다.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의 세트는 디코더에 연결되는바, 이에 의해 시간 지연을 야기시킨다. 이 디코더는 어드레스 정보를 디코드하기 위한 디코딩 회로들을 포함한다. 이 디코딩 회로들 각각은 한 쌍의 NAND 게이트들을 포함하는바, 이 NAND 게이트들의 출력들은 각각 AND 게이트들의 입력에 연결되고, 이 AND 게이트들의 각 출력은 인버터들의 입력에 연결된다. 이 인버터들의 출력들이 디코더의 출력들이다.
디코더는 스태틱 디코더들, 다이내믹 디코더들, 또는 2비트 프리 디코더들과 같은 몇 가지 타입이 될 수 있다.
디코더는 래치 회로에 연결된다. 이 래치 회로는 OAI 게이트들의 세트를 포함하는바, 이들은 각각 디코더의 인버터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OAI 게이트들의 수는 특정 응용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워드라인들의 수와 같다. 예를 들어, OAI 게이트들은 각각 워드라인들에 연결된다. 디코더는 워드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해 어드레스 정보를 디코드하는데, 이러한 워드라인들은 자신들이 선택될 때에 활성화된다.
OAI 게이트들 각각은 OR 게이트 및 AND 게이트를 포함한다. 인버터들로부터의 출력들은 각각 OR 게이트들의 제 1 인버팅 입력들에 연결되고, AND 게이트의 출력들은 각각 OR 게이트들의 제 2 인버팅 입력들에 연결된다. OR 게이트들의 출력들은 워드라인들에 대한 OAI 게이트들의 각 출력이다. OR 게이트의 출력들은 또한 NAND 게이트들의 제 1 입력들에 각각 연결된다. NAND 게이트들의 각 출력들은 AND 게이트의 제 1 인버팅 입력들에 연결된다. AND 게이트의 제 2 인버팅 입력들은 클럭에 연결된다.
클럭은 또한 기록-인에이블 플립 플롭에 연결되는바, 이는 기록-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고 그 출력은 NAND 게이트들의 제 2 입력들에 연결된다.
워드라인들은 각각 메모리 셀들을 갖는 메모리 셀들의 세트에 연결된다. 메모리 셀들은, 그 게이트들에 워드라인들이 각각 연결되는 2개의 패스 트랜지스터들을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패스 트랜지스터들은 각각 2개의 인버터들 및 2개의 비트라인들에 결합된다. 이해될 사항으로서, 셀 어레이에는 다수의 비트라인들이 있다.
2개의 비트라인들은 감지 증폭기와 같은 감지 회로에 연결된다. 이 감지 증폭기는 다수의 비트라인들 각각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감지 증폭기들중 하나이다. 기록-인에이블 플립 플롭은 판독-인에이블 AND 게이트의 제 1 인버팅 입력에 연결되고, 이 판독-인에이블 AND 게이트의 출력은 감지 증폭기(및 다른 비트라인들을 위한 다른 감지 증폭기들)에 연결된다. 판독-인에이블 AND 게이트의 제 2 인버팅 입력은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타이밍도는 판독 전용 동작을 위한 세로 전압축 및 가로 시간축을 갖는다. 제 1 워드라인 신호와 함께 클럭 신호가 존재하는 바, 상기 워드라인 신호는 워드라인 신호가 판독 전용 동작들을 위해 하이로 유지되는 계속 기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비트라인 신호들이 비트라인들 상의 신호들을 나타낸다. 세로선은 감지 증폭기의 대략적인 트리거 포인트를 나타낸다.
시간 지연으로 인해, 제 1 워드라인 신호는 클럭 신호가 상승한 이후 곧 상승한다. 제 1 워드라인 신호가 하이가 되면, 차이(differential)가 형성된다. 비트라인 신호는 계속 하이에 머무르는데, 그 이유는 메모리 셀의 고전압측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비트라인 신호는 천천히 떨어지고, 메모리 셀의 저전압측(이 지점은 전형적으로 0V이다)에 연결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의 논리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라인 신호들 간에는 작은 전압 차이가 있다. 전체 회로가 적절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차이가 증폭되어 신호가 0에서 하이가 되어야 한다. 감지 증폭기는 상기 차이를 증폭하여, 소위 최대 범위 전압(full-swing voltage)을 제공한다. 비트라인 신호는 트랜지스터 상의 캐패시턴스로 인해 전압이 떨어진다. 즉, 트랜지스터의 캐패시턴스가 스위치 방전되어, 비트라인 신호의 전압을 떨어뜨린다.
비트라인 신호는 워드라인 신호가 로우가 된 후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워드라인 신호가 로우가 되기 때문에, 비트라인 신호는 풀다운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트라인 신호는 백업 충전된다. 이 비트라인 신호는 항상 Vdd 전압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백업 충전된다. 세로선은 감지 증폭기의 대략적인 감지 증폭기 트리거 포인트를 나타낸다. 이 트리거 포인트는, 본 특정 실시예에서와 같이, 워드라인 래치 회로가 동기 설계인 경우에 중요하다. 이것이 동기적이기 때문에, 이벤트들은 어떠한 지연들, 예를 들어 디코더 지연의 영향을 받으며 클럭 주기의 하강 에지 또는 상승 에지 상에서 발생한다.
기록 동작 동안, 워드라인은 워드라인 신호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를 이용함으로써 기록 동작이 완료된 직후에 로우가 된다. 워드라인이 너무 빨리 로우가 되면, 비트라인들에 대한 기록 신호는 메모리 셀에 기록할 수가 없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 메모리 셀이 셧오프되기 때문이다.
타이밍도는 기록 동작을 위한 세로 전압축 및 가로 시간축을 갖는다. 클럭 신호 및 비트라인 신호들이 포함된다. 상태 B의 기록 동작 동안, 메모리 셀은 턴온된다. 즉, 패스 트랜지스터들이 턴온되어, 메모리 셀을 비트라인들에 연결한다. 제 1 워드라인 신호는 제 2 워드라인 신호가 기록 동작 동안 하이로 유지되는 계속 기간을 나타낸다.
이하, 워드라인 래칭 메모리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어드레스 신호들이 클럭으로부터 클럭 신호들에 의해 타이밍되는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에 입력된다. 클럭이 하이로 표명(assertion)되면,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의 세트가 트리거되어 참 및 상보 신호들의 세트를 생성하는바, 이들은 디코더에 공급된다.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은, 디코더의 디코딩 회로들의 6개의 입력들의 그룹들에 선택 신호들을 제공함으로써, 워드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킨다.
다음은 단일 워드라인에 대한 워드라인 래칭 메모리 회로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판독 전용 동작에 대해, 디코더가 워드라인이 선택되었음을 결정하면, NAND 회로는 OAI 게이트에 로우를 출력한다. OAI 게이트에서, OR 게이트의 인버팅 입력은 로우로 떨어져, 제 1 워드라인 신호가 상승할 때 OAI 게이트의 출력이 상승한다.
기록-인에이블 신호는 로우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기록-인에이블 플립 플롭의 출력 또한 클럭으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의해 트리거될 때 로우가 된다. 이에 의해, NAND 게이트의 출력은 하이가 되어, AND 게이트를 효과적으로 디스에이블시키고, OAI 게이트로 하여금 워드라인 상에 하이를 제공하게 한다. 이와같이 워드라인이 하이가 되면, 메모리 셀을 활성화시켜, 이전에 저장된 하이 또는 로우 신호들을 나타내는 비트라인 신호들이 비트라인들 상으로 전달되게 한다.
클럭 신호가 떨어지면,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의 출력들은 로우가 되어 파워를 보존하지만, 제 1 워드라인 신호는 하이를 유지하는데, 이는 시간 지연 때문이다.
판독 동작은, 제 1 워드라인 신호가 하이에 있는 동안, 그리고 클럭 신호가 대략적인 감지 증폭기 트리거 포인트에서 자신의 로우에 도달한 이후에 수행된다. 감지 증폭기는 판독-인에이블 AND 게이트를 통한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어, 비트라인 신호들에 대해 비트라인들을 판독한다. 감지 증폭기는 비트라인으로부터의 비트라인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래치한다.
감지 증폭기가 트리거된 직후, 제 1 워드라인 신호는 자신의 로우로 떨어진다.
판독에 있어서,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의 시작 전후에서의 모든 워드라인들에 대한 실효 파워 차단(cut-off)은 파워를 보존하고,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 끝 주위에서의 판독은 판독 동작의 안전을 보장한다.
기록 동작을 위한 워드라인 래칭 메모리 회로의 동작은 판독 동작과 유사하다. 주요 차이는 워드라인이 보다 길게 하이로 유지된다는 것이지만, 다음 클럭 주기와 간섭할 정도로 길지는 않다.
기록 동작에 대해, 디코더가 워드라인이 선택되었음을 결정하면, NAND 회로는 OAI 게이트에 로우를 출력한다. 이 OAI 게이트에서, OR 게이트의 인버팅 입력은 로우가 되어, 워드라인 신호가 상승할 때 OAI 게이트의 출력이 상승한다.
기록-인에이블 신호는 하이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기록-인에이블 플립 플롭의 출력 또한 클럭으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의해 트리거될 때 하이가 된다. 이에 의해, NAND 게이트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AND 게이트를 인에이블시키고, OAI 게이트가 워드라인에 하이를 제공하게 한다. 워드라인이 하이가 되면, 메모리 셀을 활성화시켜, 이전에 저장된 하이 또는 로우 신호들을 나타내는 비트라인 신호들이 비트라인들 상에 전달되게 한다.
클럭 신호가 떨어지면, 어드레스 플립 플롭들의 출력들은 로우가 되지만, 제 2 워드라인 신호는 디코더가 OAI 게이트에 로우를 제공할 때 조차도 하이로 유지된다. 기록-인에이블 플립 플롭이 하이를 제공하고 OAI 게이트가 하이를 제공하기 때문에, NAND 게이트는 AND 게이트의 제 1 인버팅 입력에 로우를 제공하고, 클럭은 제 2 인버팅 입력에 제 2 로우를 제공한다. 결과로서, AND 게이트는 OR 게이트에 하이를 제공하여, 워드라인을 하이로 래치시킨다.
판독 동작은 상태 A 동안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록 동작은, I/O 회로로부터 비트라인 신호에 의해 비트라인 상에 놓여지는 기록 펄스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2 워드라인 신호가 상태 B에서 여전히 하이인 동안 수행된다.
NAND 게이트와 OAI 게이트의 결합은, 클럭 신호가 다시 상승하여 AND 게이트가 OAI 게이트의 출력의 래치를 해제하고 워드라인을 비표명(deassertion)할 때 까지, 워드라인을 하이로 유지하는 래치를 형성한다.
기록에 있어서,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의 시작 전후에서의 모든 워드라인들에 대한 실효 파워 차단은 다음 클럭 주기에서의 성공적인 판독 동작의 안전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몇 개의 응용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응용들에서, 워드라인 래치 회로는 캐시 메모리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캐시 메모리들은 뱅크들이라 불리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보다 작은 메모리 블럭들로 형성된다. 워드라인 래치 회로는 캐시 메모리의 뱅크들의 내부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은 캐시 메모리의 외부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이용될 때,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데이터가 상주하는 메모리 어드레스들을 발생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몇 개의 메모리 층들을 갖는다. 소위 레벨 1 (L1) 메모리 및 레벨 2 (L2) 메모리, 종종 레벨 3 (L3) 메모리가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도 있다. 이 메인 메모리는 전형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외부에 있기 때문에 외부 메모리라고도 불린다. L1 메모리는 액세스하기가 가장 용이하고 가장 빠른 메모리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데이터를 찾을 때, 이는 전형적으로 L1 메모리에서 시작하여, L2 메모리, L3 메모리, 및 마지막으로 메인 메모리로 간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메인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페치하는 경우, 약 100 내지 150개의 클럭 주기들을 이용하여 페치할 수 있다. 이는 캐시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페치하는 데에 필요한 1 내지 2개의 클럭 주기들과 비교하여 느리다. 따라서, 데이터를 칩 자체에 저장해야만 하는 어쩔 수 없는 이유들이 있다.
이해될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특정의 최상 모드와 관련하여 설명되기는 했지만, 상기 설명에 비추어 다양한 대안들, 수정들 및 변형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대안들, 수정들 및 변형들은 포함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모든 사항들은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리 셀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비트라인들 상에서 상기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라인들로 하여금 상기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함으로써 워드라인들 상의 워드라인 신호들에 응답하는 단계와;
    클럭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 및 디코드하는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워드라인을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에 워드라인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워드라인 신호를 래치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상기 워드라인 신호의 래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들의 판독을 위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에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의 판독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코더에 의해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디코딩을 시작하고 상기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디코딩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래치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 상에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래치함으로써 하강 에지 및 기록-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상기 워드라인 신호의 래치를 해제함으로써 제 2 상승 에지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갖는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디코딩을 시작하고 상기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디코딩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센서 회로에 의해 상기 메모리 셀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 및 판독-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갖는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단계는,
    상기 디코더에 의해 상기 상승 에지의 중간에 응답하여 디코딩을 시작하고 상기 하강 에지의 중간에 응답하여 디코딩을 중지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하강 에지의 중간 및 기록-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 상에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래치하고, 제 2 상승 에지의 중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상기 워드라인 신호의 래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리 셀들과;
    상기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비트라인들과;
    상기 비트라인들로 하여금 워드라인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하는 워드라인들과;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워드라인을 선택하기 위하여 클럭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 및 디코드하는 디코더와; 그리고
    상기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에 워드라인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제거하는 래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메모리 셀들의 판독을 위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에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의 판독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제거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갖는 클럭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디코드를 시작하고 상기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디코드를 중지하며; 그리고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하강 에지 및 기록-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 상에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래치하고, 제 2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상기 워드라인 신호의 래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갖는 클럭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디코드를 시작하고 상기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디코드를 중지하며; 그리고
    상기 메모리 시스템은, 상기 비트라인들에 연결되어, 상기 하강 에지 및 판독-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센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갖는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상승 에지의 시작에 응답하여 디코드를 시작하고 상기 하강 에지의 시작에 응답하여 디코드를 중지하며; 그리고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하강 에지의 중간 및 기록-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로의 기록을 위해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 상에 상기 워드라인 신호를 래치하고, 제 2 상승 에지의 중간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워드라인으로부터 상기 워드라인 신호의 래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20047021648A 2002-07-02 2003-07-02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워드라인 래칭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84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90,372 2002-07-02
US10/190,372 US6798712B2 (en) 2002-07-02 2002-07-02 Wordline latching in semiconductor memor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699A KR20050016699A (ko) 2005-02-21
KR100984373B1 true KR100984373B1 (ko) 2010-09-30

Family

ID=2999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648A KR100984373B1 (ko) 2002-07-02 2003-07-02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워드라인 래칭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98712B2 (ko)
EP (1) EP1518244B1 (ko)
JP (1) JP4463680B2 (ko)
KR (1) KR100984373B1 (ko)
CN (1) CN100476990C (ko)
AU (1) AU2003281431A1 (ko)
DE (1) DE60316945T2 (ko)
TW (1) TWI310192B (ko)
WO (1) WO20040062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5702B2 (en) 2006-07-21 2009-06-0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mory pipelining in a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using shared word lines
US7623404B2 (en) * 2006-11-20 2009-11-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mory device having concurrent write and read cycles and method thereof
CN101719378B (zh) * 2009-12-07 2012-10-03 钰创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感测装置与方法
US20110149661A1 (en) * 2009-12-18 2011-06-23 Rajwani Iqbal R Memory array having extended write operation
CN102446550B (zh) * 2010-09-30 2014-08-13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异步存储器跟踪计时的方法和装置
KR20130136343A (ko) * 2012-06-04 2013-12-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559113B2 (en) 2014-05-01 2017-01-3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SL/GSL gate oxide in 3D vertical channel NAND
CN105097031A (zh) * 2014-05-21 2015-11-25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非易失性存储器的数据读取方法、电路及非易失性存储器
CN111128262B (zh) * 2019-12-17 2021-02-23 海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存储器电路、电路控制方法、集成电路器件及处理器
CN113470711B (zh) 2020-03-30 2023-06-16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存储块以及存储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3096A2 (en) * 1991-09-17 1993-03-24 Nec Corporation Addressing system free from multi-selection of word lin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9541B (en) 1989-12-29 1994-05-18 Intel Corp Dual port static memory with one cycle read-modify-write operation
US5031141A (en) * 1990-04-06 1991-07-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self-timing for on-chip cache
JPH05121369A (ja) 1991-10-24 1993-05-18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ホールエツチング方法
JPH07169276A (ja) * 1993-12-13 1995-07-04 Toshiba Corp 同期型メモリ
US5530677A (en) * 1994-08-31 1996-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system having a write control circuit responsive to a system clock and/or a test clock for enabling and disabling a read/write latch
US5994780A (en) * 1997-12-16 1999-11-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multiple contact sizes
US6380087B1 (en) * 2000-06-19 2002-04-30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c. CMP process utilizing dummy plugs in damascene pro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3096A2 (en) * 1991-09-17 1993-03-24 Nec Corporation Addressing system free from multi-selection of word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98712B2 (en) 2004-09-28
JP4463680B2 (ja) 2010-05-19
TWI310192B (en) 2009-05-21
CN100476990C (zh) 2009-04-08
JP2005532653A (ja) 2005-10-27
AU2003281431A8 (en) 2004-01-23
AU2003281431A1 (en) 2004-01-23
CN1666291A (zh) 2005-09-07
DE60316945D1 (de) 2007-11-29
WO2004006261A3 (en) 2004-04-15
US20040004901A1 (en) 2004-01-08
WO2004006261A2 (en) 2004-01-15
TW200401306A (en) 2004-01-16
DE60316945T2 (de) 2008-08-07
EP1518244A2 (en) 2005-03-30
EP1518244B1 (en) 2007-10-17
KR20050016699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9589A (en) Dynamic content addressable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6556471B2 (en) VDD modulated SRAM for highly scaled, high performance cache
CN110648700B (zh) 自时序电路和相应的自时序方法
KR100501749B1 (ko) 파이프라인고속억세스플로우팅게이트메모리아키텍처및동작방법
US20060224789A1 (en) Flash memories and processing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7778107B2 (en) Decoding control with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in page erase function
US8134874B2 (en) Dynamic leakage control for memory arrays
US6643804B1 (en) Stability test for silicon on insulator SRAM memory cells utilizing bitline precharge stress operations to stress memory cells under test
US20070019485A1 (en) Semiconductor memory
US7613070B2 (en) Interleaved input signal path for multiplexed input
US655648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984373B1 (ko)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워드라인 래칭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5724294A (en) Self-tracking sense amplifier strobing circuit and method
US6356473B1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US5305271A (en) Circuit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a semiconductor memory
US6339560B1 (en) Semiconductor memory based on address transitions
KR100274732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US6393514B1 (en) Method of generating an almost full flag and a full flag in a content addressable memory
US5715201A (en) Self-tracking delay-matching write pulse control circuit and method
JP2000021168A (ja) 半導体メモリ及びこれを備えた半導体装置
US5898639A (en) Memory with variable write driver operation
KR100487919B1 (ko)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장치
TW202242869A (zh) 控制電路、讀取開關驅動電路及控制位元線預充電電路的方法
US7032083B1 (en) Glitch-free memory address decoding circuits and methods and memory subsystems using the same
WO2005013282A1 (en) Wordline latching in semiconductor mem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