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327B1 -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 Google Patents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327B1
KR100983327B1 KR1020030029439A KR20030029439A KR100983327B1 KR 100983327 B1 KR100983327 B1 KR 100983327B1 KR 1020030029439 A KR1020030029439 A KR 1020030029439A KR 20030029439 A KR20030029439 A KR 20030029439A KR 100983327 B1 KR100983327 B1 KR 10098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housing
air conditioner
rotary typ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375A (ko
Inventor
송승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9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3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로터리 레버를 최대 위치까지 돌릴 때 로터가 스토퍼에 가하는 작동충격을 줄여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는, 내벽면에 다수의 캐비티(111)가 구비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축(1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130)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로터를 회전시키는 로터리 레버를 구비하는 레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로터의 단면에 접촉되면서 로터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151,152)일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의 로터와 접촉하는 단부에는 캡(151a,152a)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로터리 레버를 최대 위치까지 돌릴 때 코일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상기 로터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로터리레버, 로터, 스토퍼, 코일스프링

Description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ROTARY TYPE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일반적인 공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에 적용된 패널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설명 >
100 : 모드 조정 스위치, 110 : 하우징
111 : 캐비티, 120 : 회전축
130 : 로터, 131,132 : 스토퍼면
140 : 볼 플런저, 150 : 스토퍼
151,152 : 코일스프링, 151a,152a : 캡
153 : 패널,
본 발명은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 레버를 돌릴 때 스토퍼와 접촉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케이스에 설치된 증발기 또는 히터코어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자동차의 내부로 공급되는데,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공조장치의 케이스(1)에는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를 선택적으로 히터 코어(H)에 공급함과 아울러 통과한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템프 도어(2)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조기 케이스(1)의 출구측에는 차 실내와 연통하는 벤트들이 갖추어진다. 벤트들로는 공기를 차창에 공급하여 차창에 발생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3), 공기를 차내 탑승자의 가슴쪽으로 공급하는 페이스 벤트(4) 및 차내 바닥측으로 공급하는 플로어 벤트(5)가 있으며, 각각의 벤트(3,4,5)들은 각각의 도어(3a,4a,5a)에 의해 개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템프 도어(2), 벤트 도어(3a,4a,5a)들은 이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유니트에 의해 조작된다. 이러한 스위치 유니트는 레버와 케이블을 이용한 것과, 텍트 스위치와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것, 로터리 타입의 스위치와 케이블 또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것 등 다양하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로터리 타입의 모드 조정 스위치(10)는 로터리 레버(18)의 조작시 작동감을 줄 수 있는 디텐트(detent)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내주면(11)이 다각의 면으로 이루어져 산과 골의 요철 형태를 가진 공간부(12)를 형성한 상/하부 하우징(13,14)과, 상/하부 하우징(13,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5)과, 이 회전축(15)에 지지되며 상기 공간부(12)에 위치되는 반원판 형상의 로터(16)와, 상기 로터(16)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하우징의 내주면(11)에 탄성바이어스되는 다수개의 볼 플런저(17)와, 상기 상부 하우징(13)을 관통한 회전축(15)의 단부에 조립되어 로터(16)를 조작하는 로터리 레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리 레버(18)는 일정 궤적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예컨대, 하부 하우징(14)의 내벽면에는 로터(16)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 타입 스위치는, 모드 조정을 위하여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템프 도어(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로터리 레버(18)(도 2참조)를 일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로터리 레버(18)와 함께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로터(16)가 회전하게 되고, 로터(16)의 회전시 로터(16)에 설치된 볼 플런저(17)가 내주면(11)의 골에 밀착되어 로터(16)가 고정됨으로써 로터리 레버(18)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로터리 레버(18)의 조작시 볼 플런저(17)가 골에 삽입됨으로써 로터리 레버(18)의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템프 도어(2)를 맥스 쿨(maximum cool) 또는 맥스 핫(maximum hot) 위치로 셋팅하기 위하여 레버(18)를 최대 위치까지 돌리면, 로터(16)의 단부가 이와 대응하는 스토퍼(19)의 어느 일면에 접촉되어 로터리 레버(18)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로터리 레버(18)를 맥스 쿨/맥스 핫 위치로 조작할 경우 로터(16)의 단부가 스토퍼(19)에 부딪치게 되는데, 이 로터(16) 및 스토퍼(19)가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이면서, 스토퍼(19)가 고정물이기 때문에 이들이 부딪칠 때 충격에 의한 큰 소음이 발생되어 상품성 및 신뢰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조장치의 공조모드 조정 스위치의 조작시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각도에 따라 공조 상태를 조절하는 로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면서 상기 로터가 최대 회전 각도에서 스토퍼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로터가 최대 회전각도에서 접촉하는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에는 캡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 및 도 3에 사용된 부호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회전축(120)을 통해 설치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부재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전축(1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로터(130)와, 회전축(120)의 단부에 고정되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의 외부로 노출되어 로터(130)를 회전시키는 로터리 레버(18)(도 2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로터리 레버(18)를 돌릴 때 조작감을 줄 수 있도록 레버부재는 디텐트 구조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하우징(110)의 내벽면에는 위치결정부인 캐비티(111)가 형성되며, 로터(130)의 둘레부에는 하우징(110) 내벽면의 캐비티(111)에 탄성바이어스되는 볼 플런저(140)가 설치될 수 있다.
레버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130), 로터리 레버(18)로 이루어지지 않 고, 이들(130,18)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로터(130)가 연속적으로 제자리 회전하지 않고 어느 일정 궤적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로터(130)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150)가 채용될 수 있다.
로터(130)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에 각각 스토퍼면(131,1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터(1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토퍼(150)는 예컨대, 로터(130)의 스토퍼면(131,13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터(130)의 회전을 규제함과 아울러, 로터(130)가 부딪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일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코일스프링(151,152)일 수 있다.
로터리 레버(18)는 양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으므로 로터(130)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도록 코일스프링(151,152)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두 개가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51,152)의 로터(130)와 접촉하는 단부에는 캡(151a,152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51,152)은 일측이 개구된 패널(153)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53)은 상부 코어(153a) 및 이 상부 코어(153a)와 결합되어 그 내부에 스프링 장착홈(153c)을 형성하는 하부 코어(15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패널(153)의 내부 중 앙에는 양측의 코일스프링(151,152)이 각각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153d)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에 의하여 로터리 레버(18)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케이블, 액추에이터 등을 통해 템프 도어, 벤트 도어 등이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템프 도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차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로터리 레버(18)를 어느 일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로터리 레버(18)와 함께 로터(130)가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로터(130)의 둘레부에 설치된 볼 플런저(140)가 하우징(110) 내벽면의 캐비티(111)에 밀착되어 로터(13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로터(130)의 각도 변화에 따라 케이블,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템프 도어가 구동되어 그 각도가 변하게 된다.
한편, 템프 도어를 맥스 쿨 위치로 셋팅하기 위하여 템프도어용 로터리 레버를 맥스 쿨 위치로 돌리게 되면, 로터리 레버와 함께 로터(130)가 회전하다가 로터(13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제1스토퍼면(131)이 스토퍼(150)에 접하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다. 이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터리 레버를 스토퍼(150)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돌리게 되면, 로터(130)가 회전하다가 제1스토퍼면(131)이 대응되는 캡(151a)에 부딪치게 되고, 이렇게 되면, 로터(13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코일스프링(151)이 압축되면서 로터(13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 시점에서 볼 플런저(140)가 해당 캐비티(111)에 삽입됨으로써 로터(130)의 위치가 셋팅된다.
로터리 레버를 반대로 회전시켜 맥스 핫 위치로 셋팅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로터리 레버를 회전 궤적 내의 최대 회전각도로 돌릴 때 로터(130)와 스토퍼(150)가 접촉되어도 종래와 같이 접촉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는 템프 도어 뿐만 아니라 모드 도어 조정 스위치와 같이 공조상태 제어를 위해 공조장치에 포함된 다른 종류 스위치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에 따르면, 로터가 최대 회전각도에서 스토퍼에 가하는 충격을 스토퍼가 대폭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로터 최대 회전시에 로터의 스토퍼에 대한 작동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주면(111)이 다각의 면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회전축(120)에 지지되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하는 반원판 형상의 로터(130)와;
    상기 로터(130)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주면(111)에 탄성바이어스되는 볼플런저(140)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130)의 정역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15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50)는 상기 로터(130)의 최대 정역회전 각도에서 그 로터가 스토퍼에 가하는 작동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로터에 접해져서 가압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가 접촉하는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에 캡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KR1020030029439A 2003-05-09 2003-05-09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KR10098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439A KR100983327B1 (ko) 2003-05-09 2003-05-09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439A KR100983327B1 (ko) 2003-05-09 2003-05-09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75A KR20040096375A (ko) 2004-11-16
KR100983327B1 true KR100983327B1 (ko) 2010-09-20

Family

ID=3737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439A KR100983327B1 (ko) 2003-05-09 2003-05-09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65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열교환기 스프레이 코팅용 지그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415B1 (ko) * 1995-05-25 1998-07-01 김광호 통신단말장치에서 국제 자동전화 국가 번호 표시방법
KR19980034795U (ko) * 1996-12-11 1998-09-15 조희재 로터리 스위치
JP2000503239A (ja) 1996-09-04 2000-03-21 シュタイネ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ク・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物質を蒸発させるための電気装置
JP2003127645A (ja) 2001-10-24 2003-05-08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シートヒータ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415B1 (ko) * 1995-05-25 1998-07-01 김광호 통신단말장치에서 국제 자동전화 국가 번호 표시방법
JP2000503239A (ja) 1996-09-04 2000-03-21 シュタイネ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ク・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物質を蒸発させるための電気装置
KR19980034795U (ko) * 1996-12-11 1998-09-15 조희재 로터리 스위치
JP2003127645A (ja) 2001-10-24 2003-05-08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シートヒータスイッ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65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열교환기 스프레이 코팅용 지그 고정장치
KR102230970B1 (ko) 2019-03-26 2021-03-23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열교환기 스프레이 코팅용 지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75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760B2 (en) Control wheel for an automotive air vent
KR100613711B1 (ko) 차량의 에어 벤트
US20150031278A1 (en) Damper unit and air vent for vehicle using the same
JP6980551B2 (ja) スイッチ操作ユニット
KR100983327B1 (ko) 공조장치용 로터리 타입 스위치
EP3665023B1 (en) Air ventilator for an automobile
KR20140126604A (ko) 차량의 에어벤트
KR1018757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46234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5898935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ダンパ駆動構造
KR100825713B1 (ko) 공기조화 장치용 로터리 타입의 모드 조정 컨트롤러
KR200363766Y1 (ko) 공조장치용 슬라이드 타입 스위치
KR100728727B1 (ko) 에어벤트의 댐퍼 구조
KR100774433B1 (ko) 차량의 익스트랙터 그릴 밸브 장치
KR20170032978A (ko) 자동차용 도어 그립 핸들
US6786469B2 (en) Anti-rattle valve feature for a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assembly
JP403894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20977B1 (ko) 공조장치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20040033850A (ko) 자동차용 벤트그릴
JP2000094954A (ja) 丸型レジスタ
KR10084526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도어조작용 캠기구
KR200313208Y1 (ko) 자동차 히터 컨트롤러의 블로워스위치
KR1016164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스위치
JPH0848129A (ja) 空気流路切替装置
KR100523580B1 (ko) 글로브 박스용 쿨 박스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