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396B1 -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396B1
KR100978396B1 KR1020080012724A KR20080012724A KR100978396B1 KR 100978396 B1 KR100978396 B1 KR 100978396B1 KR 1020080012724 A KR1020080012724 A KR 1020080012724A KR 20080012724 A KR20080012724 A KR 20080012724A KR 100978396 B1 KR100978396 B1 KR 10097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iber
fiber
yarn
fibril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342A (ko
Inventor
김기호
마진숙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3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6Matrix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에 있어서, 이용성 고분자 및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복합방사 하여 용출률이 10 내지 40%가 되도록 알칼리 감량을 통해 이용성 고분자를 용출시켜 섬유형성 성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기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반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부드러우면서도 드라이한 촉감이 동시에 발현되는 우수한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브릴, 복합방사, 해도형, 알칼리가공

Description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Conjugated fiber and fabric having fibril effect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합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부드러우면서도 드라이한 촉감이 동시에 발현되는 우수한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브릴(Fibril)이란,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미세 섬유를 말하며, 미셀(micelle), 혹은 미결정의 집합체로, 결정(결정 영역, 미셀 부분)과 비결정(비결정 영역, 미셀이 아닌 부분)의 2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피브릴 간격에는 많은 공극이 존재하며 이곳에 공기가 침투하여 그 결과 열전도율이 낮아져 보온성을 지니게 된다. 그 밖에 상기 공극으로 인해 빠른 수분전이 효과로 흡수 및 흡습성, 염료와의 친화성, 팽윤성 등을 지니게 되고, 촉감이 부드러우면서도 드라이한 느낌을 갖게 되어 블라우스, 드레스, 셔츠, 바지 등의 양복지 외에 스포츠웨 어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피브릴에 있어서는 점액감이 있는 미끈거리는 촉감과는 다른 부드러우면서도(Soft) 드라이(Dry)한 터치(Touch)가 발현된다.
이러한 피브릴화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0-5999호에 있어서, 폴리아마이드/폴리에스텔계 분할형 복합섬유를 알카리를 포함하고 있는 페놀유화용액 중에서 60 내지 90℃에서 30 내지 60분간 처리하는 분할형 복합섬유의 피브릴화(Fibril)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피브릴 효과가 좋지 않으며, 페놀 사용 시 폴리아미드 부분을 용해 또는 가소화를 심하게 일으켜 직편물의 강도, 탄성회복률 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촉감을 심하게 손상시킨다. 더구나 페놀계 용제는 인체독성이 강하고, 폐수처리 공정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1997-241968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를 30:70 내지 70:30 중량 범위의 비율로 블렌드 방사하여 얻어진 복합섬유를 알칼리 감량 처리하여 상기 섬유 중의 폴리에스테르의 일부분을 용출 제거하고, 섬유 표면에 피브릴을 발현시킨 피브릴화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있어서는 두 성분을 블렌드하여 방사하였고, 용출 후 형성된 피브릴의 형태도 불규칙하며, 이렇게 얻어진 피브릴을 교락하여 단섬유 집합체의 외표면에 네트워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감량 후의 강도 하락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방사 시 연신조건 설정이 까다롭고, 공기 교락 등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 밖에,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107100호에서는, 섬유 단면상에 상대적 으로 작은 원형 단면을 갖는 제1폴리머가 상대적으로 큰 원형 단면을 갖는 제2폴리머의 원주 내에서 원주를 따라 접하면서 소정의 간경으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복합방사하여 제조한 치차 단면형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피브릴의 제조라기 보다는 원사 단면의 형태가 치차 형태로 피브릴 효과를 내는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방사구금이 작은 원형 단면을 갖는 부분이 외곽에만 형성되어 있고, 도성분의 감량 후에는 외곽의 원주를 따라 접하는 부분만 용출이 되거나, 해성분의 감량 후에는 0.05 데니어(de)의 극세사와 2.0 데니어(de)의 태데니어의 섬유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가 되며, 부드럽지 않고, 오히려 거친 효과를 갖게 되어 만족스런 피브릴 효과를 내기 어렵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6-2878호에 있어서, 도성분과 해성분의 중량비율을 80:20 내지 50:50으로 혼합하여 도성분은 폴리아미드를 사용하고, 해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알코올계 성분과 공중합시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출성 해도형 극세사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해도형 방사로 섬유 제조 시 용출률이 78 내지 93%로 높아 0.03 데니어(de)이하의 극세사가 제조되어, 피브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11593호에 있어서, 도성분과 해성분으로 구성된 추출형 복합 섬유에서는 도성분을 완전히 추출하여 제조된 복합섬유가 제조되어 피브릴과 같은 부드럽고 드라이한 촉감과는 다른 좀 더 까칠까칠하고 광택이 있는 촉감이 발현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부드러우면서도 드라이한 촉감이 동시에 발현되는 우수한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에 있어서, 이용성 고분자 및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복합방사 하여 용출률이 10 내지 40%가 되도록 알칼리 감량을 통해 이용성 고분자를 용출시켜 섬유형성 성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기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반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보다 25 내지 53%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보다 5 내지 8㎛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용성 고분자가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 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유형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에 있어서, 이용성 고분자 및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복합방사하여 섬유를 제직한 후, 용출률이 10 내지 40%가 되도록 알칼리 감량을 통해 이용성 고분자를 용출시켜 섬유형성 성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기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반복 형성된 섬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 단사직경에서 용출전의 25 내지 53%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보다 5 내지 8㎛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용성 고분자가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유형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해성분의 이용성 고분자 및 도성분의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각각 준비되는 원료준비단계; 상기 각각 준비된 원료를 해성분의 큰 원형 토출구 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도성분의 작은 원형 토출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섬유가 형성되는 방사 및 연신단계; 및 상기 제조된 섬유를 알칼리 감량으로 해성분인 이용성 고분자의 용출률이 10 내지 40% 범위가 되도록 하여 도성분인 섬유형성 성분이 돌출되어 섬유 표면을 피브릴화 시키는 후가공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이용성 고분자가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섬유형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 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부분배향원사(POY)로 제조 시의 방사속도는 2,000 내지 4,500mpm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분배향원사를 연신사로 제조 시에 연신온도 65 내지 100 ℃, 열처리온도 110 내지 240 ℃로 하고, 연신비는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55%가 되도록 설정해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신 후 냉각으로 노즐직하 5 내지 16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완전배향원사(FOY)로 제조 시 방사속도는 4,500 내지 6,000 mpm로 연신비 2.0 내지 3.0, 연신온도 70 내지 100 ℃, 열처리 온도 120 내지 190 ℃로, 연신 후의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신 후 냉각으로 노즐 직하 5 내지 30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복합방사 시 가연사가 제조됨이 더 포함되며, 가연각도는 95 내지 120도(ㅀ)로 가연 후 최종 원사의 신도가 25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해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복합방사 시 혼섬으로 연신복합사인 인터레이스사(ITY)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가공단계에서, 상기 후가공으로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NaOH 0.5 내지 5.0 중량부가 첨가된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여 처리온도 80 내지 150 ℃, 처리시간 10 내지 60분으로 처리되는 알칼리 감량가공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가공단계에서, 상기 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사직경이 용출전 단사직경에서 용출전 단사직경의 25 내지 53% 작아지도록 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후에 용출전보다 5 내지 8㎛ 작아지도록 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해성분인 이용성 고분자 및 도성분인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각각 준비되는 원료준비단계; 상기 각각 준비된 원료를 해성분의 큰 원형 토출구 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도성분의 작은 원형 토출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섬유가 형성되는 방사 및 연신단계;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를 거친 섬유로 원단이 형성되는 제직단계; 및 상기 제조된 섬유를 알칼리 감량으로 해성분인 이용성 고분자의 용출률이 10 내지 40% 범위가 되도록 용출시켜 도성분인 섬유형성 성분이 돌출되어 섬유 표면을 피브릴화 시키는 후가공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이용성 고분자가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섬유형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부분배향원사(POY)로 제조 시의 방사속도는 2,000 내지 4,500mpm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 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분배향원사를 연신사로 제조 시에 연신온도 65 내지 100 ℃, 열처리온도 110 내지 240 ℃로 하고, 연신비는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55%가 되도록 설정해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신 후 냉각으로 노즐직하 5 내지 16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완전배향원사(FOY)로 제조 시 방사속도는 4,500 내지 6,000 mpm로 연신비 2.0 내지 3.0, 연신온도 70 내지 100 ℃, 열처리 온도 120 내지 190 ℃로, 연신 후의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신 후 냉각으로 노즐 직하 5 내지 30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복합방사 시 가연사가 제조됨이 더 포함되며, 가연각도는 95 내지 120도로 가연 후 최종 원사의 신도가 25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해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복합방사 시 혼섬으로 연신복합사인 인터레이스사(ITY)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가공으로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NaOH 0.5 내지 5.0 중량부가 첨가된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여 처리온도 80 내지 150 ℃, 처리시간 10 내지 60분으로 처리되는 알칼리 감량가공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가공단계에서, 상기 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사직경이 용출전 단사직경에서 용출전 단사직경의 25 내지 53% 작아지도록 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사직경이 용출전보다 5 내지 8㎛ 작아지도록 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원단이라 함은 모든 의복의 원료가 되는 천으로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 부직포 및 섬유상 웹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은 해도형 복합방사를 거쳐 제직 후에 알칼리 감량으로 도성분을 용출시킴으로써 섬유 표면이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이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는 원료준비단계 S100, 방사 및 연신단계 S200 및 후가공단계 S300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원단 제조 시 상기 제직단계 S300가 후가공단계에 앞서 진행되어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원료준비단계 S100에 있어서, 해도형 복합방사를 위해 2종의 고분자를 각각 준비하되, 해성분으로 이용성 고분자로써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 합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금속염 성분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이후, 후가공단계에서 알칼리 감량 시에 피브릴화 발현이 불리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방사시의 작업성 하락과, 감량 시의 피브릴화가 너무 빨리 일어나 피브릴화의 제어가 어려워 상업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성분으로 섬유 형성형 고분자로써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해성분 및 도성분의 비율은 80:20 내지 20:80 중량%범위가 바람직하며, 상기 도성분의 비율이 낮을수록 피브릴화시켰을 때 원사의 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 해성분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도성분의 비율이 낮아져 원사 직경이 작아지지만, 방사 작업성이 떨어지며, 이후 후가공단계에서의 알칼리 감량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발생하여 상업화가 어려워지며, 20 중량%미만이면, 상기 도성분이 접합되어 피브릴의 형상이 불균일하게 되어 균일한 피브릴 효과가 발현되기 어렵게 된다.
그 밖에 상기의 고분자 조합 외에도 다른 섬유와의 혼섬사 제조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피브릴 효과를 내는 복합방사의 원료에 있어서는 상기의 원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준비된 원료를 가지고 방사 및 연신단계 S200이 진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해도형 방사구금을 가지고 복합방사가 진행될 수 있는데, 방사구금의 형태는 하기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구금 단면의 형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성분의 큰 원형 토출구 10 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도성분의 작은 원형 토출구 20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방사조건에 있어서, 우선, 부분배향원사(Partially Oriented Yarn;POY)로 제조 시의 방사속도는 2,000 내지 4,500mpm(meter per minute)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를 연신사로 제조 시에는 연신온도 65 내지 100 ℃, 열처리온도 110 내지 240 ℃임이 바람직하며, 연신비는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55%가 되도록 설정해 주어 방사작업성 및 후가공 용이성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연신 후 냉각은 노즐직하 5 내지 16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상기 부분 배향사로 가연사 제조 시의 열처리 온도는 연신사 제조 시와 동일하며, 가연각도는 95 내지 120도로 가연 후 최종 원사의 신도가 25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완전배향원사(Fully Oriented Yarn;FOY)로 제조 시의 방사속도는 4,500 내지 6,000 mpm로 연신비 2.0 내지 3.0, 연신온도 70 내지 100 ℃, 열처리 온도 120 내지 190 ℃가 바람직하고, 연신 후의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해주는 것이 방사작업성에 바람직하다. 이후, 냉각은 노즐 직하 5 내지 30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신사 또는 가연사 제조 시에 다른 섬유와 혼용하여 벌키한 실이 제조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러한 경우는 상기의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안는다. 단, 다른 섬유의 혼용 시 두가지 원사의 조합으로 제조되므로 원사 간의 집속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조건을 설정하며, 이를 위해 노즐의 종류, 노즐 위치 및 공기(Air)의 압력 조정은 혼섬되는 원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의 조건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작업성이 낮아져 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조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사 및 연신된 단사직경이 15 내지 20㎛로 설계되어 방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를 거친 원사로 요구되는 원단이 제조되는 제직단계 S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 또는 제직단계를 거친 원단에 후가공단계 S400을 거쳐 피브릴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가공은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NaOH 0.5 내지 5.0 중량부가 첨가된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여 처리온도 80 내지 150 ℃, 처리시간 10 내지 60분으로 처리되어 용출률이 10 내지 40%가 되도록 용출됨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30%일 때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감량후에, 방사후 단사섬유 직경인 15 내지 20㎛에서 5 내지 8㎛ 정도 감량되어, 단사직경이 7 내지 15㎛가 되도록 감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량된 후의 단사직경은 돌출부가 포함된 지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 단사직경에서 용출전 단사직경의 25 내지 54% 작아지도록 감량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감량이 덜되거나 지나쳐 피브릴 효과 뿐 아니라 원사 자체의 기능도 저하되게 되게 때문이다. 이러한, 알칼리 감량가공으로 이용성 고분자 즉, 해성분을 용출시키면 섬유형성 고분자가 원사 측면에서 돌출하여 피브릴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용출률이 10% 미만이면, 최외각 도성분의 피브릴 효과 발현이 어려우며, 40% 초과하면, 원사의 강도가 약해지고 피브릴 효과가 현저히 떨어져서 요구되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용출률은 하기의 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용출률(%)= (Wa-Wb)/Wa X 100
여기서, Wa는 용출전 무게(g)이고, Wb는 용출후 무게(g)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단면형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피브릴 효과에 적합하도록 해성분인 이용성 고분자 100이 설계된 비율로 용출되어 도성분인 섬유형성 성분 200이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기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반복 형성되어 상기 섬유형성 성분이 피브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측면 SEM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사 측면에 피브릴 형태로 섬유형성 성분의 돌출된 형상이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감량후 복합섬유 표면에 가늘게 튀어나온 피브릴 한가닥의 직경은 0.01 내지 1.5 ㎛로 다양한 분포를 지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직 후에 후가공 공정을 진행시킴으로써 피브릴 효과가 탁월한 복합섬유가 제조되는 동시에 원단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는 해도형 복합방사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원사의 해성분을 알칼리 감량으로 용출시켜 섬유형성의 도성분으로 인해 측면이 돌출된 형태로 부드러우면서도 드라이한 촉감이 동시에 발현되는 우수한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사 구금의 직경이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고, 복합방사 방식으로 부분배향 또는 완전배향 방사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방사로 연신사 또는 가연사 형태로 용도에 따라 변화시켜 제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도형의 복합방사된 섬유를 제직하여 원단 형태로 제조한 후, 이러한 원단 상태에서 후가공으로 알칼리 감량을 통해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섬유가 제조됨과 동시에 부드러우면서도 드라이한 촉감이 발현되는 원단이 제조되는 효과가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원료준비단계에서 해성분의 이용성 고분자로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과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의 중합 시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을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 함유되도록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공중합하여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IV) 0.640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도성분의 섬유형성 고분자로 고유점도가 0.65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를 각각 상기 해성분 및 도성분의 비율이 40:60 중량%로 준비하였다. 상기 각각 준비된 원료를 가지고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최외곽 원주방향의 도성분이 18도로 구성된 총37도의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방사속도 3,150 mpm으로 방사하여 127D/24F인 부분배향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부분배향사에 연신배율 1.72, 연신온도 90 ℃, 열처리온도 125 ℃에서 연신하여 75D/24F의 최종 완전연신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를 거친 원사를 경위사로 사용하여 210g/yd의 직물로 제직한 후,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NaOH 2.56 중량부가 첨가된 알칼리 용액으로 온도 98 ℃, 처리시간 25분으로 후가공단계를 진행시켜 용출률 25%인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도성분의 섬유형성 고분자로 고유점도 1.1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를 사용하여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방사속도 3,000mpm으로 방사하고, 연신비 1.82, 열처리온도 120 ℃로 연신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도성분인 섬유형성 고분자로 상대점도(Relative Viscosity;RV) 2.4인 폴리아미드(나일론6;Nylon6)를 사용하여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방사속도 2,800mpm으로 방사하고, 연신비 1.68, 열처리온도 120 ℃로 연신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방사속도 5,000mpm으로 방사하고, 연신비 2.4, 연신온도 90 ℃, 열처리온도 130 ℃로 연신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제조된 127D/24F인 부분배향사를 잠재권축사 170D/24F POY와의 혼섬으로 복합사인 ITY(Interlaced Yarn) 22D/48F인 원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제조된 127D/24F인 부분배향사를 사용하고, 연신비 1.7, 가연각 100도, 열처리 온도 165 ℃, 사속 650 mpm으로 75D/24F인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2와 동일하되,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해성분 및 도성분의 토출비를 50:50 중량%로 설정하여 준비하였고,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연신비 1.76으로 연신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해성분에서, 유기 술폰산 금속염의 성분이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 중량부 함유되도록 준비하였고,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방사속도 5,000mpm, 연신비 1.88, 열처리온도 115 ℃로 연신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해성분 및 도성분의 토출비를 15:85 중량%로 설정하여 준비하였으며,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연신비를 1.75로 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해성분 및 도성분의 토출비를 85:15 중량%로 설정하여 준비하였으며,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연신비를 1.70, 열처리온도 110 ℃에서 연신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1과 동일하되,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의 해도형 방사구금 대신에 분할형 방사구금을 사용하였다.
* 시험방법
1. 피브릴 복합방사 원사의 파단 강,신도 측정
20 ℃, 65%RH의 표준조건 하에서 STATIMAT-M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강도의 단위는 [g/de]이고, 신도이 단위는 [%]이다.
2. 사측면 측정-주사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피브릴 효과를 지닌 복합섬유의 측면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시료를 백금-팔라듐 코팅으로 전처리하여 HITACHI S4700 FE-SEM으로 고분해능 5 kv에서 배율 3,500 배로 측정하였다.
3. 원단의 부드러운감/드라이감
전문가 5명의 관능시험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조된 복합섬유로 시 험하되,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피브릴 형성도: 1 내지 9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피브릴화가 용이함을 나타낸다.
-피브릴화 조절: 1 내지 9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감량가공 시의 워단에서의 피브릴화 조절이 쉽고, 품질 편차가 적게 발생함을 나타낸다.
-부드러운감: 1점 내지 9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부드러움을 나타낸다.
-드라이감: 1점 내지 9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드라이함을 나타낸다.
4. 용출률
용출률(%)= (Wa-Wb)/Wa X 100
Wa는 용출전 무게(g)이고, Wb는 용출후 무게(g)이다.
No. 구분 해성분 도성분 해도비율 사용
구금
방사속도 연신비 열처리온도
단위 - - 중량% - mpm -
1 실시예 1 술폰산금속염
1.5중량부
IV0.64
PET
IV0.65
40:60 해도형 37도 3,150 1.72 125
2 실시예 2 상동 PTT
IV1.1
상동 상동 3,000 1.82 120
3 실시예 3 상동 Nylon6
RV2.4
상동 상동 2,800 1.68 120
4 실시예 4 상동 PET
IV0.65
상동 상동 5,000 2.40 130
5 실시예 5 상동 상동 상동 상동 3,150
(ITY)
1.72 125
6 실시예 6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가연사)
1.70 165
7 실시예 7 상동 PTT
IV1.1
50:50 상동 3,000 1.76 120
8 비교예 1 술폰산금속염
12중량부
IV0.59
상동 상동 상동 3,100 1.88 115
9 비교예 2 술폰산금속염
1.5중량부
IV0.64
상동 15:85 상동 3,150 1.75 125
10 비교예 3 상동 상동 85:15 상동 상동 1.70 110
11 비교예 4 상동 상동 40:60 분할형 상동 1.72 125
No. 구분 감량전 감량후 감량률
%
피브릴형성도 원단특성
강도/신도
[g/de]/[%]
섬도
강도/신도
[g/de]/[%]
섬도
부드러운감 드라이감 피브릴화조절
1 실시예 1 4.7/32 15 3.5/24 12 21.0 7 7 8 9
2 실시예 2 4.5/38 16 3.4/27 12 18.0 7 8 6 7
3 실시예 3 4.9/35 14 3.7/25 11 21.4 8 8 7 7
4 실시예 4 4.5/34 17 3.4/23 13 23.5 6 7 7 7
5 실시예 5 4.5/35 16 3.3/22 13 25.3 7 8 7 8
6 실시예 6 2.5/17 15 1.8/14 12 19.7 8 8 6 7
7 실시예 7 4.4/35 14 3.3/26 11 21.4 7 8 8 8
8 비교예 1 3.8/35 13 2.8/18 5 47.6 8 6 3 3
9 비교예 2 4.8/29 15 3.7/25 14 16.9 6 5 4 3
10 비교예 3 3.5/31 17 2.5/17 8 65.4 3 4 3 3
11 비교예 4 3.7/28 16 1.8/10 6 26.7 1 4 1 1
표 1은 제조 조건이고, 표 2에서 제조 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표 2의 결과에서, 실시예1 내지 3으로 도성분인 PET, PTT, Nylon6의 원료 특징에 따른 피브릴화의 형성도가 달리 나타났는데, 해성분으로 개질 폴리에스테르, 즉 PET와 동일한 PET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피브릴 발현이 가장 어려웠으며, PTT 또는 Nylon6를 사용하였을 때는 피브릴 발현이 더 용이하였다. 이는 동종 고분자에서는 후가공단계에서의 감량 시에 해도계면에서의 NaOH 용액의 침투 효과가 이종 고분자보다 낮아지게 되어 상기의 결과가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본 발명의 원료 조건에서 벗어난 조건으로 감량 후, 원단의 부드러운감이나 드라이감 등의 피브릴화 특성이 잘 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비교예 4에서, 복합방사 구금 중에서 분할형 구금으로 본 발명의 조건으로 방사는 가능했으나, 이 경우에는 섬유 표면에서의 피브릴 효과가 해도형 구금을 사용했을 때(실시예)와 비교하여 거의 발현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구금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단면의 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측면 SEM 사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이용성 고분자의 토출구
20: 섬유형성 고분자의 토출구
100: 이용성 고분자
200: 섬유형성 고분자

Claims (36)

  1.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에 있어서,
    이용성 고분자 및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복합방사 하여 용출률이 10 내지 40%가 되도록 알칼리 감량을 통해 이용성 고분자를 용출시켜 섬유형성 성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기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반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보다 25 내지 53%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보다 5 내지 8㎛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성 고분자가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 를 지니는 복합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6.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에 있어서,
    이용성 고분자 및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복합방사하여 섬유를 제직한 후, 용출률이 10 내지 40%가 되도록 알칼리 감량을 통해 이용성 고분자를 용출시켜 섬유형성 성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기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반복 형성된 섬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 단사직경에서 용출전의 25 내지 53%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후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전보다 5 내지 8㎛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성 고분자가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
  11.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해성분의 이용성 고분자 및 도성분의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각각 준비되는 원료준비단계;
    상기 각각 준비된 원료를 해성분의 큰 원형 토출구 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도성분의 작은 원형 토출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섬유가 형성되는 방사 및 연신단계; 및
    상기 제조된 섬유를 알칼리 감량으로 해성분인 이용성 고분자의 용출률이 10 내지 40% 범위가 되도록 하여 도성분인 섬유형성 성분이 돌출되어 섬유 표면을 피브릴화 시키는 후가공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이용성 고분자가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섬유형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부분배향원사(POY)로 제조 시의 방사속도는 2,000 내지 4,500mpm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배향원사를 연신사로 제조 시에 연신온도 65 내지 100 ℃, 열처리온도 110 내지 240 ℃로 하고, 연신비는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55%가 되도록 설정해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후 냉각으로 노즐직하 5 내지 16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완전배향원사(FOY)로 제조 시 방사속도는 4,500 내지 6,000 mpm로 연신비 2.0 내지 3.0, 연신온도 70 내지 100 ℃, 열처리 온도 120 내지 190 ℃로, 연신 후의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후 냉각으로 노즐 직하 5 내지 30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복합방사 시 가연사가 제조됨이 더 포함되며, 가연각도는 95 내지 120도(ㅀ)로 가연 후 최종 원사의 신도가 25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해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복합방사 시 혼섬으로 연신복합사인 인터레이스사(ITY)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단계에서, 상기 후가공으로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NaOH 0.5 내지 5.0 중량부가 첨가된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여 처리온도 80 내지 150 ℃, 처리시간 10 내지 60분으로 처리되는 알칼리 감량가공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단계에서, 상기 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사직경이 용출전 단사직경 에서 용출전 단사직경의 25 내지 53% 작아지도록 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23. 제1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의 단사직경이 용출후에 용출전보다 5 내지 8㎛ 작아지도록 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24.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해성분인 이용성 고분자 및 도성분인 섬유형성 고분자의 비율이 80:20 내지 20:80 중량%로 각각 준비되는 원료준비단계;
    상기 각각 준비된 원료를 해성분의 큰 원형 토출구 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도성분의 작은 원형 토출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섬유가 형성되는 방사 및 연신단계;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를 거친 섬유로 원단이 형성되는 제직단계; 및
    상기 제조된 섬유를 알칼리 감량으로 해성분인 이용성 고분자의 용출률이 10 내지 40% 범위가 되도록 용출시켜 도성분인 섬유형성 성분이 돌출되어 섬유 표면을 피브릴화 시키는 후가공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이용성 고분자가 유기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한 개질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되, 상기 유기 술폰산 금속염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어 공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섬유형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원단의 제조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부분배향원사(POY)로 제조 시의 방사속도는 2,000 내지 4,500mpm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배향원사를 연신사로 제조 시에 연신온도 65 내지 100 ℃, 열처리온도 110 내지 240 ℃로 하고, 연신비는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55%가 되도록 설정해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후 냉각으로 노즐직하 5 내지 16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완전배향원사(FOY)로 제조 시 방사속도는 4,500 내지 6,000 mpm로 연신비 2.0 내지 3.0, 연신온도 70 내지 100 ℃, 열처리 온도 120 내지 190 ℃로, 연신 후의 최종 원사의 신도가 20 내지 45%가 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후 냉각으로 노즐 직하 5 내지 300 cm에서 수행하며, 유제 부착량은 상기 원사의 전체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복합방사 시 가연사가 제조됨이 더 포함되며, 가연각도는 95 내지 120도로 가연 후 최종 원사의 신도가 25 내지 45%가 되도 록 설정해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및 연신단계에서, 상기 복합방사 시 혼섬으로 연신복합사인 인터레이스사(ITY)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으로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NaOH 0.5 내지 5.0 중량부가 첨가된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여 처리온도 80 내지 150 ℃, 처리시간 10 내지 60분으로 처리되는 알칼리 감량가공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단계에서, 상기 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사직경이 용출전 단사직경에서 용출전 단사직경의 25 내지 53% 작아지도록 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36. 제24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사직경이 용출전보다 5 내지 8㎛ 작아지도록 용 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080012724A 2008-02-12 2008-02-12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 KR10097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724A KR100978396B1 (ko) 2008-02-12 2008-02-12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724A KR100978396B1 (ko) 2008-02-12 2008-02-12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342A KR20090087342A (ko) 2009-08-17
KR100978396B1 true KR100978396B1 (ko) 2010-08-26

Family

ID=4120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724A KR100978396B1 (ko) 2008-02-12 2008-02-12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258A (ko) * 1997-11-21 1999-06-15 구광시 해도형 복합 중공 섬유
JP2000328389A (ja) 1999-05-24 2000-11-28 Toray Ind Inc 高反発高発色性織物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93172A (ko) * 2001-06-07 2002-12-1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레이온/ 극세사 복합 직물의 제조 방법
JP2006299474A (ja) 2005-04-22 2006-11-02 Kuraray Co Ltd 極細溶融異方性芳香族ポリエステル繊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258A (ko) * 1997-11-21 1999-06-15 구광시 해도형 복합 중공 섬유
JP2000328389A (ja) 1999-05-24 2000-11-28 Toray Ind Inc 高反発高発色性織物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93172A (ko) * 2001-06-07 2002-12-1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레이온/ 극세사 복합 직물의 제조 방법
JP2006299474A (ja) 2005-04-22 2006-11-02 Kuraray Co Ltd 極細溶融異方性芳香族ポリエステル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342A (ko) 200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7171A (ko) 폴리아미드 해도 섬유,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Meredith The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fibres
KR100978396B1 (ko) 피브릴 효과를 지니는 복합섬유 및 원단과 이의 제조방법
JP3601902B2 (ja) 開口部を有する微細孔中空ポリアミ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73909A (ko) 인공피혁용 초극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복합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4256B1 (ko)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JP2002180342A (ja) 吸湿性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H03287820A (ja) 複合繊維
JPH04272223A (ja) 分割型複合繊維
JP3020715B2 (ja) 新規な極細繊維用複合繊維
KR20120132050A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5496510A (en) Acrylonitrile filament process
JP2000314036A (ja) 中空仮撚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3727419B2 (ja) 吸湿性ポリエステル繊維とその製造法
JPH0921074A (ja) 耐熱・耐炎性複合布帛
JP2000328359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の製造方法
JP3137742B2 (ja) フィブリル化可能な複合繊維
JPH073554A (ja) ポリエステル中空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
JPH08113819A (ja) 制電性網状構造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9766B2 (ja) 無機微粒子含有複合繊維
KR101850628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고신축성의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H07258922A (ja) 複合繊維および該複合繊維からなる極細繊維布帛
JPH0814042B2 (ja) 割繊性複合繊維及びその混繊糸の製造方法
KR100429433B1 (ko) 폴리에스터 극세섬유로 이루어진 편물
KR100216283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