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706B1 -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 - Google Patents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706B1
KR100976706B1 KR1020090094380A KR20090094380A KR100976706B1 KR 100976706 B1 KR100976706 B1 KR 100976706B1 KR 1020090094380 A KR1020090094380 A KR 1020090094380A KR 20090094380 A KR20090094380 A KR 20090094380A KR 100976706 B1 KR100976706 B1 KR 10097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ayer
scattering
road
lumi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교
Original Assignee
서윤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교 filed Critical 서윤교
Priority to KR102009009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706B1/ko
Priority to CN2010105046963A priority patent/CN102031762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경계석, 가드레일, 옹벽 등에 사용하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표지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계석등에는 어두운곳에서 운전자가 길의 폭과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야광,축광 물질을 길가의 경계석등에 도포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타이어, 차량에 의해 쉽게 마모되거나 비,바람, 눈, 청소 등에 의하여도 쉽게 마모되어 곧 제기능을 상실하기 쉬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경계석, 가드레일, 옹벽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한 표지물 구조를 제공하는데, 경계석의 안쪽 일정부분에 홈을 만들어 이곳에 야광페인트를 칠하거나 야광스티커를 부착하고 그 위에 산란이 잘되는 마감재를 도포하여 밤에도 헤드라이트 불빛에 의하여 쉽게 길의 폭과 방향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STRUCTURE FOR ROAD SIGN}
본 발명은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도로의 중앙이나 갓길 운행선 또는 보도 분리선 등에 설치되어 도로의 구획을 결정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경계표시 및 안전수단으로 사용되는 도로경계석은 화강암의 석재나 콘크리트 또는 인조대리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도로경계석은 구조적으로 빛을 발산할 수 없기 때문에 밝은 주간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불빛이 없는 어두운 야간이나 우천 시에는 운전자가 도로경계석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도로경계석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밝은 주간에는 전방을 볼 수 있는 시야가 확보되어 주행 중 운전자가 도로경계석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수 있기 때문에, 도로의 진행방향과 도로의 굴곡상태 및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불빛이 없는 어두운 야간이나 우천 시에는 주행 중 운전자가 도로경계석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없기 때문에, 도로의 진행방향과 도로의 굴곡상태 및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정확하 게 파악하기 어려워 도로이탈과 전복사고 등의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로경계석은 구조적으로 야간 혹은 우천 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가도로선형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고 또한 운전자가 도로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어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9-0089008호 '도로용 경계석'과 같이 경계석의 옆면에 무늬를 형성하고 때로는 무늬를 야광으로 형성함으로써 야간에도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로용 경계석의 측면은 차량의 타이어가 닿을 수 있는 곳이며 야외에 있어 눈,바람, 비 등에 노출이 되어 있기 때문에 금방 노후화되어 무늬가 없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1998-019489호 '야광표시판이 매입된 도로의 경계석 블록'과 같은 경우는 경계석 블록 양측단부 외측면과 중앙부 전면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야광판을 매입접착하여 주행하는 차량에서 비춰지는 전조등의 불빛에 의해 야광판이 반사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고 주행선을 지켜운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요입부를 형성한다고 하여도 야광판의 외곽선과 경계석의 외곽선이 일치하기 때문에 차량의 타이어에 의해 손상되거나 눈,바람,비 등에 의하여 노후화되는 것은 막기가 힘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타이어와의 마찰, 비,바람,눈, 청소등에 의한 마모에 강하면서도 밤에도 헤드라이트로부터 오는 빛을 잘 산란시켜 운전자가 길의 폭과 방향을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인성 확보를 위한 표지물 구조를 제공하는데, 표지물의 본체에 일정두께로 함입되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표면에는 야광층이 형성되며 상기 야광층의 표면에는 투명한 마감재층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재층의 외곽선은 상기 본체의 외곽선안쪽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길이 만큼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감재층은 투명한 세라믹으로 형성되며 산란을 위한 산란성 입자로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감재층의 표면에는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태의 산란홈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란홈은 볼록한 반구형태위에 더 작은 반구 형상의 미세산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감재층은 테이프 형태로 야광층위에 간편하게 부착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홈의 측벽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쉽게 마모되지 않으면서도 어두운곳에서도 잘 보이는 표지물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경계석 본체(11)의 한쪽 측면에는 홈(12)이 형성되어 있는데 홈(12)은 경계석 본체로부터 약 2~3mm 정도 함입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일부나 타이어가 와서 부딪히게 된다고 하여도 경계석 본체의 표면에는 닿을 수 있지만 홈 부분에는 부딪히기가 힘들정도로 함입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마모가 쉽게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홈(12)은 직육면체를 이루고 있는 경계석 본체의 한쪽면을 따라서 길쭉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여러개의 경계석을 연이어 놓을때 홈(12)들이 서로 연결된 일직선으로 보이게 된다.
홈(12)은 경계석 본체(11)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길이만큼의 폭을 갖는 것이 좋은데, 경계석을 따라 주행하는 운전자가 어둠속에서 경계석을 보게 되는 경우 경계석 위쪽 얼마만큼의 공간이 벽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홈의 폭만큼 위쪽이 벽이고 그 위부분은 허공이란것을 경험적으로 인지하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홈 아래쪽의 부분은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하되 상단의 공간의 폭은 항상 일정하도록 한다. 도1에서와 같은 경계석 본체를 일렬로 배치하게 되면 홈부분이 연결이 되면서 길이 어느쪽 방향으로 나 있는지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게 되며 삼거리나 사거리등에서 굽어있는 길쪽에는 해당부분의 경사도에 따라 굽은형태로 제작하도록 하여 굽은 방향을 알아보기 쉽게 만든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단면을 도시한다. 경계석 본체(11)위에는 접착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착층위에는 야광층(22)이 형성되고 그위에 마감재층(23)이 형성된다.
접착층(21)은 프라이머와 같은 종래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야광층에 사용하는 도료나 테이프도 종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마감재층(23)은 야광층이 비,바람, 청소등에 의해 마모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빛이 잘 산란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눈에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마감재층은 투명한 세라믹을 이용하여 마감하고 세라믹층 안에 산란을 위한 산란성 입자를 채울 수 있다. 산란성입자는 높은 굴절율을 갖는 입자면 어느 것이나 좋지만 투명세라믹안에 일정크기의 ZrO2 나 TiO2 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산란성 입자의 크기는 100nm 보다 작은 것이 좋으며 구,반구 혹은 그외의 어떤 모양을 띠고 있어도 문제 없다. 이러한 산란입자에 의하여 야광층에서 발생되는 빛은 마감재층의 산란입자에 의하여 산란되어 나간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의 실시예는 시인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마감재층을 도3과 같이 구성한다. 도3의 마감재층은 볼록한 형태로서 야광층에서 발생되는 빛이 좀더 많은 방향으로 굴절되어 확산되기 때문에 어두운곳에서도 어느 방향에서나 확인가능하도록 한다. 도3과 같이 마감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홈의 측벽(13)에는 반사층(24)을 형성하여 보다 많은 빛이 외부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마감재층이 반드시 반구의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그 단면이 타원이거나 원의 일부이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효과적인 산란을 위해서는 반구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보다 효과적인 산란을 위해서는 도4에서와 같이 반구의 형상의 산란홈(25)표면에 다시 작은 미세산란홈(26)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투명 세라믹으로 1차 마감을 한 뒤에 그 위에 볼록한 표면을 갖는 제2마감재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마감재층은 도포형태로 제작하거나 테이프와 같은 형태로 미리 제작하였다가 바로 붙여서 쓸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야광층에서 발광한 빛은 마감재층으로 넘어가면서 바깥쪽을 향해 산란되며 측벽(13)에 부딪힌 빛들은 다시 외벽쪽으로 반사된다. 좀더 쉽게 하기 위하여 측벽(13)의 반사층(24)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를 두어 좀더 쉽게 반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아예 홈의 단면을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야광표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다. 우선 경계석이나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 옹벽, 가드레일 등 본 발명에 따른 야광표지구조를 적용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과정을 갖는다. 경계석의 경우 제조할때 홈을 갖는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지만 제조공정이 복잡해질 수도 있으며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과 같은 경우 연마기를 이용해 직접 연마하게 되면 처음부터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야광테이프나 마감재테이프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공정도 간단해진다.
홈의 폭과 깊이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약 2~3mm 정도의 깊이로 홈을 형성하고 경계석이라면 약 50mm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되 위쪽에서부터 50mm 이격된 곳에 형성한다.
연마작업후에는 작업시에 발생한 불순물을 제척하여 표면을 매끈매끈하게 유지한다. 표면이 매끈하고 불순물이 없어야 야광층이 잘 접착되기 때문이다.
세척작업후에는 표면에 적당한 열을 가하여 표면에 습기를 제거한다. 섭씨60내지 80도의 열풍을 이용하여 표면을 가공한다.
제품이 적당한 열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야광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마감재층을 형성한다. 마감재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적당한 열풍을 쐬고 세라믹을 도포할 수 있다. 마감재 필름형식인 경우 야광층위에 간단히 필름을 도포할 수 있다.
제품의 출시를 위해 필요한 경우 마감재층위에 비닐로 테이핑을 하여 출시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표지물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2,3,4는 표지물구조의 단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6a,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지물 구조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1:본체 12:홈
13:측벽 21:접착층
22:야광층 23:마감재층
24:반사층 25: 산란홈
26:미세산란홈

Claims (7)

  1. 시인성 확보를 위한 표지물 구조로서,
    표지물의 본체에 일정두께로 함입되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표면에는 야광층이 형성되며 상기 야광층의 표면에는 투명한 마감재층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재층의 외곽선은 상기 본체의 외곽선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길이 만큼의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감재층은 투명한 세라믹으로 형성되며 산란을 위한 산란성 입자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표지물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층의 표면에는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태의 산란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표지물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홈은 볼록한 반구형태위에 더 작은 반구 형상의 미세산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표지물 구조
  6. 제1항,제4항,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층은 테이프 형태로 야광층위에 간편하게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표지물 구조
  7. 제1항,제4항,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측벽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표지물 구조
KR1020090094380A 2009-10-05 2009-10-05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 KR100976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80A KR100976706B1 (ko) 2009-10-05 2009-10-05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
CN2010105046963A CN102031762A (zh) 2009-10-05 2010-10-08 确保能见度的公路地标物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80A KR100976706B1 (ko) 2009-10-05 2009-10-05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706B1 true KR100976706B1 (ko) 2010-08-18

Family

ID=4275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380A KR100976706B1 (ko) 2009-10-05 2009-10-05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6706B1 (ko)
CN (1) CN1020317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1505A (zh) * 2015-12-15 2016-03-16 重庆亘宇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玻璃路缘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633Y1 (ko) * 2001-07-23 2001-11-17 김인중 폐타이어 고무칩을 이용한 야광 유도 경계블럭
KR20090003738U (ko) * 2007-10-17 2009-04-22 영남산업 주식회사 도로 경계블럭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65U (ko) * 1996-07-26 1998-04-30 이승현 경계석을 이용한로변경계표시장치
JPH10121408A (ja) * 1996-10-15 1998-05-12 Ryoji Tatewana 視線誘導標識を付した縁石ブロック
CN2490201Y (zh) * 2001-04-29 2002-05-08 马青科 发光马路边石
CN2576787Y (zh) * 2002-09-25 2003-10-01 王洛 余辉发光路缘石
CN2716332Y (zh) * 2004-03-25 2005-08-10 王洛 一种反光路缘石
KR20060133898A (ko) * 2006-06-19 2006-12-27 이혜옥 폐플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도로경계블록
CN201003137Y (zh) * 2006-12-28 2008-01-09 李振江 彩色玻璃边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633Y1 (ko) * 2001-07-23 2001-11-17 김인중 폐타이어 고무칩을 이용한 야광 유도 경계블럭
KR20090003738U (ko) * 2007-10-17 2009-04-22 영남산업 주식회사 도로 경계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31762A (zh)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443B2 (ja) 路面標示体の製造方法
KR100874675B1 (ko) 시선 유도용 야광 고무판이 구비된 도로 경계석
KR101079727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그루빙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76706B1 (ko)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 표지물 구조
US2345644A (en) Light reflecting sign or marker
US6841223B2 (en) Composite pavement markings
KR200448338Y1 (ko) 야광표시 도로 경계석
EP1918459A2 (en) Warning apparatus
KR200393733Y1 (ko) 도로경계석
CN211897953U (zh) 道路交通反光标线
US20200378076A1 (en) Contrast Surface Marking Devices and Systems
KR101937891B1 (ko) 도로 경계석
KR200403784Y1 (ko) 경사면을 갖는 도로경계석
KR101894586B1 (ko) 도로의 노면 표지
KR200238702Y1 (ko) 노면표시용 반사표시구를 부착한 블록
CN204475218U (zh) 新型防滑碗式路标
KR102644814B1 (ko) 미끄럼 방지형 도로 경계석
US20220120044A1 (en) Roadway marking system and method
JP2008196269A (ja) 舗装路の処理方法
KR20190128938A (ko)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JPH11508655A (ja) 再帰反射材料
KR200393732Y1 (ko) 도로경계석
US20080101859A1 (en) Warning Apparatus
KR200419647Y1 (ko) 도로 표지병
KR20200101739A (ko) 도로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