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993B1 - 검안장치 - Google Patents

검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993B1
KR100974993B1 KR1020080084354A KR20080084354A KR100974993B1 KR 100974993 B1 KR100974993 B1 KR 100974993B1 KR 1020080084354 A KR1020080084354 A KR 1020080084354A KR 20080084354 A KR20080084354 A KR 20080084354A KR 100974993 B1 KR100974993 B1 KR 10097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moving targ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626A (ko
Inventor
유키오 이케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ublication of KR2009002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4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e.g. perimeter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285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이동 시표(視標)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검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표 제시(呈示)장치(13)의 표시화면(15)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또한 이 표시화면의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선상의 한쌍의 고정 시표부(36)와, 서로 상이한 색이 부여되고, 각 고정 시표부(36)와 거의 동일 형상을 이룬 한쌍의 이동 시표부(37a, 37b)를 표시화면(15)에 표시시키며, 또한,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표시화면(15)으로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표시위치를 각각 표시화면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안장치{Optometric device}
본 발명은, 피검안의 시기능(視機能)을 검사하기 위한 검안장치로서 입체물을 봤을 때 시기능인 심시력(深視力)의 측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검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일본에서, 자동차 면허 등을 취득할 때 실시되는 심시력 측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검안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검안장치는,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이 하우징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또한 그 가로방향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된 막대상의 한쌍의 고정 시표부재와, 이 각 고정 시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 시표를 표시하는 액정판을 구비한다. 또한, 검안장치는, 액정판을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구와, 액정판에 표시된 이동 시표와 각 고정 시표부재를 피검안에 제시하기 위한 제시판에 투영하기 위한 투영기구를 구비한다. 액정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시판에 투영되는 이동 시표의 크기가 변화하기 때문에, 피검안에는, 제시판에 표시된 이동 시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검안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안의 심시력을 측정할 때, 액정판에 표 시된 이동 시표와 각 고정 시표부재를 각각 투영기구에 의해 제시판에 투영함으로써 피검안에 제시한 상태로 이동기구의 작동에 의해 액정판을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검사자는, 제시판에 투영된 이동 시표의 상(像)이 각 고정 시표부재의 상과 옆으로 나란히 섰다고 피검자가 판단했을 때 피검자에게 신호를 하게 한다. 그때의 액정판과 각 고정 시표부재의 전후방향의 위치 어긋남량으로부터, 피검안의 심시력의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258840호 공보
그러나, 제시판에 표시된 이동 시표상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피검안에 보이기 위해, 이동 시표가 표시되는 액정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구와, 액정판에 표시된 이동 시표와 각 고정 시표부재를 각각 제시판에 투영하기 위한 투영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측정장치 전체의 구조가 번잡해진다.
또한, 이동 시표상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피검안에 보이기 위해, 액정판의 배치위치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어, 액정판의 변위가 허용되는 크기의 안길이 치수를 하우징에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시판에 투영된 이동 시표상의 전후방향의 이동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액정판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경우, 하우징의 안길이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검안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이동 시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검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방면의 발명은, 피검안에 제시하는 각종 시표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와, 이 액정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 시표부를 상기 액정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서로 상이한 색이 부여된 한쌍의 이동 시표부를 상기 액정표시부에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상기 각 이동 시표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액정표시부로의 상기 각 이동 시표부의 표시위치를 각각 상기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방면의 발명은, 피검안에 제시하는 각종 시표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와, 이 액정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 시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복수의 틈새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파선상의 제1 이동 시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복수의 틈새가 상기 제1 이동 시표부의 상기 각 틈새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파선상의 제2 이동 시표부를 상기 액정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액정표시부로의 상기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표시위치를 각각 상기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액정표시부에는, 상기 제1 이동 시표부의 상기 각 틈새 및 이 각 틈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이동 시표부의 각 부분을 각각 덮는 제1 편광부분과, 상기 제2 이동 시표부의 상기 각 틈새 및 이 각 틈새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이동 시표부의 각 부분을 각각 덮는 제2 편광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편광부분과 상기 제2 편광부분으로 편광축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방면의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부에는, 이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 시표부와, 서로 상이한 색이 부 여된 한쌍의 이동 시표부가 각각 표시된다.
이 사실로부터, 예를 들면 각 이동 시표부 중 한쪽 이동 시표부의 색과 동일한 색이 부여된 우안용(右眼用) 필터와 다른 쪽 이동 시표부의 색과 동일한 색이 부여된 좌안용(左眼用) 필터를 통해 각 이동 시표부를 봤을 때, 우안에는 상기 다른 쪽 이동 시표부가 보이고, 좌안에는 상기 한쪽 이동 시표부가 보인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눈이 각각 취득하는 망막상의 공간적인 어긋남을 이용하여 2차원 화상인 각 이동 시표부를 융상(融像)함으로써 입체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부로의 각 이동 시표부의 표시위치는,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각 이동 시표부의 변위에 따라, 우안 및 상기 다른 쪽 이동 시표부를 지나는 선분(線分)과 좌안 및 상기 한쪽 이동 시표부를 지나는 선분의 교점인 융상위치가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각 이동 시표부로부터 형성되는 입체상의 형성위치가 각 이동 시표부의 변위에 따라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각 필터를 통해 각 이동 시표부를 보고 있는 피검안에는, 입체상이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피검안의 심시력을 측정할 때, 각 고정 시표부 및 각 이동 시표부를 각각 액정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각 필터를 통해 피검안에 보인 상태로 각 이동 시표부의 표시위치를 변화시키고, 피검자에게 입체상이 양쪽의 2개의 고정 시표부와 옆으로 나란히 섰다고 판단했을 때 신호를 하게 함으로써, 피검안의 심시력의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부에 표시된 이동 시표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피검안에 보이기 위해, 종래와 같은 이동기구나 투영기구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 이동기구 및 투영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검안장치 전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선분의 교점인 융상위치에 따라서, 즉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을 따른 상기 입체상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의 이동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을 따른 입체상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시판에 투영된 이동 시표상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정판의 배치위치를 변화시키는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종래의 이동 시표상에 상당하는 입체상의 이동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검안장치의 안길이 치수를 증대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검안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입체상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방면의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부에는, 이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 시표부와, 액정표시부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복수의 틈새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파선상의 제1 이동 시표부와, 액정표시부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복수의 틈새가 제1 이동 시표부의 각 틈새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파선상의 제2 이동 시표부가 각각 표시된다. 또한, 액정표시부에는, 제1 이동 시표부의 각 틈새 및 이 각 틈새에 대응하는 제2 이동 시표부의 각 부분을 각각 덮는 제1 편광부재와 제2 이동 시표부의 각 틈새 및 이 각 틈새에 대응하는 제1 이동 시표부의 각 부분을 각각 덮는 제2 편광부분으로 편광축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편광판이 액정표시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사실로부터, 예를 들면 제1 편광부분의 편광축의 방향과 동일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우안용 필터와 제2 편광부분의 편광축의 방향과 동일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좌안용 필터를 통해서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를 각각 봤을 때, 우안에는, 액정표시부의 영역 중 제1 편광부분으로 덮인 부분 즉 제2 이동 시표부는 보이지 않고, 제2 편광부분으로 덮인 부분 즉 제1 이동 시표부가 보인다. 한편으로, 좌안에는, 제1 이동 시표부는 보이지 않고 제2 이동 시표부가 보인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눈이 각각 취득하는 망막상의 공간적인 어긋남을 이용하여 2차원 화상인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를 융상함으로써 입체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부로의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표시위치는,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변위에 따라, 우안 및 제1 이동 시표부를 지나는 선분과 좌안 및 제2 이동 시표부를 지나는 선분의 교점인 융상위치가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로부터 형성되는 입체상의 형성위치가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변위에 따라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각 필터를 통해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를 보고 있는 피검안에는, 입체상이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피검안의 심시력을 측정할 때, 각 고정 시표부와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를 각각 액정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각 필터를 통해 피검안에 보인 상태로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표시위치를 변화시키고, 피검자에게 입체상이 양쪽 2개의 고정 시표부와 옆으로 나란히 섰다고 판단했을 때 신호를 하게 함으로써, 피검안의 심시력의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부에 표시된 이동 시표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피검안에 보이기 위해, 종래와 같은 이동기구나 투영기구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 이동기구 및 투영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검안장치 전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선분의 교점인 융상위치에 따라서, 즉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을 따른 상기 입체상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이동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액정표시부의 전후방향을 따른 입체상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시판에 투영된 이동 시표상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정판의 배치위치를 변화시키는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종래의 이동 시표상에 상당하는 입체상의 이동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검안장치의 안길이 치수를 증대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검안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입체상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도시하는 실시예를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검안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종 시표(11)를 피검자(12)의 피검안(12a, 12b)(도 8 참조)에 제시하기 위한 시표 제시장치(13)와, 피검안(12a, 12b)의 시기능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장치(14)를 구비한다.
시표 제시장치(13)는 시표(11)가 표시되는 표시화면(15)을 갖는다. 표시화면(15)은 액정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화면(15)에 표시되는 시표(11)는 후술하는 컨트롤러(16)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다.
교정장치(14)는, 시표 제시장치(13)와 피검자(12) 사이에 배치된 검안 테이블(17)에 설치된 암(18)에 취부(取付)되어 있고, 좌우방향에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포롭터(phoroptor)(19)를 구비한다.
각 포롭터(19)는 각각 검안창(20)이 형성된 하우징(19a)을 구비한다. 각 하우징(19a) 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종래와 동일하게, 서로 굴절력이 상이한 복수의 교정렌즈가 둘레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고리상의 렌즈 디스크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즉, 교정장치(14)는, 광학소자인 상기 교정렌즈를 피검안(12a, 12b)과 시표 제시장치(13)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광학소자 배치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각 교정렌즈는, 상기 컨트롤러(16)의 제어하에서 상기 렌즈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각 검안창(20)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검안장치(10)는 교정장치(14) 및 시표 제시장치(13)의 작동 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컨트롤러(16)를 구비한다.
컨트롤러(16)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자(21)(도 1 참조)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22)와, 이 조작부의 조작내용 및 시표(11)를 나타내는 조작화상을 각각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3)를 갖는다.
또한, 컨트롤러(16)는, 조작부(22)의 조작을 토대로 시표 제시장치(13), 교정장치(14) 및 표시부(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24)와, 표시부(23), 시표 제시장치(13) 및 제어회로(24)에 접속된 화상 출력부(25)와, 메모리부(26)를 갖는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 컨트롤러(16)는, 입체물을 봤을 때 피검안(12a, 12b)의 시기능인 심시력의 검사를 후술하는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를 사용하여 행했을 때, 피검자(12)에 의해 조작되는 확인장치(27)를 갖는다. 확인장치(27)는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조작부(22)에 설치된 확인조작 스위치(28)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부(26)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종 검사에 사용되는 각종 시표(11)를 나타내는 시표 데이터(32)와, 조작화상을 나타내는 조작화상 데이터(33)와, 각종 계산 프로그램(34)과, 상기 각 교정렌즈의 구면(球面)도수, 난시도수, 축각도(軸角度) 등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렌즈 데이터(35)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시표 데이터(32)에는 상기한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는 도 4(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뻗 고 또한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선상의 한쌍의 고정 시표부(36)와, 서로 상이한 색이 부여되고, 각 고정 시표부(36)와 거의 동일 형상을 이룬 한쌍의 이동 시표부(37a, 37b)를 갖는다. 각 고정 시표부(36) 및 각 이동 시표부(37a, 37b)는 각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표 제시장치(13)의 표시화면(15)에 표시된다.
한쌍의 이동 시표부(37a, 37b)는 도 4(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각각 각 고정 시표부(36) 사이에 이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C)으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쌍의 이동 시표부(37a, 37b) 중 도 4에서 보아 왼쪽에 위치하는 한쪽 이동 시표부(37a)에는 적색이 부여되어 있고, 오른쪽에 위치하는 다른 쪽 이동 시표부(37b)에는 녹색이 부여되어 있다.
조작부(2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38) 등의 검사 설정을 위한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다이얼(38)은, 후술하는 표시화면(39)의 굴절력 표시란(40)에 표시되는 구면도수, 난시도수 및 축각도 등의 수치를 변경할 때 회전조작된다.
표시부(23)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22)의 상기 각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화상이 표시되는 상기 표시화면(39)을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 표시화면(39)은 액정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화면(39)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정렌즈의 구면도수, 난시도수 및 축각도 등의 굴절력이 표시되는 상기 굴절력 표시란(40)과, 시표 제시부(13)의 표시화면(15)에 표시되는 시표(11)를 나타내는 복수의 시표화상(41)의 일람이 표시되는 일람 표시 란(4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화면(39)에는, 일람 표시란(42)으로부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된 시표화상(41)에 대응하는 시표(11)를 검사자(21)가 확인할 수 있도록, 선택된 시표(11)를 표시하는 시표 표시란(43)이 설치되어 있다.
굴절력 표시란(40), 일람 표시란(42) 및 시표 표시란(43)을 각각 나타내는 화상, 및 각 시표화상(41)은, 각각 메모리부(26)에 기억된 조작화상 데이터(33)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화면(39) 상에는 도시하지 않는 터치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일람 표시란(42) 상에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지만 종래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막 스트라이프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또한 양단부에 저항막이 설치된 투명 필름이나 유리 등의 한쌍의 패널부재를 각 도전막 스트라이프가 서로 직교하도록 첩합(貼合)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이 압하(押下)되었을 때, 상기 각 패널부재에 형성된 상기 각 도전막 스트라이프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導通)하여 상기 각 저항막에 나타나는 전압을 토대로, 한쪽 상기 패널부재의 복수의 상기 도전막 스트라이프 중 어떤 상기 도전막 스트라이프가 다른 쪽 상기 패널부재의 복수의 상기 도전막 스트라이프 중 어떤 상기 도전막 스트라이프에 접촉했는지 터치 센서(44)(도 2 참조)에 의해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의 압하된 위치가 특정된다. 따라서, 표시화면(39)에 표시된, 예를 들면 일람 표시란(42)의 각 시표화상(41) 중 검사에 사용하는 시표(11)를 나타내는 시표화상(41)을 표시화면(39) 상 으로부터 압하함으로써, 검사에 사용하는 시표(11)를 일람 표시란(42)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터치 센서(44)는 압하된 위치를 검출하면, 이 압하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어회로(24)에 출력한다.
제어회로(2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22) 및 터치 센서(44)에 접속된 판정부(45)와, 메모리부(26) 및 화상 출력부(25)에 접속된 추출부(46)와, 화상 출력부(25)에 접속된 산출장치(47)와, 화상 출력부(25)에 접속된 이동 표시장치(48)를 구비한다.
판정부(45)는, 조작부(22)의 다이얼(38)이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신호를 조작부(22)로부터 받아, 이 조작신호를 토대로 다이얼(38)의 조작위치를 판정하고, 그 조작위치를 나타내는 조작위치 신호를 추출부(46)에 출력한다.
또한, 판정부(45)는, 예를 들면 검안장치(10)의 전원이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그것을 판정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추출부(46)에 출력한다.
또한, 판정부(45)는, 상기 터치 센서(44)로부터 압하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받아, 이 검출신호를 토대로 선택된 시표화상(41)이 어떤 시표화상(41)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45)는, 심시력 검사시에 상기한 확인조작 스위치(28)가 조작되었을 때, 조작되었을 때의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 각각의 거리를 판정한다.
추출부(46)는, 검안장치(10)의 전원이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판정부(45)로부터 받으면, 메모리부(26)로부터 조작화상 데이터(33)를 불러와, 이 조작화상 데이터를 표시화면(39)에 표시시킨다는 조작화상 신호를 표시부(23)에 화상 출력부(25)를 매개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부(23)의 표시화면(39)에는, 조작화상 데이터(33)에 포함되는 굴절력 표시란(40), 각 시표화상(41), 일람 표시란(42) 및 시표 표시란(43)이 각각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또한, 추출부(46)는, 판정부(45)로부터 받는 다이얼(38)의 조작위치 신호를 토대로 조작위치에 따른 굴절력을 나타내는 렌즈 데이터(35)를 메모리부(26)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렌즈 데이터(35)가 나타내는 굴절력을 갖는 상기 교정렌즈를 각 포롭터(19)의 검안창(20) 내에 배치한다는 제어신호를 교정장치(14)에 화상 출력부(25)를 매개로 출력하고, 또한, 조작화상 데이터(33)에 포함되는 굴절력 표시란(40)에 렌즈 데이터(35)가 나타내는 굴절력을 표시한다는 굴절력 화상신호를 표시부(23)에 화상 출력부(25)를 매개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38)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굴절력을 갖는 상기 교정렌즈가 각 포롭터(19)의 검안창(20) 내에 배치된다. 또한, 굴절력 표시란(40)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38)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상기 교정렌즈의 굴절력의 값이 표시된다.
또한, 추출부(46)는 판정부(45)로부터 받는 신호를 토대로, 소정의 시표(11)에 대응하는 시표 데이터(32)를 메모리부(26)로부터 추출한다.
산출장치(47)는 판정부(45)로부터 받는 신호를 토대로, 피검안(12a, 12b)의 시력값 등을 산출한다.
이동 표시장치(48)는 심시력 검사시에 추출부(46)로부터 받는 신호를 토대로,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이동시키기 위해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이하, 피검안(12a, 12b)의 심시력을 검사할 때의 제어회로(24)에 의한 제어작용을 도 6의 플로우 차트를 토대로 설명한다.
검사자(21)는,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에 나타내는 시표화상(41a)(도 5 참조)을 일람 표시란(42)으로부터 선택하기 위해 표시화면(15) 위를 압하한다.
제어회로(24)는, 터치 센서(44)로부터 압하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판정부(45)에서 받으면, 검출신호에 나타내어진 압하 위치를 토대로, 일람 표시란(42)으로부터 선택된 시표화상(41)이 어떤 시표화상(41)인지를 판정부(45)에서 판정한다(스텝 S1). 판정부(45)는 판정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추출부(46)에 출력한다.
제어회로(24)는, 선택된 시표화상(41)을 나타내는 신호가 판정부(45)로부터 추출부(46)에 출력되면, 판정부(45)로부터의 신호가 나타내는 시표화상(41)에 대응하는 시표 데이터(32), 즉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에 대응하는 시표 데이터(32)를 메모리부(26)로부터 추출부(46)에서 추출한다(스텝 S2).
제어회로(24)는, 추출한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를 시표 표시란(43) 및 표시화면(15)에 각각 표시시킨다는 시표화상 신호를 추출부(46)로부터 표시부(23) 및 시표 제시장치(13)에 각각 화상 출력부(25)를 매개로 출력하고, 또한,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가 표시화면(15)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추출부(46)로부터 이동 표시장치(48)에 출력한다(스텝 S3).
이동 표시장치(48)는 추출부(46)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진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표시화면(15)으로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표시위치를 표시화면(15)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화상처리를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시표 데이터(32)에 실시하고, 화상처리를 실시한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표시화면(15)에 표시한다는 제어신호를 시표 제시장치(13)에 화상 출력부(25)를 매개로 출력한다(스텝 S4).
이것에 의해, 표시부(23)의 시표 표시란(43)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가 표시되고, 시표 제시장치(13)의 표시화면(15)에는 도 4(a) 내지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고정 시표부(36)와, 표시화면(15)으로의 표시위치가 표시화면(15)의 가로방향으로 순차 변화함으로써 이동하는 각 이동 시표부(37a, 37b)가 표시된다.
도시한 예에서 각 이동 시표부(37a, 37b)는, 각각 각 고정 시표부(36) 사이에서, 도 4(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4(b) 및 (c)에 나타내는 위치를 통과한 후, 서로 겹친다. 그 후, 각 이동 시표부(37a, 37b)는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좌우의 위치가 교체되어, 서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시한 예에서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이동속도는 일정하고, 각 이동 시표부(37a, 37b)가 도 4(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서로 겹치는 위치로 이동하는 시간이 약 10초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표시화면(15)에 표시된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를 피검안(12a, 12b)에 제시할 때, 검사자(2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록안경(49)을 피검자(12)에게 착용시킨다. 적록안경(49)은, 상기 한쪽 이동 시표부(37a)의 색, 즉 적색이 부여된 좌안용 필터(49a)와 상기 다른 쪽 이동 시표부(37b)의 색, 즉 녹색이 부여된 우안용 필터(49b)를 갖는다.
피검자(12)는, 적록안경(49)의 각 필터(49a, 49b) 각각을 통해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본다. 이 때, 적색의 좌안용 필터(49a)를 통해 표시화면(15)을 보는 좌안(12b)에는 적색의 상기 한쪽 이동 시표부(37a)는 보이지 않고, 녹색의 상기 다른 쪽 이동 시표부(37b)가 보인다. 한편으로, 녹색의 우안용 필터(49b)를 통해 표시화면(15)을 보는 우안(12a)에는 녹색의 상기 다른 쪽 이동 시표부(37b)는 보이지 않고, 적색의 상기 한쪽 이동 시표부(37a)가 보인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눈(12a, 12b)이 각각 취득하는 망막상에 공간적인 어긋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차원 화상인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융상함으로써 입체상(F)이 형성된다.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각각 도 4(a) 내지 (d)에 나타내는 순서로 표시화면(15)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8(a) 내지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안(12b) 및 상기 다른 쪽 이동 시표부(37b)를 지나는 선분과 우안(12a) 및 상기 한쪽 이동 시표부(37a)를 지나는 선분의 교점인 융상위치(P)가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각 이동 시표부(37a, 37b)로부터 형성되는 입체상(F)의 형성위치가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변위에 따라 표시화 면(15)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좌안용 필터(49a) 및 우안용 필터(49b) 각각을 통해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보고 있는 피검안(12a, 12b)에는, 입체상(F)이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각 이동 시표부(37a, 37b)가 각각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 상에서 서로 겹쳤을 때, 융상위치(P)가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에 일치하고, 이 때, 입체상(F)이 양쪽의 2개의 고정 시표부(36)와 옆으로 나란히 서게 된다.
검사자(21)는, 입체상(F)이 양쪽의 2개의 고정 시표부(36)와 옆으로 나란히 섰다고 피검자(12)가 판단했을 때, 확인조작 스위치(28)를 피검자(12)에게 조작시킨다.
제어회로(24)는, 확인조작 스위치(28)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부(45)에서 판정한다(스텝 S5).
제어회로(24)는, 확인조작 스위치(28)가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부(45)가 판정한 경우는, 스텝 S5를 반복하여 행한다.
한편, 제어회로(24)는, 확인조작 스위치(28)가 조작되었다고 판정부(45)가 판정한 경우는,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거리를 판정부(45)에서 판정하고, 그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판정부(45)로부터 산출장치(47)에 출력한다(스텝 S6).
산출장치(47)는, 확인조작 스위치(28)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거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판정부(45)로부터 받으면, 그 값을 토대로, 입체상(F)과 각 고정 시표 부(36)간의 중심(C)과의 거리, 즉 각 고정 시표부(36)의 위치에 대한 입체상(F)의 위치의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의 어긋남량을 산출한다(스텝 S7).
도시한 예에서는, 피검자(12)와 표시화면(15)의 거리가 2.5 m일 때의,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거리와, 좌안(12b) 및 상기 다른 쪽 이동 시표부(37b)를 지나는 선분과 우안(12a) 및 상기 한쪽 이동 시표부(37a)를 지나는 선분이 이루는 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 테이블이 메모리부(26)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산출장치(47)에 의한 어긋남량의 산출은, 상기 데이터 테이블 및 메모리부(26)에 기억된 계산 프로그램(34)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예를 들면,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거리가 3 ㎝이고, 이 때의 상기 각도가 30°라고 하면, 어긋남량이 약 5.2 ㎝라고 산출장치(47)에 의해 산출된다.
제어회로(24)는, 산출장치(47)에 의해 산출된 어긋남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산출장치(47)로부터 판정부(45)에 출력한다(스텝 S8).
판정부(45)는, 산출장치(47)로부터 어긋남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으면, 그 어긋남량이 소정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9). 상기 소정의 범위는 도시한 예에서는 +2 ㎝ ~ -2 ㎝이다.
제어회로(24)는, 어긋남량이 상기 소정의 범위 내가 아니라고 판정부(45)에서 판정한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불합격이라는 표시를 각 표시화면(15, 39)에 표시한다는 제어신호를 시표 제시장치(13) 및 표시부(23)에 출력함으 로써, 각 표시화면(15, 39)에 불합격 표시를 한다. 이것에 의해, 검사가 불합격이라는 것을 피검자(12) 및 검사자(21)에게 알린다(스텝 S10). 또한, 제어회로(24)는, 어긋남량이 상기 소정의 범위 내가 아니라고 판정부(45)에서 판정한 경우, 스텝 S4~스텝 S9를 반복하여 행한다.
한편, 제어회로(24)는, 어긋남량이 상기 소정의 범위 내라고 판정부(45)에서 판정한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합격이라는 표시를 각 표시화면(15, 39)에 표시한다는 제어신호를 시표 제시장치(13) 및 표시부(23)에 출력함으로써, 각 표시화면(15, 39)에 합격 표시를 한다(스텝 S11). 이것에 의해, 검사가 합격인 것을 피검자(12) 및 검사자(21)에게 알린다.
이것에 의해, 피검안(12a, 12b)의 심시력의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어, 피검안(12a, 12b)의 심시력 검사가 종료된다.
검사의 합격 여부를 피검자(12) 및 검사자(21)에게 알리기 위해, 검사의 합격 여부를 각 표시화면(15, 39)에 표시하는 것 대신에, 또는 이것에 추가로, 검사의 합격 여부를 음성으로 피검자(12) 및 검사자(21)에게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시표 제시장치(13)의 표시화면(15)에, 한쌍의 고정 시표부(36)와 동시에, 서로 상이한 색이 부여되고 각 고정 시표부(36)와 거의 동일 형상을 이룬 한쌍의 이동 시표부(37a, 37b)를 표시시킴으로써, 적록안경(49)의 각 필터(49a, 49b)를 통해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봤을 때,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융상함으로써 입체상(F)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화면(15)으로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표시위치를,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표시화면(15)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입체상(F)의 형성위치가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적록안경(49)의 각 필터(49a, 49b)를 통해 각 이동 시표부(37a, 37b)를 보고 있는 피검안(12a, 12b)에, 입체상(F)이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안(12a, 12b)의 심시력을 측정할 때, 피검자(12)에게 입체상(F)이 양쪽의 2개의 고정 시표부(36)와 옆으로 나란히 섰다고 판단했을 때 신호를 하게 함으로써, 피검안(12a, 12b)의 심시력의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화면(15)에 표시된 이동 시표부(37a, 37b)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피검안(12a, 12b)에 보이기 위해, 종래와 같은 이동기구나 투영기구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 이동기구 및 투영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검안장치(10) 전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선분의 교점인 융상위치에 따라서, 즉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을 따른 입체상(F)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각 고정 시표부(36)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각 이동 시표부(37a, 37b)의 이동량을 증대시킴으로써,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을 따른 입체상(F)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시판에 투영된 이동 시표상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정판의 배치위치를 변화시키는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종래의 이동 시표상에 상당하는 입체상(F)의 이동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시표 제시장치(13)의 안길이 치수를 증대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시표 제시장치(13)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입체상(F)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이동 시표부(37a, 37b) 중 한쪽 이동 시표부(37a)에 적색이 부여되어 있고, 다른 쪽 이동 시표부(37b)에 녹색이 부여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 대신에, 서로 상이한 색이라면, 적색 및 녹색 이외의 색이 부여된 이동 시표부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심시력 검사에 사용되는 적록안경(49)의 각 필터(49a, 49b)의 색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가, 상하방향으로 뻗고 또한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선상의 한쌍의 고정 시표부(36)와, 서로 상이한 색이 부여되고, 각 고정 시표부(36)와 거의 동일 형상을 이룬 한쌍의 이동 시표부(37a, 37b)를 갖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면 도 9(a) 내지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도 9(a) 내지 (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는, 표시화면(15)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또한 이 표시화면의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선상의 한쌍의 고정 시표부(50)와, 표시화면(15)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복수의 틈새(5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파선상의 제1 이동 시표부(52)와, 표시화면(15)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복수의 틈새(53)가 제1 이동 시표부(52)의 각 틈새(51) 이외의 부분(52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파선상의 제2 이동 시표부(54) 를 갖는다.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는 도 9(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각각 각 고정 시표부(50) 사이에 이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C)으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도 9(a)에서 보아 왼쪽에 위치하는 제1 이동 시표부(52)의 각 틈새(51) 이외의 부분(52a)과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 이동 시표부(54)의 각 틈새(53) 이외의 부분(54a)이, 각각 표시화면(15)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화소에 1화소 간격으로 표시되도록 표시화면(15)에 전압이 인가된다.
표시화면(15)으로의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의 표시위치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심시력 검사시에 추출부(46)로부터 받는 신호를 토대로 이동 표시장치(48)에 의한 화상처리에 의해서, 각 고정 시표부(50)간의 중심(C)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진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표시화면(15)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는 각각 도 9(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9(b) 및 (c)에 나타내는 위치를 통과한 후, 서로 겹친다. 그 후,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는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좌우의 위치가 교체되어,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화면(15) 상에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를 덮는 편광판(55)이 설치되어 있다.
편광판(55)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에 편광축(도 10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져 있다.)이 설정된 복수의 제1 편광부분(56) 및 복수의 제2 편광부분(57)을 갖는다.
각 제1 편광부분(56)은 각각 표시화면(15)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뻗고, 제1 이동 시표부(52)의 각 틈새(51) 및 이 각 틈새에 대응하는 제2 이동 시표부(54)의 상기 각 부분(54a)을 각각 덮는다.
각 제2 편광부분(57)은 각각 표시화면(15)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뻗고, 제2 이동 시표부(54)의 각 틈새(53) 및 이 각 틈새에 대응하는 제1 이동 시표부(52)의 상기 각 부분(52a)을 각각 덮는다.
각 제1 편광부분(56) 및 각 제2 편광부분(57)의 각각의 신장방향의 길이 치수는 각각 동일하고,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의 이동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를 덮는 크기를 갖는다.
제1 편광부분(56)에 설정된 편광축은 제2 편광부분(57)에 설정된 편광축과 90도 어긋나 있다. 즉, 편광판(55)에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의 편광축이 상하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가며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광판(55)이 설치된 표시화면(15)에 표시된 도 9에 나타내는 심시력 검사용 시표(11a)를 사용하여 피검안(12a, 12b)의 심시력을 검사할 때, 도 8에 나타내어진 적록안경(49) 대신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편광부분(57)의 편광축의 방향과 동일 방향의 편광축(도 11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져 있다.)을 갖는 우안용 필터(58a)와 제1 편광부분(56)의 편광축의 방향과 동일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좌안용 필터(58b)를 갖는 편광안경(58)이 사용된다.
제1 편광부분(56)을 통과한 빛은, 편광축의 방향이 제1 편광부분(56)의 편광축의 방향과 동일한 좌안용 필터(58b)를 통과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편광축의 방향이 상이한 우안용 필터(58a)를 통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제2 편광부분(57)을 통과한 빛은, 편광축의 방향이 제2 편광부분(57)의 편광축의 방향과 동일한 우안용 필터(58a)를 통과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편광축의 방향이 상이한 좌안용 필터(58b)를 통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1 편광부분(56)을 통과한 빛은 좌안용 필터(58b)를 통과하여 좌안(12b)에 도달하고, 제2 편광부분(57)을 통과한 빛은 우안용 필터(58a)를 통과하여 우안(12a)에 도달한다.
따라서, 표시화면(15)에 표시된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를 편광안경(58)의 각 필터(58a, 58b)를 통해서 봤을 때, 우안(12a)에는, 표시화면(15)의 영역 중 각 제1 편광부분(56)으로 덮인 부분, 즉 제2 이동 시표부(54)의 상기 각 부분(54a)은 보이지 않고, 각 제2 편광부분(57)으로 덮인 부분, 즉 제1 이동 시표부(52)의 상기 각 부분(52a)이 보인다. 한편, 좌안(12b)에는 제1 이동 시표부(52)의 상기 각 부분(52a)은 보이지 않고, 제2 이동 시표부(54)의 상기 각 부분(54a)이 보인다. 이것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차원 화상인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를 융상함으로써 입체상(59)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를 각각 도 9(a) 내지 (d)에 나타내는 순서로 표시화면(15)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한 융상위치(P)(도 11 참조)가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로 형성되는 입체상(59)의 형성위치가 제1 및 제2 각 이동 시 표부(52, 54)의 표시위치의 변경에 의해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편광안경(58)의 각 필터(58a, 58b)를 통해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를 보고 있는 피검안(12a, 12b)에는, 입체상(59)이 표시화면(15)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피검안(12a, 12b)의 심시력을 측정할 때, 표시화면(15)에 표시된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를 피검안(12a, 12b)에 각 필터(58a, 58b)를 통해 보인 상태로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52, 54)의 표시위치를 변경시키고, 피검자(12)에게 입체상(59)이 양쪽의 2개의 고정 시표부(50)와 옆으로 나란히 섰다고 판단했을 때 확인조작 스위치(28)를 조작시킴으로써, 피검안(12a, 12b)의 심시력의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입체상(F, 59)이 양쪽의 2개의 고정 시표부(36, 50)와 옆으로 나란히 섰다고 판단했을 때 피검자(12)에게 확인조작 스위치(28)를 조작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 대신에, 입체상(F, 59)이 양쪽의 2개의 고정 시표부(36, 50)와 옆으로 나란히 섰다고 판단했을 때 그 사실을 피검자(12)가 검사자(21)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치라면, 확인조작 스위치(28) 이외의 장치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새로운 장치에 따라서, 각 고정 시표부(36, 50)의 위치에 대한 입체상(F, 59)의 위치의 어긋남량의 산출방법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d)는, 각각 본 발명의 심시력 검사용 시표가 표시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피검안의 심시력 검사를 행할 때의 제어회로에 의한 제어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각 이동 시표부를 적록안경을 사용하여 봤을 때 입체상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 내지 (d)는, 각각 본 발명의 각 이동 시표부가 도 4(a) 내지 (d)에 나타내는 상태에 놓여졌을 때의 융상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a) 내지 (d)는, 각각 도 4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실시예의 심시력 검사용 시표가 표시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를 편광안경을 사용하여 봤을 때 입체상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Claims (7)

  1. 피검안에 제시하는 각종 시표(視標)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와, 이 액정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 시표부를 상기 액정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서로 상이한 색이 부여된 한쌍의 이동 시표부를 상기 액정표시부에 표시시키며, 또한, 상기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상기 각 이동 시표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액정표시부로의 상기 각 이동 시표부의 표시위치를 각각 상기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시표부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상하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시표부는 선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 시표부는 상기 각 고정 시표부와 거의 동일 형상을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5. 피검안에 제시하는 각종 시표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와, 이 액정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 시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복수의 틈새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파선상의 제1 이동 시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복수의 틈새가 상기 제1 이동 시표부의 상기 각 틈새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파선상의 제2 이동 시표부를 상기 액정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각 고정 시표부간의 중심으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거리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액정표시부로의 상기 제1 및 제2 각 이동 시표부의 표시위치를 각각 상기 액정표시부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액정표시부에는, 상기 제1 이동 시표부의 상기 각 틈새 및 이 각 틈새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이동 시표부의 각 부분을 각각 덮는 제1 편광부분과, 상기 제2 이동 시표부의 상기 각 틈새 및 이 각 틈새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이동 시표부의 각 부분을 각각 덮는 제2 편광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편광부분과 상기 제2 편광부분으로 편광축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시표부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상하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시표부는 선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장치.
KR1020080084354A 2007-09-04 2008-08-28 검안장치 KR100974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28798A JP2009060941A (ja) 2007-09-04 2007-09-04 検眼装置
JPJP-P-2007-00228798 200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26A KR20090024626A (ko) 2009-03-09
KR100974993B1 true KR100974993B1 (ko) 2010-08-09

Family

ID=4046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354A KR100974993B1 (ko) 2007-09-04 2008-08-28 검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60941A (ko)
KR (1) KR100974993B1 (ko)
CN (1) CN1013802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9575B2 (ja) * 2008-03-31 2012-11-21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JP5602515B2 (ja) * 2010-06-29 2014-10-08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JP5915065B2 (ja) * 2010-10-15 2016-05-11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CN102319054B (zh) * 2011-05-31 2013-08-0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便携式视力检测仪
JP6197274B2 (ja) * 2012-09-14 2017-09-20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CN109124560A (zh) * 2018-06-27 2019-01-04 林子申 一种视觉功能评定方法及其系统
CN109008938B (zh) * 2018-08-08 2021-07-0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视力检测装置和系统
CN111317434A (zh) * 2018-12-13 2020-06-23 天津市职业大学 双眼影像分视检测系统及其应用
CN110025292B (zh) * 2019-04-29 2024-03-26 浙江工业大学 一种多维深度知觉测试实验装置
CN110604542B (zh) * 2019-10-23 2021-12-14 重庆能能科技有限公司 视觉抑制判定方法及其系统
CN110967868A (zh) * 2019-11-29 2020-04-07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终端及视力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520A (ja) * 1993-12-10 1995-06-27 Akio Nakagawa 深視力検査器
JPH09166955A (ja) * 1995-12-18 199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JP2001258840A (ja) 2000-03-17 2001-09-25 Topcon Corp 検眼装置
KR20060105635A (ko) * 2005-03-31 2006-10-11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안굴절력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426A (ja) * 1994-07-27 1996-02-13 Canon Inc 検眼装置
JPH08140934A (ja) * 1994-11-25 1996-06-04 Canon Inc 検眼装置
DE19746576A1 (de) * 1997-10-22 1999-04-29 Zeiss Carl Fa Verfahren für die Bilderzeugung auf einem Farbbildschirm und ein dazu geeigneter Farbbildschi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520A (ja) * 1993-12-10 1995-06-27 Akio Nakagawa 深視力検査器
JPH09166955A (ja) * 1995-12-18 199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JP2001258840A (ja) 2000-03-17 2001-09-25 Topcon Corp 検眼装置
KR20060105635A (ko) * 2005-03-31 2006-10-11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안굴절력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0224A (zh) 2009-03-11
KR20090024626A (ko) 2009-03-09
CN101380224B (zh) 2011-06-01
JP2009060941A (ja)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993B1 (ko) 검안장치
KR101466982B1 (ko) 시표 표시 장치
JP5727191B2 (ja) 検眼装置
US8827451B2 (en) Eyesight testing device
JP5173395B2 (ja) 視機能検査装置
JP5937235B2 (ja) 固視ずれを補正するためのプリズム処方値取得システム、取得方法、取得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67361B2 (en) Eyeglass fitting parameter measure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eyeglass fitting parameter measurement program
EP1932465B1 (en) Visual acuity testing apparatus
WO2008012649A2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a person
JP5377292B2 (ja) 眼の調節力測定装置
JP2008043402A (ja) 自覚式検眼装置
JPH11212526A (ja) カラースクリーンに画像を生成する方法及びそれに適するカラースクリーン
JP4896696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3571202B2 (ja) 視機能検査装置
JP4138432B2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3571117B2 (ja) 検眼装置
JPH0838426A (ja) 検眼装置
KR101254945B1 (ko) 검안 장치
JP4916753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H0880280A (ja) 検眼装置
JP2009072285A (ja) 検眼装置
JP2013183898A (ja) 両眼視機能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2018009942A (ja) レンズメータ及び眼鏡測定装置
JPH11155814A (ja) 視機能検査装置
JP6454964B2 (ja) 瞳孔間距離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