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170B1 -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170B1
KR100974170B1 KR1020070141381A KR20070141381A KR100974170B1 KR 100974170 B1 KR100974170 B1 KR 100974170B1 KR 1020070141381 A KR1020070141381 A KR 1020070141381A KR 20070141381 A KR20070141381 A KR 20070141381A KR 100974170 B1 KR100974170 B1 KR 100974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vity
unit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435A (ko
Inventor
박선규
한경봉
홍성남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4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1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ewag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공동구 유닛 상호간의 연결이 접속구 및 연결부재에 의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동구 및 그 공동구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그 공동구를 이루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전, 후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12)와, 그 하부(12)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그 측부(14)와 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16)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0); 그 본체(10)의 내부에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20); 그 지지부재(20)에 형성되는 접속구(30); 및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연통하는 각각의 접속구(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40)로 구성된다.
공동구, 지지부재, 접속구, 연결부재, 공동구 유닛

Description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본 발명은 공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각의 공동구 유닛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한 공동구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단지, 도로, 산업단지 등에는 전력선, 통신선, 등 다양한 전선 또는 배선을 집합시켜 공동으로 설치하기 위한 공동구가 설치되거나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공동구는 콘크리트로 성형되거나 형성된 박스형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통 연결하여 긴 터널식으로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구들은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종래의 공동구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의 연결에 있어 이웃하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외부에서 금속편을 이용하여 타격하거나 볼트 및 너트 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특히 각각의 공동구 유닛의 하부 및 측부를 연결하는 경우 그 연결작업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동구를 곡선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설치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공동구 및 그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그 내부에서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공동구 및 그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다양한 종류의 전선, 관, 호스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복수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설치하는 공동구에 있어서, 각각의 공동구 유닛은, 전, 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와,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와, 그 하부와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하는 상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 그 본체의 내부에 전선, 관, 호스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전방 개구부 및 후방 개구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그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접속구; 및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본체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연통하는 각각의 접속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들은, 다양한 종류의 전선, 관, 호스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복수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설치하는 공동구에 있어서, 각각 의 공동구 유닛은, 전, 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와,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와, 하부와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를 구비하는 본체; 그 본체의 내부에 전선, 관, 호스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본체의 전방 개구부 및 후방 개구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그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접속구;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본체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연통하는 각각의 접속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본체의 상부를 측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들은,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동구를 설치하거나 매설할 위치를 정하여 공동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면을 파내어 매설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매설통로가 형성되면, 그 매설통로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에 해당하는 개수의 공동구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공동구 유닛을 통로의 일측에 또는 중앙에 하나의 기준 공동구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기준 공동구 유닛의 일측 또는 타측에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을 배치하여 상호 정렬하는 단계; 상호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의 각각의 본체가 상호 정렬되어 하나의 공동구 유닛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공과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에 형성된 각각의 접속공이 일치하여 상호 연통하면, 연결부재를 그 연통공에 삽입하여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 공동구 유닛의 연결단계를 연속 반복적으로 매설통로 전체에 걸쳐 실행하여 공동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설치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및 그 공동구 설치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공동구 유닛 상호간의 연결이 접속구 및 연결부재에 의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동구가 설치될 위치 또는 상태에 따라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적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공동구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는 기본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복수 또는 다수의 공동구 유닛(U)을 구비한다.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예컨대 공동구가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이 상호 연결되는 방향의 전, 후방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방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그 본체(10)는 대부분 지중에 매설됨으로 인해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본체(10)는 공동구가 설치될 매설통로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12)와, 그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그 측부(14)와 하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하는 상부(16)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측부(14) 사이에는 전선(W), 관(P), 호스(H)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수직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그 내부에는 다양한 전선(W), 관(P), 호스(H) 등이 배선 또는 배설되는 지지부재(20)가 형성된다. 그 지지부재(20)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각각의 공동구 본체(10)의 연결시 상호 접하거나 대향할 수 있도록 각각의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지지부재(20)는 그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전선(W), 관(P), 호스(H) 등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본체(10)의 하부(12)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22)와, 본체(10)의 측부(14) 및 수직부(18)에 형성되는 측방 지지부(24)로 구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지지부재(20)는 본체(10)의 상부(16)에 필요에 따라 현수 방식으로 관을 지지하기 위한 현수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20)에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공동구 본체(10)를 후술되는 연결부재로 연 결하기 위한 접속구(30)가 관통 형성된다.
그 접속구(30)는 실제적으로 지지부재(20)의 각각의 지지부(22;24)의 사이즈 또는 크기에 따라 대경 접속공(32)과 소경 접속공(34)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공동구 본체(10)를 접속구(3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
그 연결부재(40)는 접속구(30)의 형상 또는 사이즈에 따라 그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대경 접속공(32)에 삽입되는 대경 연결편(42)과, 소경 접속공(34)에 삽입되는 소경 연결편(44)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40)의 각각의 연결편(42;44)은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연결시 작업성의 향상을 위한 유연성, 내열성, 절연성을 위해, 또한 공동구의 설치후 지진과 같은 지중의 이상 변형시 이를 수용하거나 완충시킬 수 있도록 유리섬유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체(10)간의 상호 견고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다소의 연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복수 또는 다수의 공동구 유닛(U)을 구비한다.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전술된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유닛(U)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성되는 바, 이에 대해 다시 한 번 간단하게 설명하면,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전, 후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방체형으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그 본체(10)는 하부(12)와, 그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그 측부(14)와 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16)를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각각의 측부(14) 사이에는 복수의 수직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상부(16)가 측부(14)에 대해 착탈 또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본체(10)의 상부(16)는, 제조 또는 작업중에, 지상 또는 지면에서 본체(1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본체의 상부(16)의 측부에는 후술되는 결합장치의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삽입공(162)이 천공된다.
또한,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는 하부 지지부(22) 및 측방 지지부(24)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0)가 형성된다.
물론, 지지부재(20)의 각각의 지지부(22;24)에는 대경 접속공(32)과 소경 접속공(34)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공동구 본체(10)를 접속구(3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0)를 포함하며, 그 연결부재(40)는 대경 접속공(32)에 삽입되는 대경 연결편(42)과, 소경 접속공(34)에 삽입되는 소경 연결편(44)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상부(16)를 개폐식으 로 결합하거나 조립하기 위한 결합장치(50)를 더 포함한다.
그 결합장치(50)는 본체(10)의 양 측부(14)에 장입되는 로드형 또는 장볼트형 고정부재(52)를 구비한다. 그 고정부재(52)는 복수 개를 구비하며 본체(10)의 제조시 성형틀에서 측부(1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본체(10)의 성형시 측부(14)에 수직방향으로 삽입공을 형성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52)를 그 삽입공에 삽입하여 일체화 시킬 수 도 있다. 그 고정부재(52)의 선단에는 후술되는 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부(522)가 형성된다. 물론, 그 각각의 고정부재(52)의 선단은 본체(10)의 상부(16)의 삽입공(162)에 삽입되어 상부로 노출된다.
각각의 고정부재(52)에는 체결부재(54)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 체결부재(54)는, 본체(10)의 상부(16)를 측부(14)의 상부로부터 결합시키는 경우 각각의 상부(16)의 관통공(162)에 삽입된 고정부재(52)의 나선부(522)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볼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통로의 곡선부 또는 굴곡부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되는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 또한 전술된 제1실시에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과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한 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생략한다.
먼저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의 공동구 유닛(10)은 기본적으로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12), 그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 부(14), 그 측부(14)와 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하는 상부(16), 및 각각의 측부(14)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부(18)가 구비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하부 지지부(22) 및 측방 지지부(24)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0)가 구비된다. 그 지지부재(20)의 각각의 지지부(22;24)에는 대경 접속공(32)과 소경 접속공(34)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각각의 접속공(32;34)은 후술되는 연결부재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접속공(32;34)은 후술되는 연결부재의 일측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홈(322;342)과, 그 제1고정홈(322;342)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하로 대응하게 형성되는 2개의 제2고정홈(324;344)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고정홈(322;342)은 안정적이고 용이한 결합을 위해 3개의 반원 홈(322a;324a)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고정홈(324;344) 또한 동일 목적으로 2개의 U자형 홈(324a;344a)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게, 각각의 접속구(30)에 삽입되는 연결부재(40)는 그 접속구(30)의 각각의 접속공(32;34)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부재(40)는 일측에서 하나의 공동구 유닛(10)의 접속공(32;34)에 삽입 고정되는 제1연결부(41)와, 그 공동구 유닛(10)에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의 접속공에 삽입 고정되는 제2연결부(43)와, 이들 제1연결부(41) 및 제2연결부(43)를 연결하기 위한 중앙부(45)를 일체로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부재(40)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41;43)의 선단에는 각각의 접속공(32;34)의 제1고정홈(322;34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편(412;432)이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부(41;43)의 대체로 중앙부 양측에는 각각의 접속공(32;34)의 각각의 제2고정홈(324;34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2개의 제2결합편(414;434)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연결부재(40)의 중앙부(45)는, 공동구 유닛(10)의 상호간의 연결 또는 설치시 곡선구간에 대한 적용성 및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수축 및 팽창 또는 전개될 수 있도록 주름형 또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의 각각의 측부(14)의 전, 후방측에도 접속공(141)이 세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각각의 접속공(141)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연결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공(141)이 본체(10)의 각각의 전, 후방에 형성되어 연결부재가 적용되면, 곡선부분에 공동구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구의 설치방법을 도 8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동구 설치방법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작업자는 공동구를 설치하거나 매설할 위치를 정하여 공동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면을 파내어 매설통로를 형성한다(S100).
매설통로가 형성되면, 그 매설통로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에 해당하는 개수의 공동구 유닛(U)을 준비한다(S102).
이후, 준비된 공동구 유닛(U)을 통로의 일측에 또는 중앙에 하나의 기준 공동구 유닛(U)을 배치한다(S104).
다음으로, 기준 공동구 유닛(U)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을 배치하여 상호 정렬한다(S106). 여기서, 작업자는 기준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지지부재(20)와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대응하는 지지부재(20)를 상호 일치시키고 그 지지부재(20)의 하부 지지부(22) 및 측방 지지부(24)를 상호 일치시켜 접속구(30)의 각각의 소경 접속공(32) 및 대경 접속공(34)을 상호 일치시킨다.
이와 같이, 상호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U)의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정렬되어 하나의 공동구 유닛(U)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공(32;34)이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에 형성된 각각의 접속공(32;34)이 일치하여 상호 연통하면, 작업자는 연결부재(40)를 그 연통공에 삽입하여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한다(S108). 여기서, 작업자는 공둥구 유닛(U)의 내부 또는 일측에서 연결부재(40)를 간단하게 연통구에 삽입함으로서, 공동구 유닛 상호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공동구 유닛(U)의 연결단계를 연속 반복적으로 매설통로 전체에 걸쳐 실행하여 공동구를 완성한다(S110).
물론,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이 상호 연결되거나 또는 공동구 유닛(U) 전체가 상호 연결된 후에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U)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간극 또는 공 간을 방수 및 방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동구가 완성된 후에는 지지부재(20)를 이루는 각각의 지지부(22;24) 및 현수부(26)에 전선(W), 관(P), 호스(H) 등을 배선 또는 배설하여 그 공동구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상부(16)가 개폐식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부(16)를 개방하여 전선(W), 관(P), 호스(H) 등을 배선 또는 배설하거나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매설위치 또는 매설통로가 곡선부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술된 제3실시예와 같이 본체(10)에 특정 형상의 제1고정홈(322;342) 및 제2고정홈(324;344)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접속공(32;34)에, 이에 대응하게 형성된 연결부재(40)의 제1결합편(412;432) 및 제2결합편(414;434)으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41) 및 제2연결부(43)를 결합시켜 곡선 위치에 대응하게 연결한다. 이때, 각각의 연결부재(40)는 본체(10)에 고정되는 각각의 제1연결부(41) 및 제2연결부(43)를 연결하는 주름 형상의 중앙부(45)의 수축 및 팽창작용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설치환경에 따라 정확하고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공동구 내부의 상태를 항상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공동구 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지지부재
30: 접속구 40: 연결부재
50: 결합장치

Claims (15)

  1. 다양한 종류의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복수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설치하는 공동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전, 후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12)와, 상기 하부(12)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상기 측부(14)와 상기 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16)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20);
    상기 지지부재(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구(30); 및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연통하는 각각의 상기 접속구(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40)가 삽입되는 상기 접속구(30)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12)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22)와, 상기 본체(10)의 측부(14)에 형성되는 측방 지지부(24)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40)가 삽입되는 접속구(3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부 지지부(22)에 형성되는 대경 접속공(32)과, 상기 측방 지지부(24)에 형성되는 소경 접속공(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접속구(30)의 대경 접속공(32)에 삽입되는 대경 연결편(42)과, 상기 소경 접속공(34)에 삽입되는 소경 연결편(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공(32;34)은 상기 연결부재(40)의 일 측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홈(322;342)과, 상기 제1고정홈(322;342)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하로 대응하게 형성되는 2개의 제2고정홈(324;34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322;342)은 3개의 반원 홈(322a;324a)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정홈(324;344)은 2개의 U자형 홈(324a;344a)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일측에서 하나의 공동구 유닛(10)의 접속공(32;34)에 삽입 고정되는 제1연결부(41)와, 상기 공동구 유닛(10)에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의 접속공에 삽입 고정되는 제2연결부(43)와, 상기 제1연결부(41) 및 제2연결부(43)를 연결하기 위한 중앙부(45)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41;43)의 선단에는 각각의 접속공(32;34)의 제1고정홈(322;34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편(412;43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부(41;43)의 양측에는 각각의 접속공(32;34)의 제2고정홈(324;34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2개의 제2결합편(414;434)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40)의 중앙부(45)는 주름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에 결합시 유연성, 내열성, 절연성, 내진성을 위해 유리섬유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11. 다양한 종류의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복수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설치하는 공동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전, 후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12)와, 상기 하부(12)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상기 하부(12) 와 상기 측부(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16)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20);
    상기 지지부재(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구(30);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연통하는 각각의 상기 접속구(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4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16)를 상기 측부(14)에 개폐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16)의 측부에는 상기 결합장치(50)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삽입공(162)이 천공되며:
    상기 결합장치(50)는, 상기 본체(10)의 측부(14)에 장입되며 나선부(522)가 형성되는 선단이 상기 상부(16)의 삽입공(162)에 관통되어 노출되는 고정부재(52)와, 상기 고정부재(52)의 나선부(522)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 제4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동구를 설치하거나 매설할 위치를 정하여 공동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면을 파내어 매설통로를 형성하는 단계(S100);
    매설통로가 형성되면, 그 매설통로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에 해당하는 개수의 공동구 유닛(U)을 준비하는 단계(S102);
    준비된 공동구 유닛(U)을 매설통로의 일측에 또는 중앙에 하나의 기준 공동구 유닛(U)을 배치하는 단계(S104);
    상기 기준 공동구 유닛(U)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을 배치하여 상호 정렬하는 단계(S106);
    상호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U)의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정렬되어 하나의 공동구 유닛(U)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공(32;34)과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에 형성된 각각의 접속공(32;34)이 일치하여 상호 연통하면, 상기 연결부재(40)를 그 연통공에 삽입하여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S108); 및
    상기 공동구 유닛(U)의 연결단계를 연속 반복적으로 매설통로 전체에 걸쳐 실행하여 공동구를 완성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 유닛 정렬단계(S106)는, 상기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부재(20)와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타측에 구비된 대응하는 지지부재(20)를 상호 일치시키고,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부 지지부(22) 및 측방 지지부(24)를 상호 일치시켜 접속구(30)의 각각의 대경 접속공(32) 및 소경 접속공(34)을 상호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설치방법.
KR1020070141381A 2007-12-31 2007-12-31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 KR100974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381A KR100974170B1 (ko) 2007-12-31 2007-12-31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381A KR100974170B1 (ko) 2007-12-31 2007-12-31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435A KR20090073435A (ko) 2009-07-03
KR100974170B1 true KR100974170B1 (ko) 2010-08-04

Family

ID=4133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381A KR100974170B1 (ko) 2007-12-31 2007-12-31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28Y1 (ko) * 2009-09-07 2010-02-11 배광호 케이블 엔트리 장치
KR101608696B1 (ko) * 2015-11-20 2016-04-04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CN108173182B (zh) * 2018-03-27 2024-05-24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承德供电公司 电力管的管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614U (ko) * 1993-04-30 1994-11-18 박병무 조립식 암거
JPH08168153A (ja) * 1994-12-15 1996-06-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用管路
JPH0993775A (ja) * 1995-09-27 1997-04-04 Chiba Yogyo Kk 電線共同溝
KR20070106410A (ko) * 2007-04-24 2007-11-01 이수호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614U (ko) * 1993-04-30 1994-11-18 박병무 조립식 암거
JPH08168153A (ja) * 1994-12-15 1996-06-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用管路
JPH0993775A (ja) * 1995-09-27 1997-04-04 Chiba Yogyo Kk 電線共同溝
KR20070106410A (ko) * 2007-04-24 2007-11-01 이수호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435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170B1 (ko)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
KR100873875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JP4079280B2 (ja) 街路灯の中空基礎
JP5425545B2 (ja) ケーブルの埋設方法
KR100793617B1 (ko) 전선 인출용 풀링아이
JP6621667B2 (ja) 電線共同溝、及びこれに用いる収容ボックス
KR100740944B1 (ko) 고압케이블 보호를 위한 배열 시설구조
JP4491386B2 (ja) 地下配線用ボックス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17889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JP4355594B2 (ja) ケーブル敷設構造
CN209703562U (zh) 一种地下管廊系统
CN212304686U (zh) 一种地下线缆加固装置
KR200444664Y1 (ko) 지중전력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JPH0623154Y2 (ja) ケーブル分岐ます
EP1174557A1 (en) Method for erecting a building and building element
JP4099693B2 (ja) 地中埋設電力通信線の分岐方法及び地中埋設電力通信線分岐用ます
JP2521598B2 (ja) 地中共同管路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共同管路
KR20220002000A (ko) 매립형 케이블배관박스 마개
JP4991509B2 (ja) 集束継手
KR100654219B1 (ko) 공동주택단지 지중에 매설되는 다용도 하수관
JP3500849B2 (ja) 接続式ダクトスリーブ及び接続式ダクトスリーブの特殊部への接続方法
JPH0379888A (ja) 地中埋設用多孔管
JP4269572B2 (ja) 地中埋設管用保護部材
KR100905548B1 (ko) 택지개발 단지내 지중에 매설되는 다용도 하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