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696B1 -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696B1
KR101608696B1 KR1020150163127A KR20150163127A KR101608696B1 KR 101608696 B1 KR101608696 B1 KR 101608696B1 KR 1020150163127 A KR1020150163127 A KR 1020150163127A KR 20150163127 A KR20150163127 A KR 20150163127A KR 101608696 B1 KR101608696 B1 KR 10160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plate
nu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성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성호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6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696B1/ko
Priority to PCT/KR2016/012834 priority patent/WO20170866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7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for multi-conductor cable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킨 후 적층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케이블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삽입홀을 형성시키되; 상기 체결부재는 가장 상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기붕부가 관통하고, 머리부가 관통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상부마감볼트와; 가장 하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기둥부가 관통하고, 머리부가 관통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하부마감볼트와; 상기 상부마감볼트와 하부마감볼트에 체결되는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획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문제가 발생된 케이블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Clamp for Cable Tie}
본 발명은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업용 기계나 전자기기에 접속하여 전기신호의 전달이나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수용하고 파지하는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기계나 전자기기, 토목기계 등과 같은 이동체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거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의 케이블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부여된 각각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를 결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끝부분을 파지하는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클램프는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적층하여 그 사이에 다수의 클램프들을 분리 구획함으로써 케이블이 서로 꼬이거나 비틀리거나 엇갈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케이블을 다단으로 구획하여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의 제작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간에 다수의 케이블이 각각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위치에 있는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그 문제 발생된 케이블에 접근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출원번호:10-2006-0012132 (등록번호:10-0942350, 발명의 명칭: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의 케이블류 클램프 부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귀획되어 파지된 케이블 중 특정 위치에 있는 케이블에 문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그 문제 상황이 발생된 케이블에 신속히 접근하여 신속하게 복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킨 후 적층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케이블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삽입홀을 형성시키되; 상기 체결부재는 가장 상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기붕부가 관통하고, 머리부가 관통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상부마감볼트와; 가장 하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기둥부가 관통하고, 머리부가 관통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하부마감볼트와; 상기 상부마감볼트와 하부마감볼트에 체결되는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내주면 하측이 상기 하부마감볼트의 기둥부 외측면에 나선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외주면 상측에 각진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마감볼트가 설치된 플레이트의 바로 위에 배치된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회전되지 않도록 거치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회전방지너트와; 외주면이 상기 회전방지너트의 너트부 내주면 상측에 나선결합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너트부로 이루어진 제1양방향 체결구와; 외주면이 상기 제1양방향 체결구의 너트부에 나선결합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감볼트의 기둥부와 나선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볼트부와 너트부 사이에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날개부로 이루어진 제2양방향 체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양방향 체결구는 적층되는 플레이트가 4개일 때 1개가 사용되고, 4개에서 시작하여 적층되는 플레이트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제2양방향 체결구도 1개씩 더 사용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양측단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축턱의 하측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공간이격블록이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키고 이 플레이트를 체결부재로 연결하면 케이블을 수용한 후 파지할 수 있는 다단으로 구획된 공간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양방향 체결구 다수개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사용하면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상하방향 공간의 수를 용이하게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쪽에서 가까운 곳에 배치된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또는 아래쪽에서 가까운 곳에 배치된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만 있으면 위쪽 아래쪽 어느 쪽으로든 플레이트의 해체가 가능하여 신속하게 문제가 발생된 케이블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4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5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5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4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5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5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는 다수의 플레이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킨 후 이 적층된 플레이트(100)를 체결부재(200)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00) 사이에 케이블(C)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삽입홀(120)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플레이트(100)는 그 전체적인 형상이 4각 평판 형상과 유사한 모습을 취하는 것으로서, 양 측단에 돌출턱(11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돌출턱(110)은 플레이트(100)와 플레이트(100) 사이를 이격시켜 케이블(C)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이 플레이트(100) 양 측단의 돌출턱(110)에는 각각 2개씩의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만약, 플레이트(100)의 돌출턱(110)만으로 케이블(C)이 삽입되는 공간, 즉 케이블 삽입홀(120)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면 돌출턱(110) 하측에 일정높이를 갖는 공간이격블록(130)을 더 설치하여 충분한 케이블 삽입홀(120)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돌출턱(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이 체결부재(200)의 체결력에 의하여 상하로 적층된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 고정되어 다수의 케이블 삽입홀(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재(200)는 상부마감볼트(210)와, 하부마감볼트(220) 및 상기 상부마감볼트(210)와 하부마감볼트(220)에 체결되는 중간연결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마감볼트(210)는 기둥부(211)와, 상기 기둥부(211)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211)는 원기둥 형상으로 외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둥부(211)는 적층된 다수의 플레이트 중에서 가장 상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한다.
상기 머리부(212)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관통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된다. 즉 관통홀 상측에 머리부(212)가 삽입 안착되어 플레이트 상면으로 머리부(212)가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마감볼트(220)는 기둥부(221)와, 상기 기둥부(221)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222)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마감볼트(2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둥부(221)는 원기둥 형상으로 외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둥부(221)는 적층된 다수의 플레이트 중에서 가장 하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한다.
상기 머리부(222)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관통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된다. 즉 관통홀 하측에 머리부(222)가 삽입 안착되어 플레이트(100)로부터 머리부(222)가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중간연결부재(230)는 상기 하부마감볼트(220)에 체결되는 회전방지너트(231)와, 상기 회전방지너트(231)에 체결되는 제1양방향 체결구(232)와, 상기 상부마감볼트(210)에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양방향 체결구(232)에 체결되는 제2양방향 체결구(23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너트(231)는 너트부(231a)와, 상기 너트부(231a)의 외주면 상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머리부(231b)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부(231a)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이 나선이 형성된 내주면 하측이 상기 하부마감볼트(220)의 기둥부(221) 외측면에 나선결합된다.
상기 머리부(231b)는 너트부(231a)의 외측면에서 각진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마감볼트(220)가 설치된 플레이트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의 관통홀 상측에 회전되지 않도록 거치된다. 즉, 밑에서 두 번째 위치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의 관통홀 상측은 상기 회전방지너트(231)의 머리부(231b)에 대응되는 각진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에 회전방지너트(231)의 머리부(231b)가 삽입되면 회전방지너트(231)는 관통홀 내에서는 회전하지 못한다.
이러한 회전방지너트(231)가 다수의 플레이트(100)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서 회전되지 않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부마감볼트(210)를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회전시킬 때 하부마감볼트(220)가 회전되지 않도록 잡을 필요가 없고, 반대로 하부마감볼트(220)를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회전시킬 때 상부마감볼트(2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잡을 필요가 없다.
만약, 회전방지너트(231)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 없다면 상부마감볼트(210)를 회전시킬 때 하부마감볼트(220)나 나머지 중간연결부재(230)도 같이 회전하여 각 체결부재(200)의 나선결합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하부마감볼트(220)를 잡아줘야만 하부마감볼트(220)나 나머지 중간연결부재(2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상기 회전방지너트(231)가 제거해 준다.
상기 제1양방향 체결구(232)는 볼트부(232a)와, 상기 볼트부(232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부(232b)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부(232a)는 원기둥 형상으로 외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트부(232a)는 외주면이 상기 회전방지너트(231)의 너트부(231a) 내주면 상측에 나선결합된다.
상기 너트부(232b)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양방향 체결구(233)가 나선결합된다.
만약,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플레이트(100)가 3개가 적층되어 케이블 삽입홀(120)이 2개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제1양방향 체결구(232)의 너트부(232b)에는 상기 상부마감볼트(210)의 기둥부(211)가 나선결합된다. 즉 플레이트(100)가 3개만 적층될 경우에는 제2양방향 체결구(233)가 사용되지 않고, 상부마감볼트(210) 1개, 제1양방향 체결구(232) 1개, 회전방지너트(231) 1개 및 하부마감볼트(220) 1개가 사용된다.
상기 제2양방향 체결구(233)는 볼트부(233a)와, 상기 볼트부(233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부(233b)와, 상기 볼트부(233a)와 너트부(233b) 사이에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233c)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부(233a)는 원기둥 형상으로 외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트부(233a)는 외주면이 상기 제1양방향 체결구(232)의 너트부(232b)에 나선결합된다.
상기 너트부(233b)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이 나선이 형성된 내주면이 상기 상부마감볼트(210)의 기둥부(211) 외측면에 나선결합된다.
상기 날개부(233c)는 상기 볼트부(233a)와 너트부(233b)의 경계선상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마감볼트(210)의 머리부(212)나 상기 하부마감볼트(220)의 머리부(222)와 동일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취한다. 이러한 날개부(233c)는 플레이트의 관통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한편, 앞서 설명하기를 플레이트(100)를 플레이트(100)가 3개가 적층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2양방향 체결구(233)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양방향 체결구(233)는 플레이트(100)를 4개 이상 적층하여 케이블 삽입홀(120)을 3개 이상 형성시킬 때부터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플레이트(100)가 4개 적층될 때 1개의 제2양방향 체결구(233)가 설치되고, 4개에서 시작하여 적층되는 플레이트(100)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제2양방향 체결구(233)도 1개씩 더 사용된다.
즉, 도 4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5개의 플레이트(100)가 적층되면 2개의 제2양방향 체결구(233)가 사용되고, 6개의 플레이트(100)가 적층되면 3개의 제2양방향 체결구(233)가 사용되며, 7개의 플레이트(100)가 적층되면 4개의 제2양방향 체결구(233)가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렇게 제2양방향 체결구(233) 다수개가 사용될 경우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2양방향 체결구(233)의 볼트부(233a)는 하측에 위치하는 제2양방향 체결구(233)의 너트부(233b)에 나선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의 설치모습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경우, 즉 플레이트가 5개 적층된 경우를 예로 들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가장 하측에 위치된 플레이트를 제1플레이트(P1)라 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제2플레이트(P2), 제3플레이트(P3)...와 같은 방식으로 명명하도록 한다.
제1플레이트(P1)의 돌출턱이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제2플레이트(P2)의 돌출턱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제1플레이트(P1)의 돌출턱과 제2플레이트의 돌출턱이 서로 접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3플레이트(P3)와 제4플레이트(P4) 및 제5플레이트(P5)의 돌출턱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각각의 플레이트 사이에 케이블 삽입홀(1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1플레이트(P1) 내지 제5플레이트(P5)가 적층되었을 때 이 적층된 상태가 체결부재(200)에 의하여 고정된다.
즉, 하부마감볼트(220)가 제1플레이트(P1)에 설치되고, 회전방지너트(231)의 너트부(231a)가 상기 하부마감볼트(220)의 기둥부(221)와 나선결합된다. 이때, 회전방지너트(231)의 머리부(231b)는 제2플레이트(P2)의 관통홀에 삽입되되 각진 형태이기 때문에 제2플레이트(P2)의 관통홀 상에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양방향 체결구(232)가 제2플레이트(P2)와 제3플레이트(P3)에 걸쳐 설치되는데, 상기 제1양방향 체결구(232)의 볼트부(232a)가 상기 회전방지너트(231)의 너트부(231a)에 나선결합된다.
또한, 제2양방향 체결구(233)는 볼트부(233a)가 제1양방향 체결구(232)의 너트부(232b)에 나선결합되고, 날개부(233c)가 제3플레이트(P3)의 관통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거치된다.
또한, 또 다른 제2양방향 체결구(233)는 볼트부(233a)가 아래쪽에 위치한 제2양방향 체결구(233)의 너트부(233b)에 나선결합되고, 날개부(233c)가 제4플레이트(P4)의 관통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거치된다.
마지막으로 상부마감볼트(210)는 기둥부(211)가 상기 제2양방향 체결구(233)의 너트부(233b)에 나선결합되고, 머리부(212)가 제5플레이트(P5)의 관통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거치된다.
상기와 같은 모습으로 5개의 플레이트 적층상태가 고정되어 4개의 케이블 삽입홀(120)이 형성된다.
100: 플레이트 110: 돌출턱
111: 관통홀 120: 케이블 삽입홀
130: 공간이격블록
200: 체결부재 210: 상부마감볼트
211: 기둥부 212: 머리부
220: 하부마감볼트 221: 기둥부
222: 머리부 230: 중간연결부재
231: 회전방지너트 231a: 너트부
231b: 머리부 232: 제1양방향 체결구
232a: 볼트부 232b: 너트부
233: 제2양방향 체결구 233a: 볼트부
233b: 너트부 233c: 날개부
C: 케이블

Claims (5)

  1. 다수의 플레이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킨 후 적층된 플레이트(100)의 관통홀(11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00)로 결합하여,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케이블(C)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 삽입홀(120)을 형성시키되,
    상기 체결부재(200)는 가장 상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기붕부(211)가 관통하고, 머리부(212)가 관통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상부마감볼트(210)와; 가장 하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기둥부(221)가 관통하고, 머리부(222)가 관통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하부마감볼트(220)와; 상기 상부마감볼트(210)와 하부마감볼트(220)에 체결되는 중간연결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230)는 내주면 하측이 상기 하부마감볼트(220)의 기둥부(221) 외측면에 나선결합되는 너트부(231a)와, 상기 너트부(231a)의 외주면 상측에 각진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마감볼트(220)가 설치된 플레이트의 바로 위에 배치된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회전되지 않도록 거치되는 머리부(231b)로 이루어진 회전방지너트(231)와;
    외주면이 상기 회전방지너트(231)의 너트부(231a) 내주면 상측에 나선결합되는 볼트부(232a)와, 상기 볼트부(232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너트부(232b)로 이루어진 제1양방향 체결구(232)와;
    외주면이 상기 제1양방향 체결구(232)의 너트부(232b)에 나선결합되는 볼트부(233a)와, 상기 볼트부(233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감볼트(210)의 기둥부(211)와 나선결합되는 너트부(233b)와, 상기 볼트부(233a)와 너트부(233b) 사이에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날개부(233c)로 이루어진 제2양방향 체결구(2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양방향 체결구(233)는 적층되는 플레이트(100)가 4개일 때 1개가 사용되고, 4개에서 시작하여 적층되는 플레이트(100)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제2양방향 체결구(233)도 1개씩 더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는 양측단에 상기 관통홀(111)이 형성된 돌출턱(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의 돌출턱(110) 하측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공간이격블록(13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KR1020150163127A 2015-11-20 2015-11-20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KR10160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127A KR101608696B1 (ko) 2015-11-20 2015-11-20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PCT/KR2016/012834 WO2017086650A1 (ko) 2015-11-20 2016-11-09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127A KR101608696B1 (ko) 2015-11-20 2015-11-20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696B1 true KR101608696B1 (ko) 2016-04-04

Family

ID=5579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127A KR101608696B1 (ko) 2015-11-20 2015-11-20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8696B1 (ko)
WO (1) WO20170866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283B1 (ko) * 2019-04-25 2019-09-16 박동현 선택된 위치에서 분리 가능한 다단 적층구조를 갖는 반도체 설비실용 케이블 덕트
KR20220147417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케이블 포드용 클램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696Y1 (ko) 2000-08-30 2001-02-15 김학근 케이블 지지및 고정장치
KR200447628Y1 (ko) * 2009-09-07 2010-02-11 배광호 케이블 엔트리 장치
KR101555279B1 (ko) * 2014-10-29 2015-09-24 성문규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33B1 (ko) * 1999-12-28 2002-11-07 박병은 배관 및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바디
KR100974170B1 (ko) * 2007-12-31 2010-08-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696Y1 (ko) 2000-08-30 2001-02-15 김학근 케이블 지지및 고정장치
KR200447628Y1 (ko) * 2009-09-07 2010-02-11 배광호 케이블 엔트리 장치
KR101555279B1 (ko) * 2014-10-29 2015-09-24 성문규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283B1 (ko) * 2019-04-25 2019-09-16 박동현 선택된 위치에서 분리 가능한 다단 적층구조를 갖는 반도체 설비실용 케이블 덕트
KR20220147417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케이블 포드용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6650A1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660B1 (en) Bi-directional lug connection and method
KR101608696B1 (ko) 케이블 결합용 클램프
US20180083236A1 (en) Battery fixing bracket and battery pack
JP5806134B2 (ja) 電力変換装置
JP5716957B2 (ja) 車両用薄型ブラシレスモータの集中配電部材
US20080210464A1 (en) Strapping base and assembly
CN105332352A (zh) 一种室外电气设备维修现场保护护栏
CN204615322U (zh) 叠层母排固定结构
US20140205367A1 (en) Conenctor configuration for an assembled modular rack
KR101263364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파스너 및 이를 이용한 덕트 장착 알루미늄 프로파일
US9693472B2 (en) Cable management systems for enclosures
JP2007020344A (ja) ケーブルクリート
KR100897341B1 (ko) 판형 회전방지구가 적용된 부스 덕트 연결용 조인트 키트
WO2013072788A1 (en) A metal structure with heavy duty corner elements
KR100897340B1 (ko) 절연 샤프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스 덕트 연결용조인트 키트
JP2010044931A (ja) 電気機器間の接続構造
JP2016079622A (ja) ソーラーパネル固定装置
KR102532610B1 (ko) 리드-쓰루 시스템의 쐐기
JP2015124551A (ja) 組立家屋の接続構造
JP6237723B2 (ja) ボルト締め端子の積層連結具および積層固定構造
KR20170137026A (ko) 현장작업 최소화를 위한 모듈러 구조물의 인장체결 구조시스템
KR20200032346A (ko) 부스덕트 접속키트
KR20160001614U (ko) 다단식 급전선 클램프
KR101980107B1 (ko) 멀티 어스 터미널
KR20190114192A (ko) 분전반의 버스바의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