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536B1 - 귀금속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귀금속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536B1
KR100973536B1 KR1020070137366A KR20070137366A KR100973536B1 KR 100973536 B1 KR100973536 B1 KR 100973536B1 KR 1020070137366 A KR1020070137366 A KR 1020070137366A KR 20070137366 A KR20070137366 A KR 20070137366A KR 100973536 B1 KR100973536 B1 KR 10097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original
mold
ornament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640A (ko
Inventor
신의수
노정미
Original Assignee
(주)명가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가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명가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7013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5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B22D25/02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by its peculiarity of shape; of works of art
    • B22D25/026Casting jewelry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금속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신구에 고정되는 보석을 보다 많이 노출되게 고정하여 보석의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는 귀금속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이노캐드에 의해 1차 장신구 원본의 형상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과정(S1)과, 상기 라이노캐드에 의해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에 의해 쾌속조형기의 내부에서 초로 된 1차 장신구 원본을 형성하는 과정(S2)과, 상기 1차 장신구 원본을 수작업으로 정밀 가공하여 2차 장신구 원본을 만드는 정밀가공 과정(S3)과, 상기 정밀가공 과정 후에 2차 장신구 원본을 기초로 하여 은으로 된 완성 원본을 제작하는 과정(S4)과, 내부에 상기 완성 원본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성형틀을 제작하는 성형틀 제작과정(S5)과, 상기 성형틀을 반으로 절단하여 내부에 수용된 완성 원본을 빼내고 다시 결합하여 주입구와 캐비티를 갖는 성형몰드를 형성하는 과정(S6)과, 상기 성형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초 농을 캐비티에 주입하여 응고시켜 귀금속 주조를 위한 장신구 샘플을 제작하는 과정(S7)과, 상기 성형몰드에 의해 제작된 복수개의 장신구 샘플 단부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트리 형상으로 배치하는 과정(S8)과, 상기 장신구 샘플이 구비된 고정봉을 함체 내부에 고정시키고 함체에 모래/석고 등을 채워 넣은 후, 일정한 열을 가하여 주형의 내부에 캐비티와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주형 제작과정(S9)과, 주형의 주입구를 통해 캐비티에 귀금속 용융재를 주입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함체에 모래/석고를 분리하여 고정봉에 트리형상을 갖는 장신구 몸체가 제조되도록 하는 몸체 제작과정(S10)과, 상기 몸체 제작단계에서 형성된 장신구 몸체를 폴리싱과 고주파 세척 등의 방법으로 표면처리하는 표면처리 과정(S11)과, 상기 고정봉에 성형된 각 장신구 몸체를 절단기나 그라인더 등으로 고정봉에서 분리하고 연마 작업하는 가공과정(S12)과, 상기 장신구 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각각 보석을 셋팅하는 스톤 셋팅과정(S13)과, 상기 보석이 셋팅되어 있는 장신구를 마지막으로 폴리싱하는 과정(S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귀금속, 장신구, 보석.

Description

귀금속 제조방법{Jewelry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귀금속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신구에 고정되는 보석을 보다 많이 노출되게 고정하여 보석의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는 귀금속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은 고유의 광택과 색상을 지닌 비금속 광물로서, 금이나 은 등의 귀금속으로 반지, 귀걸이,목걸이 넥타이핀 등의 장신구에 이용되고 있으며, 장식용 보석은 자연의 힘으로 만들어진 천연석, 인간의 힘으로 만든 천연과 물리적, 화학적, 광학적 성질이 같은 합성석, 보석의 외관만 비슷하게 한 모조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보석을 장신구에 결합시키는 작업공정을 스톤세팅(stone setting)라 하며, 이 스톤세팅은 장신구에 직접 홈이나 조각하여 보석을 고정시킴으로써, 그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정교하게 이루어져 많은 시간과 고도의 숙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리고, 장신구에 고정되는 보석은 장신구에 대부분이 매립되거나 외부를 가려져 고정됨에 따라 보석의 아름다움을 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귀금속 장신구와 보석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작업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규격화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보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귀금속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신구에 고정되는 보석을 보다 많이 노출되게 고정하여 보석의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는 귀금속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귀금속 제조방법으로, 라이노캐드에 의해 1차 장신구 원본의 형상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과정(S1)과, 상기 라이노캐드에 의해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에 의해 쾌속조형기의 내부에서 초로 된 1차 장신구 원본을 형성하는 과정(S2)과, 상기 1차 장신구 원본을 수작업으로 정밀 가공하여 2차 장신구 원본을 만드는 정밀가공 과정(S3)과, 상기 정밀가공 과정 후에 2차 장신구 원본을 기초로 하여 은으로 된 완성 원본을 제작하는 과정(S4)과, 내부에 상기 완성 원본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성형틀을 제작하는 성형틀 제작과정(S5)과, 상기 성형틀을 반으로 절단하여 내부에 수용된 완성 원 본을 빼내고 다시 결합하여 주입구와 캐비티를 갖는 성형몰드를 형성하는 과정(S6)과, 상기 성형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초 농을 캐비티에 주입하여 응고시켜 귀금속 주조를 위한 장신구 샘플을 제작하는 과정(S7)과, 상기 성형몰드에 의해 제작된 복수개의 장신구 샘플 단부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트리 형상으로 배치하는 과정(S8)과, 상기 장신구 샘플이 구비된 고정봉을 함체 내부에 고정시키고 함체에 모래/석고 등을 채워 넣은 후, 일정한 열을 가하여 주형의 내부에 캐비티와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주형 제작과정(S9)과, 주형의 주입구를 통해 캐비티에 귀금속 용융재를 주입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함체에 모래/석고를 분리하여 고정봉에 트리형상을 갖는 장신구 몸체가 제조되도록 하는 몸체 제작과정(S10)과, 상기 몸체 제작단계에서 형성된 장신구 몸체를 폴리싱과 고주파 세척 등의 방법으로 표면처리하는 표면처리 과정(S11)과, 상기 고정봉에 성형된 각 장신구 몸체를 절단기나 그라인더 등으로 고정봉에서 분리하고 연마 작업하는 가공과정(S12)과, 상기 장신구 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각각 보석을 셋팅하는 스톤 셋팅과정(S13)과, 상기 보석이 셋팅되어 있는 장신구를 마지막으로 폴리싱하는 과정(S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장신구에 보석을 간단하게 고정시킴에 따라 고도의 숙련기술을 요구하지 않아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함과 동시에 불량률을 줄이며 규격화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신구의 보석을 고정하는 고정편은 한쌍의 고정편에 두개의 보석 측면이 고정됨에 따라 장신구에서 보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석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신구에 고정되는 보석을 보다 많이 노출되게 고정하여 보석의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귀금속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신구에 고정되는 보석을 보다 많이 노출되게 고정하여 보석의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는 귀금속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귀금속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라이노캐드에 의해 1차 장신구 원본의 형상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과정(S1)과, 상기 라이노캐드에 의해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에 의해 쾌속조형기(RP: Rapid prototype)의 내부에서 초로 된 1차 장신구 원본을 형성하는 과정(S2)과, 상기 1차 장신구 원본을 수작업으로 정밀 가공하여 2차 장신구 원본을 만드는 정밀가공 과정(S3)과, 상기 정밀가공 과정 후에 2차 장신구 원본을 기초로 하여 은으로 된 완성 원본을 제작하는 과정(S4)과, 내부에 상기 완성 원본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성형틀을 제작하는 성형틀 제작과정(S5)과, 상기 성형틀을 반으로 절단하여 내부에 수용된 완성 원본을 빼내고 다시 결합하여 주입구와 캐비티를 갖는 성형몰드를 형성하는 과정(S6)과, 상기 성형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초 농을 캐비티에 주입하여 응고시켜 귀금속 주조를 위한 장신구 샘플을 제작하는 과정(S7)과, 상기 성형몰드에 의해 제작된 복수개의 장신구 샘플 단부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트리 형상으로 배치하는 과정(S8)과, 상기 장신구 샘플이 구비된 고정봉을 함체 내부에 고정시키고 함체에 모래/석고 등을 채워 넣은 후, 일정한 열을 가하여 주형의 내부에 캐비티와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주형 제작과정(S9)과, 주형의 주입구를 통해 캐비티에 귀금속 용융재를 주입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함체에 모래/석고를 분리하여 고정봉에 트리형상을 갖는 장신구 몸체가 제조되도록 하는 몸체 제작과정(S10)과, 상기 몸체 제작단계에서 형성된 장신구 몸체를 폴리싱과 고주파 세척 등의 방법으로 표면처리하는 표면처리 과정(S11)과, 상기 고정봉에 성형된 각 장신구 몸체를 절단기나 그라인더 등으로 고정봉에서 분리하고 연마 작업하는 가공과정(S12)과, 상기 장신구 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각각 보석을 셋팅하는 스톤 셋팅과정(S13)과, 상기 보석이 셋팅되어 있는 장신구를 마지막으로 폴리싱하는 과정(S14)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셋팅과정(S13)은 장신구 몸체에 돌출된 네개의 고정편 내측면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보석의 측면이 고정편의 안착홈에 위치하도록 삽입하고 고정편을 내측 으로 밀어 보석의 측면 네곳이 네개의 고정편의 안착홈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보석을 고정하는 고정편은 한쌍의 고정편에 두개의 보석 측면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편의 외측과 고정편의 외측 전체의 폭은 0.6mm-1.5mm 인 것이다.
상기 프로그래밍과정(S1)은 라이노캐드에 의해 1차 장신구 원본의 형상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다.
상기 초로 된 1차 장신구 원본을 형성하는 과정(S2)은 라이노캐드에 의해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에 의해 쾌속조형기(RP: Rapid prototype)의 내부에서 초로 된 1차 장신구 원본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정밀가공 과정(S3)은 상기 1차 장신구 원본을 수작업으로 정밀 가공하여 2차 장신구 원본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완성 원본을 제작하는 과정(S4)은 상기 정밀가공 과정 후에 2차 장신구 원본을 기초로 하여 은으로 된 완성 원본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성형틀 제작과정(S5)은 내부에 상기 완성 원본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성형틀을 제작하는 것으로, 상하부 금형틀이 구비되고, 그 하부 금형틀에 일정한 점성을 갖는 플라스틱재를 충진하고, 그 상부에 장신구의 원형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하부 금형틀에 형성된 주입구에 끼워 고정하고, 이 상부에 플라스틱재를 다시 충진하고, 상기 상부 금형틀을 하강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고, 이와 동시에 상하부 금형틀에 열을 가하여 플라스틱재를 응고시킨다.
상기 성형몰드를 형성하는 과정(S6)은 상기 성형틀을 반으로 절단하여 내부 에 수용된 완성 원본을 빼내고 다시 결합하여 주입구와 캐비티를 갖는 성형몰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장신구 샘플을 제작하는 과정(S7)은 상기 성형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초 농을 캐비티에 주입하여 응고시켜 귀금속 주조를 위한 장신구 샘플을 제작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개의 장신구 샘플을 제작한다.
상기 트리 형상으로 배치하는 과정(S8)은 상기 성형몰드에 의해 제작된 복수개의 장신구 샘플 단부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트리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주형 제작과정(S9)은 상기 장신구 샘플이 구비된 고정봉을 함체 내부에 고정시키고 함체에 모래/석고 등을 채워 넣은 후, 일정한 열을 가하여 장신구 샘플이 녹아 외부로 배출되고, 주형의 내부에 캐비티와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 제작과정(S10)은 주형의 주입구를 통해 캐비티에 귀금속 용융재를 주입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함체에 모래/석고를 분리하여 고정봉에 트리형상을 갖는 장신구 몸체가 제조된다.
상기 표면처리 과정(S11)은 상기 몸체 제작단계에서 형성된 장신구 몸체를 폴리싱과 고주파 세척 등의 방법으로 표면처리하는 것이다.
세척장치가 구비되고, 이 세척장치는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케이스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의 내부에 적정량이 냉각수와 세척핀을 배치하고, 이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봉을 고정한 후, 세척장치의 동작에 의해 세척핀이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봉의 장신구 몸체에 달라붙어 있는 모래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면서 세척작업이 이루 어진다.
상기 가공과정(S12)은 상기 고정봉에 성형된 각 장신구 몸체를 절단기나 그라인더 등으로 고정봉에서 분리하고 연마 작업하는 것이다.
상기 스톤 셋팅과정(S13)은 상기 장신구 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각각 보석을 셋팅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싱하는 과정(S14)은 보석이 셋팅되어 있는 장신구를 마지막으로 폴리싱하는 것이다.
상기 장신구는 외주면에 각각의 보석이 연속적으로 안착되도록 구획된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으로 돌출된 고정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신구의 보석을 고정하는 고정편은 한쌍의 고정편에 두개의 보석 측면이 고정됨에 따라 장신구에서 보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석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다.
상기 장신구에 고정되는 보석을 보다 많이 노출되게 고정하여 보석의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 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

Claims (4)

  1. 라이노캐드에 의해 1차 장신구 원본의 형상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과정(S1)과, 상기 라이노캐드에 의해 프로그램된 프로그램에 의해 쾌속조형기의 내부에서 초로 된 1차 장신구 원본을 형성하는 과정(S2)과, 상기 1차 장신구 원본을 수작업으로 정밀 가공하여 2차 장신구 원본을 만드는 정밀가공 과정(S3)과, 상기 정밀가공 과정 후에 2차 장신구 원본을 기초로 하여 은으로 된 완성 원본을 제작하는 과정(S4)과, 내부에 상기 완성 원본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성형틀을 제작하는 성형틀 제작과정(S5)과, 상기 성형틀을 반으로 절단하여 내부에 수용된 완성 원본을 빼내고 다시 결합하여 주입구와 캐비티를 갖는 성형몰드를 형성하는 과정(S6)과, 상기 성형몰드의 주입구를 통해 초 농을 캐비티에 주입하여 응고시켜 귀금속 주조를 위한 장신구 샘플을 제작하는 과정(S7)과, 상기 성형몰드에 의해 제작된 복수개의 장신구 샘플 단부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트리 형상으로 배치하는 과정(S8)과, 상기 장신구 샘플이 구비된 고정봉을 함체 내부에 고정시키고 함체에 모래/석고 등을 채워 넣은 후, 일정한 열을 가하여 주형의 내부에 캐비티와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주형 제작과정(S9)과, 주형의 주입구를 통해 캐비티에 귀금속 용융재를 주입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함체에 모래/석고를 분리하여 고정봉에 트리형상을 갖는 장신구 몸체가 제조되도록 하는 몸체 제작과정(S10)과, 상기 몸체 제작단계에서 형성된 장신구 몸체를 폴리싱과 고주파 세척 등의 방법으로 표면처리하는 표면처리 과정(S11)과, 상기 고정봉에 성형된 각 장신구 몸체를 절단기나 그 라인더 등으로 고정봉에서 분리하고 연마 작업하는 가공과정(S12)과, 상기 장신구 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각각 보석을 셋팅하는 스톤 셋팅과정(S13)과, 상기 보석이 셋팅되어 있는 장신구를 마지막으로 폴리싱하는 과정(S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과정(S13)은 장신구 몸체에 돌출된 네개의 고정편 내측면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보석의 측면이 고정편의 안착홈에 위치하도록 삽입하고 고정편을 내측으로 밀어 보석의 측면 네곳이 네개의 고정편의 안착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석을 고정하는 고정편은 한쌍의 고정편에 두개의 보석 측면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외측과 고정편의 외측 전체의 폭은 0.6mm-1.5mm 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귀금속 제조방법.
KR1020070137366A 2007-12-26 2007-12-26 귀금속 제조방법 KR100973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66A KR100973536B1 (ko) 2007-12-26 2007-12-26 귀금속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66A KR100973536B1 (ko) 2007-12-26 2007-12-26 귀금속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40A KR20090069640A (ko) 2009-07-01
KR100973536B1 true KR100973536B1 (ko) 2010-08-02

Family

ID=4132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66A KR100973536B1 (ko) 2007-12-26 2007-12-26 귀금속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4559A (zh) * 2012-09-29 2013-01-30 东莞市金叶珠宝有限公司 星光银版加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32B1 (ko) * 2012-02-09 2014-02-03 이정수 이종금속의 다중 주물을 통한 금속제품표면의 패턴형성 방법
KR101295129B1 (ko) * 2012-11-09 2013-08-09 조성준 3차원 스캐닝을 이용한 유물의 복제방법
KR101616052B1 (ko) * 2015-06-22 2016-04-27 주식회사 발렌타인 드러지 컷 메탈 액세서리의 제작방법
CN109968109A (zh) * 2019-04-08 2019-07-05 深圳市明金珠宝有限公司 一种贵重金属的表面处理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922A (ja) 1998-09-02 2000-04-18 Nelson Jewellery Arts Co Ltd 宝石嵌込み方法及び宝石細工品
KR100358620B1 (ko) 2000-11-25 2002-10-30 예명지 캐드/캠을 이용한 3차원적 입체망사형 장신구의 제조 방법
JP2003070513A (ja) 2001-09-03 2003-03-11 Mizuho Kogei:Kk 装飾品の製造方法
KR100620417B1 (ko) 2005-09-30 2006-09-06 (주)명가인터내셔날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922A (ja) 1998-09-02 2000-04-18 Nelson Jewellery Arts Co Ltd 宝石嵌込み方法及び宝石細工品
KR100358620B1 (ko) 2000-11-25 2002-10-30 예명지 캐드/캠을 이용한 3차원적 입체망사형 장신구의 제조 방법
JP2003070513A (ja) 2001-09-03 2003-03-11 Mizuho Kogei:Kk 装飾品の製造方法
KR100620417B1 (ko) 2005-09-30 2006-09-06 (주)명가인터내셔날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4559A (zh) * 2012-09-29 2013-01-30 东莞市金叶珠宝有限公司 星光银版加工工艺
CN102894559B (zh) * 2012-09-29 2014-07-09 东莞市金叶珠宝有限公司 星光银版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40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536B1 (ko) 귀금속 제조방법
US5690477A (en) Invisible setting method for jewelry
KR100620417B1 (ko)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KR100771200B1 (ko) 인조 보석 몰드 제조 공구 및 이를 이용한 몰드 제조 방법
KR100620418B1 (ko)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KR20070102815A (ko) 보석의 거들 세팅용 난집 대량 생산 방법과 그 장신구
KR100658194B1 (ko) 중공형 반지의 제조방법
KR20120075931A (ko) 초경량 반지 및 제조방법
KR100769985B1 (ko) 장신구용 체인의 제조방법
KR20090069639A (ko) 귀금속 장신구
KR101356432B1 (ko) 이종금속의 다중 주물을 통한 금속제품표면의 패턴형성 방법
KR20030039699A (ko) 왁스파베 스톤세팅을 이용한 보석장식 귀금속 장신구의제조방법 및 그 장신구
KR102533720B1 (ko)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KR100332405B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P4612101B1 (ja) フープタイプのイヤリング又はピア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82980B1 (ko)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KR100214755B1 (ko) 장신구 및 금형의 제조방법
KR100916995B1 (ko) 금속 장신구의 제조방법
KR200419015Y1 (ko) 곡면 가공이 가능한 연마용 휠부재
US11117363B2 (en) Method for making an ornamental article
CN109875199B (zh) 一种采用批花镶嵌宝石的首饰及批花镶嵌宝石的方法
KR200189132Y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KR100927026B1 (ko) 귀금속 제조방법
KR101386234B1 (ko) 동 메탈스톤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악세사리
KR20010096728A (ko) 큐빅 및 보석의 귀금속 셋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