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886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886B1
KR100972886B1 KR1020090005048A KR20090005048A KR100972886B1 KR 100972886 B1 KR100972886 B1 KR 100972886B1 KR 1020090005048 A KR1020090005048 A KR 1020090005048A KR 20090005048 A KR20090005048 A KR 20090005048A KR 100972886 B1 KR100972886 B1 KR 10097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tomization
air conditioner
water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506A (ko
Inventor
스스무 하마다
쯔또무 이모또
노리오 미야자끼
마사까즈 아와노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한 미세한 물이 가지는 탈취 작용을 방의 넓은 범위에서 발휘시키는 정전 무화 장치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 장치와, 이 고전압 발생 장치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미세한 물을 방출하는 정전 무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정전 무화 장치는, 미세한 물을 방출하는 무화부와, 수원부로부터 무화부로 물을 안내하는 도수부를 가지는 무화 전극을 구비하고, 무화부는, 횡류형의 송풍 팬의 분출 풍로의 측벽으로부터 중앙 부근에 돌출하여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Figure R1020090005048
탈취, 정전 무화 장치, 고전압 발생 장치, 공기 조화기, 송풍 팬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전 무화 방식에서의 수분의 방출에 적합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기에 순환시켜, 가열, 냉각, 제습 기능 등에 의해 조화 공기로 하고, 이것을 실내에 분출함으로써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이때, 온도, 습도의 조절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고, 실내를 청정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실내에는, 생활에 부수하여 여러 가지 악취의 발생원이 생기고, 그 중 어느 것은 코의 냄새 세포를 자극하고, 악취로서 감지된다. 이들 악취 발생원은, 기체, 소액적, 미세한 진애 등이고, 모두, 방치해 두면 우주선 등에 의해 전리한 공기 중의 이온 등과 충돌하여 대전하거나, 중력 때문에 침강하거나, 기류에 의해 벽에 충돌하거나 하여, 실내의 벽, 가구, 마루, 천정 등의 고정물에 흡착되어 실내의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활성 물질과 조우하여 분해, 변성되어, 악취는 사라진다.
그러나, 분해되지 않고, 방의 벽이나 마루 등에 흡착, 침강한 악취의 발생원 은, 온도가 올라가거나, 바람을 쐬거나, 청소로 날아 올라가거나 하면, 또한, 실내 공기에 부유하게 되고, 악취로서 감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흡착 등에 의해 실내의 벽 등에 부착되어 있는 악취의 발생원을 분해, 변성하기 위해서, OH 라디칼 등의 활성 물질을 미세한 수적에 부여하여, 장수명화하고, 악취의 발생원에 조우시키고, 탈취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실내에 분출하는 공기에 정전 무화 방식에 의해 대전한 미세한 물을 방출하고, 실내를 탈취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이것을 구현화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고안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특허 문헌 5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은 방전 전극, 대향 전극, 고전압 인가 수단, 물 발생 수단을 가지는 정화 장치를 탑재한 실내기를 구비하고, 실내 온도 검출 수단, 실내 습도 검출 수단, 분출 온도 검출 수단을 가지고, 검출된 각 정보와,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물 발생 수단, 고전압 인가 수단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장수명의 산화력이 높은 라디칼이나 이온 등, 및 이들을 포함한 미세한 물을 생성하고, 탈취, 살균, 유해 물질 제거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2는 송풍 수단과, 열교환기와, 물 저류부와, 물의 반송부와, 반송처 단부에 대향하는 대향 전극부와, 반송 경로 중의 물 인가 전극부를 구비하여, 물 인가 전극부와 대향 전극부 간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정전 무화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해당 정전 무화 장치를 송풍 경로의 열교환기보다 하류측에 설치한다. 이에 의해, 미세한 물을 방출하여, 실내에 있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 특히 커튼이 나 벽 등에 부착한 냄새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저 코스트이고 설치 스페이스가 작은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3은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과 물 공급 수단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정전 무화 수단을 가진다. 이 정전 무화 수단의 물 공급 수단으로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한 냉각원의 냉각부측에 방전 전극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정전 미스트(미세한 물)를 포함한 공기를 실내에 분출하여, 실내에 있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 특히 커튼이나 벽 등에 부착한 냄새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공기 청정 기능이 부여된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4는 정전 무화 유닛과, 펠티에 소자와, 펠티에 소자 구동 전원과, 고전압 전원 유닛과, 흡입 온도 검출 수단과, 흡입 습도 검출 수단과, 펠티에 냉각면 온도 측정 수단과, 고전압 전극과, 대향 전극과, 정전 무화 상태 검출 수단을 가지고, 흡입 온도 검출 수단과 습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펠티에 소자 구동 전원 및 고전압 전원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사람이 급수하지 않고 무급수로 미세한 물을 방출하고, 정전 무화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가지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공기 조화기의 공기 청정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5는 흡방습재층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흡습 사이클과 흡방습재층에 가열 공기를 보내서 흡착된 수분을 탈리시키는 방습 사이클을 번갈아 동작시키는 물 생성 수단과, 제1, 제2 전극 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물을 무화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정전 무화 수단과, 이들의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무급수로 정전 무화에 의해 미세한 물을 방출하고, 탈취 기능을 가지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개 2006-029663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 특개 2005-282873호 공보
특허 문헌 3:일본 특개 2006-234245호 공보
특허 문헌 4:일본 특개 2006-149538호 공보
특허 문헌 5:일본 특개 2006-150162호 공보
현재, 가정용 공기 조화기는, 그 정음성, 기류의 도달성 등 때문에, 횡류 팬을 이용하는 것이 많고, 전술한 정전 무화 장치를 도입할 때에도 이들 점에 유의하여, 그 부착 자세나 부착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특허 문헌 5에서는, 수많이 보급되어 있는 횡류 팬을 사용한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에 정전 무화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 설치 자세 등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한 미세한 물이 가지는 탈취 작용을 방의 넓은 범위에서 발휘시키는 정전 무화 장치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 장치와, 이 고전압 발생 장치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미세한 물을 방출하는 정전 무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정전 무화 장치는, 미세한 물을 방출하는 무화부와, 수원부로부터 무화부로 물을 안내하는 도수부를 가지는 무화 전극을 구비하고, 무화부는, 횡류형의 송풍 팬의 분출 풍로의 측벽으로부터 중앙 부근에 돌출하여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 작용을 방의 넓은 범위에서 발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1 내지 도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동일 부호는 동일물 또는 상당물을 나타낸다.
우선,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을, 도1, 도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 도2는 도1의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공기 조화기(1)는, 실내기(2)와 실외기(6)을 접속 배관(8)으로 연결하고,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실내기(2)는, 케이스체 베이스(21)의 중앙부에 실내 열교환기(33)를 두고, 열교환기(33)의 아래에 열교환기(33)의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의 횡류 팬 방식의 송풍 팬(311)을 배치하고, 이슬 받이 접시(35) 등을 부착하고, 이들을 화장 프레임(23)으로 덮고, 화장 프레임(23)의 전면에 전면 패널(25)을 부착하고 있다. 이 화장 프레임(2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7)와, 온습도가 조화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구(29)가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311)으로부터의 분출 기류를 송풍 팬(311)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는 분출 풍로(290)에 흘리고, 분출 풍로(290) 도중에 배치한 좌우 풍향판(295)으로 기 류의 좌우 방향을 편향하고, 또한, 분출구(29)에 배치한 상하 풍향판(291)으로 기류의 상하 방향을 편향하여 실내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33)는, 알루미늄제의 복수 매의 핀과, 이들 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동제의 냉매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핀과 핀의 간격은 미소 극간으로 되어 있고, 이 사이를 실내의 공기류가 통풍함으로써 냉매와 공기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진다. 이 실내 열교환기(33)의 공기류 하류에는 송풍 팬(311)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311)이 회전하면 실내 공기가 실내기(2)에 설치된 공기 흡입구(27)로부터 실내 열교환기(33), 송풍 팬(311)을 통과하여 공기 분출구(29)로부터 분출된다.
케이스체 베이스(21)에는, 송풍 팬(311), 필터(231, 231'), 실내 열교환기(33), 이슬 받이 접시(35),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 등의 기본적인 내부 구조체가 부착된다. 그리고, 이들 기본적인 내부 구조체는, 케이스체 베이스(21), 화장 프레임(23), 전면 패널(25)로 이루어진 케이스체(20)에 내포되어 실내기(2)를 구성한다.
또한, 전면 패널(25)의 상부 일측에는,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397)와, 별체의 리모콘(5)으로부터의 적외선의 조작 신호를 받는 수광부(396)가 배치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23)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 분출구(29)는, 전면 패널(25)과의 분할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안의 분출 통로(290)에 연통하고 있다. 2매의 상하 풍향판(291)은, 폐쇄 상태에서, 분출 통로(290)를 거의 은폐하여 실내기(2)의 저면 에 연속하는 큰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하 풍향판(291)은, 양단부에 설치한 회동축을 지점으로 하여, 리모콘(5)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구동 모터에 의해 공기 조화기(1)의 운전시에 소요의 각도 회동하여 공기 분출구(29)를 개방하고, 이 상태로 유지된다.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정지시에는, 이들 상하 풍향판(291)은 공기 분출구(29)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좌우 풍향판(295)은, 하단부에 설치한 회동축을 지점으로 하여 구동 모터에 의해 회동되고, 리모콘(5)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회동되어 그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분출 공기가 좌우의 원하는 방향으로 분출된다. 또한, 리모콘(5)으로부터 지시함으로써,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중에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주기적으로 요동시키고, 실내의 광범위에 주기적으로 분출 공기를 보낼 수도 있다.
가동 패널(251)은, 하부에 설치한 회동축을 지점으로 구동 모터에 의해 회동되고, 공기 조화기(1)의 운전시에 전측 공기 흡입부(230')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 공기는, 운전시에 상측 공기 흡입부(230)로부터 뿐만 아니라, 전측 공기 흡입부(230')로부터도 실내기(2) 내에 흡인된다. 공기 조화기(1)의 정지시에는, 전측 공기 흡입부(230')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공기 조화기(1)를 운전할 때에는, 전원에 접속하여 리모콘(5)을 조작하고, 원하는 냉방, 제습, 난방 등의 운전을 행한다. 냉방 등의 운전의 경우, 송풍 팬(311)의 전방 부분의 실내 열교환기(33)에 실내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도2와 같이, 전면 패널(25)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 패널(251)을 회동시켜 개방한다. 상측 공기 흡입부(230) 및 개방한 가동 패널(251)의 안의 전면 패널(25)의 전측 공기 흡입부(230')를 통과시켜서 실내 열교환기(33)에 실내 공기를 유통시킨다.
실내기(2)는, 내부의 전장품 박스에 제어 기판을 구비하고, 이 제어 기판에 마이크로컴퓨터가 설치된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실내 온도 센서, 실내 습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음과 함께, 리모콘(5)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광부(396)에서 받는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송풍 팬(311), 가동 패널 구동 모터, 상하 풍향판 구동 모터, 좌우 풍향판 구동 모터 등을 제어함과 함께, 실외기(6)와의 통신을 담당하고, 실내기(2)를 통괄하여 제어한다.
또한, 특별히 설명하지 않지만, 각각의 운전 모드의 절환은, 리모콘(5)의 조작부에서 행하거나, 실내기(2)의 조작부에서 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주위의 순환 조건이나 공기 조화기(1)의 운전 경과 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운전 모드의 절환을 행할 수도 있다.
운전 정지 상태에서, 마이크로컴퓨터는, 리모콘(5)으로부터의 운전 조작 신호 또는 자동 운전이 설정되어 있으면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냉방, 난방, 제습 등의 운전 모드를 결정한다. 이 결정에 기초하여 가동 패널(251) 및 상하 풍향판(291)을 동작시켜, 기류의 통로를 개방 상태로 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는, 구동 모터를 동작시키고,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리모콘(5)으로부터의 지시에 대응한 분출 각도까지 회동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는, 상하 풍향판(291)의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 패널(251)을 개방하는 가동 패널 구동 모터를 동작시킨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는, 실내 송풍 팬(311)을 회전시키고, 상측 공기 흡입부(230) 및 전측 공기 흡입부(230')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한 실내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33)로 온풍 또는 냉풍으로 하고, 혹은 열교환하지 않고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따라 공기 분출구(29)로부터 분출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운전을 정지할 때에는, 실내 송풍 팬(311)을 정지한 후에, 가동 패널(251)의 구동 모터 및 상하 풍향판(291)의 구동 모터를 역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돌리도록 제어한다.
필터(231, 231')는, 흡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 열교환기(33)의 흡입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송풍 팬(311)은 가로로 긴 횡류 팬으로 구성되고,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27)로부터 흡입하여 공기 분출구(29)로부터 분출하도록 실내기(2) 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33)는, 송풍 팬(311)의 흡입측에 배치되고, 대략 역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슬 받이 접시(35)는, 실내 열교환기(33)의 전후 양측의 하단부 상방에 배치되고, 냉방 운전시나 제습 운전시에 실내 열교환기(33)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받아서 모아진 응축수는 드레인 배관(37)을 통과시켜 실외로 배출된다.
이들에 의해, 공조되는 실내 공기를 흘리는 주풍로가 형성된다. 즉, 송풍 팬(311)을 운전함으로써, 실내 공기는 공기 흡입구(27)로부터 흡입되고, 필터(231, 231')를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33)에서 열교환된 후, 공기 분출구(29)로부터 실내로 분출된다.
다음으로, 정전 무화 장치에 대하여 도3 내지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은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4는 실내기의 전면 패널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5는 무화 유닛의 분출 풍로로의 부착부 사시도이다. 도6은 분출 풍로를 제외한 무화 유닛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방전부에서 이온류를 분리하는 설명도이다. 도8은 정전 무화 장치의 방전 전류 특성도이다. 도9는 부착 악취의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0은 안전 고리의 부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안전 고리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실내기의 화장 프레임을 분리하고, 좌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정전 무화 장치(42)는, 고전압 발생 장치(450)와, 고전압 발생 장치(450)의 고전압 단자(451)로부터 연장되는 도전체(429)와, 흡수시에 도전체(429)와 무화 접속부(424)로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무화 전극(422) 및 이온 전극(428)과, 무화 전극(422)에 공급하는 물의 수원부(440) 등으로 구성된다.
이 고전압 발생 장치(450)에서 발생시킨 -3㎸∼-6㎸의 고전압을 무화 전극(422) 및 이온 전극(428)에 인가하고, 무화 전극(422)에 수원부(440)로부터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무화 전극(422) 선단으로부터 대전한 미세립의 물을 방출시키고, 또한, 이온 전극(428)으로부터 이온을 방출시킨다.
실시예에서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분출 풍로 측벽(290c)으로부터 분출 풍로(290)에 돌출시켜, 상기한 대전한 미세립의 물 및 이온의 쌍방을 방출하 는 방출부(430)를 설치하고 있다.
방출부(430)는 무화 하우징(431) 내에 형성되고, 칸막이 부재(432a)로 무화실(432)과 이온화실(427)로 구분되고, 무화실(432)에는 무화부(422a)와 봉상의 도수부(422b)로 이루어진 무화 전극(422)이 수납되고, 이온화실(427)에는 침상부(428a)와 베이스부(428b)로 이루어진 이온 전극(428)이 수납되어 있다.
무화실(432) 부분의 무화 하우징(431)에는 측부 개구(432c), 후부 개구(43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온화실(427) 부분의 무화 하우징(431)에는, 이온 개구(427a)가 형성되어 있다.
이온 전극(428)은 선단을 침상으로 형성된 금속, 탄소 섬유, 도전성 세라믹이나 도전성 수지 등 도전성을 가지는 침상부(428a)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섬유를 사용하고, 선단 형상을 극세하게 하는 것이 좋다. 선단 형상을 침상(극세)으로 함으로써,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에, 선단부에 강한 전계가 형성되고, 낮은 인가 전압으로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 수 있다.
무화 전극(422)은 선단에 둥그스름해진 원추상의 무화부(422a)와 봉상의 도수부(422b)를 형성한 다공질체이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등을 함유시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다공질체로 함으로써, 수원부(440)로부터의 물을 흡수하고, 무화부(422a)까지 모세 현상에 의해 무전력으로 물을 운반할 수 있고, 또한, 수많은 도수 경로가 얻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수 경로의 막힘을 우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수부(422b)와 베이스부(428b)는 무화 하우징(431)에 지지되고, 또한, 무화 접속부(424)로 도전체(429)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무화 접속부(424)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무화부(422a)에 도달한 물에 정전기를 부여하고, 정전기의 반발력으로 대전한 물을 무화부(422a)의 선단으로부터 공기 중에 방출시키고, 소위, 정전 무화를 일으킨다.
이 때, 분출 풍로(290)의 측벽으로부터(기능적으로는 수원부(440)로부터) 돌출시킨 무화부(422a)까지의 도수부(422b)를 가느다란 봉상의 도수부(422b)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그 흡수 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흡수 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여기에 저장하는 물의 양도 적게 할 수 있고, 무화부(422a)까지 신속하게 물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초기 단계에서, 운전 개시로부터 실제로 미세립의 물을 방출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 무화 기능의 유용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로부터 수분을 응축시키는 방식의 수원부(440)를 구성하고 있고, 펠티에 소자(441)의 저온부(442)에 실내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판(425)을, 고온부(444)에 외기로 냉각되는 방열판(338)을 설치하고 있다.
펠티에 소자(441)는, 직류 전류를 인가하면, 저온부(442)와 고온부(444)를 얻을 수 있는 소자이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저온부(442)의 온도가, 접하는 공기의 노점 온도 이하로 되도록 펠티에 소자(441)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저온부(442)에 접하는 것은 실내로부터 안내한 공기이다. 가능하면 실외로부터 도입한 공기이어도 된다. 그러면, 저온부(442)에 접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결 로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물을 보급하지 않고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무화부(422a)로 물의 공급을 행할 수 있다. 저온부(442)로부터 무화부(422a)로의 물의 공급은, 결로수를 받는 보수 부재(423)로부터 도수부(422b)에 의해 무화부(422a)까지 운반한다.
냉각판(425)의 하부는 보수 부재(423)로 덮이고, 냉각판(425) 상에 결로한 실내 공기의 수분을 받고, 저장한다. 보수 부재(423)의 하부에는 상기한 무화 전극(422)의 근원에 해당하는 도수부(422b)를 삽입하는 구멍이 있고, 도수부(422b)가 삽입되고, 보수 부재(423)에 저장된 수분이 모세 현상으로 도수부(422b)를 통하여 무화부(422a)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송풍 팬(311)을 구동하고, 정전 무화 장치(42)를 운전하여, 고전압 발생 장치(450)로부터의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무화 전극(422) 및 이온 전극(428)에 인가한다.
이때, 이온 전극(428)으로부터 주변의 대기를 향하여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고, 전자가 방출되고, 이온이 방생한다. 이 이온은 분출 풍로(290)에 방출되고, 분출 기류를 타고 실내에 분출하고,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발현한다.
상기한 정전 무화 장치(42)의 운전에 연동하여, 수원부(440)의 펠티에 소자(441)로의 통전이 행해지고, 펠티에 소자(441)의 저온부(442)가 냉각되고, 절연 시트(433)를 사이에 두고, 냉각판(425)이 차가와지거나, 그 온도가 주변의 실내 공 기의 노점 온도보다 내려가면, 주변의 실내 공기의 수분이 냉각판(425) 상에 결로하게 된다.
이 결로를 냉각판(425)의 하부의 보수 부재(423)로 받고, 도수부(422b)를 통하여, 무화부(422a)까지 모세 현상으로 운반한다. 물이 무화부(422a)까지 도달하면 무화 접속부(424)에 인가되어 있는 고전압에 의해, 정전 무화가 시작되고,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 분출 풍로(290)에 방출되고, 분출 기류를 타고 실내에 방출된다.
실시예에서는, 이온 전극(428)과 무화 전극(422)의 분출 풍로 측벽(290c)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변경하고, 무화부(422a)와 침상부(428a)의 선단 위치를 굳이 다르게 해 둔다. 즉, 풍로 측벽으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다르게 하고 있고, 이온 전극(428)의 돌출 치수를 길게, 무화 전극(422)의 돌출 치수를 짧게 하고 있다. 즉, 무화부(422a)의 선단 위치와, 침상부(428a)의 선단 위치가, 분출 기류 중의 서로 다른 유로에 구분하여 놓이게 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방출된 대전한 미세립의 물 또는 이온은, 이 서로 다른 유로로 구분된 분출 기류를 타고 이동한다. 이들 입자는 같은 극성에 대전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전극 혹은 다른 흐름에 가까워지지 않도록 흐르고, 다른 전극으로부터의 대전한 미세립의 물 또는 이온의 방출을 방해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입자가 같은 극성인 것은, 도전체(429)에 접속된 무화 접속부(424) 주변의 구성에 의한 것이고, 무화 전극(422)도 이온 전극(428)도 무화 접속부(424)의 전위가 인가되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전극까지의 저항 등이 서로 다 를 것이기 때문에, 동전위라고는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대전 미립자의 전극으로부터의 방출은, 부근에 같은 극성의 대전 미립자가 존재하면 억제되어 방출되기 어려워지지만, 이와 같이 전극끼리를 떼어 놓고, 가상적인 유로를 구분하여 구성함으로써, 대전한 미세립의 물과 이것과 같은 극성의 이온의 쌍방을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치수가 긴 쪽의 전극 선단의 전계의 쪽이 강해지고, 이온이나 대전한 미세립의 물의 방출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일단 이들 이온이나 대전한 미세립의 물의 방출이 시작되면, 전극 주변의 공기 중에 방출한 것과는 반대 극성의 이온이 다가가게 된다. 따라서, 무화 전극(422)의 주변에도 방출하려고 하고 있는 미세립의 물과는 반대 극성의 이온이 떠돌고 있게 된다. 이것에 유인되어 돌출 치수가 짧은 쪽의 전극으로부터도 이온이나 대전한 미세립의 물의 방출이 시작된다.
이때의 인가 전압을 조사해 보면, 2개의 전극을 동일한 길이로 늘어놓은 때보다 낮은 인가 전압으로 이온이나 대전한 미세립의 물의 방출이 개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전압 회로의 출력 전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침상부(428a)보다 무화부(422a)의 돌출 치수를 짧게 한 경우에는, 전술한 봉상으로 하는 것과 함께 도수부(422b)의 체적을 더 작게 할 수 있고, 신속하게 혹은 수원부(440)로부터의 물의 공급이 적어도, 무화부(422a)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무화부(422a)가 건조 상태이더라도, 운전 개시부터 실제로 미세립의 물을 방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정전 무화 기 능의 유용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미세립의 물이 방출될 때까지의 동안에도, 침상부(428a)로부터 이온의 방출이 행해지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무화부(422a)의 선단 위치와 침상부(428a)의 선단 위치와의 사이에는, 이들을 나누는 칸막이 부재(432a)를 기류가 흐르는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한다. 이 칸막이 부재(432a)에 의해, 풍로 측벽으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큰 측의 전극과 돌출 치수가 작은 측의 전극의 사이가 구분되기 때문에,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방출된 이온 또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은, 각각 서로 다른 유로의 분출 기류를 타고 이동한다. 즉, 칸막이 부재(432a)에 의해, 흐름이 다른 쪽의 전극에 가까워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다른 전극으로부터의 방출을 방해하는 것을 더욱 적게 할 수 있고, 대전한 미세립의 물과 이것과 같은 극성의 이온의 쌍방의 방출을 저해하지 않고 방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칸막이 부재(432a)는 양 전극 간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것일 필요는 없고, 돌출 치수가 서로 다른 양 전극의 선단 위치를, 더 명확하게 분출 기류 중의 서로 다른 유로로 구분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칸막이 부재(432a)는, 무화부(422a)와 침상부(428a)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기울어져 있다고 해도 흐름을 따르고 있고, 이온 전극(428)측의 흐름과 무화 전극(422)측의 흐름을 나누고 있으면 반드시 직각일 필요는 없다. 도7의 경우, 칸막이 부재(432a)가 왼쪽으로 기울어 있고, 이온 전극(428)측의 흐름을 무화 전극(422)측의 흐름에 합류시킬 것 같으면 이미 칸막이 부재라고는 할 수 없지만, 왼쪽으로 기울어 있는 정도라면 특별히 칸막이 부재(432a)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온 전극(428)을 무화 전극(422)에 의해, 분출 기류의 상류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무화 하우징(431)의 분출 기류의 상류측 외벽을 무화 전극(422)의 건조를 방지하는 차풍벽(437)으로 할 수 있어, 방출부(430)의 구조가 단순화된다. 또한, 손상되기 쉬운 침상부(428a)는 무화 하우징(431)으로 외력으로부터 보호된다.
이 경우, 도7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부재(432a)를 도면 중 좌방으로 연장시켜, 무화 전극(422)과 이온 전극(428)을 구획하는 격벽(432b)으로 하는 것도 좋다. 격벽(432b)은, 무화부(422a)의 선단 위치와, 침상부(428a)의 선단 위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무화부(422a)를 통과하는 기류의 양을, 침상부(428a)를 통과하는 기류의 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설정할 수 있다. 이 설정은, 측부 개구(432c), 후부 개구(432d)의 위치·크기를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무화 전극(422)으로 되는 도수부(422b), 무화부(422a)가, 무화부(422a)를 통과하는 기류로 건조하지 않도록 기류의 양을 억제하고, 방출되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로 방출부(430) 주변이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432a)와 함께, 각 전극으로부터 방출된 이온 또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 서로, 다른 전극의 근방에 가까워지는 일이 없어진다. 즉, 다른 전극으로부터의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거의 없고, 각 전극으로부터, 대전한 미세립의 물과 이것과 같은 극성의 이온의 쌍방을 확실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무화부(422a)를, 침상부(428a)보다 풍하(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배치 한다. 나아가서는, 격벽(432b)의 풍하에 배치한다.
도수부(422b)를 방출 풍로(290)에 놓은 경우, 난방 운전시의 고온의 분출 기류에 노출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증발, 건조하고, 대전한 미세립의 물을 방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류측에, 도수부(422b)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격벽(432b)이나 차풍벽(437)을 설치하여, 도수부(422b)의 주위를 둘러싸며 도수부(422b)에 닿는 분출 기류를 적절한 양으로 억제한다. 한편, 침상부(428a)는, 무화부(422a)로부터 분출 기류의 풍상에 노출시켜, 방출된 이온을 신속하게 실내에 확산시킨다.
대전한 미세립의 물 및 이온의 방출에 수반하는 고전압 전류값의 변화는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2.5㎸ 정도부터 방전이 시작되고, 안정되게 방전하는 영역을 거쳐, 고전압 전류값이 급증하는 경과를 거친다. 전하에 의해 라디칼이 생기는 등 하여 탈취 작용을 나타내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을, 무화부(422a)로부터 정전 무화에 의해 생성하고, 침상부(428a)로부터 실내의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마이너스 이온을 방출시켜 실내에 부유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이온을 방출시키면, 동시에 오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8에서 고전압 전류값이 급증하는 영역은 오존의 발생이 많아, 피해야만 하는 영역이다. 또한, 인가하는 전압(의 절대값)이 높을수록 오존의 발생이 많고,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인가하는 전압을 가능한 한 내리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전극의 형상을 침상으로 하면 이온의 방출 개시 전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침상의 전극으로 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오존의 농도를 0.05PPM 이하로 억제할 수 있으면, 법률의 규칙값을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험(도8)으로부터, 대전한 미세립의 물과 이온의 쌍방을 안정적으로,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무화 접속부(424)로의 인가 전압을 -3㎸ 이상으로 하고, 오존의 발생량을 규제값 이하로 억제하도록 -6㎸ 이하로 한다(즉, -3㎸ 내지 -6㎸).
인가 전압을 -3㎸부터로 함으로써 물이나 이온의 방출을 여유를 가지고 개시할 수 있음과 함께, 전류값이 급증하는 영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6㎸ 이하로 함으로써 오존의 발생량을 규제값 이하로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전류값이 급증하는 영역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대전한 미세립의 물에 의한 탈취 효과를 도9에 나타낸다.
시험편으로 하는 건조한 가제(300㎜×250㎜) 1매를 1㎥ 박스에 넣고, 담배 10개를 연소시키고, 1시간 방치한다.
시험편을 다다미 6장의 일본식 방에 말리고, 정전 무화 장치를 운전한다. 또는, 정전 무화 장치를 운전하지 않는다.
1시간마다, 시험편을 무취의 향주머니에 넣고, 악취를 측정한다(측정기:후타바세이사쿠쇼 제조 냄새 센서 OMU-sn).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백하게 탈취 효과가 인정되고, 관능 비교에서도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가 있었다.
438은 무화 하우징(431)의 분출 풍로 측벽(290c) 관통부에, 무화 하우 징(431)의 외벽에 접하도록 부착된 도전성의 안전 고리이고, 열교환기(33)에 접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1)의 실내 분출구에서는, 냉방 운전시, 분출 풍로(290) 내의 부품은 열교환기로 냉각된 분출 공기에 의해, 저온으로 되어 있다. 이때, 예기하지 않은 조건으로 역류가 일어나면, 냉각되어 있지 않은 실내의 공기가 분출구로부터 역류하고, 분출 풍로(290) 내의 부품에 접촉한다. 냉각되어 있지 않은 실내의 공기는 노점 온도가 높기 때문에, 분출 풍로(290) 내의 저온으로 되어 있는 부품에 접촉하면, 그곳에 결로를 일으킨다.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정전 무화 장치(42)에, 만일 이와 같은 일이 일어나면, 사용자가 분출 풍로(290)의 정전 무화 장치(42)에 접촉하였을 때에, 전격을 받을 우려가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 분출 풍로(290)에 설치한 정전 무화 장치(42)의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외벽에 결로가 일어나도, 그 결로를 거쳐서, 도전부로 되는 어느 하나의 부분, 예를 들면 안전 고리(438)에 이어지는 접지 회로가 형성되도록 해 둔다. 그렇게 하면, 무화 하우징(431)의 외벽이 접지의 전위로 되기 때문에, 만일 이 부분에 접촉하여도 전격을 느끼지 않고, 사용자에게 무용의 불안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사람이 접촉하여도 흐르는 전류가 인체에 위험이 없는 전류 이하로 제어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겨울부터 봄의 건조 시기에 정전기가 모여 있는 문 손잡이에 접촉하였을 때와 같은 가벼운 전격을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인체에 위험이 없는 전격이라 하더라도, 이러한 현상은 공기 조화기(1)와 같이 일반 가정용으 로 사용되는 기기에서는, 사용자에게 무용의 불안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펠티에 소자(441)는,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저온부(442)와 고온부(444)로 구분된다. 저온부(442)는 고온부(444)에서의 방열량이 커지지 않으면 차가워지기 어렵다고 하는 성질이 있고, 반대로, 고온부(444)에서의 방열량이 크면 저온부(442)는 차가워지기 쉽다고 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고온부(444)에서의 방열량이 크면, 저온부(442)에서 더욱 저온을 얻을 수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서, 펠티에 소자(441)를 냉각하는 방열판(338)을 외기 도입 기구(32)의 외기 흡입 풍로(328b)에 면하여 배치하고 있다. 즉, 펠티에 소자(441)의 고온측의 방열을, 실외 공기로 강제 통풍하는 것이다. 가능하면, 실내 공기로 이것을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펠티에 소자(441)의 고온측의 냉각에, 온도 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사용하고, 방열판(338)이 도입 외기로 강제적으로 냉각되고, 펠티에 소자(441)의 고온측의 방열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온도 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실내 온도 센서, 외기 온도 센서의 값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펠티에 소자(441)의 저온측을 충분히 냉각하고, 냉각판(425)을 확실하게 주변의 실내 공기의 노점 온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결과, 펠티에 소자(441)의 저온측의 결로가 지장 없이 진행하고, 무화부(422a) 로의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즉, 펠티에 소자(441)로의 인가 전압과, 고온부(444)에서의 방열량을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양의 결로수를 얻을 수 있고, 메인터넌스 프리로 정전 무화 기능을 위한 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펠티에 소자(441), 환기 장치, 보수 부재(423)는 서로 가까이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해, 펠티에 소자(441)의 고온부(444)의 방열을 환기 장치로 간이하게 행할 수 있고, 저온부(442)에서 얻어진 물을 보수 부재(423)로 간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적량의 물을 무화부(422a)에 간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2)의 공기 흡입측에서, 공기 분출부에 배치한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와, 송풍 팬(311)의 축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위치에 흡입 이온 전극(412)을 설치한다. 즉, 공기 흡입부(230')에 배치한 흡입 이온 전극(412)과, 공기 분출부에 배치한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를, 송풍 팬(311)의 축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일단측과 타단측)에 배치한다.
흡입 이온 전극(412)으로부터 이온을 분출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진애는 효과적으로 포집된다. 그러나, 모든 진애가 포집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231, 231')에 포집되지 않은 이온이 부착된 먼지는, 열교환기(33)를 통과하도록 대부분이 열교환기(33)에 접촉하여 그 전하를 상실하는데, 일부의 이온이 부착된 진애는, 열교환기(33)를 통과하고, 분출 통로(290)에 도달한다.
횡류 팬(311)은, 횡방향으로 거의 균일한 속도로 분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축방향의 바람의 흐트러짐이 적기 때문에, 기류의 흡입과 분출은 횡류 팬의 횡방향에 걸쳐서 거의 일정하다. 이는, 공기 흡입부(230')의 흡입 이온 전극(412)으로부 터 방출된 이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흡입 이온 전극(412)로부터 방출되고, 분출 통로(290)에 도달한 이온은,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와는 멀어진 위치, 송풍 팬(311)의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 분출하게 되고,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로부터의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나 이온의 방출을 방해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흡입 이온 전극(412)과, 분출 이온 전극(428) 및 무화 전극(422)을 동극으로 하여, 흡입 이온 전극(412)과 정전 무화 장치(42)로 동시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화 접속부(424), 흡입 이온 전극(412)에는, 도전체(429)의 동전위가 인가된다.
방출하는 이온으로서는, 플러스 이온, 마이너스 이온의 쌍방의 이온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한데, 일반 가정용으로는 실내의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마이너스 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분출 기류 중에 설치한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 즉, 무화부(422a)로부터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 침상부(428a)로부터는, 무화부(422a)로부터 방출되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과 같은 극성의 이온이 방출된다. 이 이온은 무화부(422a)로부터 방출되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과 마찬가지로 공기 조화기(1)의 분출 기류를 타고 실내에 운반되고, 반사 극성에 대전한 먼지 등의 미립자와 조우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극성을 중화하고, 실내의 반대 극성의 미립자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실내의 공기의 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무화부(422a)로부터 방출되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도 분출 이온 전극(428)으로부터 방출되는 이 온과 마찬가지의 거동을 나타내는데, 또한, 그 전하에 의해 라디칼이 생기는 등 하여 탈취 작용을 발휘한다.
이때, 분출 이온 전극(428)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이 실내의 반대 극성의 미립자를 감소시키는 만큼, 무화부(422a)로부터 방출되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 반대 극성의 미립자와 조우하는 기회가 감소한다. 따라서, 무화부(422a)로부터 방출되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 널리 실내에 퍼지고, 실내의 넓은 범위에서 탈취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1)의 흡입 기류에 이온이 공급되고, 흡입 기류 중의 진애를 응집하고, 흡입 풍로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231, 231')로 포집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진애는 효과적으로 포집된다.
분출 기류에 방출되는 무화부(422a)로부터의 대전한 미세립의 물 및 침상부(428a)로부터의 이온은, 흡입 이온 전극(412)으로부터의 이온과 같은 극성이다. 즉, 흡입 이온 전극(412)으로부터의 이온과 반발하기 때문에, 이들 미세립의 물 및 (침상부(428a)로부터의) 이온은, 공기 조화기(1)로부터 분출하여 즉시 공기 흡입부(230, 230')에 흡입되는 것이 억제된다(쇼트 서킷이 억제된다). 따라서, 무화부(422a)로부터의 대전한 미세립의 물 및 침상부(428a)로부터의 이온은, 실내에 널리 운반되고, 광범위에서 탈취 작용 등을 발휘한다.
다음으로, 필터(231')에 대하여 도13 내지 도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3은 필터의 수지 섬유망에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필터의 수지 섬유망에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하고, 또한 캘린더 롤 가공을 실시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15는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한 필터의 수지 섬유망의 항균 시험 결과이다.
필터(231')에 먼지가 많이 부착하면 공기의 흐름의 저항으로 되어 열교환기(33)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하기 때문에 냉동 사이클의 능력이 저하한다. 또한, 횡류 팬을 사용한 공기 조화기(1)에서는 횡류 팬의 축방향의 양단 분출부로부터의 역류가 일어나기 쉬워지고, 소음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정기적으로 필터(231')를 청소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필터의 망은, PP, PET, ABS 등 수지가 노출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이 필터를 구성하는 망의 성형 방법은, 용해한 수지를 노즐로부터 사출하고, 냉각 경화하는 수법이다. 이 때문에, 수지가 노출한 망 표면은, 평활하게 보여도 세공이 많이 존재한다. 이들 세공에 공기 중을 부유하는 분진이나 담배의 연기 등이 부착하고, 세공에 들어가기 때문에, 필터를 정기적으로 세정하여도 세공에 들어간 분진 등의 오염은 용이하게 떨어뜨릴 수 없다.
이 때문에, 약한 힘으로 간단하게 필터(231')를 털어서, 필터(231')에 달라 붙은 오염을 박리시키고, 용이하게 오염을 떨어뜨릴 수 있는 필터(231')가 요구된다.
수지 섬유망(231a')은, 종섬유(231b')와 횡섬유(231c')로 구성되고, 그 표면에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피막(231d')을 형성하고 있다. 금속 피막(231d')은, 진공 중에서 이온화한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스테인리스에 충돌시키고, 튀겨내진 금속 입자를 수지 섬유망(231a')에 성막시키는 스퍼터링 가공에 의해, 수지 섬유망(231a')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지 섬유망(231a') 표면의 세공 을 메우고, 표면을 나노 사이즈로 평활화함으로써, 먼지, 오염이 박리하기 쉽고, 오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의 선재에 스테인리스를 스퍼터링하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구성으로, 필터에 포집된 진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하는 면은, 실내 공기의 흡기 기류에 대하여 상류측으로의 가공만으로 하여, 저 코스트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실내 공기의 흡기 기류에 대하여, 상류, 하류의 양면으로 되는 수지 섬유망(231a') 표면 전체에 실시함으로써, 더욱 먼지의 박리성 향상, 오염의 침투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14와 같이, 수지 섬유망(231a')에 열을 가하면서 롤러로 찌부러뜨리는 캘린더 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종섬유(231b')와 횡섬유(231c')의 교차 성분에 평면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수지 섬유망(231a')을 더욱 평활하게 할 수 있고, 먼지를 박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퍼터링 가공 및 캘린더 롤 가공은, 수지 섬유망(231a')의 일반적인 구조인 허니콤직, 평직의 어느 것에 실시하여도 된다.
여기서, 수지 섬유망(231a')의 구조가 입체적으로 짠 허니콤 구조인 경우에는, 먼지가 수지 섬유에 부딪치기 쉬워 먼지의 포집 효율이 높지만, 평활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용 솔(267')로 오염을 닦아낼 때에 요철 부분의 오목 부분에 먼지가 남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필터(231')의 구조를 평직 구조로 함으로써, 필터(231')의 표면을 더 평활하게 할 수 있고, 청소하기 쉬워진다.
또한, 필터 프레임(232')에 대한 수지 섬유망(231a')의 부착면은, 실내 공기 의 흡기류에 대하여 상류측, 하류측의 어느 측에 부착하여도 된다. 단, 필터 프레임(232')을 실내 공기의 흡기 기류의 하류측에 배치함으로써, 먼지가 부착하는 면에 필터 프레임(232')에 의한 요철이 없어져서 청소가 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도15는, JISZ2801의 규정에 기초하여 스테인리스재를 스퍼터링 가공한 수지 섬유망(231a')과 스퍼터링 가공을 하지 않은 수지 섬유망의 항균 성능 평가의 결과이다.
이 평가 결과에 의하면, 황색 포도구균 및 대장균의 항균 활성값인 기준값 2.0 이상을 만족시키고, 상기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의해, 수지 섬유망(231a')의 표면에 스테인리스재의 금속 피막(231d')을 스퍼터링 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근년의 안전 지향에 대한 항균 수요에 대응하여 쾌적하고 위생적인 생활 환경을 실현하는 공기 조화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지망에 스테인리스를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진애가 부착하는 필터(231, 231')의 면이,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면으로 덮이기 때문에, 부착한 진애는 수지 섬유망(231a')의 모재에는 접촉할 수 없다. 즉, 진애가 수지 섬유망(231a') 모재의 세공에 들어가지 않고, 부착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고, 부착한 진애가 간단하게 박리하게 된다. 즉, 오염이 떨어지기 쉽고, 필터(231, 231')의 청소가 간단해진다. 또한, 진애가 붙기 어렵기 때문에, 통풍 저항이 증가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 성능의 악화 나, 횡류 팬 분출구에서의 역류의 발생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스테인리스를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한 필터(231')의 전면에 전술한 흡입 이온 전극(412)을 설치한 경우에 관하여 도4, 도12, 도16, 도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6은 도1의 실내기의 이온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17은 도1의 실내기의 필터의 대전량 잔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흡입 이온 전극(412)은, 그물눈 형상의 커버에 덮인 침상부(412a)를 구비하고, 필터(231')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 이온 전극(412)과는 반대측에 정전 무화 장치(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서로 송풍 팬(311)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부도체인 수지제 필터(231, 231')에 도체인 스테인리스를 스퍼터링하면, 스퍼터링부의 극히 한정된 표층의 수 ㎛만이 도체로 되고, 전체적으로 보면, 반도체적인 도통성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필터(231, 231') 상류에 인접한 이온 발생 장치(412)를 작동시키면, 이온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이온의 대부분이 기류를 타고 도16과 같이 흡입 이온 전극(412)에 가까운 필터(231')의 스테인리스 스퍼터링면에 샤워와 같이 내리붓고, 스퍼터링면에 도달하여, 이곳에 전하를 부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면은 반도체와 같은 도통성을 갖기 때문에, 부여된 전하는, 전체 면에 이동하고, 주변으로부터 접지부를 향하여 방산해 간다. 이 때문에, 필터(231')의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면 전체는 이온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이온과 거의 동전위로 유지된다. 따라서, 기류를 타고 운반되어 오 는 실내의 진애로, 흡입 이온 전극과 반대 극성(역극성)에 대전하고 있는 진애를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온 발생 장치의 하류에 놓인 필터(231')는, 정전 필터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이온 전극(412)으로서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는 것을 채용하였으나, 플러스 이온을 발생하는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즉, 흡입 이온 전극(412)을 양극으로 하여도 된다. 이것에는, 흡입 이온 전극(412)을 정전 무화 장치(42)와 역극성의 고전압을 인가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3의 도전체(429)로부터 분기한 부분에 전압을 반전시키는 회로 등을 설치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플러스 이온의 방출시에는, 마이너스 이온의 방출시에 비하여 오존의 발생량이 적은 것이 알려져 있다. 흡입 이온 전극(412)에 플러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플러스의 이온이 방출되는데, 이 경우는 오존의 발생량이 적어진다.
방출부(430)를 공기 분출구(29)에 설치한 정전 무화 장치(42)를 마이너스의 고전압으로 구동하고, 필터(231')의 흡입측에 설치한 이온 발생 장치(412)를 플러스의 고전압으로 구동하는 경우, 분출 기류에 방출되는 무화부(422a)로부터의 대전한 미세립의 물 및 침상부(428a)로부터의 이온과, 이온 발생 장치(412)로부터의 이온과는 다른 극성이다. 그러면 서로 흡인하여 이온 등의 입자가 멀리까지 퍼지지 않을 걱정이 있다.
그러나, 필터(231')의 흡입측에 구비하는 이온 발생 장치(412)로부터 방출되고, 필터(231, 231'), 열교환기(33)에 포착되지 않고 분출 풍로(290)에 도달한 이온은,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로부터 가장 멀어진 부분에 분출하게 된 다. 정전 무화 장치(42)로부터 방출되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나 이온에 부착하는 것은 아주 일부에 지나지 않고, 이들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나 이온을 소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양 장치의 전극은 공간적으로도 떨어져 설치되어 있기(송풍 팬(311)의 반대측) 때문에, 쌍방의 전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입자가 다른 쪽의 전극에 흡인되는 힘은 약해, 흡인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전극으로부터 방출되어 즉시 다른 쪽 전극을 향하는 입자는 적고, 대부분의 입자는 각각의 기류를 타고 공기 조화기(1)로부터 분출하거나, 또는 공기 조화기(1)에 흡입된다. 다시 말하면, 그 만큼 풍량이 많다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다지 집진, 탈취 등의 효과를 감쇄하지 않고, 각 장치를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231')의 흡입측에 설치한 이온 발생 장치(412)를 필터(231')의 단부에 배치하고, 장치의 대부분을 흡입 기류의 통로의 바깥에 두면, 흡입 기류의 저항으로 되지 않고, 기류의 흐트러짐이 적기 때문에 소음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 이온 전극(412)을 무화 장치의 방출부(430)와 대각으로 배치, 또는, 흡입 이온 전극(412)과 방출부(430)를 송풍 팬의 축방향의 거의 동일 위치로부터 비켜서, 즉 쌍방이 축선 상에 올라가지 않도록 배치하면, 자동 청소 기구의 제진 브러시(270, 270')의 위치와 흡입 이온 전극(412)의 위치를 간섭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청소 수단을 필터(231')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부착한 진애를 털어낼 때에는, 슬라이딩 접촉의 동작에 앞서 공기 조화기(1)의 운전을 정지하고, 고전압 발생 장치(450)로부터의 통전을 오프, 즉 이온 발생 장치(412)를 정지한다. 이온 발생 장치를 정지하면 필터(231')의 스퍼터링면의 전위는 신속하게 감소하고, 수초에 거의 소멸한다.
이 감쇠의 상태를 조사하면, 도17과 같이 되고, 필터(231')에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을 실시하지 않았을 때에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던 저감 시간이, 필터(231')에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을 실시하였을 때에는 단시간으로 되고, 약 10분의 1의 시간으로 신속하게 감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테인리스를 스퍼터링하고 있지 않은 필터의 경우에는, 필터가 부도체이기 때문에, 필터에 부착한 전하는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물고, 전위의 저하가 좀처럼 진행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스테인리스를 스퍼터링한 필터(231')에서는,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면이 반도전성을 가지기 때문에, 부착한 전하가, 필터(231')의 전체 면에 신속하게 이동하고, 도14의 구성의 필터(231')의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스퍼터링면의 약 10㎛ 정도의 얇은 층의 에지부에 모인다. 이 에지부는 필터(231')의 그물눈의 개구 내주로 되는 부분이고, 그 길이는 필터(231') 전체에서 수백미터로 되기 때문에, 이 길고 얇은 샤프한 에지로부터 자연 방전함으로써, 전하가 신속하게 상실되고, 전위가 저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전위가 소멸한 상태로 되면, 부착하고 있던 진애는 이미 필터(231')로부터의 흡착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구속이 풀리고, 필터(231')로부터 박리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청소 수단으로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진애의 포착시는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면의 대전면에서 포착하고, 솔에 의한 청소시 에는 자연 방전으로 대전을 신속하게 소멸시키고, 부착 진애를 구속하지 않는다.
상기한 공기 조화기(1)는, 진애의 포착성이 양호하고, 또한 진애의 박리성도 좋다. 따라서, 필터(231')를 간단히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오염에 의해 증가된 필터(231')의 통풍 저항을, 용이하게 저감하여, 초기의 상태 등에 회복할 수 있다.
횡류 팬은 그 특성상, 통풍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운전하면, 축방향으로 거의 균일한, 흐트러짐이 적은 기류를 일으키고, 먼 곳까지 기류를 도달시킬 수 있다. 한편, 특히 흡입측의 통풍 저항이 큰 상태에서 운전하면, 축방향의 종단 주변의 분출 통로(290)에서 역류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역류가 일어나면, 기류가 흐트러져서, 기류의 축방향의 균일성이 손상되고, 기류가 먼 곳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231')의 통풍 저항을 쉽게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횡류 팬을 통풍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역류를 방지하고, 축방향으로 거의 균일한 흐트러짐이 적은 기류를 얻어, 대전한 미세립의 물을 횡류 팬의 거의 균일한 흐름에 태워서, 실내의 넓은 범위에 도달시킬 수 있다.
특히, 필터(231, 231')의 자동 청소 기구를 채용하면, 필터(231, 231')를 자동으로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필터(231, 231')의 오염이 적은 동안에 필터(231, 231')의 청소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필터(231, 231')의 청소를 의식하지 않고, 횡류 팬을, 통풍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고,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흡입 이온 전극(412)의 설치 위치는 필터(231')의 단부를 향하는 위치로 하고, 침상부(412a)를 흡입 기류를 향하고 있는 것이 좋다. 이는, 이 흡입 이온 전극(412)으로부터 방출된 이온은, 필터(231')에 샤워와 같이 내리붓고, 내리부은 이온의 전하는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면을 거쳐서 필터(231') 전체에 퍼지기 때문에, 필터(231') 전체의 형상에 구애되지 않고, 필터(231')의 어느 정도의 확대를 가진 일부가 발생 이온의 흡수부로 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실내기(2)의 흡입 기류의 통로의 바깥인 필터(231')의 단부에 흡입 이온 전극(412)을 설치하고, 흡입 기류를 향하여 이온을 방출한다. 이에 의해, 방출된 이온은 기류를 타고 필터(231')의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면의 일점에 집중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확대를 가지며 도달한다. 따라서, 일점에 집중한 경우와 같이, 스테인리스의 스퍼터링층의 도체 단면적이 네크로 되어 전하의 확산이 저하되는 일도 없고, 필터(231') 전체 면에 신속하게 확산하고, 정전 필터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흡입 기류의 저항으로 되지 않고, 기류가 흐트러지기 때문에 소음이 증가하는 일도 없다.
다음으로, 실시예가 구비하고 있는 필터의 자동 청소 장치(240)에 대하여, 도4, 도12, 도22, 도18 내지 도20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한다. 도18은 도1의 실내기의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9는 도1의 실내기의 청소 장치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0은 도1의 실내기에 이용하는 제진 브러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2는 펠티에 소자 방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내 열교환기(33)의 상류에 상측 흡입부(230) 및 전측 흡입부(230')가 형성 되어 있다. 상측 흡입부(230)는 거의 수평하게 배치되고, 전측 흡입부(230')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들은 실내기(2)의 직교하는 2면을 구성하고 있다. 상측 흡입부(230) 및 전측 흡입부(230')에 평면 형상의 필터(231, 231')를 설치하고 있다. 필터(231, 231')는 안내 프레임(234)에 걸어 고착되어 있다. 안내 프레임(234)은, 상측 후부와 전측 하부에 레일(235, 235')을 구비하고, 필터(231, 231')의 교차부에 추진축(2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이 상측 필터(231)용과, 전측 필터(231')용에 있는 경우에는, 전측 필터(231')용의 부분에 상측 필터(231)용의 부분의 부호에 「'」를 붙여서 구별한다.
이하, 필터(231, 231')의 청소 장치(240)의 동작을 전면의 필터(23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필터(231')를 청소할 때에는 추진축(243)을 회전시키고, 캐리지(261)를 추진축(243)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캐리지(261)에 고정한 솔 지지 프레임(262')을 통하여, 솔 지지 프레임(262')에 부착된 연모의 청소용 솔(267')로 필터(231')의 전체 면을 턴다.
이때, 솔 지지 프레임(262')은 대기 위치인 도19의 F의 위치로부터 도19의 좌방향으로 기호 D, C와 같이 이동하고, 필터(231') 상의 진애를 청소용 솔(267')로 털어낸다.
이때, 공기 조화기(1)는 운전을 정지하고, 흡입 이온 전극(412)으로부터의 이온도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테인리지의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한 필 터(231')의 대전은 신속하게 소산하고, 필터(231') 상의 진애는 털어내지기 쉬워져 있으며, 연모를 사용한 청소용 솔(267')에 용이하게 털어내진다.
청소용 솔(267')은 필터(231')를 한쪽으로부터 터는 것만으로 되고, 또한, 연모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231')를 변형시키는 힘이 작고, 필터(231')를 뒤쪽으로부터 지탱하지 않아도 필터(231') 상의 진애를 털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청소용 솔(267')로 필터(231')를 청소할 때의 구동 기구를 필터(231')의 한쪽에만 설치하면 되게 되기 때문에 구동 기구가 대폭 간략화된다.
이때, 청소 동작의 개시를, 미리 정한 필터 청소 동작의 조건, 예를 들면, 송풍 팬(311)의 누계 운전 시간이 전회의 청소 실행시부터 30시간을 초과하고, 또한, 직전의 운전으로 송풍 팬(311)의 운전이 10분 이상인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청소 동작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필터(231')가 항상 진애가 적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필터(231')의 오염에 기인하는 열교환기(33)의 성능 저하나, 횡류 팬 분출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전 무화 장치(42)에서 발생시킨 대전한 미세립의 물을 횡류 팬의 정류된 기류를 타고 실내의 먼 곳까지 운반하고, 대전한 미세립의 물의 탈취 작용을 실내의 광범위에서 발현시킬 수 있다.
제거 브러시(271')는, 필터(231')의 측방에 설치되고, 브러시 홀더(276')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반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브러시 홀더(276')의 반원통면의 일측의 약 절반 부분은 경사 식모된 브러시면(271a')로 되어 있고, 타측의 약 절반 부분은 비브러시면(271b')로 되어 있다. 브러시면(271a')의 경사 식모 의 방향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 브러시(271')를 회동시켜 브러시면(271a')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필터(231')의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필터(231') 상의 진애를 털어내서 도19의 기호 B의 위치에 도달한 솔 지지 프레임(262')은 좌방향으로 더욱 이동하고, 필터(231')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청소용 솔(267')이 털어 모은 필터(231') 상의 진애를 브러시면(271a')에 비벼 댄다. 이때에, 청소용 솔(267')의 이동 방향과 브러시면(271a')의 경사 식모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브러시면(271a')은 청소용 솔(267')이 운반해 온 진애를 확실하게 긁어내고, 브러시면(271a')에 유지한다.
이와 같이, 솔 지지 프레임(262')은 제진 브러시(270')의 제거 브러시(271')에 청소용 솔(267')을 비벼 대고, 청소용 솔(267')이 털어낸 진애를 제거 브러시(271')로 이동 적재한다.
진애를 제거 브러시(271')에 이동 적재한 솔 지지 프레임(262')은 이동의 종단인 도19의 기호 A의 위치에서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고, 대기 위치인 기호 F를 향하여 되돌아 간다. 이때, 솔 지지 프레임(262')은 제진 브러시(270')의 회동 레버(271c')를 밀어 제거 브러시(271')를 회동시킨다.
제거 브러시(271')의 회동에 수반하여, 제거 브러시면(271a')이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273')의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브러시 홀더(276')의 내부에 빠져 들어간다. 이때,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은 압압 스프링(278')으로 제거 브러시면(271a')에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 브러시면(271a')과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의 슬라이딩 접촉 상태가 항상 유지 되어 있다.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273')의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에는 제거 브러시면(271a')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위치에서 제거 브러시면(271a')의 경사 식모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 식모가 실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거 브러시면(271a')이 브러시 홀더(276')의 내부에 빠져 들어갈 때에, 제거 브러시면(271a')에 유지된 진애도,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의 경사 식모에 방해받지 않고 브러시 홀더(276')의 내부에 빠져 들어간다.
솔 지지 프레임(262')이 회동 레버(271c')를 타고 넘어가면, 스프링력에 의해, 회동 레버(271c'), 제거 브러시(27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재차, 솔 지지 프레임(262')의 청소용 솔(267')이 진애를 털어내 오는 것에 대비한다.
제거 브러시(27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의 경사 식모의 방향이 제거 브러시(271')의 회동 방향과 반대로 되기 때문에, 제거 브러시(271')에 유지되어 있던 진애는,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으로 긁어내진다.
이와 같이, 제거 브러시면(271a')에 유지되어 있던 진애는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273)의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으로 긁어내져서 브러시 홀더(276')의 내부에 머물고, 외부에 되돌아가는 일은 없다.
브러시 홀더(276') 내에 머문 진애는, 청소용 솔(267')의 왕복에 수반하는, 제거 브러시(271')의 회동마다, 브러시 홀더(276')의 내부에 낙하한다. 브러시 홀더(276')는 저부가 개구하고 있으며, 이 저부 개구는 제거 진애 호퍼(281)의 호퍼 개구(281a')에 대향하고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거 브러시(271, 271')는 필터(231, 231')의 각각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필터(231) 및 전측 필터(231')의 좌방에 상측 제거 브러시(271) 및 전측 제거 브러시(271')가 각각의 필터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측 제거 브러시(271)의 하방, 전측 제거 브러시(271')의 후방에는, 제거 진애 호퍼(281)가 놓여져 있다. 제거 진애 호퍼(281)에는, 상측 제거 브러시(271) 및 전측 제거 브러시(271')가 회동하여 브러시 홀더(276, 276')의 내부에 빠져 들어갔을 때에, 그 각각에 대향하는 호퍼 개구(281a, 281a')가 제거 진애 호퍼(281)의 상면 및 전면에 위치하여 개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273a, 273a')으로부터 떨어진 진애는, 호퍼 개구(281a, 281a')를 통과하고, 제거 진애 호퍼(281) 내를 낙하하고, 집진 박스(284)의 제거 진애 저류부(284a)에 집진된다. 제거 진애 호퍼(281)의 하부 전면에는 제거 진애 배출구(281b)가 형성되어 있다. 제거 진애 배출구(281b) 중에는 집진 박스(28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의 사용시에는 집진 박스(284)로 제거 진애 배출구(281b)가 폐쇄하고, 집진 박스(284) 내의 진애가 주위에 비산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집진 박스(284) 내의 진애를 버리는 경우에는, 집진 박스(284)를 떼어내고, 내부의 진애를 긁어낸다.
다음으로, 외기 도입 기구(32)에 대하여 도21, 도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1은 실내기의 외기 도입 기구부 단면도이다.
외기 도입 기구(32)는, 실내기(2) 내의 일측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외기 도입 기구(32)는, 송풍 팬(311)용의 송풍 모터(313)와 반대측부에 조립되어 있다.
외기 도입 기구(32)는, 신선한 실외 공기를 넣는 외기 도입 기구의 흡입구(325)를 후부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외기 도입 기구의 흡입구(325)에는 외기 풍로(39)가 접속되고, 이 외기 풍로(39)가 실내기(2)와 실외기(6)를 접속하는 접속 배관(8)과 함께 가옥의 배관 구멍을 관통하여 실외로 인출되고, 외기 풍로(39)의 선단이 외기에 개방되고, 접속 배관(8)은 실외기(6)에 접속된다.
외기 도입 기구(32)에는 급기 운전과 운전 정지의 상태가 있다. 그리고, 급기 운전에서는, 외기 도입 기구의 흡입구(325)로부터 실외 공기를 흡입하고, 실내로 분출한다. 또한, 실내로의 분출에 대해서는 반드시 직접 실내로 분출하는 외기 분출구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순환 기류의 순환 경로의 적소에 분출구를 설치하여도 되고, 또한, 명확한 분출 경로를 구비하지 않아도, 결과적으로 실내로 분출하고 있으면, 급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정지의 상태에서는 당연하지만 바람은 흐르는 일은 없다.
외기 도입 기구(32)의 운전은 실내기(2)의 냉난방 운전과 병용하여 운전할 수도 있고, 외기 도입 기구(32) 단독으로 운전할 수도 있다. 또한, 외기 도입 기구(32)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 운전 후, 자동적으로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급기 운전에서는 실외 공기가 흡입되고, 외기 흡입 풍로(328b)의 도중에 놓인 외기 필터(327b)로 입경 10㎛ 이상의 진애를 99.9%에 가까운 고효율로 포집하고, 청정한 공기로서 실내에 분출한다. 이와 같은 외기 필터(327b)로서는, 예를 들면, 대전 필터에 탈취 기능도 부가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외기 필터(327b)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소한 진애와 냄새가 제거되고, 외기 도입 팬(321)에 흡입된다. 또한, 운전 정지시에는, 외기 도입 팬(321)이 정지하고, 급기 운전이 멈춘다.
이때,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도입 기구(32)를 실내기(2)의 배부, 하부에 두고, 전술한 제거 진애 호퍼(281)를 외기 도입 기구(32)의 전부, 상부에 둔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접속 배관(8)이나 드레인 배관(37)과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배면, 하부로부터 도입되는 경우가 많은 급기용 외기 풍로(39)의 경로를 단순화할 수 있고, 구부러짐이 적고, 저항이 적은 풍로로 할 수 있다. 당연히 저항이 적은 풍로로 함으로써 외기 도입 기구(32)의 운전 소음이나 도입 풍량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기 필터(327b)의 수납부(284b)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집진 박스(284)의 뒤쪽 절반에 설치되고, 전부의 제거 진애 저류부(284a)와의 사이는 칸막이(284k)로 나누어지고, 또한, 칸막이 시일(284m)이 제거 진애 호퍼(281)의 칸막이 개구(281c)에 밀착함으로써, 외기 필터(327b)의 수납부(284b)와 제거 진애 저류부(284a)는 완전히 차단되어 있다.
집진 박스(284)는 뒤쪽 절반에 전술한 바와 같이 외기 필터(327b)의 수납부(284b)를 설치하고, 전반부는 제거 진애의 저류부(284a)로 되어 있다. 저류 부(284a)의 전벽은 실내와의 통기를 차단하는 덮개부(284n)로 되어 있으며, 그 주위는 덮개부 시일(284p)로 제거 진애 배출구(281b)와 밀착하고, 제거 진애 저류부(284a)의 진애가 실내에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외기 필터(327b)의 수납부(284b)는 제거 진애의 저류부(284a)의 후방에 설치되고, 외기 흡입 풍로(328b)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굴곡하여 상방의 외기 도입 팬(321)을 향하는 도중의 부분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외기 흡입 풍로(328b)의 굴곡부의 풍로벽은 전술한 펠티에 소자(441)의 방열판(338)으로 구성되고, 펠티에 소자(441)의 고온부(444)의 열을 도입 외기에 방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기 필터(327b)는 수지제 필터에 영구 대전시킨 것으로, 도입하는 외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고, 청정으로 하여 실내에 공급한다.
328c는 외기 도입 기구 흡입구(325)에 외기 풍로(39)를 접속하기 위한 외기 풍로 접속부이고, 외기 풍로(39)를 호스 밴드 등에 의해, 외기의 누설이 없도록 접속한다.
또한, 외기 도입 기구(32)와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2)의 송풍 팬(311)의 축방향으로 동일한 측에 배치되고, 펠티에 소자(441)와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방열판(338)이나 도수부(422b)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고, 방열판(338) 내의 온도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방열판(338)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수부(422b)에서의 흡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도수부(422b)가 건조하고 있는 초기 운전 개시시에, 결로로부터 무화 부(422a)까지 물이 널리 퍼지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응용성이 좋다.
또한, 방열판(338)을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도입 기구(32)의 외기 흡입 풍로(328b)의 굴곡부에 설치한다. 이에 의해, 도입 기류의 흐트러짐이 큰 굴곡부에서 방열하게 되고, 방열이 좋아진다.
또한, 방열판(338)을 분출 풍로(290)의 측벽(290c), 또는, 상하의 벽에 부착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방열판(338)이 실내기(2)의 분출 공기로 강제적으로 냉각되고, 냉각판(425)을 확실하게 주변의 실내 공기의 노점 온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거 진애 저류부(284a)의 청소와 외기 필터(327b)의 청소, 교환에 대하여 도21, 도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고, 긴 시간이 경과하면, 반복해서 필터(231, 231')의 청소가 행해지고, 제거 진애 저류부(284a)에 제거한 진애가 모인다. 또한, 외기 도입 운전을 장시간 행하면 외기 필터(327b)에 진애가 모임과 동시에, 대전량이 감소하여 집진 효과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진애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하면 짧으면 2∼3년에 1번, 제거 진애 저류부(284a)의 청소, 외기 필터(327b)의 청소,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제거 진애 저류부(284a), 외기 필터(327b)의 수납부(284b)를 일체로 구성하고, 전면 패널(25)을 도21의 점선과 같이 개방하여, 덮개부(284n)의 손잡이부(284c)를 쥐고 제거 진애 배출구(281b)로부터 꺼내고, 떼어낸다. 떼어낸 집진 박스(284)의 제거 진애 저류부(284a)를 청소하고, 동시에 수납부(284b)의 외기 필 터(327b)를 점검하고, 청소 또는 교환을 행한다.
다음으로, 집진 박스(284)를 제거 진애 배출구(281b)로부터 삽입하여, 부착하고, 전면 패널(25)을 폐쇄하여, 제거 진애 저류부(284a)와 외기 필터(327b)의 메인터넌스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외기 도입 기구(32)의 외기 필터(327b)의 수납부(284b)와 청소 장치(240)의 제거 진애 저류부(284a)라고 하는 서로 다른 2개의 기능의 구성부를 일체화함으로써, 메인터넌스용 개구를 공용화할 수 있고, 스페이지 절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당 일체화한 부품을 청소함으로써 해당 서로 다른 2개의 기능을 동시에 메인터넌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와 흡입 이온 전극(412)의 배치를 분출 풍로(290)와 공기 흡입구(27)로 구분하고, 또한 송풍 팬(311)을 사이에 두고 축방향의 반대측에 둠으로써, 흡입 이온 전극(412)을 청소 장치(240)의 솔 지지 프레임(262')의 대기 위치에 두어, 이동의 방해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240)의 제거 진애 저류부(284a)는 필연적으로 솔 지지 프레임(262')의 대기 위치의 반대측으로 되고, 정전 무화 장치(42)의 방출부(430)와 동일한 측으로 된다. 이 때문에, 외기 도입 기구(32)를 제거 진애 호퍼(281)의 후측에 둠으로써, 외기 필터(327b)의 교환과 제거 진애 저류부(284a)의 청소를 집진 박스(284)만의 착탈로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정전 무화 장치(42)의 펠티에 소자(441)의 고온부(444)와 외기 도입 기구(32)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펠티에 소자(441)의 방열판(338)을 외기 도입 기구(32)의 도입 외기로 용이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수원을 펠티에 소자(441)의 흡열부로의 결로에 구하고 있으나, 이것을, 냉동 사이클의 저압 배관을 이용하고, 그곳에 결로하는 물을 무화 전극(422)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을, 도23 내지 도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3은 수원부를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저온부로 구성하는 경우의 난방 무화 운전시의 냉동 사이클도이다. 도24는 수원부를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저온부로 구성하는 경우의 냉방 무화 운전시의 냉동 사이클도이다. 도25는 수원부를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저온부로 구성하는 경우의 제습 무화 운전시의 냉동 사이클도이다.
도23에서, 75는 압축기, 72는 냉매 유로 절환 밸브, 33a는 실내측에 설치되고, 난방시에 가열기로 되고, 냉방시, 제습시에 냉각기로 되는 제1 열교환기, 34는 제습 교축 장치, 33b는 실내측에 설치되고, 난방시, 제습시에 가열기로 되고, 냉방시에 냉각기로 되는 제2 열교환기, 74는 냉난방 교축 장치, 73은 실외 열교환기이다. 778, 779는 제1 열교환기(33a)와 제습 교축 장치(34)의 도중으로부터 분기하고, 냉각관(777)에 접속되는 무화 교축 장치, 및, 역지 밸브이다. 역지 밸브(779)는 냉각관(777)으로부터 제1 열교환기(33a)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는 경우에 이것을 허용하고, 역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는 이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냉각관(777)의 적절한 위치에 결로판(777a)이 부착되고, 결로판(777a)의 하부가 전술한 보수 부재(423)에 접촉하고 있다. 776은 냉난방 교축 장치(74)와 실외 열교환기(73)의 도중으로부터 분기하고, 냉각관(777)에 이르는 도중에 설치된 무화 밸브이고, 교축 기능을 가지고 있다.
난방 무화 운전시는, 냉매 유로 절환 밸브(72)를 도23과 같이 난방측으로 하 고, 제습 교축 장치(34)와 무화 밸브(776)를 완전 개방으로 하고, 냉난방 교축 장치(74)로 주회로의 냉매를 제어한다. 압축기(75)를 운전하면, 냉매는 도23의 화살표와 같이 흐르고, 실내를 난방함과 함께, 무화 교축 장치(778)로 저압으로 된 냉매가 냉각관(777)에 부착된 결로판(777a)을 냉각하여 주변의 실내 공기의 수분을 결로시킨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로판(777a)에 결로한 물이 보수 부재(423)를 통하여 무화 전극(422)에 공급된다.
냉방 무화 운전시는 도24와 같이, 냉매 유로 절환 밸브(72)를 냉방측으로 하고, 제습 교축 장치(34)를 완전 개방으로 하고, 무화 밸브(776)를 조여서, 냉각관(777)에 흐르는 냉매를 제어하고, 냉난방 교축 장치(74)로 주회로의 냉매를 제어한다. 압축기(75)를 운전하면, 냉매는 도24의 화살표와 같이 흐르고, 실내를 냉방함과 함께, 무화 밸브(776)로 저압으로 된 냉매가 냉각관(777)에 부착된 결로판(777a)을 냉각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로판(777a)에 결로한 물이 보수 부재(423)를 통하여 무화 전극(422)에 공급된다.
제습 무화 운전시는 도25와 같이, 냉매 유로 절환 밸브(72)를 냉방측으로 하고, 냉난방 교축 장치(74)를 완전 개방으로 하고, 무화 밸브(776)를 조여서, 냉각관(777)에 흐르는 냉매를 제어하고, 제습 교축 장치(34)로 주회로의 냉매를 제어한다. 압축기(75)를 운전하면, 냉매는 도25의 화살표와 같이 흐르고, 실내를 제습함과 함께, 무화 밸브(776)로 저압으로 된 냉매가 냉각관(777)에 부착된 결로판(777a)을 냉각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로판(777a)에 결로한 물이 보수 부재(423)를 통하여 무화 전극(42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1)의 냉동 사이클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지 않고, 정전 무화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방, 난방, 제습 등의 냉동 사이클을 운전하는 경우에는, 냉동 사이클의 저온측의 배관의 적절한 위치에 보수 부재(423)를 접촉시켜 두고, 냉동 사이클의 저압부로의 결로수가, 수원부(440)의 수원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을 이용함으로써, 결로판(777a)에 접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결로시킬 수 있고, 보수 부재(423)로 결로수를 받고, 받은 결로수를 도수부(422b)에 의해 무화부(422a)까지 운반한다. 이 때문에, 펠티에 소자(441)를 이용하지 않고도, 외부로부터의 물의 보급 없이 대전한 미세립의 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무화 장치(42)의 무화부(422a)를 분출 풍로(29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하고, 한편, 무화부(422a)에 대향하도록 설치하는 접지측의 전극(무화부(422a)와 쌍을 이루는 접지측의 전극)인 도전부(소위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를 풍로(290) 내, 공기 조화기(1) 내에 배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였다. 무화부(422a)로부터는, 대전한 미세립의 물을 횡류 팬의 정류된 흐름에 태워서, 실내의 먼 곳까지 운반할 수 있고, 대전한 미세립의 물이 가지는 탈취 작용을 방의 넓은 범위에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대전한 미세립의 물을 빨아 당겨서 중화하는 접지측의 전극이 없기 때문에, 이 미세립의 물의 소모를 억제하여, 실내에 유효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접지측의 전극에 빨아 당겨져서 부착한 수적이 점점 커져서 실내기 내, 나아가서는 실내에 적하하는 등의 우려도 없어진다.
또한, 실내기 본체의 흡입측에는 필터가 설치되고, 실내기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진애를 포집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운전하면, 필터에 진애가 퇴적하고, 서서히 흡입측의 통풍 저항이 커진다. 흡입측의 통풍 저항이 커지면, 전술한 역류 감소가 서서히 시작되고, 처음에는 극히 작은 역류였던 것이, 흡입측의 통풍 저항이 커짐에 따라서, 점점 커진다. 마지막에는, 분출 풍로의 양 옆으로부터 발생한 역류가 차례차례 분출 풍로의 중앙부에 이동하고, 분출 기류에 맥동을 일으켜서 소음의 증대나, 통풍량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청소 기구를 구비함과 함께, 정전 무화 장치(42)의 분출 풍로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한 부분이, 횡류형의 송풍 팬의 역류를 억제하는 방해판으로 되어, 역류를 일으키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청소 기구에 의해 필터 부분에서의 통풍 저항을 저감하고, 역류를 억제함으로써, 분출 풍로(290) 내에서의 통풍 저항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한, 초기 단계의 소규모의 역류의 경우는, 역류가 일어나고 있는 영역은 분출 풍로의 양단의 한정된 범위로 되기 때문에, 이 범위를 넘어 횡류형의 송풍 팬(311)의 중앙 부근에 무화부(422a)를 돌출시킴으로써, 역류에 의한 기류의 흐트러짐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출 풍로의 기류의 흐트러짐이 적은 부분(횡류형의 송풍 팬(311)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미세립의 물을 대전시켜서 무화한 상태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횡류형의 송풍 팬의 거의 균일한 흐름에 태워서, 실내의 넓은 범위에, 대전시킨 미세립의 물을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실시예로서 분리 타입의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를 예로 들 어 설명하여 왔으나, 횡류 팬을 종방향에 설치한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횡류 팬을 사용한 천정 매립형의 공기 조화기에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고, 실내 공기의 순환을 횡류 팬으로 행하는 공기 조화기이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1은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
도2는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3은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4는 실내기의 전면 패널을 분리한 사시도.
도5는 무화 유닛의 분출 풍로에의 부착부 사시도.
도6은 분출 풍로를 제거한 무화 유닛부의 사시도.
도7은 방전부에서 이온류를 분리하는 설명도.
도8은 정전 무화 장치의 방전 전류 특성도.
도9는 부착 냄새의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10은 안전 고리의 부착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안전 고리의 사시도.
도12는 실내기의 화장 프레임을 분리하고, 좌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3은 필터의 수지 섬유망에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필터의 수지 섬유망에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하고, 또한 캘린더 롤 가공을 실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15는 스퍼터링 가공을 실시한 필터의 수지 섬유망의 항균 시험 결과.
도16은 흡입부의 이온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17은 필터의 대전량 잔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18은 도1의 실내기의 청소 장치의 사시도.
도19는 도1의 실내기의 청소 장치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도20은 도1의 실내기에 이용하는 제진 브러시를 도시한 도면.
도21은 실내기의 외기 도입 기구부 단면도.
도22는 펠티에 소자 방열부의 분해 사시도.
도23은 수원부를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저온부로 구성하는 경우의 난방 무화 운전시의 냉동 사이클도.
도24는 수원부를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저온부로 구성하는 경우의 냉방 무화 운전시의 냉동 사이클도.
도25는 수원부를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저온부로 구성하는 경우의 제습 무화 운전시의 냉동 사이클도.
도26은 종형 공기 조화기의 외관 사시도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5 : 리모콘
6 : 실외기
8 : 접속 배관
20 : 케이스체
21 : 케이스체 베이스
23 : 화장 프레임
25 : 전면 패널
27 : 공기 흡입구
29 : 공기 분출구
32 : 외기 도입 기구
33 : 실내 열교환기
33a : 제1 열교환기
33b : 제2 열교환기
34 : 제습 교축 장치
35 : 이슬 받이 접시
37 : 드레인 배관
39 : 외기 풍로
42 : 정전 무화 장치
72 : 냉매 유로 절환 밸브
73 : 실외 열교환기
74 : 냉난방 교축 장치
75 : 압축기
76 : 어큐뮬레이터
230, 230' : 공기 흡입부
231, 231' : 필터
231a' : 수지 섬유망
231b' : 종섬유
231c' : 횡섬유
231d' : 금속 피막
232, 232' : 필터 프레임
234 : 안내 프레임
235, 235' : 레일
240 : 청소 장치
243 : 추진축
251 : 가동 패널
261 : 캐리지
262, 262' : 솔 지지 프레임
267' : 청소용 솔
270, 270' : 제진 브러시
271, 271' : 제거 브러시
271a' : 제거 브러시면
271b' : 비브러시면
271c' : 회동 레버
273' :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
273a' : 진애 복귀 방지 브러시면
276, 276' : 브러시 홀더
278' : 압압 스프링
281 : 제거 진애 호퍼
281a, 281a' : 호퍼 개구
281b : 제거 진애 배출구
281c : 호퍼 칸막이 개구
284 : 집진 박스
284a : 제거 진애 저류부
284b : 외기 필터 수납부
284c : 손잡이부
284k : 칸막이
284m : 칸막이 시일
284n : 덮개부
284p : 덮개부 시일
290 : 분출 풍로
290c : 분출 풍로 측벽
291 : 상하 풍향판
295 : 좌우 풍향판
311 : 송풍 팬
313 : 송풍 모터
321 : 외기 도입 팬
325 : 외기 도입 기구 흡입구
326 : 외기 도입 기구 분출구
327b : 외기 필터
328b : 외기 흡입 풍로
328c : 외기 풍로 접속부
338 : 외기 풍로 방열판
396 : 수광부
397 : 표시부
412 : 흡입 이온 전극
412a : 침상부
422 : 무화 전극
422a : 무화부
422b : 도수부
423 : 보수 부재
424 : 무화 접속부
425 : 냉각판
427 : 이온화실
427a : 이온 개구
428 : 분출 이온 전극
428a : 침상부
428b : 베이스부
429 : 도전체
430 : 방출부
431 : 무화 하우징
432 : 무화실
432a : 칸막이 부재
432b : 격벽
432c : 측부 개구
432d : 후부 개구
437 : 차풍벽
438 : 안전 고리
440 : 수원부
441 : 펠티에 소자
442 : 저온부
443 : 절연 시트
444 : 고온부
450 : 고전압 발생 장치
451 : 고전압 단자
452 : 접지 단자
776 : 무화 밸브
777 : 냉각관
777a : 결로판
778 : 무화 교축 장치
779 : 역지 밸브

Claims (12)

  1. 고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 장치와, 이 고전압 발생 장치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미세한 물을 방출하는 정전 무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전 무화 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저온부를 갖는 펠티에 소자와, 미세한 물을 방출하는 무화부 및 상기 저온부에서 응축된 수분을 상기 무화부로 안내하는 도수부를 갖는 무화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무화부는, 송풍 팬의 분출 풍로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분출 풍로로 돌출하여 배치되고,
    상기 저온부는,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화부가 위치하는 상기 분출 풍로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무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무화 장치가, 상기 고전압 발생 장치에 접속된 도전성을 가지는 침상부를 가지는 분출 이온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와 침상부의 선단 위치의, 상기 측벽으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의 선단위치와 침상부의 선단위치와의 사이를 기류가 흐르는 방향에 평행하게 나누는 칸막이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와 침상부의 선단 위치의 사이에 격벽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전극 또는 상기 분출 이온 전극 중 하나 이상에 인가하는 전압이 -3㎸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 풍로에 배치한 상기 무화부를 상기 침상부보다도 바람의 하류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 장치와 도통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침상부를 가지는 흡입 이온 전극을, 실내의 공기를 실내기 본체에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에 배치하고, 상기 흡입 이온 전극과 상기 정전 무화 장치로, 동시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에 배치한 흡입 이온 전극과, 실내기 본체로부터 실내에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부에 배치한 정전 무화 장치의 방출부를, 상기 송풍 팬의 축방향의 동일 위치로부터 비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수부가 다공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에 소자의 고온측의 방열을, 실외 공기의 강제 통풍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90005048A 2007-02-07 2009-01-21 공기 조화기 KR100972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27852A JP4366406B2 (ja) 2007-02-07 2007-02-07 空気調和機
JPJP-P-2007-027852 2007-02-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849A Division KR20080074014A (ko) 2007-02-07 2007-08-09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506A KR20090016506A (ko) 2009-02-13
KR100972886B1 true KR100972886B1 (ko) 2010-07-28

Family

ID=397510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849A KR20080074014A (ko) 2007-02-07 2007-08-09 공기 조화기
KR1020090005048A KR100972886B1 (ko) 2007-02-07 2009-01-21 공기 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849A KR20080074014A (ko) 2007-02-07 2007-08-09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66406B2 (ko)
KR (2) KR20080074014A (ko)
CN (1) CN1012409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3456A1 (it) * 2021-09-10 2023-03-10 Eti Service S N C Di Boscolo Sale Daniele & C Dispositivo per la sanificazione dell’aria in uscita da un’unità interna di un condizionato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4587B2 (ja) * 2008-08-29 2013-04-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0091263A (ja) * 2008-09-11 2010-04-22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10119829A (ja) * 2008-10-20 2010-06-03 Direct Japan Co Ltd 空気清浄器
JP4929297B2 (ja) * 2009-02-16 2012-05-09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EP2228485A1 (en) * 2009-03-12 2010-09-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n antimicrobial agent
JP5368844B2 (ja) * 2009-03-25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を備えた空調装置
ES2720739T3 (es) * 2009-03-27 2019-07-24 Mitsubishi Electric Corp Acondicionador de aire que comprende un aparato atomizador electrostático
JP2011099647A (ja) * 2009-11-09 2011-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装置
CN102376658A (zh) * 2010-08-20 2012-03-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中的芯片散热装置及其应用
WO2012035757A1 (ja) * 2010-09-14 2012-03-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オゾンとイオン風を発生させるオゾン・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JP2012115798A (ja) * 2010-12-03 201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装置
JP5464178B2 (ja) * 2011-06-27 2014-04-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2021763A (ja) * 2011-08-22 2012-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EP2942582B1 (en) 2014-03-27 2017-05-31 Fujitsu General Limited Filt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KR102232414B1 (ko) * 2014-04-07 2021-03-29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 재생 장치
JP6735434B2 (ja) * 2015-12-17 2020-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JP6723481B2 (ja) * 2017-11-27 2020-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浴室乾燥機
WO2019145884A1 (en) * 2018-01-27 2019-08-01 Lisa Solanki Device to remove polar molecules from an air stream
CN108361889A (zh) * 2018-03-06 2018-08-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新风空调室内机
CN108386914A (zh) * 2018-03-06 2018-08-1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新风空调室内机
CN110906452B (zh) * 2018-09-18 2022-05-31 武汉海尔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
JPWO2020121938A1 (ja) * 2018-12-12 2021-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CN112426822A (zh) * 2020-12-31 2021-03-02 广东标华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吸尘器
CN114028601B (zh) * 2021-11-05 2023-04-11 嘉兴和禹净化科技有限公司 基于双电场纳米材料嵌合的低温空气等离子射流净化模块
CN115055006B (zh) * 2022-06-14 2023-06-13 深圳巨力神电气有限公司 一种智能通用变频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658A (ko) * 2004-06-11 2005-12-15 (주)유이온 탈취 및 살균 기능의 플라즈마 가습장치
KR20060051012A (ko) * 2004-09-13 2006-05-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기
JP2006305321A (ja) 2005-03-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空気清浄機および加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658A (ko) * 2004-06-11 2005-12-15 (주)유이온 탈취 및 살균 기능의 플라즈마 가습장치
KR20060051012A (ko) * 2004-09-13 2006-05-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기
JP2006305321A (ja) 2005-03-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空気清浄機および加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3456A1 (it) * 2021-09-10 2023-03-10 Eti Service S N C Di Boscolo Sale Daniele & C Dispositivo per la sanificazione dell’aria in uscita da un’unità interna di un condizionat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506A (ko) 2009-02-13
CN101240912B (zh) 2012-01-25
CN101240912A (zh) 2008-08-13
JP4366406B2 (ja) 2009-11-18
JP2008190819A (ja) 2008-08-21
KR20080074014A (ko) 200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886B1 (ko) 공기 조화기
KR100881535B1 (ko) 공기 조화기
KR101892967B1 (ko) 방전을 이용한 제균 장치
JP4687081B2 (ja) 空気調和機
JP2007020883A (ja) 空気調和機
JP5074225B2 (ja) 空気調和機
JP2018044762A (ja) 加湿空気清浄機
JP5405943B2 (ja) 空気調和機
WO2001072428A1 (en) Air cleaner
KR100996565B1 (ko) 공기 조화기
JP5058294B2 (ja) 空気調和機
JP5089424B2 (ja) 空気調和機
JP2010063947A (ja) 空気清浄機
JP4171769B1 (ja) 空気調和機
JP4228027B1 (ja) 空気調和機
WO2009081546A1 (ja) 空気調和機
JP5558924B2 (ja) 静電霧化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0091194A (ja) 空気調和機
JP2010164251A (ja) 空気調和機
JP5609203B2 (ja) 電気掃除機
KR20060051012A (ko) 공기조화기
TW559653B (en) Air-washing condition
KR101081081B1 (ko) 공기 조화기
JP2011072891A (ja) 集塵装置
KR200190948Y1 (ko)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