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01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012A
KR20060051012A KR1020050082051A KR20050082051A KR20060051012A KR 20060051012 A KR20060051012 A KR 20060051012A KR 1020050082051 A KR1020050082051 A KR 1020050082051A KR 20050082051 A KR20050082051 A KR 20050082051A KR 20060051012 A KR20060051012 A KR 2006005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water
jet port
blower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514B1 (ko
Inventor
타카시 수기오
아키히코 시미주
마사하루 에비하라
유지 이노우에
마사카쯔 이와시미주
마코토 시미주
쯔토무 시미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65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781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76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32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3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97954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안전성이 높고, 벽이나 커튼의 탈취를 행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공기조화기에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설치하고, 탈취 효과가 높은 물 클러스터를, 공기조화기의 분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확산시킴으로써,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 제거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있어서의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있어서의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에 있어서의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 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6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6에 있어서의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7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7에 있어서의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8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8에 있어서의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9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9에 있어서의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9에 있어서의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0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 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0에 있어서의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물의 클러스터를 실내에 방출함으로써, 벽이나 커튼의 탈취를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공기조화기는 냉방이나 난방을 행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실내공기의 질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부유 진애나 알레르겐의 제거, 탈취, 항균 등의 각종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이들 수단으로서는, 공기흡입구에 각종 필터류를 설치해서 걸러내거나 혹은 흡착한다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이들 필터류의 오염 및 손상이 진행되면 통풍저항이 증가해서 냉난방시의 에너지소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적절히, 청소 및 손질을 행하지 않으면 진애나 냄새가 필터에 퇴적되기 때문에 오히려 역효과가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탈취를 행하는 경우, 실내공기 중의 냄새 성분은 비교적 조속히 제거되지만,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는 제거할 수 없고, 실내에는 냄새가 남아버린다라는 과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예컨대, 도 23과 같이 공기조절장치류 내부로부터 분출되는 냉ㆍ난 공기에 대해서 탈취 살균성 가스를 적절량 혼합시킴으로써, 악취나 세균ㆍ박테리아ㆍ곰팡이류 등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탈취 살균성 가스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공기조절장치류가 발명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314492 참조).
이 종래예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용기(112)와, 그 약제용기(112)로 대해서 기화 촉진 작용을 행하는 기화 촉진부(114)를 구비한 탈취 살균성 가스공급수단(110)을, 공기류 통로의 일부에 배치한, 탈취 살균성 가스공급수단(110)을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류로서, 적용되는 약제로서는, 포르말린, 크레졸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살균 탈취성에 우수하여 취급상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취 살균성 가스공급수단(110)은, 공기 조절 장치류의 공기 도입구(1)와 열교환기(냉ㆍ난 공기형성부)(2) 사이의 공기류 통로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화 촉진부(114)에 의한 기화 촉진 작용에 의해, 약제용기(112)에 수납된 안정화 이산화염소로부터 이산화염소가 적절량씩 기화시켜지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이산화염소 가스는, 각종 방식의 냉열원이나 가열원으로부터 열교환된 냉풍이나 온풍 내에 적절량 혼합되어서, 에어컨 설비의 내부, 덕트 등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에어컨 등의 분출구로부터 공기조절대상공간으로서의 실내에 분출된다.
이렇게 해서, 탈취 살균성 가스가 혼재된 냉ㆍ난 공기가 실내에 분출되게 되 고, 적용 실내분위기를 청정하고 또한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탈취 살균성의 가스로서 이산화염소 등의 화학물질사용을 상정하고 있고, 특히 가정용으로서 널리 이용하는 경우에, 방출량의 관리가 불충분하게 되면, 완전히 안전하다라고는 단언할 수 없고, 방출 물질 자체에 냄새가 있는 등의 과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안전성이 높고,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와,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송풍기를 통과하여 분출구에 이르는 송풍회로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물을 방전에 의해 클러스터로 하여 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탈취 효과가 높은 물 클러스터를, 공기조화기의 분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확산시킴으로써,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 제거할 수 있는데다가, 방출성분이 물이기 때문에, 높은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클러스터로 하는 물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에 설치한 물탱크로부터 공급하는 것이며, 물탱크를 분리식으로 함으로써 물탱크에의 물의 보급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결로된 물을 이용하여,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로 클러스터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정기적으로 물을 보급할 필요가 없고, 보수관리성이 우수한 탈취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옥외의 공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을 추출하는 물 생성수단을 설치하고, 이 물 생성수단으로 추출한 물을 이용하여,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에서 클러스터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정기적으로 물을 보급할 필요가 없고,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좌우되는 일없이 안정된 물공급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관리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소취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와,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송풍기를 통과하여 분출구에 이르는 송풍회로와, 냉각면과 방열핀을 구비한 방열면을 갖는 펠티에 소자를 구비하고, 냉각면에 결로된 물을, 방전에 의해 클러스터로 해서 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탈취 효과가 높은 물 클러스터를, 공기조화기의 분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확산시킴으로써,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 제거할 수 있는데다가, 방출성분이 물이기 때문에, 높은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펠티에 소자를 구비한 클러스터 발생장치는 송풍회로의 분출구 내에 배치하는 것이다. 물 클러스터를, 공기조화기의 분출풍에 실어서 효율적으로 실내에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펠티에 소자의 방열핀만을 송풍회로의 분출구 내에 배치하고, 냉각면 은 분출구 밖에 배치하는 것이며, 난방시에 냉각면에 분출구의 고온풍이 닿을 일이 없고, 냉각면의 온도를 효율 좋게 내림으로써, 결로물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송풍회로 분출구의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위치의 하류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분출구 내부의 음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상기 펠티에 소자 냉각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분출구 내에 이르는 송풍로를 형성하는 것이며, 난방시에 냉각면에 분출구의 고온풍이 닿을 일이 없고, 냉각면의 온도를 효율 좋게 내림으로써, 결로물을 뽑을 수 있는데다가, 새롭게 팬 등을 설치하는 일없이, 물 클러스터를, 공기조화기의 분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널리 확산시켜진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분출구의 측벽에 구비하는 것이고, 분출구의 주류에 있으며, 큰 통풍저항이 되고, 냉난방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라는 일이 없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분출구의 하부벽에 구비하는 것이고, 방열핀을 송풍기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고, 소음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분출구의 상부벽에 구비하는 것이고, 냉각면을 열교환기의 상류측에 둘 수 있기 때문에, 난방시에도, 냉각면에 온도가 낮고 풍속이 높은 바람이 닿게 되어, 결로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분출구의 상부벽에 구비하고, 방열핀만을 열교환기의 상류측에 배치하고, 냉각면은 분출구 내에 배치하는 것이고, 난방시에도, 방열핀에 온도가 낮은 바람이 닿게 되어, 효율 좋게 방열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면의 온도가 내려지고, 결로량을 많게 할 수 있는데다가, 물 클러스터를, 공기조 화기의 분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널리 확산시켜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와,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송풍기를 통과하여 분출구에 이르는 송풍회로와, 펠티에 소자를 갖고서, 냉각면에 결로된 물을, 방전에 의해 클러스터로 해서 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이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상기 송풍회로의 분출구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냉각면측이, 상기 방열핀보다 분출구에 가까이 배치됨으로써, 탈취 효과가 높은 물 클러스터를, 공기조화기의 분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확산시킴으로써,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 제거할 수 있는데다가, 방출성분이 물이기 때문에, 높은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냉각면으로부터 상기 송풍회로의 분출구에 통하는 통풍로를 설치하고, 상기 방열핀은 상기 통풍로에 면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고, 난방시에 방열핀에 분출구의 고온풍이 닿을 일이 없고, 냉각면의 온도를 효율 좋게 내림으로써, 결로물가 채택된다.
또한, 방열핀에, 냉각팬을 부착한 것이고, 냉각면의 온도를 효율 좋게 내림으로써, 결로물이 채택된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분출구의 측벽 혹은 측벽 근방에 구비하는 것이고, 분출구의 주류에 있으며, 큰 통풍저항이 되고, 냉난방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라는 일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효과는, 안전성이 높고,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와,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송풍기를 통과하여 분출구에 이르는 송풍회로와, 물을 방전에 의해 클러스터로 하여 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탈취 효과가 높은 물 클러스터를, 공기조화기의 분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확산시킴으로써,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 제거할 수 있으므로, 탈취 이외의 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실내에 방출하는 공기조화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고, 산업상 이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부착되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물 클러스터에 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흡입구(1)로부터 열교환기(2), 송풍기(3)를 통과하여 분출구(4)에 이르는 송풍회로가 있고, 분출구(4)의 내부에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를 고정한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에 물을 공급하는 호스(6a)와 유량제어밸브(7)와 분리가능한 탱크(8)를 실내기 내부에 설치한다.
도 3에 있어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에는 전극(9a,9b)을 배치하고, 하부 의 전극(9a)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호스(6a)에 연통한 공급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탱크(8)에 보급한 물은 호스(6a)를 지나고, 유량제어밸브(7)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된 유량으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에 형성된 공급 구멍(10)으로부터 전극(9a)부에 공급된다.
여기서, 전극(9a,9b)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방전이 일어나고, 직경이 약 18㎚ 정도인 미세한 물의 입자(클러스터)가 방출되고, 배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널리 확산시킬 수 있다.
이 물 클러스터는 반응성이 높고, 냄새 성분에 작용해서 무취 성분으로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 효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커튼 생지에 담배 냄새를 부착시켜, 2시간 후에, 물 클러스터 방출의 유무에 의한 악취 감쇠의 차를 관능시험(6단계 악취표시법)으로 평가한 결과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클러스터 방출의 경우에는 자연 감쇠의 경우에 비해 명확하게 악취강도의 저하가 보여진다.
(실시형태2)
도 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예1의 설명과 중복되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 의 구성, 탈취 효과와 그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열교환기(2)의 하부에 물받이 용기(11a)를 설치하고, 유량제어밸브(7)를 통해서 호스(6a)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와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열교환기(2)의 하부에 물받이 용기(11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방 운전시, 열교환기(2)에 결로된 물방울은 표면을 타고 이동하여 물받이 용기(11a)에 떨어져 고인다. 그리고, 고인 물은 호스(6a)와 유량제어밸브(7)를 지나,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의 전극(9a)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물을 정기적으로 보급하는 수고를 줄인다라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형태3)
도 6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고, 실내기의 종단면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실외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예1,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실외기(15)에는, 열교환기(12)의 하부에 배치한 물받이 용기(11b)와, 펌프(13)를 설치하여, 물받이 용기(11b)와 펌프(13)의 흡인구를 호스(6c)로 접속한다. 또한, 호스(6b)의 한쪽을 펌프(13)의 토출구에 접속하고, 또 한쪽은 실내기(14)에 설치한 물받이 용기(11a)의 위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난방 운전시, 실외기(15)의 열교환기(12)에는 결로물이 생성되고, 적하되서 물받이 용기(11b)에 고인다. 물받이 용기(11b)에 고인 물은, 펌프(13)로 실내기(15)의 물받이 용기(11a)까지 반송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2의 실내기 열교환기의 결로물에서만,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에 공급하는 물이 부족한 경우에 유효한 수단이 되고, 연간을 통해서 일정량의 물을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4)
도 7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9는 부착되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도 8에 있어서, 흡입구(1)로부터 열교환기(2), 송풍기(3)를 통과하여 분출구(4)에 이르는 송풍회로가 있고, 분출구(4)의 내부에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를 고정한다.
도 9에 있어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에는 펠티에 소자(26)가 있고, 그 냉각면측(27)에 접해서 냉각면(28), 방열면측(29)에 접해서 방열핀(30)을 고정한다. 또한, 냉각면상과, 그 상부에는 전극(31a,31b)을 설치하고, 이 양 전극간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의 냉각면(28)을 통과하는 풍량을 스로틀하고, 냉각면(28)의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 제어판(32)을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펠티에 소자(26)에 통전하면, 그 양면에 온도차가 생긴다. 이 경우, 냉각면측(27)에 접하는 냉각면(28)에서의 냉각량, 방열면측(29)에 접하는 방열핀(30)으로부터의 방열량을 적절하게 설계하면, 냉각면(28), 및 그 위의 전극(31a)에 결로가 생긴다.
여기서, 전극(31a,31b)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방전이 일어나고, 직경이 약 18㎚ 정도인 미세한 물의 입자(클러스터)가 방출되고, 배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널리 확산시킬 수 있다.
이 물 클러스터는 반응성이 높고, 냄새 성분에 작용해서 무취 성분으로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 효과는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1의 것과 동일하다.
(실시형태5)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4의 설명과 중복되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의 구성, 탈취 효과와 그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11에 있어서, 방열핀(30)만을 송풍회로의 분출구(4) 내에 배치하고, 냉각면(28)은 분출구(4) 박에 배치한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는 분출구(4)의 하부벽에 고정하고,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위치의 하류측에 개구(33)와, 거기에 흐름을 도입하는 유도판(34)을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난방시, 분출구(4) 내의 공기온도는 높고, 한쪽에서 통상은 절대습도가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냉각면(28)을 분출구(4) 내에 두고 있던 것으로는, 냉각면(28)의 온도를 노점 이하로 내리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냉각면(28)을 분출구(4)의 밖에 둠으로써, 공기온도가 낮고, 또한 송풍로 밖이므로 풍속도 느리다. 그로 인해, 냉각면(28)에 용이하게 결로된다.
또한, 분출구(4) 내에는 풍속이 높기 때문에, 정압(靜壓)은 음압이 되어 있고, 개구(33)를 형성하면, 외부로부터 분출구(4)를 향하는 흐름이 생기고, 이 흐름에 의해 냉각면(28)에 흡습수(hygroscopic moisture)를 공급함과 아울러, 방출된 물 클러스터를, 유도판(34), 개구(33)를 경유하여, 분출구(4) 내에 유인하고, 배출풍에 실어서 실내에 널리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를 분출구(4)의 하부벽에 고정함으로써, 방열핀(30)과 송풍기(3)의 거리를 가질 수 있어, 소음 상승이 억제된다.
(실시형태6)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4, 5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13에 있어서, 방열핀(30)만을 송풍회로의 분출구(4) 내에 배치하고, 냉각면(28)은 분출구(4)의 밖에 배치한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는 분출구(4)의 측벽에 고정하고,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위치의 하류측에 개구(33)와, 거기에 흐름을 도입하는 유도판(34)을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를 분출구(4)의 측벽에 고정함으로써, 방열핀(30)이 분출구의 주류에 있으며, 큰 통풍저항이 되고, 냉난방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라는 일이 없다.
(실시형태7)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4, 5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15에 있어서, 방열핀(30)만을 송풍회로의 분출구(4) 내에 배치하고, 냉각면(28)은 분출구(4)의 밖, 열교환기(2)의 상류측에 배치한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는 분출구(4)의 상부벽에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를 분출구(4)의 상부벽에 구비함으로써, 냉각면(28)을 열교환기(2)의 상류측에 둘 수 있기 때문에, 난방시에도, 냉각면에 온도가 낮고 풍속이 높은 바람이 닿게 되어, 결로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8)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 도이고, 도 17은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4, 5, 7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도 17에 있어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를 분출구(4)의 상부벽에 구비하고, 방열핀(30)만을 열교환기(2)의 상류측에 배치하고, 냉각면(28)은 분출구(4) 내에 배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난방시에도, 방열핀(30)에 온도의 낮은 바람이 닿게 되어, 효율 좋게 방열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면(28)의 온도가 내려가고, 결로량을 많게 할 수 있는데다가, 물 클러스터가, 공기조화기의 분출풍에 실려 실내에 널리 확산시켜진다.
(실시형태9)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19는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20은 부착되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19(b)는 도 19(a)의 오른쪽 아랫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8, 19에 있어서, 흡입구(1)로부터 열교환기(2), 송풍기(3)를 통과하여 분출구(4)에 이르는 송풍회로가 있고, 분출구(4)의 출구부분의 옆에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를 고정한다.
도 20에 있어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에는 펠티에 소자(26)가 있고, 그 냉각면측(27)에 접해서 냉각면(28), 방열면측(29)에 접해서 방열핀(30)을 고정하고, 또한 방열핀에 접해서 냉각팬(32)을 설치한다. 또한, 냉각면상과, 그 상부에는 전극(31a,31b)을 설치하고, 이 양 전극간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는, 그 냉각면(28)측이, 방열핀(30)보다 분출구에 가깝게 되는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전극(31b)도, 직접, 배출 기류가 닿는, 분출구 하류부에는 놓여져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펠티에 소자(26)에 통전하면, 그 양면에 온도차가 생긴다. 이 경우, 냉각면측(27)에 접하는 냉각면(28)에서의 냉각량, 방열면측(29)에 접하는 방열핀(30)과 냉각팬(32)에 의한 방열량을 적절하게 설계하면, 냉각면(28), 및 그 위의 전극(31a)에 결로가 생긴다.
여기서, 전극(31a,31b)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방전이 일어나고, 직경이 약 18㎚ 정도인 미세한 물의 입자(클러스터)가 방출되고, 전극 근방을 흐르는 배출풍에 실려 실내에 널리 확산시킬 수 있다.
이 물 클러스터는 반응성이 높고, 냄새 성분에 작용해서 무취 성분으로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 효과는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1의 것과 동일하다.
또한, 냉각팬(32)에 대해서는, 도 18, 19과 같이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의 축방향과 직각으로 흐르도록 설치해도 좋고, 도 20과 같이 물 클러스터 발생장 치(25)의 축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치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냉각팬의 기류방향도 정역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
(실시형태10)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2는 분출구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또한, 도 22(b)는 도 22(a)의 오른쪽 아랫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9의 설명과 중복되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의 구성, 탈취 효과와 그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 22에 있어서,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는 송풍회로의 분출구(4)의 측벽의 외부에 배치하고, 그 측벽에는 개구(39)를 형성하고, 개구(39)와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의 냉각면(28)은 통풍로(34)에 의해 연락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난방시에도, 방열핀(30)에 온도의 낮은 바람이 닿게 되어, 효율 좋게 방열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면(28)의 온도가 내려가고, 결로량을 많게 할 수 있는데다가, 발생한 물 클러스터를, 통풍로(34), 개구(39)를 통해서, 공기조화기 분출구(4)에 도입하고, 분출풍에 실어 실내에 널리 확산시켜진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안전성이 높고, 실내의 벽이나 커튼 등에 부착되어 있는 냄새 성분까지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6)

  1. 열교환기(2)와, 송풍기(3)와, 흡입구(1)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송풍기를 통과하여 분출구(4)에 이르는 송풍회로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물을 방전에 의해 클러스터로 하여 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5, 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스터로 하는 상기 물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4) 내에 설치한 물탱크(8)로부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클러스터로 하는 상기 물은 상기 열교환기(2)에 결로된 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클러스터로 하는 상기 물은, 실외의 공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을 추출하는 물 생성수단으로 추출한 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발생장치에 냉각면(28)과 방열핀(30)을 구비한 방열면(29)을 갖는 펠티에 소자(26)를 구비하고, 클러스터로 하는 상기 물은 상기 냉각면(28)에 결로된 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에 소자(26)를 구비한 상기 클러스터 발생장치(25)는 상기 송풍회로의 분출구(4)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30)만을 상기 분출구(4) 내에 배치하고, 상기 냉각면(28)은 상기 분출구(4)의 밖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4)의 상기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위치의 하류측에 개구부(33)를 형성하고, 분출구(4) 내부의 음압에 의해서, 상기 냉각면(28), 상기 개구부(33)를 통과하여, 상기 분출구(4) 내에 이르는 송풍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 클러스터 장치(25)를 상기 분출구(4)의 측벽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 클러스터 장치(25)를 상기 분출구(4)의 하부벽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 클러스터 장치(25)를 상기 분출구(4)의 상부벽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5항에 있어서, 펠티에 소자(26)를 구비한 상기 클러스터 발생장치(25)를 상기 송풍회로의 분출구(4)의 상부벽에 구비하고, 상기 방열핀(30)만을 상기 열교환기(2)의 상류측에 배치하고, 상기 냉각면(28)은 상기 분출구(4)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 클러스터 발생장치(25)를 상기 분출구(4) 근방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냉각면(28)이 상기 방열핀(30)보다 분출구(4)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면(28)으로부터 상기 분출구(4)에 통하는 통풍로를 설치하고, 상기 방열핀(30)은 상기 통풍로에 면하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30)에 냉각팬(32)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물 클러스터 장치(25)를 상기 분출구(4)의 측벽 혹은 측벽 근방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0082051A 2004-09-13 2005-09-05 공기조화기 KR101183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5129 2004-09-13
JP2004265129A JP2006078135A (ja) 2004-09-13 2004-09-13 空気調和機
JP2004276850A JP4123211B2 (ja) 2004-09-24 2004-09-24 空気調和機
JPJP-P-2004-00276850 2004-09-24
JPJP-P-2004-00283873 2004-09-29
JP2004283873A JP2006097954A (ja) 2004-09-29 2004-09-29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012A true KR20060051012A (ko) 2006-05-19
KR101183514B1 KR101183514B1 (ko) 2012-09-20

Family

ID=3715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051A KR101183514B1 (ko) 2004-09-13 2005-09-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5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96B1 (ko) * 2007-01-31 2009-06-25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KR100972886B1 (ko) * 2007-02-07 2010-07-28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608A (ja) 2000-04-20 2001-10-31 Fujitsu General Ltd 空気清浄機付空気調和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96B1 (ko) * 2007-01-31 2009-06-25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KR100913637B1 (ko) * 2007-01-31 2009-08-24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KR100972886B1 (ko) * 2007-02-07 2010-07-28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514B1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3211B2 (ja) 空気調和機
JP4366406B2 (ja) 空気調和機
US20050072308A1 (en) Air cleaner
JP2006288453A (ja) 空気処理装置
JP2011226770A (ja) 空調システム
JP2003232560A (ja) 空気調和機
JP2009168431A (ja) 空気調和機
JP5058294B2 (ja) 空気調和機
JP2010091262A (ja) 空気調和機
KR101183514B1 (ko) 공기조화기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JP4171769B1 (ja) 空気調和機
JP4674616B2 (ja) 空気調和機
TW200933097A (en) Air conditioner
JP2007017150A (ja) 空気調和機
JP4626287B2 (ja) 空気調和機
JP4766076B2 (ja) 空気調和機
JP2009216312A (ja) 空気調和機
JP4674615B2 (ja) 空気調和機
JP2009168424A (ja) 空気調和機
KR20210021677A (ko) 실내공기 청정도 유지 장치 및 실내공기 청정도 유지 방법
KR102565932B1 (ko) 공기순환형 미스트 기화식 탈취장치
JP2006097954A (ja) 空気調和機
CN101660811B (zh) 空调机
JP2022126495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