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796B1 -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796B1
KR100970796B1 KR1020077020100A KR20077020100A KR100970796B1 KR 100970796 B1 KR100970796 B1 KR 100970796B1 KR 1020077020100 A KR1020077020100 A KR 1020077020100A KR 20077020100 A KR20077020100 A KR 20077020100A KR 100970796 B1 KR100970796 B1 KR 10097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owder
molybdenum
weight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690A (ko
Inventor
맷츠 라르손
Original Assignee
회가내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회가내스 아베 filed Critical 회가내스 아베
Publication of KR2007009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33/0207Using a mixture of prealloyed powders or a master allo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리브덴과 예비 합금화된 철의 코어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며, 상기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6~15 중량%, 바람작하게 8~12 중량%의 구리를 가지는 분말 A, 몰리브덴과 예비 합금화되는 철의 코어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며, 상기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4.5~8 중량%, 바람직하게 5~7 중량%의 니켈을 가지는 분말 B, 및 몰리브덴과 예비 합금화되는 철의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는 철계 분말 C를 포함하는 분말 야금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분말 A 및 B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몰리브덴 함량이 0.3~2 중량%이며, 구리 함량이 0.2~2 중량% 이며, 니켈 함량이 0.1~4 중량%인 철계 소결 성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소결 중에 미리결정된 강도 및 미리결정된 치수를 가지는 소결 성분을 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IRON-BASED POWDER COMBINATION FOR POWDER METALLURGY}
본 발명은 철계 분말 야금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부터 소결 분말 야금학적 성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구리, 니켈 및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소결 성분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분말 야금학 분야에서, 구리, 니켈 및 몰리브덴은 합금화 원소로서 고강도 소결 성분의 제조에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다.
소결된 철계 성분은 합금화 원소와 순수 철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소결 성분의 기계적 특성 및 크기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는 먼지 및 편석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편석을 방지하기 위해서, 합금화 원소는 철 분말과 예비 합금화되거나 확산 합금화될 수 있다. 한 방법에서, 몰리브덴은 몰리브덴, 니켈 및 구리를 포함하는 철계 분말 조성물로부터 소결 성분의 제조를 위해서, 철 분말과 예비 합금화되며, 이러한 예비 합금화된 철 분말은 후속적으로, 구리 및 니켈과 확산 합금화된다.
그러나, 몰리브덴이 예비 합금화되고 구리 및 니켈이 확산 합금화된 분말로부터 소결 철계 성분을 제조할 때, 소결된 철계 성분에서의 합금화 원소의 함량은 이용된 확산 합금화된 분말 내의 합금화 원소의 함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것이다. 소결 성분내의 상이한 합금화 원소에 영향을 주어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상이한 함량의 합금화 원소를 가지는 철계 분말이 이용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몰리브덴, 구리 및 니켈로부터의 합금화 원소를 가지는 소결된 철계 성분의 각각의 바람직한 화학 조성을 위한 특정 분말을 제조할 필요성이 없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리결정된 값으로 인장 강도 및 치수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하기도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치수 변화는 탄소 함량 및 밀도와 독립적이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은 세 개의 다른 철계 분말로 구성되는 분말 야금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1 철계 분말은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되고 부가적으로 구리로 확산 합금화되는 철의 코어 입자로 구성되며, 제 2 철계 분말은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되고 니켈로 확산 합금화되는 철의 코어 입자로 구성된다. 제 3 철계분말은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의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확산 합금화된 철계 분말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미리결정된 양으로 이러한 세 개의 철계 분말을 조합하는 단계, 그 조합물을 흑연과 혼합하는 단계, 그 혼합물을 압축하여 얻어진 그린 바디(green body)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소결 중에 미리결정된 강도 및 미리결정된 치수 변화를 가지는 소결 성분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미리결정된 강도 및 치수 변화를 위한 분말 야금학 조성물 내의 구리 및 니켈 함량을 결정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후의 설명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단위, "%"는 "중량(weight) %"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철계 분말 야금학 조성물은:
-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의 코어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는 철계 분말 A로서, 여기서 상기 철계 분말 A의 6~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의 구리가 상기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 되는 철계 분말 A.
-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의 코어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는 철계 분말 B로서, 여기서 상기 철계 분말 B의 4.5~8 중량%, 바람직하게 5~7 중량%의 니켈이 상기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철계 분말 B.
-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의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는 철계 분말 C를 포함한다.
철계 분말 A, B 및 C의 입자 내에 예비 합금화된 몰리브덴의 양은 각각 0.3~2 중량%, 바람직하게 0.5 내지 1.5 중량% 이다. 일 실시예에서, 세 개의 분말모두에서 입자는 동일한 양의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다. 2 중량% 이상의 양의 Mo는 비용 증가에 상응하는 강도의 증가를 제공하지 않는다. 0.3 중량% 이하의 양의 Mo은 강도의 충분한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구리 및 니켈의 양은 구리 15 중량% 및 니켈 12 중량%가 상한치로 제한된다.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구리 및 니켈의 하한치는 본 발명의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결 성분에서의 필요한 양보다 실질적으로 높아야 한다. 따라서, 실질적인 이유로, 철계 분말은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되는 코어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고 상기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6% 이상의 구리를 포함하며, 철계 분말은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되는 코어 입자를 가지고 상기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4.5% 이상의 니켈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분말 A, B 및 C는 각각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되는 철의 입자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지만, 불가피한 불순물을 제외한 다른 원소가 철의 입자에 예비 합금화될 수 있다. 이러한 원소는 니켈, 구리, 크롬 및 망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성물로부터 소결 성분을 제조하기 위해서, 분말 A, B 및 C 각각의 양이 결정되며 미리결정된 강도를 위해서 필요한 양으로 흑연과 혼합된다. 달성된 혼합물은 압축 및 소결 전에 다른 첨가제들과 혼합될 수 있다. 분말 조성물에 혼합되는 흑연의 양은 최대 1%까지이며, 바람직하게 0.3~0.7%이다.
다른 첨가제들은 윤활제, 결합제, 다른 합금화 원소, 경질상 재료, 가공성 강화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분말 야금학 조성물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분말 C에는 Cu 및 Ni가 본질적으로 없다.
분말 A, B 및 C 사이의 관계는 소결 성분에 대한, 구리 함량이 0.2~2 중량%, 니켈 함량이 0.1~4 중량%, 몰리브덴 함량이 0.3~2 중량%, 바람직하게는 0.5~1.5 중량%가 되도록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리 함량은 0.2~2%, 바람직하게, 0.4~0.8%이며, 니켈 함량은 0.1~4%이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소결 중의 치수 변화가 탄소 함량 및 소 결 밀도와 독립적임이 예상외로 발견되었다.
미리결정된 치수 변화율 및 강도를 갖는 소결 성분을 제조하기 위해서, 소결 성분 내에서의 구리, 니켈 및 탄소의 양은 각각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의 다이어그램에 의해서 결정된다. 분말 A, B 및 C의 필요한 양은 각각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분말은 흑연과 혼합되어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탄소 함량을 달성한다. 분말 조성물이 400~1000 MPa의 압축 압력으로 압축되며, 달성된 그린 바디는 보호 분위기에서 10~60분 동안 1100~1300℃에서 소결된다. 소결된 바디는 열 처리, 표면 고밀도화, 기계가공 등과 같은 추가의 후 처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시 다이어그램은 600 MPa의 압축 압력에서 효과적이며, 90%의 질소 및 10%의 수소의 분위기에서 30분 동안 1120℃에서 소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양한 양의 몰리브덴, 구리 및 니켈을 포함하는 소결 성분이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세 개의 서로 다른 분말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실제 소결되는 성분을 위해 필요한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분말을 달성하도록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특정 이점을 요약하자면 소결 중의 치수 변화뿐만 아니라 소결 성분의 강도가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치수 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은 현존하는 프레싱 도구(pressing tools)의 이용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소결된 부품을 제조할 때, 탄소 함량 및 밀도의 어느 정도의 손실은 피할 수 없다. 밀도 및 탄소 함량에 무관한 치수 변화를 가지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소결 후 치수에서의 손실이 감소될 것이며, 따라서, 후속적인 기계가공 및 기계가공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비 제한 예에 의해 설명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약 600 MPa의 바람직한 강도 및 세 개의 레벨의 치수 변화(-0.1%, 0.0% 및 +0.1%)를 갖는 합금 조성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설명한다. 이는 각각 표 1에 따른 분말 조성에서의 두 개의 탄소 레벨, 0.5% C 및 0.3% C에 해당하는 것이며, 여기서 보다 낮은 탄소 함량은 보다 양호한 연성을 갖게 하며, 이는 표 2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성은 0.85%의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되는 철계 분말의 표면에 확산 합금화된 10%의 구리를 갖는 분말 A, 0,85%의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계 분말의 표면에 확산 합금화된 5%의 니켈을 갖는 분말 B 및 0.85%의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계 분말의 분말 C로부터 제조된다.
분말 조성은 윤활제 및 흑연으로서 0.8% 아미드 왁스와 혼합되어, 각각 0.3% 및 0.5 %의 소결된 탄소 함량을 산출한다. 달성된 혼합물은 ISO 2740에 따라서 인장 실험 표본으로 압축된다.
압축 압력은 600 MPa이며, 소결 조건은: 1120℃, 30분, 90% N2/10% H2이다. 표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합으로부터의 다른 기계식 특성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합이 도 3에 따른 미리결정된 치수 변화를 가짐을 명백히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63957056-pct00001
Figure 112007063957056-pct00002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합을 설명하고 있으며, 0.6% Cu, 2% Ni를 포함하며, 특정 실시예는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소 함량 및 소결 밀도와 독립적인 치수 변화를 가진다. 이러한 조합으로 달성된 결과는 (스웨덴에 소재하고 있는 회가내스 아베(Hoeganaes AB)로부터 입수가능한) 디스탈로이(Distaloy) AB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합과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분말을 이용하여 달성된 결과와 비교되지만,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계 분말은 표 3에서 "고정 조성(fixed composition)"으로서 표시되며, 표면에 합금화된 구리 및 니켈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합은 0.85%의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계 분말 표면에서 확산 확금화된 10%의 구리를 갖는 분말 A, 0,85%의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계 분말의 표면에 확산 합금화된 5%의 니켈을 갖는 분말 B 및 0.85%의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계 분말로 구성되는 분말 C로부터 제조된다.
표 3은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총 함량의 0.6% 구리, 2%의 니켈 및 0.83%의 몰리브덴을 가지는 분말 A, 분말 B 및 분말 C의 혼합물이, 철계 분말의 표면에서 예비 합금화된 0.83%의 몰리브덴, 철계 분말 표면에 확산 합금화된 0.6% 구리 및 2% 니켈을 가지는 철계 분말, 공지된 분말 및 디스탈로이 AB와 비교된다.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조합으로부터 제조된 소결된 샘플의 치수 변화는, 구리 및 니켈로 확산 합금화된 철계 분말 또는 공지된 분말 디스탈로이 AB와 비교할 경우 탄소 함량 및 밀도와 본질적으로 독립적이다.
분말 조합은 윤활제 및 흑연으로서 0.8% 아미드 왁스와 혼합되어 표 3에 따른 소결된 탄소 함량을 산출한다. 달성된 혼합물은 표 3에 따른 여러 압축 압력에서 ISO 2740에 따른 인장 실험 표본에 압축된다. 인장 실험 표본은 90% 질소 및 10% 수소의 분위기에서 30분 동안 1120℃에서 소결된다. 표 4에서 추가의 기계적 특성이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7063957056-pct00003
Figure 112007063957056-pct00004

Claims (14)

  1.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로서,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의 코어 입자를 포함하는 철계 분말 A로서, 상기 철계 분말 A의 6~15 중량%의 구리가 상기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철계 분말 A,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의 코어 입자를 포함하는 철계 분말 B로서, 상기 철계 분말 B의 4.5~8 중량%의 니켈이 상기 코어 입자에 확산 합금화되는 철계 분말 B, 및
    몰리브덴으로 예비 합금화된 철의 입자를 포함하는 철계 분말 C를 포함하며,
    미리 결정된 치수 변화율과 강도를 갖는 소결 성분을 제조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철계 분말 A, B 또는 C의 몰리브덴의 양은 0.3~2 중량%이며, 상기 철계 분말 조성물은 최대 1 중량%까지의 흑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철계 분말 A, B 및 C의 양은 상기 철계 분말 조성물 내의 구리, 니켈 및 탄소의 전체 양을 결정한 후에 결정되며,
    상기 조성물 내의 구리의 양이 0.2~2 중량%이며,
    상기 조성물 내의 니켈의 양이 0.1~4 중량%인,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A에서의 구리의 양이 8~12 중량%인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B에서의 니켈의 양이 5~7 중량%인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의 양이 각각의 분말 A, B 또는 C에서 동일한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구리의 양이 0.4~0.8 중량%인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제; 결합제; 니켈, 구리, 크롬 및 망간을 포함하는 합금화 원소; 경질 상 재료; 또는 가공성 강화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다른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C에는 구리 및 니켈이 없는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7020100A 2005-02-04 2006-01-20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KR100970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0261 2005-02-04
SE0500261-3 2005-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690A KR20070099690A (ko) 2007-10-09
KR100970796B1 true KR100970796B1 (ko) 2010-07-16

Family

ID=3677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100A KR100970796B1 (ko) 2005-02-04 2006-01-20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80089801A1 (ko)
EP (1) EP1844172B1 (ko)
JP (1) JP5108531B2 (ko)
KR (1) KR100970796B1 (ko)
CN (1) CN100532606C (ko)
BR (1) BRPI0607356A2 (ko)
CA (1) CA2595905A1 (ko)
MX (1) MX2007009531A (ko)
RU (1) RU2366537C2 (ko)
TW (1) TWI325896B (ko)
WO (1) WO2006083206A1 (ko)
ZA (1) ZA2007056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582A (ko) 2019-09-06 2021-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철계 예합금 분말, 철계 확산접합 분말 및 이를 이용하는 분말야금용 철계 합금 분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0445A2 (en) 2007-07-17 2009-01-22 Höganäs Ab (Publ) Iron-based powder combination
KR100992713B1 (ko) 2007-10-04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컬럼 잠금장치의 데드 록 장치
EP2379764B1 (en) * 2008-12-23 2016-08-03 Höganäs Ab (publ) A method of producing a diffusion alloyed iron or iron-based powder, a diffusion alloyed powder and a composition including this powder
CA2832433C (en) * 2011-04-06 2018-10-23 Hoeganaes Corporation Vanadium-containing powder metallurgical powders and methods of their use
CN105344992A (zh) * 2015-11-19 2016-02-24 苏州紫光伟业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冶金粉末组合物
DE102018209682A1 (de) * 2018-06-15 2019-12-19 Mahle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ulvermetallurgischen Erzeugnisses
CA3117043A1 (en) 2018-10-26 2020-04-30 Oerlikon Metco (Us) Inc. Corrosion and wear resistant nickel based alloys
RU2701232C1 (ru) * 2018-12-12 2019-09-25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еверсталь"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егированной порошковой смеси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рошк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деталей ответств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KR20210104418A (ko) * 2020-02-17 2021-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오일 펌프용 아우터링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024483B (zh) * 2022-12-30 2023-09-15 江苏群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低合金高强度的Cr-Mo钢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5608A (ko) 1970-03-18 1973-02-07
US4069044A (en) 1976-08-06 1978-01-17 Stanislaw Mocarski Method of producing a forged article from prealloyed-premixed water atomized ferrous alloy powder
WO2004038054A1 (en) 2002-10-23 2004-05-06 Höganäs Ab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mensional change when sintering an iron-based power mixtur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4406A (en) * 1978-02-06 1979-08-16 Toyo Kohan Co Ltd Production of high temperature abrasion resistant sintered alloy steel
JPS5594401A (en) * 1979-01-09 1980-07-17 Daido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powder
JPS59215401A (ja) * 1983-05-19 1984-12-05 Kawasaki Steel Corp 粉末冶金用合金鋼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30401A (ja) * 1984-11-28 1986-06-18 Kawasaki Steel Corp 粉末冶金用合金鋼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83444A (ja) * 1985-02-08 1986-08-16 Toyota Motor Corp 高強度焼結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253342A (ja) * 1985-04-30 1986-11-11 Fuji Electric Co Ltd 焼結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H0745683B2 (ja) * 1987-09-30 1995-05-17 川崎製鉄株式会社 圧縮性および均質性に優れる複合鋼粉
JPH01165702A (ja) * 1987-12-23 1989-06-29 Kawasaki Steel Corp 高密度および高強度の合金鋼焼結体の製造方法
JPH01312056A (ja) * 1988-06-09 1989-12-15 Kawasaki Steel Corp 高密度高強度合金鋼焼結体の製造方法
DE3942091C1 (ko) 1989-12-20 1991-08-14 Etablissement Supervis, Vaduz, Li
JPH04297502A (ja) * 1991-03-25 1992-10-21 Kawasaki Steel Corp Ni含有鉄系焼結材料の製造方法
SE9101819D0 (sv) * 1991-06-12 1991-06-12 Hoeganaes Ab Jaernbaserad pulverkomposition som efter sintring uppvisar god formstabilitet
JPH0681001A (ja) * 1992-09-02 1994-03-22 Kawasaki Steel Corp 合金鋼粉
JP3351844B2 (ja) * 1993-03-01 2002-12-03 川崎製鉄株式会社 鉄系焼結材料用の合金鋼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33402A (ja) * 1993-12-28 1995-09-05 Kawasaki Steel Corp 切削性、耐摩耗性に優れたアトマイズ鋼粉およびその焼結鋼
JP3446322B2 (ja) * 1994-08-03 2003-09-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粉末冶金用合金鋼粉
JP3475545B2 (ja) * 1995-02-08 2003-12-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粉末冶金用混合鋼粉及びそれを含む焼結用材料
FR2784691B1 (fr) * 1998-10-16 2000-12-29 Eurotungstene Poudres Poudre metallique prealliee micronique a base de metaux de transition 3d
SE0201824D0 (sv) * 2002-06-14 2002-06-14 Hoeganaes Ab Pre-alloyed iron based powder
JP2004292861A (ja) * 2003-03-26 2004-10-21 Jfe Steel Kk 粉末冶金用鉄基混合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5608A (ko) 1970-03-18 1973-02-07
US4069044A (en) 1976-08-06 1978-01-17 Stanislaw Mocarski Method of producing a forged article from prealloyed-premixed water atomized ferrous alloy powder
WO2004038054A1 (en) 2002-10-23 2004-05-06 Höganäs Ab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mensional change when sintering an iron-based power mix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582A (ko) 2019-09-06 2021-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철계 예합금 분말, 철계 확산접합 분말 및 이를 이용하는 분말야금용 철계 합금 분말
US11542579B2 (en) 2019-09-06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Iron-based prealloy powder, iron-based diffusion-bonded powder, and iron-based alloy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4172A4 (en) 2010-07-21
ZA200705662B (en) 2009-01-28
TW200632111A (en) 2006-09-16
US20080089801A1 (en) 2008-04-17
TWI325896B (en) 2010-06-11
CN100532606C (zh) 2009-08-26
KR20070099690A (ko) 2007-10-09
JP5108531B2 (ja) 2012-12-26
EP1844172A1 (en) 2007-10-17
CA2595905A1 (en) 2006-08-10
RU2007133101A (ru) 2009-03-10
EP1844172B1 (en) 2019-07-03
MX2007009531A (es) 2008-02-12
WO2006083206A1 (en) 2006-08-10
CN101111617A (zh) 2008-01-23
RU2366537C2 (ru) 2009-09-10
JP2008528811A (ja) 2008-07-31
BRPI0607356A2 (pt)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796B1 (ko) 분말 야금용 철계 분말 조성물
US20190177820A1 (en) Method of producing a diffusion alloyed iron or iron-based powder, a diffusion alloyed powder, a composition including the diffusion alloyed powder, and a compacted and sintered part produced from the composition
JP2741199B2 (ja) 高密度焼結鉄合金
JP5453251B2 (ja) 鉄系粉末及びその組成物
KR101567840B1 (ko) 분말, 부품 제조 방법 및 부품
JP5613049B2 (ja) 鉄基複合粉末
US8287615B2 (en) High-strength composition iron powder and sintered part made therefrom
JPH04231404A (ja) 最適化2回プレス−2回焼結粉末冶金方法
JP7395635B2 (ja) 鉄基粉末
KR20040047891A (ko) 분말 야금학용 윤활제 분말
EP0200691B1 (en) Iron-based powder mixture for a sintered alloy
RU2327546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изменений размеров при спекании порошковой смеси на основе железа
JP4121383B2 (ja) 寸法精度、強度および摺動特性に優れた鉄基燒結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495697A1 (en) Method of preparing iron-based components by compaction with elevated pressures
EP0157750B1 (en) Material for the powder metallurgical manufacture of soft magnetic components
JP2009001882A (ja) 粉末冶金用混合粉末および鉄粉焼結体
JP2003328011A (ja) 寸法精度、強度および摺動性に優れた鉄基焼結合金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