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237B1 - 시트 반송 장치 및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반송 장치 및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237B1
KR100969237B1 KR1020070013551A KR20070013551A KR100969237B1 KR 100969237 B1 KR100969237 B1 KR 100969237B1 KR 1020070013551 A KR1020070013551 A KR 1020070013551A KR 20070013551 A KR20070013551 A KR 20070013551A KR 100969237 B1 KR100969237 B1 KR 10096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ssette
reference member
conveying
record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110A (ko
Inventor
히데키 카와시마
히토시 니시타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27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printing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2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changing orientation of sheet by only controlling movement of the forwarding means, i.e. without the use of stop or regist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1Skewing, correcting skew, i.e. changing slightly orienta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시트 반송 장치는, 상기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준면을 갖는 기준 부재와, 상기 시트의 측단을 상기 기준면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준면을 향해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준 부재가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시트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세트의 장착에 응답해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시트반송장치, 카세트, 화상기록장치

Description

시트 반송 장치 및 기록 장치{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를 이용하는데 매우 적합한 기록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기록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세트를 도 1의 화살표 V1의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 단면도이고, (a)는 (폭이 작은) 제1 폭을 갖는 기록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를 나타내며, (b)는 (폭이 큰) 제2 폭을 갖는 기록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를 나타낸다.
도 4는 기록 장치에 장착된 카세트로부터 기록 시트를 선정해 반송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의 개략 평면도다.
도 6은 도 5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a)는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제1 폭의 기록 시트를 수납한 카세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있어서 제1 폭의 기록 시트의 경사를 보정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다.
도 8은 도 5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a)는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제2 폭의 기록 시트를 수납한 카세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있어서 제2 폭의 기록 시트의 경사를 보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다.
도 11은 도 1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있어서 제1 폭의 기록 시트의 경사를 보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다.
도 13은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다.
도 14는 제2 실시 예의 장치에 있어서 제1 폭의 기록 시트의 경사를 보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예의 장치에 있어서 제1 폭의 기록 시트의 경사를 보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예의 장치에 있어서 제1 폭의 기록 시트의 경사를 보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있어서 (큰) 제2 폭의 기록 시트의 경사를 보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기록 시트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로서, (a)는 기록 시트를 회전시킬 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b)는 기록 시트를 평행 이동시킬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종래의 경사 보정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1은 폭이 다른 기록 시트의 경사를 보정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2는 중앙선 정렬로 경사 보정이 가능한 종래의 경사 보정 기구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 및 상기 시트 반송 장치를 이용하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기능을 갖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 헤드에 의해 화상 정보에 근거해 기록 시트에 화상(문자나 기호 등을 포함한다)을 기록한다. 기록 재료(기록 시트)로서는, 용지, 직물, 플라스틱 수지 재료 시트, OHP용 시트 등이 있다. 이러한 기록 장치의 기록 방식에는 시리얼 타입과 라인 타입 중 어느 하나가 있다. 시리얼 타입에 있어서는, 기록 헤드를 기록 재료를 따라 이동시 키는 주주사 동작과 기록 재료를 반송하는 부주사 동작을 교대로 반복한다. 한편, 라인 타입에 있어서는, 기록 재료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기록 헤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괄해 1라인에서 기록을 수행하면서 기록 재료를 반송해서, 주사 동작을 한 방향으로만 수행한다.
상기 기록 장치에는, 카세트 등으로부터 기록 시트를 1매씩 선정해서 이 기록 시트를 화상 형성부에 반송하기 위한 시트 반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시트 반송 정밀도가 불충분하다는 등의 원인에 의해, 기록 시트가 비스듬하게 반송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사 반송은, 시트 잼(jamming) 및/또는 기록 화질의 저하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반송 동작을 교정하기 위한 경사 보정 기구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Hei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Hei에 개시되어 있다. 도 20은 종래의 경사 보정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502는 기록 시트를 화살표 T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이다. 503은 반송 롤러(502)에 대향하는 한편 반송 방향 T에 대해서 경사져 배치된 경사 롤러이다.
기록 시트(504)는, 경사 롤러(503)와 반송 롤러(502) 사이에 삽입되어, 반송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반송된다. 501은 반송면의 측부에 설치된 기준 부재이다. 기준 부재(501)에는, 반송 방향 T와 평행하고, 또 반송면에 수직인 기준면(50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준면은, 기록 시트(504)를 반송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기록 시트를 반송 방향 T로 반송하는 가이드로서 기능을 하는데 효과적이다. 기준 부재(501)는, 기록 시트의 측단이 기준면(501a)에 확실히 접촉하도록 벽부재 또는 돌출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0을 참조하여, 기준 부재(501)를 이용한 기록 시트 반송의 경사 보정에 대해 설명한다. 기록 시트(504)가 비스듬하게 반송된 경우, 이 기록 시트의 선단이, 경사 롤러(503)에 의해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록 시트의 측단이 기준면(501a)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기록 시트의 이동은, 그 측단이 기준면과 접촉한 상태로 기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보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록 시트(504)의 경사가 보정되고, 기록 시트(504)가 반송면 상에 있어서의 기록 시트의 반송 방향 T와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기록 시트는 기준면과 접촉(contact 또는 abut)하기 때문에, 이 기준면(501a)은, "접촉면(contact or abutment surface)"이라고도 칭한다. 이러한 경사 보정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사 보정 기구에서는, 폭이 다른 기록 시트를 반송하는 경우, 모든 기록 시트의 한편의 측단을 1개의 기준선과 정렬시킬 수 있지만, 각 기록 시트의 중앙의 위치를 기준선과 정렬시킨 상태로 시트를 반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21은 이러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1에 있어서, 기록 시트(6)의 경사 반송은, 기준 부재(601)와 접촉함으로써 보정된다. 도 21의 경사 보정 기구에서는, 고정된 기준 부재(601)가 반송 방향과 직각인 방향에 대하여 시트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기록 시트의 경사 보정은, 이러한 시트의 폭에 관계없이 접촉면(601a)에 근거를 둔다.
이 때문에, 최대폭보다 작은 폭의 기록 시트는, 최대폭의 기록 시트와 비교 해 기준 부재(601)쪽으로 비스듬하게 시프트(오프-셋)된다.
여기서, 반송의 중앙선 정렬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 반송 장치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반송면 상에 설치되는 롤러 등의 부품은, 반송면의 중앙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기록 시트를 측단 정렬에 따라 반송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폭에 의존해서 니프(nip)의 위치 또는 폭이 변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폭 방향에 대한 반송력 분포가 비대칭이 되어, 언밸런스한 반송력 분포가 생기게 된다.
반송면의 중앙선과 기록 시트의 중앙선이 서로 정렬되어 있으면, 반송력 분포가 좌우 대칭이 되어, 반송력 분포가 균일해져, 시트를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2는 중앙선 정렬로 경사 보정이 가능한 종래 예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중앙선 정렬로 경사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2개의 기준 부재 701, 70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기준면 701a, 702a을 가진 기준부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폭이 큰 기록 시트 7a와 폭이 작은 기록 시트 7b에 대하여 경사 보정이 가능하다. 기록 시트의 측단을 대응하는 하나의 기준면에 접촉시킨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으로, 기준 부재 701에 의해 큰 폭의 기록 시트에 대하여 경사 보정을 수행할 때, 작은 폭의 기록 시트를 위한 기준 부재 702가 기록 시트를 간섭한다.
2개의 기준 부재를 사용하고, 이 기준 부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한 경사 보정 기구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4-72252호 및 특개평 4- 23584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종래의 경사 보정 기구는, 기준 부재를, 기록 시트가 접촉 가능한 접촉 위치로부터 기록 시트가 접촉 불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시트 반송 장치의 조립이 어려워져, 반송 성능의 신뢰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시트 폭에 대한 중앙선 정렬 및 경사 보정을 하면서 시트를 반송할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성이 좋은 경사 보정 기구를 갖는 시트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시트 반송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시트 반송 장치는, 상기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준면을 갖는 기준 부재와, 상기 시트의 측단을 상기 기준면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준면을 향해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준 부재가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시트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세트의 장착에 응답해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시트 반송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시트 반송 장치는, 상기 카세트로부 터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준면을 갖는 기준 부재와, 상기 시트의 측단이 상기 기준면에 접촉하도록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카세트의 장착에 응답해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시트 폭에 대한 중앙선 정렬 및 경사 보정을 하면서 시트를 반송할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성이 좋은 경사 보정 기구를 갖는 시트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특징 및 이점과 그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 즉 시트 이송(conveying) 장치를 이용하는데 매우 적합한 기록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은, 써멀 헤드(thermal head)를 사용해 잉크 리본 상의 잉크를 기록 매체의 시트에 전사해 화상을 기록하는 열 전사형의 기록 장치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록 시트(1)를 수납한 카세트(2)는 기록 장치(100)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카세트(2)의 아래쪽의 공간에는, 잉크 리본(113)이 감겨 있지 않은 잉크 리본 챔버(101)와, 잉크 리본(113)이 감겨 있는 잉크 리본 챔버(102)가 위치되어 있다. 리본 권선 축(115)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잉크 리본 챔버(101) 내의 리본 축(114) 상의 리본(113)이 잉크 리본 챔버(101)로부터 감겨 있지 않고, 잉크 리본 챔버(102) 내의 축(115)에 감겨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형성 동작은 다음과 같다: 기록매체의 1매의 시트는 시트 반송 수단으로서의 시트 반송 롤러(120)가 설치된 U턴 시트 이송 경로(122)로 반송되는 한편, 카세트(2)에서 나머지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U턴 이송 경로(122)를 통해서 이송된다. 그 다음에, 기록 헤드(118;써멀 헤드)와 플래튼(platen) 롤러(119)의 사이에 있는 화상 형성부(123)로 기록 시트(1)가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150)는 기록 시트 이송 방향에서 보면 U턴 시트 이송 경로(122)와 화상 형성부(123) 사이에 있다. 1매의 기록 시트(1)가 화상 형성부(123)를 통해서 리본(113)과 함께 이송되고, 나머지는 기록 헤드(118)와 플래튼 롤러(119) 사이에 한 쌍의 이송 롤러(117)에 의해 삽입되어 있다. 상술한 상태에서, 기록 시트(1)와 잉크 리본(113)을 화상 형성부(123)를 통해서 이송하고, 잉크 리본에 도포된 잉크를 기록 시트(1)에, 기록 헤드(118)가 설치되어 있는 가열 부재에 의해 열적으로 전사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풀 컬러 기록용의 리본을 사용한다. 풀 컬러 기록용 리본은 리본의 세로방향에서 반복하는 다수의 섹션을 갖고, 각 섹션은, 예를 들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등, 색이 서로 다른 잉크가 도포된 다수의 서브 섹션을 갖는다. 이와 같이, 기록 시트(1)는 멀티컬러 또는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할 때, 화상이 형성되는 색의 수와 같은 수만큼 화상 형성부를 통해서 왕복해서 이송됨으로써, 색이 서로 다른 잉크가 기록 시트(1) 상의 층에 전사된다.
도 2는 1매 이상의 기록 시트(1)를 수납하는 카세트(2)의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카세트를 도 2의 화살표 마크 V1로 표시된 방향에서 본 정면 단면도이며, 도 3a는 기록시트 폭이 작은 제1 폭의 1매 이상의 기록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를 나타내며, 도 3b는 기록 시트 폭이 넓은 제2 폭의 1매 이상의 기록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를 나타낸다. 도 4는 기록 시트(1)가 기록장치(100)의 메인 어셈블리로 반송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기록 장치(100) 내의 카세트(2)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록 시트(1)가 카세트(2) 내에 적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폭의 관점에서 2종류의 기록 시트, 특히 폭이 다른 기록 시트 1a, 1b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 시트 1a, 또는 폭이 좁은 시트가 카세트 2a에 수납되고, 기록 시트 1b, 혹은 폭이 큰 시트가 카세트 2b에 수납되어 있다.
도 3에는, 폭이 다른 기록 시트를 수납한 카세트 2a, 2b가 나타나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록 시트(1)의 폭에 따라 2개의 카세트 2a, 2b의 형상이 다르다.
도 3a에 나타낸 제1 카세트(2a)는 기록 시트 1a 또는 제1 폭의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이다. 참조문자 201a, 202a는 기록 시트 1a의 측단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이다. 도 3b에 나타낸 제2 카세트(2b)는 기록 시트(1b) 또는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의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이다. 참조문자 201b, 202b는 기록 시트 1b의 측단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살표 마크 A로 표시된 방향에 있어서, 반송 롤러(120)에 의해, 기록 시트가 기록 장치(100) 내의 카세트(2)로부터 기록장치(100)의 메인 어 셈블리로 반송되고, 화상 형성부(123)로 이송된다. 기록 시트(1)는, 카세트(2)로부터 전달된 후에, U턴 이송 경로(122)를 따라 화살표 마크 B로 표시된 방향으로 U턴 된다. 그 다음, 이 기록 시트(1)는,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 화상 형성부(123)에 이송되고, 시트 이송 장치(150)는, 카세트(2)의 아래쪽의 영역에 위치된 시트 이송면(5; 도 5)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15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a는 카세트(2)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도 5의 D-D선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150)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기록 시트 1a를 수납한 카세트 2a, 혹은 작은 폭의 기록 시트를 수납한 카세트가 장착된 도 5의 D-D선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기록 시트 1a, 혹은 비스듬하게 이송되는 폭이 좁은 위치 결정된 기록 시트를 보정하는 처리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15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8a는 카세트(2)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도 5의 D-D선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150)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기록 시트 1b, 혹은 폭이 넓은 기록 시트를 수납한 카세트 2b가 장착된 도 5의 D-D선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150)의 단면도이다. 도 9는 기록 시트 1b, 혹은 비스듬하게 이송되는 큰 폭의 기록 시트를 보정하는 처리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15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트 이송면(5)의 중앙 영역에는 통상의 시트 이송 방향 T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시트 이송력을 발생하도록 경사 또는 기울어진 시트 이송 롤러(경사 또는 구배 롤러; 3)가 시트 이송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시트 이 송면(5)의 한편의 측면 영역에는, 기록 시트의 측단을 접촉시켜 기록 시트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기준면 4a을 갖는 위치 기준 부재(4)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부재(4)는, 기록 장치의 프레임(7)에, 통상의 시트 이송 방향 T와 직교한 방향(예를 들면, 화살표 마크 U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참조문자 4c는 기준 부재(4)를 화살표 마크 U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기준부재(4)를 안내하는 가이드이다. 참조문자 4b는 가이드(4c)에 끼워맞춰진 볼록부이다. 기준 부재(4)는, 용수철(4d)에 의해, 시트 이송면(5)의 폭 방향에서 보면, 시트 이송면(5)의 내측으로 압력을 받고, 스토퍼(stopper)에 의해 도 5~도 7에 나타낸 홈 위치(초기 위치)에 보유되어 있다.
다음에, 도 6~도 9를 참조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1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카세트(2)는, 기록 장치(100)에, 화살표 마크 F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삽입되고, 기록 장치(100) 내의 미리 설정된 동작 위치로 이동된다. 참조번호 205는 카세트(2)를 상술한 기록장치 내의 미리 설정된 동작 위치로 가이드하는 카세트 가이드이다. 시트 이송면(5)의 좌측 단부의 위쪽에 있는 영역에는, 기록장치 내에 카세트(2)가 장착될 때 카세트(2)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카세트 위치결정 부재(8)(이하, 간단히 위치결정 부재(8)라고 칭함)가 배치되어 있다. 우선, 기록 장치에 기록 시트 1a 또는 작은 폭의 기록 시트를 장착한 카세트 혹은 카세트 2a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트 이송 장치가 도 6a에 나타낸 상태에 있는 경우, 즉, 카세트 2a가 기록장치에 장착되기 전에, 기준 부재(4)는 홈 위치(초기 위치)에 보유되어 있다. 카세트 2a가 기록장치 내의 상술한 동작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카세트 2a의 카세트 위치결정면 203a가 위치결정 부재(8)의 카세트 위치결정면(8a)과 접촉하고, 접촉된 채로 있기 때문에, 카세트 2a는 정확하게 동작 위치에 위치되어 유지된다. 즉, 작은 폭의 기록 시트 1a를 수납한 카세트 또는 카세트 2a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부재(4)는, 카세트 2a에 의해 압력받지 않고, 기준 부재(4)는 그것의 홈 위치에 보유된 채로 있다. 따라서, 비스듬하게 이송되는 기록 시트 1a가 시트 이송 장치에 도달함에 따라, 기준 부재(4)가 그것의 홈 위치에 보유된 채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이송 장치에 의해 기록 시트를 바로잡는다(경사 반송의 보정).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작은 폭의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a가 비스듬히 이송되어 시트 이송 장치(150)에 도달하면, 이 기록 시트는, 시트 이송 롤러(3)에 의해, 도면의 통상의 시트 이송 방향 T으로부터 왼쪽으로 약간 벗어나서, 상술한 각도에서 위치결정되는 방향으로 반송되기 시작하고, 그 기록 시트 1a의 한편의 측단 이 기준 부재(4)의 기준면 4a과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 시트 1a는, 그것의 홈 위치에 있는 기준면 4a과 접촉한 상태로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이송된다. 그 결과, 시트 이송 장치(150)에 비스듬하게 도달한 기록 시트 1a는, 기준면 4a에 의해 보정될 뿐만 아니라, 기준면 4a에 의해, 기록 시트의 폭 방향에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b를 수납한 카세트 혹은 카세트 2b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 이송 장치가 도 8a에 나타낸 상태에 있는 경우, 즉 카세트 2b가 기록장치에 장착되기 전에, 기준 부재(4)는 홈 위치에 보유된 채로 있다. 카세트 2b가 화살표 마크 F의 방향으로부터 기록장치에 삽입되고, 이 기록장치 내의 동작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2b의 카세트 위치결정면 203b가 위치결정 부재(8)의 카세트 위치결정면(8a)과 접촉하고, 접촉한 상태가 됨으로써, 카세트 2b가 정확하게 동작 위치에 위치되어 유지된다. 즉, 제2 폭의 기록 시트를 수납한 카세트 혹은 카세트 2b가 장착되었을 경우, 기준 부재(4)의 기준면 4a가 카세트 2b의 기준 부재 누름면 204b(기준 부재 이동 수단)과 접촉하게 되고, 카세트 2b에 의해 도면의 좌측으로 눌러진다. 그 결과, 기준 부재(4)는, 압력 인가 용수철 4d에 대항해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되고, 본 실시 예에서는, 기준 부재(4)는 화살표 마크 G로 표시된 방향으로 그것의 홈 위치로부터, 기준 부재(4)의 홈 위치보다 시트 이송면(5)의 측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 X로 이동된다. 그리고, 비스듬히 이송되는 기록 시트 1b가, 시트 이송 장치(150)에 도달함에 따라, 기록 시트는 이송 롤러(3)에 의해, 도면의 통상의 시트 이송 방향 T로부터 왼쪽으로 약간 벗어나서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되기 시작하고, 이 기록 시트 1b의 한편의 측단이 위치 X에 있는 기준 부재(4)의 기준면 4a와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 시트 1b가 위치 X에 있는 기준면 4a와 접촉한 상태로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이송된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이송 장치(150)에 비스듬히 도달한 기록 시트 1b를 바로잡을 뿐만 아니라(경사 반송의 보정), 이 기록 시트를 기록 시트의 폭 방향에서 정확히 위치 결정한다.
전술한 폭이 서로 다른 기록 시트 1a 혹은 기록 시트 1b를 비스듬히 이송하 면, 그것의 홈 위치에 기준부재(4)가 있는 상태로 기준 부재(4)의 기준면 4a에 의해 작은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a가 보정되고, 카세트 2b에 의해 기준부재(4)가 이동되었던 위치 X에 있어서의 기준 부재(4)의 기준면 4a에 의해 큰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b도 보정된다. 또, 작은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a의 중앙의 경로가, 큰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b의 중앙의 경로와 일치하도록(폭 방향의 2종류의 시트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시트 이송 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장치는, 이송되는 기록 시트의 폭에 따라 기준 부재(4)가 이동하는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실현될 수가 있다. 이송되는 기록 시트의 폭에 대응한 거리만큼 기준 부재(4)가 이동하는 위치 X에 있는 기준 부재(4)에 의해, 비스듬히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보정할 뿐만 아니라, 폭에 관한 2종류의 기록 시트가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이송될 때, 기록 시트의 중앙의 경로가 다른 기록 시트의 중앙의 경로와 대략 정렬하도록 기록매체를 위치 결정한다. 덧붙여 말하면, 시트 이송 장치(150) 내의 기록 시트(1)의 자세 및 위치가 보정될 때, 기록 시트의 중앙이 기록 시트의 폭 방향에서의 시트 이송면(5)의 중앙선과 대략 정렬하도록 시트 이송 장치(150)를 구성한다.
특히,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있어서는, 기록 시트(1)가 시트 이송 장치(150)로 이송됨에 따라, 기록 시트(1)는, 기록 시트가 비스듬히 위치결정되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경사진 이송 롤러(3)에 의해 기준 부재(4)를 향해 일탈하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기록 시트(1)가 일탈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기록 시트의 한편의 측단이 기록 시트(1)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준 부재(4)의 기준면 4a와 접촉 하게 된다. 이송되어 오는 기록 시트(1)의 폭에 대응하는 카세트(2)의 형상 및 치수에 의해 기준 부재(4)가 보유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시트 이송 장치(150)에 비스듬히 도달했던 기록 시트(1)를 보정한 후에,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기록 시트(1)의 중앙의 경로가 기록 시트(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다른 기록 시트(1)의 중앙의 경로와 일치시키기 위해서 기록 시트(1)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에 기준 부재(4)가 이동 및 보유되도록 시트 이송 장치(150)를 구성한다. 즉, 카세트(2)가 기록 장치에 장착됨에 따라, 기준 부재(4)가 카세트(2)에 의해 이동된다. 따라서, 기록 시트(1)가 비스듬히 반송되어도, 기록 시트(1)를 바로잡을 뿐만 아니라, 기록 시트(1)의 폭에 관계없이,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기록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기록 시트의 중앙의 경로가 다른 기록 시트(1)의 중앙의 경로와 일치하도록 기록시트(1)를 위치 결정한다.
도 9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중 하나는, 기록 시트의 자세의 보정 전의 기록 시트 1b의 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기록 시트의 자세의 보정 후의 기록 시트 1b의 위치이다. 도 9에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 중 하나는, 기록 시트의 자세의 보정 전의 기록 시트 1a의 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기록 시트의 자세의 보정 후의 기록 시트 1a의 위치이다. 실신으로 표시된 위치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와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150)는, 2종류의 기록 시트의 측단을, 기준면에 대하여 정렬시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기록 시트의 중앙의 경로가 일치하도록 기록 시트의 측단을 정렬시킨다. 즉,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150)는, 구성이 간단하고, 비스듬히 반송되어 오는 기록 시트(1)의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록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 기록 시트의 중앙선의 경로가 일치하도록 모든 기록 시트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기록 시트(1)를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이송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150)는, 종래기술에 따라 시트 이송 장치보다 조립하는 것이 더 쉽고, 비스듬히 이송된 기록 시트를 바로잡기 위한 기구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이송 장치보다 신뢰성이 더 높다.
덧붙여, 본 실시 예에 있어서, 기준 부재(4)는, 전기 모터, 전기 플렁거(plunger) 등의 전기 구동원을 이용해 이동된다. 기록 시트(1)의 폭은, 전기 소자(센서)를 이용해 카세트(2)의 종류를 식별함으로써 결정된다.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기록 시트(1)를 이송함에 따라, 기록 시트가 경사져 있는 경우 기록 시트의 자세를 바로잡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2개의 위치 중 하나에 기준 부재(4)를 둠으로써 기록 시트의 폭 방향으로 기록 시트를 정확히 위치 결정하도록 시트 이송 장치(150)를 구성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150)는, 기준 부재(4)를 3개 이상의 위치로 이동시켜, 이 장치에 의해, 기록 시트의 폭 방향으로 3종류 이상(폭의 관점에서)의 기록 시트를 정확히 위치 결정하고, 기록 시트의 자세를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이 변경될 수 있는 점에 특히 유념한다. 특히, 수납되는 기록 시트의 폭에 사이즈 및 형상이 대응하는 복수의 카세트를 준비하고, 그 중에서 선택되는 카세트의 누름면에 의해, 기록 시트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로 기준 부재(4)를 이동시킨다. 즉, 이러한 3종류(폭의 관점에서) 이상의 기록 시트를 바로잡을 수 있는 시트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시트 이송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D선에 따른, 도 10에 나타낸 시트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작은 폭의 경사 기록 시트를 바로잡은 시트 이송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낸 상태에 있는 시트 이송 장치의,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시트 이송 장치에 비스듬히 도달한 제1 폭(작은 폭)의 기록 시트를 어떻게 보정하는가를 나타내는, 시트 이송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D-D선에 따른, 도 12에 나타낸 시트 이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시트 이송 장치에 비스듬히 도달한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의 기록 시트를 어떻게 보정하는가를 나타내는, 시트 이송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9는, 시트 이송 장치에 도달한 기록 시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반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19a는 회전하고 있는 기록 시트를 나타내고, 도 19b는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기록 시트를 나타낸다. 이하에,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2개의 기준 부재 401 및 402를 이용하는 시트 이송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도 18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는, 기록 시트의 폭에 관계없이 경사진 기록 시트를 양 시트 이송 장치가 바로잡는다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와 같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있어서도, 기록 시트의 폭의 견지에서 2종류의 기록 시트를 수납하는 2종류의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시트 이송 장치를 구성한다. 제2 실시 예는, 제2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트 이송 장치에 복수(2개)의 기준 부재 401 및 402, 한편의 기준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슬라이더(403), 및 기록 시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과,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이송 롤러(3)와 달리, 제2 실시 예에 있어서의 이송 롤러(3)가, 경사져 있지 않고, 기록 시트가 이송될 때, 기록 시트의 측단이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있도록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결정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 예와 다르다.
도 10~도 18을 참조하면, 시트 이송면(5)의 측단 부근에 기준 부재 401 및 402가 배치되어 있다. 기준 부재 401(제1 기준 부재)의 내측에는, 기록 시트 1a를 비스듬히 위치 결정한 후에 기록 시트 1a의 한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기록 시트 1a 또는 제1 폭을 갖는 기록 시트를 바로잡으면서, 기록 시트 1a 또는 제1 폭을 갖는 기록 시트를 정확히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 401a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기준 부재 또는 기준 부재 402(제2 기준 부재)의 내측에는, 기록 시트 1a를 비스듬히 위치 결정한 후에 기록 시트 1b(경사 기록 시트 1b를 포함)의 한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의 기록 시트를 바로잡으면서, 기록 시트 1b 또는 제2 폭의 기록 시트를 정확히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 4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준 부재 401 및 402는, 한 쌍의 압축 용수철 401c 및 402c에 의해 생성된 압력 하에, 그들의 하부 위치(기준 부재 401 및 402가 시트 이 송면(5)과 접촉하는 위치)에 기준 부재 401 및 402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유지된다. 기록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시트 이송 롤러(3)는, 시트 이송면(5)과 접촉해 배치되고, 2개의 기준면 사이의 거의 중앙의 위치에 배치된다. 기록 시트가 시트 이송 롤러(3)에 의해 이송되고, 기록 시트의 측단이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있도록 시트 반송 롤러(3)가, 기록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시트 이송면(5)의 측단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시트 이송 장치에는, 2쌍(6)의 기록 시트 회전 롤러로 이루어진 기록 시트 회전 수단(자세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록 시트 회전 수단은, 기록 시트 이송 방향에서, 시트 이송면(5) 상의 기준 부재 401 및 402의 상류측에 있다.
작은 폭의 기록 시트용의 기준 부재(401)에는, 기준면 401a와 같이 내측을 향하고, 기준면 401a의 기능을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경사면 401b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경사면 401b의 내측 근방에는, 기준 부재(401)를 용수철 401c의 탄성에 의해 생성된 힘에 대하여 들어올리기 위한 상술한 슬라이더(403;이동 수단)가 위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403)는, 탄성력 4B(용수철력)에 의해 경사면 401b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 슬라이더(403)는, 후에 설명되는 것처럼, 큰 폭의 기록 시트 또는 기록시트 1b를 수납한 카세트 404b가 장착되었을 때, 이 카세트 404b에 의해 탄성력 4B에 대항해서 경사면 401b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403)가 이와 같이 위치 변동됨에 따라, 기준 부재(401)는, 용수철 401c에 의해 생성된 힘 4A에 대항해서 그것의 퇴피 위치(도 15)로 들어 올려진다. 한편, 카세트 404b를 꺼내면, 슬라이더(403) 및 기준 부재(401)가 용수철 401c에 의해 각각 발생된 힘 4B 및 힘 4A에 의해, 도 11에 나타낸 홈 위치(초기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작은 폭의 기록 시트를 수납한 카세트 404a가 장착될 때는, 슬라이더(403) 및 기준 부재(401)는 그들의 홈 위치(초기 위치)에 남아 있다.
이때, 2쌍(6)의 기록 시트 회전 롤러로 이루어진 기록 시트 회전 수단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9를 참조해 설명한다. 기록 시트 이송 방향과 직각을 이룬 방향으로, 2쌍(6)의 기록 시트 사이에 미리 설정된 거리를 두고, 2쌍의 기록 시트 회전 롤러(6)가 정렬된다. 기록 시트 회전 롤러의 쌍(6)의 각각(도 10의 롤러 6, 6의 쌍에 대응)은 구동 롤러 6a와 아래의 롤러 6b로 이루어져 있다. 기록 시트는 2쌍(6)의 기록 시트 회전 롤러 6a 및 6b 사이의 양 니프(nip)를 통해서 이송된다. 도 19a를 참조하면, 2쌍(6)의 기록 시트 회전 롤러 중 하나의 구동 롤러 6a를, 2개의 화살표 마크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다른 쌍(6)의 구동 롤러 6a를 회전시키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록 시트는 기록 시트와 시트 회전 롤러의 쌍(6) 중 하나와의 사이의 마찰과, 기록 시트와 다른 쌍(6)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토크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이 토크에 의해 기록 시트를 기록 시트의 면과 수직한 축에 대해서 화살표 마크 6c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 2개의 구동 롤러 6a 및 6a를 2개의 화살표 마크로 표시된 상술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록 시트를 화살표 마크 6c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다른 한편,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구동 롤러 6a, 6a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기록 시트에 대하여 기록 시트 회전 롤러의 2 쌍(6)에 의해 생성되는 2개의 평행한 힘이 작용한다. 그것에 의해, 기록 시트는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와 평행한, 화살표 마크 6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송된다.
다음에, 도 10~도 19를 참조해, 이송되어 오는 기록 시트(1)의 폭과 시트 이송 장치(150)의 동작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에 각각 대응하고, 기록 장치(100)에, 제1 폭(작은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a를 수납한 카세트 404a를 장착한 후의 시트 이송 장치(150)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0 및 도 11에 대응하고, 기록 장치(100)에,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b를 수납한 카세트 404b를 장착한 후의 시트 이송 장치(150)의 상태를 나타낸다.
각 기준 부재 401 및 402의 기준면 401a 및 402a는,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과 평행하고, 시트 이송면(5)과 수직이다. 제1 폭의 경사 기록 시트 혹은 경사 기록 시트 1a는, 그것의 한편의 측단(도면에서 좌측단)을 기준면 401a과 접촉시킨 상태로, 시트 이송 장치를 통해서 반송되면서 보정된다. 다른 한편, 제2 폭의 경사 기록 시트 혹은 경사 기록 시트 1b는, 그것의 한편의 측단(도면에서 우측단) 를 기준면 402a과 접촉시킨 상태로, 시트 반송 장치를 통해서 반송되면서 보정된다. 이러한 기준면 401a 및 402a는, 작은 폭의 경사 기록 시트 및 큰 폭의 경사 기록 시트를 보정한 경우에, 기록시트들의 폭 방향의 중심들이 일치하도록(기록 시트들의 폭 방향에 있어서 시트 이송면(5)에 대하여 중심에 놓이도록) 위치결정된다.
도 12 및 도 13은, 제1 폭(작은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a를 수납 한 카세트 혹은 카세트 404a를 기록 장치(100)의 본체에 장착한 후의 시트 이송 장치(150)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파선 101a 및 102a로 나타낸 2개의 영역은, 잉크 리본이 감겨 있지 않은 잉크 리본 챔버와, 잉크 리본이 감겨 있는 잉크 리본 챔버가 카세트 404a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는 곳이다. 잉크 리본이 감겨 있지 않은 잉크 리본 챔버(101a)에는, 잉크 리본 챔버(101a)와 슬라이더(403) 간의 간섭(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리세스(recess) 10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작은 폭의 기록 시트용의 카세트 404a는, 기록장치(100)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슬라이더(403)에 접촉하지 않고, 이 슬라이더(403)를 누르지 않는다. 따라서, 카세트 404a를 본체에 장착해도, 기준 부재(401)는 기록 시트 1a가 접촉 가능한 홈 위치(접촉 위치)에 보유된 채로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세트 404a로부터 장치의 본체로 반송된 기록 시트 1a가 시트 이송 장치(140)로 이송되어 오면, 시트 이송 장치(150)는, 기록 시트 이송 방향에 있어서 기준 부재 401 및 402의 상류측에서, 시트 회전 수단으로서의 시트 회전 롤러의 쌍(6)에 의해 기록 시트 1a를 회전시킴으로써, 기록 시트 1a가 도면의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기록 시트 1a의 후단부, 즉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에 있어서, 기록 시트 1a의 상류측 부분이, 기록 시트 1a의 선단부 혹은 하류측 부분에 대하여, 시트 이송면(5)의 측단을 향해 기준면 401a측에 이탈되도록 기록 시트 1a를 회전시킨 후(경사지게 한 후), 시트 이송 장치(150)는, 시트 회전 롤러의 2개의 쌍(6)에 의해 기록 시트 1a를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시트 1a의 좌측단이 기준 부재(401)의 기준면 401a과 접촉해 있다. 그것에 의해, 경사 기록 시트 1a는, 시트 이송 롤러(3)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기준면 401a에 의해 바로잡혀진다. 특히, 기록 시트 1a는, 그 후단부가 시트 이송 경로(5)의 측단을 향해 기준면 401a측에 이탈되도록 기울어져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시트 1a가 시트 이송 장치(150)를 통해서 이송됨에 따라, 기록 시트 1a의 좌측단의 상류측 단부가 기준면 401a과 접촉하게 되어, 서서히 경사 보정되면서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와 평행한 방향으로 더 이송된다. 이 경우, 기록 시트 1a는 좌우의 기준 부재 401 및 402 사이에 이송되면서 경사 보정된다. 따라서, 우측의 기준 부재 402가 기록 시트 1a의 경사 보정을 간섭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도 16). 더 나아가서, 경사 기록 시트 1a를 경사 보정하는 것과 동시에, 작은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a를 이송하는 통상의 방향과 직각인 방향에서 화상 형성부에 대한 기준면 401a에 의해, 정확히 위치 결정한다.
도 17 및 도 18은, 제2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b를 수납한 카세트 혹은 카세트 404b를 기록 장치의 본체에 장착한 후의 시트 이송 장치(150)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파선 101b 및 102b로 나타낸 2개의 영역은, 카세트 404b의 아래 쪽에, 잉크 리본이 감겨 있지 않은 잉크 리본 챔버와, 잉크 리본이 감겨 있는 잉크 리본 챔버가 각각 위치되는 곳이다. 잉크 리본이 감겨 있지 않은 잉크 리본 챔버 101b에는, 카세트 404b가 기록장치(100)의 본체에 삽입될 때, 슬라이더(403)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면 103c을 가진 리세스 103b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큰 폭의 기록 시트 혹은 기록 시트 1b를 수납한 카세트 404b가 기 록 장치 본체에 삽입될 때, 슬라이더(403)가 누름면 103c에 의해 눌러져, 용수철에 의해 발생된 힘 4B에 대항해 좌측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 403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403)의 면 403a는 기준 부재(401)의 경사면 401b과 접촉하게 되고, 기준부재(401)와 접촉한 상태로 기준 부재(401)를 들어올린다. 카세트 404b가 기록장치 본체의 동작 위치에 설정되면, 기준 부재(401)는, 기준 부재(401)가 기록 시트 1b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지 않는 도 17에 나타낸 퇴피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그 결과, 기준 부재(401)의 아래 쪽에 기록 시트 1b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큰 간격이 형성된다. 즉, 기준 부재(401)는, (큰 폭의) 제2 폭의 경사 기록 시트 혹은 경사 기록 시트 1b가 보정되면서 시트 이송 장치를 통해서 이송되는 경우에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보유된 채로 있다.
기록 시트 1b가 카세트 404a로부터 장치 본체로 반송되고,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상태에 있는 시트 이송 장치(150)로 반송되어 오면, 시트 이송 장치(150)는, 기록 시트 이송 방향에 있어서, 기준 부재 401 및 402의 상류측에서, 시트 회전 롤러의 쌍(6)에 의해 기록 시트 1b를 회전시킴으로써, 기록 시트 1b가 도면의 좌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에 있어서, 기록 시트 1b의 하류측 부분이 기준면 402a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도록 기록 시트 1a를 회전시킨 후(경사지게 한 후), 시트 이송 장치(150)는 시트 회전 롤러의 쌍(6)에 의해 기록 시트 1b를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기록 시트 1b의 우측단이 기준 부재(402)의 기준면 402a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비스듬히 위치된 기록 시트 1b는,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과 평행한 방향으 로, 기준면 402a과 접촉한 채, 기록 시트 이송 롤러(3)에 의해 이송되면서 기준면 402a에 의해 보정된다. 기록 시트 1b는, 그 후단부가 시트 이송면(5)의 측단을 향해서 기준면 402a측에 이탈되도록 비스듬히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기록 시트 1b는, 기록 시트 1b의 상류측 부분이 기준면 402a과 접촉한 채로 이송된다. 따라서, 기록 시트 1b는, 기록 시트 1b를 보정하는 방향으로 발생된 압력을 받으면서, 통상의 기록 시트 이송 방향 T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경우, 기록 시트 1b는, 퇴피 위치에 있는 기준 부재(401)의 아래쪽으로 이송되면서 보정된다. 따라서, 기준 부재(401)가 기록 시트 1b의 경사 보정을 간섭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도 16). 또, 비스듬히 위치된 기록 시트 1b를 보정하는 것과 동시에, 기록 시트 1b가 이송되는 통상의 방향 T와 직각인 방향의 견지에서, 화상 형성부(123)에 대한 기준면 402a에 의해, 정확히 위치 결정한다. 덧붙여, 큰 폭의 기록 시트용의 카세트 혹은 카세트 404b를 떼어내면, 슬라이더(403)는 홈 위치(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기준 부재(401)는, 용수철 401c에 의해 기준부재(401)가 시트 이송면(5)과 접촉해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즉, 기준면 401a는, 기록 시트 1a와 접촉하게 되는,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위치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시트 이송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큰 폭의 비스듬히 위치된 기록 시트를 보정하면서 이송할 때에, 작은 폭의 기록 시트의 기준 부재 혹은 기준 부재(401)가 장해가 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비스듬히 위치된 기록 시트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록 시트의 폭에 관계없이, 기록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 기록 시트를 정확히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좌우의 기준 부재 401 및 402의 위치는, 기록 시트의 폭 방향에서 보면, 기준면 401a을 따라 이동하는 기록 시트 1a의 중앙의 경로가, 기준면 402a를 따라 이동하는, 기록 시트 1a와 폭이 다른 기록 시트 1b의 중앙의 경로와 일치하도록 각각 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기준 부재에 의해, (비스듬히 위치 결정된 경우)폭의 관점에서 2종류의 기록 시트를 경사 보정할 뿐만 아니라, 폭 방향의 관점에서 그들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도 10~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해도, 간단한 구성으로, 폭의 관점에서 복수의 종류의 기록 시트를, 기록 시트의 중앙의 경로가 일치하도록 경사 보정(비스듬히 위치 결정된 경우) 및 위치 결정하면서 이송할 수가 있는 것과 동시에, 조립이 쉽고, 신뢰성이 높은 경사 기록 시트를 보정하는 기구를 갖는 시트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기준 부재 201 및 202의 위치를, 형상 및 사이즈가 기록 시트(1)의 폭에 대응하는 카세트(404)에 의해, 자동 및 기계적으로 설정하도록 시트 이송 장치를 구성한다. 이 때문에, 기록 시트의 폭을 센서 등으로 식별하고, 전기 구동원을 이용해 기준 부재(4)를 이동시키도록 시트 이송 장치를 구성했던 상술한 제1 실시 예보다, 기계적 간소화 및 조립성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제2 실시 예가 더 우수하다. 또한, 제2 실시 예는, 신뢰성의 관점에서 제1 실시 예보다 더 우수하다.
덧붙여, 상술한 제2 실시 예에서는, 2개의 기준 부재를 이용하는 것과 동시에, 한편의 기준 부재를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폭의 관점에서 2종류의 기록 시트를 경사 보정하면서, 기록 시트의 폭 방향의 관점에서 정확히 위치 결정하도록 시트 이송 장치를 구성했다. 그런데, 본 실시 예는, 3개 이상의 기준 부재를 이용해서, 최대폭의 기준 시트용의 기준 부재 이외의 기준 부재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폭의 관점에서 3종류 이상의 기록 시트를 경사 보정하고, 그들의 폭 방향의 관점에서 정확히 위치 결정(예를 들면, 그들의 중앙의 경로가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하도록 시트 반송 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기록 시트들이 비스듬히 위치결정된 경우) 이러한 폭의 관점에서 3종류 이상의 기록 시트를 경사 보정할 수 있는 구성도 그 범위 내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트 이송 장치를 이용하는 열 전사형의 기록 장치만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시트 이송 장치를 이용하는 열전사형의 기록 장치, 예를 들면, 잉크젯 기록 장치, 레이저 빔 기록 장치, 열 기록 장치, 와이어 닷(wire-dot) 기록 장치 등 외에, 다른 기록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기록 헤드의 수, 기록 헤드의 배치, 및 기록 헤드의 구성에 관계없이 시트 이송 장치를 이용하는 다양한 기록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한 실시 예를 참조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이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과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시트 폭에 대한 중앙선 정렬 및 경사 보정을 하면서 시트를 반송할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성이 좋은 경사 보정 기구를 갖는 시 트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시트 반송 장치로서,
    상기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된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준면을 갖는 기준 부재와,
    상기 시트의 측단을 상기 기준면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준면을 향해 반송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준 부재가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시트의 폭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세트가 장착될 때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카세트의 누름면에 의해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반송되어 오는 시트의 폭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기준 부재는 상기 카세트에 접촉해 상기 시트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서로 다른 폭의 시트를 수납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카세트 중 하나이고, 상기 이동 수단은, 각 종류의 카세트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반송 장치에 상기 카세트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기준 부재와 접촉해 상기 카세트 내의 시트의 폭에 대응한 위치로 상기 기준 부재를 이동시키는 누름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서로 다른 폭의 시트를 수납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카세트로부터 각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폭 방향에 관해서 중앙선이 상기 시트의 폭에 관계없이 미리 결정된 위치를 통과하도록,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시트의 폭에 대응한 위치로 상기 기준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장착된 카세트가 미리 결정된 폭의 시트를 수납할 때, 상기 기준 부재를 이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7.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시트 반송 장치로서,
    상기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된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준면을 갖는 기준 부재와,
    상기 시트의 측단이 상기 기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카세트가 장착될 때,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카세트의 누름면에 의해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이 시트를 반송하기 전에, 상기 시트의 후단부가 상기 시트의 선단부보다 상기 규제 부재에 더 가까워지게 상기 시트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의 측단이 상기 기준 부재에 접촉하도록 시트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자세는, 그 측단이 상기 기준 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에 의해 상기 측단이 상기 기준 부재의 기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제어 수단은 상기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시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트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제어 수단은, 상기 시트의 같은 면에 접촉 가능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2개의 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부재는, 제1 폭의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1 기준 부재와,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의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2 기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제2 폭의 시트를 수납한 상기 카세트를 장착할 경우에, 상기 제1 기준 부재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부재 및 상기 제2 기준 부재는 반대측에 있는 측단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이 시트를 반송하기 전에, 상기 시트의 측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 부재에 접촉하도록, 상기 시트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자세 제어 수단은, 제1 폭의 시트를 반송할 경우에, 상기 시트의 후단부가 상기 시트의 선단부보다 상기 제1 규제 부재에 가까워지게 상기 시트를 경사지도록 시트의 자세를 제어하고, 상기 자세 제어 수단은, 제2 폭의 시트를 반송할 경우에, 상기 시트의 후단부가 시트의 선단부보다 상기 제 2의 규제 부재에 가까워지게 상기 시트를 경사지도록 시트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자세는 그 측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 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에 의해 상기 측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 부재의 기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제어 수단은 상기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시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시트의 자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 부재의 상기 기준면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폭 방향에 관해서 중앙선이 시트의 폭에 관계없이 미리 결정된 위치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카세트가 상기 장치에 장착될 때에 상기 카세트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상기 기준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캠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19.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기록장치로서,
    상기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된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준면을 갖는 기준 부재와,
    시트의 측단을 상기 기준면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준면을 향해 반송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준 부재가 상기 카세트에 수납된 시트의 폭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세트가 장착될 때,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카세트의 누름면에 의해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0. 시트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기록장치로서,
    상기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된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준면을 갖는 기준 부재와,
    시트의 측단이 상기 기준면에 접촉하도록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카세트가 장착될 때,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카세트의 누름면에 의해 상기 기준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KR1020070013551A 2006-02-09 2007-02-09 시트 반송 장치 및 기록 장치 KR100969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2448 2006-02-09
JPJP-P-2006-00032448 2006-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110A KR20070081110A (ko) 2007-08-14
KR100969237B1 true KR100969237B1 (ko) 2010-07-09

Family

ID=3803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551A KR100969237B1 (ko) 2006-02-09 2007-02-09 시트 반송 장치 및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37499B2 (ko)
EP (1) EP1818180B1 (ko)
KR (1) KR100969237B1 (ko)
CN (1) CN101016126B (ko)
DE (1) DE60200700607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6862B2 (ja) * 2004-11-09 2010-04-0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給紙装置
JP2007314324A (ja) * 2006-05-26 2007-12-06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023426A1 (en) * 2010-07-22 2012-01-26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osition Adjustment of Widget Presentations
JP2013056765A (ja) * 2011-09-09 2013-03-28 Mimaki Engineering Co Ltd 媒体搬送機構及び媒体搬送方法
JP5963419B2 (ja) * 2011-11-07 2016-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77829B2 (ja) * 2012-11-05 2017-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3995B2 (ja) * 2015-03-27 2019-07-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6199341A (ja) * 2015-04-08 2016-1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4891240A (zh) * 2015-05-15 2015-09-09 广东肇庆西江机械制造有限公司 新型瓦楞纸生产线桥式纠偏装置
CN106904462B (zh) * 2017-04-20 2018-03-30 湖南师范大学 物品分离装置
JP7099032B2 (ja) * 2018-04-27 2022-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21031258A (ja) * 2019-08-27 2021-03-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JP2024008357A (ja) * 2022-07-08 2024-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6172A2 (en) * 1990-07-13 1992-01-1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63090A (ja) * 2002-01-07 2003-09-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給送装置
EP1580013A2 (en) * 2004-03-23 2005-09-28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and prin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5030B2 (ja) 1990-07-12 1997-10-22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突き当て機構
JP2636085B2 (ja) 1991-01-11 1997-07-30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搬送装置の斜行修正機構
JP3700765B2 (ja) * 2000-02-28 2005-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数段の荷重手段を備えた付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給紙装置
US6608976B2 (en) 2000-10-13 2003-08-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US6671471B2 (en) 2001-02-28 2003-12-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JP2002268412A (ja) 2001-03-07 2002-09-18 Canon Inc 加熱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72888B2 (ja) 2001-03-09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7040614B2 (en) * 2002-02-18 2006-05-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JP3630307B2 (ja) * 2002-02-18 2005-03-16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シートの搬送機構及びシートの搬送方法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写真処理装置
JP2004099244A (ja) * 2002-09-10 2004-04-02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
JP4385627B2 (ja) * 2003-03-24 2009-1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処理装置
JP3864936B2 (ja) * 2003-06-30 2007-0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送機構
US20050056990A1 (en) * 2003-09-17 2005-03-17 Milton Scott C. Film centering device
KR20050105353A (ko) * 2004-04-30 200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중송방지수단이 구비된 인쇄기의 급지장치
JP2006213437A (ja) * 2005-02-02 2006-08-17 Komori Corp シート状物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6172A2 (en) * 1990-07-13 1992-01-1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63090A (ja) * 2002-01-07 2003-09-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給送装置
EP1580013A2 (en) * 2004-03-23 2005-09-28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and prin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6126A (zh) 2007-08-15
CN101016126B (zh) 2010-05-19
US7637499B2 (en) 2009-12-29
EP1818180B1 (en) 2010-04-28
KR20070081110A (ko) 2007-08-14
EP1818180A1 (en) 2007-08-15
US20070182089A1 (en) 2007-08-09
DE602007006071D1 (de)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237B1 (ko) 시트 반송 장치 및 기록 장치
KR100810181B1 (ko) 시트 반송 장치
US7661674B2 (en) Feed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feeding device
US7946575B2 (en) Medium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834925B2 (en) Recording apparatus
US20140253630A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3397575B2 (ja) 画像記録装置
US20070296792A1 (en) Paper shift apparatus and array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and array printer printing method
US8302952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081079B1 (en) Sheet convey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US20070020010A1 (en) Ink ribbon cassette
EP0854049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7264239B2 (en) Feeding device for feeding recording medium
JP4324017B2 (ja) 記録装置
JP4818146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7083500A (ja) 記録装置
JPH10250184A (ja) 記録装置
JP4612896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4612898B2 (ja) シート給送装置並びに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210203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63842A (ja) プリンタの給紙装置
JPH0712535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026952A (ja) 記録ヘッド、記録装置、記録ヘッドの組立方法及び記録ヘッドの組立治具
JP2006088365A (ja) 記録ヘッドおよび記録装置
JP200222536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