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952B1 - 식기 세척 건조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952B1
KR100966952B1 KR1020080031258A KR20080031258A KR100966952B1 KR 100966952 B1 KR100966952 B1 KR 100966952B1 KR 1020080031258 A KR1020080031258 A KR 1020080031258A KR 20080031258 A KR20080031258 A KR 20080031258A KR 100966952 B1 KR100966952 B1 KR 10096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washing
cleaning tank
washing tank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279A (ko
Inventor
시게루 이와나가
츠요시 이나다
게이지 이시카와
노리요시 마토바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651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186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17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178231A/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3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5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e.g. butterfly valves
    • F16K11/052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e.g. butterfly valves the closure members being pivoted around an essentially centr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식기 세척 건조기는, 피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을 세척하는 세정부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세정조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와,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배기구의 상류측에 배치하여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세정조와 혼합부로의 외기의 공급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건조 운전시에 있어서 세정조내 배기에 충분한 양의 외기를 혼합하고, 배기의 온도 저감과 배기 내 수분량의 삭감을 촉진해서 배기의 쾌적성을 높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 건조기{DISH WASHING/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주방 등에 설치되어 피세정물의 수납 및 자동세정, 건조를 실행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0-166847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이, 세정 종료 후에 피세정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외기를 세정조 내로 송풍하여 세정조 내의 고온도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은 상기 문헌에 기재된 종래의 식기 세척 건조기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501)와, 세정부(504)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505)와, 세정조(501)에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506)와, 세정조(501)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구(507)와, 배기구(507)에 마련된 외기를 혼합시키는 배기 보조부(50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정부(504)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502)과,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503)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배기구(507)로 유입되는 고온 고습한 주류가 가지는 유체력에 의해, 새로운 외기를 부류로서 배기에 혼합시킨다. 따라서, 고온 고습의 세정조(501)내의 배기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지만, 배출되는 바람의 열풍감을 회피할 수 있을 때까지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서는 바람 양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다음 구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피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을 세척하는 세정부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동 식기 세척 건조기는, 세정조의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와,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배기구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세정조와 혼합부로의 외기의 공급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조 운전시에 있어서 혼합부를 흐르는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유량 비율을 자유롭게 분배 설정할 수 있으므로, 온습도를 저감한 배기에 의한 열풍감의 확실한 방지와 건조 성능의 향상의 양립이 가능하다.
건조 운전시에 있어서 세정조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조내 배기에 충분한 양의 외기를 혼합하여, 배기의 온도 저감과 배기 내 수분양의 삭감을 촉진해서 배기의 쾌적성을 높인 식기 세척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풍량 분배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풍량 분배부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풍량 분배부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풍량 분배부에 있어서의 댐퍼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댐퍼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주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피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1)와, 피세정물을 세척하는 세정부(4)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5)를 포함한다. 또한, 동 식기 세척 건조기는 세정조(1)의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7)와,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6)와, 배기구(7)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세정조(1)의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13)와, 세정조(1)와 혼합부(13)로의 외기의 공급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12)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1)의 아래쪽에는, 세정부(4)와, 세정수를 가열하여 승온시키는 가열부(5)가 배치되어 있다. 세정부(4)는 세정수를 피세정물에 분출해서 순환시키는 세정 노즐(2)과,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3)를 갖는다. 또한, 건조부(9)는 세정조(1)내의 습기를 배출하여 세정조(1)내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6)와, 세정조(1) 내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7)를 갖고 있다. 또한, 세정조(1)에는 그 아래쪽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0)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1)에는 그 윗쪽에 세정조(1)내의 공기(세정조 내기)를 배출시키는 유출구(11)가 마련되어 있다. 송풍기(6)의 하류측에는 풍량을 분배하는 풍량 분배부(12)가 접속되어 있다. 이 풍량 분배부(12)의 하류측에는, 외기를 혼합부(13)에 도입하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1)의 유입구(10), 세정조(1), 유출구(11)를 거쳐서 혼합부(13)에 연통하는 세정조 내기 통로(15)가 배치되어 있다. 또 혼합부(13)는 그 출구측을 배기구(7)에 연통시키고, 혼합부(13)의 입구측을 외기 통로(14) 및 세정조 내기 통로(15)인 유출구(11)에 연통시키고 있다. 이렇게, 풍량 분배부(12)의 상류측에는 송풍기(6)를 배치하고, 배기구(7)의 상류측에는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13)를 배치하고 있다.
풍량 분배부(12)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유동 저항을 변화시켜서 풍량을 분배하는 것으로, 혼합부(13)에 있어서의 외기와 세정조(1)에 있어서의 내기의 혼합시의 유량 비율을 변화시킨다.
제어부(16)는 건조부(9)를 제어하는 것으로, 송풍기(6)의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 제어부(17)와, 혼합부(13)의 하류측에 마련한 온도 검지부(18)의 검지 온도를 기초로 제어량을 설정하는 온도 제어부(19)를 갖고 있다.
또한, 풍량 분배부(12)는 송풍기(6)의 풍량을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분배한다. 그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기(6)의 운전에 의해 발생하는 풍압으로 개방도가 변화되는 댐퍼(20)를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면하도록 마련한 것으로,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에 마련한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통로(14)측에 마련한 외기 댐퍼(202)를 서로 연결해서 연결체(203)로서 일체화하고 있다.
댐퍼(20)는 세정조 댐퍼(201)의 개방도가 증대하면 외기 댐퍼(202)의 개방도가 저감하도록 연결한 연결 자세로 하여, 이 일체화시킨 댐퍼(20)의 세정조 댐퍼(201)에는 추(204)를 부가하고, 지지축(21)에서 회동 가능하다. 이로써, 댐퍼(20)는 송풍기(6)의 풍압이 소정치보다 낮을 경우 혹은 송풍기(6)의 운전 정지시는, 도 2와 같이 중력의 작용으로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을 거의 폐지 혹은 폐색하는 동시에, 외기 통로(14) 측을 완전 개방 상태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세정조(1)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 밸브(22)를 구비한 급수관(23)과, 세정수를 배수하는 배수 밸브(24)를 구비한 배수관(25)이 접속되는 동시에, 하우징(26)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슬라이드체(27)에 수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체(27)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통풍구(28)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 건조기에 대해서, 이하에 그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우선, 하우징(26)으로부터 슬라이드체(27)를 인출하여 피세정물인 식기를 세정조(1)내에 수납하고, 슬라이드체(27)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켜 세정을 시작한다. 세정 운전 개시와 함께 급수 밸브(22)를 개방하여 급수관(23)으로부터 세정조(1)에 급수한다. 소정량의 급수가 행하여지면 급수 밸브(22)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 다음에, 가열부(5) 및 세정부(4)인 세정 펌프(3)의 운전에 의해 세정 노즐(2)로부터 온수를 분출시켜서 피세정물인 식기에 분사하여 순환시킨다. 세정수가 분출하는 반력으로 세정 노즐(2)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널리 퍼지게 해, 세정성을 높이고 있다. 여기에서는 가열부(5)를 운전하여 온수로 세정할 경우를 도시했지만, 피세정물의 오염이 약할 경우는 가열부(5)를 운전하지 않고 급수 온도의 세정수로 세정하여도 좋다. 또한, 피세정물의 오염이 강할 경우는 세제를 넣은 세정수로 세정하면 좋다. 세정 운전이 종료하면 배수 밸브(24)를 개방하여 세정수를 배수관(25)으로부터 하우징(26)의 외부로 배수한다. 배수를 종료하면 배수 밸브(24)를 폐쇄한다.
다음에 실행하는 헹굼 운전에서는 세제를 투입하지 않고, 세정 운전과 같이 급수하고, 가열부(5) 및 세정 펌프(3)의 운전에 의해 세정 노즐(2)로부터 온수를 분출시켜서 피세정물인 식기에 뿜어 순환시킨다. 이 헹굼 운전의 후에 실행하는 피세정물을 말리는 건조 운전 때문에, 헹굼 운전에서는 피세정물을 따뜻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80℃에서 정도의 고온수로 헹굼 운전을 실시하면 제균 처리를 할 수 있다. 헹굼 운전 종료 후에는 세정 운전 종료시와 같이 세정조(1) 내의 헹굼 물을 배수한다.
다음에 실행하는 건조 운전에서는, 헹굼 운전에 의해 고온 고습으로 된 세정조(1)내의 공기를 배출해서 피세정물을 건조시킨다. 그 때문에, 송풍기(6)를 운전하는 동시에 풍량 분배부(12)에서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로 분류시켜, 외기를 혼합부(13) 및 세정조(1)로 보낸다. 특히, 고온수로 헹굼 운전을 행하였을 경우는 배기구(7)로부터 세정조(1)내의 고온 고습의 공기를 직접 배출하지 않는다. 즉, 건조 운전 개시 시에 풍량 제어부(17)에 의해 송풍기(6)의 송풍량을 적게 해서 낮은 풍압을 풍량 분배부(12)에 가해서 외기 통로(14)측을 주체로 통풍한다. 그리고,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풍량 비율(외기 풍량 : 세정조 내기 풍량)을 1:0 정도까지 근접하게 하여 송풍기(6)의 송풍을 냉각 주체로 하고, 고온의 헹굼 운전 중에 승온한 배기 경로를 냉각해서 배기구(7)로부터 열풍이 나가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송풍기(6)의 송풍량을 조금 증가시켜서 풍량 분배부(12)의 댐퍼(20)에 부가하는 풍압을 높이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 댐퍼(201)를 조금 개방한다. 이로써,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에는 적은 바람(도 3의 흑화살표로 도시함)과 외기 통로(14)측에 대부분의 바람(도 3의 백 화살표로 도시함)으로 분배해서 유동시킨다. 그리고, 혼합부(13)에서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으로 들어간 바람에 의해 세정조(1)로부터 압출된 고온 고습의 바람에 대하여, 대량의 외기 통로(14)측에 들어간 바람을 혼합해서 냉각하고, 배기구(7)로부터 저온도화한 바람을 배출시킨다.
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라, 세정조(1) 내로의 외기의 유입에 의해 세정조 내기의 습도가 저하하고, 세정조 내기의 엔탈피를 낮추기 위해서 배기구(7)로부터 유출하는 배기의 온도를 소정치 이하로 냉각하는 데에 필요한 외기 풍량은 적더라도 충분하다. 따라서, 건조 상태의 진행에 따라 혼합부(13)로의 외기 풍량은 적게 할 수 있고, 그 몫을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으로 진향시켜 세정조(1)내로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피세정물의 건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송풍기(6)의 운전에 따라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으로 들어간 바람에 의해 세정조(1)내의 습도 혹은 온도의 저하와 함께 송풍기(6)의 송풍량을 더욱 증가시켜, 세정조 댐퍼(201)의 개방도를 크게 한다. 이에 따라 세정조 댐퍼(201)와 연결되어 일체화된 외기 댐퍼(202)에 의해 외기 통로(14)측의 개방도를 작게 함으로써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풍량 비율을 변화시키고, 세정조 내기 통로(15) 측으로의 풍량 비율을 증가시켜서 건조 촉진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세정조(1) 내의 습도 혹은 온도의 저하와 함께 세정조(1) 내의 공기를 냉각하지 않고 배기구(7)로부터 배출해도 좋은 상태로 되면, 송풍기(6)의 송풍량을 증가시킨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 댐퍼(201)의 개방도를 완전 개방으로 하여 외기 댐퍼(202)가 완전 폐쇄되도록 하고,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풍량 비율을 0:1 정도까지 변화시켜서 송풍기(6)의 송풍을 건조 주체로 한다.
이렇게,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를 일체화한 댐퍼(20)의 개방도 변화 동작에 의해, 1개의 송풍기(6)의 송풍량의 변화와 함께 세정조 내기 통로(15)와 외기 통로(14)로의 안정한 풍량 분배가 이루어진다. 그것과 함께,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풍량 비율(외기 풍량 : 세정조 내기 풍량)을 1:0 정도 내지 0:1 정도까지 변화시킬 수 있고, 작은 능력의 송풍기(6)로 냉각부터 건조까지 유효 활용해서 저소비 전력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이것 때문에, 혼합부(13)에서의 세정조 내기로의 외기 혼합 및 풍량 분배 변화에 의한 냉각 촉진으로 배기 온도의 열풍감의 확실한 방지와, 세정조 내 공기의 냉각시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해 세정조 내기 중에 있는 수분의 삭감에 의한 설치한 실내 등의 공간의 습도 상승을 적게 해서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풍량 분배를 가변으로 함으로써 고온 배기의 방지와 건조 성능의 확보의 양립이 가능하다.
또한, 댐퍼(20)는 세정조 댐퍼(201)의 개방도가 증대하면 외기 댐퍼(202)의 개방도가 저감하도록 연결한 연결 자세로 하고 있으므로, 송풍기(6)의 송풍량의 변화와 함께 혼합부(13)에서의 풍량 비율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송풍기(6)의 송풍 능력을 증대하는 일 없이 작은 능력의 송풍기(6)로 건조풍량을 증대하게 하여 건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송풍기의 소형화, 저소비 전력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댐퍼(20)는 송풍기(6)의 송풍 정지 시에 중력에 의해 초기위치에 복귀하도록 한 것에 의해, 구성의 간소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더욱, 용수철 등의 가압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댐퍼(20)로 복귀하는 힘을 가하고, 송풍기(6)의 송풍 정지 시에 가압체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로써, 풍압과 복귀 힘의 밸런스를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댐 퍼(20)의 개방도 위치의 확실한 설정이 이루어져서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풍량 분배부(12)의 설치 자세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여기까지는, 건조 운전 시에 가열부(5)를 운전하지 않고 헹굼 운전시의 피세정물이 가지는 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킬 경우를 설명했지만, 건조 운전 시에 가열부(5)를 운전하는 것에 의해, 세정조(1)내에 유입구(10)로부터 유입한 외기를 가열 승온시킴으로써 건조를 촉진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때 가열부(5) 근방의 풍속을 높게 유지하는 만큼 가열부(5)의 출력을 크게 하여 건조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풍량 비율(외기 풍량 : 세정조 내기 풍량)을 0:1 정도까지 이용해서 건조 풍량을 크게 함으로써, 건조 시간의 단축 혹은 건조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댐퍼(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댐퍼(20)는 송풍기(6)의 송풍 정지 시에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가 폐지되도록 연결한 연결 자세로 하고 있다.
또한, 댐퍼(20)는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상류측의 흐름이 충돌하는 면인 수압부(受壓部)(29)의 형상을 다르게 하고 있다. 세정조 댐퍼(201)의 수압부(29)에는 상류측을 향해서 오목면부(30)를 마련해서 외기 댐퍼(202)보다도 흐름의 압력을 수압(受壓)하기 쉽게 하고 있다. 한편, 외기 댐퍼(202)의 수압부(29)에는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면부(31)를 마련해서 세정조 댐퍼(201)보다도 수압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다음에, 이렇게 구성한 풍량 분배부(12)의 댐퍼(2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 한다.
송풍기(6)의 운전 개시에 의한 송풍이 댐퍼(20)와 접촉하면, 수압부(29)가 상류측을 향해서 오목면부(30)로 되어 있는 세정조 댐퍼(201)는 유체의 유동력을 받기 쉽다. 또, 수압부(29)가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면부(31)로 되어 있는 외기 댐퍼(202)는 유체의 유동력을 받기 어렵게 있다. 따라서, 댐퍼(20)는 지지축(21)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체력과 세정조 댐퍼(201)의 추(204)에 의한 복귀력의 밸런스 위치로 개방도가 설정된다.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풍량 분배는, 외기 통로(14)측에 단면적을 축소한 교축부(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서 통로 저항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송풍기(6)로부터의 송풍량이 적도록 댐퍼(20)의 개방도가 작을 때는 외기 통로(14)측의 통로 저항의 영향이 없고, 댐퍼(20)부의 통과 저항에 의해 풍량 분배가 결정된다. 즉, 수압부(29)가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면부(31)로 되어 있는 외기 댐퍼(202)측의 통과 저항이 적어지고, 도 6에서 외기 통로(14)측의 백 화살표 및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의 흑 화살표로 도시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외기 통로(14)측의 풍량이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의 풍량보다 많아지는 상태가 되어서 배기구(7)로부터 유출하는 배기의 온도 저감을 주체로 하는 안정한 풍량 분배가 행하여진다.
이 상태로부터 더욱 송풍기(6)의 풍량을 증대시킴에 따라서 댐퍼(20)의 개방도가 증대하고, 외기 통로(14)측에 흐르는 풍량은 단면적을 축소한 교축부(도시하지 않음)의 통로저항의 영향을 받아서 풍량 증가가 한계점이 된다. 그리고,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의 풍량 증가가 외기 통로(14)측을 상회하고, 외기 통로(14)측과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의 풍량 비율은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이 많아지는 상태로 이행해서 건조 주체의 안정한 풍량 분배가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댐퍼(20)의 연결 자세는, 송풍기(6)의 운전 정지 시에는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가 세정조 내기 통로(15) 및 외기 통로(14)의 각 통로를 폐지한다. 이로써, 기기 정지시에 있어서 세정조(1) 내부의 습기가 송풍로를 타고 송풍기(6) 측으로 역류하여 유출되어 기기 내부에서의 결로에 의한 부식 발생을 막고,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수압부(29)의 형상을 다르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댐퍼(20)의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수압 면적이 접근하고 있을 경우라도, 댐퍼(20)를 개폐하기 위해서 가해지는 힘의 차이를 명확히 해서 지지축(21)에 대한 회동력을 안정화해서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이루어지고, 배기 온도의 냉각 동작 및 건조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조 댐퍼(201)의 수압부(29)에 상류측을 향해서 오목면부(30)를 마련해서 외기 댐퍼(202)보다도 수압하기 쉽게 한 것에 의해, 세정조 댐퍼(201)의 수압 면적을 작게 해도 세정조 댐퍼(201)의 개방도 설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댐퍼(20) 전체의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가능해지므로, 수압 면적의 축소에 의한 댐퍼(20)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외기 댐퍼(202)의 수압부(29)에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면부(31)를 마련 해서 세정조 댐퍼(201)보다도 수압하기 어렵게 한 것에 의해, 세정조 댐퍼(201)의 개방도 설정력이 확보되어서 댐퍼(20) 전체의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외기 댐퍼(202)에서의 통로저항의 저감이 이루어져서 송풍기(6)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 세정조 댐퍼(201)의 수압부(29)에 상류측을 향해서 오목면부(30)를 마련하는 동시에, 외기 댐퍼(202)의 수압부(29)에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면부(3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댐퍼(20)의 풍량 분배 동작이 안정화해서 배기 온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댐퍼(20)부의 소형화와 통풍로의 유동 저항 저감에 의해 송풍 부하를 저감해서 송풍기(6)의 소형화·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까지 도시한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수압부(29)의 수압 면적을 거의 동일하게 한 경우, 외기 통로(14)측과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은 어느 쪽도 단면적이 큰 통풍로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통풍로에서의 유동 저항을 저감해서 송풍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 댐퍼(201)의 수압 면적을 외기 댐퍼(202)의 수압 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댐퍼(20)를 개폐하기 위해 가해지는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힘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 세정조 댐퍼(201)의 수압 방향에 댐퍼(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로써, 낮은 풍압에서도 세정조 댐퍼(201)의 확실한 개방도 설정을 할 수 있고, 송풍기(6)의 부하를 저감해서 송풍기(6)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를 개별적으로 제작해서 연결처리 해도 좋고, 수지 등으로 처음부터 일체로 성형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는 동일한 지지축(21)을 공용할 경우를 도시했지만,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각각 개별의 지지 축(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하고,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를 연결하는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서 일체화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더욱, 건조 운전시의 송풍기(6)의 풍량 제어는 제어 온도 검지부(18)의 검지 온도에 의하지 않고, 건조 운전 경과 시간에 의해 송풍기(6)의 풍량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풍량 분배가 가능해서, 온도 검지부(18)를 생략해서 저비용화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풍량 분배부는, 풍압으로 개방도가 변화되는 댐퍼를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에 마련하는 동시에, 세정조 내기 통로에 마련한 세정조 댐퍼와 외기 통로에 마련한 외기 댐퍼를 연결하여 일체화하였다. 이로써, 건조 운전시는 고온 고습의 세정조 내의 공기(세정조 내기)에 대하여 충분 양의 외기를 냉각용으로 하여 혼합부에서 혼합이 이루어지고, 일체화된 댐퍼의 개방도 변화 동작에 의해 송풍량의 변화와 함께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로의 안정한 풍량 분배가 행하여진다. 그 결과, 배기의 냉각과 수분 삭감에 의한 배기의 열풍감의 방지와 건조 성능의 향상의 양립과 배기 온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세정조 댐퍼의 개방도가 증대하면 외기 댐퍼의 개방도가 저감하도록 연결한 연결 자세로 한 것에 의해, 송풍량의 변화와 함께 혼 합부에서의 풍량 비율을 크게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로써, 송풍기의 송풍 능력을 증대하지 않고 건조풍량을 증대하게 해서 건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송풍기의 소형화, 저소비 전력화 및 저비용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송풍 정지 시에 세정조 댐퍼와 외기 댐퍼가 폐지되도록 연결한 연결 자세로 한 것에 의해, 기기가 정지 시에 있어서 세정조 내부의 습기가 송풍로를 타고 송풍기측에 역류해 누출해서 기기의 부식 발생을 막고,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송풍 정지 시에 중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것에 의해, 구성의 간소화와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송풍 정지시에 가압체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것에 의해, 댐퍼의 개방도 위치의 확실한 설정이 이루어져서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세정조 댐퍼의 수압 면적을 외기 댐퍼의 수압 면적보다 크게 한 것에 의해, 댐퍼를 개폐하기 위해서 가해지는 힘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 낮은 풍압에서도 세정조 댐퍼의 확실한 개방도 설정을 할 수 있고, 송풍기의 부하를 저감해서 송풍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세정조 댐퍼와 외기 댐퍼의 수압 면적을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단면적의 큰 통풍로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통풍로에서의 유동 저항을 저감해서 송풍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세정조 댐퍼와 외기 댐퍼의 수압부의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댐퍼의 수압 면적이 접근하고 있을 경우라도 댐퍼를 개폐하기 위해서 가해지는 힘의 차이를 명확히 해서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이루어지고, 배기 온도의 냉각 동작 및 건조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세정조 댐퍼의 수압부에 상류측을 향해서 오목면부를 마련해서 외기 댐퍼보다도 수압하기 쉽게 한 것에 의해, 세정조 댐퍼의 수압 면적을 작게 해도 세정조 댐퍼의 개방도 설정력이 확보되어서 댐퍼 전체의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가능해지고, 댐퍼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외기 댐퍼의 수압부에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면부를 마련해서 세정조 댐퍼보다도 수압하기 어렵게 한 것에 의해, 세정조 댐퍼의 개방도 설정력이 확보되어서 댐퍼 전체의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외기 댐퍼에서의 통로저항의 저감이 이루어져서 송풍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댐퍼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실시형태 1과 동일부재, 동일기능은 동일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댐퍼(20)는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연결 각도를 변동 가능하게 하는 자세 설정부(32)를 마련한 것으로,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연결 각도(α)를 변화시켜서 상호의 상대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세 설정부(32)는, 형상 기억체(33)를 이용함으로써 세정조(1)의 온도에 따라 연결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댐퍼(20)의 지지축(21)을 열전도성에 뛰어난 동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재료로 하여 세정조(1)를 형성하는 벽면(도시하지 않음)에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축(21)의 원통면을 세정조의 온도를 전하는 열전도부(34)로 하여, 일단을 세정조 댐퍼(201)에 접속하고 타단을 외기 댐퍼(202)에 접속한 형상 기억체(33)의 중간부분을 열전도부(34)의 주위에 열전도 관계로서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는 지지축(21)을 거쳐서 경첩과 같이 연결하고, 자세 설정부(32)로서의 형상 기억체(33)에서 연결 각도를 정해서 상대 위치를 확정하고 있다.
또한, 형상 기억체(33)와 세정조 댐퍼(201) 및 외기 댐퍼(202)와의 접속은, 접착, 용착, 계합 혹은 코킹 등 여러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다음에, 이렇게 구성한 풍량 분배부(12)의 댐퍼(20)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건조 운전에서는 세정조(1)내의 고온 고습의 공기를 배기구(7)로부터 배출하지 않도록,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 운전 개시 시는 송풍기(6)의 송풍량을 적게 해서 낮은 풍압을 풍량 분배부(12)에 가한다. 그리고, 외기 통로(14)측을 주체로 통풍하는 것으로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풍량 비율(외기 풍량 : 세정조 내기 풍량)을 외기측이 많아지도록 한다. 이 때, 헹굴 때의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예를 들면, 80℃) 만큼, 세정조(1)내는 고온 고습으로 되어 있으므로, 건조 운전 개시 시는 외기의 풍량 비율을 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역으로 헹굴 때의 온도를 저하시킨(예를 들면, 60℃) 경우에는, 건조 운전 개시 시는 외기의 풍량 비율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세정조(1)로의 건조풍량을 증가시켜서 건조성을 높이는 것으로 송풍기(6)의 풍량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댐퍼(20)의 지지축(21)을 거쳐서 세정조(1)의 온도를 형상 기억체(33)에 전하고,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연결 각도(α)를 변화시켜서 대응한다.
즉, 세정조(1)의 온도가 높을 경우는 연결 각도(α)를 작게 함으로써 외기 댐퍼(202)에 의한 외기 통로(14)측의 개방 조성 각도(θ)를 크게 하고, 외기 통로(14)측에 흐르는 풍량 비율이 많아진다. 또한, 세정조(1)의 온도가 낮을 경우는 연결 각도(α)를 크게 함으로써, 외기 댐퍼(202)에 의한 외기 통로(14)측의 개방 조성 각도(θ)를 작게 해, 외기 통로(14)측에 흐르는 풍량 비율을 적게 한다.
도 8에서는, 송풍기(6)의 풍압에 의해 세정조 댐퍼(201)가 약간 개방된 상태이며, 세정조 댐퍼(201)의 개방도가 동일하여도 세정조(1)의 온도가 높을 경우는 연결 각도(α)가 작으므로 외기 댐퍼(202)의 개방 조성 각도(θ)가 커져서, 배기 온도의 저감 작용을 높인다. 한편, 세정조(1)의 온도가 저하하면 연결 각도(α)가 커져서 외기 댐퍼(202)의 개방 조성 각도(θ)를 작게 한다. 이로써, 배기 온도의 저감 작용을 늦춰서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으로의 풍량 비율을 늘려서 건조성을 높이는 것으로, 배기 온도의 온도 저감의 제어 폭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댐퍼(20)의 연결 각도(α)의 변동은, 건조 운전 개시 시의 초기 상태의 설정 뿐만 아니라, 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르는 세정조(1)의 온도 저하에도 대응하여 변동시킨다. 이로써, 배기구(7)로부터 열풍이 나가지 않도록 해서 가능한 한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에 풍량을 분배해서 건조성을 높이는 운전의 실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기 온도의 제어폭 확대와 건조성 향상을 양립하고 있다.
이렇게, 댐퍼(20)는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연결체(203)의 연결 각도를 변동 가능하게 하는 자세 설정부(32)를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세정조(1)의 온도가 높을 경우부터 낮을 경우에 대응해서 저온화할 수 있으므로, 배기 온도의 제어 폭을 확대할 수 있다. 그 결과, 배기 온도의 저온도화를 주체로 한 설정이나 건조성을 높이는 것을 주체로 한 설정 등을 선택 가능하게 되고, 사용하기 양호해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세 설정부(32)는 세정조(1)의 온도에 따라 연결 각도를 변화시키고 있으므로, 세정조(1) 내의 온도에 의해 풍량 분배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고, 배기의 저온도화를 추진할 수 있다.
또한, 자세 설정부(32)는 온도에 따라 형상을 변화시키는 형상 기억체(33)로 형성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와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 자세 설정부(32)는 댐퍼(20)의 지지축(21)에 마련한 세정조(1)의 온도를 전하는 열전도부(34)와 세정조 댐퍼(201) 및 외기 댐퍼(202)에 접속한 형상 기억체(33)를 열전도 관계로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형상 기억체(33)에 의해 댐퍼(20)의 자세를 세정조(1)의 온도에 따라 확실하게 설정하고, 배기 온도를 저감시키는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댐퍼(20)의 연결 각도(α)를 자세 설정부(32)로서 형상 기억체(33)에서 변화시킬 경우를 도시했지만, 형상 기억체(33)를 쓰지 않고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를 지지축(21)에 압입 부착하여 수동으로 연결 각도(α)를 움직여서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래칫 형상의 다단 스테이지(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를 조립하여 연결 각도(α)를 수동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연결 각도(α)를 움직이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고, 세정조(1)의 온도에 따라 연결 각도(α)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 8과 같이 송풍기(6)로부터 바람을 윗쪽을 향하는 흐름으로 하여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거의 수직방향으로 분기하는 수직 분기부(35)에 배치하여, 댐퍼(20)의 지지축(21)을 수직 분기부(35)의 대략 수직방향으로 설치한다. 이로써, 댐퍼(20)의 중력에 의한 복귀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고, 송풍량을 저감했을 때의 댐퍼의 복귀 동작의 확실성을 높이고,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에 풍량 분배부(1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에 있어서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거의 수평방향으로 분기하는 수평 분기부(36)에 배치하는 동시에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외기 통로(14)의 아래쪽으로 배치하고, 댐퍼(20)의 지지축(21)을 수평분기부(36)의 대략 수평방향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송풍기(6)의 풍량을 증대시켜서 세정조 댐퍼(201)에 의한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의 개방도가 커진다.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의 풍량(도면 중 백 화살표로 도시함)이 외기 통로(14)측의 풍량(도면 중 흑 화살표로 도시함)보다도 많게 해 건조 주체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송풍기(6)를 정지해서 건조 운전을 종료하면, 댐퍼(20)은 추(204)가 없어도 세정조 댐퍼(201)와 외기 댐퍼(202)의 자중에 의해 도면 중 시계방향의 회동력이 작용하고,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의 세정조 댐퍼(201)가 폐지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렇게, 댐퍼(20)를 거의 수평방향으로 세정조 내기 통로(15)와 외기 통로(14)로 분기하는 수평 분기부(36)에 배치해도, 댐퍼(20)의 지지축(21)을 대략 수평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댐퍼(20)를 자중에 의해 복귀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해도, 송풍량을 저감했을 때의 댐퍼(20)의 복귀 동작의 확실성을 높이고,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외기 통로(14)의 아래쪽으로 배치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복귀 동작하는 댐퍼(20)로 할 수 있으므로 구성의 간소화에 의한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 도 9에서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도 9의 지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댐퍼는 세정조 댐퍼와 외기 댐퍼의 연결 각도를 변동 가능하게 하는 자세 설정부를 마련한 것에 의해, 배기 온도의 제어 폭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온도의 저온도화를 주체로 한 설정이나 건조성을 높이는 것을 주체로 한 설정 등을 선택 가능하게 되고, 사용하기 양호해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세 설정부는, 세정조의 온도에 따라 연결 각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세정조내의 온도에 의해 풍량 분배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고, 배기의 저온도화를 추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세 설정부는, 온도에 따라 형상을 변화시키는 형상 기억체를 구비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와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세 설정부는 댐퍼의 지지 축에 마련한 세정조의 온도를 전하는 열전도부와 세정조 댐퍼 및 외기 댐퍼에 접속한 형상 기억체를 열전도 관계로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형상 기억체에 의해 댐퍼의 자세를 세정조의 온도에 따른 확실한 설정이 이루어지고, 배기 온도를 저감시키는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거의 수직방향으로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로 분기하는 수직 분기부에 배치하고, 댐퍼의 지지 축을 상기 수직 분기부의 대략 수직방향으로 마련한 것에 의해, 송풍량을 저감했을 때의 댐퍼의 복귀 동작의 확실성을 높이고,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로 분기하는 수평 분기부에 배치하고, 댐퍼의 지지 축을 상기 수평 분기부의 대략 수평방향으로 마련한 것에 의해, 송풍량을 저감했을 때의 댐퍼의 복귀 동작의 확실성을 높이고,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평 분기부는 세정조 내기 통로를 외기 통로의 아래쪽으로 배치한 것에 의해, 댐퍼를 자중에 의해 복귀 동작하는 구성이 가능하므로 구성의 간소화에 의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효과를 정리하면, 상기로부터 명확한 것 같이 아래와 같이 된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피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을 세척하는 세정부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동 식기 세척 건조기는 세정조의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와,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배기구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세정조와 혼합부로의 외기의 공급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건조 운전시는 고온 고습의 세정조 내의 공기(세정조 내기)에 대하여 충분 양의 외기를 냉각용으로서 혼합부에서 혼합이 이루어지고, 풍량 분배부의 개방도 변화 동작에 의해 송풍량의 변화와 함께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로의 안정한 풍량 분배가 행하여진다. 그 결과, 배기의 냉각과 수분 삭감에 의한 배기의 열풍감의 방지와 건조 성능의 향상의 양립과 배기 온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풍량 분배부를 풍압으로 개방도가 변화되는 댐퍼를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에 마련하는 동시에, 세정조 내기 통로에 마련한 세정조 댐퍼와 외기 통로에 마련한 외기 댐퍼를 연결해서 일체화한 것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건조 운전시에는 고온 고습의 세정조 내의 공기(세정조 내기)에 대하여 충분 양의 외기를 냉각용으로 하여 혼합부에서 혼합이 이루어지고, 일체화한 댐퍼의 개방도 변화 동작에 의해 송풍량의 변화와 함께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로의 안정한 풍량 분배가 행하여진다. 그 결과, 배기의 냉각과 수분삭감에 의한 배기의 열풍감의 방지와 건조 성능의 향상의 양립과 배기 온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세정조 댐퍼의 개방도가 증대하면 외기 댐퍼의 개방도가 저감하도록 연결한 것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송풍량의 변화와 함께 혼합부에서의 풍량 비율을 크게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송풍기의 송풍 능력을 증대하지 않고 건조 풍량을 증대시켜 건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송풍기의 소형화, 저소비 전력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송풍 정지시에 세정조 댐퍼와 외기 댐퍼가 폐지하도록 연결한 연결 자세로 한 것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기기가 정지 시에 있어서 세정조 내부의 습기가 송풍로를 타고 송풍기측으로 역류해 누출해서 기기의 부식 발생을 막고,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송풍 정지시에 중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것에서는, 구성의 간소화와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댐퍼를 송풍 정지시에 가압체에 의해 초기위치에 복귀하도록 한 것에서는, 댐퍼의 개방도 위치의 확실한 설정이 이루어져서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세정조 댐퍼와 외기 댐퍼의 연결체의 연결 각도를 변동 가능하게 하는 자세 설정부를 마련한 것에서는, 배기 온도의 제어 폭을 확대할 수 있고, 배기 온도의 저온도화를 주체로 한 설정이나 건조성을 높이는 것을 주체로 한 설정 등을 선택 가능하게 되고, 사용하기 양호해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자세 설정부가 세정조의 온도에 따라 연결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에서는, 세정조 내의 온도에 의해 풍량 분배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고, 배기의 저온도화를 추진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자세 설정부가 온도에 따라 형상을 변화시키는 형상 기억체를 구비한 것에서는, 구성의 간소화와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자세 설정부가 댐퍼의 지지 축에 마련한 세정조의 온도를 전하는 열전도부와 세정조 댐퍼 및 외기 댐퍼에 접속한 형상 기억체를 열전도 관계에 배치한 것에서는, 형상 기억체에 의해 댐퍼의 자세를 세정조의 온도에 따른 확실한 설정이 이루어지고, 배기 온도를 저감시키는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세정조 댐퍼의 수압 면적을 외기 댐퍼의 수압 면적보다 크게 한 것에서는, 댐퍼를 개폐하기 위해서 가해지는 힘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 낮은 풍압에서도 세정조 댐퍼의 확실한 개방도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송풍기의 부하를 저감해서 송풍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세정조 댐퍼와 외기 댐퍼의 수압 면적을 거의 동일하게 한 것에서는, 단면적의 큰 통풍로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통풍로에서의 유동 저항을 저감해서 송풍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세정조 댐퍼와 외기 댐퍼의 수압부의 형상을 동일하게 한 것에서는, 댐퍼의 수압 면적이 접근하고 있을 경우라도 댐퍼를 개폐하기 위해서 가해지는 힘의 차를 명확하게 하여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이루어지고, 배기 온도의 냉각 동작 및 건조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댐퍼를, 세정조 댐퍼의 수압부에 상류측을 향해서 오목면부를 마련해서 외기 댐퍼보다도 수압하기 쉽게 한 것에서는, 세정조 댐퍼의 수압 면적을 작게 해도 세정조 댐퍼의 개방도 설정력이 확보되어서 댐퍼 전체의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가능해지고, 댐퍼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댐퍼를 외기 댐퍼의 수압부에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면부를 마련해서 세정조 댐퍼보다도 수압하기 어렵게 한 것에서는, 세정조 댐퍼의 개방도 설정력이 확보되어서 댐퍼 전체의 확실한 개방도 동작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외기 댐퍼에서의 통로 저항의 저감이 이루어져서 송풍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댐퍼를 거의 수직방향으로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로 분기하는 수직 분기부에 배치하고, 댐퍼의 지지 축을 상기 수직 분기부의 대략 수직방향으로 마련한 것에서는, 송풍량을 저감했을 때의 댐퍼의 복귀 동작의 확실성을 높이고,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댐퍼를 거의 수평방향으로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로 분기하는 수평 분기부에 배치하고, 댐퍼의 지지 축을 상기 수평 분기부의 대략 수평방향으로 마련한 것에서는, 송풍량을 저감했을 때의 댐퍼의 복귀 동작의 확실성을 높이고,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수평 분기부를 세정조 내기 통로를 외기 통로의 아래쪽으로 배치한 것에서는, 댐퍼를 자중에 의해 복귀 동작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구성의 간소화에 의한 저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 건조기는, 건조시의 배기 온도의 열풍감의 확실한 방지와 발생하는 고온 고습의 공기 조건에 따른 냉각을 할 수 있으므로, 증기를 발생하는 밥솥이나 전기 주전자 등의 가정용 기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의 풍량 분배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풍량 분배부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풍량 분배부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풍량 분배부에 있어서의 댐퍼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댐퍼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댐퍼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구성도이다.

Claims (18)

  1.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피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와,
    상기 피세정물을 세척하는 세정부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세정조의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와,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배기구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시키는 혼합부와,
    상기 세정조와 상기 혼합부로의 상기 외기의 공급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분배부는 풍압으로 개방도가 변화되는 댐퍼를 세정조 내기 통로와 외기 통로에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에 마련한 세정조 댐퍼와 상기 외기 통로에 마련한 외기 댐퍼를 연결하여 일체화한
    식기 세척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세정조 댐퍼의 개방도가 증대하면 상기 외기 댐퍼의 개방도가 저감하도록 연결되는
    식기 세척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송풍 정지 시에 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풍압이 소정값보다도 낮을 경우에 세정조 내기 통로를 폐지하도록 상기 세정조 댐퍼와 상기 외기 댐퍼를 연결한 연결 자세를 갖는
    식기 세척 건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송풍 정지 시에 중력에 의해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를 폐지하는 방향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 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송풍 정지 시에 가압체에 의해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를 폐지하는 방향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 건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는 상기 세정조 댐퍼와 상기 외기 댐퍼의 연결 각도를 변동 가능하게 하는 자세 설정부가 마련된
    식기 세척 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설정부는 상기 세정조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연결 각도를 변화시키는
    식기 세척 건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설정부는 온도에 따라 형상을 변화시키는 형상 기억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설정부는 상기 댐퍼의 지지축에 마련한 상기 세정조의 온도를 전하는 열전도부와, 상기 세정조 댐퍼 및 상기 외기 댐퍼에 접속된 상기 형상 기억체를 열전도 관계로 배치한
    식기 세척 건조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세정조 댐퍼의 수압(受壓) 면적을 상기 외기 댐퍼의 수압 면적보다도 크게 한
    식기 세척 건조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세정조 댐퍼와 상기 외기 댐퍼의 수압 면적을 동일하게 한
    식기 세척 건조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세정조 댐퍼의 수압부의 형상과 상기 외기 댐퍼의 수압부의 형상을 다르게 한
    식기 세척 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세정조 댐퍼의 수압부에 상류측을 향해서 오목면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외기 댐퍼보다도 압력을 받기 쉽게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외기 댐퍼의 수압부에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면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세정조 댐퍼보다도 압력을 받기 어렵게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와 상기 외기 통로로 분기되는 수직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의 지지축을 상기 수직 분기부의 수직방향으로 마련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와 상기 외기 통로로 분기되는 수평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댐퍼의 지지축을 상기 수평 분기부의 수평방향으로 마련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분기부는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와 상기 외기 통로를 수평방향으로 분기하며,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는 상기 외기 통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식기 세척 건조기.
KR1020080031258A 2007-10-11 2008-04-03 식기 세척 건조기 KR100966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5153A JP4211863B1 (ja) 2007-10-11 2007-10-11 食器洗い乾燥機
JPJP-P-2007-00265153 2007-10-11
JP2008017754A JP2009178231A (ja) 2008-01-29 2008-01-29 食器洗い乾燥機
JPJP-P-2008-00017754 200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79A KR20090037279A (ko) 2009-04-15
KR100966952B1 true KR100966952B1 (ko) 2010-06-30

Family

ID=3970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258A KR100966952B1 (ko) 2007-10-11 2008-04-03 식기 세척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1737B2 (ko)
EP (1) EP2047786B1 (ko)
KR (1) KR100966952B1 (ko)
TW (1) TW2009160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7832B2 (en) 2010-12-13 2014-01-14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119515B2 (en) 2010-12-03 2015-09-0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unitary wash module
US9687135B2 (en) 2009-12-21 2017-06-27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dishwasher with pump assembly
US8746261B2 (en) * 2009-12-21 2014-06-10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drum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918609B2 (en) 2009-12-21 2018-03-20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drum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8667974B2 (en) 2009-12-21 2014-03-1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668636B2 (en) 2010-11-16 2017-06-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hwasher with common heating element for multiple treating chambers
US9113766B2 (en) 2010-11-16 2015-08-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hwasher with common heating element for multiple treating chambers
US9034112B2 (en) 2010-12-03 2015-05-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hared heater
US8733376B2 (en) 2011-05-16 2014-05-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filter assembly
US9107559B2 (en) 2011-05-16 2015-08-1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filter assembly
US9265401B2 (en) 2011-06-20 2016-02-23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010344B2 (en) 2011-06-20 2015-04-2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005369B2 (en) 2011-06-20 2015-04-14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assembly for a dishwasher
US20120318296A1 (en) 2011-06-20 2012-12-20 Whirlpool Corporation Ultra micron filter for a dishwasher
US9861251B2 (en) 2011-06-20 2018-01-09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with artificial boundary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301667B2 (en) 2012-02-27 2016-04-05 Whirlpool Corporation Soil chopping system for a dishwasher
US9237836B2 (en) 2012-05-30 2016-01-19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US9730570B2 (en) 2012-05-30 2017-08-15 Whirlpool Corporation Reduced sound with a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US9451862B2 (en) 2012-06-01 2016-09-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unitary wash module
US9833120B2 (en) 2012-06-01 2017-12-05 Whirlpool Corporation Heating air for drying dishes in a dishwasher using an in-line wash liquid heater
US9532700B2 (en) 2012-06-01 2017-01-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overflow conduit
US9554688B2 (en) 2012-10-23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and methods of cleaning a rotating filter
DE102013101861A1 (de) 2013-02-26 2014-08-28 Miele & Cie. Kg Geschirrspülautomat,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AU2014264851B2 (en) * 2013-05-06 2016-11-24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with improved drying performance
US10595706B2 (en) * 2014-07-23 2020-03-2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air system
US9888829B1 (en) 2015-05-11 2018-02-13 Joseph Bongivengo Forced air drying dishwasher
CN105964191A (zh) * 2016-06-30 2016-09-28 宜兴市前成生物有限公司 一种用于富马酸氧化段反应系统
EP3318286A1 (de) * 2016-11-04 2018-05-09 MELAG Medizintechnik oHG Reinigungs- und desinfektionsgerät sowie verfahren zum desinfizieren eines von einem fluid durchströmbaren bereichs eines solchen geräts
KR102373181B1 (ko) 2017-05-26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TR201721398A2 (tr) * 2017-12-25 2019-07-22 Arcelik As Isi pompali bulaşik maki̇nasi
KR102530168B1 (ko) * 2018-04-12 202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DE102018128709A1 (de) * 2018-11-15 2020-05-20 Miele & Cie. Kg Trocknungseinrichtung für ein wasserführendes Reinigungsgerät
US20230046683A1 (en) * 2021-08-11 2023-02-16 Whirlpool Corporation Air barrier for door condens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37A (ja) * 1996-04-22 1997-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食器乾燥機
JP2000166847A (ja) 1998-12-09 2000-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2003304995A (ja) 2002-04-15 2003-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6628A (en) * 1956-08-07 1962-03-27 Whirlpool Co Drying system for dishwashers
FR2183348A5 (ko) * 1972-05-03 1973-12-14 Rapp Electronik
US4247158A (en) * 1979-07-02 1981-01-27 The Maytag Company Dishwasher airflow drying system
DE3209542C1 (de) * 1982-03-16 1992-05-07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Geschirrspülmaschine
DE3418304A1 (de) * 1984-05-17 1985-11-21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Geschirrspuelmaschine
US4716818A (en) * 1986-03-03 1988-01-05 Air Concepts, Inc. Air distribution device
JPH0292327A (ja) 1988-09-29 1990-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DE3842997C2 (de) 1988-12-21 1994-09-01 Licentia Gmbh Geschirrspülmaschine
JPH03143419A (ja) 1989-10-30 1991-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910141B2 (ja) 1990-04-04 1999-06-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IT1316791B1 (it) 2000-02-25 2003-05-12 Bonferraro Spa Lavastoviglie con ciclo di asciugatura regolabile
EP1142528A3 (de) * 2000-03-03 2002-04-17 AEG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Kondens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hierfür
JP2004017920A (ja) * 2002-06-20 2004-01-22 Sanden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4190693A (ja) 2002-12-06 2004-07-08 Aisan Ind Co Ltd 流路切替弁
ITTO20030553A1 (it) 2003-07-17 2005-01-18 Fiat Ricerche Dispositivo di controllo del flusso di un fluido
US8287842B2 (en) 2004-03-05 2012-10-16 Kao Corporation Toothpaste composition
EP1721559B1 (en) * 2005-05-10 2011-03-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ing machine
DE102005023428A1 (de) * 2005-05-20 2006-11-23 Premark Feg L.L.C. (N.D.Ges.D. Staates Delaware), Wilmington Gewerbliche Geschirrspül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37A (ja) * 1996-04-22 1997-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食器乾燥機
JP2000166847A (ja) 1998-12-09 2000-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2003304995A (ja) 2002-04-15 2003-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7786A1 (en) 2009-04-15
US8231737B2 (en) 2012-07-31
US20090095330A1 (en) 2009-04-16
EP2047786B1 (en) 2016-11-30
TW200916042A (en) 2009-04-16
TWI353233B (ko) 2011-12-01
KR20090037279A (ko)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952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5018201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841858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2008018129A5 (ko)
KR101054553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4211863B1 (ja) 食器洗い乾燥機
JP4952342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530085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978589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013994B1 (ja) 食器洗い乾燥機
JP5003254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924571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508187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5003262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2009178231A (ja) 食器洗い乾燥機
WO2017088934A1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drying washed items in a dishwasher
JP4089746B1 (ja) 食器洗い乾燥機
JP5023782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982876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4941154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1295935B1 (ko) 식기 세척기
TR2021021418A1 (tr) Kurutma etki̇nli̇ği̇ arttirilan bi̇r bulaşik maki̇nesi̇
JPH01126941A (ja) 食器洗浄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