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858B1 - 식기 세척 건조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858B1
KR100841858B1 KR1020070069966A KR20070069966A KR100841858B1 KR 100841858 B1 KR100841858 B1 KR 100841858B1 KR 1020070069966 A KR1020070069966 A KR 1020070069966A KR 20070069966 A KR20070069966 A KR 20070069966A KR 100841858 B1 KR100841858 B1 KR 10084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passage
air volume
damp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126A (ko
Inventor
시게루 이와나가
히로아키 이누이
도루 히로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 세척 건조기는, 세정조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와 송풍기를 갖는 건조부와, 건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건조부는, 배기구의 상류측에 배치한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를 구비하고, 혼합부를 흐르는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유량 비율을 자유롭게 분배 설정하여, 온도 및 습도를 저감한 배기에 의한 열풍감의 확실한 방지와 건조 성능의 향상의 양립이 가능하다.
건조부, 제어부, 혼합부, 세정조, 풍량 분배부

Description

식기 세척 건조기{DISH WASHING AND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키친 등에 설치되어 피 세정물의 수납 및 자동세정, 건조를 실행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세정 종료 후에 피 세정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외기를 세정조 내에 송풍해서 세정조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0-166847 호 공보에는 이러한 식기 세척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피 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201)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202)과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203)를 갖는 세정부(204)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205)와, 세정조(201)에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206)와, 세정조(201)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구(207)와, 배기구(207)에 마련한 외기를 혼합시키는 배기 보조부(208)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배기구에 유입하는 고온 고습의 주류(主流)가 가지는 유체력으로 새로운 외기를 부류(副流)로서 배기에 혼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고온 고습인 세정조(201)내의 배기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지만, 배출되는 바람의 열풍감(熱風感)을 회피할 수 있을 때까지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서는 풍량이 부족하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피 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와, 세정수를 피 세정물에 분출 순환시키는 세정부와,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세정조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와 송풍기를 갖는 건조부와, 건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건조부는, 배기구의 상류측에 배치한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조 운전시는 고온 고습의 세정조 내의 공기(세정조 내기)에 대하여 충분한 양의 외기를 냉각용으로서 혼합부에서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의 냉각과 수분 삭감에 의한 배기의 열풍감의 방지와 건조 성능의 향상의 양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량 분배부를 간소화한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의 풍량 제어부에 의해, 송풍기의 풍량 제어에 의해서도, 확실한 풍량 분배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송풍기의 풍량이 적은 경우부터 충분히 큰 영역까지 전 풍량역에 걸쳐 송풍기의 능력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풍량 제어 폭의 확대에 의한 건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식기 등의 피 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1)의 아래쪽에는, 세정수를 피 세정물에 분출해서 순환시키는 세정 노즐(2)과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펌프(3)를 갖는 세정부(4)와, 세정수를 가열해 승온시키는 가열부(5)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건조부(9)는, 세정조(1) 내의 습기를 배출해서 세정조(1) 내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6)와, 세정조(1) 내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7)를 갖고, 세정조(1)에는 그 아래쪽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0)를 마련하고, 그 윗쪽에는 세정조(1)내의 공기(세정조 내기)를 배출시키는 유출구(11)를 마련하고 있다.
송풍기(6)의 하류측에는 풍량을 분배하는 풍량 분배부(12)를 접속하고, 이 풍량 분배부(12)의 하류측에는, 외기를 혼합부(13)에 도입하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1)의 유입구(10), 세정조(1), 유출구(11)를 거쳐서 혼합부(13)에 연통하는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배치하고 있다. 또 혼합부(13)는, 그 출구측을 배기구(7)에 연통시키고, 혼합부(13)의 입구측을 외기 통로(14) 및 세정조 내기 통로(15)인 유출구(11)에 연통시키고 있다.
이렇게, 풍량 분배부(12)의 상류측에 송풍기(6)를 배치하고, 배기구(7)의 상류측에는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13)를 배치하고 있다. 풍량 분배부(12)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유동 저항을 변화시켜서 풍량을 분배하는 것으로, 혼합부(13)에 있어서의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혼합시의 유량 비율을 변화시킨다.
제어부(16)는 건조부(9)를 제어하는 것으로, 송풍기(6)의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 제어부(17)와, 혼합부(13)의 하류측에 마련한 온도 검지부(18)의 검지 온도를 기초로 제어량을 설정하는 온도 제어부(19)를 갖고 있다.
또한, 풍량 분배부(12)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키는 밸브 본체부(20)를 마련해서 풍량을 분배하는 것으로, 제어부(16)에는 온도 제어부(19)의 신호에 따라 밸브 본체부(20)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개방도 제어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조부(9)는 배기구(7) 및 송풍기(6) 뿐만 아니라, 배기구(7)의 상류측에 배치한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13)와,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세정조(1)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22)를 구비한 급수관(23)과, 세정수를 배수하는 배수밸브(24)를 구비한 배수관(25)이 마련되고, 하우징(26)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슬라이드체(27)에 수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체(27)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통풍구(28)를 마련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풍량 분배부(12)의 단면도이며, 밸브 본체부(2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풍량 분배부(12)는 원통면을 갖는 회동 가능한 밸브 본체부(20)에 의해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개방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도 2에서는, 세정조 내기 통로(15)는 완전 폐쇄되는 동시에 외기 통로(14)는 완전 개방 상태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 건조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26)으로부터 슬라이드체(27)를 인출하여 피 세정물인 식기를 세정조(1)내에 수납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체(27)를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세정을 개시한다. 세정 운전 개시와 함께 급수밸브(22)를 열어서 급수관(23)으로부터 세정조(1)에 급수한다. 그리고, 소정량의 급수가 행하여지면, 급수밸브(22)를 닫아서 급수 정지한다. 다음에, 가열부(5) 및 세정부(4)에 구비된 세정 펌프(3)의 운전에 의해, 세정 노즐(2)로부터 온수를 분출시켜서 피 세정물인 식기에 뿜어 순환시킨다.
세정수가 분출하는 반력에 의해 세정 노즐(2)이 회전하는 것으로 피 세정물에 세정수를 널리 퍼지게 해, 세정성을 높이고 있다. 여기에서는 가열부(5)를 운전해서 온수로 세정하는 경우를 도시했지만, 피 세정물의 오염이 약할 경우는 가열 부(5)를 운전시키지 않고 급수 온도에서 세정하면 좋다. 또한, 피 세정물의 오염이 강할 경우는 세제를 넣어서 세정한다. 세정 운전이 종료하면, 배수밸브(24)를 열어서 세정수를 배수관(25)으로부터 하우징(26)의 외부에 배수한다. 그리고, 배수를 종료하면 배수밸브(24)를 닫는다.
다음에 실행하는 헹굼 운전에서는 세제를 투입하지 않고, 세정 운전과 같이 급수한다. 또한, 가열부(5) 및 세정 펌프(3)의 운전에 의해, 세정 노즐(2)로부터 온수를 분출시켜서, 피 세정물인 식기에 뿜어 온수를 순환시킨다. 이 헹굼 운전의 후에 실행하는 피 세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운전 때문에, 헹굼 운전에서는 피 세정물을 따뜻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70℃ 내지 80℃ 정도의 고온수에서 헹굼 운전을 실시하면, 살균 처리를 할 수 있다. 헹굼 운전 종료 후는, 세정 운전 종료시와 같이, 세정조(1)내의 헹굼 물을 배수한다.
다음에 실행하는 건조 운전에서는, 헹굼 운전에 의해 고온 고습으로 되어 있는 세정조(1)내의 공기를 배출해서 피 세정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송풍기(6)를 운전하는 동시에 풍량 분배부(12)로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분류시켜, 외기를 혼합부(13) 및 세정조(1)에 보낸다. 특히, 고온수로 헹굼 운전을 행하였을 경우는 배기구(7)로부터 세정조(1)내의 고온 고습의 공기를 직접 배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송풍기(6)의 운전 개시시에는, 제어부(16)의 개방도 제어부(21)에 의해, 외기 통로(14)에의 풍량이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풍량보다도 많아지도록, 개구 면적을 제어한다.
이로써, 다량의 외기에 소량의 고온 고습의 세정조 내기를 혼합시킨 배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기에 의한 세정조 내기의 냉각성을 높여서 건조 운전 개시 시에 고온의 배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기에 의한 세정조 내기의 냉각시에 세정조 내기의 수분을 응축시켜서 배수함으로써, 배기 중의 수분을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한 실내 공간으로의 습기의 배출을 적게 해서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밸브 본체부(20)는 송풍기(6)의 운전 개시시에는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완전 폐지 상태로서 폐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외기 통로(14)를 완전 개방 상태로서 서서히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열어 가는 것에 의해, 다량의 외기에 소량의 세정조 내기를 혼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구(7)로부터 고온 고습의 배기가 배출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운전 혹은 헹굼 운전에 있어서, 세정조 내기 통로(15)는 완전 폐지 상태로서 닫히도록 한다. 그 결과, 자연대류에 의해 세정조 내기가 배기구(7)로부터 유출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습기의 유출 저감에 의한 실내 공간의 쾌적성의 향상과 방열의 저감에 의한 에너지 절약화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라, 세정조(1)내로의 외기의 유입에 의해 세정조 내기의 습도가 저하하고, 세정조 내기의 엔탈피가 내려간다. 그 결과, 배기구(7)로부터 유출하는 배기의 온도를 소정치 이하로 냉각하기 위해 필요한 외기 풍량은 적게 끝나게 된다. 따라서, 건조 상태의 진행에 따라 혼합부(13)로의 외기 풍량은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만큼을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돌려서 세정조(1) 내로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피 세정물의 건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온도 검지부(18)의 검지 온도를 기초로, 온도 제어부(19)의 신호에 의해 개방도 제어부(21)에서 풍량 분배부(12)의 밸브 본체부(20)를 스텝핑 모터(도시하지 않음)등으로 구동해서 개방도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풍량 비율을 증가시키면, 건조 촉진이 이루어진다.
이것 때문에, 혼합부(13)에서의 세정조 내로의 외기 혼합 및 풍량 분배 변화에 의한 배기 온도의 안정화와 냉각 촉진으로 배기 온도의 열풍감의 확실한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세정조내 공기의 냉각시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해 세정조 내기 중에 있던 수분의 삭감에 의한 배기의 습도저감의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풍량 분배를 가변 함으로써 고온 배기의 방지와 건조 성능의 확보의 양립이 가능하다.
또한, 회동하는 밸브 본체부(20)가 정지하고 있는 개구위치에 의해, 각 통로로의 통로 저항이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동시에 밸브 본체부(20)의 개구 위치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배 비율의 제어성 및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까지는, 건조 운전시에 가열부(5)를 운전하지 않고, 헹굼 운전시의 피 세정물이 갖는 여열을 이용해서 건조시키는 경우를 설명했다. 또한, 건조 운전시에 가열부(5)를 운전하는 것으로, 세정조(1) 내에 유입구(10)로부터 유입한 외기를 가열 승온 시킴으로써 건조를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열부(5) 근방의 풍속을 높게 유지한 만큼, 가열부(5)의 출력을 크게 해서 건조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건조 운전시에 송풍기(6)의 풍량을 풍량 제어부(17)에서 변화시키는 것으로, 풍량 분배부(12)의 분배 상태에 관계 없이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풍량은 소정치 이상을 확보하면, 유입구(10)에서의 풍속을 높여서 가열부(5)에서의 열전달을 촉진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세정조 내기와 외기의 풍량 비율 제어 폭을 확대해서 배기 온도의 제어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 내기 풍량의 증대에 의해 건조 시간의 단축 혹은 건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의 풍량 제어부(17)에서 송풍기(6)의 풍량을 제어하는 경우 혹은 제어부(16)의 개방도 제어부(21)에서 풍량 분배부(12)의 밸브 본체부(20)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경우의 어느 쪽의 경우라도, 하나의 송풍기(6)의 바람을 분배해서 배기 냉각 및 건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형·저비용화가 가능하고, 또 공용화에 의해 전력 절약화가 이루어진다.
도 3은 풍량 분배부(12)의 밸브 본체부(20)를 회동시켜서 개방도를 변화시켰을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개방도를 크게 하고 외기 통로(14)의 개방도를 작게 하고 있다. 즉, 도면중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유량은 외기 통로(14)의 유량보다도 많게 하고 있다. 이것 때문에 세정조(1)내로의 풍량이 증가하고, 피 세정물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밸브 본체부(20)의 이동에 의해 한 쪽의 개방도가 증가한 만큼, 다른 쪽의 개방도가 저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송풍기(6)로의의 통풍 저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송풍기(6)의 사용 동작 점을 안정화하고, 풍량 변화를 억제하는 것 으로 배기 온도의 제어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온도 검지부(18)의 검지 온도를 기초로 제어부(16)의 풍량 제어부(17)에서 송풍기(6)의 풍량을 제어하는 경우 및 풍량 분배부(12)의 풍량 분배를 변화시키는 경우를 도시했다. 그러나, 건조 운전 경과 시간 에 의하여 풍량 분배를 변화시키는 것은 가능해서, 온도 검지부(18)를 생략해서 저 비용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건조부(9)는 배기구(7)의 상류측에 배치한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13)와,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그 결과, 건조시는 고온 고습의 세정조 내의 공기(세정조 내기)에 대하여 충분 양의 외기를 냉각용으로서 혼합부(13)에서 혼합하고, 배기의 냉각과 수분 삭감에 의한 배기의 열풍감의 방지와 건조 성능의 향상의 양립을 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6)를 풍량 분배부(12)의 상류측에 배치한 것에 의해, 하나의 송풍기(6)에서 건조 및 배기 냉각의 공용화가 이루어지고, 소형·저비용화가 가능하고, 또 공용화에 의해 전력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송풍기(6)의 풍량을 변화시켜서 외기와 세정조 내기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도록 한 것에 의해, 세정조 내기와 외기의 풍량 비율 제어 폭을 확대해서 배기 온도의 제어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세정조 내기 풍량의 증대에 의해 건조 시간의 단축 혹은 건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풍량 분배부(12)는 외기를 혼합부(13)에 도입하는 외기 통로(14)와, 송풍기(6)로부터 세정조(1)를 거쳐서 혼합부(13)에 연통하는 세정조 내기 통로(14)와,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는 밸브 본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그 결과, 밸브 본체부(20)의 개구 위치에 따라 통로 저항이 정해지는 동시에 밸브 본체부(20)의 개구위치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분배 비율의 제어성 및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풍량 분배부(12)는 송풍기(6)의 운전 개시 시에는 외기 통로(14)로의 풍량을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풍량보다도 많아지도록 한 것에 의해, 다량의 외기에 소량의 고온 고십습 세정조 내기를 혼합시켜서 배기함으로써 건조 개시시의 고온 배기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풍량 분배부(12)는 세정 운전중 혹은 헹굼 운전 중에는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폐쇄하도록 한 것에 의해, 자연 대류에 의해 세정조 내기가 배기구로부터 유출하는 것을 저감하여, 습기의 유출 저감에 의한 실내 공간의 쾌적성의 향상과 방열의 저감에 의한 에너지 절약화를 향상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12)의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도 3의 실시형태 1과 동일부재, 동일기능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곳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풍량 분배부(12)는, 유동하는 유체(도면중 화살표로 도시함)의 압력, 즉 송풍기(6)의 풍압으로 개방도가 변화되는 댐퍼(29) 및 댐퍼(59)로 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29)를 외기 통로(14) 에, 댐퍼(59)를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각각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각 통로 중 적어도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댐퍼(59)를 마련해서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통로저항이 외기 통로(14)보다도 커지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외기 통로(14)로의 풍량이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풍량보다 많아진다.
여기서는, 외기 통로(14)에 배치한 복수매의 댐퍼(29a)로 이루어지는 댐퍼(29)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배치한 복수매의 댐퍼(29b)로 이루어지는 댐퍼(59)를,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양쪽 통로에 각각 마련하고 있다. 이 댐퍼(29) 및 댐퍼(59)의 지점(30)은 그 중심보다 윗쪽에 배치해서 지지하고, 수직면으로부터 약간 기울인 밸브 시트(31)로 받도록 해서 자중에 의해 댐퍼(29) 및 댐퍼(59)는 폐쇄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댐퍼(29) 및 댐퍼(59)를 열기 시작하는 풍압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59)보다도 외기 통로(14)의 댐퍼(29)를 낮게 설정하기 때문에, 외기 통로(14)의 댐퍼(29a)의 두께(T1)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b)의 두께(T2)보다 얇게(T1<T2)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외기 통로(14)의 댐퍼(29a)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b)보다도 가볍게 되어 있다. 즉, 외기 통로(14)의 댐퍼(29)는, 열기 시작하는 풍압을,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59)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각 통로에 복수매의 댐퍼(29a) 및 댐퍼(29b)를 마련하는 것으로, 댐퍼(29)의 지점(30)으로부터의 길이(L1, L2)를 짧게 할 수 있고, 댐퍼(29)의 완전 개방시에서도 보다 작은 스페이스(space)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풍량 분배부(12)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각 통로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4에서는, 송풍기(6)의 운전에 의해 높아진 풍압에 의해 외기 통로(14)의 댐퍼(29a)가 열리기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b)는 아직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송풍기(6)로부터 보내진 외기는 도면중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기 통로(14)에 흐르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12)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제어부(16)의 풍량 제어부(17)에서 송풍기(6)의 풍량을 도 4에서의 풍량보다도 증가시켜서 풍압을 높이는 것에 의해,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b)가 개방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송풍기(6)로부터 보내진 외기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양쪽으로 흐르고 있다. 그리고, 외기 통로(14)의 풍량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크기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 내기 통로(15) 보다 많이 흐르고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12)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제어부(16)의 풍량 제어부(17)에서 송풍기(6)의 풍량을 도 5에서의 풍량보다도 더욱 증가시켜서 풍압을 더욱 높이는 것에 의해, 외기 통로(14) 및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a) 및 댐퍼(29b)가 동시에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유량 분배는 풍량 분배부(12)에 의해서는 결정되지 않고, 각 통로에서 의 배기구(7)까지의 전체 압력 손실에 의해 각각 결정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통로압 손실을 외기 통로(14)보다도 작게 한 것으로, 세정조 내기 통로(15)를 형성하는 세정조(1)의 단면적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통로 저항을 외기 통로(14)의 통로 저항보다 작게 하는 설계는 용이하다. 즉, 외기 통로(14)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나, 소정유량 이상에서는 통로 저항이 증대하는 저항부(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면 좋다. 이렇게 설계하는 것에 의해, 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라 운전 도중에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b)가 완전 개방했을 때에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풍량이 외기 통로(14)의 풍량 보다 많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 건조기에 있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세정 및 헹굼 운전은 상술한 대로이다. 또한, 건조 운전에서는, 건조 운전 개시와 함께 송풍기(6)를 운전해서 풍량 분배부(12)에 외기를 보내준다. 우선, 세정조 내기 통로(15)에만 댐퍼(59)를 마련한 경우에서는, 외기 통로(14)의 통로저항이 적으므로 외기 통로(14)로의 풍량이 세정조 내기 통로(15)보다 많아진다. 또한, 혼합부(13)에서 많은 풍량의 외기에 적은 풍량의 고온 고습의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고, 냉각과 수분삭감을 한 배기를 배기구(7)로부터 유출시킨다. 이렇게 세정조 내기 통로(15)에만 댐퍼(59)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송풍기(6)로부터 배기구(7)까지의 통로저항을 작게할 수 있어, 송풍기(6)의 소형화, 저입력화가 가능하다.
다음에, 외기 통로(14)에 댐퍼(29)를 마련하고,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댐 퍼(59)를 마련했을 경우, 송풍기(6)의 운전시에 풍량을 변화시켜도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로의 분배는 유체압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냉각과 수분삭감을 한 배기를 배기구(7)로부터 유출시키므로, 구성의 간소화와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외기 통로(14)의 댐퍼(29)가 개방하기 시작하는 유체압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59)가 개방하기 시작하는 유체압보다도 낮게 하고 있다. 따라서, 외기 통로(14)의 바람이 세정조 내기 통로(15)보다도 먼저 흐르기 시작하게 된다. 그 결과, 배기구(7)로부터 유출하는 배기의 배기 온도는 외기 온도로부터 서서히 상승하는 상태로 할 수 있고, 배기 온도의 오버 슛(over shoot)에 의한 고온배기가 방지된다.
또한, 댐퍼(29)는 유체압에 따라 열리고, 유체압이 저하했을 경우는 댐퍼(29)의 자중에 의해 닫히므로, 열리기 시작하는 조건의 확실한 설정과 유체압이 내려 가면 확실히 폐지할 수 있으므로,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와 저 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의 풍량 제어부(17)에서 송풍기(6)의 풍량을 제어할 때, 외기 통로(14) 및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a) 및 댐퍼(29b)가 함께 완전 개방상태(도 6에 도시함)에 이르지 않는 상태, 즉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b)가 완전 개방하지 않는 풍량의 경우는, 외기 통로(14)측의 풍량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풍량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풍량 분배부(12)를 간소화한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16)의 풍량 제어부(17)에 의해, 송풍기(6)에 의한 풍량 제어보다도, 확 실한 풍량 분배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간소화에 의한 저 비용화와 동작의 신뢰성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또, 제어부(16)의 풍량 제어부(17)에서 송풍기(6)의 풍량을 제어할 때, 외기 통로(14) 및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a) 및 댐퍼(29b)가 함께 완전 개방 상태(도 6에 도시함)에 이르지 않는 상태, 즉,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b)가 완전 개방되지 않는 풍량의 경우는, 외기 통로(14)의 풍량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풍량보다 많게 한다. 또한, 풍량을 더욱 증대시켜서 운전 도중에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29b)가 완전 개방했을 때에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풍량이 외기 통로(14)의 풍량보다도 많게 한다.
그 결과, 풍량 분배부(12)를 간소화한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16)의 풍량 제어부(17)에 의해, 송풍기(6)의 풍량 제어에 의해서도, 확실한 풍량 분배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간소화에 의한 저비용화와 동작의 신뢰성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양쪽 통로의 댐퍼(29a, 29b)가 함께 완전 개방 상태가 되는 풍량 이상에서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풍량이 많아져 건조 성능이 높아진다. 그 결과, 송풍기(6)의 풍량이 적은 경우부터 충분히 큰 영역까지 전 풍량역에 걸쳐 송풍기(6)의 능력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풍량 제어 폭의 확대에 의한 건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댐퍼(29) 및 댐퍼(59)는 그 자중에 의해 폐지하는 구성을 도시했지만, 스프링 등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폐지력을 부여하여도 좋고,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장착 자세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댐퍼(29) 및 댐퍼(59)는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각 통로에 복수매를 배치하는 경우를 도시했지만, 각 통로에 1장으로 형성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보다 저 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댐퍼(29) 및 댐퍼(59)는 형상이나 두께를 바꾸어서 자중을 변경하는 경우를 도시했지만, 추를 부여하거나, 비중이 다른 재료로 변경하거나 하여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풍량 분배부(12)는, 송풍기(6)의 풍압으로 개방도가 변화되는 댐퍼(59)를 세정조 내기 통로(15)에 구비한 것에 의해, 통로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송풍기(6)의 소형화·저입력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풍량 분배부(12)는, 송풍기의 풍압으로 개방도가 변화되는 댐퍼(29) 및 댐퍼(59)를 외기 통로(14)와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양쪽에 구비한 것에 의해, 유체압에 따른 유량 분배가 이루어지므로, 구성의 간소화와 저 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29) 및 댐퍼(59)는, 개방을 시작하는 풍압을 세정조 내기 통로(15)보다도 외기 통로(14)를 낮게 설정하고 있다. 그 결과, 건조 개시시에 외기 통로(14)의 바람이 세정조 내기 통로(15)보다도 먼저 흐르기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 온도는 외기 온도로부터 서서히 상승하는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온도의 오버 샷에 의한 고온 배기를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댐퍼(29) 및 댐퍼(59)는, 지점을 중심 보다 윗쪽에 배치해서 자중에 의해 폐쇄되는 구성으로 하고, 외기 통로(14)는 세정조 내기 통 로(15)보다도 중량을 가볍게 한 것에 의해, 확실한 폐지가 이루어지고, 또한 열기 시작하는 조건의 확실한 설정이 이루어져서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구성의 간소화와 저 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16)는 송풍기(6)의 운전 개시 시에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59)가 완전 개방하지 않는 풍량으로 설정한다. 그 결과, 외기 통로(14)의 풍량을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풍량보다 많게 한 것에 의해, 풍량 분배부(12)를 간소화한 구성에 있어서보다 확실한 풍량 분배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간소화에 의한 저 비용화와 동작의 신뢰성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16)는 송풍기(6)의 운전 개시시에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59)가 완전 개방하지 않는 풍량으로 설정하고, 외기 통로(14)의 풍량을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풍량보다 많게 한다. 또한, 제어부(16)는 운전 도중에 세정조 내기 통로(15)의 댐퍼(59)가 완전 개방했을 때에는, 세정조 내기 통로(15)측의 풍량이 외기 통로(14)의 풍량보다 많게 한다. 그 결과, 풍량 분배부(12)를 간소화한 구성에 있어서보다 확실한 풍량 분배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간소화에 의한 저 비용화와 동작의 신뢰성 향상을 양립할 수 있고, 또한 풍량 제어 폭의 확대에 의한 건조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동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단면도,
도 3은 동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단면도,
도 5는 동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동 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부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정조 2 : 노즐
3 : 세정 펌프 4 : 세정부
5 : 가열부 6 : 송풍기
7 : 배기구 9 : 건조부
12 : 풍량 분배부 13 : 혼합부
14 : 외기 통로 16 : 제어부
17 : 풍량 제어부 22 : 공급 밸브
24 : 배수 밸브 26 : 하우징
27 : 슬라이드 체 29, 59 : 댐퍼

Claims (12)

  1. 피 세정물을 수납하는 세정조와,
    상기 피 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출 순환시키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세정조의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와 송풍기를 갖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배기구의 상류측에 배치한 외기와 세정조 내기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외기와 상기 세정조 내기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는 풍량 분배부를 구비한
    식기 세척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풍량 분배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식기 세척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기의 풍량을 변화시켜서 상기 외기와 상기 세정조 내기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도록 한
    식기 세척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분배부는,
    상기 외기를 상기 혼합부에 도입하는 외기 통로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세정조를 거쳐서 상기 혼합부에 연통하는 세정조 내기 통로와,
    상기 외기 통로와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키는 밸브 본체부를 구비한
    식기 세척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분배부는, 상기 송풍기의 운전 개시시에는 상기 외기 통로로의 풍량을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로의 풍량보다도 많아지도록 한
    식기 세척 건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분배부는, 세정 운전중 또는 헹굼 운전 중에는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를 폐쇄하도록 한
    식기 세척 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분배부는, 상기 송풍기의 풍압에 의해 개방도가 변화되는 댐퍼를 세정조 내기 통로에 구비한
    식기 세척 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풍압에 의해 개방도가 변화하는 댐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풍량 분배부는, 상기 댐퍼를 외기 통로와 세정조 내기 통로의 양쪽에 구비한
    식기 세척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통로의 상기 댐퍼는, 개방하기 시작하는 풍압을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상기 댐퍼보다 낮게 설정한
    식기 세척 건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지점을 중심보다 윗쪽에 배치해서 자중에 의해 폐쇄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외기 통로의 상기 댐퍼는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상기 댐퍼보다 도 중량을 가볍게 한
    식기 세척 건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기의 운전 개시시에는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상기 댐퍼가 완전 개방하지 않는 풍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외기 통로의 풍량을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풍량보다 많게 한
    식기 세척 건조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기의 운전 개시시에는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상기 댐퍼가 완전 개방하지 않는 풍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외기 통로의 풍량을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풍량보다 많게 하고, 또한 운전 도중에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상기 댐퍼가 완전 개방했을 때에는, 상기 세정조 내기 통로의 풍량이 상기 외기통로의 풍량보다 많게 한
    식기 세척 건조기.
KR1020070069966A 2006-07-14 2007-07-12 식기 세척 건조기 KR100841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93816 2006-07-14
JP2006193816A JP4238887B2 (ja) 2006-07-14 2006-07-14 食器洗い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126A KR20080007126A (ko) 2008-01-17
KR100841858B1 true KR100841858B1 (ko) 2008-06-27

Family

ID=3899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966A KR100841858B1 (ko) 2006-07-14 2007-07-12 식기 세척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38887B2 (ko)
KR (1) KR100841858B1 (ko)
CN (2) CN201085610Y (ko)
TW (1) TW2008082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8887B2 (ja) * 2006-07-14 2009-03-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JP4844300B2 (ja) * 2006-09-04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JP4508251B2 (ja) * 2008-03-12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JP4548506B2 (ja) * 2008-04-17 2010-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CN101936650B (zh) * 2010-08-06 2012-01-25 爱阔特(上海)清洗设备制造有限公司 产品在清洗机干燥槽内的自动加热方法
JP6145637B2 (ja) * 2013-04-23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CN105147219B (zh) * 2015-10-19 2018-06-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风机干燥系统
ES2673213B1 (es) * 2016-12-20 2019-03-26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sellador para un artículo doméstico
JP7054767B2 (ja) * 2017-09-28 2022-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08185966B (zh) * 2017-12-29 2024-09-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道口组件及洗碗机
CN110840357B (zh) * 2018-08-21 2022-11-11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出气口结构及洗碗机
DE102018128709A1 (de) * 2018-11-15 2020-05-20 Miele & Cie. Kg Trocknungseinrichtung für ein wasserführendes Reinigungsgerät
CN109846439A (zh) * 2019-01-02 2019-06-0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干燥装置、洗碗机和洗碗机的除湿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9073U (ko) 1973-10-24 1975-06-19
JPS5113170U (ko) 1974-07-17 1976-01-30
JPS6379853U (ko) 1986-11-14 1988-05-26
JPH01280434A (ja) * 1988-05-06 1989-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H04338439A (ja) * 1991-05-15 1992-11-25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H07184822A (ja) * 1993-12-28 1995-07-25 Toshiba Corp 食器洗い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201390D1 (de) * 1991-07-02 1995-03-23 Miele & Cie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den Spülraum mit der Umgebungsluft verbindenden Entlüftungsöffnung oder dergl.
JPH10165349A (ja) * 1996-12-06 1998-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IT1316791B1 (it) * 2000-02-25 2003-05-12 Bonferraro Spa Lavastoviglie con ciclo di asciugatura regolabile
DE10106514A1 (de) * 2001-02-13 2002-08-29 Miele & Cie Trocknungsgebläse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JP4238887B2 (ja) * 2006-07-14 2009-03-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9073U (ko) 1973-10-24 1975-06-19
JPS5113170U (ko) 1974-07-17 1976-01-30
JPS6379853U (ko) 1986-11-14 1988-05-26
JPH01280434A (ja) * 1988-05-06 1989-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H04338439A (ja) * 1991-05-15 1992-11-25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H07184822A (ja) * 1993-12-28 1995-07-25 Toshiba Corp 食器洗い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25768B (ko) 2010-06-11
TW200808250A (en) 2008-02-16
JP2008018129A (ja) 2008-01-31
KR20080007126A (ko) 2008-01-17
CN201085610Y (zh) 2008-07-16
CN101103896A (zh) 2008-01-16
JP4238887B2 (ja) 2009-03-18
CN101103896B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858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5018201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966952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2008018129A5 (ko)
JP4238919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670595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2191960B1 (ko) 식기 세척기
JP2008279026A (ja) 食器洗い乾燥機
CN107647834B (zh) 热泵式洗碗机
JP4978589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211863B1 (ja) 食器洗い乾燥機
JP4013994B1 (ja) 食器洗い乾燥機
JP4952342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5003254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508187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5003262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089746B1 (ja) 食器洗い乾燥機
JP5023782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982876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4530085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2009178232A (ja) 食器洗い乾燥機
JP4924571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4497180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S594606Y2 (ja) 食器洗い機
JP4007086B2 (ja) 食器洗い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