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905B1 -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905B1
KR100963905B1 KR1020080025847A KR20080025847A KR100963905B1 KR 100963905 B1 KR100963905 B1 KR 100963905B1 KR 1020080025847 A KR1020080025847 A KR 1020080025847A KR 20080025847 A KR20080025847 A KR 20080025847A KR 100963905 B1 KR100963905 B1 KR 10096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flam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574A (ko
Inventor
정영순
Original Assignee
정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순 filed Critical 정영순
Priority to KR1020080025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90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예방 효과가 있으면서도 점착력이 보호 유지되어 시공 불량을 방지하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며, 사용 수명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를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시 분리 제거되는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의 표면에 도포 처리되는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과; 상기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의 위로 도포되어 형성하는 일반 점착제도포층과; 일반 점착제에 난연재를 혼합하여 형성한 방염 점착제를 상기 일반 점착제도포층 위로 도포하여 형성하는 방염 점착제 도포층과; 상기 방염 점착제도포층에 접착하여 적층되고 상기 이형지와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일반 및 방염 점착제 도포층이 전사되어져 오며, 상기 이형지의 분리시 MDF 판재 등의 표면에 접착하여 장식하게 되는 필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염 점착시트제품, 일반점착제, 방염점착제

Description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Adhesive shee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건물 내벽면의 마감 처리나 건축용재등으로 사용하는 MDF 판재의 표면 장식 및 광고용 시트지로 사용되는 점착 시트 제품으로서, 특히 화재 방지를 위해 방염 처리된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광고판 등의 표면에 적층되는 광고용 필름이나 실내 인테리어에 많이 사용되는 MDF판재의 표면 장식용 필름(30)에는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그의 이면에 방염 점착제(31) 처리를 한 후 이형지(32, 종이 이형지 또는 필름 이형지)를 붙여 점착제층을 보호토록 하여, 예를 들어 MDF 판재에 무늬목 처리를 위해 사용시 이형지(32)를 떼어낸 후 나무 무늬가 인쇄되어 있는 필름지(30)를 MDF 판재 표면에 접착시키면 그 필름지(30) 이면에 도포된 방염 점착제층(31)이 MDF 판재 표면에 접착되어 MDF판재가 그 필름지(30)의 무늬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이 MDF 판재 표면에 특수한 무늬, 예를 들면 나무무늬등이 인쇄된 필름지(30)를 접착시켜 사용하는 이유는, 건축용재나 가구등에 천연목을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는 MDF 판재가 나무 톱밥을 압축 성형하여 형성한 것이어서 강도 가 크고 값이 싸며, 갈라질 우려가 거의 없어 값싼 건축 및 가구 재료로 각광 받고 있으나, MDF 판재는 심미성이 없어 노출된 상태로는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비록 인공적이기는 하지만 장식미를 주기 위하여 무늬목 등이 인쇄된 얇은 필름지(30)를 표면에 코팅시키므로써 마치 원목인듯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보이는 건축 내장재 및 가구재로서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MDF 판재가 나무톱밥을 압축시켜 성형한 것이므로 천연 목재에 비해 발화점이 낮아 화재에 취약하고 또 화학약품들이 첨가되어 있어 화재시 유독 물질을 내뿜게 되어 화재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건축 자재라고 볼 수는 없다.
이를 반영하여 MDF 판재 등의 표면에 적층시키게 되는 점착시트제품(일명 무늬목지라 함, 33)에 방염 처리를 의무화하여 화재에 강하도록 하므로써, 화재시 바로 점화되어 유독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MDF 판재의 발화를 지연시켜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시간을 벌어주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경우 필름지(30) 이면에 방염 점착제층(31)을 형성함에 있어 아크릴계등의 일반 점착제(접착제)에 난연재로서 돌가루나 안티몬계 또는 브롬계열의 성분들을 첨가하여 방염성을 가지도록 처리한 점착제를 필름지(30)의 접착 물질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방염 시트 점착 제품(30)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먼저 이형지(32)의 표면에 실리콘(34)을 도포하되, 액상으로 된 실리콘(34)이 이형지(32)에 흡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이형지(32) 표면에 PE 코팅층(35)을 형성하도록 프라이머 처리하고, 그 PE 코팅층(35) 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층(34)을 형성하며, 그 실리콘 층(34) 위로 방염 점착제를 도포하여 방염 점착제층(31)을 형성하고 건조시킨 후 그 방염 점착제층(31)에 나무 무늬 등이 인쇄되어 있는 필름지(30)를 붙여 제조하며, 방염 점착시트제품(33)이 통상 연속적으로 제조되어 롤상으로 감겨서 공급되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시 필름지(30) 이면의 이형지(32)를 떼어내면, 처음에 이형지(32)측에 도포된 방염점착제층(31)이 필름지(30)로 전사되어 필름지(30)에 붙게 되는 반면, 점착제와 친화력이 없는 실리콘층(34)으로 인해 이형지(32)는 방염점착제층(31)으로 부터 손쉽게 분리되어 필름지(30)를 MDF 판재 등에 붙여 표면 장식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통상의 점착제, 예를 들면 아크릴 점착제나 우레탄 점착제, 또는 고무계 점착제나 핫멜트 점착제 등에 방염을 위해 돌가루 등의 난연재 성분이 혼합되므로써 점착제의 경시 변화에 따라 장기적으로 점착력의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방염 점착시트제품(33)의 사용전 장기 보관 또는 사용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제품에 문제를 일으키게 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염 점착시트제품(33)이 생산되면 이들을 판매하는 판매대리점에 공급되어 보관되다가 사용자에게 판매되어지게 되는 것인데, 판매대리점에서는 롤상으로 감아진 제품을 벽면등에 세워 보관하게 되고, 실내 조건에 따라 햇볕 또는 습기를 포함한 온 습도의 심한 변화를 겪게 되기 때문에 장시간 판매되지 아니하고 재고로 보관되는 경우 약 10개월 정도가 지나게 되면 햇볕이나 온 습도 변화 등의 요인으로 경시 변화가 나타나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부득이 폐기 처분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 하여 자원의 낭비 요인이 될 뿐 아니라 재고 부담에 의한 폐기 상황을 대비하여 제품가를 높게 유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생산 즉시 판매되어 사용된 경우라 하더라도 잘 접착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기도 하고 수년이 지나면 점착력의 현저한 저하로 MDF판재 표면에 라미네이트된 필름지(30)가 들뜨게 되는 등으로 인해 유지 보수 비용을 증대시키거나 또는 시공된 MDF 판재를 뜯어내고 조기에 재시공을 하게 되므로써 낭비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화재 예방 효과가 있으면서도 점착력이 보호 유지되어 시공 불량을 방지하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며 사용 수명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를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염 점착시트 제품은 사용시 분리 제거되는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의 표면에 도포 처리되는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과; 상기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의 위로 도포되어 형성하는 일반 점착제도포층과; 일반 점착제에 난연재를 혼합하여 형성한 방염 점착제를 상기 일반 점착제도포층 위로 도포하여 형성하는 방염 점착제 도포층과; 상기 방염 점착제도포층에 접착하여 적층되고 상기 이형지와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일반 및 방염 점착제 도포층이 전사되어져 오며, 상기 이형지의 분리시 MDF 판재 등의 표면에 접착하여 장식하게 되는 필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방염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은 롤상의 이형지를 풀어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되는 이형지의 표면에 실리콘 이형제를 롤러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의 표면으로 롤러 방식에 의해 일반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일반 점착제의 도포층 위로 일반 점착제에 난연재를 혼합하여 형성한 방염 점착제를 롤러 방식에 의해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방염 점착제가 도포된 이형지를 계속해서 이송하면서 건조로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 처리된 이형지에 롤상으로 권회된 필름지를 풀어 이송시켜 상기 방염 점착제 도포층에 의해 점착되도록 합지시키는 필름지 합지 단계와;
상기 이형지와 필름지를 합지시켜 완성한 방염 접착 시트 제품을 롤상으로 말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지를 이형지와 합지 처리함에 있어서 필름지에 화재에 견디도록 난연재 성분을 혼합시킨 방염 점착제가 도포되고, 그 방염 점착제 도포층 위로 점착력이 강하고 오래 유지되는 일반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중의 점착제 도포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방염 점착 시트 제품의 오랜 보관이 가능하여 미판매 상태로 보관되는 재고품의 점착력 저하를 방지하여 폐기율을 크게 낮추어 자원낭비 및 원가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또 시공된 상태에서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경시 변화에 따른 점착력 저하 현상이 작기 때문에 사용 수명이 오래 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염 점착 시트 제품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염 점착 시트 제품의 생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 본 발명의 방염 점착 시트 제품은 부호 1로 표시하였다.
상기한 방염 점착시트제품(1)은 종이 이형지 또는 필름 이형지로서 되는 이형지(2)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되는데, 이 이형지(2)에는 시공시 점착제로부터 박리가 쉽게 되도록 실리콘 이형제를 도포하여 실리콘 이형제층(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실리콘 이형제층(4)은 액상이며 또 다른 물질에 흡수되는 성질이 있어 흡수성이 큰 종이로 된 이형지(2)에 도포하였을 때 이형지(2)측에 흡수되어 고유 성질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PE 수지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형지(2)에 도포하여 PE수지코팅층(3)을 형성한 후 그 PE수지코팅층(3) 위로 상기 실리콘이형제층(4)을 형성토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실리콘이형제층(4)에는 일반 점착제도포층(5)과 방염 점착제도포층(6)이 순차적으로 도포 형성되고, 그 방염 점착제도포층(6) 위로 필름지(7)가 점착되어 상기 이형지(3)와 합지된다.
상기한 일반 점착제(접착제)로는 흔히 본드라고도 불리우는 아크릴 점착제, 우레탄 점착제, 고무제 점착제 및 핫멜트 점착제 등이 쓰여지며, 상기한 방염 점착제로는 상기한 일반 점착제에 난연재로서 돌가루나 안티몬계 또는 브롬계등을 선택적으로 혼합시켜 불에 강하게 한 것으로, 또 방염 점착제로 시중에 나와 있는 부림케미칼(주)의 모델명 BAS 1035와 1036 제품 또는 임덕화학(주)의 FR 1000 과 FR 3000 모델 제품 또는 A & G LAB 사의 AS-500 제품 또는 진광화학의 JK-750 제품등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점착제가 2회에 걸쳐 롤러 코팅 방식에 의해 도포되는데, 일반 점착제 도포층(5)의 도포 두께는 10~30㎛으로 코팅되며, 상기한 방염 점착제도포층(6)은 25~60㎛의 두께로 코팅되도록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한 필름지(7)는 특정 색상의 단색의 것도 가능하나 보다 미려한 장식을 위해 나무 무늬 등 다양한 무늬가 인쇄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그 필름지(7)를 이형지(2)측에 합지시키게 되면, 필름지(7)측으로 양측의 점착제도포층(5)(6)이 전사되어지게 되어 점착제 도포층(5)에 밀착하여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실리콘이형제층(4)에 의해 비접착 상태하에 있는 이형지(2)를 필름지(7)로부터 잡아 떼어내게 되면 실리콘 이형제층(4)이 일반 점착제도포층(5)으로부터 분리되어져, 점착제도포층(5)(6)은 필름지(7)측에 있고 실리콘 이형제층(4)은 이형지(2)측에 존재하는 상태로 양자가 분리되며, 이형지(2)를 분리시킨 필름지(7)를 MDF판재 등에 접착시키면 일반점착제 도포층(5)이 강력한 접착력을 발휘하고, 그것과 필름지(7)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방염 점착제도포층(6)은 화재시 불꽃이 MDF 판재측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도중에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방염 점착시트제품(1)의 제조 공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키로 한다.
보빈(8)에 롤상으로 감아져 공급된 이형지(2)를 견인로울러(9) 구동에 의해 인출하여 이송시킨다.
이송되는 동안 제1도포로울러(10)를 통해 PE수지(11)를 도포하게 되며(PE수지 도포 결과는 A부로 상세 표시), PE수지도포층(3)이 형성된 후(이 단계는 선택적 공정임) 다음 단계에서 제2도포로울러(12)를 통과하면서 실리콘이형제(13)를 PE수지도포층(3) 위로 도포한다(그 결과를 B부 상세에 표시).
실리콘이형제층(4)이 도포 형성된 이형지(2)는 계속해서 이송이 진행되어 제3도포로울러(14)를 통과하면서 일반 점착제(15)를 도포하게 된다(그 결과는 C부 상세에 표시).
상기 일반 점착제 도포층(5)이 형성된 이형지(2)는 제4도포로울러(16)를 통과하면서 방염점착제(17)를 도포하게 된다(그 결과를 D부 상세에 표시). 방염점착제도포층(6)이 형성된 이형지(2)는 계속해서 이동되면서 도중에 건조로(18)를 통과하게 된다. 이 건조로(18)는 열풍 또는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점착제도포층(5)(6)이 건조되도록 한다.
건조가 끝난 이형지(2)는 다음 단계로 보빈(19)에 롤상으로 귄취되어 있어 견인로울러(9A, 9)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지(7)와 합지용 로울러(20)에서 합쳐져 하나로 접착하게 되며, 이때의 가압력에 의해 방염 점착제 도포층(6)이 필름지(7)에 전사되어지게 되어 떨어지지 않게 되는 반면 실리콘이 코팅된 이형지(2)는 일반 접착제 도포층(5)과는 유리된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형지(2)를 필름지(7)로부터 잡다 떼어내면 스므스하게 박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합지되므로써 완성된 방염 점착시트 제품(1)은 보빈(21)에 귄취되어 롤상을 형성한 후 판매대리점 또는 시공자에게 보내져 MDF 판재 등의 표면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모든 단계의 공정들이 하나의 공장 설비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PE코팅과 실리콘 이형제의 코팅 작업을 별도 공장에서 실시한 후 PE 및 실리콘 이형제가 프라이머 처리된 이형지를 공급받아 점착제의 코팅 및 필름지 합지 공정을 실시하는 등의 분리 제작 방식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염 점착 시트 제품의 단면 구조를 확대시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염 점착 시트 제품의 생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염점착시트제품 2 : 이형지
3 : PE수지코팅층 4 : 실리콘이형제층
5 : 일반 점착제도포층 6 : 방염점착제도포층
7 : 필름지 8 : 보빈
9,9A : 견인로울러 10 : 제1도포로울러
11 : PE수지 12 : 제2도포로울러
13 : 실리콘이형제 14 : 제3도포로울러
15 : 일반점착제 16 : 제4도포로울러
17 : 방염점착제 18 : 건조로
19 : 보빈 20 : 합지용 로울러
21 : 보빈

Claims (2)

  1. 사용시 분리 제거되는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의 표면에 도포 처리되는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과; 상기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의 위로 도포되어 형성하는 일반 점착제 도포층과; 일반 점착제에 난연재를 혼합하여 형성한 방염 점착제를 상기 일반 점착제 도포층 위로 도포하여 형성하는 방염 점착제 도포층과; 상기 방염 점착제 도포층에 접착하여 적층되고 상기 이형지와 합지된 상태에서 상기 일반 점착제 도포층 및 방염 점착제 도포층이 전사되어져 오며, 상기 이형지의 분리시 MDF 판재 의 표면에 접착하여 장식하게 되는 필름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판재에 접착시 상기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과 이형지가 분리되고, 상기 일반 점착제 도포층과 방염 점착제 도포층은 상기 필름지에 전사된 후 상기 일반 점착제 도포층을 통해 판재에 접착되어 상기 방염 점착제 도포층이 상기 일반 점착제 도포층과 필름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점착 시트 제품.
  2. 롤상의 이형지를 풀어 이송시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에 의해 공급되는 이형지의 표면에 실리콘 이형제를 롤러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이형제 도포층의 표면으로 롤러 방식에 의해 일반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일반 점착제의 도포층 위로 일반 점착제에 난연재를 혼합하여 형성한 방염 점착제를 롤러 방식에 의해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방염 점착제가 도포된 이형지를 계속해서 이송하면서 건조로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 처리된 이형지에 롤상으로 권회된 필름지를 풀어 이송시켜 상기 방염 점착제 도포층에 의해 점착되도록 합지시키는 필름지 합지 단계와;
    상기 이형지와 필름지를 합지시켜 완성한 방염 접착 시트 제품을 롤상으로 말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점착 시트 제품의 제조방법.
KR1020080025847A 2008-03-20 2008-03-20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847A KR100963905B1 (ko) 2008-03-20 2008-03-20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847A KR100963905B1 (ko) 2008-03-20 2008-03-20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574A KR20090100574A (ko) 2009-09-24
KR100963905B1 true KR100963905B1 (ko) 2010-06-17

Family

ID=4135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847A KR100963905B1 (ko) 2008-03-20 2008-03-20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567B1 (ko) 2017-01-26 2017-09-05 주식회사 가야 터널 현상이 개선된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849B1 (ko) * 2018-07-12 2020-01-13 황재우 착용물 접착용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684Y1 (ko) * 1999-08-19 2000-02-15 김규환 라벨용 열전사지
KR20020019625A (ko) * 2000-08-05 2002-03-13 김규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라벨용 열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4746A (ko) * 2004-03-24 2004-10-06 주식회사 마프로 방염 잉크젯 출력소재
KR20050000675A (ko) * 2003-06-24 2005-01-06 권수안 점착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684Y1 (ko) * 1999-08-19 2000-02-15 김규환 라벨용 열전사지
KR20020019625A (ko) * 2000-08-05 2002-03-13 김규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라벨용 열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0675A (ko) * 2003-06-24 2005-01-06 권수안 점착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84746A (ko) * 2004-03-24 2004-10-06 주식회사 마프로 방염 잉크젯 출력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567B1 (ko) 2017-01-26 2017-09-05 주식회사 가야 터널 현상이 개선된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574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3564B2 (ja) 不燃断熱シートとそ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4852B1 (ko)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를 갖는 바닥재
CA2496972C (en) Packaging prefinished fiber cement products
MX2013009384A (es) Metodos mejorados de fabricacion de materiales de insonorizacion con caracteristicas de fractura optimizadas.
US8281535B2 (en) Packaging prefinished fiber cement articles
KR100963905B1 (ko) 방염 점착 시트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05271585A (ja) 調湿不燃性化粧板
JP2008115642A (ja) 建築用板材
KR102229710B1 (ko) 알루미늄을 이용한 난연 친환경 인테리어 필름과 그의 제조방법
KR100873298B1 (ko)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042648A (ja) 暗視時における天然木突板木目導管部分の自発光による可視化
JP3812991B2 (ja) 耐熱性化粧板の製造方法
JP7484170B2 (ja) 不燃シート
JP7484171B2 (ja) 不燃シート
KR20200045293A (ko) 디자인시트가 부착된 불연 무기질 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6720496B2 (ja) 不燃性防湿化粧板及び建具
JP2001293703A (ja) 三次元形状の木質建材
JP7434720B2 (ja) 不燃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不燃シート
JP2011140847A (ja) 下地処理用シート
JP2002138657A (ja) 仮設ハウス用木質床材
JP7310177B2 (ja) 不燃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87621A (ja) 不燃化粧板
WO2003028994A1 (en) Wall covering comprising a veneer top layer
JP2022017299A (ja) 化粧ボード
JP6850942B2 (ja) 不燃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