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298B1 -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298B1
KR100873298B1 KR1020070073587A KR20070073587A KR100873298B1 KR 100873298 B1 KR100873298 B1 KR 100873298B1 KR 1020070073587 A KR1020070073587 A KR 1020070073587A KR 20070073587 A KR20070073587 A KR 20070073587A KR 100873298 B1 KR100873298 B1 KR 10087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resin
adhesive
pvc
decora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휘
임문택
방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7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접착수지층; 및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인테리어 장식시트,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직포, 부직포, 글라스 페이퍼, 글라스 파이버

Description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Interior decora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접착수지층을 이용하여 접합한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인테리어 장식시트는 다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식적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쇄 또는 전사방식으로 금속, 목재 및 직물 등의 디자인을 부여한 인쇄층 위에 투명층을 적층 또는 합판한 후 열을 이용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로 질감 및 표면 입체감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특수 UV 도장 또는 특수 표면처리제로 코팅하여 내오염성, 청소 용이성, 내마모성, 내습성 등을 부여하였다.
상기 인쇄 등에 의한 인테리어 장식시트는 표면질감이나 피부접촉시의 촉감이 실제 직물을 사용한 것에 비해 떨어진다. 따라서, 실제 직물을 이용함으로써 직물 조직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보다 온화하고 고급스러운 장식적 효과를 달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한 예로, 한국특허공개 제1989-1736호에는 투명 수지층 사이에 섬유를 넣고 증기 가열압착하는 장식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 인테리어 장식시트로는 PVC 레더층과 직물로 구성된 레더시트에 단순 점착제를 코팅한 레더 인테리어 제품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투명 수지층 사이에 섬유를 넣고 증기 가열압착하는 장식용 시트의 경우, 직물이 가지는 표면질감 및 입체감의 표현이 상실되어 수지층으로만 이루어진 장식용 시트와 큰 차별성이 없고, 서로 소재가 달라 접합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박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VC 레더층과 직물로 구성된 레더시트에 단순 점착제를 코팅한 레더 인테리어 제품의 경우, 레더시트의 부착을 위한 점착제로 PVC 레더층에 포함된 가소제가 이동되어(Migration), 점착제의 노화를 빠르게 촉진시키고, 6개월 이상 지나면 점착력이 많이 약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점착제가 빠르게 노화됨에 따라, 시공 시 점착제가 다른 기재 예를 들어 MDF(Midium Density Fiberboard)에 붙지 않거나 붙였다 하더라도 금방 박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레더 인테리어 제품의 경우, 직물층에 점착제를 직접 코팅하게 되므로, 직물층에 점착제가 안착이 되지 못해, 시공 시 점착제가 다른 기재 예를 들어 MDF로 넘어가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레더 인테리어 제품의 경우, 다양한 소재를 접목한 장식시트의 제조 및 미려한 외관을 창조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 올레핀계 기재층을 접착수지층을 이용하여 접합한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포함함에 따라, 시공 시 인테리어 장식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의 노화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크게 증대시키고, 점착제의 안착성을 확보함으로써 점착제의 전사가 일어나지 않아 우수한 제품 신뢰성 및 우수한 시공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레더(leather) 특유의 부드러움 및 터치감을 살릴 수 있으면서, 우수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상태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접착수지층; 및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는,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포함 함에 따라, 시공 시 인테리어 장식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의 노화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크게 증대시키고, 점착제의 안착성을 확보함으로써 점착제의 전사가 일어나지 않아 우수한 제품 신뢰성 및 우수한 시공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레더(leather) 특유의 부드러움 및 터치감을 살릴 수 있으면서, 우수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상태로서, 인테리어 장식시트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접착수지층; 및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을 포함한다. 이들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에 적층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하부면에 부착된 이형지;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 위에 적층된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 위에 적층된 발포층; 상기 발포층 위에 적층된 스킨층; 상기 스킨층 위에 형성된 인쇄층; 상기 인쇄층 위에 형성된 표면처리층; 상기 스킨층 위에 형성된 엠보층; 및 상기 엠보층 위에 형성된 표면층 중 적어도 한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으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두께는 5㎛ 내지 수백㎛일 수 있으나, 인테리어 필름 특성상 시공성을 고려하여 30㎛이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으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은 상기 발포층 및 상기 스킨층에 포함된 가소제가 각 접착수지층과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을 통과하여 점착층으로 이동되는 것(Migration)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가소제란 인테리어 장식시트를 유연하기 위해 상기 발포층 및 상기 스킨층 제조 시 첨가되는 것이나, 유연하게 만드는 대신 이동되어 점착층을 노화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은 가소제가 점착층으로 이동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주어 장기간 보관시도 점착층이 노화되지 않음에 따라 시공 시 인테리어 장식시트가 쉽게 부착되도록 하고 장시간 지나 도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이 잘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시 점착층이 다른 기재 예를 들어 MDF(Midium Density Fiberboard)로 넘어가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여기서, 얇은 필름 형태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기재층으로 사용하게 되면, 우수한 시공성 및 가공성 확보가 가능하며, 레더(leather) 특유의 부드러움 및 터치감을 그대로 간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일 수 있으며, 이처럼 상기 기재층이 얇게 형성되면, 레더(leather)특유의 부드러움을 그대로 간직할 수 있게 하여 시공시에도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이 12 내지 25㎛의 얇은 두께를 갖는 경우, 레더(leather) 특유의 부드러움 및 터치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두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수지층은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소재가 서로 다른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긴밀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수지층이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치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착수지층은 초산비닐계 접착수지, 에틸렌초산비닐(EVA)계 접착수지, 우레탄계 접착수지, 우레탄계 접착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혼합물, 아크릴계 접착수지, 및 아크릴계 접착수지와 에폭시계 경화제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접착수지가 상기 예시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수지를 사용하여 상기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접착수지의 안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된 접착수지 중 에틸렌초산비닐(EVA)계 접착수지는 접착력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상기 접착수지층의 두께는 1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직포층을 형성하는 직포로는 T/C 평직류 또는 메리야스(knit)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로는 레이온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페이퍼의 경우, 그램(g/㎡), 두께(㎛), 및 수지 함량(%)별로 여러 등급(Grade)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든 등급(Grade)의 글라스 페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파이버의 경우, 상기 글라스 페이퍼처럼 여러 등급(Grade)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든 등급(Grade)의 글라스 파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은 부드러운 발포층 및 스킨층의 전체적인 후가공을 가능하게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치수안정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은 스킨층 및 발포층이 수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이를 완충할 수 있도록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 및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은 부드러운 발포층 및 스킨층을 잡아주기 위해 1kgf 이상의 인장 및 인열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의 두께는 20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 위에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은 소재가 서로 다른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과 발포층을 긴밀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은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과 상기 발포층이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부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의 두께는 1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 위에 상기 발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은 엠보가 부드럽고 깊게 잘 성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포층이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에 레더 특유의 소프트함, 쿠션감 및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은 폴리염화비닐(PVC)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및 기타첨가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의 두께는 50 내지 1000㎛일 수 있다.
상기 발포층 위에 상기 스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은 폴리염화비닐(PVC)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소제, 안정제, 및 기타첨가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외관층에 해당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스킨층이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스킨층 위에 엠보형성 및/또는 인쇄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20 내지 300㎛일 수 있다.
상기 스킨층 위에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표면은 표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그라비아 인쇄법, 전사인쇄법, 프렉소 인쇄방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무늬 또는 색상을 띠도록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으로 무늬를 부여하여 레더 자체의 외관과 인쇄무늬의 조화를 통해 더욱 자연스러운 장식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방법은 상기 인쇄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쇄방법에 사용되는 잉크로는 각 방법에 따라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잉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인쇄층을 형성한 후에 메쉬롤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표면처리제로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등 다양하나, 아크릴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고 표면처리된 스킨층 위에 엠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엠보층은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고 표면처리된 스킨층 위에 성형된 복수의 엠보를 포함한다.
상기 엠보층은 진공 엠보층, 실리콘 엠보층, 및 스틸엠보층 중 어느 한 층일 수 있으며, 진공 엠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엠보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레더 특유의 터치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각 엠보의 높이는 1 내지 600㎛일 수 있다.
상기 엠보층이 형성된 스킨층 위에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은 표면 물성강화 및 방오 등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그 두께는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은 상기 엠보층이 형성된 상기 스킨층의 표면을 와이핑처리, 탑-인쇄처리, 및 최종표면처리 중 적어도 한 처리방법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와이핑(wiping)처리한 후, 탑-인쇄처리하고, 최종 표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최종표면처리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멜라민계 및 실리콘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롤코팅이나 메쉬롤로 코팅하는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 이에,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에 내오염성, 내마모성 및 내열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계 표면처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내마모성이나 내용제성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준비되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시공현장에서 재단후 즉시 대상 면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상의 편리함과 비용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층은 제품 시공 시 벽체 및 기둥소재 등 피착재와의 부착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점착층으로는 아크릴계 또는 라바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아크릴계가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에 점착층을 부착시키는 경우, 점착층의 안착성 확보를 위해,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을 코로나 처리한 후, 점착층을 부착시킬 수 있다.
코로나 처리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 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에 요철이 형성되므로, 점착층의 안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오염 및 권취된 인테리어 장식시트 간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층의 외면에 이형지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는, 점착층의 보호, 제품보관성 증대, 및 제품의 평활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형지의 두께는 5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로서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은,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 올레핀계 기재층을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 상태에는 전술한 실시 상태에서 설명한 내용이 모두 적용됨은 물론이다.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 위에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 위에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층 위에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 상기 발포 층; 및 상기 스킨층은 캐스팅 공법에 의해 하나의 시트로 선제작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접착수지로 상기 선제작된 시트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접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캐스팅 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캐스팅 공법이라 함은, 우선 이형지에 나이프코팅, 콤마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스킨층을 도포하고 건조오븐을 통과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오븐의 온도는 스킨층이 충분히 겔링되도록 50 내지 20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킨층은 PVC 레진, 가소제, 안정제, 난연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적절한 비율로 포함하며, 건조 후 스킨층의 두께는 2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스킨층 위에 발포층을 적층하기 위해, PVC레진, 가소제, 안정제, 난연제, 발포제, 및 기타첨가제를 적정 비율로 블렌딩하여 나이프나 콤마코팅 방법으로 적층시킨 후 발포오븐을 통과시켜 발포시킨다. 발포오븐의 온도는 10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 후 발포층은 50 내지 1000㎛의 후도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발포층 위에 PVC 접착수지나 PU(폴리우레탄) 접착졸을 나이프나 콤마코팅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직포, 부직포, 글라스 페이퍼, 및 글라스 파이버 중 어느 하나를 라인 위에 걸어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하나와 발포층을 붙인 후 건조오븐을 통과시킨다. 건조오븐의 온도는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하나와 PVC 접착수지가 붙은 상태로 잘 겔링되도록 50 내지 200℃의 범위로 적절히 조절한다.
이와 같이, 이형지위에 스킨층; 발포층;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우레탄(PU) 접착수지층; 및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을 적층한 후, 이형지는 박리시켜 재활용한다.
이러한 공정을 모두 거치면서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 PVC 또는 PU 접착수지층; 발포층; 및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캐스팅 레더 반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킨층 위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 위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인쇄층 형성단계 및 표면처리층 형성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제조한 캐스팅 레더 반제품을 인쇄기로 가지고 와서, 상기 스킨층 위에 인쇄를 하는데 인쇄는 그라비아, 전사인쇄 등이 있으나 그라비아 인쇄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비아 인쇄로 기본 인쇄를 한 후 메쉬롤을 사용하여 표면처리 한다.
인쇄는 기본적인 무늬 혹은 색상이 될 수 있으며, 이때 보통 1도 ~ 4도 정도 인쇄한다. 이러한 인쇄 후 표면처리를 1차로 진행한다.
표면처리는 메쉬롤을 사용하며 40메쉬(mesh)에서 200메쉬(mesh) 롤(roll)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표면처리제는 아크릴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나 우레탄계도 사용 가능하다.
인쇄 및 표면처리 후, 용제의 휘발 등을 위해, 건조오븐을 통과하게 되며, 건조오븐의 온도는 3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으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상기 폴리 올레핀계 기재층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두께는 5㎛ 내지 수백㎛일 수 있으나, 인테리어 필름 특성상 시공성을 고려하여 30㎛이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 올레핀계 기재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으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접합하는 접착수지는 초산비닐계 접착수지, 에틸렌초산비닐(EVA)계 접착수지, 우레탄계 접착수지, 우레탄계 접착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혼합물, 아크릴계 접착수지, 및 아크릴계 접착수지와 에폭시계 경화제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위에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위에 콤마코팅, 나이 프코팅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오븐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 올레핀계 기재층 위에 상기 접착수지층을 형성하거나, 티-다이(T-Die)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수지를 압출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위에 상기 접착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건조오븐의 온도는 50 내지 300℃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접합할 때, 100 내지 200℃의 열과 1 내지 10kgf/㎠의 압력을 가하여 접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과 앞서 제조된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 PVC 또는 PU 접착수지층; 발포층; 및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캐스팅 레더 반제품을 접합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스팅 레더 반제품과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은 엠보기 및 기타 합판 가능한 설비에서 제작가능하나 보통 엠보기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엠보기는 합판롤 및 예열 히터 및 예열 드럼을 가지고 있으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의 일면에 예열 드럼을 통과시키거나 예열히터를 통과시켜 합판이 잘 되도록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 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을 충분히 가열한다.
마찬가지로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 올레핀계 기재층도 예열 드럼을 통과시키거나 예열히터를 통과시켜 접착수지가 충분히 잘 녹도록 한 후 합판롤에서 열과 압력으로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의 일면과 접착수지층의 일면이 맞닿아 합판가능하도록 한다. 열은 보통 100 내지 200℃정도로 가하며 압력은 1 내지 10kgf/㎠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킨층 위에 엠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진공엠보, 실리콘 엠보, 및 스틸엠보 중에서 선택된 1종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엠보형성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인쇄된 캐스팅 레더 반제품과 접착수지층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이 합판된 상태로 다시 엠보기 언와인더(Unwinder)로 가져 온다.
상기 제품을 예열드럼이나 예열히터를 통해 제품에 엠보 성형이 가능하도록 예열한 다음, IR(infrared rays) 히터를 통과시킨 직후 스킨층과 발포층 쪽으로 엠보성형을 한다.
여기서, 엠보롤에 진공을 가하고 흡착시켜 진공엠보을 성형하거나 실리콘 엠보 또는 스틸 엠보를 성형할 수 있다.
예열 드럼이나 예열히터는 보통 50 내지 150℃의 적절한 온도로 상기 캐스팅 레더 반제품을 예열을 시키고, IR히터는 엠보성형 전 보통 100 내지 250℃의 충분 한 열을 가해 표면에 엠보성형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엠보형성단계 후, 상기 엠보층이 형성된 스킨층 위에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을 와이핑하는 단계, 탑-인쇄하는 단계, 및 최종표면처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핑은 와이핑 코터기에서 진행하고, 탑-인쇄(Top-인쇄) 및 최종표면처리는 일반 인쇄기에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가지 기계를 인라인으로 하여, 와이핑 후 최종표면처리 또는 탑-인쇄 후 최종표면처리 또는 와이핑, 탑-인쇄 후 최종표면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엠보 성형된 상기 캐스팅 레더 반제품을 와이핑, 탑-인쇄 및 최종표면처리함으로써, 외관을 외려하게 하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와이핑은 잉크를 엠보성형된 부분에 올린 후 나이프로 긁어서 엠보골 사이에 잉크를 들어가게 하는 기술이며, 반대로 탑-인쇄는 엠보가 튀어나와 있는 부분에 잉크를 올려 외관을 차별화시키는 기술이다.
최종표면처리는 인쇄 및 엠보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즉, 표면물성을 올리기 위해서 진행하며, 보통 그라비아 메쉬롤 방식으로 처리가능하다. 이때, 40 내지 200 메쉬롤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처리제로는 아크릴계가 바람직하나, 우레탄계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에 점 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에 코로나 처리한 후, 상기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하부면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형지에 아크릴 점착제를 100~300g/㎡의 양으로 도포하고 건조오븐을 통과하여 용제성분을 충분히 휘발시킨 후 점착층 두께를 10~200㎛ 범위 내에 용도에 맞도록 선택하여 작업한다.
건조오븐의 온도를 50 내지 180℃를 유지하며 건조되어 나온 이형지 및 점착층과 기 제조된 캐스팅 레더 반제품을 라미롤로 합판하여 점착층까지 포함된 최종 완제품을 만든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10); 접착수지층(20);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30);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40); 발포층(50); 스킨층(60); 스킨층(60)의 상부면에 형성된 인쇄층(미도시); 인쇄층(미도시) 위에 형성된 표면처리층(미도시); 인쇄층 및 표면처리층이 형성된 스킨층(60)의 상부면에 형 성된 엠보층(미도시); 및 엠보층 위에 형성된 표면층(7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준비되어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점착층(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10)의 하부면을 코로나 처리한 후, 점착층(8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점착층(80)의 오염 및 권취된 인테리어 장식시트 간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층(80)의 외면에 이형지(90)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제조방법은, ①스킨층(60)을 형성하는 단계; ②스킨층(60)의 하부면에 발포층(50)을 형성하는 단계; ③발포층(50)의 하부면에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40)을 형성하는 단계; ④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40)의 하부면에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파이버층 중 어느 한 층(30)을 형성하는 단계; ⑤스킨층(60)의 상부면에 인쇄하고, 인쇄 후 표면처리하는 단계; ⑥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10)에 접착수지층(20)을 형성하는 단계; ⑦ 상기 ① 내지 ⑤ 단계에서 제조된 캐스팅 레더 반제품과 접착수지층(20)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10)을 합판하는 단계; ⑧ 인쇄되고 표면처리된 스킨층(60)의 표면에 진공 엠보(미도시)를 형성하는 단계; ⑨ 진공 엠보가 형성된 스킨층(60)의 상부면을 와이핑 처리, 탑-인쇄처리, 및 최종표면처리하여 표면층(70)을 형성하는 단계; ⑩이형지(90)에 점착층(80)을 형성하고, 이형지(90)가 부착된 점착층(80)을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10)의 하부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를 하기 방법으로 테스트하고, 그 결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와, 비교예로서 PET 기재층을 포함하지 않는 인테리어 장식시트를 하기 방법으로 테스트 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였다.
실시예[PET 기재층(有)] 비교예[PET 기재층 (無)]
표면층의 두께 : 20㎛ 표면층의 두께 : 20㎛
엠보층을 형성하는 엠보의 높이 : 300㎛ 엠보층을 형성하는 엠보의 높이 : 300㎛
인쇄층의 두께 : 10㎛ 인쇄층의 두께 : 10㎛
PVC 스킨층의 두께 : 100㎛ PVC 스킨층의 두께 : 100㎛
PVC 발포층의 두께 : 200㎛ PVC 발포층의 두께 : 200㎛
PVC 접착수지층의 두께 : 50㎛ PVC 접착수지층의 두께 : 50㎛
직포(T/C5045)층의 두께 : 300㎛ 직포(T/C5045)층의 두께 : 300㎛
EVA 접착수지층의 두께 : 60㎛
PET 기재층의 두께 : 12㎛
점착층의 두께 : 70㎛ 점착층의 두께 : 70㎛
이형지의 두께 : 200㎛ 이형지의 두께 : 200㎛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80˚ 필 테스트( Peel Test )
180˚ 필(Peel)은 가장 기본적인 점착물성을 알아보는 테스트 방법이다.
① 인테리어 장식시트를 가로 1 인치(1 inch), 세로 30cm로 자른 후 이형지를 반쯤 벗겨낸다.
② 이형지를 벗겨 드러난 점착제를 스테인리스 스틸(SUS) 판에 2kg추를 이용하여 분당 30cm의 속도로 붙인 후 20분 동안 방치한다.
③ 20분 후 인장기를 이용해 박리력을 측정한다.
이를 통해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평판 시공시 부착력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단위 비교예 PET 기재층 (無) 실시예 PET 기재층(有) 비고
180° 필(Peel) 상온 g/in 1800 1700 PET 기재층 존재시 제품을 노화시켜도 필(Peel)이 거의 떨어지지 않음.
65℃×3일 노화 g/in 1000(-45%) 1650(-2.9%)
표 2를 통해, PET 기재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경우 점착제 노화 방지효과가 우수하고 점착력이 우수하나, PET 기재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경우 본 발명과 대비하였을 때 노화물성 및 점착력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20 : 접착수지층
30 :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층, 또는 글라스 파이버층
40 :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
50 : 발포층
60 : 스킨층
70 : 표면층
80 : 점착층
90 : 이형지

Claims (17)

  1.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 접착수지층;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 및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의 하부면은 코로나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코로나 처리된 하부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하부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지층은 초산비닐계 접착수지, 에틸렌초산비닐(EVA)계 접착수지, 우레탄계 접착수지, 우레탄계 접착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혼합물, 아크릴계 접착수지, 및 아크릴계 접착수지와 에폭시계 경화제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 위에 적층된 발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 위에 적층된 폴리염화비닐(PVC) 스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스킨층 위에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한 인쇄무늬층 또는 색상층인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위에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표면처리제로 형성된 표면처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및 상기 표면처리층이 형성된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스킨층 위에 형성된 진공 엠보층, 실리콘 엠보층 또는 스틸 엠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진공 엠보층, 실리콘 엠보층 또는 스틸 엠보층이 형성된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스킨층의 표면에 아크릴계, 우레탄계, 멜라민계 및 실리콘계 표면처리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표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
  15. 삭제
  16.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 또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층을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직포층, 부직포층, 글라스 페이퍼(Glass Paper)층, 및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층 중 어느 한 층 위에 폴리염화비닐(PVC) 접착수지층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에서는 100 내지 200℃의 열과 1 내지 10kgf/㎠의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70073587A 2007-07-23 2007-07-23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587A KR100873298B1 (ko) 2007-07-23 2007-07-23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587A KR100873298B1 (ko) 2007-07-23 2007-07-23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298B1 true KR100873298B1 (ko) 2008-12-11

Family

ID=4037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587A KR100873298B1 (ko) 2007-07-23 2007-07-23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2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08B1 (ko) * 2009-03-04 2009-06-08 태경전산폼(주) 유성잉크조성물을 이용한 인쇄물
WO2011071270A3 (ko) * 2009-12-09 2011-11-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1184220B1 (ko) 2012-02-15 2012-09-19 주성권 환경 친화적인 방수 또는 방수/방근용 폴리올레핀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방수/방근용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CN110834484A (zh) * 2019-11-19 2020-02-25 东莞市悠悠美居家居制造有限公司 立体对花压纹台布的生产工艺
DE102017124299B4 (de) 2016-10-19 2024-05-23 Hyundai Motor Company Herstellungsverfahren von Kunstleder mit dreidimensionalem Mus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103A (ja) * 1992-11-02 1994-05-27 Mitsubishi Rayon Co Ltd 装飾品
JP2004114428A (ja) * 2002-09-25 2004-04-15 Shinko Kasei Kk 化粧板
JP2005193524A (ja) 2004-01-07 2005-07-21 Okamoto Ind Inc 車両内装材用ポリオレフィン系シート
KR100507962B1 (ko) 2001-09-07 2005-08-1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103A (ja) * 1992-11-02 1994-05-27 Mitsubishi Rayon Co Ltd 装飾品
KR100507962B1 (ko) 2001-09-07 2005-08-1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4114428A (ja) * 2002-09-25 2004-04-15 Shinko Kasei Kk 化粧板
JP2005193524A (ja) 2004-01-07 2005-07-21 Okamoto Ind Inc 車両内装材用ポリオレフィン系シー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08B1 (ko) * 2009-03-04 2009-06-08 태경전산폼(주) 유성잉크조성물을 이용한 인쇄물
WO2011071270A3 (ko) * 2009-12-09 2011-11-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CN102695755A (zh) * 2009-12-09 2012-09-26 Sk新技术株式会社 用于内饰片/膜的聚烯烃组合物
US8470920B2 (en) 2009-12-09 2013-06-25 SK Innovations, Co., Ltd. Polyolefin composition for an interior sheet/film
KR101283219B1 (ko) 2009-12-09 2013-07-05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인테리어 시트/필름용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1184220B1 (ko) 2012-02-15 2012-09-19 주성권 환경 친화적인 방수 또는 방수/방근용 폴리올레핀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방수/방근용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DE102017124299B4 (de) 2016-10-19 2024-05-23 Hyundai Motor Company Herstellungsverfahren von Kunstleder mit dreidimensionalem Muster
CN110834484A (zh) * 2019-11-19 2020-02-25 东莞市悠悠美居家居制造有限公司 立体对花压纹台布的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6851B (en) Decorative melamine sheet laminated floor covering
KR100409016B1 (ko) 표면층에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을 포함하는바닥장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6338B1 (ko) 양각된 그리고 고온-용융 적층된 멀티-레이어드 합성물 필름
CN110621500A (zh) 用于生产涂层、建筑镶板和经涂覆的箔的方法
KR100873298B1 (ko)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5824A (ko) 쿠션기능이 있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타일 타입바닥장식재
CN102627015A (zh) 制造板状产品的方法以及由该方法制造的板状产品
JP2000127306A (ja) 建材用化粧シ―ト
US5637171A (en) Method of preparing polyvinyl chloride sheets for membrane press forming
JP3864456B2 (ja) 化粧シート
KR20080040078A (ko) 수지를 피복 코팅한 섬유 원사로 만든 직물을 사용한바닥장식재
JP2008082119A (ja) 床材
US7253126B2 (en) Shelf liner
JPH0462055A (ja) 化粧材シート
KR101262444B1 (ko) 입체 엠보효과의 성형시트
JP2002038698A (ja) 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7763A (ja) 床材
KR101118109B1 (ko) 디지털 프린팅이 된 인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JP2020116946A (ja) 不燃シート
KR20020065151A (ko) 표면층 및 이면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을포함한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JP5634656B2 (ja) 床材
JP3558148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20112925A (ko) 데코레이션시트 및 그의 2차성형 방법
JPH1199598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イルムを基材とする積層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35336A (ja) 横柄エンボス化粧シート及び横柄エンボス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