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770B1 -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770B1
KR100962770B1 KR1020070107092A KR20070107092A KR100962770B1 KR 100962770 B1 KR100962770 B1 KR 100962770B1 KR 1020070107092 A KR1020070107092 A KR 1020070107092A KR 20070107092 A KR20070107092 A KR 20070107092A KR 100962770 B1 KR100962770 B1 KR 10096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hot wire
sensor
control mode
opera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543A (ko
Inventor
류이치 모리
다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37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10Compensation for variation of ambient temperatur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12Means for adjustment of "on" or "off" operat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열선 센서에 의한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하의 온·오프를 전환하고, 전환된 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키는 것을, 조작 핸들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오작동을 저감하여 전환하는 것이다.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는, 인체로부터의 열선을 검지하는 열선 센서(5)와, 조영면에 배치되는 기체(2)의 전방면(230)에 회동가능하게 축부(231)에 의해 피봇 지지되는 조작 핸들(3)과, 기체(2)의 전방면(230)에 노출되어 조작 핸들(3)에 의해 누름 구동되는 조작자(610)를 갖고 기체(2)에 수납되는 조작 스위치(61)를 구비한다. 또한, 조작자(610)가 조작 핸들(3)에 의해 일정 시간 이상 눌려지면, 열선 센서(5)가 열선을 검지했을 때에 조명 부하를 점등시키는 제 1 제어 모드를, 조명 부하의 점등과 소등을 전환하고, 열선 센서(5)에 의한 열선의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환된 상태를 조명 부하가 지속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회로부(6)의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AUTOMATIC SWITCH HAVING A HEAT RAY SENSOR}
본 발명은 부하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부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종래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수동 스위치의 전환 조작마다 조명 부하의 강제 점등, 적외선 센서에 의한 자동 점등, 소등과 상태를 천이시키거나, 또는 조명 부하가 점등하고 있으면 소등, 소등하고 있으면 점등으로 천이시키는 인체 검출 기능을 갖는 배선 기구(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제 2001-237085 호 공보(단락 0040, 0041 및 제 1 도)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에는, 부하(조명 부하)를 오프(소등)시키더라도 소정 시간 경과후, 다시 인체 검출 대기 상태로 자동 복귀하므로, 열선 센서에 의한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하를 장시간 오프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열선 센서에 의한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하의 온·오프를 전환하고, 전환된 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키는 것을, 조작 핸들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오동작을 저감하여 전환할 수 있는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부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로서, 조영면에 배치되는 기체와, 인체로부터의 열선을 검지하는 열선 센서와, 상기 기체의 전방면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지지되는 조작 핸들과, 상기 기체의 상기 전방면에 노출되어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해 누름 구동되는 조작자를 갖고 상기 기체에 수납되는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자가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이상 눌려지면, 상기 열선 센서가 상기 열선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하를 온으로 제어하는 제 1 제어 모드를, 상기 부하의 온·오프를 전 환하고, 상기 열선 센서에 의한 상기 열선의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환된 상태를 상기 부하가 지속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부하가 오프일 때는 상기 부하를 미리 결정된 제 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으로 하고, 상기 부하가 온일 때는 상기 부하를 상기 제 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오프로 제어하는 제 3 제어 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 1 제어 모드 또는 상기 제 2 제어 모드일 경우에, 상기 조작자가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해 상기 제 1 시간 미만 눌려지면, 상기 제 1 제어 모드 또는 상기 제 2 제어 모드를 상기 제 3 제어 모드로 전환하고, 그 후 상기 제 2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1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열선 센서에 의한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하의 온·오프를 전환하고, 전환된 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키는 것을, 조작 핸들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오동작을 저감하여 전환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열선 센서가 유효 시간중이라도, 조작 핸들에의 단시간의 누름 조작에 의해, 부하가 오프일 때에 온으로 일시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부하가 온인 것을 오프로 할 수 있으므로, 부하에의 쓸데없는 전력 공급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영면(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되는 기체(器體)(2)와, 기체(2)의 전방면(230)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지지되는 조작 핸들(3)과, 조작 핸들(3)의 전방면측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장착되는 핸들 커버(4)와, 인체로부터의 열선을 검지하는 열선 센서(5)와, 조명 부하(L)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회로부(6)를 구비하고, 상용 전원(AC)(도 4 참조) 및 조명 부하(L)의 직렬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부하로서 조명 부하(L)를 사용하고 있지만, 조명 부하(L) 이외의 부하이어도 좋다. 이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의 외관 사시도를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기체(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상이고, 전방면 개구된 합성 수지제의 몸체(20)와, 후방면 개구된 합성 수지제의 커버(21)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체(2)는 규격화된 단위 모듈 치수(1개 모듈 치수)의 매립형 배선 기구 3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된 일련(一連)용 모듈이다. 또한, 기체(2)의 좌우 방향(도 1의 Y축 방향)의 치수는 후술하는 기존의 매립 배선 기구용의 장착 프레임(7)의 창 구멍(70)의 좌우 방향(짧은 변 방향)과 거의 동일하다.
몸체(20)는 상면(200) 및 하면의 각각에 일체로 마련된 조립 돌기(201, 201)를 한쌍씩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20)에는, 후술하는 전원 단자(652, 653)나 부 하 단자(654, 655)로 이루어진 단자 그룹(202)이 수납된다.
한편, 커버(21)는 상면(210) 및 하면 각각의 후연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조립편(211, 211)을 한쌍씩 구비하고 있다. 이 커버(21)는, 각 조립편(211)의 조립 구멍(212)에 몸체(20)의 조립 돌기(201)가 결합함으로써, 몸체(20)와 서로의 개구를 맞추도록 결합한다.
또한, 커버(21)는, 좌우 방향(도 1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인 우측벽(213)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장착 프레임(7)의 기구 장착 구멍(72)에 결합가능한 장착 클로(claw)(214)를 1쌍 구비하고, 좌측벽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장착 프레임(7)의 기구 장착 구멍(72)에 결합가능한 장착 클로(도시하지 않음)를 2쌍 구비하고 있다. 커버(21)의 우측벽(213)에는, 한쌍의 장착 클로(214)가 돌출 마련된 부위의 상하 양측부에 후단이 개방된 2개의 절결 홈(215, 215)이 전후 방향(도 1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2개의 절결 홈(215, 215) 사이의 부위에, 두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휨 부재(21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1)내에 있어서 휨 부재(216)의 이면측에는 빈곳이 형성되고, 휨 부재(216)를 커버(21)의 내측으로 휘게 함으로써, 휨 부재(216)에 마련된 한쌍의 장착 클로(214, 214)를 커버(21)의 측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후퇴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장착 프레임(7)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착 프레임(7)은, 규격화된 단위 모듈 치수(1개 모듈 치수)의 매립형 배선 기구를 긴 변 방향(도 1의 Z축 방향)으로 3개를 나란히 장착가능한 일련의 것이다. 이러한 장착 프레임(7)의 창 구멍(70)을 둘러싸는 양측편(71, 71)에는, 배선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 장착 구 멍(72···)이 3쌍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구 장착 구멍(72···)에 커버(21)의 장착 클로(214)가 결합함으로써, 기체(2)가 장착 프레임(7)에 고정된다. 기체(2)를 장착 프레임(7)에 장착할 때는, 커버(21)의 좌측벽에 마련된 장착 클로(도시하지 않음)를 장착 프레임(7)의 기구 장착 구멍(72)에 삽입하는 동시에, 우측벽(213)에 마련된 장착 클로(214, 214)를 커버(21)의 측면으로부터 후퇴시키도록 하여, 장착 프레임(7)의 창 구멍(70)에 기체(2)의 전방부를 삽입하면, 우측벽(213)의 장착 클로(214, 214)가 기구 장착 구멍(72)에 삽입되어서 기체(2)가 장착 프레임(7)에 유지된다. 한편, 기체(2)를 분리할 때는, 휨 부재(216)를 커버(21)의 내측으로 압입하도록 하면, 휨 부재(216)에 마련된 장착 클로(214, 214)가 기구 장착 구멍(72)으로부터 빠져서, 장착 프레임(7)으로부터 기체(2)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장착 프레임(7)의 상하의 프레임편(73, 73)의 각각에는 박스 나사(740, 740)를 관통 삽입하기 위한 긴 구멍(74, 74)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긴 구멍(74)에 관통 삽입된 박스 나사(740)가, 예컨대 벽면 등의 조영면에 매설된 매립 박스의 나사부(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장착 프레임(7)이 조영재(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고, 이 장착 프레임(7)에 유지된 기체(2)의 후방부는 조영재에 매설된다. 더욱이, 각 프레임편(73)에는 플레이트 나사용의 나사 구멍(75···)이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7)은 전방면측에서, 합성 수지에 의해 장방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플레이트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나사 고정된다. 이 플레이트 프레임의 전방면측에 화장 플레이트(76)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레이트 프레임 및 화장 플레이트(76)에는, 각각 장착 프레임(7)의 창 구멍(70)보다도 길고 또한 폭이 넓은 창 구멍(760)이 형성되고, 상기 창 구멍(760)을 통해서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의 전방면이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커버(21)에는 원형의 창 구멍(220, 221)이 2개 형성되고, 이들 창 구멍(220, 221)보다 작은 원형의 창 구멍(222)이 1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21)의 전방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대(22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대(223)의 전방면에는 개구(22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26)의 상하에는 반달모양의 돌출부(227, 22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버(21)는, 조작 핸들(3)을 피봇 장착하기 위해, 전방면(230)의 좌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마련된 한쌍의 축부(231, 231)를 구비하고 있다. 각 축부(231)의 전단부는 커버(21)의 긴 변 방향을 따른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3)은, 좌우 방향이 화장 플레이트(76)의 창 구멍(760)의 좌우 방향(짧은 변 방향)과 거의 동일한 치수로 되고, 상하 방향이 창 구멍(760)의 상하 방향(긴 변 방향)의 거의 3분의 2의 치수로 되도록, 합성 수지에 의해 장방형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조작 핸들(3)은 좌측부(30)의 배면에 마련된 베어링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베어링부가 커버(21)의 축부(231, 231)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지지됨으로써, 조작 핸들(3)은 기체(2)의 전방면(230)의 상반부를 덮는 형태로 기체(2)의 전방면(230)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또한, 조작 핸들(3)은, 커버(21)의 전방면(230)에 노출되는 후술의 조작자(610)와 대향하는 부위에 마련된 누름 돌기(31)를 이면에 구비하고 있다. 조작 핸들(3)의 우측부(32)가 누름 조작되면, 조작 핸들(3)이 축부(231, 231)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동하고, 조작 핸들(3)의 누름 돌기(31)에 의해 조작자(610)가 눌려져서, 조작 스위치(61)가 온으로 된다. 한편, 누르는 힘이 조작 핸들(3)로부터 없어지면, 조작 핸들(3)이 조작자(610)의 반력 등을 받아서 복귀 위치로 복귀하여, 조작 스위치(61)가 오프로 된다. 또한, 조작 핸들(3)은, 축부(231, 231)에 의해 피봇 지지된 좌측연부를 장착 프레임(7)의 전방면에 면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조작 핸들(3)의 좌측부(30)를 누르더라도, 조작 핸들(3)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핸들(3)은 박육부(薄肉部)(33)를 갖고, 이 박육부(33)에 있어서의 커버(21)의 창 구멍(220, 221)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후술하는 동작 유지 시간 설정부(설정 조작부)(62) 및 밝기 센서 조정부(63)를 각각 관통 삽입시키기 위해, 이 동작 유지 시간 설정부(62) 및 밝기 센서 조정부(63)에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 창(34, 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핸들(3)에 있어서, 좌측부(30)의 상하 방향(도 1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도광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끼워넣어지는 투과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 부재는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투과 구멍(36)에 끼워넣은 상태로 조작 핸들(3)의 배면측에 장착된다. 이로써, 기체(2)내에 수납된 발광 다이오드(LD)의 조사광은 조작 핸들(3)에 유지된 도광 부재를 통해서 조작 핸들(3)의 투과 구멍(36)으로부터 전방으로 출사되도록 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LD)는 예컨대 색이나 점등 상태에 따라서 동작 모드를 표시하 는 것이다. 예컨대 색에 의한 표시의 경우, 조명 부하(L)를 연속 점등하고 있을 때는 적색으로 점등하고, 자동 점등중일 때는 녹색으로 점등하고, 조명 부하(L)를 강제 소등하고 있을 때는 소등한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점등 상태에 의한 표시의 경우, 조명 부하(L)를 연속 점등하고 있을 때는 연속 점등하고, 자동 점등중일 때는 점멸하고, 조명 부하(L)를 강제 소등하고 있을 때는 소등한다.
조작 핸들(3)이 커버(21)의 상측에 장착되는 것에 대하여, 커버(21)의 하측에는 화장 커버(37)가 장착된다. 화장 커버(37)에는, 커버(21)의 관통 삽입 구멍(225)의 좌우 방향(도 1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 삽입 구멍(370)이 형성되고, 개구(226)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371)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 커버(4)는, 조작 핸들(3)의 박육부(33)를 덮도록, 조작 핸들(3)의 전방면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장착되어 있다. 핸들 커버(4)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치수는 각각 박육부(33)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핸들 커버(4)의 측부의 상하 양단부로부터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아암(40, 40)이 마련되고, 각 아암(40)의 선단부에는, 조작 핸들(3)의 상하 양측면에 마련된 축 구멍(38)에 피봇 지지되는 회동축(41, 41)이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 핸들(3)의 축 구멍(38)에 아암(40)의 회동축(41)을 피봇 지지시킴으로써, 핸들 커버(4)는 개구 창(34, 35)을 노출시키는 위치와, 개구 창(34, 35)을 덮는 위치를 선택가능하도록 조작 핸들(3)의 전방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핸들 커버(4)를 이용함으로써, 핸들 커버(4)를 폐쇄했을 때에 박육부(33)의 대부분을 숨길 수 있으므로, 깔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열선 센서(5)는 예컨대 집전 소자 등의 센서 소자를 구비하고, 미리 설정된 영역내에 존재하는 인체로부터의 열선을 검지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회로부(6)의 회로 기판(60)에 실장되어 있다. 이 열선 센서(5)는, 예컨대 CdS나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등의 밝기 센서(50)와 일체로 구성되고, 이 밝기 센서(50)에 의해 주위의 밝기를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열선 센서(5)는 전방면측을 센서 커버(51)로 덮여 있다. 센서 커버(51)에는, 열선 센서(5)를 노출시키는 검지 창(5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검지 창(510)을 통해서, 열선 센서(5)는 인체로부터의 열선을 외부로부터 검지한다. 센서 커버(51)는 커버(21)와 회로부(6)에 협지되도록 하여 기체(2)에 수납된다.
센서 커버(51)와 커버(21) 사이에는 한쌍의 셔터(52, 52)가 마련되어 있다. 각 셔터(52)는, 반달모양의 기부(520)와, 기부(520)의 일단부로부터 각도를 갖고서 연장된 손잡이부(52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커버(21)와 센서 커버(51) 사이에 마련된 각 셔터(52)는 좌우 방향으로 가동가능하며, 열선 센서(5)의 일부를 덮는다. 즉, 유저에 의한 손잡이부(521)를 이용한 조작에 의해 기부(520)가 가동하고, 센서 커버(51)의 검지 창(510)의 개폐 상태가 조정된다. 이로써, 열선 센서(5)의 검지 영역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검지 영역의 최적화를 실행할 수 있다.
회로부(6)는, 예컨대 프린트 배선판 등의 회로 기판(60)과, 조작 핸들(3)에 의해 누름 구동되는 조작자(610)를 갖는 조작 스위치(61)와, 조명 부하(L)(도 2 참조)의 점등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 유지 시간 설정부(62)와, 밝기 센서(50)의 밝기 검지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밝기 센서 조정부(63)를 구비하고, 기체(2)에 수납된다. 이 회로부(6)의 이면측에는 방열판(64)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61)의 조작자(610)는 기체(2)의 전방면(230)에 노출되고, 조작 핸들(3)에 의해 누름 구동되는 것이다.
동작 유지 시간 설정부(62)는 예컨대 로터리 스위치 등이며, 기체(2)의 전방면(230)에 마련되어, 유저의 조작에 의해 동작 유지 시간(T1)을 설정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유지 시간은 10초로부터 30분까지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조명 부하(L)의 점등 시간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밝기 센서 조정부(63)는 예컨대 로터리 스위치 등이며, 유저의 조작에 의해 밝기 센서(50)의 밝기 검지 레벨을 「어두움」(예컨대, 5Lx 이하)으로부터 「밝음」(예컨대, 100Lx 이상)까지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꺼짐」으로 설정하면 밝기 센서(50)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주위가 밝을 때에 가정의 조명 부하(L2)를 점등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6)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회로부(6)는 열선 센서(5)나 밝기 센서(50)로부터의 출력을 제어부(마이크로 컴퓨터)(65)에 입력하고 있다. 제어부(65)는 열선 센서(5) 및 밝기 센서(50)의 출력을 A/D 변환하고, 더욱이 열선 센서(5)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내에 있어서의 사람의 존부를 판단한다. 제어부(65)의 내부에서는 열선 센서(5)의 출력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에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인체 검지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65)는 구동부(650)를 거쳐서 트라이액(triac)과 같은 개폐 소자(651)를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개폐 소자(651)는 상용 전원(AC)을 접속하는 전원 단자(652)와, 조명 부하(L)를 접속하는 부하 단자(655) 사이에 접속되고, 제어부(65)에 의해 도통각(導通角)이 제어되어서 조명 부하(L)로의 공급 전력을 조절하여, 조명 부하(L)를 원하는 광출력에 의해 점등시킨다. 또한, 전원 단자(652, 653)에는 상용 전원(AC)을 받아서 직류 정전압을 발생하는 직류 안정화 전원(656)이 접속되어 있고, 직류 안정화 전원(656)에 의해 내부 회로에 동작 전원이 공급된다.
제어부(65)의 기본적인 동작은, 밝기 센서(50)가 검출한 밝기가 미리 설정된 밝기의 문턱값보다도 어두운 상태에서, 열선 센서(5)에 입사한 열선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람을 검지하면(인체 검지 신호를 발생하면), 조명 부하(L)를 점등시키는 동작이며, 조명 부하(L)가 점등되는 시간(이 시간을 "동작 유지 시간"이라고 함)은 제어부(65)에 의해 구성되는 타이머 수단에 의해 제한된다.
제어부(65)의 동작 모드로서, 열선 센서(5)가 열선을 검지했을 때에 조명 부하(L)를 온으로 제어하는 제 1 제어 모드, 열선 센서(5)에 의한 열선의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환된 상태를 조명 부하(L)가 지속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모드, 조명 부하(L)가 소등하고 있을 때 조명 부하(L)를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점등시키고, 조명 부하(L)가 점등하고 있을 때 조명 부하(L)를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소등시키는 제 3 제어 모드가 있다.
제어부(65)는, 조작 스위치(61)의 조작자(610)가 조작 핸들(3)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3초)(T2) 이상 눌려지면, 제 1 제어 모드를, 조명 부하(L)의 점등과 소등을 전환하여, 제 2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65)는, 제 1 제어 모드 또는 제 2 제어 모드일 경우에, 조작 스위치(61)의 조작자(610)가 조작 핸들(3)에 의해 상기 일정 시간(T2) 미만 눌려지면, 제 1 제어 모드 또는 제 2 제어 모드를 제 3 제어 모드로 전환하고, 일정 시간(T2)이 경과하면 제 1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도 5 참조).
다음에,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최초로 도 7의 (a)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시간 t1에서 열선 센서(5)가 열선을 검지하면, 조명 부하(L)를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점등시킨다.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하여 조명 부하(L)가 소등된 후, 시간 t2에서 핸들 커버(4)를 폐쇄한 상태에서 핸들 커버(4)[조작 핸들(3)]의 우측부가 일정 시간(T2)보다 짧은 시간 (t3-t2)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작 핸들(3)이 회동하여, 조작 핸들(3)의 이면에 의해 조작 스위치(61)의 조작자(610)가 눌려지고, 조작 스위치(61)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제어부(65)에 입력된다. 이 때, 조명 부하(L)가 오프로 되므로, 제어부(65)는 구동부(650)를 거쳐서 개폐 소자(651)를 온으로 하여서 조명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여, 조명 부하(L)를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점등시킨다(도 6의 「자동 온」).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하여 조명 부하(L)가 소등된 후, 다시 시간 t4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2)보다 짧은 시간 (t5-t4)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점등시킨다. 그 후, 시간 t6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2)보다 긴 시간 (t7-t6)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소등시킨다(도 6의 「강제 오프」). 일정 시간(T2)보다 긴 시간 (t7-t6)만큼 누름 조작되어서 조명 부하(L)를 소등시키고 있는 동안, 시간 t8에서 열선 센서(5)가 열선을 검지하더라도 조명 부하(L)의 소등 상태를 지속시킨다. 그 후, 시간 t9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2)보다 짧은 시간 (t10-t9)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점등시킨다(도 6의 「자동 온」). 그 후, 조명 부하(L)가 소등하고, 시간 t11에서 열선 센서(5)가 열선을 검지하면, 조명 부하(L)를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점등시킨다.
계속해서, 도 7의 (b)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명 부하(L)를 점등시키고 있을 때에, 시간 t21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2)보다 짧은 시간 (t22-t21)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소등시킨다(도 6의 「자동 오프」). 그 후, 시간 t23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2)보다 짧은 시간 (t24-t23)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점등시킨다(도 6의 「자동 온」). 조명 부하(L)가 소등된 후, 시간 t25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2)보다 긴 시간 (t26-t25)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계속해서 점등시킨다(도 6의 「강제 온」). 그 후, 시간 t27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2)보다 짧은 시간 (t28-t27)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소등시킨다(도 6의 「자동 오프」). 그 후, 시간 t29에서 열선 센서(5)가 열선을 검지하면, 조명 부하(L)를 동작 유지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 점등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7의 (c)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명 부하(L)를 점등시키고 있을 때에, 시간 t31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1)보다 긴 시간 (t32-t31)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소등시킨다(도 6의 「강제 오프」). 조명 부하(L)가 소등하고 있는 동안, 시간 t33에서 열선 센서(5)가 열선을 검지하더라도, 조명 부하(L)의 소등을 지속시킨다. 그 후, 시간 t34에서 조작 핸들(3)이 일정 시간(T2)보다 긴 시간 (t35-t34)만큼 누름 조작되면, 조명 부하(L)를 계속해서 점등시킨다(도 6의 「강제 온」).
다음에, 실시형태 1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와 도 9에 도시하는 제 1 비교예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a)를 비교한다.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a)는, 조명 부하(L)의 연속 온·오프를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80)를 구비하는 것이며,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와 같이 조작 핸들(3)을 일정 시간(T2)보다 긴 시간 누름 조작하여서 전환하는 것은 아니다. 전환 스위치(8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꺼짐」, 「자동」, 「연속 켜짐」의 순으로 전환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와 외관이 동일하지만 조명 부하(L)의 연속 온·오프를 전환하는 수단이 상이한 제 2 비교예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비교예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유지 시간 설정부(62a)에, 조명 부하(L)를 연속 오프로 하는 「꺼짐」과 조명 부하(L)를 연속 온으로 하는 「연속 켜짐」을 마련하고 있다. 이 제 2 비교예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에 서는, 조명 부하(L)를 연속 온·오프하기 위해서, 핸들 커버(4)를 개방하여 동작 유지 시간 설정부(62a)를 조작하여야 하고,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와 같이 조작 핸들(3)을 일정 시간(T2)보다 긴 시간 누름 조작하여서 전환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열선 센서(5)에 의한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조명 부하(L)의 온·오프를 전환하고, 전환된 상태를 장시간 지속시키는 것을, 조작 핸들(3)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오동작을 저감하여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열선 센서(5)가 유효 시간중이라도, 조작 핸들(3)에의 단시간의 누름 조작에 의해, 조명 부하(L)가 소등되어 있을 때에 일시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동시에, 조명 부하(L)가 점등되어 있을 때에 일시적으로 소등시킬 수 있으므로, 조명 부하(L)에의 쓸데없는 전력 공급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b)의 구성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b)는, 실시형태 1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도 1 참조)와 마찬가지로, 조작 핸들(3)과, 핸들 커버(4)와, 열선 센서(5)와, 회로부(6)를 구비하고 있지만, 실시형태 1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에는 없는 하기의 특징 부분을 갖는다.
실시형태 2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b)는, 실시형태 1의 기체(2)(도 1 참조) 대신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체(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체(2a)는 2개 모듈 치수로 형성된 것이며, 1개 모듈 치수로 형성된 다른 배선 기구(예컨대, 스위치 등)와 병설가능하다. 또한, 장착 프레임(7)에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b)만을 장착할 경우에는, 단위 모듈 치수의 배선 기구 1개분의 간극이 가능하므로, 이 간극을 막는 블랭크(blank) 칩(75)을 장착 프레임(7)에 장착하여도 좋다. 블랭크 칩(75)은 전방면이 대략 장방형 형상이며,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치수가 단위 모듈 치수의 배선 기구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장착 프레임(7)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체(2a)는 상기 이외의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의 기체(2)와 동일하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b)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와 동일하다.
이상,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1b)가 2개 모듈 치수라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회로 블록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로서, (a)가 조명 부하를 점등시킬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차트, (b)가 조명 부하를 점등시킬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차트,
도 6은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타임 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정면도,
도 9는 제 1 비교예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
도 10은 상기 제 1 비교예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 2 비교예에 따른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의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2 : 기체 230 : 전방면
231 : 축부 3 : 조작 핸들
5 : 열선 센서 6 : 회로부
61 : 조작 스위치 610 : 조작자

Claims (2)

  1. 부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에 있어서,
    조영면에 배치되는 기체와,
    인체로부터의 열선을 검지하는 열선 센서와,
    상기 기체의 전방면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지지되는 조작 핸들과,
    상기 기체의 상기 전방면에 노출되어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해 누름 구동되는 조작자를 갖고서 상기 기체에 수납되는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자가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이상 눌려지면, 상기 열선 센서가 상기 열선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부하를 온으로 제어하는 제 1 제어 모드를, 상기 부하의 온·오프를 전환하고, 상기 열선 센서에 의한 상기 열선의 검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환된 상태를 상기 부하가 지속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부하가 오프일 때는 상기 부하를 미리 결정된 제 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온으로 하고, 상기 부하가 온일 때는 상기 부하를 상기 제 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오프로 제어하는 제 3 제어 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 1 제어 모드 또는 상기 제 2 제어 모드일 경우에, 상기 조작자가 상기 조작 핸들에 의해 상기 제 1 시간 미만 눌려지면, 상기 제 1 제어 모드 또는 상기 제 2 제어 모드를 상기 제 3 제어 모드로 전환하고, 그 후 상기 제 2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1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KR1020070107092A 2006-10-26 2007-10-24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KR100962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1756 2006-10-26
JP2006291756A JP5027479B2 (ja) 2006-10-26 2006-10-26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543A KR20080037543A (ko) 2008-04-30
KR100962770B1 true KR100962770B1 (ko) 2010-06-09

Family

ID=3944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092A KR100962770B1 (ko) 2006-10-26 2007-10-24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27479B2 (ko)
KR (1) KR100962770B1 (ko)
TW (1) TWI370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2715B2 (ja) * 2009-02-26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393226B2 (ja) * 2009-04-09 2014-0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JP6292508B2 (ja) * 2013-06-05 2018-03-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システム
JP6044841B2 (ja) * 2013-06-05 2016-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6281804B2 (ja) * 2013-06-05 2018-0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6245503B2 (ja) 2013-07-08 2017-1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15162454A (ja) * 2014-02-28 2015-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6443790B2 (ja) * 2014-03-12 2018-1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CN103997830B (zh) * 2014-05-22 2016-03-02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开关设备及其控制方法
JP6540127B2 (ja) * 2015-03-18 2019-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壁スイッチ装置
WO2016155021A1 (zh) * 2015-04-03 2016-10-06 绿仕科技控股有限公司 环境控制系统
CN116520748A (zh) * 2023-04-28 2023-08-01 武汉领普科技有限公司 基于人体存在检测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295Y1 (ko) 2003-02-21 2004-06-01 정-충 웨이 인텔리전트 라인 스위치
KR100454532B1 (ko) * 2004-02-02 2004-11-16 김효구 절전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7071A (ja) * 1997-09-09 1999-03-30 Nippon Ceramic Co Ltd 自動照明装置
JP3777939B2 (ja) * 2000-02-24 2006-05-24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04031093A (ja) * 2002-06-25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2005129440A (ja) * 2003-10-27 2005-05-19 Teruo Ike 人感センサ付照明装置
JP2005190916A (ja) * 2003-12-26 2005-07-14 Asahi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JP2005197028A (ja) * 2004-01-05 2005-07-21 Asahi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295Y1 (ko) 2003-02-21 2004-06-01 정-충 웨이 인텔리전트 라인 스위치
KR100454532B1 (ko) * 2004-02-02 2004-11-16 김효구 절전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09511A (ja) 2008-05-08
KR20080037543A (ko) 2008-04-30
JP5027479B2 (ja) 2012-09-19
TW200836486A (en) 2008-09-01
TWI370617B (en) 201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770B1 (ko)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KR100728449B1 (ko) 스위치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100867037B1 (ko) 조명제어 스위치
JP3685101B2 (ja) 配線器具システム
JP5122861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2006033497A (ja) スイッチ
JP2010208625A (ja) 照明付きバイザバニティ
TWI543223B (zh) 附設熱感測器之自動開關
JP4797929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2008108637A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CN209870235U (zh) 一种扶手储物盒的照明系统
CN210035180U (zh) 一种显示器挂灯及其灯体
JP3740866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6861384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TWI703821B (zh) 負載控制裝置
JP7054831B2 (ja) 負荷制御装置および送信機
TWI549152B (zh) 附設熱感測器之自動開關
CN217601604U (zh) 厕所用遥控器
JP3640119B2 (ja) 熱線式自動スイッチ
US20220097496A1 (en) Vanity mirror and sun visor with lighting function
WO2014196111A1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3076965B2 (ja) ガス器具の操作ボタン
JP3826427B2 (ja) 負荷制御装置
JP6788855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H10209842A (ja) 熱線式自動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