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037B1 - 조명제어 스위치 - Google Patents

조명제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037B1
KR100867037B1 KR1020070049540A KR20070049540A KR100867037B1 KR 100867037 B1 KR100867037 B1 KR 100867037B1 KR 1020070049540 A KR1020070049540 A KR 1020070049540A KR 20070049540 A KR20070049540 A KR 20070049540A KR 100867037 B1 KR100867037 B1 KR 10086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oad
switch
lighting control
d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982A (ko
Inventor
다츠야 무카이
도시아키 도키자네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조명제어 스위치 A의 기체(10)의 전면에는 조명부하를 온/오프하기 위한 누름버튼 스위치와, 조광시간대를 설정하는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의 회전손잡이(18)를 배치함과 동시에, 회전운동 조작에 따라 그 뒷면으로 누름버튼 스위치를 누르는 조작핸들(20)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조작핸들(20)에는 회전손잡이(18)를 노출시키는 개구창(22a)이 마련되고, 회전손잡이(18)를 덮는 폐쇄위치와 회전손잡이(18)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자유로운 핸들커버(26)를 결합시키고 있다. 조명제어 스위치 A는 누름버튼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을 온오프함과 동시에, 조광시간대에 누름버튼 스위치가 온 조작되면 조명부하를 감광점등시키고 있다.

Description

조명제어 스위치{ILLUMINATION CONTROL SWITCH}
도 1(a) 및 (b) 는 실시형태 1의 조명제어 스위치를 나타내며, 도 1(a)는 핸들커버를 닫은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1(b)는 핸들커버를 연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2(a), (b), 및 (c)는 실시형태 1의 조명제어 스위치를 나타내며,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우측면도, 도 2(c)는 배면도, 도 2(d)는 하면도.
도 3은 실시형태 1의 조명제어 스위치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며, 핸들커버를 연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의 조명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부하의 제어회로도.
도 5(a)∼(c)는 실시형태 1의 조명제어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6(a)∼(c)는 실시형태 1의 조명제어 스위치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7은 통상적인 경우에 있어 조명부하의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8은 실시형태 1의 조명제어 스위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며, 핸들커버를 연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실시형태 2의 조명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부하 및 환기팬의 제어 회로도.
도 10은 실시형태 2를 나타내며, 도 10(a)는 정면도, 도 10(b)는 핸들커버를 연 상태의 정면도, 도 10(c)는 배면도.
도 11(a) 및 (b)는 실시형태 2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본 발명은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조명제어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조명제어 스위치로서는 복도나 계단 등에 설치되어, 복도등이나 계단등 등의 조명부하에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있었다.
또한, 화장실에 설치된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의 온오프에 부가하여, 예를 들면 환기팬과 같은 다른 부하의 타이머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조명제어 스위치도 종래부터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100293호(단락번호 [0031]-[0046] 및 도 2-도 4)
상술한 조명제어 스위치에서는 조명부하에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고 있을 뿐이므로, 조명부하의 점등출력은 시간대에 관계없이 항상 대략 일정하였다. 따라서, 심야에 화장실 등에 가기 위해 일어난 경우에, 조명제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도등이나 계단등 혹은 화장실내의 조명부하를 점등시키면, 이들 조명부하가 전체점등되기 때문에, 눈이 부시거나, 잠이 깨어서 잠이 잘 안 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심야대 등의 소정의 시간대에서는 조명부하의 점등출력을 감광시킴과 동시에, 그 이외의 시간대에서는 주위를 밝게 조명할 수 있는 조명제어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기체의 전면에, 조명부하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누름조작부와, 1일 중에서 조명부하를 감광점등시키는 조광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조광시간대 설정부를 배치함 과 동시에, 기체의 내부에,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의 온오프 및 전력공급량의 조정을 실행하는 조명제어부와, 누름조작부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에 따라서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를 점등 및 소등시킴과 동시에, 조광시간대에 누름조작부가 온 조작된 경우에는 조광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비해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량을 저하시키도록 조명제어부를 제어하는 점등제어부를 수납하고, 기체의 전면을 대략 덮도록 하 여 기체의 전면에 회전운동 이 자유롭도록 결합되고 회전운동조작에 따라 그 뒷면으로 누름조작부를 누르는 조작핸들을 구비하고, 해당 조작핸들에 조광시간대 설정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조작구멍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작핸들의 전면에, 조작구멍으로부터 노출된 조광시간대 설정부를 덮는 폐쇄위치와 감광점등 시간 설정부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자유롭게 되는 핸들커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조명부하를 감광점등시키는 경우의 밝기를 설정하는 밝기설정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에 있어서, 점등제어부는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누름조작부가 소정의 온 조작시간 연속해서 누름조작되면,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를 전체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점등제어부는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누름조작부가 온 조작 및 오프 조작되면,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량을 서서히 증감시킴으로써 조명부하를 페이드인(fade-in) 및 페이드아웃(fade-out)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점등제어부는 누름조작부가 오프 조작되면,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점등출력보다 어두운 소정의 조광레벨로 조명부하를 일정시간 점등시킴과 동시에, 일정시간 경과후에 조명부하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점등제어부는 조명부하가 소정의 끄는 것을 잊음 판정시간 연속해서 점등해 있으면,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누름조작부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에 따라서 환기팬 부하에의 전력공급을 온, 오프하는 환기팬 제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조명부하의 온/오프 조작을 실행하는 외부스위치로부터의 접점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점등제어부는 신호입력단자를 거쳐서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의 점등/소등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8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기체가, 매립형 배선기구를 조영면에 매립 배치하기 위해 이용하는 부착프레임에 3개까지 부착 가능한 단위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의 2개분의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8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기체가, 매립형 배선기구를 조영면에 매립 배치하기 위해 이용하는 부착프레임에 3개까지 부착 가능한 단위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의 3개분의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 1∼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명제어 스위치 A는 예를 들면 복도나 계단에 설치된 복도등이나 계단등 등의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하루 중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대(예를 들면 심야대 등)는 온 조작에 따라서 조명부하를 감광점등시키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서는 온 조작에 따라서 조명부하를 전체점등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조명제어 스위치 A 와 보조 스위치 B (외부스위치)를 이용한 조명부하 La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조명제어 스위치 A를 복도의 한쪽 끝에, 보조 스위치 B를 복도의 다른쪽 끝에 설치해서, 복도에 설치된 조명부하 La를 2개소로부터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명부하 La가 복도등의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하겠지만, 조명부하 La는 복도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명부하 La의 설치장소나 용도는 불문한다.
보조 스위치 B는 후술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A의 트라이액(2)을 거쳐서 상용전원 AC과 조명부하 La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는 접속단자 ta, tb와, 조명제어 스위치 A의 접속단자 Tc(신호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t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접속단자 ta와 접속단자 tb의 사이는 보조 스위치 B 내부의 배선을 거쳐 도통하고 있다. 한편, 접속단자 ta와 접속단자 tc의 사이에는 조명부하 La의 온/오프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SW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단자 ta에는 위치표시용의 발광다이오드 LD2의 애노드가 접속되어 있고, 이 발광다이오드 LD2의 캐소드와 접속단자 tc의 사이에는 전류 제한용의 저항 R5를 거쳐서 다이오드 D2가 순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조명제어 스위치 A는 보조 스위치 B를 거쳐서 상용전원 AC와 조명부하 La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는 한쌍의 접속단자 Ta, Tb와, 보조 스위치 B의 조작스위치 SW를 거쳐서 상용전원 AC의 일단측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T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명제어 스위치 A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고 내부회로 전체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회로(1)(점등제어부)와, 접속단자 Ta, Tb간에 접속되는 트라이액(2)(조명제어부)과, 제어회로(1)에 동작용의 클럭신호를 부여하는 클럭회로(3)와, 제어회로(1)에 계시용의 클럭신호를 부여하는 클럭회로(4)와, 조명부하 La의 온/오프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누름버튼 스위치(5)(누름조작부)와, 조명부하 La를 감광점등시키는 시간대(조광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조광시간대 설정부)와, 조명부하 La를 감광점등시킬 때의 밝기를 설정하는 밝기설정볼륨(7)(밝기설정부)과, 접속단자 Ta, Tb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 AC로부터 내부회로의 동작전원을 생성하는 전원회로(8)를 구비하고 있다.
트라이액(2)의 T2단자와 T1단자는 각각 접속단자 Ta, Tb에 접속됨과 동시에, 게이트 G가 저항 R1을 거쳐서 접속단자 Tb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게이트 G에는 제어회로(1)의 출력포트 PO1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1)의 출력포트 PO2에는 저항 R2를 거쳐서 npn형의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가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 Tr1의 콜렉터는 접속단자 Tc에 접속됨과 동시에, 에미터가 전원회로(8)의 저압측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1)의 입력포트 PI2에는 npn형의 트랜지스터 Tr2의 콜렉터가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 Tr2의 에미터는 전원회로(8)의 저압측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단자 Tc에 는 다이오드 D1의 캐소드가 접속되고, 다이오드 D1의 애노드와 접속단자 Tb의 사이에는 저항 R3이 접속되어 있으며, 다이오드 D1과 저항 R3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 스위치 B의 발광다이오드 LD2를 점등시키는 경우는 제어회로(1)가 출력포트 PO2의 신호레벨을 하이로 해서, 트랜지스터 Tr1을 온시키면, 상용전원 AC의 C1측이 정으로 되는 기간에, 상용전원 AC→발광다이오드 LD2→ 저항 R5→다이오드 D2→트랜지스터 Tr1→전원회로(8)→조명부하 La→상용전원 AC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 발광다이오드 LD2가 점등시켜진다. 이 때, 발광다이오드 LD2에는 미소한 전류밖에 흐르지 않아, 조명부하 La가 점등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보조 스위치 B에 마련한 조작스위치 SW의 조작신호를 제어회로(1)가 받아들이는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상용전원 AC의 C2측이 정으로 되는 기간에 있어서, 보조 스위치 B의 조작스위치 SW가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삭제 )트랜지스터 Tr2가 온하고 있지만, 보조 스위치 B의 조작스위치 SW가 온상태인 경우,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전류가 C1측에 흘러 트랜지스터 Tr2가 오프로 된다. 따라서, 제어회로(1)에서는 트랜지스터 Tr2의 콜렉터전압 즉 입력포트 PI2의 전압레벨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서, 보조 스위치 B에 마련한 조작스위치 SW의 접점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1)의 입력포트 PI1에는 누름버튼 스위치(5)의 스위치입력이 부가되어 있으며, 제어회로(1)에서는 입력포트 PI1, PI2로부터 누름버튼 스위치(5) 혹은 보조 스위치 B의 조작스위치 SW의 조작입력(접점신호)을 받아들이고,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에 따라서 트라이액(2)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조명부하 La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어회로(1)는 클럭회로(4)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해서, 현재시각을 계시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설정수단을 이용하여 제어회로(1)의 계시부의 시각을 설정할 수 있고, 시각설정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삭제) 는 제어회로(1)가 발광 다이오드 LD1을 고속 점멸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의 설정을 재촉하고 있다.
또한, 제어회로(1)에는 상술한 조광시간대 설정스위치(6) 및 밝기설정볼륨(7)의 설정값이 입력되어 있다. 조광시간대 설정스위치(6)는 하루 중에서 조명부하 La를 감광점등시키는 조광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제어회로(1)에서는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의 설정입력을 감시하고 있으며,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의 설정조작이 실행되어 설정입력이 변화하면, 그 때의 시각을 조광시간대의 개시시각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조광시간대 설정스위치(6)의 설정위치에 의해서 조광시간대의 시간폭을 예를 들면 4∼8시간의 범위 내에서 1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를 이용하여 조광시간대가 일단 설정되면, 제어회로(1)는 도시하지 않은 내장메모리에 조광시간대의 개시시각과 시간폭을 등록하여 내장메모리에 설정된 조광시간대에 온 조작되면, 조명부하 La를 감광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밝기설정볼륨(7)은 로터리식의 가변저항기로 이루어지고, 밝기설정볼륨(7)의 저항값에 의해서, 조광시간대에 있어서의 조명부하 La의 조광레벨이 예를 들면 20% 내지 100%까지의 범위에서 임의의 조광레벨로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조명부하 La의 종류나 용도 등에 맞추어 조광점등시의 밝기를 원하는 조광레벨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된다.
전원회로(8)는 접속단자 Ta, Tb를 거쳐서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부의 정류전압에 의해서 소정전압까지 충전되는 콘덴서 등의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충전부의 충전전압이 동작전압으로서 제어회로(1) 등에 공급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조명제어 스위치 A의 구조를 도 1∼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도 2(a)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하좌우의 방향을 규정하고, 동일 도면 (a)의 정면을 전면으로서 설명을 한다. 따라서, 도 2(b)에 있어서의 우단은 후단으로 된다.
조명제어 스위치 A의 기체(10)는 직방체형상으로서, 합성 수지에 의해 전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1)와, 합성 수지에 의해 후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디(11)의 개구부에 피착되는 커버(12)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12)의 상하면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는 후방을 향해 각 한쌍의 조립편(12a)이 연장되어 마련되고, 조립편(12a)에 마련한 조립구멍(12b)이 보디(11)의 상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돌기(11a)에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보디(11)와 커버(12)가 결합되어 있다.
기체(10)는 매립배선기구를 조영면에 매립 배치할 때에 이용하는 종래 주지의 부착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붙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좌우방향의 치 수는 부착프레임이 구비하는 창구멍의 좌우방향치수(짧은쪽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10)의 앞부분을 형성하는 커버(12)의 좌우 양측면에는 부착프레임의 창구멍을 둘러싸는 좌우 양측편에 마련한 기구부착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맞춤 가능한 부착발톱(13)이 한쌍씩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고, 부착발톱(13)이 부착프레임의 기구부착구멍에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기체(10)가 부착프레임에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 커버(12)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우측벽)에는 한쌍의 부착발톱(13)이 돌출되어 마련된 부위의 상하 양측부에, 후단이 개방된 2개의 절개 홈(1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절개홈(14)의 사이의 부위는 두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휨부재(15)로 되어 있다. 커버(12)내에 있어서 휨부재(15)의 이면측에는 비어 있는 곳이 형성되고, 휨부재(15)를 커버(12)의 내측으로 휘게 함으로써, 휨부재(15)에 마련된 한쌍의 부착발톱(13)을 커버(12)의 측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휨부재(15)의 후단부 외측면에는 휨부재(15)의 밀어 넣음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작돌기(15a)가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기체(10)를 부착프레임에 부착할 때에는 커버(12)의 좌측벽에 마련한 부착발톱(13)을 부착프레임의 기구부착구멍에 삽입함과 동시에, 우측벽에 마련한 부착발톱(13)을 커버(12)의 측면으로부터 후퇴시키도록 하여 부착프레임의 창구멍에 기체(10)를 삽입하면, 우측벽의 부착발톱(13)이 기구부착구멍에 삽입되어 기체(10)가 부착프레임에 유지된다. 또한 휨부재(15)를 커버(12)의 내측으로 밀어 넣도록 하면, 휨부재(15)에 마련한 부착발톱(13)이 기구부착구멍으로부터 빠지므로, 기체(10)를 부착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부착프레임은 단위 치수(1개 모듈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를 짧은폭방향으로 3개 배열하여 부착가능한 1련의 부착프레임으로서, 조명제어 스위치 A의 기체(10)는 2개 모듈 치수(단위 치수의 매립배선기구를 짧은폭 방향으로 2개 배열한 것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 모듈 치수로 형성된 스위치 등의 다른 배선기구 C와 병설할 수 있다. 또 부착프레임은 벽면 등의 조영면에 부착되고, 기체(10)의 후부는 조영면에 개구된 부착구멍에 매설된다. 또한 부착프레임의 전면측에는 부착프레임의 창구멍보다도 길고 또한 폭이 넓은 창구멍(51)을 구비하는 화장플레이트(50)가 중첩 배치되고, 이 화장플레이트(50)의 창구멍(51)으로부터 조명제어 스위치 A의 기능면이나 배선기구 C의 기능면이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기체(10)의 내부에는 상술한 도 4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부품이나, 외부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등을 실장한 프린트배선판(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프린트배선판에 실장되는 개개의 단자는 보디(11)의 후벽에 형성된 전선삽입구멍(16)을 통해서 기체(10)내에 삽입되는 외부전선을, 도전성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쇄정<鎖錠>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접속 유지하는 속결단자(도시하지 않음)로 구성하고 있다. 또 쇄정 스프링을 압압해서 전선의 쇄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도시하지 않음)도 기체(10)내에 수납되어 있고, 보디(11)의 후벽에는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구멍(17)이 전선삽입구멍(16)의 근방에 개구되어 있다. 또 복수의 단자로서는 상술한 접속단자 Ta∼Tc가 있고, 보 디(11)의 후벽에 마련한 전선삽입구멍(16) 중, 예를 들어, 도 2(c)중의 좌측하부의 전선삽입구멍(16)이 전원접속용의 접속단자 Tb에 대응하고, 우측하부의 전선삽입구멍(16)이 부하접속용의 접속단자 Ta에 대응하며, 우측상부의 전선삽입구멍(16)이 보조 스위치 B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 Tc에 대응하고 있다.
기체(10)의 전면(즉 커버(12)의 전면)에는 택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누름버튼 스위치(5)의 누름버튼(도시하지 않음)과,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의 회전손잡이<摘み:놉(knob)>(18)와, 밝기설정볼륨(7)의 회전손잡이(19)와, 발광다이오드 LD1이, 커버(12)에 개구된 창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또, 회전손잡이(18, 19)는 커버(12) 전면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에 상하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발광다이오드 LD1은 커버(12) 전면의 좌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10)의 전면측에는 회전운동 동작에 의해 누름버튼 스위치(5)의 누름버튼을 그 뒷면으로 누르는 조작핸들(20)이, 기체(10) 전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형태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커버(12) 전면의 좌측 단부에는 조작핸들(20)을 축지지하기 위한 축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고, 이 축부에 조작핸들(20) 후면의 좌단부에 마련한 축받이부(도시하지 않음)를 축지지시킴으로써, 조작핸들(20)이 기체(10)에 대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결합되어 있다. 축받이부에는 조작핸들(20)에 반조작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부세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하고 있으며, 조작핸들(20)은 도 2(d)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힘들 받는다. 그렇게 해서 조작핸들(20)의 우측부에 누름력이 가해지면, 조작핸들(20)이 축부를 지점으로 회전운동하고, 조작핸들(20)의 후면에 마련한 누름돌기(도시하지 않 음)에 의해서 누름버튼 스위치(5)의 누름버튼이 눌러져, 누름버튼 스위치(5)가 온이 된다. 한편, 조작핸들(20)의 우측부를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조작핸들(20)은 부세 스프링이나 누름버튼 스위치(5)의 누름버튼의 반력을 받아 복귀위치로 되돌아가, 누름버튼 스위치(5)가 오프가 된다.
조작핸들(20)은 합성 수지에 의해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의 치수가 화장플레이트(50)의 창구멍(51)의 좌우방향(짧은쪽 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치수가 창구멍(51)의 상하방향(긴쪽 방향) 치수의 대략 3분의 2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20) 전면의 좌단부에는 앞쪽으로 돌출된 돌출베이스부(21)가 형성되고, 돌출베이스부(21)보다도 우측의 박육부(25)에는 회전손잡이(18, 19)를 각각 노출시키는 개구창(22a, 22b)(조작구멍)이 관통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 조작핸들(20)에는 개구창(22a)의 둘레부에 회전손잡이(18)의 전환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눈금과, 각각의 전환위치에 대응한 시간폭이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및 숫자(예를 들면「오프」,「4」,「5」…「8」,「연속」)가 인쇄 등에 의해서 표시되고, 개구창(22b)의 둘레부에는 회전손잡이(19)의 회전범위를 나타내는 눈금과, 회전범위의 양단 위치에 있어서의 조광레벨을 나타내는 문자(20%, 100%)가 인쇄 등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핸들커버(36)의 이면에는 회전손잡이(18, 19)에 의한 설정방법이 인쇄 등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의 회전손잡이(18)를 「4」「5」…「8」의 위치로 전환하면, 조광시간대가 회전손잡이(18)를 전환한 시각으로부터, 4시간, 5시간… 8시간으로 각각 설정된다. 또한 회전손잡이(18)를 「오프」의 위치로 전환하면, 조명부하 La가 시간대에 관계없이 항상 전체점등(점등레벨 100%)에서 점등 또는 소등되게 되고, 「연속」의 위치로 전환하면, 조명부하 La가 시간대에 관계없이 항상 감광상태에서 점등 또는 소등되게 된다. 또한 밝기설정볼륨(7)의 회전손잡이(19)를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조광시간대에 있어서의 조명부하 La의 조광레벨이 예를 들어 20%∼100%의 범위에서 원하는 조광레벨로 설정된다.
또한, 돌출베이스부(21)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구멍(24)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24)에는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도광부재(23)가 끼워 넣어져 있다. 도광부재(23)의 이면은 커버(12)의 전면에 노출되는 발광 다이오드 LD1과 대향하고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LD1의 광이 도광부재(23)를 통해 조작핸들(20)의 전면측으로 출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핸들(20)에는 박육부(25)의 개구창(22a, 22b)으로부터 노출된 회전손잡이(18, 19)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핸들커버(26)가 결합되어 있다. 핸들커버(26)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치수가 각각, 박육부(25)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핸들커버(26)의 좌측부의 상하 양단부로부터는 한쌍의 아암(27, 27)이 측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각 아암(27)의 선단부에는 돌출베이스부(21)의 상하 양면에 마련한 축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축지지되는 축(27a)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렇게 하여, 각 아암(27)의 축(27a)을 돌출베이스부(21)의 축구멍에 추지시킴으로써, 핸들커버(26)가 개구창(22a, 22b)(즉 회전손잡이(18, 19))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 개 구창(22a, 22b)(회전손잡이(18, 19))를 덮는 폐쇄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하면서 조작핸들(20)의 전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결합 되는 것이다. 또 핸들커버(26)는 예를 들면 조작핸들(20)에 유지시킨 철편(도시하지 않음)을, 핸들커버(26)의 이면에 붙어있는 영구자석(28)의 자력으로 흡착하는 것에 의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조작핸들(20)과 핸들커버(26)로 핸들부재(30)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핸들커버(26)를 연 상태에서는 조광시간대 설정스위치(6)의 회전손잡이(18)나, 밝기설정볼륨(7)의 회전손잡이(19)가 노출하므로, 일반 사용자라도 조광시간대나 조광레벨의 설정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조광시간대나 조광레벨의 설정시 이외는 회전손잡이(18, 19)를 핸들커버(26)로 덮는 것에 의해, 부주의하게 회전손잡이(18, 19)가 조작되어, 조광시간대나 조광레벨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커버(26)를 닫으면, 회전손잡이(18, 19)가 핸들커버(26)에 의해서 덮여지고, 조명제어 스위치 A의 외관이 다른 스위치의 외관과 마찬가지의 외관이 되므로, 실내의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핸들커버(26)의 전면 전체가 조작면으로 되므로, 조작면을 넓힘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의 회전손잡이(18)를 상측, 밝기설정볼륨(7)의 회전손잡이(19)를 하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회전손잡이(18, 19)의 배치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밝기설정볼륨(7)의 회전손잡이(19)를 상측,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의 회전손잡이(18)를 하측에 배치해도 좋다. 여기에 있어서 도 8중의 ‘52’는 스위치를 병설하지 않은 경우에 이용하는 눈가림 플레이트이다.
다음에, 이 조명제어 스위치 A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조명제어 스위치 A는 예를 들면 복도에 설치된 조명부하 La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해 이용되며, 도 4의 회로에서는 보조 스위치 B를 이용함으로써 조명부하 La를 2개소로부터 온/오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 SW 또는 누름버튼 스위치(5)의 누름 조작 (즉, 스위치를 눌러 스위치가 온이 되게 하는 조작. 누름 조작이 종결되면 스위치는 오프상태로 돌아간다.)이 있는 경우,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전달한 신호를 제어회로(1)가 PI1 또는 PI2를 통해 감지하여 조명 부하 La의 현재 상태를 전환시킨다. (즉, 온 상태에 있던 조명 부하 La는 오프 상태로, 오프 상태에 있던 조명 부하 La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오프(또는 온) 조작은 온(또는 오프) 상태에 있던 조명 부하 La를 조작 스위치 SW 또는 누름버튼 스위치(5)를 통해 오프(또는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제어회로(1)는 입력포트 PI1, PI2로부터 누름버튼 스위치(5) 및 보조 스위치 B의 조작스위치 SW의 조작입력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핸들부재(30)(즉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조명부하 La의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오프시킨다. 여기서, 조명부하 La의 소등시에는 조명부하 La의 누출 전류에 의해서 트라이액(2)의 양단간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전원회로(8)가 내부회로의 동작전원을 생성한다. 또한 조명부하 La의 소등시에는 제어회로(1)는 발광다이오드 LD1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트랜지스터 Tr1을 온시켜 보조 스위치 B의 발광다이오드 LD2를 점등시키고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LD1, LD2의 발광에 의해 조명제어 스위치 A 및 보조 스위치 B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조명부하 La의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상용전원 AC의 전원전압의 반주기마다 소정의 위상각으로 트라이액(2)의 게이트 G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트라이액(2)을 턴온시키고 있으며, 전원전압의 제로크로스까지 온상태를 계속한다. 그리고, 제어회로(1)가 전원전압의 반주기마다 상기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조명부하 La에 전원이 공급되어, 조명부하 La가 점등한다. 따라서, 제어회로(1)가 트라이액(2)을 턴온시키는 위상각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명부하 La에의 공급전력량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회로(1)에서는 미리 설정된 조광시간대에 온 조작이 실행되면 조명부하 La를 감광점등시키도록, 또 현재의 시각이 조광시간대 이외이면, 조명부하 La를 전체점등시키도록, 트라이액(2)을 턴온시키는 위상각을 제어한다. 또 교류전원전압의 제로크로스로부터 트라이액(2)을 턴온시키기까지의 동안에는 전원회로(8)의 충전부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타임 래그(time lag)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 동안에 충전부를 급속 충전하여, 충전부의 충전전압에 의해 내부회로의 동작전원을 얻도록 되어 있다. 한편, 현재의 시각이 조광시간대이면, 제어회로(1)는 밝기설정볼륨(7)에서 설정된 조광레벨로 조명부하 La를 감광점등시키도록, 트라이액(2)을 턴온시키는 위상각을 제어하고 있으며, 조명부하 La가 소정의 조광레벨로 감광점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명부하 La의 점등시에는 발광다이오드 LD1을 소등시킴과 동시에, 트랜지스터 Tr1을 오프시켜, 보조 스위치 B의 발광다이오드 LD2를 소등시 키고 있다.
여기서, 도 5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조명제어 스위치 A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의 타이밍도에서는 조광시간대가 시각 t4에서 시간 t7까지의 사이 로 설정되어 있고, 조광시간대 이외의 시각 t1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5)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를 전체점등시키고, 그 후 시각 t2에 있어서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점등레벨(100%)의 약 70%의 점등레벨로 조명부하 La를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정도의 지연시간) 점등시킨 후, 조명부하 La를 소등시킨다.
또한, 조광시간대에 들어가기 전의 시각 t3에서,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에 의해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우선 조명부하 La를 전체점등시킨 후, 조명부하 La의 점등중에 조광시간대의 개시시각 t4가 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밝기설정볼륨(7)에 의해 설정된 조광레벨 L1로 조명부하 La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시각 t5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조광레벨 L1의 약 70%의 조광레벨 L2로 조명부하 La를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간) 점등시킨 후,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 시간(예를 들면 약 200m초)을 걸어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아웃시킨다(페이드 소등).
또한 조광시간대중의 시각 t6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소등상태에서 조명부하 La로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예를 들면 약 200m초)을 걸어 서서히 증가시켜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인시키고, 밝기설정볼륨(7)에 의해 설정된 조광레벨 L1로 점등시킨다(페이드 점등). 그리고 조명부하 La의 조광점등중에 조광시간대의 종료시각 t7이 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를 전체점등(100% 점등)시킨다. 또한 제어회로(1)에서는 조명부하 La가 소정의 끄는 것을 잊은 시간 Tx(예를 들면 1시간) 연속해서 점등해 있으면, 끄는 것을 잊었다고 판단하여, 온 조작시(시간 t6)로부터 끄는 것을 잊은 시간 Tx가 경과한 시간 t8에 있어서, 조명부하 La를 소등시키는 동작을 실행하고 있어, 조명부하 La의 끄는 것을 잊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단, 끄는 것을 잊었다고 판단하여 조명부하 La를 자동 소등시키는 경우,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소등동작을 실행하기 전의 점등레벨의 약 70%의 점등레벨로 조명부하 La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0초 정도) 점등시킨 후, 시각 t9에 있어서 조명부하 La를 소등시키고 있다. 그리고, 점등레벨을 내려 점등시키는 동안(시각 t8에서 시각 t9까지의 사이)에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에 의한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조명부하 La를 소등시키지 않고, 점등상태를 계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명제어 스위치 A의 별도의 동작을 도 6의 타이밍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조광시간대는 시각 t10에서 t18까지의 시간대로 설정되어 있으며, 조광시간대중의 시각 t11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로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을 들여 서서히 증가시켜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인시키고, 밝기설정볼륨(7)에 의해 설정된 조광레벨 L3으로 점등시킨다(페이드 점등).
그리고 조명부하 La가 점등중의 시각 t12에 있어서, 핸들부재(30), 즉 누름버튼 스위치(5)를 소정의 온 조작시간(예를 들면 3초) 연속하여 누름 조작하면, 제어회로(1)가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를 전체점등시킨다.
그 후, 시각 t13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점등레벨(100%)의 약 70%의 점등레벨로 조명부하 La를 일정시간 점등시킨 후, 시각 t14에 있어서 조명부하 La로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을 들여 서서히 감소시키고,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아웃시킨다. 또한, 조광시간대중에 밝기설정볼륨(7)을 이용하여 조광레벨의 조정값이 변경되고, 변경후의 시각 t15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의 조광레벨이 밝기설정볼륨(7)에서 설정된 조광레벨 L4로 될 때까지,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을 들여 서서히 증가시켜서,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인시킨다(페이드 점등). 그리고 조명부하 La가 점등중의 시각 t16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조광레벨 L4의 약 70%의 조광레벨 L5로 조명부하 La를 일정시 간(예를 들면 5초간) 점등시킨 후, 시각 t17에 있어서 조명부하 La 에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을 들여 서서히 감소시키고,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아웃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명제어 스위치 A에서는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에 의해 예를 들면 심야대를 조광시간대로서 일단 설정해 두면,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5)(핸들부재(30))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가 온 조작된 경우는 점등제어부인 제어회로(1)가, 조명제어부인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광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비해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저하시키고 있으므로, 조광시간대에 있어서의 조명부하 La의 점등출력을 통상시보다도 감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심야에 화장실 등에 가기 위해 일어난 사용자가 조명제어 스위치 A를 이용하여 조명부하 La를 점등시켰다고 해도, 사용자가 눈이 부시다고 느끼거나, 완전히 잠이 깨어 잠이 잘 안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심야대에는 전력공급량을 저하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조광시간대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핸들부재(30)를 누름 조작하여, 누름버튼 스위치(5)를 소정의 온 조작시간 연속해서 누르면, 제어회로(1)가 누름버튼 스위치(5)로부터의 스위치입력에 의거해서 조명부하 La를 전체점등시키고 있고, 조광시간대중에도 조명부하 La를 전체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조작에 의해 조명부하 La를 전체 점등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된다.
또한 제어회로(1)에서는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 나의 스위치조작에 따라서, 조광시간대중에 조명부하 La를 점등 및 소등시킬 때에,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에의 공급전력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을 들여 서서히 증감시킴으로써,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인, 페이드아웃시키고 있으므로, 조명부하 La의 점등출력을 천천히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눈부심을 느끼거나, 잠이 깨거나 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하 La로서 백열등을 이용하는 경우, 백열등의 전구 끊김은 필라멘트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증발하면서 가늘어져 단선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므로, 필라멘트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필라멘트의 온도가 고온으로 되지 않도록, 조명부하 La에 인가하는 전압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조명제어 스위치 A에서는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조명부하 La를 감광점등시키고 있으므로, 조명부하 La에 인가하는 전압을 저하시키는 것과 동등한 효과가 있으며, 필라멘트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증발을 억제함으로써, 백열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은 통상적으로 조명부하 La를 점등시킬 때에 조명부하 La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점등 초기에는 백열등 자체가 식어 있기 때문에, 큰 전류가 유입되고, 그 후 필라멘트의 온도상승에 수반해서 부하 전류가 서서히 저하한다. 점등 초기에 조명부하 La에 대전류가 유입되면, 이 전류에 의해서 가늘어진 필라멘트가 단선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제어회로(1)가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인시키고 있으므로, 점등 초기에 조명부하 La에 대전류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부하 La의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회로(1)가, 조광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있어서도, 조명부하 La를 점등 또는 소등시킬 때에,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인, 페이드아웃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는 점등초기에 조명부하 La에 대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부하 La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1)는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어느 하나로 오프 조작이 실행된 후에도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정도의 지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온 조작시(즉 오프 조작전)의 점등출력보다 어두운 조광레벨(예를 들면 오프 조작전의 약 70%의 조광레벨)로 조명부하 La를 점등시키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오프 조작을 실행한 후에도, 별도의 장소로 이동할 때까지 밝기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다. 또한 오프 조작을 실행한 후에도 조명부하 La의 점등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므로, 오프 조작을 실행한 사용자는 누름버튼 스위치(5) 또는 조작스위치 SW의 오프 조작에 실패했다고 오해할 가능성이 있지만, 제어회로(1)가, 조명부하 La의 점등출력을 오프 조작전에 비해 어둡게 하고 있으므로, 오프 조작이 실행된 것을 사용자에게 확실히 알릴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입력단자로서의 접속단자 Tc를 거쳐서 보조 스위치 B로부터의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제어회로(1)가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의 점등/소등을 전환하고 있으므로, 복도나 계단 등의 복수의 장소(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소)에서 조명부하 La의 온/오프 조작을 실행할 수 있지만, 보조 스위치 B를 없애고, 조명제어 스위치 A만으로 조명부하 La의 온/오프 조작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접속단자 Ta, Tb 사이에 상용전원 AC과 조명부하 La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면 되고, 보조 스위치 B의 스위치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TR2나, 보조 스위치 B의 발광다이오드 LD2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트랜지스터 TR1은 불필요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10)의 크기를 2개 모듈 치수로 형성하고 있지만, 기체(10)의 크기를 3개 모듈 치수(단위 치수의 매립배선기구를 짧은폭방향으로 3개 배열한 것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2개 모듈 치수로 한 경우에 비해 내부의 스페이스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 추가에 의한 부품의 증가나, 조명부하 La의 용량 증가에 수반하는 전력제어소자(트라이액(2))의 대형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도 9∼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조명제어 스위치 A에 환기팬 F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능을 마련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화장실에 설치된 조명부하 La와 환기팬 F를 연동하여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환기팬 F의 제어에 관련된 구성 이외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공통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조명제어 스위치 A를 이용한 조명부하 La 및 환기팬 F의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이 조명제어 스위치 A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에 부가하여, 접속단자 Ta와의 사이에 상용전원 AC과 환기팬 F의 직렬회로가 접속되는 접속단자 Td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접속단자 Td와 접속단자 Ta의 사이에는 릴레 이(32)의 릴레이접점(32b)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릴레이(32)의 여자 코일(32a)은 제어회로(1)의 출력포트 PO3, PO4간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회로(1)가 여자 코일(32a)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면, 릴레이접점(32b)이 온이 되어, 환기팬 F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회로(1)에는 지연시간 설정부(9)의 설정값이 입력되어 있다. 지연시간 설정부(9)는 환기팬 F를 오프 조작했을 때의 동작유지시간(지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회로(1)에서는 지연시간 설정부(9)의 설정입력을 감시하고 있으며, 지연시간 설정부(9)의 설정위치에 따라서 지연시간이 예를 들면 제로, 30초, 1분, 3분, 5분, 10분, 30분의 어느 하나로 전환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조명제어 스위치 A의 구조를 도 10(a)∼(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조명제어 스위치 A의 기체(10)는 3개 모듈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도 9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부품이나, 외부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등을 실장한 프린트배선판(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프린트배선판에 실장되는 개개의 단자는 보디(11)의 후벽에 형성된 전선삽입구멍(16)을 통해 기체(10)내에 삽입되는 외부전선을, 쇄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접속유지하는 속결단자(도시하지 않음)로 구성하고 있다. 또 기체(10)의 내부에는 해제버튼도 수납되어 있으며, 보디(11)의 후벽에는 해제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구멍(17)이 전선삽입구멍(16)의 근방에 개구되어 있다. 또 복수의 단자로서는 상술한 접속단자 Ta∼Td가 있고, 보디(11)의 후벽에 마련한 전선삽입구멍(16) 중, 예를 들어, 도 10(c) 중의 좌측하부의 전선삽입구멍(16)이 전원접속용의 접속단자 Tb로, 우측하부 의 전선삽입구멍(16)이 조명부하 접속용의 접속단자 Ta로, 우측상부의 전선삽입구멍(16)이 환기팬 접속용의 접속단자 Td로 되어 있다.
기체(10)의 전면에는 택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누름버튼 스위치(5)의 누름버튼(도시하지 않음)과, 조광시간대 설정 스위치(6)의 회전손잡이(18)와, 밝기설정볼륨(7)의 회전손잡이(19)와, 지연시간 설정부(9)의 회전손잡이(31)와, 발광다이오드 LD1이, 커버(12)에 개구된 창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또, 회전손잡이(19, 18, 31)는 커버(12) 전면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에 상하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LD1은 커버(12) 전면의 좌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10)의 전면측에는 도 1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 핸들부재(30)(조작핸들(20) 및 핸들커버(26)로 이루어짐)가, 기체(10) 전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형태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결합 되어 있다. 이 핸들부재(30)는 좌우방향의 치수가 화장플레이트(50)의 창구멍(51)의 좌우방향(짧은쪽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치수가 창구멍(51)의 상하방향(긴쪽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핸들(20)의 박육부(25)에는 회전손잡이(18, 19, 31)를 각각 노출시키는 개구창(22a, 22b, 22c)이 관통되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핸들(20)에는 개구창(22c)의 둘레부에 회전손잡이(31)의 전환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눈금과, 각각의 전환위치에 대응한 지연시간을 나타내는 문자(예를 들면「오프」,「30초」,「1」,「3」,「5」,「10분」,「30분」)가 인쇄 등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핸들커버(26)를 연 상태에서는 회전손잡이(18, 19, 31)를 이용하여 각각 조광시간대나 조광레벨이나 지 연시간의 설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핸들커버(26)를 닫은 상태에서는 회전손잡이(18, 19, 31)를 숨겨 부주의하게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핸들부재(30)는 회전손잡이(19)를 노출시키는 개구창(22c)을 마련한 점이나 회전손잡이(18, 19, 31)의 배치나 외형치수가 다른 점 이외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공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조명제어 스위치 A는 예를 들면 화장실에 설치된 조명부하 La 및 환기팬 F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어회로(1)는 입력포트 PI1로부터 누름버튼 스위치(5)의 조작입력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핸들부재(30)(즉 누름버튼 스위치(5))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조명부하 La의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오프시킴 과 동시에, 여자 코일(32a)에의 통전을 정지하고, 릴레이접점(32b)을 오프시킨다. 또한 조명부하 La의 소등시에는 제어회로(1)는 발광다이오드 LD1을 점등시키고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LD1의 발광에 의해 조명제어 스위치 A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오프 조작시로부터 소정의 동작유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어회로(1)가 릴레이접점(32b)의 온상태를 계속하여, 환기팬 F의 동작을 동작유지시간 만큼 연장시켜도 좋다.
한편, 핸들부재(30)(누름버튼 스위치(5))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조명부하 La의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상용전원 AC의 전원전압의 반주기마다 소정의 위상각으로 트라이액(2)의 게이트 G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트라이액(2)을 턴 온시키고 있으며, 전원전압의 제로크로스까지 온상태를 계속한다. 그리고, 제어회로(1)가 전원전압의 반주기마다 상기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조명부하 La에 전원이 공급되어 조명부하 La가 점등한다. 따라서, 제어회로(1)가 트라이액(2)을 턴온시키는 위상각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명부하 La에의 공급전력량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이 때 동시에 제어회로(1)는 여자 코일(32a)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여 릴레이접점(32b)을 도통시키고 있으며, 환기팬 F에 전원을 공급하여, 환기팬 F를 온 동작시키고 있다. 또 제어회로(1)에서는 미리 설정된 조광시간대에 온 조작이 실행되면, 밝기설정볼륨(7)에서 설정된 조광레벨로 조명부하 La를 감광점등시키도록, 트라이액(2)을 턴온시키는 위상각을 제어하고, 조광시간대 이외에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조명부하 La를 전체점등시키도록, 트라이액(2)을 턴온시키는 위상각을 제어한다.
여기서, 도 11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조명제어 스위치 A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도 11(a)는 조명부하 La의 점등상태를, 동일 도면 (b)는 환기팬 F의 동작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타이밍도에서는 조광시간대가 시각 t25에서 시각 t31까지의 사이로 설정되어 있고, 조광시간대 이외의 시각 t20에 있어서 핸들부재(30)(누름버튼 스위치(5))에 의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의 위상각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 dT1(예를 들면 0.5초)을 걸어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전체점등시킴과 동시에(페이드 점등), 여자 코일(32a)에 여자 전류를 흘려 릴레이접점(32b)을 온시키고, 환기팬 F를 온 동작시킨다. 그 후, 시각 t21에 있어서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 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점등레벨(100%)의 약 50%의 점등레벨로 조명부하 La를 일정시간 dT2(예를 들면 3초정도의 지연시간) 점등시킨 후,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 dT3(예를 들면 3초)을 걸어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아웃시킨다(페이드 소등). 또한 제어회로(1)는 오프 조작후에도 환기팬 F를 온 동작시키고 있으며, 오프 조작시로부터 지연시간 설정부(9)에 의해 설정된 지연시간 dT4(동작유지시간)가 경과한 시각 t24에 있어서, 여자 코일(32a)에의 통전을 정지하여 릴레이접점(32b)을 오프시킴으로써 환기팬 F를 정지시킨다.
또한, 조광시간대에 들어간 후의 시각 t26에 핸들부재(30)(누름버튼 스위치(5))에 의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의 위상각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 dT1을 걸어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조명부하 La를 밝기설정볼륨(7)에서 설정된 조광레벨 L6으로 점등시킴과 동시에(페이드 점등), 여자 코일(32a)에 여자 전류를 흘려 릴레이접점(32b)을 온시키고, 환기팬 F를 온 동작시킨다. 그 후, 시각 t27에 있어서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조광레벨 L6의 약 50%의 조광레벨 L7로 조명부하 La를 일정시간 dT2만큼 점등시킨 후,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 dT3을 걸어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아웃시킨다(페이드 소등). 또한 제어회로(1)는 오프 조작후에도 환기팬 F를 온 동작시키고 있으며, 오프 조작시부터 지연시간 dT4가 경과한 시각 t30에 있어서, 여자 코일(32a)에의 통전을 정지하여 릴레이접점(32b)을 오프시킴으로써, 환기 팬 F를 정지시킨다.
또한 조광시간대가 종료한 후의 시각 t32에 있어서 핸들부재(30)(누름버튼 스위치(5))에 의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의 위상각을 제어하여,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페이드시간 dT1을 걸어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전체점등시킴과 동시에(페이드 점등), 여자 코일(32a)에 여자 전류를 흘려 릴레이접점(32b)을 온시키고, 환기팬 F를 온 동작시킨다. 그 후, 시각 t33에 있어서 오프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트라이액(2)을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점등레벨(100%)의 약 50%의 점등레벨로 조명부하 La를 일정시간 dT2만큼 점등시킨 후, 조명부하 La에의 전력공급량을 소정의 페이드시간 dT3을 걸어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조명부하 La를 페이드아웃시킨다(페이드 소등). 또한 제어회로(1)는 오프 조작후에도 환기팬 F를 온 동작시키고 있으며, 오프 조작시부터 지연시간 dT4가 경과한 시각 t36에 있어서, 여자 코일(32a)에의 통전을 정지하여 릴레이접점(32b)을 오프시킴으로써, 환기팬 F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회로(1)가, 핸들부재(30)(즉 누름버튼 스위치(5))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에 따라서 조명부하 La 및 환기팬 F를 각각 온, 오프시키고 있으며, 예를 들면 화장실이나 욕실 등 조명부하 La와 환기팬 F의 양쪽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1개의 핸들부재(3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조명부하 La와 환기팬 F의 양쪽을 연동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회로(1)에서는 핸들부재(30)(즉 누름버튼 스위치(5))에 의한 오프 조작후에도 소정의 지연시간 dT4만큼 동작시간을 연장하고 있 으므로, 화장실에 설치된 환기팬 F의 경우에는 탈취를 위해, 욕실에 설치된 환기팬 F의 경우는 건조를 위해 동작시간을 연장하는 지연 정지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회로(1)는 조명부하 La를 밝기설정볼륨(7)에서 설정된 조광레벨로 점등시키고 있으므로, 조광시간대로서 예를 들면 심야의 시간대를 설정하면, 심야에 조명부하 La를 점등시키는 경우에 제어회로(1)가 조명부하 La의 점등출력을 자동적으로 감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눈이 부시다고 느끼거나, 잠이 깨어 잠이 잘 안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는 일 없이, 광범위하게 다른 실시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므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형태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조광시간대 설정부에 의해 예를 들면 심야대를 조광시간대로서 일단 설정해 두면,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누름조작부가 온 조작된 경우에는 점등제어부가 조광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비해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량을 저하시키고 있으므로, 조광시간대에서의 조명부하의 점등출력을 자동적으로 감광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눈이 부시다고 느끼거나, 잡이 깨어 잠이 잘 안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핸들커버를 열면 조광시간대 설정부가 노출하므로, 일반 사용자 라도 조광시간대 설정부를 이용하여 조광시간대의 설정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또한 핸들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는 조광시간대 설정부가 핸들커버로 덮여져 있으므로, 조광시간대 설정부가 부주의하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밝기설정부에 의해, 사용하는 조명부하의 종류나 용도 등에 맞추어 감광점등시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조광시간대에 조명부하를 전체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름조작부를 소정의 온 조작시간 연속해서 누르는 것에 의해, 조명부하가 전체점등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조광시간대에 조명부하를 점등 및 소등시킬 때에, 점등제어부가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를 페이드인, 페이드아웃시키고 있으므로, 조명부하의 점등출력을 천천히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잘 깨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하로서 백열등을 이용한 경우는 조명부하인 백열등의 점등출력을 천천히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백열등의 전구 끊김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어, 조명부하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점등제어부는 누름조작부가 오프 조작된 후에도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오프 조작전의 점등출력보다 어두운 조광레벨로 조명부하를 점등시키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오프 조작을 실행한 후, 별도의 장소로 이동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밝기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프 조작을 실행한 후에는 조명부하의 점등출력을 어둡게 하고 있으므로, 누름조작부가 오프 조작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조명부하가 끄는 것을 잊음 판정시간 연속해서 점등해 있으면, 점등제어부가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를 소등시키고 있으므로, 조명부하의 끄는 것을 잊음으로서 발생되는 전력 낭비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환기팬 제어부가 누름조작부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에 따라서 환기팬의 온, 오프를 제어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욕실이나 화장실 등 조명부하와 환기팬이 모두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1개의 조작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조명부하와 환기팬 양쪽을 연동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점등제어부는 누름조작부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에 따라서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의 점등/소등을 전환함과 동시에, 신호입력단자를 거쳐서 외부스위치로부터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조명부하의 점등/소등을 전환하고 있으므로, 1개의 조명부하를 복수의 장소로부터 온/오프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르면, 기체를 단위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의 2개분의 치수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부착프레임에 대해 다른 단위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를 함께 받아들일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르면, 기체를 단위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의 3개분의 치수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단위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의 2개분의 크기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내부의 스페이스를 크게 할 수 있어, 기능의 추가에 의한 부품의 증가나, 조명부하의 용량 업에 의한 전력제어소자의 대형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체(器體)의 전면(前面)에, 조명부하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누름조작부와, 1일 중에서 상기 조명부하를 감광점등시키는 조광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조광시간대 설정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기체의 내부에,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의 온오프 및 전력공급량의 조정을 실행하는 조명제어부와, 상기 누름조작부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명부하를 점등 및 소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조광시간대에 상기 누름조작부가 온 조작된 경우에는 조광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비해 상기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량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조명제어부를 제어하는 점등제어부를 수납하고, 기체의 전면을 덮도록 하여 기체의 전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회전운동조작에 따라 그 뒷면으로 상기 누름조작부를 누르는 조작핸들을 구비하고, 해당 조작핸들에 상기 조광시간대 설정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조작구멍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작핸들의 전면에, 상기 조작구멍으로부터 노출된 조광시간대 설정부를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감광점등 시간 설정부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자유롭게 되는 핸들커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하를 감광점등시키는 경우의 밝기를 설정하는 밝기설정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제어부는 상기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부가 소정의 온 조작시간 연속해서 누름조작되면, 상기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명부하를 전체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제어부는 상기 조광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부가 온 조작 및 오프 조작되면, 상기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명부하에의 전력공급량을 서서히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조명부하를 페이드인 및 페이드아웃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제어부는 상기 누름조작부가 오프 조작되면, 상기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오프 조작전의 점등출력보다도 어두운 소정의 조광레벨로 상기 조명부하를 일정시간 점등시킴과 동시에, 일정시간 경과후에 상기 조명부하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제어부는 상기 조명부하가, 사용자가 끄는 것을 잊었음을 판정하는 제 1 소정 시간 동안 연속해서 점등되어 있으면, 상기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명부하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부의 온 조작 및 오프 조작에 따라서 환기팬 부하에의 전력공급을 온, 오프하는 환기팬 제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하의 온/오프 조작을 실행하는 외부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점등제어부는 상기 신호입력단자를 거쳐서 접점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명제어부를 제어하여 조명부하의 점등/소등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매립형 배선기구를 조영면에 매립 배치하기 위해 이용하는 부착프레임에 3개까지 부착가능한 단위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의 2개분의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매립형 배선기구를 조영면에 매립 배치하기 위해 이용하는 부착프레임에 3개까지 부착가능한 단위 치수의 매립형 배선기구의 3개 분의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스위치.
KR1020070049540A 2006-05-26 2007-05-22 조명제어 스위치 KR100867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47377 2006-05-26
JP2006147377 2006-05-26
JP2006231345A JP4747997B2 (ja) 2006-05-26 2006-08-28 照明制御スイッチ
JPJP-P-2006-00231345 2006-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982A KR20070113982A (ko) 2007-11-29
KR100867037B1 true KR100867037B1 (ko) 2008-11-04

Family

ID=3900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540A KR100867037B1 (ko) 2006-05-26 2007-05-22 조명제어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47997B2 (ko)
KR (1) KR100867037B1 (ko)
CN (1) CN101080127B (ko)
TW (1) TWI3642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17B1 (ko) * 2008-12-05 2009-02-24 (주)세광산업조명 Led 조명 제어 장치
KR100898494B1 (ko) * 2009-01-19 2009-05-19 서상진 무대 조명 제어 장치
KR100928455B1 (ko) * 2009-05-08 2009-11-25 주식회사 아이디시스 바이오룩스 조명 장치
US8461503B2 (en) * 2010-05-24 2013-06-11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ensor and actuator system to establish light level setpoints
JP5971583B2 (ja) * 2012-03-21 2016-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コントローラ
JP5999309B2 (ja) * 2012-03-21 2016-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コントローラ
JP6114983B2 (ja) * 2012-10-19 2017-04-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スイッチ
JP6114984B2 (ja) * 2012-10-19 2017-04-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スイッチ
JP6114982B2 (ja) * 2012-10-19 2017-04-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スイッチ
TWI477123B (zh) * 2013-01-15 2015-03-11 Univ Nat Chiao Tung 多功能控制照明裝置
CN106413214B (zh) * 2015-07-29 2019-09-2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照明装置以及照明系统
JP6583668B2 (ja) * 2015-07-29 2019-10-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6939279B2 (ja) * 2017-09-01 2021-09-2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配線器具
JP2019117719A (ja) * 2017-12-27 2019-07-18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診療用led照明装置
CN112017876B (zh) * 2019-05-28 2023-07-25 松下信息仪器(上海)有限公司 盖及配线器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59B1 (ko) 2000-02-24 2007-03-2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조명 장치용 점등 장치 및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4A (zh) * 1988-11-29 1990-06-13 陈英俊 一种改进的自动电灯控制电路
CN1062586A (zh) * 1990-12-16 1992-07-08 浙江省丽水地区计算机技术研究所 电扇的无级调速装置
JPH0855550A (ja) * 1994-08-12 1996-02-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遅れスイッチ
CN2236712Y (zh) * 1995-07-10 1996-10-02 王德芳 无级调光延时开关
JP2003297589A (ja) * 2002-04-08 2003-10-17 Toto Ltd 照明装置
JP4052034B2 (ja) * 2002-06-25 2008-02-27 松下電工株式会社 お出迎え機能付感熱自動スイッチ
CN2594638Y (zh) * 2002-12-27 2003-12-24 王锡秋 高效学习保健灯
JP3838253B2 (ja) * 2004-08-26 2006-10-25 松下電工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59B1 (ko) 2000-02-24 2007-03-2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조명 장치용 점등 장치 및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04520A (ja) 2008-01-10
CN101080127A (zh) 2007-11-28
CN101080127B (zh) 2012-01-11
TWI364238B (en) 2012-05-11
TW200803622A (en) 2008-01-01
KR20070113982A (ko) 2007-11-29
JP4747997B2 (ja)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037B1 (ko) 조명제어 스위치
KR100699646B1 (ko) 스위치
EP0816754A3 (en) Motion activated illuminating footwear and light module therefor
WO2012095937A1 (ja) 冷蔵庫
US8564418B2 (en) Remote controller
US8367955B2 (en) Illuminated wall switch
JP2008230598A (ja) 照明付きのバイザーバニティ
KR20080037543A (ko)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US11641705B2 (en) Flameless candle with photodetector
JP3991544B2 (ja) 熱線センサ付ライト
US20020109981A1 (en) Lighting device for footwear articles
US20100225248A1 (en) Illuminated visor vanity
KR20170077412A (ko) 차량용 램프
JP5059475B2 (ja) 負荷制御回路
KR101963017B1 (ko) 엘이디 무드 시계
JPH0855550A (ja) 遅れスイッチ
JPH0917576A (ja) 照明装置
JP2008270044A (ja) 電子式スイッチ
JP2004031093A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CN213019178U (zh) 一种led智能橱柜灯
JP2002251935A (ja) スイッチ装置
KR101307706B1 (ko) 차량용 시계의 야간조명 제어 회로
KR200452436Y1 (ko) 차량용 실내등 엘이디 제어장치
KR200471654Y1 (ko) 센서를 이용한 천장등 관리시스템
JP2005172403A (ja) 常時換気設備制御用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