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193B1 - 배플유닛 - Google Patents

배플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193B1
KR100962193B1 KR1020070122025A KR20070122025A KR100962193B1 KR 100962193 B1 KR100962193 B1 KR 100962193B1 KR 1020070122025 A KR1020070122025 A KR 1020070122025A KR 20070122025 A KR20070122025 A KR 20070122025A KR 100962193 B1 KR100962193 B1 KR 10096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late
fuel tank
protrusion
baff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217A (ko
Inventor
강태욱
박광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193B1/ko
Priority to DE102007061641A priority patent/DE102007061641A1/de
Priority to CN2007103068576A priority patent/CN101445051B/zh
Priority to JP2008003161A priority patent/JP2009132353A/ja
Priority to US12/018,386 priority patent/US7913872B2/en
Publication of KR2009005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177Fuel tanks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e.g. plastics, or of a combination of non-metallic and 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comprisin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배플유닛은,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연료의 유동을 저감하는 배플유닛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한쪽 면에 밀착되는 제1 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돌출부의 다른쪽 면에 밀착되고, 단부는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 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대가 개재되고,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에는 홀이 형성된다.
연료, 탱크, 배플, 밴드, 플레이트

Description

배플유닛{BAFFLE UNI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탱크에 구비되는 배플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의 유동소음이 저감되도록 연료탱크에 구비되는 배플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휘발유 또는 디젤(액체연료)이 담기는 연료탱크가 구비된다. 급정거나 급 출발할 때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들이 탱크 내부벽을 때림으로써 유동음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 연료탱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탱크(100)의 내부에는 배플(105)이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플(105)은 플라스틱 연료탱크(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플(105)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블로우 몰딩(blow molding) 공법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연료탱크(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배플(105)을 수정 및 변경하기 위해서는 연료탱크(100)의 전체의 금형을 새로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산 후 유동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추가개선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동음을 저감시키고 여러 가지 차종의 연료탱크에 적용할 수 있는 배플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탈부착과 수정이 용이한 배플세트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플유닛은,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연료의 유동을 저감하는 배플유닛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한쪽 면에 밀착되는 제1 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돌출부의 다른쪽 면에 밀착되고, 단부는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 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대가 개재되고,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에는 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는, 유연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연성부재가 상기 돌출부에 탄성 밀착되고, 상기 제1, 2 밴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2 밴드 플레이트의 연결부위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들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2 배플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서, 한 모서리는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 굴곡된 형상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플유닛에 의하면, 여러 가지 연료탱크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서 수정 및 변경이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탱크를 제작할 때 배플에 대한 설계가 일부 필요 없어짐으로써 연료탱크의 생산 및 제작 비용이 저감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플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플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플세트는 제1 밴드 플레이트(200), 제2 밴드 플레이트(205), 지지대(210) 및 고정부(215)를 포함한다. 제1, 2 밴드 플레이트(200, 205)는 연장부(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플세트는 연료탱크에 구비되어 액체연료가 유동할 때 발생되는 유동음을 용이하게 저감시킨다.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에는 여러 개의 홀(220)이 형성되고, 상기 홀들(220)을 통하여 연료가 흐른다.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 사이에는 지지대(210)가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10)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부(215)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는 고정부(215)에 의해서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215)는 볼트와 너트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에 형성되는 상기 홀(220)을 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는 적어도 일부에 유연성부재(2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연성부재(225)와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2 밴드 플레이트(200, 205)의 연장부(230)는 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 제1, 2 밴드 플레이트(200, 205)의 일부 모서리는 연료탱크(305)의 내측면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2 밴드 플레이트(200, 205)의 적어도 한 모서리는 연료탱크 내부의 굴곡부(도 1의 110)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연료탱크에 담긴 연료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의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연료탱크(305)의 내부 가운데 부분에는 돌출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00)는 연료탱크(305)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플세트는 상기 돌출부(300)에 장착된다.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00)의 한쪽 면에는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가 밀착되고, 상기 돌출부(300)의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유연성부재(225)가 밀착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210)의 폭(W1)보다 상기 돌출부(300)의 폭(W2)이 크다. 따라서 상기 유연성부재(225)와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 즉,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의 결합구조가 견고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플세트는 여러 가지 연료탱크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연료탱크를 제작할 때 배플에 대한 설계가 일부 필요 없어짐으로써 연료탱크의 생산 및 제작 비용이 저감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배플세트는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유연성부재(225)로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유연성부재(225) 사이에 상기 연료탱크(305)의 상기 돌출부(300)를 위치시키고 상기 유연성부재(225)의 일단과 타단을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연성부재(225)는 상기 돌출부(300)에 탄성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200),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205), 상기 지지대(210), 상기 고정부(215) 및 상기 유연성부재(225)는 모두 가솔린과 같은 연료에 의해서 재질 특성이 변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 연료탱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플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제1 밴드 플레이트
205: 제2 밴드 플레이트
210: 지지대
215: 고정부
220: 홀
225: 유연성부재
300: 돌출부
305: 연료탱크

Claims (5)

  1. 내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연료의 유동을 저감하는 배플유닛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한쪽 면에 밀착되는 제1 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돌출부의 다른쪽 면에 밀착되고, 단부는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 밴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배플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대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에는 홀이 형성되는 배플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밴드 플레이트는,
    유연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연성부재가 상기 돌출부에 탄성 밀착되는 배 플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배플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 모서리는 상기 연료탱크의 내측면의 굴곡부 형상을 따라서 형성된 배플유닛.
KR1020070122025A 2007-11-28 2007-11-28 배플유닛 KR100962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25A KR100962193B1 (ko) 2007-11-28 2007-11-28 배플유닛
DE102007061641A DE102007061641A1 (de) 2007-11-28 2007-12-20 Ablenkeinrichtung
CN2007103068576A CN101445051B (zh) 2007-11-28 2007-12-25 隔板元件
JP2008003161A JP2009132353A (ja) 2007-11-28 2008-01-10 バッフルユニット
US12/018,386 US7913872B2 (en) 2007-11-28 2008-01-23 Baffl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25A KR100962193B1 (ko) 2007-11-28 2007-11-28 배플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217A KR20090055217A (ko) 2009-06-02
KR100962193B1 true KR100962193B1 (ko) 2010-06-10

Family

ID=4058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025A KR100962193B1 (ko) 2007-11-28 2007-11-28 배플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13872B2 (ko)
JP (1) JP2009132353A (ko)
KR (1) KR100962193B1 (ko)
CN (1) CN101445051B (ko)
DE (1) DE102007061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1347B2 (en) * 2010-06-14 2016-04-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liance structure for a distensible fuel tank
FR2961738B1 (fr) * 2010-06-23 2014-02-2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servoir a carburant muni d'un baffle
KR101592364B1 (ko) * 2010-09-29 2016-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용 배플유닛
ES2555547T3 (es) 2010-12-03 2016-01-04 Salflex Polymers Ltd. Deflector de depósito de combustible desplegable y sistema de depósito de combustible
JP5843067B2 (ja) * 2012-04-10 2016-01-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
US9358878B2 (en) 2012-05-04 2016-06-07 TransNav Inc. Fluid energy reducing device
KR101439067B1 (ko) * 2013-12-19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8258B1 (ko) * 2015-09-23 2017-05-29 주식회사 동희산업 플라스틱 연료탱크용 조립 배플
FR3068923B1 (fr) * 2017-07-12 2021-12-24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 Res Ensemble formant deflecteur perfectionne pour reservoir de vehicu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4330A (en) * 1938-01-19 1940-09-10 Henderson Arthur James Tank and the like for carrying inflammable spirit on aircraft, ships, vehicles, and the like
US2369921A (en) * 1940-09-16 1945-02-20 Ici Ltd Fuel container
US2860809A (en) * 1957-02-14 1958-11-18 Skyline Products Inc Tank baffle
US3979005A (en) * 1974-05-13 1976-09-07 The Boeing Company Cryogenic tank and aircraft structural interface
JPS59110227U (ja) * 1983-01-12 1984-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フユ−エルタンク
US4557876A (en) * 1984-01-04 1985-12-10 Nutter Dale E Gas-liquid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it
JP2000211382A (ja) * 1999-01-25 2000-08-02 Nissan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構造
KR100346441B1 (ko) * 1999-12-11 2002-08-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다공 흡수판을 접합시킨배플판을 갖는 자동차 연료탱크
US6568556B1 (en) * 2002-09-23 2003-05-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tank baffle
KR20070122025A (ko) 2006-06-23 2007-12-28 최현 당구대의 담배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5051B (zh) 2012-11-21
DE102007061641A1 (de) 2009-06-04
JP2009132353A (ja) 2009-06-18
US7913872B2 (en) 2011-03-29
KR20090055217A (ko) 2009-06-02
US20090134174A1 (en) 2009-05-28
CN101445051A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193B1 (ko) 배플유닛
KR100577814B1 (ko)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모듈(FEM;front endmodule)상부판넬의 수평래치 결합구조
US8002335B2 (en) Vehicle cowl structure
US7993424B2 (en) Air cleaner
JP5654926B2 (ja) エンジンカバー並びにエンジンの防音構造
JP5609528B2 (ja) 燃料タンク構造
JP6301115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
KR100774317B1 (ko) 차량용 플라스틱 연료탱크
CN207291542U (zh) 汽车防变形牵引钩盖
KR100610956B1 (ko) 차량의 싱크마크 현상을 방지하는 보스
KR101645877B1 (ko)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JP2001317357A (ja) レゾネータ一体形ファンシュラウド
KR101147717B1 (ko) 자동차 언더커버의 소음 및 진동 흡수구조
JP2006138203A (ja) 車両のエアクリーナ構造
CN204961058U (zh) 一种膨胀水壶
CN205977298U (zh) 一种发动机油底壳及具有其的发动机
JP2006175610A (ja) 樹脂成形部品
KR101496035B1 (ko) 인슐레이션 일체형 흡기 매니폴드
JP2007276753A (ja) ラジエータ
CN205737741U (zh) 汽车
KR100794017B1 (ko) 체결 구조가 개선된 차량 번호판
KR19980023938U (ko)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구조
JP2008038647A (ja) 樹脂製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5067562B2 (ja) 車両のウインドウォッシャ構造
JP5741938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