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143B1 -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143B1
KR100962143B1 KR1020080110530A KR20080110530A KR100962143B1 KR 100962143 B1 KR100962143 B1 KR 100962143B1 KR 1020080110530 A KR1020080110530 A KR 1020080110530A KR 20080110530 A KR20080110530 A KR 20080110530A KR 100962143 B1 KR100962143 B1 KR 10096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push button
locking means
wires
box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381A (ko
Inventor
전호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1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며 상부 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과,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패널과, 상기 상부 커버의 좌측 상단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누름 버튼과,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부 커버에 결합되는 록킹 수단과, 일단은 누름 버튼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수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록킹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 버튼의 작동에 의해 록킹 수단을 상부 커버로부터 동시에 분리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글로브 박스를 록킹하는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글로브 박스, 상부 커버, 하우징, 누름 버튼, 록킹 수단

Description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LOCKING APPARATUS OF GLOVE BOX}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가 절감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수석 전방에는 각종 사물을 수납하기 위한 글로브 박스가 구비되며, 이러한 글로브 박스(Glove Box)는 조수석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에서 소정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1은 종래 글로브 박스의 록킹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글로브 박스의 록킹 구조는 글로브 박스 커버(10)에 형성된 푸시 노브(30)를 누르면 푸시 노브(30)에 연결된 와이어(40)가 당겨지게 되고, 와이어(40)에 연결된 우측 노드(5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우측 노드(4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우측 노드(40)와 기어(70)에 의해 연결된 좌측 노드(60)는 기어(70)의 회전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잠김이 해제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글로브 박스를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부품수가 상당히 많고, 그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마운팅 플레이트 및 스크류 등의 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원가가 상승되며, 다수의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해 글로브 박스의 두께가 증대되기 때문에 글로브 박스의 외관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를 록킹하기 위한 부품수를 줄이기 위한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며 상부 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과,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패널과, 상기 상부 커버의 좌측 상단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누름 버튼과,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부 커버에 결합되는 록킹 수단과, 일단은 누름 버튼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수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록킹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 버튼의 작동에 의해 록킹 수단을 상부 커버로부터 동시에 분리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에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와이어의 양측에 대향 이격되도록 긴 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와이어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패널의 내측에는 와이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와이어를 누르도록 형성되며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 버튼에 연결된 와이어와 다수개로 분기된 와이어 사이에는 이동 부재가 더 마련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일단에는 누름 버튼에 연결된 와이어가 연결되며, 타단은 다수개로 분기된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이동 부재의 양 끝단을 지지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수단을 록킹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를 록킹하는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를 록킹하는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글로브 박스의 두께를 감소시켜 외관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에 따른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아우터 패널의 내측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며 상부 커버(9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과,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패널(100)과, 상기 상부 커버(900)의 좌측 상단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누름 버튼(120)과,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부 커버(900)에 결합되는 록킹 수단(520)과, 일단은 누름 버튼(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수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록킹 수단(520)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 버튼(120)의 작동에 의해 록킹 수단(520)을 상부 커버(900)로부터 동시에 분리시키는 와이어(300)를 포함한다.
글로브 박스는 차량 내 조수석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대하여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글로브 박스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900)와, 소정 수납 공간을 가지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을 포함하며,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아우터 패널(100)이 결합된다.
상부 커버(900)의 좌측 상단에는 글로브 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누름 버튼(120)이 설치되며, 누름 버튼(120)을 탑승자가 눌러 작동시킴으로써,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이 이동하여 글로브 박스가 개방된다. 물론, 누름 버튼(12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누름 버튼 이외에도 다양한 부재를 사용하여 글로브 박스를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900)에 설치된 누름 버튼(120)에 의해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이 개방될 수 있도록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록킹 수단(520)이 설치되며, 이러한 록킹 수단(520)은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 상부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록킹 수단(520)의 일단부와 대응하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에는 인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록킹 수단(520)은 인출공을 통해 상부 커버(900)에 형성된 록킹공(미도시)에 결합되어 상부 커버(900)에 결합될 수 있다.
누름 버튼(120)이 작동되면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설치된 록킹 수단(520)은 동시에 상부 커버(900)와 분리되며, 이로 인해 상부 커버(900)와의 잠김이 해제되어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록킹 수단(520)을 동시에 잠김 해제시키기 위해 누름 버튼(120)과 록킹 수단(520) 사이에는 와이어(300)가 연결되며, 와이어(300)의 일단은 누름 버튼(120)에 연결되며 와이어(320, 340)의 타단은 분기되어 록킹 수단(52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이 누름 버튼(120)에 연결된 와이어(300)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의 좌우측에 설치된 록킹 수단(520)과 연결되기 위해 다수개 예컨대, 2개로 분기될 수 있으며, 분기된 와이어(320, 340)는 록킹 수단(52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누름 버튼(120)이 작동되면 와이어(300)가 당겨지게 되고, 와이어(300)로부터 분기되어 좌우측 록킹 수단(520)에 연결된 와이어(320, 340)가 당겨지게 되어 록킹 수단(520)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록킹 수단(520)이 작동되어 잠김이 해제되면 록킹 수단(5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록킹 수단(520)에는 탄성 부재(540)가 마련되며, 이러한 탄성 부재(540)는 록킹 수단(520)을 록킹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누름 버튼(120)의 동작을 해제됨과 동시에 록킹 수단(520)은 잠김이 수행된다.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와이어(300, 320, 340) 작동시 와이어(300, 320, 3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600)가 형성되며, 지지부(600)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와이어(300, 320, 34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300, 320, 340)가 당겨질 경우, 와이어(300, 320, 340)는 유동없이 지지부(6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60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지부(60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지지부(600)가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패널(1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와이어(300, 320, 340)가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과 아우터 패널(100) 사이를 향해 유동에 의한 이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도니 바와 같이, 아우터 패널(100)에는 와이어(300, 320, 340)를 누르는 리브(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브(140)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형성된 지지부(6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로 돌아가서, 누름 버튼(120)에 연결된 와이어(300)와, 와이어(300)로부터 록킹 수단(520)에 분기되어 연결된 다수의 와이어(320, 340) 사이에는 이동 부재(70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부재(700)의 일단에는 누름 버튼(120)에 연결된 와이어(30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분기된 다수의 와이어(320, 3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부재(700)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에는 누름 버튼(120)에 연결된 와이어(3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이동 부재(700)의 타단에는 록킹 수단(520)에 연결된 분기된 다수의 와이어(320, 340)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이동 부재(700)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누름 버튼(12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예컨대, 누름 버튼(120)이 작동되면 와이어(300)는 당겨지게 되고, 와이어(300)의 당김에 의해 이동 부재(700)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서 하부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이동 부재(700)에 연결된 분기된 와이어(320, 340)는 당겨지게 되고, 분기된 와이어(320, 340)에 연결된 록킹 수단(520)은 잡아 당겨져 상부 커버(900)와의 잠김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 부재(700)의 양단이 동일하게 상하 이동을 하기 위해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이동 부재(700)의 양단에 수직된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7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740)는 이동 부재(700)의 양끝단을 지지하여 이동 부재(7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가이드부(740) 사이에는 와이어(300) 및 분기된 와이어(320, 340)를 가이드시키기 위한 가이드 유닛(72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740)에 대응하는 아우터 패널(1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7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 부재(7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8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를 록킹하기 위한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를 록킹하는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글로브 박스의 두께를 감소시켜 외관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글로그 박스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 하우징의 전면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를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아우터 패널의 내측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아우터 패널 120: 누름 버튼
200: 글로브 박스 하우징 300: 와이어
520: 록킹 수단 540: 탄성 부재
600: 지지부 700: 이동 부재

Claims (6)

  1.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며 상부 커버(9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패널(100);
    상기 상부 커버(900)의 좌측 상단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누름 버튼(120);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부 커버(900)에 결합되는 록킹 수단(520); 및
    일단은 누름 버튼(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수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록킹 수단(520)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 버튼(120)의 작동에 의해 록킹 수단(520)을 상부 커버(900)로부터 동시에 분리시키는 와이어(300,320,340)를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와이어(300,320,340)를 지지하는 지지부(6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600)는 와이어(300,320,340)의 양측에 대향 이격되도록 긴 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와이어(300,320,340)의 양측을 지지하는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패널(100)의 내측에는 와이어(300,320,3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140)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40)는 와이어(300,320,340)를 누르도록 형성되며 지지부(6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120)에 연결된 와이어(300)와 다수개로 분기된 와이어(320,340) 사이에는 이동 부재(700)가 더 마련되고, 상기 이동 부재(700)의 일단에는 누름 버튼(120)에 연결된 와이어(300)가 연결되며, 타단은 다수개로 분기된 와이어(320,340)가 연결되는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700)가 이동 가능하도록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가이드부(74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740)는 이동 부재(700)의 양 끝단을 지지하여 가이드하는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 박스 하우징(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수단(520)을 록킹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540)를 더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1020080110530A 2008-11-07 2008-11-07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10096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530A KR100962143B1 (ko) 2008-11-07 2008-11-07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530A KR100962143B1 (ko) 2008-11-07 2008-11-07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381A KR20100051381A (ko) 2010-05-17
KR100962143B1 true KR100962143B1 (ko) 2010-06-10

Family

ID=4227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530A KR100962143B1 (ko) 2008-11-07 2008-11-07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2568B (zh) * 2018-12-25 2023-09-08 东风佛吉亚汽车内饰有限公司 按压式手套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216B1 (ko) 1995-11-08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록킹장치
KR100683201B1 (ko) * 2005-11-02 2007-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푸쉬형 듀얼 락 로드 글로브 박스
KR100706388B1 (ko) * 2005-12-12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푸시 타입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JP2008189262A (ja) 2007-02-07 2008-08-21 Calsonic Kansei Corp グローブボックスの蓋部開閉アシスト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216B1 (ko) 1995-11-08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록킹장치
KR100683201B1 (ko) * 2005-11-02 2007-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푸쉬형 듀얼 락 로드 글로브 박스
KR100706388B1 (ko) * 2005-12-12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푸시 타입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JP2008189262A (ja) 2007-02-07 2008-08-21 Calsonic Kansei Corp グローブボックスの蓋部開閉アシスト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381A (ko)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8098B2 (en) Telescopic fan cage and apparatus case therewith
JP2017008712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KR102095568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JPH0714080Y2 (ja) 車両用仕切板
KR100962143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JP5104883B2 (ja) エレベータ用運転操作盤
JP4622895B2 (ja) モニター付き車両用シート
KR101486914B1 (ko) 차량용 도어의 스위치 모듈 조립구조
JP4601453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JP5869224B2 (ja) 乗り物用物入れ装置
CN101824946A (zh) 卡合机构
KR20100134474A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KR100764718B1 (ko) 슬라이딩 윈도 핸들 구조
JP6116252B2 (ja) ラッチ装置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JP6407583B2 (ja) 車両用操作装置
JP2007261390A (ja) 収納ボックスのロック装置
KR20120118939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록킹장치
JP5985250B2 (ja) オーナメントの着脱構造
JP6987438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
JP2014171676A (ja) 食器洗浄機
JP6059525B2 (ja) 選択使用式スクリーン装置
KR101285659B1 (ko) 세탁 장치
KR0118738Y1 (ko)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